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야사에서 복천동고분군의 위상과 역할

        김두철 ( Kim Doo-chul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9 항도부산 Vol.37 No.-

        부산 복천동고분군은 고대에는 수영만을 앞에 둔 해상왕국으로서 김해 대성동고분군과 함께 전기가야의 중심지이자 맹주국의 묘역이었다. 하지만 기록에도 전하며 다소 우월하였던 김해세력의 그늘에 가려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한 측면이 강하다. 고구려군 남정 이후 5세기 전반대에 후기가야에 들어서는 영남지역의 신문물 창달에 가장 지대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이후 5세기 후반대에 빛을 보게되는 신라 귀족문화의 밑거름이 되면서 그것에 묻혀 역시 주목을 받지 못하고 더러는 신라문화에 편입된 것으로 오해되기도 한다. 이러한 잘못된 인식론을 바로 잡기 위하여 본고가 기획되었다. 필자의 기존 연구 성과에 기초하여 가야사에서의 복천동고분군의 실제 위상과 가야와 신라의 성장과정에 끼친 영향력과 역할을 재평가하였다. 그 결과, 4세기대(전기가야)의 복천동고분군의 피장자 집단은 김해 대성동고분군과 함께 묘제나 부장품인 토기를 통해 알 수 있는 공통의 제의를 행하면서도 엄연히 이질적 집단이었다. 대성동고분군의 지배자 집단이 외래적 성격이 강하다면 복천동고분군은 토착사회에 기반한 안정된 집단으로서 결국 전기가야는 외래집단인 대성동고분군과 토착집단인 복천동고분군의 연합에 의해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양 집단에게는 공통성과 이질성의 양면이 상존한다. 5세기대(전환기와 후기가야)의 복천동고분군 집단은 사회 변화에 가장 잘 적응하며 새로운 묘제나 유물을 만들어낸다. 그것은 이후 고총고분시대의 후기가야와 신라 문화의 성립뿐만 아니라 왜의 고분시대 중기문화 성립에도 많은 영향을 준다. 5세기 후반대 이후는 세력이 약화되지만 연산동고분군과 함께 가야 세력의 일원으로서 그 역할을 이어간다. The Bokcheondong Tombs located alongside Suyeong Bay was the centre of the Former Gaya with the Daesungdong Tombs of Gimhae and it was the cemetery of the leader. However, it has been undervalued under the shadow of Gimhae group. After the conquest of Gogurye, it played a crucial role in developing new culture in Yeongnam area in the first of the 5th century. With emerging the culture of the Silla nobility in the latter of the 5th century, although it served as a foundation for its growing, but it was upstaged by Silla, and sometimes it was misunderstood that the Bokcheondong Tombs was already incorporated into Silla. This paper was projected to correct this wrong perception. Based on my previous studies, it was revalued that the real status of Bokcheondong Tombs and its influence and role in developing Gaya and Silla. As a result, although holding a common religious ceremony, but the buried leaders in Bokcheondong Tombs were different from them of Daesungdong Tombs in the 4th century. The leaders of Daesungdong Tombs had got strong foreign character, but the group of Bokcheondong Tombs was stable group based on the native society. These two group were united into Former Gaya, community and difference coexisted in two groups. In the 5th century (the transition period and the Latter Gaya), the group of Bokcheondong Tombs adapted to the social change and created new type of tomb and artifact. It influenced to the formation of the culture of Latter Gaya and Silla as well as the formation of the culture of middle Gohun Period in Japan. In the latter of the 5th century, it lost its strength but played a role as a part of Gaya with the group of Yeonsandong Group.

      • KCI등재후보

        고분 축조기법을 통해 본 창녕 영산고분군의 성격

        정인태 ( Jung In-tae ) 동아문화재단 2019 文物硏究 Vol.- No.36

        5~6세기 창녕 일대의 주요 고분군인 계성고분군, 영산고분군,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은 모두 100여 기 이상의 봉토분이 조성되어, 당시 이 지역의 위상을 보여주고 있다. 창녕지역 세 고분군의 축조기법을 비교해보면 축조공정, 하부 봉토 성토, 호석ㆍ주구, 묘제, 벽석 축조, 두향 등에서 영산고분군과 계성고분군의 상호 유사성이 높고, 매장공간, 복개 등은 영산고분군과 교동과 송현동고분군이 유사성을 띠고 있다. 5세기 중엽 이후부터 축조되기 시작했을 것으로 보이는 영산고분군 축조집단은 묘제, 두향, 매장주체부 축조기법 및 공통의 토기문화를 공유하는 점에서 계성고분군 축조집단과 동일한 정치체로 볼 수 있으며, 봉토와 매장주체부의 규모, 봉토 성토기법, 부장품 등을 통해 계성고분군 축조집단 내 유력 세력에 의해 조성된 고분군으로 볼 수 있다. 또 계성고분군과 교동과 송현동고분군은 5세기 대에 축조기법 상 관련성이거의 보이지 않는 반면에 영산고분군과 교동과 송현동고분군의 수혈식석곽묘는 유사성이 보여 연관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6세기 이후에는 교동과 송현동고분군과 계성고분군의 최상위 계층의 봉토분인 횡구식석실분에서 구조와 축조기법의 유사성이 보이고 있어 이 시기 두 축조집단 간의 관계도 주목된다. 따라서 5~6세기 창녕지역 세 고분군을 조성한 세력은 축조기법과 출토유물로 볼 때 지역 내 위계에 따라 상호 영향을 주고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re were Gyesung tombs, Yeongsan tombs, Gyo-dongㆍSonghyeon-dong tombs, which were major ancient tombs in Changnyeong in the 5th and 6th centuries. These tombs made more than 100 tombs. Therefore, Changnyeong's status was very high at the time. A comparison was made of the method of building a mound tomb in the three tombs. Yeongsan tombs has a lower ranking of tomb, scale of mound tomb, the soil-building technique, and burial goods than Gyeseong tombs. The construction group of Yeongsan tombs were separated from the construction group of Gyeseong tombs. In addition, Yeongsan tombs had a similar burial space and stone building technique to the Gyo-dongㆍSonghyeon-dong tombs. Meanwhile, in the 6th century, the construction techniques of the stone chamber tomb with horizontal entrance in Gyo-dongㆍSonghyeon-dong tombs and Gyesung tombs similar. Therefor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three groups shared the information of the techniques and methods for the construction of tombs.

      • 중국 위진 고분벽화의 연원 연구

        박아림 ( Ah Rim Park ) 동양미술사학회 2012 동양미술사학 Vol.1 No.-

        중국 위진 시기 고분벽화는 한대 고분벽화와 화상석과 더불어 중국 고대 회화의 발전을 볼 수 있는 중요한 회화자료이다. 동북과 하서지역에 집중 분포되어 있는 중국 위진 벽화고분의 연원을 고찰하기 위하여 본문에서는 두 지역에 벽화고분이 나타나기 시작한 신망에서 동한 전기의 벽화고분부터 시작해서 동한 후기-서진의 벽화고분까지 그 출현과 발달 및 전개과정을 같은 시기 다른 지역의 벽화고분들과의 상호관계를 고려하면서 정리하였다. 먼저 동북과 하서지역에 처음으로 벽화고분이 등장하는 신망-동한 전기의 요녕 대련 영성자 한묘와 감숙 무위 한좌 오패산 한묘를 통하여 서한부터 낙양, 장안 등지의 벽화와 화상석에 보이는 鎭墓피邪, 引魂昇天을 반영한 제재와 승선관이 이미 신망-동한 전기에 동북이나 하서지역으로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동북지역 고분벽화의 출현에는 중원지역에서는 신망-동한 전기부터, 관중지역에서는 서한 후기부터 나타나는 생활풍속적 제재의 전파가 큰 역할을 한 것으로보인다. 동시에 내몽고나 섬서북부와 같은 북방지역의 동한 후기 벽화고분과도 벽화제재와 표현에서 유사한 특징을 공유한다. 동한 후기에 와서 동북, 내몽고, 하서를 잇는 북방지역이 벽화고분 축조의 중심지로 되면서 벽화문화권이 형성되어 가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서지역의 동한 후기-서진의 벽화고분은 무위, 주천, 돈황 등에 분포되어, 요양에 집중된 동시기 동북 벽화고분보다 다양한 발전양상을 보여준다. 하서지역 위진벽화 고분은 연원을 해당 지역한대고분에서 찾기도 다. 그러나 그보다는 하남, 관중, 섬북, 산서지역 한대 벽화고분과 화상전고분과의 다양한 교류를 통하여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녕 조양 원대자묘 벽화는 요양지역 벽화고분에서 보이지 않던 여러 지 새로운 제재들이 출현하는데 1세기 앞선 요양지역의 벽화고분과 다른 벽화 제재들이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고분의 벽화 구성에 영향을 미쳤음을 말해준다. 四神, 力士, 狩獵과 같이 요양지역에 등장하지 않은 제재들의 전파경로를 살피면 대체로 하남, 섬서 지역(서한 후기)에서 북방과 서지역(동한)으로 전파된 양상을 관찰할 수 있다. 숙 주천 정가갑 5호묘의 벽화의 제재와 구성 배치는 신망-동한 전기하남지역에서 발달한 궁륭형 천장을 가진 전축분의 특징과 유사하며 고구려 벽화고분과도 친연성이 보인다. 고구려와 하서지역 고분벽화의 친연성은 서한 이후 벽화문화의 전파과정과 동한 후기부터 북방지역을 따라 형성된 벽화문화권의 교류가 그 배경으로 작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국 위진 벽화고분의 연원에 대한 고찰은 3-4세기에 벽화고분이 조성된 동북과 하서지역만이 아니라 그 이전인 한대부터 각 지역별로 발달한 분벽화 및 화상석의 특징과 지역 간 상호 교류 관계를 보다 깊이 있게 려하면서 폭넓은 시각으로 조망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동북·하서 지역의 시기별 벽화고분의 연원은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의 단순한 전파과정이 아니며 다양한 지역적, 시기적 편차를 가지고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발달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중국 위진 벽화고분보다 더 복잡한 양상을 보이는 고구려 벽화고분의 연원은 인접한 동북, 하북, 산동만이 아니라 보다 시야를 넓혀 중원, 관중, 북방, 하서가종축과 횡축으로 연결된 교류 상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Mural tombs of the Wei-Jin period in China are important research materials for the origin, evolution, and stylistic analysis of the early Koguryo tomb murals. Especially, those in the Liaoning region have been received scholarly attentions since their excavations for the geographical closeness. However, Liaoning murals could not be the single source for the beginning of Koguryo murals if one considers diverse characteristics of Koguryo murals different from Liaoning murals. On the other hand, mural tombs in the Gansu region were often mentioned for their similarities in tomb structures and mural subjects to those of Koguryo although no concrete evidence has been provided to explain these similarities. In the present paper, I traced the origin of the Wei-Jin mural tombs in the Liaoning and Gansu regions back to the Han dynasty in the attempt to find out the process of the transmission of mural culture. In the Xin Mang to the early Eastern Han, painted tombs first appeared in these two regions and they showed the distribution of the idea of ascending heaven with the aid of auspicious animals and immortals from the Central Plains and the Guanzhong region. In the late Eastern Han, murals in the two regions exhibited wide ranges of interactions with other parts of the Han dynasty. It appears that not only the Central Plains region but also Guanzhong region and Beifang region(northern region) played an interesting role in the transmission of mural culture to the Hexi and Liaoning regions. By the late Eastern Han, tomb mural cultures became flourished along the northern region including Hexi, northern Shaanxi, Shanxi, Inner Mongolia, and Liaoning. It seems that through this kind of cultural band sharing similar funerary painting subjects and styles as well as structures, the distribution of funerary arts to the northwest and northeast regions in the Wei-Jin period must have been facilitated. It eventually contributed to the birth of Koguryo tomb murals which appeared to be an interesting mixture of varied cultures from those of Han to Wei-Jin as well as those of Han Chinese and non Han people.

      • KCI등재

        북위 平城期 沙嶺벽화고분의 연구

        서윤경 한국미술사학회 2010 美術史學硏究 Vol.267 No.267

        During the Pingcheng Period (398-494), which designates the time period when the capital of the Northern Wei was located in Pingcheng, a unique type of artistic culture was developed thanks to the ethnic blending between northern nomadic peoples and the Han Chinese, which eventually became one of the main currents in the history of Chinese art. The Northern Wei funerary art in the Pingcheng Period is considered particularly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 origins of the artistic traditions and styles as well as the ideas and practices regarding funerals and rituals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Period. Past scholarship on Northern Wei funerary art has focused mainly on tombs from the post-Pingcheng Period. In recent years, however, a series of new archaeological discoveries were made, casting new light on the tomb art of the Pincheng Period in Northern Wei and calling for its new assessment. The Shaling Mural Tomb in Shaling Village of Datong in Shanxi Province constructed in the 1st year of Taiyan era (435)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is period. Mural paintings on richly-varied themes, found inside this tomb,bear great testimony to the art of Northern Wei during the Pingcheng Period.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of the art of the Pingcheng Period by comparing the murals of Shaling Tomb with other murals in contemporary tombs. During the earlier part of the Pingcheng Period, the Northern Wei tomb murals followed the tradition of the Han and Jin Dynasties both in terms of subject and composition. The Northern Wei was exposed to the influence of Han and Jin art as part of the process of integrating northeastern painting style during the Wei and Jin Period. The way people are portrayed and details of lifestyle and customs depicted in these murals echo certain aspects of the northern burial culture of the Xianbei. Meanwhile, among new influences, Buddhist themes and iconography were seamlessly blended into the native concept of afterlife and became recreated into something that is distinctively of the Northern Wei. The overall composition of paintings, compared to the Jin and Han Period, became freer and less stilted, and their visual style, bolder, livelier and more spirited. This tendency persisted until the mid-5th century,to become embodied in the art of the Pingcheng Period. Later with the coming of the age of Buddhist culture and an increased exchange with the Central Asian region and beyond,the Northern Wei developed a yet more open and diversified artistic culture. Once into the late Pingcheng Period, legendary or historical events with Confucian subtexts became the dominant subjects in paintings, while stylistically there was a shift toward Southern Dynasties style. The Northern Wei paintings in the late Pingcheng Period show overall a greater degree of maturity and refinement than in the early or mid-Pingcheng Period. These themes and expressive techniques were creatively inherited by the Northern Wei tomb art of the subsequent Luoyang Period, exerting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art of the lat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Period. While the Northern Wei had its capital in Pingcheng, it gave birth to remarkably diversified and eclectic art forms with a strong northern undertone. This unique cultural vivaciousness of the Northern Wei was no doubt the result of this dynasty’s openness to cultures from the outside. Research on Northern Wei art of the Pingcheng Period could also shed light on the 5th-century tomb art and funeral customs of East Asia as a whole and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structure of burial-related art forms developed in this region. 북위 平城期(398-494)는 다양한 북방유목민족과 한족이 융합되면서 특수한 미술문화를 창출하였으며, 이는 중국 고대미술문화의 한 흐름을 형성하였다. 북위 평성기의 고분미술은 중국 남북조시대 미술의 연원및 화풍, 그리고 당시의 喪葬관념과 의례문화를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연구대상이다. 북위의 고분미술에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평성기의 후기 고분에 집중되었는데, 최근 일련의 고고학적인 발굴과 자료가 축적되었기에, 이를 토대로 북위 평성기의 고분미술을 재논의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山西省 大同 沙嶺村에서 발견된 북위 太延원년(435)의 사령벽화고분은 이러한 북위 평성기의 대표적인 벽화고분으로, 고분에서 발견된 다양한 제재의 회화자료는 당시의 미술상을 잘 반영하고 있다. 본고는 사령벽화고분과 동시기 출토된 기타 고분의 회화자료들을 비교·대조하여, 북위 평성기 고분미술의 전개양상을 살펴보았다. 평성 전기 고분회화의 제재와 구성은 漢晉시대 회화전통을 계승했으며, 이는 위진시기 중국 동북지역의 회화양식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각 인물의 형상과 복식 및 생활풍속의 장면에는 북방 선비족의 상장문화가 잔존한다. 한편 새로운 양식이 수용되는데, 그 가운데 불교적제재의 도상과 문양은 고분미술이 지니는 내세관과 융합되어 독자적인 차용이 이루어진다. 전체 화면은진한대와 비교하여 보다 자유로운 화면이 운용되며, 힘차고 활달한 화풍이 구사되어 생동감이 넘친다. 이러한 미술의 특징은 5세기 중엽까지 지속되어, 북위 평성기의 미술상으로 정착된다. 이후 불교문화가 성숙되고 서역과의 문물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다양하고 개방적인 미술양식이 형성된다. 평성기 후기에 접어들면서, 회화제재는 유교적인 이념의 고사들로 채워지고, 남조의 화풍이 수용된다. 전체적인 화풍은 평성기전·중기의 양식과는 다르게 숙련되고 뛰어난 정제미를 보이는데, 이러한 회화제재와 표현법은 북위가 낙양으로 천도한 이후의 고분미술로 연결되어 남북조 후기 미술양식의 토대를 이룬다. 북위는 평성이라는 무대를 중심으로 강한 북방적 기질이 어우러진 다양하고 복잡한 미술문화를 배태시켰는데, 이는 외부문화를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에서 비롯된 북위의 독자적인 문화양상이었다고볼 수 있다. 이러한 북위 평성기의 고분미술에 관한 연구는 5세기 동아시아 고분미술과 예제문화의 실상을규명하고 구조적인 체제를 이해하는 데 일조하리라 본다.

      • KCI등재

        경주 충효동고분군의 조영시기와 계통

        주홍규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9 고문화 Vol.94 No.-

        The stone chamber tomb with corridor, which follows Shilla’s wooden chamber covered by stone and earthen mound representing the 4th and 5th centuries, is known to have been mainly built in the post 6th centuries. Issues in the research on the Stone chamber tomb with corridor include the construction period and formal change, and the introduction of foreign elements. Including these issues, research on Chunghyo-dong Tombs is needed to explain the situation of Shilla Dynasty through tombs. Most of the tombs of Chunghyo-dong are consist of Stone chamber tomb with corridor and is known to be in the early stages of the Stone chamber tomb with corridor in Gyongju area. It is because of Shilla’s important position in discussing the timing of the construction of the Stone Chamber tomb with corridor, the construction group, and the process of foreign elements being projected to Shilla’s tumb. This study is about chronology and genealogy of Shilla’s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 and is aimed at uncover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genealogy of Chunghyo-dong Tombs. After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omb and the excavated relics, the timing and system of the construction were verifi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data available for dating. As a result, it is estimated that the Chunghyo-dong Tombs form four groups, and were contrasted step by step, showing time differences from the mid 6th century to the late 6th century. Group A (No.1·2·3) was built in the mid 6th century. And Group B (No. 4·5·6) was built in the late 6th century. Group C (No.7·8·9) and Group D (No. 10) were built at the end of the 6th century. Also, each group has tombs with high rank. Tomb NO.2 has the highest rank in group A and tomb No.5 in group B, tomb No.7 in group C, tomb No.10 in group D. Consequently, Chunghyo-dong Tombs, composed of Stone chamber tomb with corridor, can be found to have been built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Goguryeo. So far, there are relics such as the Hou and The King of Kanggeto’s tombstone, Hollow thick erings, and stirrupup outlet has been presented as proof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guryeo and Shilla. However, as we have seen in this study, the strong influence of Goguryeo’s tomb on the change of Shilla’s tomb is significant and it informs us of the correlation between Goguryeo and Shilla. These studies have made it possible to estimate the ages of the relics such as potty, loof tile, and iron tools and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archaeological studies of Shilla. 신라의 묘제 중에서도 4~5세기를 대표하는 수혈식적석목곽분의 뒤를 이어 등장하는 횡혈식석실분은 주로 6세기 이후 단계에 조영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횡혈식석실분에 관한 연구의 쟁점은 조영시기와 변천, 외래 요소의 유입경로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쟁점들을 비롯해, 묘제를 통한 당시 신라의 시대상황을 풀기 위해서는 충효동고분군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발굴·조사된 대부분의 무덤이 횡혈식석실분으로 이루어진 충효동고분군은, 경주지역의 횡혈식석실분 중에서도 이른 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신라가 횡혈식석실분을 조영하는 시기와 조영집단, 외래요소가 신라 묘제에 투영되는 과정 등을 논함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신라 횡혈식석실분의 편년과 계통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충효동고분군의 조영시기 및 계통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각 고분의 특징 및 출토 유물의 양상을 파악한 후, 연대 추정이 가능한 자료와의 비교 등을 통해 그 조영시기와 계통을 검증했다. 그 결과, 충효동 고분군은 총 4개의 그룹을 형성되어 있고, 6세기 중엽에서 말에 이르기까지 시기 차이를 보이면서 단계별에 조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A그룹(제1·2·3호분)은 6세기 중엽에, B그룹(제4·5·6호분)은 6세기 후엽에, C그룹(제7·8·9호분)과 D그룹(제10호분)은 6세기 말에 조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각 그룹에는 가장 위상이 높은 무덤들이 각각 존재하는데, A그룹에서는 제2호분이, B그룹에서는 제5호분이, C그룹에서는 제7호분이, D그룹에서는 제10호분이 여기에 해당한다. 검토의 결과, 횡혈식석실분으로 이루어진 충효동고분군은 고구려의 강한 영향을 받아 조영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를 증명해주는 자료로서 호우총 출토의 호우나 호태왕비의 비문, 태환이식이나 등자와 같은 유물들이 주로 제시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구려의 묘제가 신라의 묘제 변화에 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점은, 당대의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를 알려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이와 같은 충효동고분군에 관한 연구를 통해, 공반된 토기류나 기와류, 철제 무기류와 같은 유물들의 연대도 추정이 가능해져, 향후 신라의 고고학 연구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북한 고구려 벽화고분의 미생물 분포 및 보존현황

        정용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3 보존과학회지 Vol.39 No.4

        고구려 고분은 북한과 중국에 나뉘어 분포해 있다. 고구려 왕국은 BC 3세기에서 AD 7세기까 지 북동중국과 한반도의 반을 차지하였던 가장 강력한 한국의 고대 왕국의 하나이다. 2004년 중국 소주에서 열린 제 28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고구려 고분 가운데 63기의 고분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 었다. 고구려 고분군은 2004년 세계유산 등재이전부터 UNESCO, ICCROM, ICOMOS 등 국제기구 로부터 보존관리를 위한 기술 및 전문가 교육 등의 지원이 수행되었다. 1998년 북한의 요청으로 북한의 고구려고분벽화에 대한 일련의 조사와 보존활동이 시작되었고, 한국정부가 2000년부터 약수 리 고분의 보존을 위해 10만 달러를 UNESCO에 지원함으로써 이탈리아 등 국제 보존전문가에 의해 벽화고분의 과학적인 보존상태 조사가 이루어 졌다. 이후 2005년 7월19일부터 7월30일까지 남한의 고구려연구재단과 북한의 사회과학원 및 문화보존지도국 인원들로 구성된 고구려유적 남북공동조사 단은 평양 일대의 고구려 유적을 분단이후 첫 공동조사가 실시되었다. 특히 2006년 남북공동 고구려 벽화고분 보존 실태조사는 남한의 보존과학 전문가가 처음 참여하여 벽화고분의 보존상태 진단, 보 존환경, 벽화 안료분석 등을 과학적으로 조사하여 8기 벽화고분에 대한 종합적인 데이터를 확보하였 다. 이후 2007년 지속적인 고분 내 환경모니터링의 필요성에 따라 환경측정 장비설치 지원 등이 이루어졌으나 이후 추가적인 남북공동 조사 및 연구는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은 북한 소재 고구려 고분벽화의 미생물 분포현황에 대한 과학적 정보와 향후 국제적 공동보존방안 수립을 위해서 2006년 남북역사학자협의회와 국립문화재연구소가 공동 발간한 ‘남북공동 고구 려벽화고분 보존상태조사 보고서’ 에 수록된 결과 중 그동안 학회에 발표되지 않은 ‘고구려 벽화고분 생물⋅환경조사’ 결과를 정리해서 보고하고자 한다. The ancient Goguryeo tombs are spread throughout North Korea and China. The Goguryeo Kingdom was one of the most powerful Korean kingdoms that occupied half of Northeast China and the Korea n Peninsula from the 3rd century BC to t he 7 th c entury AD. I n 2004, a t the 28th session of the World Heritage Committee, held in Suzhou, China, 63 of these tombs were designated as World Heritage Sites. Previousl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UNESCO, ICCROM, and ICOMOS provided technical and expert training support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such tombs. In 1998, at the request of North Korea, a series of investigations and conservation activities began on the tomb murals, and in 2000, international experts began investigating the scientific preservation status of the Yaksu‑ri tomb murals with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assistance of $100,000 provided to UNESCO. From July 19th to 30th, 2005, the Goguryeo Relics North‑South Korea Joint Investigation Team, consisting of members of the Goguryeo Research Foundation in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n Academy of Social Sciences and Cultural Conservation Guidance, conducted its first joint investigation of the ruins since the two countries were divided. The 2006 Inter‑Korean Joint Goguryeo Mural Tomb Preservation Survey was the first time that South Korean conservation experts participated in scientifically investigating the preservation status and environment of mural tombs and mural pigment analysis. This was to secure comprehensive data on eight tombs. In 2007, additional support for the installation of the necessary measurement equipment was provided to continuously monitor the environments of the ancient tombs. Subsequently, no additional inter‑Korean joint investigation an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provide scientific information on the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in the mural paintings of the tombs and to help establish a future joint preservation plan this study summarizes and reports on the “examination of a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survey of the Goguryeo tomb mural paintings” from the results of the 2006 Inter-Korean Joint Goguryeo Mural Conservation Survey Report, jointly published by the Inter-Korean Historians Association and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which has not previously been presented at academic conferences.

      • KCI등재

        홍준어장고분군의 사회적 지위 및 성격

        김진광(KIM Jin-kwang) 고구려발해학회 2012 고구려발해연구 Vol.42 No.-

        홍준어장은 흑룡강성 영안시에 위치한 323기의 고분이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고분군으로, 상경시기 발해국의 사회상과 문화상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지금까지 각 도성지에서 발견된 중요 고분군들이 고분의 유형과 축조방식, 그리고 규모와 부장유물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발해시기의 왕실고분군 또는 귀족고분군 등으로 그 성격이 귀결된 것과는 달리, 홍준어장고분군의 경우는 아직까지도 그 성격이 분명하지 않았다. 이에 고분의 유형과 분포상황에 주목하여, 고분의 분포에 따른 고분의 유형, 매장주체부의 변화, 묘향의 변화 등 3가지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홍준어장고분군 ⅠㆍⅡ구역에 분포하는 고분군은 석광(관)묘, 석실묘, 전실묘이고, 석실묘는 다시 장방형석실묘, 도형석실묘, 그리고 삽형석실묘로 분류된다. Ⅰ구역에는 석광(관)묘와 장방형석실묘가 분포하는 반면, Ⅱ구역에는 각 유형의 석실묘가 분포하고 있다. 이들에 대한 분포와 조영방식을 검토한 결과, 홍준어장고분군은 석광(관)묘→장방형석실묘→도형석실묘→삽형석실묘로 조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고분 매장주체부의 위치변화로, 홍준어장고분군의 매장주체부는 크게 지상, 반수혈, 수혈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지상식은 195기로 주로 석실묘에서 조영되었고, 반수혈식은 석실묘와 전실묘, 그리고 수혈식에는 대부분의 석광, 석관묘와 석실묘가 조영되었다. 석실묘에 선행하여 조영된 석광(관)묘는 50/55기가 지하, 석실묘 가운데 비교적 조영시기가 이른 장방형석실묘는 76/102기가 지상, 가장 늦게 조영된 삽형석실묘는 45/89, 43/89가 지상과 반지하에 조영되었다. 이로써 홍준어장고분군은 매장 주체부를 지하에 두는 석광(관)묘에서 석실묘로 조영주체가 변화된 이후 주로 매장주체부를 지상에 두다가 지하에 조영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묘향의 변화가 매우 복잡한데, Ⅰ구역에서는 주로 160∼180°인 남쪽방향은 19/39기가 존재한다. 이와는 달리 Ⅱ구역에서는 묘향이 좀 더 다양하게 분화되어, 90∼180°인 동남향이 주를 이루고, 이를 다시 세분하면 동동남인 90∼135°인 고분은 29/323기, 동남남인 135∼160°인 고분은 48/323기, 그리고 남남동인 161∼180°인 고분은 137/323기에 달한다. 그밖에도 181∼213°까지인 남남서 방향의 고분은 71/323기에 달한다. 이들의 매장주체부는 지상이 전체의 195/323기, 반지하가 48/323기, 지하가 78/323기이지만, 석실묘 가운데 선행묘제인 장방형석실묘의 절대 다수의 매장주체부가 지상에 있고, 석실묘 가운데 가장 늦게 조영된 삽형석실묘 가운데 45/90은 지상, 43/90이 반지하로 조영되고 있어 전자에서 후자로의 변화가 확인된다. 결국 홍준어장고분군의 조영시기는 비교적 초기유형을 유지하고 있는 Ⅰ구역에서 Ⅱ구역으로 발전했고, 그 중심묘제는 지상에 매장주체부를 둔 석실묘이며, 석실묘 중에서도 장방형석실묘에서 도형석 실묘를 거쳐 다시 삽형석실묘로의 변화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각 유형의 석실묘가 홍준어장고분군의 Ⅱ구역에 집중되어 있고, 각 유형의 석실묘가 비약적으로 증가되면서 조영된 것은 고분조영집단의 급속한 유입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장방형석실묘에서 도형석실묘로, 그리고 삽형석실묘로의 유형변화는 고분주체세력의 등급이 높아졌음을 상정하게 하는데, 적어도 아무런 장식이 없던 고분에서 꾸밈이 있는 고분으로의 변화는 매장주체들의 고급화로 인식되므로, 그것을 평민무덤으로 성격짓는 것은 재론의 여지가 있다.

      • KCI등재

        능산리고분군과 백제 사비기 능묘, 능원

        서현주 ( Seo Hyun-ju ) 백제학회 2020 백제학보 Vol.0 No.33

        본고에서는 부여 능산리고분군의 현황을 살펴본 후 웅진기나 주변국가와의 비교를 통해 백제 사비기 능묘와 이를 포함한 능원의 문제에 접근해 보았다. 백제는 사비 천도 후 넓은 남사면이 있는 능산리 일대를 선택하고, 지형을 잘 이용하여 왕릉을 포함한 고분군을 조성하였다. 이러한 능산리고분군 중 왕과 왕비의 능은 차별시켜 중앙고분군에 조성되었고, 동고분군과 서고분군은 시기나 구조로 보아 각각 왕족의 무덤군일 가능성이 있다. 능원과 관련되는 고분 외 시설로는 능산리 서고분군 내 건물들과 인근의 능산리사지를 들 수 있다. 능산리사지는 그동안의 조사와 연구를 통해 위덕왕(창왕)대 조성된 능사로서, 창건 시점인 이른 단계에는 중심사역에 강당지나 공방지Ⅱ를 중심으로 의례적 성격의 건물이 있었고, 위치나 기와 등으로 보아 늦은 단계인 북편건물지 1과 2에서도 건물 구성이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어서 강당지 등의 건물 기능이 북편건물지쪽으로 확대 또는 이동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능산리 서고분군에서는 고분들과 함께 초석건물을 포함한 지상식건물 2기와 수혈주거가 확인되었다. 초석건물인 1호 건물지는 고분들과 떨어진 지점에 단독으로 위치하지만, 2호 건물지와 수혈주거지는 고분들 사이에 존재하며 쪽구들 등의 취사·난방시설을 갖추고 있다. 1호와 2호 건물지는 구조와 위치는 다르지만 기와 등으로 보아 축조 시기가 비슷하여 6세기 후엽 서고분군의 조영과 함께 축조된 건물로 추정된다. 고분들과 별도로 공존했던 1호 건물은 고분과 관련된 의례(제의 등)를 위한 건물, 2호 건물지와 수혈주거지는시차는 있지만 고분 조영과 관련하여 임시적으로 거주했던 건물이 아닌가 추정된다. 이러한 자료들로 보아 중국 남조의 영향이 강했던 백제 웅진기와 달리 사비기 능묘에는 웅진기 양상이 이어지면서도 변화되는 부분이 있다. 웅진기 이후 능묘의 구릉 군집은 그대로 이어지지만 조영 순서뿐 아니라 배치, 석실의 구조와 벽화 내용, 능원으로서 능사를 포함한 제의 관련 건물들의 존재 등은 새롭게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사비기의 변화 양상은 고구려와 신라, 중국의 자료와 비교해보면 중국 북위 영향을 받은 고구려 능묘나 능사의 영향이 더 컸던 것으로 여겨진다. 백제를 포함한 삼국은 국가에 따라 약간의 시차가 있지만 공통적으로 6세기 전후부터 7세기 전엽에 걸쳐 구릉 능선을 따라 군집을 이루는 능묘, 능사가 포함된 능원이 나타나는 시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단독 능묘와 능원으로 변화되어 가는 과도기적인 모습이며, 그 과정에는 중국의 영향과 함께 삼국간의 영향도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state of the tombs of Neungsan-ri, Buyeo and compare them with their counterparts from the Woongjin period and those of neighboring states, making an approach to the issues of royal tombs and and their boundary of Baekje during the Sabi period. Baekje built ancient tombs including the boundary of royal tombs in Neungsan-ri after moving its capital to Sabi. It is likely that the central tombs of Neungsan-ri were usually for the royal family(kings and queens), whereas the eastern and western ones were for the royal members of different lines. The facilities related to the boundary of royal tombs are the buildings in the western tombs of Neungsan-ri and the nearby site of Neungsan-ri Buddhist Temple. In Neungsan-ri Buddhist Temple, buildings of ritual character including the Lecture hall(강당지) and Workshop II(공방지Ⅱ) was built at an early stage around the foundation of the Buddhist temple of royal tomb(567). At a later stage, buildings for rituals might have gradually expanded or moved to the northern section of the site. And the building No.1(foundation stone building) in the the western tombs of Neungsan-ri is estimated to have been built along with the western tombs and played rituals related to tombs. These data suggest that the royal tombs of the Sabi period introduced new changes while continuing the patterns of the Woongjin period, unlike the previous Woongjin period when Baekje's tombs were under the huge influence of Southern Dynasties in China. The complex of royal tombs on the slopes of the mountain continued since the Woongjin period, but new changes were introduced including the order and arrangement of tombs, structure of stone chamber tomb, content of murals, and buildings for rituals including Buddhist temple of royal tomb. These patterns of the Sabi period were under the greater influence of Goguryeo's Buddhist temple of royal tomb that were affected by Northern Wei Dynasty. The Three Kingdoms including Baekje built the complex of royal tombs on the slopes of the mountain and boundary of royal tombs including Buddhist temple of royal tomb between the sixth century and the former half of the seventh century with some time differences among them. These represent a transitional period toward single royal tomb and its boundary, and it is estimated that there were influences among the Three Kingdoms as well as influences from China in the process.

      • KCI등재

        南韓內高句麗古墳의 檢討

        白種伍(BAEK Jong-oh) 고구려발해학회 2009 고구려발해연구 Vol.35 No.-

        본고는 남한내 분포하는 고구려 고분의 현황을 정리하고 분포양상과 입지, 구조와 축조방법, 출토유물 등의 검토를 통해 고구려 고분의 특징을 살펴 본 것이다. 남한지역의 고구려 고분은 대체로 하천을 따라 형성된 교통로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한강유역과 임진강유역 등 큰 하천의 북안 또는 강과 지류천이 만나는 합류지역 중에서도 북쪽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하천과 강 주변에 형성된 자연 교통로를 중심으로 한 지역에 고구려의 영향력이 미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고분의 입지는 완만한 구릉 경사면에 입지하는 경우와 경사면 말단부에 이어지는 평탄면에 입지하는 경우가 있다. 밀집도는 한 유적당 보통 1∼2기가 대부분이며 충주 두정리 고분만 6기가 횡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는 해당 지역에 대한 고구려의 지배 시기가 상대적으로 오랫동안 지속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다만 다른 유적에 비해 비교적 밀집 분포하는 충주 두정리 고분의 조영은 충주지역이 가지는 군사적이고 지리적인 중요성과 철의 생산이라는 요인과 어느 정도 관련성을 가질 것으로 생각된다. 남한내 고구려 고분은 모두 연도를 갖춘 지상식 또는 반지하식의 橫穴式구조이며, 한 개의 봉분에 2개의 석실을 마련한 쌍실분이 화성 청계리 고분과 성남 판교동 고분에서 확인되고 있다. 석실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인 護石은 마련되지 않았으나 周溝의 경우는 여러 유적에서 발굴되었다. 연도는 고분에 따라 방향에는 차이가 있으나 석실 남벽의 중앙에 연도를 개설한 춘천 천전리 고분과 연천 신답리 2호분을 제외하고 대체로 우편연도의 공통점을 보이고 있다. 석실 바닥은 시상대를 갖춘 경우와 불다짐 처리한 경우 그리고 불다짐한 후 시상대를 설치한 사례가 남아있다. 고분 유적에서 출토되는 고구려의 유물은 매우 빈약하다. 토기류는 용인 보정동 고분, 화성 청계리 1호분과 충주 두정리 2ㆍ6호분 등에서 1점씩 출토되었다. 이들 토기류는 구연이 외반된 형태로 주로 고운 니질의 점토를 태토로 사용한 점, 문양을 타날하고 물손질하거나 마연하여 문양을 지운 점, 바닥이 평저인 점 등 기형과 제작상의 양상 등으로 볼 때 고구려 토기의 특징을 잘 보여 주고 있다. 타 유적 자료와 비교하면 토기의 제작시기는 5세기 후반부터 6세기 초반경으로 잠정할 수 있다. This thesis summarized the current state of the tombs of Goguryo located in the South Korea and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mbs through the reviews on distribution pattern, locatio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nd the relics found in the tombs. In most cases, the tombs of Goguryo in South Korea are closely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route that was formed along with the rivers. Most of them are located in the North coastal area of a big river such as basin of Han River or Imjin River, or the North region of the junction part where river and small branch streams are met. It was assumed that the power of Goguryo could be spread mainly along with such regions where natural transportation roads were formed nearby rivers. The tombs were located on the slope side of gently rolling hills or on the plain site that was extended from the end part of the slope. As for the density, 1-2 tombs were located in one place in most cases. For exceptional case, there are 6 tombs side by side in Doojeong-ri, Chungju. It is because in this region, the dominance period by Gogoryo Kingdom was relatively short. However, it is assumed that the dense distribution are somewhat related to its military and geographical importance and to the fact that the region produced iron. All the tombs of Goguryo in South Korea are equipped with tunnel entrance on the above-ground or half-below ground. We found twin-style tombs, where two stone chambers were located in a tomb. They were found in Cheonggye-ri, Hwasung and Pangyo-dong, Sungnam, respectively. There was no Hoseok, which was the stone fencesurrounding the tomb to protect stone chamber, but small drains surrounding the tombs were found in many relics. The direction of tunnel entrance of the tomb varies according to the tombs, but most of them have the tunnel entrance at the right side of the tomb, except for the two tombs of which tunnel entrances are located at the center of south wall of the stone-wall chamber. They were the tomb of Cheonjeon-ri, Chuncheon and that of Sindapri the 2nd, Yoncheon. As for the floor of the stone chamber, some were equipped with Sisangdae which was the space where a body was placed, some were hardened by fire-treatment, and some had Sisangdae after the fire-treatment. There were few relics of Gogoryo excavated in the tombs. Each one ware was found in the tomb of Bojeong-dong, Yongin, in the tomb of Chonggye-ri, the 1st in Hwasung, and in the tomb of Doojeong-ri the 2nd and in the 6th, Choongju, respectively. Those wares were made of fine clay with wide top. The patterns that were carved by striking method with a wooden tool and removed with water- touch or scrubbing, and the bottom of wares were plain. Such shape of ware and production method shows the properties of ware of Goguryo quite well. Compared to the data on other relics, it is assumed that the wares were made in the late 5th or early 6th.

      • KCI등재

        가야 고총고분 조사와 연구의 신동향

        최경규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22 文物硏究 Vol.- No.42

        고대 정치체의 수장층(왕)의 무덤인 고총고분의 건축에는 당시 사회정치적 발전과 권력의 중앙 집중화가 내포되어 있으며 당대의 최첨단 선진적 토목건축 기술이 구사되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가야 고총고분은 당대 최첨단 토목건축 기술이 구현된 구조물이며, 그 이면에는 사회적으로 조직된 집단이 존재하였을 것이다. 본고는 영남지역 고고학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는 차원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가야 고총고분 축조에 관계된 여러 논의를 정리하고 그 의미를 검토해 보는 것이 목적으로 학사적으로 필요한 작업이라 생각된다. 2000년대 이후로 가야 고총고분 조사가 이전보다 현저히 증가하였고 2010년을 기점으로 조사와 연구에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고총고분의 경우 조사 자체가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개선하여 더욱 진전된 연구로 진행하기 위한 필수요소이기 때문에 고총고분의 조사와 연구는 서로 유기적으로 맞물려 있다고 볼 수 있다. 가야 고총고분 조사의 신동향으로는 발굴조사에 있어서 트렌치 조사에 대한 한계를 인식하여 수평+계단식 조사, 횡토층 조사 등 다양한 조사방법이 계발되고 적용되면서 가야 고총고분에 구사된 토목기술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봉토부를 하나의 단위 유구로 인식하고 연역적으로 발굴조사를 시행하여 축조공정을 복원하고, 공정마다 포함된 다양한 고고학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다. 아울러 물리탐사와 같은 인접분야 기술의 융합을 통해 더욱 입체적으로 조사계획을 수립하고 예측 가능한 조사를 진행할 수 있었다. 그리고 GPS측량이 발굴조사 현장에 도입되게 되면서 세밀한 등고지형도를 작성하고, 정밀사진실측을 통해 세밀한 단면토층도를 작성하고, 파노라마식의 컬러사진 등을 보고서에 적극 게재하면서 입체적인 해석과 비교연구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조사 및 자료화의 발전을 바탕으로 가야 고총고분의 외형부인 봉토부를 고대 토목기술의 총체로 인식하여 축조기술 해명에 집중하는 연구경향으로 이어졌다. 즉, 가야 고총고분에 대한 토목고고학적 시각에서 접근하는 신동향을 가져오게 된 것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미시적 관점의 연구 축적을 바탕으로 가야 고총고분이 형성되어 가는 과정과 경관에도 주목하여 GIS 분석기법을 활용한 가야 고분군간의 공간구조와 경관 분석에 관한 연구로도 이어지고 있다. 이는 가야 고총고분을 당대 도성 건설이라는 대규모 토목사업의 일환으로 보고, 다른 공적 토목구조물과 유기적 경관을 구축한 것으로 인식한 신연구 경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