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 기대와 경제적 지원이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무용수행능력과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김영미(Young Mee Kim),김양근(Yang Keun Kim),(Gerri Houlihan) 한국무용과학회 2010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2 No.-

        이 연구에서는 부모의 기대와 경제적 지원이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무용수행능력과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집락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8개 예술계 고등학교에서 무용전공 학생 488명을 표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일원변량분석과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공변량구조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무용경험 특성에 따라 무용수행능력과 공연자신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다.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무용수행 능력 중 무용기능과 정신력이, 그리고 공연자신감이 높다. 또한 학년에 따라서는 3학년이 1, 2학년 학생들에 비해 무용수행능력과 공연자신감이 높다. 또한 무용참여기간이 길수록 그리고 무용공연 횟수가 많을수록 무용수행능력과 공연자신감이 높다. 둘째 부모의 기대는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무용수행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자녀의 행동특성과 무용재능에 대한 부모의 기대는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무용기능과 공연대처 행동, 정신력을 높인다. 셋째, 부모의 기대는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공연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자녀에 대한 행동특성과 무용재능에 대한 부모의 기대는 무용전공 학생의 외형적, 내형적 공연자신감을 높인다. 넷째,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무용수행능력은 공연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학생들의 무용수행능력이 높을수록 공연자신감이 높다. 다섯째,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공연자신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용수행능력, 부모의 기대와 지원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기대와 경제적 지원은 무용전공학생들의 무용수행능력을 높여 공연자신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s of parents' expectation and economic support on dance performance ability and performance confidence of art high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Using a cluster sampling method and the questionnaire based on previous study, 488 students majoring in dance selected from 8 art highschools. The method of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in this study were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SEM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nce performance ability and performance confidence according to the personal attributes and experience extend of dance of high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Second, parents" expectation about children's behavior attribute and dance talent influences on dance performance ability of high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Third, parents" expectation about children's behavior attribute and dance talent influences on external and internal dance confidence of high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Forth, dance performance ability influences on external and internal dance confidence of high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Fifth, parents' expectation and economic support, and dance performance ability influence on dance confidence directly and influenced on it indirectly through dance performance ability.

      • KCI등재

        태권도 시범공연자의 창작능력이 공연자신감 및 공연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실용댄스 적용 대상자를 중심으로

        이재은,박은식 대한무도학회 2018 대한무도학회지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aekwondo demonstration performers' creative ability on their achievement and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with a focus on practical dance performer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o this end, data on 200 college students who performed in a Taekwondo demonstration performance team were collected through convenience and purposive sampling. According to the research hypothesi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tatistical software SPSS 21.0, and its results could secure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Descriptive statistics were generated and 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thei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reative ability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performers applying practical dance partially affected their performance achievement. Second, the creative ability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performers applying practical dance partially affected their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Third, the self-confidence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performers applying practical dance in their performance partially affected their performance achiev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시범공연자의 창작능력이 공연자신감 및 공연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용댄스 적용 대상자를 중심으로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태권도시범공연단 활동을 한 대학생 200명을 편의 목적표집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가설에 따라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으로 탐색적(EFA)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측정도구의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실용댄스적용을 통한 태권도시범공연자의 창작능력이 공연성취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실용댄스적용을 통한 태권도시범공연자의 창작능력은 공연자신감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실용댄스적용을 통한 태권도시범공연자의 공연자신감은 공연성취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태권도 공연 지도자의 멘토링 역할이 참여만족, 긍정적 감정 및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정승훈,여포유 한국무예학회 2021 무예연구 Vol.15 No.1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aekwondo performance instructors’mentoring role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positive emotion and confidence performance to provide a basic data come up with understanding participants in Taekwondo performance.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Taekwondo performance participation of Seoul, Gyeonggi-do, Chungcheongbuk-do, Jeollanam-do, and Jeollabuk-do province. 237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final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psychosocial and role of Taekwondo performance instructors’ mentoring rol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Second, psychosocial and role of Taekwondo performance instructors’ mentoring rol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positive emotion. Third, psychosocial and role of Taekwondo performance instructors’ mentoring rol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onfidence performance. In addition, career development psychosocial and role of Taekwondo performance instructors’ mentoring rol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onfidence activity. 본 연구는 태권도 공연 지도자의 멘토링 역할이 참여만족, 긍정적 감정 및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향후 태권도 공연 지도자의 멘토링에 대한 필요성 및 역할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충북, 전남, 전북 5곳에 위치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최종 237부의 자료가 결과분석에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태권도 공연 지도자의 멘토링 역할 중 사회심리 기능, 역할 기능 순으로 참여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 공연 지도자의 멘토링 역할 중 사회심리 기능과 역할 기능 순으로 긍정적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태권도 공연 지도자의 멘토링 역할 중 사회심리 기능, 역할 기능 순으로 공연자신감 중 공연에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태권도 공연 지도자의 멘토링 역할 중 경력개발 기능, 사회심리 기능, 역할 기능 순으로 공연자신감 중 활동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무용전공자의 체형 인식과 공연수행 자신감과의 관계

        정다진(Da Jin Chung) 한국무용과학회 2009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8 No.-

        이 연구는 무용전공자의 체형 인식과 공연수행 자신감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무용전공자의 공연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참가자는 서울 소재 H대학 무용학과 학부생 및 대학원생으로부터 표집된 184명이다. 체형인식에 관한 설문지는 김문주(2001),전영선(2006)을 토대로 하였으며, 공연수행 자신감은 Vealey(1986)에 개발된 스포츠 자신감 질문지(State Sports-Confidence In ventory: SSCI)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for Window 12.0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각의 변인에 따라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analysis),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와 방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인인지체형에 따른 공연수행 자신감의 차이는 외적자신감의 경우, 저체중(M=3.90), 표준체중(M=3.56), 과체중(M=3.44), 비만(M=3.09)의 순으로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공연수행 자신감의 차이를 비교한 것 간에는 외적자신감의 경우, 저체중(M=3.90), 표준체중(M=3.56), 과체중(M=3.44), 비만(M=3.09)의 순으로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내적자신감도 저제중일수록 높은 자신감을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체형인식과 공연수행 자신감의 상관관계 간에는 외적자신감의 경우, 주변인지체형(r=.353)과의 사이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p<.001) 체형만족, 이상체형인식, 사회이상체형인식 간에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체형인식은 외적자신감에는 영향을 미치나 내적자신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performance ability of a dancer by which a person specialized in dance identifies relationship that his or her body shape has and confidence in performance of danc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mpose of 184 persons collected from students and graduates of Dance Department, H-university located at Seoul. Questionnaires concerning recognition of the body shape was based on example of Kim Moon-ju (2001) and Jun Young-seon (2006). For confidence of dance performance, State Sports-Confidence In ventory (SSCI) developed by Vealey(1986) was used. For data process, Descriptive analysis, one-way ANOVA, relationshiop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every variation factor using the SPSS for Window 12.0 Version program. Results obtained through these procedures and methods are as follow: For external confidence, difference of confidence in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body shape that a dancer recognizes highly represents in the order of low weight (M=3.90), standard weight (M=3.56), extra-weight (M=3.44) and fat(M=3.09),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external confidence as shown in dance performance, difference of confidence highly represents in the order of low weight (M=3.90), standard weight (M=3.56), extra-weight (M=3.44) and fat(M=3.09),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for internal confidenc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lower weight the more confidence. not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 to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of the body shape and confidence in dance performance, significant relationship appeared between external confidence and peripherally recognized body shape (r=.353) (p<.001) but no relationship appeared between satisfaction of body shape, recognition of abnormal body shape and recognition of abnormal body shape in society. Accordingly recognition of body shape has effect on external confidence but not on internal confidence.

      • KCI등재

        무용전공 대학생의 투지와 무용공연자신감이 무용중독에 미치는 영향

        이명자 한국무용연구학회 2020 한국무용연구 Vol.38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ance major student's grit and dance performance confidence on dance addiction.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10 dance major students. Cronbach's α,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used for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respectively.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perseverance of effort factors of grit and all factors of dance addiction are positively significant. Bu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consistency of interests factors of grit and all factors of dance addiction are negatively significant. The perseverance of effort factor of grit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olerance factor of dance addiction. The consistency of interests factor of grit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obsession and compulsion factors of dance addiction. The confidence about physical skills and training factor of performance confidence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withdrawal symptom and tolerance factors of dance addiction. The confidence about cognitive efficiency factor of performance confidence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ttachment and the obsession and compulsion factors of dance addiction. In conclusion, the dance major student's grit and dance performance confidence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dance addi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투지와 무용공연자신감이 무용중독에 대해 어떠한 영향력을 보이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무용전공 대학생 210명이며, 연구도구로는 투지척도, 무용중독척도 및 무용공연자신감 척도를사용하였고, 자료처리는 상관분석 및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무용중독에대한 투지와 무용공연자신감의 상관분석결과에서 무용중독의 금단증세, 애착, 내성, 강박증 하위요인 모두와 투지의 흥미일관성과 노력지속성 하위요인간에는 유의미한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무용중독의 하위요인 모두와 무용공연자신감의 숙련 자신감, 인지효율자신감 및 회복탄력 자신감간에도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에서는 무용공연자신감의 인지효율자신감은 무용중독의 애착과 강박증에, 그리고 숙련자신감은 금단증세와 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지의 노력지속성은 무용중독의 내성에 그리고 흥미일관성은 강박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무용전공대학생의 투지 및 무용공연자신감에 대한 합리적판단을 바탕으로 하여 무용 수행의 완성도에 대한 적절한 자기평가의 중요성 및 무용중독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중국 연극전공 대학생의 연극 공연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신감, 자아존중감, 사회적 불안의 매개효과

        韩丽(Li Han),강갑원(Kab-Won Ka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23 영재와 영재교육 Vol.22 No.2

        본 연구는 중국 대학 4년제 연극전공 학생들의 연극 공연 경험이 우울을 감소시켜 주는지, 그 과정에서 자신감, 자아존중감, 사회적 불안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었다. 연구 대상은 중국 대학 연극공연학과 대학생 224명이다. 조사 기간은 2021년 6월 10일부터 6월 30일까지였다. 연구모형과 가설 검증을 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극 공연 경험은 사회적 불안은 직접 낮추어주고 우울은 간접적으로 낮추어주었다. 둘째, 연극 공연 경험은 자신감을 직접 높여주고, 자신감은 자아존중감을 직접 높여주었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사회적불안과 우울을 각각 직접 낮추어주었고, 사회적 불안은 우울을 직접 높여주었다. 넷째, 연극공연경험과 자아존중감 간에 자신감은 정적 매개 역할을 하였다. 다섯째, 연극공연경험과 우울 간에 자신감, 자아존중감, 사회적 불안은 연속 다중 매개 역할을 하여 우울을 더욱 낮추어 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연극 공연을 하기까지 자신의 노출, 타인과의 다양한 교류와 같은 경험 때문이라는 점에서 연극 공연 경험이 아닌 다른 유사한 경험도 동일한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the theater performance experience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4-year theater reduced depression, and whether self-confidence, self-esteem, and social anxiety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proc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24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heater and performance at Chinese universities. The investigation period was from June 10 to June 30, 2021.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heater performance experience directly lowered social anxiety and indirectly lowered depression. Second, the theater performance experience directly increased self-confidence, and self-confidence directly increased self-esteem. Third, self-esteem directly lowered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respectively, and. social anxiety directly increased depression. Fourth, self-confidence played a positive mediating role between theater performance experience and self-esteem. Fifth, self-confidence, self-esteem, and social anxiety continuously played multiple mediating roles between the theatrical performance experience and depression to further lower depression.

      • KCI등재

        무용공연 자신감척도(DPCS)의 타당도

        성재형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2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8 No.1

        무용공연자신감척도, DPCS(Dance Performance Confidence Scale)는 스포츠 선수들의 자신감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SSCQ(Sports-confidence)의 수정/변형된 형태의 검사도구이다. 스포츠선수들의 자신감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무용/공연 수행과 관련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실제로 무용수들의 자신감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인가에 대한 비판은 검증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수정/번안하여 활용되고 있는 무용자신감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Messick(1995)이 분류하여 제시한 타당도의 틀 속에서 검사내용에 기초한 타당도, 실제에 기초한 타당도, 그리고 내적 구조에 기초한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검사내용에 기초한 타당도는 문항 5과 문항 9의 적합도와 점이연 측정상관계수는 부적합하게 나타났다. 점이연 측정상관계수는 특정문항의 점수와 피험자 총점 측정치간의 상관을 측정하는 지수로 DPCS의 두 문항이 점이연 측정치수로 단일차원성의 가정을 위배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에 기초한 타당도 검증 결과에서는 피험자 적합도 분석 결과 0.9에서 1.2의 범위를 나타내며 기준치인 1.5를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내적구조에 기초한 타당도 검증 결과에서는 Facets 프로그램이 제시해 주는 표준잔차를 이용한 주성분 분석 분산도표는 단일차원을 가정하는 Rasch 모형에 의해 설명되는 분산(35.3%)이 설명되지 못하는 분산(64.7%)에 크게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DPCS는 무용수의 공연 자신감을 측정하기위한 대표성에 문제가 있음을 시사해 준다.

      • KCI등재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 관리, 무용활동만족, 공연자신감의 관계

        이화석(Hwa-Suk Lee),최재희(Jae-Hee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5

        본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관리와 무용활동만족 그리고 공연자신감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무용지도자나 교육자들에게 학생들의 무용성취 능력 향상과 공연자신감을 고취시키기 위해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2012년 11월 5일 부터 12월 7일 까지 전국 4년제 대학교에서 무용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 1-4학년을 모집단으로 총 350명을 표집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중 동일한 응답이 5문항 이상 반복되거나, 5문항 이상 응답하지 않은 28명의 표본을 제외하고 최종분석은 322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설문지는 통계 프로그램인 SPSS Versio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와 자료 분석결과를 기초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자기관리의 훈련관리와 대인관계는 심리적, 환경적, 사회적, 교육적 무용활동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활동만족의 심리적, 환경적, 사회적, 교육적 무용활동만족은 무용공연 자신감과 무용활동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관리의 훈련관리와 대인관리는 무용공연 자신감과 무용 활동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management,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performance confidence in university dance students. The subject was a population of 350 university dance students during the period of time November 5, 2012 to December 7, 2012. The data on 322 students were used for actual analyses and data were processed with SPSS 18.0 for Window.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self-management had positive effects on dance activity satisfaction. Second, dance activity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dance performance confidence. Third, self-management had positive effects on dance performance confidence.

      • KCI우수등재

        직업무용수의 나르시시즘이 무용몰입 및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고우리 한국체육학회 2023 한국체육학회지 Vol.6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무용수의 나르시시즘이 무용몰입과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대구의 직업무용단에 재직 중인 무용수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최종 238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Ver.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직업무용수의 나르시시즘이 무용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무용수의 나르시시즘이 공연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무용수의 무용몰입이 공연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직업무용수의 나르시시즘과 관련하여 무용수의 예술적 성향과 내면의 심리적 기저와 관련된 지식체 형성에 기여함과 동시에 직업무용수의 나르시시즘이 무용몰입과 공연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의미 있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직업무용수의 자기애적 성향이 공연자신감 및 성공기대감에 미치는 영향

        이윤경 한국무용과학회 2023 한국무용과학회지 Vol.40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professional dancers' narcissistic tendencies on performance confidence and success expectation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 self-written survey was conducted on dancers of vocational dance companies in Seoul, Gyeonggi, Daegu, and Jeju by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the final 238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collected data by statistically analyz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WIN Ver. 23.0. First, it was found that the narcissistic tendency of professional dancers influenced on performance confidence significantl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narcissistic tendency of professional dancers influenced on success expectations significantl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erformance confidence of professional dancers influenced on the expectation of success significa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narcissism tendency of professional dancers is a meaningful factor affecting performance confidence and success expectations, resulting in a positive and important meaning of narcissistic tendencies. In the future, based on this, narcissism tendencies that can increase dancers' 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expectations for success should be applied to field guidance and education. 본 연구는 직업무용수의 자기애적 성향이 공연자신감과 성공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목적표집법에 의한 서울, 경기, 대구, 제주의 직업무용단 무용수를 대상으로 자기기입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최종 212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SPSSWIN Ver. 23.0으로 통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직업무용수의 자기애적 성향이 공연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무용수의 자기애적 성향이 성공기대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무용수의 공연자신감이 성공기대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직업무용수의 자기애적 성향이 공연자신감과 성공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여, 자기애적 성향에 내포된 중요한 의미를 도출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향후 이를 근거로 무용수들의 공연자신감과 성공기대감을 상승시킬 수 있는 자기애적 성향이 현장의 지도 및 교육에 응용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