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창립20주년 기념: 성과와 전망

        이혜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0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40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was founded in January, 2000 with the goal of "the primary purpose of approaching and researching Korean classical women's literature from a feminine perspective, but ultimately contributing to the revitaliz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by promoting active exchanges with other achievements“ From the start, the society has made clear its identity as a joint society of male and female members and integrated field to discuss the issue of ‘women’ across various fields of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the journal of the Society, planning specials have been frequently prepared,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the direction of the Society, and by discovering a number of female writers and works that have not been known in academia, Korean classical women’s literature has been enriched for 20 years. The ‘feminine perspective,’ the goal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ety, still seems to be valid as it needs to note the hidden voice of women. Above all, this Society is worth trying for the writing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classical women’s literature. It could also be responsibility of this Society to report how far North Korean classic women’s literature has come. In future, the Society needs expanding the research subject or perspective to include women's literature in East Asia, at least in the Northeastern Asian countries, influenced by Confucian culture at similar times. It is hoped that this year, which marks the 20th anniversary of its foundation, will be a new start year for the Society. 한국고전여성문학회는 “한국고전여성문학을 여성적 시각으로 접근, 연구하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하되, 여타의 연구성과들과 활발한 교류를 도모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한국고전문학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겠다는 목표 하에 2000년 1월 창립되었다. 본 학회는 출발부터 남녀 공동학회이고, 고전문학의 하위분야로서 고전문학 내 고소설, 고시가, 구비문학, 한문학 등 각 분야를 포괄해서 ‘여성’의 문제를 논의하는 통합 분야라는 정체성을 분명히 했다. 본 학회의 저널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를 살펴보면 무엇보다 기획특집이 자주 마련되어 학회의 방향을 확립하는 데에 기여했다. 그동안 학계에서 알려지지 않았던 여성 작가, 작품들을 다수 발굴해서 20년 사이 한국고전여성문학을 풍성하게 정립했으며, 여성의 여행, 종교나 노년의 여성처럼 여성 관련 주제의 다양한 속성들을 보여주었다. 단지 기획 특집을 통해 의미 있는 연구 주제들의 지속적인 제시에도 불구하고 치열하게 다툴 어떤 이슈나 쟁점은 드러나지 않는다. 그러나 학회창립의 목표인 ‘여성적 시각’은 고전문학 속 여성의 숨겨진 뜻과 목소리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어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이 학회는 여성문학을 깊이 있게 연구하는 인적 자원이 풍성하다는 점에서 한국고전여성문학사의 집체적인 저술을 시도해볼 만하다. 덧붙여 북한의 고전여성문학 연구가 어디까지 왔는지, 여성사 서술에 어떤 위치를 점하고 있는지도 본 학회가 중심이 되어 정리되기를 바란다. 앞으로 본 학회는 연구 대상이나 시각을 유사한 시기 유교문화의 영향을 받은 동아시아, 적어도 동북아시아 국가들의 여성문학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대하는 것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학회의 다양한 성취에도 불구하고 고전문학 내 분야별로 활발하게 여성문학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여성문학회의 존재에 대한 도전에 직면할 수도 있을 것이지만 아직도 산재해 있는 여성 작가와 작품을 찾고, 분석하고, 평가해야 할 일이 산적해 있고, 이것은 본 학회만이 감당할 수 있는 고유 영역이라는 점에서 창립 20주년을 맞이한 올해가 한국고전여성문학회가 새롭게 다시 출발하는 해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문학미디어와 고전문학 연구 - 영원한 현재로서의 고전문학과 그 연구이론으로서 -

        임형택 ( Im Hyeong-taek ) 반교어문학회 2017 泮橋語文硏究 Vol.0 No.45

        `고전`이란 무릇 단순한 과거[古傳]가 아닌 `영원한 현재`[古典]로서의 의의를 지녀야 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근대문학 발생 시기를 특정하고 그 앞뒤를 고전/현대문학으로 구분해왔던 관성은 조정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더불어 고전문학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도 변화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적 의미를 구하는 것이라면 물론이고 문학사를 위한 연구일지라도 그 중심은 `지금 여기` 즉 `영원한 현재`로서의 고전문학을 향하기 때문에서다. 이상의 견지에서 이 글은 미디어 변환에 입각한 문학연구 이론인 `문학미디어`를 고전문학 연구에 적용시켜보았다. 2장에서 이론의 대강을 소개하고 3장 에서 거시적 입장에서 방법론적 모색을 시도했다. 구비(구술) 텍스트에 대해서는 원형성의 보존과 현재적 양식화를, 문자 텍스트에 대해서는 미디어 번역과 미디어-테크놀로지에 의한 시청각화를 논의하였다. 이와 같은 미디어에 입각한 문학연구는 주로 현대문학 연구에 상관되는 것으로 간주돼왔지만, `영원한 현재`를 지향하는 고전문학 연구에서는 더욱 필수적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고전문학의 미디어론과 그에 정초한 재매개 전략은 무엇보다도 학교 교육(초중고)과 대중 교양에서 먼저 적용되어야 한다. 그것은 생산자와 수용자를 아우르는 `재매개 생태계`를 구축하는 대장정이지만, 한국(고전)문학의 현재화-세계화의 실효성을 담보하고 제고하는 가장 빠른 길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If we say that `classical` is not just a simple past, but an `eternal present` [classical], then the inertia that has identified the period of modern literature and classifies it as classical/present literature should be adjusted. In addition, the purpose and method of classical literary studies should be changed. The reason for the study of literature is, of course, as it is about seeking the present meaning, as it focuses on classical literature as `hic et nunc(here now)` or `eternal present`.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has applied `Literature Media`, a theory of literature study based on media transformation and remediation, to classical literature study. This paper in Chapter 2, introduced the outline of theory and in Chapter 3, tried to find a methodological approach from a macro perspective. For oral texts, we discussed the revival of the field through media-technology remediation, and literary texts, translation and audiovisualization by media-technology. Until now, such views and methods have been regarded as largely related to present literary studies. However,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study of classical literature if it is aimed at `eternal present`. And it is argued that the media transformation and remediation strategy of classical literature should be applied first of all in educati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t is the fastest way to secure an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urrent globaliz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lthough it is a big step to build a `remediation ecosystem` that includes producers and accepters.

      • KCI등재

        중등학교 고전문학 학습과 교수 · 학습 설계의 방향

        권대광(Kwon, Dae-Kwa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8 한국문학과 예술 Vol.27 No.-

        이 논문은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이 회상한 중등학교 고전문학 학습의 양상을 조사하고, 이를 분석하고자 한 글이다. 조사 대상인 학습자들은 고전문학교육 장면에 있어 흥미와 재미를 구분하고 있었다. 또, 고전문학 독서와 교육의 재미가 지속성을 지닌 참여의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사례가 포착되었다. 한편, 고전문학을 학습자의 독서 경험으로부터 멀게 만드는 요인으로 과다한 학습량을 지적한 경우가 있었다. 특히 중세국어관련 내용이 지나치게 강조되는 국면이나, EBS 수능 연계 교재를 중심으로 한 실체중심적 접근이 지나친 경우가 학습자와 고전문학의 거리를 멀게 만드는 요인으로 파악됐다. 교사들의 수업 방식에 대한 회상으로 학생활동을 중심으로 한 토의토론 수업을 유의미한 학습경험으로 회상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 밖의 교수학습 장면의 구성을 유의미한 학습경험으로 회상하는 경우는 조사되지 않았다. 문서화된 교육과정이 일종의 지침이라면, 이를 구체화하고 실현하는 주체는 교사다. 교사가 실현하는 교육과정은 마주한 학습자의 다양성만큼이나 개별화된 양상을 띨 수밖에 없다. 교사는 고전문학 교수 · 학습을 설계함에 있어 표준화된 교육과정과 교과용 도서를 개별적 상황에 맞게 재구성하여 운용한다. 이때 교사는 학습자 집단이 고전문학 작품이나 현상을 중심으로 하는 담화 공동체로 성립되도록 해야 한다. 고전문학 교수 · 학습 설계의 목표는 학습자들이 고전문학 교수·학습을 통해 작품을 둘러싼 다양한 담화를 시작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교과의 내용 지식적 측면은 이때 교수 · 학습의 흥미 차원에서 접근되어야 하며, 교수 · 학습의 설계는 학습자가 고전문학 읽기를 통해 사고하고 추론하는 과정적인 요소를 내포해야 한다. 고전문학 교수 · 학습 장면에서 다뤄지는 고전문학 텍스트에 대한 교사의 책무성 역시 높아져야 한다. 고전문학 텍스트와 학습자들의 이질성의거리가 현대어역으로 극복 가능하다면, 대면한 학습자들의 특성을 가장 잘 아는 교사가 이를 담당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학교 교육에서 고전문학교육이 학습자가 삶 속에서 체험 가능한 영역으로 고전문학이 읽힐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lassical literature learning in secondary school by analyzing the retrospection of learners. Those students distinguished interest from pleasure i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lso indicated that pleasure i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could be achieved through student`s persistent participation. On the other hand, They point out that an excessive amount of learning was a disturbing factor in the classical literary class. When the contents related to medieval Korean language were emphasized or When EBS textbook overwhelmed the regular textbook. There was no retrospection of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other than discussion class based on student activities. If the documented curriculum is a kind of guideline, the teacher embodies and realizes it. The curriculum accomplished by the teacher is as individual as the diversity of learners they face. In instructing classical literature class, the teacher reconstructs standardized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individual situations. At this time, the teacher should make the student group into a discourse community of classical literature. The purpose of classical literature class instruction should encourage learners to begin a discourse about the text through classical literature class. The contents knowledge should be considered as material for the interest of the class or text. Also, instruction of class should contain the process that learners think and deduce through classical literature. Besides, Teacher`s responsibility for the text of classical literature read in the classical literature class should also be enhanced. If the modern language can overcome the distance between the classical literary text and the learners, teachers are the right person to deal with it. In this way, classical literature class in the secondary school education should lay the basis for learners to read classical literature as a tangible cultural resource.

      • KCI등재

        대학 전공교육으로서의 고전소설 수업 방안 연구

        정선희(Sun Hee Jeung) 한국고전연구학회 2023 한국고전연구 Vol.- No.61

        본고에서는 대학의 고전문학 관련 전공교육이 위기에 봉착했음에 공감하면서, 이를 타개하기 위해 고전소설 수업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였다. 먼저 전국의 국어국문학과와 국어교육과의 고전소설 관련 전공과목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교과목 개설 현황에서 가장 큰 변화는 문화콘텐츠와 관련된 과목이 증가한 것이다. 이에 필자는 고전서사문학의 서사를 변용하여 새로운 문화콘텐츠의 서사로 다시 쓸 것을 제안하는 수업을 하였다. 수업의 초반부에는 현대의 문화콘텐츠 중에서 자신이 기획하고자 하는 분야의 본받을 만한 콘텐츠를 분석하게 하였다. 웹소설, 웹툰, 영화, 연극, 뮤지컬, 드라마, 게임, 광고, 화보 등 각 콘텐츠의 특성과 인기 요인 등을 알아보게 하였다. 이후, 고전서사문학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게 하였다. 선택한 작품의 서사구조의 특징, 인물 형상화 등에 대해 살핀 뒤, 이를 유지할 것인지, 어떤 부분을 어떤 방식으로 변화시킬 것인지를 생각하게 하였다. 학생들이 선택한 고전서사문학을 보면, 만복사저포기, 숙향전, 금방울전, 장화홍련전, 운영전, 주생전, 박씨전, 홍계월전, 방한림전, 심청전, 콩쥐팥쥐전, 남궁선생전, 유광억전, 검녀, 옥루몽, 박문수전, 처용설화, 비형랑 설화, 온달 설화, 만날고개 설화, 여우구슬, 구렁이 왕자, 열녀전들, 호동서락기 등 다양했다. 위의 두 가지 예비 작업을 거친 후에 본격적으로 자신의 문화콘텐츠를 만들어갈 기획을 하게 했는데, 그 기획의 핵심에는 선택한 문화콘텐츠에 맞게 고전서사문학의 서사를 다시 쓰는 일이 있었다. 고전서사문학을 읽고 분석한 뒤, 주제를 재설정하여 서사를 다시 쓰는 과정을 통해 고전에 대한 지식이나 감상의 깊이와 폭이 늘어날 것을 기대하였다. 그런 뒤 지금의 자신이나 동시대의 콘텐츠 수요자들의 마음을 흔들 수 있는 이야기가 무엇일지 생각함으로써 자기 탐색과 함께 인간이나 사회에 대해서도 다방면으로 탐구하게 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콘텐츠 향유자들이 공감하도록 이야기를 만들어가고 인물형을 구상하였는데 대체로 주체적인 여성상, 탐색하고 여행하는 인물, 대화하고 소통하는 인물, 사랑하고 아껴주는 인물, 행복한 결말 등으로 구성하였다. 한편, 주제어 즉 키워드(keyword)로 고전소설을 읽는 것은 학생들이 자신의 현재 삶과 고전소설이 관련 있음을 느끼게 하기 위한 방안임과 동시에 현대문학 작품들과의 연계를 고려한 방안이기도 하다. 수업에서는 먼저, 주제어 탐구의 예들을 보여줌으로써 한국의 문학이 어떤 특징이 있고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은 어떻게 같고 다른지를 느끼게 하였다. 나와 같은 사람이 어떻게 살아왔고 느꼈는가를 체감하게 하는 효과가 있었다. 이후에는 고전소설에서 의미 있게 다루어진 주제어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자기표현 양상, 개인의 소외 양상, 여가나 취미 활동, 예술과 놀이, 노년, 죽음, 부부, 애정 등의 주제어를 중심으로 하여 소설들에서 어떻게 형상화되어 있는지를 강의하고, 학생들은 이러한 주제어들이 다른 고전문학 장르나 현대문학에서 어떻게 형상화되어 있는지를 찾아 보고서를 쓰게 하였다. 주제어들 중 하나를 택하여 그것이 문학 작품 속에서 어떻게 형상화되어 있는지를 찾아내는 작업을 하면서 이에 대해 더 깊이 생각하게 하였다. 이렇게 다양한 작품들을 읽음으로써 학생들은 독서의 힘도 늘어나고 고전문학을 친근하게 생각하게도 되었다. 아울러 그 주제어가 표현하는 바가 무슨 의미를 지니는지를 논하게 함으로써 쓰기 능력도 키울 수 있었다. This paper agrees with the crisis that college education faces related to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order to overcome this crisis, it suggests ways to effectively teach Korean classical novels. Firs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the curriculum related to classical novels in the departments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cross the country. The thing that stands out the most is the increase in subjects regarding cultural contents. Accordingly, the author ran a curriculum that suggested students to create new cultural contents by taking sources from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the beginning of the curriculum, students analyzed worthy cultural contents in various fields. There are various types of cultural contents such as a web novel, web toon, movie, play, musical, drama, game and advertisement. Out of them, students chose contents based on classical literature, and investigated the features and factors of popularity. After that, they created new stories and character types that content consumers would be interested in. Many of these stories were about independent female characters, explorers and travelers, active communicators, characters who fall in love, and had a happy ending. In the “Reading Korean classical novels through key words” class, students can learn the features of Korean literature and the differences between classical literature and contemporary literature by investigating key words. They can think deeply about the subjects by choosing a key word out of several and figuring out how the keyword is shaped in a novel. By reading several classical novels, students can develop reading skills and get familiar with classical literature. Furthermore, they can develop writing skills by expressing how they can relate lessons from novels to their own lives.

      • KCI등재

        한국여성문학학회에서 고전문학 연구의 위상과 과제에 대하여

        홍나래 한국여성문학학회 2019 여성문학연구 Vol.48 No.-

        This thesis examines the status and tasks of classical studies at the Academic Society of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Therefore, I found the tendency and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paper of classical literature in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Through this, the planning theme selected and concentrated by the academic society showed good results, but I suggested that the researcher and research subject should be expanded further. In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apers related to classical literature account for about 15% of all papers. Despite relatively few classical research papers, topics such as women’s literature and women’s writing are ahead of other journals. Classical scholars were able to connect and discuss scholarly fields to study and theorize literary and cultural phenomena from classical to contemporary times. In other words, the study of classical literature in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has contributed to the generalization of theories through the history of female literature, literary phenomena and writing theories on our foundation. In the Korean Women’s Literature Association, the study of classical literature achieved intensive results by planning themes. Classical researchers extended the age and genre of research with feminist methodologies and themes, and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was a space that encouraged their research. Therefore, this challenge must be carried out by more researchers. This will enrich our literary research and ensure the significance of academic social practice. To this end, this Association should encourage future generations to study classics in feminism, continue long-term research such as the history of women’s literature and theories of women’s literature, and be interested in researching women’s culture materials and academic projects. As the population decreases and the research environment changes, it is difficult for future generations to continue research, hoping for academic support. In order to induce the participation of classical researchers, it is necessary to connect with applied scholars or to study the subjects in which classical and contemporary interests coexist. When communicating with related disciplines or conferences, the current literature following the classics will be better understood. Our original thoughts and feelings will also be grasped. It is hoped that the Academic Society of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will continue its practical significance as an open field of study that crosses the boundaries of classical, modern and genre from a feminist perspective. 본고는 한국여성문학학회에서 고전문학 연구의 위상과 과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해당 학술지인 『여성문학연구』를 중심으로, 고전문학 연구 논문의 경향과 의의를 도출하고, 선택 집중된 기획 연구의 성과에서 더 나아가 연구자와 연구 대상을 확장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그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여성문학연구』에서 고전문학 관련 논문은 전체의 15% 정도를 차지하지만, 여성문학사 서술이나 여성의 글쓰기와 문학 활동에 대해서는 여성주의 관점에서 집적된 연구들을 아우르며 연구 담론을 선도해가고 있었고, 고전문학 연구자들에 의한 학문 장의 연결은 고전부터 현대까지 문학·문화 현상들을 통시적으로 살피며 이론화하도록 했다. 즉 『여성문학연구』를 통한 고전문학 연구는 우리 토대에서 여성문학·문학 현상·글쓰기 이론을 사적으로 이으면서 보편화하는 데에 기여하고 있었다. 한국여성문학학회에서 고전문학 연구는 기획 주제로 선택되고 집중되면서 집약적인 성과를 이룰 수 있었는데, 그 과정에서 여성주의라는 방법론과 주제가고전 연구자들에게 시대와 장르를 확장하도록 이끌었고, 『여성문학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독려하며 활발히 연구할 수 있는 장을 제공했다. 그러므로 이러한 도전과 시도가 보다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어 우리 문학 연구가 풍성해지고 사회적 실천 의의도 확보하기 위해서는 여성주의 관점에서 고전을 공부하는 학문후속세대를 북돋우고, 문학사 및 문학이론과 같은 장기적 연구를 지속시키며, 여성문학 관련 연구 자료나 사업 현황에 관심을 갖고 연구 대상도 넓혀야한다. 인구감소와 연구 환경 변화에 따라 후속 세대들이 학술적 지원을 기대하면서 연구를 지속하기 힘든 상황에서도 고전 전공 연구자들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응용 학문 연구자들과 연계하거나 고전과 현대를 잇는 시기와 대상에 대하여 보다 전공을 넘나들며 관심을 모을 필요가 있다. 관련 학문·학회간 연계와 소통을 추진할 때, 고전에서 이어지는 현재의 문학과 문화가 더욱 입체적으로 구성되면서 우리들의 원형적 사고와 감정도 총체적으로 파악될 것이다. 한국여성문학학회에서 고전 연구 역시 지난 20년간의 성취에 더하여 여성주의 시각으로 고전과 현대, 장르의 경계를 확장하며 그 실천적 의의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고전문학의 향유방식과 교육; 과거, 현재, 미래

        손태도 ( Son Tae-do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8 고전문학과 교육 Vol.37 No.-

        문학활동은 이를테면 ‘문학생산’ 활동과 ‘문학수용’ 활동으로 양분된다. 고전문학의 향유방식은 고전문학의 수용과 관계된다. 그러나 문학수용 활동은 사실상 문학생산 활동이 전제되어야만 가능한 것이기에, 문학의 향유방식에 대한 논의에는 문학수용 활동 외에도 문학생산 활동에 대한 논의도 흔히 같이 다뤄진다. 오늘날 현대의 시, 소설 등과 같은 문자문학의 경우 ‘문학생산 : 문학수용’은 ‘쓰기 : 읽기’로 비교적 간단하다. 그런데 고전문학에서는 시가문학, 소설문학, 구비문학, 한문학 등에 있어 그것은 ‘가창, 음영, 구연, 공연, 강독(講讀), 쓰기 : 듣기, 읽기’의 방식들이 있다. 또 현대의 시, 소설 등의 문자문학은 문학만으로 이뤄진 이른바 단독예술이지만, 가창, 공연되기도 하는 고전문학은 음악, 연극 등이 수반된 복합예술들도 많다. 이러한 고전문학의 향유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읽는 문학’ 외에 ‘듣는 문학’에 대한 문학적 소양도 가질 필요가 있고, 문학 외의 음악, 연극 등에 대한 시각도 필요하다. 고전문학의 향유방식들과 관계해서 오늘날에도 연구할 만한 과제들이 많이 있다. 고전시가에는 신라시대 불교의 향찬(鄕讚)으로서의 향가, 가곡과 무가(巫歌)의 관계, 가곡 한바탕에서의 가곡창사들의 순서, 『시용향악보』에 실린 무가(巫歌)들은 국가의 별기은(別祈恩)과 같은 국행 굿에서 불린 사실, 가사 장르의 향유방식으로서의 ‘창조로 불림’ 등이 오늘날에도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연구과제들이다. 고전소설의 경우에는 지금에라도 전통사회의 소설 강독에 대한 현지 조사들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 구비문학에는 전문 이야기꾼에 대한 조사와 그의 구연 영상물 제작이 이뤄져야 한다. 한문학에는 시창(詩唱), 한문 사(辭)·부(賦)·문(文)의 ‘창조로 불림’, 한문 경서(經書)의 성독(聲讀) 등에 대한 조사,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 오늘날 고전문학을 제대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고전문학의 향유방식에 입각한 여러 시각들도 가질 필요가 있다. 구비문학과 같은 ‘듣는 문학’에는 ‘구전공식구(formular)’(일반적 언술), ‘핵심적 주제(theme)’(일반적 주제), ‘즉석변개작법’(improvisation) 등과 같은 A. 로드의 ‘구전공식구 이론(formular theory)’에 대한 시각이 필요하다. 이것은 ‘특수한 언술’, ‘특수한 내용’, ‘원전비평’을 중시하는 현대의 시, 소설 등의 문자문학과 정반대되는 면이 있다. ‘읽는 문학’ 외에 ‘듣는 문학’이 많은 고전문학은 구비문학의 이러한 문학적 방식을 기본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고려가요나 실창 판소리들에 있는 과도한 음란(淫亂) 지향의 경우는 흥행을 목적으로 한 개방된 공간에서의 연행이란 문학 실현 공간 설정에 대한 시각이 필요하다. 한편 문학수용에 있어 ‘읽기’만 있고 예술적으로도 단독예술로 문학만 있는 현대의 시, 소설 등의 문자문학과 달리, ‘듣기’도 있고, 고전시가나 구비문학에서처럼 문학·음악, 문학·연극·음악, 문학·연극·무용·음악 등의 복합예술로도 있는 고전문학은 역시 ‘듣기’로 수용되고 문학·음악, 문학·연극·영상·음악 등의 복합예술로 있는 대중가요, 영화, TV드라마 등과 같은 현대의 매스미디어 문학의 이해, 연구에도 분명 일정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문학연구와 문학교육은 물론 문학 곧 문학사설 그 자체를 가장 중시한다. 그러나 향유방식에 의해 그 문학사설들이 결정되는 면도 분명히 있다. 특히 ‘읽기’ 외에도 ‘듣기’에 의한 향유가 많았고, 문학 단독 외에 문학이 음악, 연극, 무용 등과 같이 향유된 면들이 많은 고전문학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므로 고전문학의 향유방식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와 고려는 고전문학의 이해, 연구, 교육에 있어 참으로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Today, in the case of literary works such as modern poetry, novels, 'literature production : literature acceptance' are relatively simple as 'writing : reading'. However, in classical literature, there are ways of 'singing, chanting, narrating, performing, public reading, writing : listening, reading.' Modern literary works such as poetry and novels are sole arts made up only of literature, but classical literature have many complex arts accompanied by music, theater, etc. In order to understand the way classical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usic, theater, etc. also. There are a number of subjects to research today in relation to the accepting method of classical literature. There are such things at Hyang-ga (향가), Goryeo Sog-yo (고려 속요), Sijo (시조) and Gasa (가사) in of classical poetry. There is a public reading in classical novels. There is securing video materialㄴ for narrators in oral literature. And there are Si-chang (시창. 詩唱) and aloud reading in chinese proses. 'Listening literature', such as the oral literature needs to have the A. Lord’s 'formular theory' ― 'formular' (general words), 'themes' (general subject), and 'improvisation.' It is the opposite of contemporary poetry and novels that value ' special words', 'special contents', and 'original text.' Classical literature with a great deal of ‘listening literature’ besides ‘ reading literature’ needs to have this 'formular theory' too basically. In the case of ‘excessive pornographic’ oriented events in Goryeo Gayo (고려가요) and Pansori (판소리), a vision is required to set up a space for the realization of literature. The haman basic elements like a man and woman’s body subject can be evoked as a literature means at open place for anonymous people. Unlike modern poetry and novels, which are 'reading literature', and contain only literature, classical literature have 'listening literature' besides 'reading literature', and have complex arts ― classical poetry (literature and music), and oral literature (literature, music, theater etc.) These aspects are available to research modern mass media literature, which are all 'listening literature,' and all complex arts ― pop songs (literature and music), movies (literature, drama, image, music etc.) and TV dramas (literature, drama, image, music etc.). Thus, a proper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of the accepting method is very important in understanding, researching and educating classical literature.

      • KCI등재

        터키 국립 이스탄불대학교 한국어문학과 수업 사례를 통한 고전문학 교육 방안 연구

        조홍윤(Cho, Hong-youn) 한국고전연구학회 2020 한국고전연구 Vol.0 No.48

        해외 한국학 교육기관의 현실 속에서 한국 문학의 위상은 높지 않다. 주로 한국어 교육의 일환으로 주변적 위치에 놓여 있으며, 그마저도 시공간적으로 해외 현지의 학습자들과 거리가 먼 고전문학 교육은 논외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독립 전공으로서 한국학, 언어학, 한국 문학에 대한 제반 지식의 습득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어려운 여건을 이유로 고전문학 교육의 의무를 방기할 수 없다. 이에 학생들로 하여금 학습자와의 괴리 라는 절대 난제를 극복하여 고전문학 지식을 얻게 할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터키 국립 이스탄불대학교 한국어문학과에서는 총 5학기에 걸친 고전문학 교육 과정을 설계하여 실제 교육에 적용하였으며, 본고는 해당 교육 과정을 돌아보고 그 성패를 가늠하여 향후의 개선점을 찾고자 한 것이다. 교육 과정의 핵심은 터키 현지의 학습자들이 한국 고전문학을 대상으로 느끼게 될 시공간적 괴리를 최소화하고, 고전문학을 암기 학습의 대상이 아닌 문학감상의 대상으로서 인식하게 함으로써 교육성과를 높이고자 한 것이다. 이제 1회차 교육 과정 이수자들이 배출된 시점에 그 성패를 돌아보았을 때, 학생들이 한국의 고전문학을 감상의 대상으로 수용하고 그것이 자기 자신을 비롯한 인간 보편적 삶을 형상화하고 있음을 이해하도록 하는 것에는 대체적으로 성공적인 결과가 있었다고 평가된다. 다만 현지 맞춤형 교재의 발간을 통해 이론 수업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을 극복할 필요성, 고전문학 선집의 발간을 통해 감상 자료의 양적·질적 수준을 재고하고 자발적인 고전문학 감상 학습 여건을 제공할 필요성, 학생들의 부담을 최소화하면서도 이론 수업에 대한 집중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is not high in the realistic situation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broad. Mostly, it is located in the surrounding position as a par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even the classical literature, which is far from the local learners in time and space, is often considered as an exception. However, if Korean studies, linguistics, and Korean literature require acquiring knowledge as independent majors, it is impossible to abandon the obligation to educate classical literature for difficult reason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way for students to overcome the absolute challenges of distance with learners and gain knowledge of classical literature. In this regard,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R Istanbul University, designed a total of five semesters of curriculum to educat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applied it to actual education. This paper is to look into the curriculum and to measure its success to find future improvements. The core of the curriculum is to improve the educational outcome by minimizing the disparity of time and space that local learners will feel for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recognizing the classical literature as the object of appreciation rather than the object of memorization. Now, looking back at the success of the first round of curriculum graduates, it is successful to make students accept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s an object of appreciation and understand that it embodies human and other universal life. On the other hand, some complementary points were identified. It was necessary to publish local customized textbooks and collections of classical literatur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theoretical lectures while minimizing the burden on students.

      • KCI등재

        고전문학의 효율적인 내면화를 위한 리딩액티비티 콘텐츠 방안

        함복희(Ham, Bok-hee) 중앙어문학회 2016 語文論集 Vol.65 No.-

        본 연구의 목적은 고전문학 학습자가 작품을 내면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는 디지털 시대 고전문학의 현대적 수용 및 계승 방안에 대한 모색이기도 하다. 나아가 학습자가 능동적이고 주체적으로 문학 작품을 감상하고 재가공 해봄으로써 고전문학에 담긴 삶의 철학이나 지혜, 정서를 경험하는 것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서경별곡〉을 중심으로 속요의 매체 스토리텔링 창작 수업 사례를 살펴보고 이러한 학습 방안이 고전문학의 효율적인 내면화 및 현대적 계승, 학습자의 고전문학 재가공 역량 강화 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전문학 교육에서 전달되는 작품 관련 지식이나 정보를 토대로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만들어내는 창작물을 리딩액티비티 콘텐츠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리딩액티비티를 통한 작품의 내면화를 매체 스토리텔링을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고전 문학이 문학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일방적인 전달 방법의 수업만이 계속된다면 고전문학은 박제되거나 디지털 세대인 학습자에게 낯설고 어려운 작품으로만 여전히 남게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세대 학습자에게 매체 스토리텔링 활동을 통하여 내면화의 과정을 거치게 함으로써 작품 당대의 환경이나 역사를 이해함과 동시에 현재화를 통해 고전의 가치를 새롭게 이해하고 확장시켜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학습자가 고전을 토대로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봄으로써 능동적인 참여와 작품을 통한 즐거움을 경험하도록 한다. 고전문학 전공 관련 학습자는 콘텐츠 기획능력이나 스토리텔러로서의 역량도 기르게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whereby classical literature learners can internalize classical literature pieces. It also suggests a way to accommodate classical literature within a modern frame and ensure its succession to the digital era. Furthermore, by actively appreciating and independently reproducing such literature pieces, learners can understand and experience the norms, such as wisdom, sentiments, and ideas, of classical literature. This study illustrates the case study of a folk song, Seogyeongbyeolgok (a tragic love song from ancient Korea), as a medium of creative storytelling and observes how this learning plan may affect the efficient internaliz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its succession to the modern context, and the reproduction competency of classical literature learners. In this study, creative works that are actively developed by learners based on their knowledge of literature and the information they acquire from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re referred to as Reading Activity Contents. Further, the internalization of literature pieces through the activity of reading is presented using storytelling media. If classical literature cannot satisfy its fundamental duty as literature but only unilaterally gets transferred to the digital age for the sake of lessons, it will be like taxidermy and will remain difficult to understand by and foreign to the digital generation. Hence, this study lets the digital generation internalize classics using the medium of storytelling and assists the learners in understanding the environment and history of the age depicted by classical literature, at the same time extending the value of the classics by making-present. Moreover, learner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and enjoy the development of new contents based on the classics. Consequently, learners who major in classical literature can foster the ability to plan such contents and further their competency as storytellers.

      • KCI등재

        역량기반 고전문학교육의 방법과 과제

        최혜진 ( Choi Hye-jin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9 어문론총 Vol.80 No.-

        본 논의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고전문학교육이 대학에서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지에 대한 방법과 과제를 제안한 것이다. 그간 대학교육에서 행해지는 고전문학교육은 고등학교 과정을 심화하거나 원문을 탐독하는 데 머무르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성찰하면서, 4차 산업혁명의 시대로 명명되는 미래의 삶에 고전문학이 기여하는 바가 무엇이어야 하는가를 제시했다. 대학에서의 고전문학교육은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공통국어와 문학교육, 고전읽기 교과를 넘나들며 이해되고 교육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대학에서 사범계열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고전문학 관련 교과는 매우 한정되어 있어서 여전히 지식교육에 함몰되어 있다. 고전문학의 전통성과 문화적 원형성에 대해 현재적 의미를 끊임없이 찾도록 하는 교육방법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전문학은 단순히 감상, 이해의 수준에 머물러서는 안 되고 다양한 콘텐츠로 살아날 수 있는 창의적 역량을 기르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새로운 교수-학습과정이 필요하며 교육평가방식도 다양화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우리 시대는 구체적이고 핵심적인 역량을 기르는 방향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고전문학교육도 여기서 예외가 될 수 없으므로 우리는 미래사회를 선도할 고전문학교육의 방법론과 과제를 고민해야 한다. 인간이해의 정수가 고전문학에 있으므로 고전문학교육은 인격적이고 인간다운 미래 문명을 건설하는 데 매우 중요한 인문적 자산이다. 이러한 새로운 교육방법론으로 고전문학을 교육하기 위해 수행과제와 과정의 평가가 중요하다고 보았다. 역량개발을 위한 고전문학교육 방법으로 우선 정보활용역량을 기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식의 범주를 일방적 강의가 아닌 정보활용과 판단으로 자기화하는 힘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의사소통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매체 활용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텍스트 위주의 문학교육이 아니라 이해와 감상을 다루는 다양한 매체로 만들고 확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고전문학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문화향유역량을 길러야 한다. 또한 적극적 차원의 문화 원형 재생산과 창작이 이루어지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작품에 대한 비판적, 창의적 사고역량을 기르기 위해 융합적 실천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융복합적 수행 과제를 바탕으로 체험하는 학습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This study suggests the ways and tasks of how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at universities. In view of the fact that, up until now, classical literary education at universities only reinforced the high school curriculum or remained at the level of reading the original text. My effort in this study is to suggest what contribution the classical literature should make to our future life in a period commonly called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t universities needs to be understood and educated across commo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nd classical reading. Classical literature-related subjects taught to students of Teacher’s College at the university are so limited that they are still immersed in knowledge-oriented education. It seems that what is required is an education methodology that constantly seeks the present meaning based on the tradition and cultural archetype of classical literature. In this regard, classical literature should not simply stay at the level of appreciation and understanding, but should be related to the creative competence to enliven it by way of various contents To this end, a new teaching-learning process is needed and the evaluation methods of education should also be diversified. As a method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for competency development, it is suggested to develop the capability of information utilization. It is necessary to have the competence to self-enact the category of knowledge by using information and judgment rather than one-sided lectures. Next, it is necessary to use media to strengthen communication competence. It isnecessary to create and spread various media to deal with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not text-oriented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apacity to enjoy culture in order to produce classical literature contents. It is also necessary to teach the reproduction and creation of cultural prototypes on an active level.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fusion practice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for the work. It emphasized the need for learning tasks to experience on the basis of fusion tasks. Now, education is being carried out in the direction of raising concrete and core competencies. Sinc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can not be an exception to this, we should consider the methodology and tasks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that will lead the future society. Since the essence of human understanding is in classical literatur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s a very important human asset for building a personal and human future civilization.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performance tasks and processes to educate classical literature with this new education methodology.

      • KCI등재

        한·중 고전 문학사 서술의 ‘장르’와 ‘시대 구분’ 용어 사용에 대한 비교 고찰 및 교육 방안 탐구

        왕샤오위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3 고전문학과 교육 Vol.54 No.-

        이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고전 문학사 서술 체계를 비롯한 문학사의 내용과 양국 고전 문학사를 접하는 학습자의 입장을 동시에 고려하여 향후 한국과 중국 고전 문학사를 아우르는 포괄적인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학사’라는 개념은 서구 근대화 과정을 통해 동아시아에 도입되었고, 한국과 중국에서 각자의 문학사를 정립하는 과정에서 문학사를 기술하는 서로 다른 체계와 관점을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선행 연구를 검토해 보면 근대 민족주의의 산물로서의 ‘문학사’에 대한 재고가 오늘날에도 반복적으로 요구되고 있지만, 문학사 교육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이 아직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과거로부터 이어진 문학의 발전과 변화를 통시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 파악할 수 있는 고전 문학사 교육은 언어와 문학 전공자에게 중요한 지식으로 판단되므로 향후 대학에서 주요 교과목으로 지속해서 다뤄질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문학사 교육에 대한 강조와 함께 현재 고전 문학사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교육 목표와 내용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특히 중국 내 한국 문학사 교육은 고전 문학에 접근하는 중요한 수단이므로 중국인 학습자의 고전 문학 학습 경험을 활용하여 그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 문학사 교육에서 용어 사용에 대한 비교 고찰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본고는 먼저 1장과 2장에서 문학 교육 담론에서의 한국 문학사 교육 연구, 동아시아 문학사 비교 연구, 한·중 문학사 서술 체계와 관련 교육 문제를 제기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문학사 교육의 장에서 중국과 한국의 고대 문학사 서술 체계의 용어 사용이나 시대 구분 인식의 차이와 유래를 밝히고자 제2장에서 양국에서 널리 알려진 문학사 교재의 서술 체계와 맥락을 비교 고찰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과정은 중국에서 인지도가 높은 한국문학사 교재인 위욱승(韋旭升의『한국문학사(韓國文學史)』, 한국에서의 문학사 교재인 조동일의 『한국문학통사』, 중국의 문학사 교재인 원행패(袁行霈)의 『중국문학사(中國文學史)』를 비교 제재로 삼아 한·중 문학사 전반적인 서술 체계, 대표적인 장르 용어와 분류 기준, 또한 그 맥락을 조사·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양쪽에서 과거 한문학 장르를 공유하며 유사한 사상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근대화 이후 본국 문학의 발전 맥락을 고려한 정립 방법에 상당한 차이가 보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은 이론적 장르 구분의 인식이 강조하는 것에 비해 중국은 역사적 장르를 나열하여 그 변화 과정을 강조했다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양국에서 각자의 문학 발전 맥락에 따라 시대를 구분하는 방식에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한국과 중국의 문학사 교과서 서술에 드러나는 특징들은 한국과 중국의 고전 문학사 비교 연구나 향후 교육 방법에 많은 시사점을 주었다. 무엇보다 이러한 비교 고찰의 결과는 동아시아라는 포괄적인 시각에서 고전 문학사 교육을 전개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본고는 양국 고전 문학사 서술 용어에 대한 비교 고찰을 통해 얻은 시사점을 바탕으로 향후 중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고전 문학사 교육의 방향을 ‘도표로 한·중 문학사 서술 체계 용어 사용과 그 배경을 쉽게 제시하기’, ‘한·중 고전 문학에 대한 비교 교육적 접근’, ‘한·중 문학사 ... The essay proposes an instructional methodology for teaching the History of Chinese and Korean classical literature by focusing on comparing the usage of the terms “genre” and “periodization” in Korea and China’s literary history narratives. The concept of “literary history” was introduced to East Asia through Modernization. During the establishment of their respective literary histories, Korea and China adopted distinct systems and perspectives to delineate literary development processes. To address these research objectives, this thesis begins by examining previous studies that have raised pedagogical concerns related to literary history narrative systems, encompassing literary education discourse and comparative East Asian literary history analyses. Furthermore, a comparative study of the narrative systems and contexts of literary history textbooks in China and Korea was conducted.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three representative textbooks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y Wei Xusheng,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y Cho Dong-il, and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by Yuan Xingpei). These textbooks are widely used in Korean and Chinese literary history classe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three textbooks reveals that the bifurcation of Korean literary history, which breaks away from the context of conventional classical scholarship using the genre of “Korean literature.” is quite different from the introduction of genres in Chinese literary history, which is developed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stylistic theory” of China. We can also see that the descriptors of these literary histories differed in the way they categorized the periods in accordance with the context of literary development in their respective countries. Thes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he descriptions of Korean and Chinese literary history textbooks suggest that more comprehensive pedagogical measures need to be implemented in the classrooms to prevent learners from experiencing barriers to understanding the traditional genres in the History of East Asian Classical literature. In Chapter 3, I proposed three teaching and learning directions, such as “using diagrams to facilitate the use of the History of Chinese and Korean classical literature narrative system and its background,” “comparative pedagogical approaches to History of Chinese and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in-depth learning based on specific periods or contact points of History of Chinese and Korean classical literature based on differences in the important terms that are used in two countries’ literary history narrative system.” Through these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es, it is expected that in the future, students of the classical literature of China and Korea will be able to exploit their background knowledge and develop a comparative perspective in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classical literary history narrative in the two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