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어촌 지역의 흡연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5일 금연학교프로그램의 만족도와 효과 - 성환읍 S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이태훈 ( Lee Tae-hoon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2

        본 연구는 성환읍 소재의 S고등학교 흡연청소년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5일 금연학교의 만족도와 그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2014년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청소년 흡연율은 9.2%이며 중학생의 흡연율은 4.7%, 고등학생의 흡연율은 13.5%이며 특히 일반계 고등학교의 흡연율 (10.9%)보다 특성화고등학교의 흡연율(25.6)로 2배 이상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걸로 나타났다. 이에 고등학교 청소년의 흡연실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흡연중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5일 금연학교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만족도에 따른 금연에 대한 생각의 변화를 학인하고 변화를 통해 5일 금연학교 프로그램이 청소년 금연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청소년 금연프로그램개발의 근거가 되고 더 나아가 한국의 청소년 금연교육 학장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5일 금연학교 프로그램 진행 결과, 금연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학생은 85%였으며, 87%의 학생들이 교육을 받는 동안 담배를 피우지 않았다고 한다. 89%의 학생들이 금연교육 후 금연을 유지하려고 하며, 흡연하는 청소년들에게 금연학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5일 금연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한 과반수 학생들이 프로그램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금연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금연학교 프로그램은 흡연청소년의 금연에 대한 의지를 갖게 하며, 금연을 유지하도록 돕고 청소년 금연에 도움이 된다고 볼 수 있다.연구결과는 청소년금연학교를 통하여 청소년 흡연율을 낯추는 성과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ocial entrepreneurship on the organizational.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five days at the S, b High School Youth Smoking of Seonghwan. 100 people were researched in order to figure out the satisfaction and effect of Smoking cessation schools. According to the 2014 Statistical Office survey, the rate of youth smoking was 9.2% and middle school students 4.7%, high school students 13.5%. In particular, the smoking rate of characterized high schools(25.6%) was more than two time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high schools(10.9%). Due to the seriousness of smoking in high schools, a 5 days non-smoking program is planed for high school students who smoke, and this study aims to help check its satisfaction and effect through the change in students’minds. The study results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Korea’s non-smoking education for students, and become a base for non-smoking programs. The 5 days non-smoking program showed that 85% of the students were trying to quit smoking and 87% managed not to smoke during their education. Also, 89% were trying to maintain this habit even after the program ended, and responded that such programs were needed. Thus a majority of students tend to show a positive attitude towards this program and are maintaining the habit of not smoking. Thus, the non-smoking program can be helpful for students in terms of developing a will to quit smoking and helping students to maintain the habit of not smoking. Thus, the study results will help decrease the rate of student smokers through smoking cessation schools.

      • 전문계 고등학생들의 정서적 특성에 따른 청소년 행동특성 및 학교지각의 차이 분석

        김택호(Kim Tack Ho),박제일(Park Je Il),박영진(Park Young Jin)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8 韓國敎育論壇 Vol.7 No.1

        본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생의 정서적 특성이 청소년 행동 특성 및 학교지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봄으로써 학생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총 809명으로 전문계 고등학교 708명, 인문계 고등학교 101명이 참여하였다. 검사에 사용한 도구는 LCSI(Lim’s Character Style Inventory), 창의적 인성검사 (CPI: Creative Personality Inventory), 청소년 행동특성, 학교지각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인문계 고등학교와 전문계 고등학교를 비교한 결과r 성격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창의적 인성에서 인문계가 높게 나타났다. 청소년 행동 특성에서는 소외감과 학교공부에서 인문계가 전문계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문계 고등학생의 경우, LCSI의 각 하위 요인에 따라 청소년행동특성 및 학교지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계 고등학생에서 창의적 인성의 하위요인에 따라 청소년행동특성과 학교지각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전문계 고둥학생들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juvenile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school perception according to emotional characteristics among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 sample of 809 high school students (n = 708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n = 101 for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wa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easures used in this study are Lim's Character Style Inventory (LCSI), Creative Personality Inventory (CPI), Juvenile Behavioral Characteristics Scale, and Scale for School percep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displayed higher mean scores on CPI. However, mean differences in Lim's Character Style Inventory were not apparent for the two group's high students. On Juvenile Behavioral Characteristics Scale, mean scores of subscale of sense of alienation were higher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an for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while mean scores of subscale of school study were higher for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Seco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displayed differences in Juvenile Behavioral Characteristics Scale and School perception Scale according to all sub-scales of LCSI. Thir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displayed differences in Juvenile Behavioral Characteristics Scale and School perception Scale according to all sub-scales of CPI.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 우울의 지속성을 설명하는 매개변인 탐색 연구: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의 전환기 청소년을 중심으로

        박화옥,김민정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9 학교사회복지 Vol.0 No.46

        This study examined the continuity in depressive symptoms among adolescents in the transition from middle to high school.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related factors including poor academic achievement, neglectful and abusive parenting, and a lack of attachment to a teacher and peers were analyzed as potential mediators associated with this continuity. The analysis sample consisted of 2,008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from the 2nd grade of middle school(2014) through the 1st grade of high school(2016). Path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Mplus program. Adolescent depression showed moderately strong continuity in the transition from middle to high school. Adolescent depression in the 2nd grade of middle school significantly predicted an increased risk of poor academic achievement, neglectful and abusive parenting, and a lack of attachment to a teacher and peers a year later. However, these variable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in 1st grade of high school after accounting for prior depression symptoms, except for neglectful parenting. That is, only parental neglect partially mediated the continuity in depressive symptoms over tim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early intervention with appropriate parenting to prevent adolescent depression, suggesting late elementary or early middle school periods as a critical intervening points. Further implications to improve social work programs and services in school setting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학하는 시기를 중심으로 청소년 우울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청소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과 가족, 학교 관련 요인으로 학업성적 불만족, 부모의 학대와 방임적 양육태도, 교사와 또래관계의 부적응을 설정하였고, 이들이 청소년의 지속적인 우울증상에 잠재적 매개역할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표본은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에 참여한 청소년으로서 중학교 2학년(2014)부터 고등학교 1학년(2016)까지의 시기에 응답한 2,008명이다. Mplu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경로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된 중학생의 우울증상은 고등학교로 진학한 후에도 상당한 수준의 지속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 2학년 때 우울증상을 경험한 청소년은 1년 후 학업성적에 대한 불만족, 부모의 학대와 방임적 양육태도, 학교 내 교사와 또래관계에서 부정적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를 제외한 다른 변인들은 전년도 우울수준을 통제한 후 고등학교 1학년으로 진급한 3년차의 우울증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갖지 않았다. 다시 말해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전년도 우울수준을 통제한 후에도 여전히 시간의 경과에 따라 우울의 지속성을 매개하는 변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청소년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초등학교 후기 또는 중학교 초기에 부모의 적절한 양육방법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정과 학교에서 청소년의 우울증상을 예방하고 경감하기 위하여 진행 가능한 프로그램과 서비스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등교육단계 청소년 진로 결정요인 및 결과: 고등학교 계열선택을 중심으로

        안선영,이경상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9 미래청소년학회지 Vol.6 No.4

        This study examined what factors are associated with the choice of high school track and how the choice of high school track is related with the afterward student outcomes. The original purpose of the traditional tracking system in the secondary education level became obscure and questions are raised on the need of the secondary education level tracking. The 2nd, 3rd and 4th year data of Korea Youth Panel Survey were used for the analysis. Monthly income, educational aspiration, academic performance, and sex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the choice of high school track.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regarding school adjustment, interest in schoolwork, relationship with teachers, self-concept and life satisfaction. 이 연구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데이터를 사용하여 우리나라 학생 청소년들의 고등학교 계열 선택을 중심으로 중등교육단계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진로 결정 이후 청소년들의 경험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고등학교 진학 계열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월소득, 교육포부, 학업성취, 성별 등으로 나타났는데, 월소득, 교육포부, 학업성취가 높을수록, 그리고 남자가 여자에 비해 인문계열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계열선택이 이루어진 후의 계열별 청소년들의 경험을 비교한 결과 학교적응, 학교공부에 대한 흥미, 교사와의 관계, 자아개념, 삶에 대한 만족도에서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에 비해 보다 긍정적인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차이는 인문계를 진학한 집단과 고등학교 졸업 후 취업을 희망하는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집단 사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 KCI등재

        중·고등학교 가출청소년의 가정복귀 요인: 개인, 가정환경, 학교요인의 분석

        김혜온,정정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unaway adolescent’ intention to return home. A total of 438 runaway adolescents from 42 shelters and 12 high schools were included in the study sample. Among them, 211 participants had returned home and 227 participants remained in shelter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that covered individual factors, home environment, and school factors.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 two-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chi-square (χ2) test, and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The two-way ANOVA and χ2 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turnees and shelter adolescents in terms of aggression, family structure, economic status, some parenting attitudes (father’s and mother’s affection, negligence, father’s abuse), and peer relationships. We also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runaway adolescents in relation to self-esteem. The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home environment factors were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s of runaway adolescents’ returning home. In particular, broken homes had the strongest negative effect, while economic status had positive effect. Whereas for junior high school returnees, parenting attitudes, such as father’s affection, negligence, and mother’s negligenc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senior highschool returnees individual factors like aggression and impulsiveness were significant. 중․고등학교 가출경험 청소년들의 가정복귀요인들을 탐색하기 위해 가정으로 복귀한 청소년과 쉼터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개인적 요인, 가정환경요인, 학교요인을 집단별로 비교하고 이들 요인들이 중․고등학교 가출경험 청소년들의 가정복귀여부를 예측하는 정도를 분석하였다. 전국 42개소 쉼터에 거주하는 청소년 227명과 12개 중․고등학교 2,3학년 학생 중 가출경험이 있으나 가정으로 복귀한 청소년 211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가정복귀여부와 학교급을 기준으로 이원변량분석과 χ2검정을 통해 집단 간 비교를 하였고, 가정복귀여부를 예측하는 정도를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가정복귀여부에 따라서는 공격성, 가족구조, 가정경제수준, 부모의 양육태도 중 부모의 애정, 방임, 아버지의 학대와 또래관계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고 학교급에 따라서는 자아존중감에서 차이를 보였다. 가정복귀여부에 대한 예측력에서는 전반적으로 가정환경요인의 예측력이 가장 컸는데 이중 결손가정은 가정복귀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가정경제수준은 가정복귀를 촉진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에 의한 가정복귀여부에 대한 예측력의 차이는 중학교 청소년들의 경우 아버지의 애정과 방임, 어머니의 방임과 같은 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의한 변인인 반면에 고등학교 가출청소년들의 경우에는 공격성과 충동성이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치료적 노래 만들기가 고등학교 특수학급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윤다솔,순진이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6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2 No.3

        이 연구는 청소년이 선호하는 대중가요를 바탕으로 치료적 노래 만들기 활동을 구성하고, 감상과 가창, 가사 및 주제 토의, 가사 완성 및 개사, 노래(가사, 선율) 만들기 등의 기법을 포함한 치료적 노래 만들기가 고등학교 특수학급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경기도 소재 S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청소년 14명을 실험집단 7명과 통제집단 7명으로 무선배치한 뒤 전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방식으로 치료적 노래 만들기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에서 빈도 분석, Mann-Whitney U 검정, 순위 공변량분석(Ranked ANCOVA), Wilcoxon 대응-쌍 부호순위검정(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치료적 노래 만들기는 고등학교 특수학급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이 연구는 치료적 노래 만들기가 고등학교 특수학급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음악치료가 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심리‧정서적 지원 방안임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ere to design therapeutic songwriting based on Korean popular music,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rapeutic songwriting on high school special class adolescents’ self-identity and self-esteem. The participants recruited for this study were 14 adolescents attending special class at S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s a result, therapeutic songwriting activity has significantly improved the adolescents’ self-identity and self-estee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erapeutic songwriting activity works as an emotional intervention for the adolescents. At the same time, therapeutic songwriting contributes to their emotional improvement as a psychologically supportive intervention for high school special class adolescents.

      • KCI등재

        청소년기 고등학교 선택의 유형별 특성이 청년층의 행복도에 미치는 영향

        서미숙,홍은주 통계청 2018 통계연구 Vol.23 No.1

        This paper focuses on whether there is any structural difference on individual satisfaction between vocational highschool graduates and general highschool graduates by using Korean Educational Employment 5 Year Panel Data. Especially we looked into the effect of voluntary in their choice of highschool type at their adolescence. The result shows that, first, highschool graduates' satisfaction, whose scale is measured by 1-10 points, decreases by time from the year 2010 to 2014. Second, the satisfaction of the vocational highschool graduates is lower than general highschool graduates by 0.3 point. Third, those who chose highschool involuntarily have lower satisfaction than those with voluntary motive by 0.3 point. This gap goes widened when those who chose general highschool with voluntary motive and those who chose vocational school involuntarily are compared. Lastly those who decided their future job in the 12th grade has higher satisfaction than those who did otherwise. 본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제공하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청년층의 행복도에 있어 일반계와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자 집단들 간에 구조적인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펴봤다. 특히 청소년기의 진로와 고등학교 선택에 있어 자발성 여부가 청년기의 행복도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패널 ‘다중회귀’와 ‘순서형 로짓’ 모형을 이용한 추정 결과에 따르면, 첫째,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년 동안 청년의 주관적 행복도는 시간이 지날수록 악화하고 있었다. 둘째, 인문계 졸업자 대비 전문계 졸업자의 행복도가 약 0.3 정도 낮았다. 셋째, 선택 동기가 없는 상태에서 고등학교를 진학한 청년의 행복도가 자발적 선택을 한 청년보다 평균적으로 0.3 정도 더 낮았다. 또한 이 두가지 요소의 상호작용을 추정해 보았을 때 자발적 선택 동기가 없이 막연하게 전문계 고등학교에 진학한 졸업생의 행복도는 구체적 선택 동기를 갖고 일반계 고등학교를 진학했던 졸업생의 행복도 보다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고등학교 3학년 재학 당시에 이미 미래직업을 정했던 졸업생의 행복도가 미래직업을 계획하지 못한 졸업생의 행복도보다 0.2 정도 높았다. 그러나 고등학교 유형별과 미래직업 결정 여부와는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 낙서를 통해 본 청소년 의식세계 연구 - HAFS 사례를 중심으로

        김동연,김광록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사회과학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숙해가는 단계로서의 청소년의 내 면세계는 어떻게 파악될 수 있을지를 낙서의 심리분석학적 기능에 초 점을 맞춰 분석함으로써 청소년의 낙서와 이에 담긴 그들의 내면에 대 한 이해의 상관성을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청소년기에는 특히나 자신의 내면심리를 외부에 표출하고자 하는 욕망이 심화된다고 할 수 있다. 청 소년기는 새로운 지식의 습득, 미래 진로 설정에 관한 고민, 새로운 자아에 대한 성찰, 교우 관계, 학업 스트레스 등의 다양한 상황의 변화로 인해 새로운 내적인 고민이 많이 생성되는 시기이다. 이 시기의 청소년 들은 의존적 욕구와 독립적 욕구가 공존하여 주변인과의 갈등을 유발 하고 자신의 내적인 고민들을 쉽게 털어놓지 않으며, 간혹 사회로부터 인정받지 못하는 행동으로 자기를 표현하기도 한다. 특히 학교생활을 하는 학생의 신분으로서 청소년들에게는 표현의 제약이 어느 정도 존 재한다. 이러한 제약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의사 표현 수단을 하고 싶은 욕구에 이들은 익명성이 보장되는 낙서를 한다.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성숙해가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내면 심리와 그들의 의식 세계를 다양 한 방법으로 표출하고 고민들을 해소하려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한 학 교 내의 고등학생의 낙서 사례를 연구하여 이를 교육과정, 학년, 그리고 공간의 특성별로 구분하여 청소년의 내면의식에 대한 해석을 위해 진 행된 선행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의식세계에 대 해 보다 깊은 이해를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특히 HAFS(한국 외국어대학교 부속 용인외국어고등학교 : 이하 ‘HAFS’)의 낙서 사 례에 비추어 본 청소년들의 내면세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 여 각기 청소년의 발달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는 낙서 사례의 유형을 나름대로 다음과 같이 크게 실존적 고민, 정치·사회적 고민, 학 업 관련, 관계 및 소통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변화가 일 어나는 청소년기에 형성되는 내면세계를 효과적으로 들여다보고자 하 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청소년들은 학교 내에서 교육과정, 학 년, 공간에 따라 각기 어떤 고민과 심리를 표출하고 있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모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고등학교 유형별 상담경험 유무와 마음챙김 수준에 따른 학교상담기대의 차이

        박소영(So Young Park),정성진(Sung-Jin Chung) 삼육대학교 미래사회와기독교연구소 2023 융합학문과 기독교 Vol.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유형별로 학생들의 상담경험 유무와 마음챙김 수준에 따라 학교상담기대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J시 고등학생 492명(일반고 246명, 특성화고 246명)을 대상으로 마음챙김 척도와 상담기대 질문지 등을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경험 유무에 따라 학교상담기대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마음챙김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일반고 학생들과 특성화고 학생들 모두 상담경험이 있는 집단보다 상담경험이 없는 집단의 마음챙김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일반고 학생들의 경우 마음챙김 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낮은 학생들보다 학교상담기대의 총점과 모든 하위요인 점수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반면, 특성화고 학생들은 학교상담기대의 총점과 수용성, 직면성, 지시성, 진실성, 양육성, 전문성, 구체성 하위요인에서만 높았다. 넷째, 일반고 학생들의 경우 상담경험 유무와 상관없이 마음챙김 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낮은 학생들보다 학교상담기대 총점 및 모든 하위요인 점수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특성화고학생들의 경우 상담경험 유무와 상관없이 학교상담기대 총점 및 모든 하위요인 점수에서 마음챙김 수준이 높은학생들과 낮은 학생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교유형에 따라 마음챙김 향상과 학교상담기대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differences there are in school counseling expectation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unseling experience and mindfulness level of students by type of high school. For this purpose, 492 students(246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246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n J City were surveyed using the Mindfulness Scale and Counseling Expectations Questionnaire, an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counseling expectation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indfulness according to counseling experience. Second, the mindfulness of the group without counseling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with counseling experience for both general and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ird, in the case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tudents with high levels of mindfulnes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total score and all sub-factor scores of school counseling expectations than students with low levels of mindfulness, whereas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total score of school counseling expectations as well as acceptability, confrontation, directiveness, and truthfulness, nurturing, professionalism, and concreteness subfactors. Fourth, in the case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y had counseling experience, students with a high level of mindfulnes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otal score and all sub-factor scores of school counseling expectations than those with a low level of mindfulness. On the other hand, for students at specialized high schoo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dents with high and low levels of mindfulness in the total school counseling expectation score and all sub-factor scores,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y had counseling experience.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measures to improve mindfulness and improve school counseling expectations depending on the type of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