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후기 경아전(京衙前) 서리(書吏) 가계 사례 연구:신득린(申得麟)(1734~?) 가계

        김두헌 ( Doo Hean Kim ) 한국고문서학회 2013 古文書硏究 Vol.42 No.-

        본고에서는 申得麟 가계 출신들이 남긴 30장의 준호구를 주된 연구 자료로 사용하여, 이 가계의 경아전 서리 가계로 들어서기 직전의 신분, 경아전 서리 세전 시기, 가계 기록 편찬 여부, 혼인 양상, 문무 관직 진출과 이로 인한 신분 상승 여부 등을 탐구하였다. 그 결과, 이 가계가 영·정조 연간에 장악원 전악에서 경아전 서리로 직역을 전환하였다는 것, 이 가계에서 경아전 서리를 세전한 시기가 18세기 말이나 19세 초 무렵이었다는 것, 이 가계에서는 조선시대에 가계기록을 편찬하지 않았다는 것, 이 가계 출신들은 주로 같은 경아전 서리 출신들과 혼인을 하였다는 것, 이 가계 출신들 중에 문무 관직이나 官階에 진출한 자들이 있었지만 그렇다고 하여 이들이 양반으로 신분 상승하지는 못하였다는 것 등을 확인 또는 추정하였다. 그리고 이상의 연구 결과를 근거로, 경아전 서리 가계에서 경아전 서리를 세전하기 시작한 시기가 각 가계마다 달랐다는 것, 경아전 서리는 기술직 중인과 다른 신분으로 존재하였으며 이들의 사회 신분적 지위는 기술직 중인에 비해 낮았다는 것, 경아전 서리들은 주로 같은 신분끼리 신분 내 혼인을 하였다는 것, 영·정조 연간에 경아전 서리, 장악원 전악, 시전 상인 중에 사회 신분적 지위가 같은 부류들이 상당 수 존재하였다는 것 등을 유추하였다. 아울러 조선후기 사회가 능력과 명분을 동시에 중시한 곧, 유교의 인본주의와 성리학의 명분론이라는 두 개의 사회 이념이 현실에서 적절하게 융합, 적용된 사회였다고 판단하였다. This paper studied on the Sin Dug-Lin(申得麟, 1734~?)`s lineage by analyzing their thirty-page JunHoGu(準戶口).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ollowings: the status of Sin Dug-Lin`s lineage before entering GyeongAJeon(京衙前) Seoli(書吏) was JangAgWon(掌樂院) JeonAg(典樂) during the late 18th century; Sin Dug-Lin was JangAgWon(掌樂院) JeonAg(典樂) and his descents was GyeongAJeon(京衙前) Seoli(書吏); This lineage started to hand down Seoli posts(書吏職)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the late 18th century or the early 19th centry. From that time on, the family married with other Seoli family members. They didn`t compiled records of their family lineage such as JogBo(族譜) during the Choson(朝鮮) dynasty. Although there was a few those whom proceeded the official post in this family, their status can`t mobile upward to YangBan(兩班). From the above facts, following explanations on the GyeongAJeon Seoli society can be possible: first, the periods of keeping Seoli posts(書吏職)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the GyeongAJeon Seoli society was different from each families. Seconds, GyeongAJeon Seoli was distinctive themselves from technical post of JungIn(技術職 中人) and their social status was a little bit lower than technical post of JungIn. Thirds, the marriage of the GyeongAJeon Seoli was made only among themselves. Forth, there were similar social ranks such as GyeongAJeon(京衙前) Seoli(書吏), the JangAgWon(掌樂院), JeonAg(典樂), and the SiJeon(市廛) merchants during the YungJo(英祖)-JeongJo(正祖) peorids. And finally, in the Choson(朝鮮) society both ability and MyungBun(名分) were high esteemed by two confucian ideas in the reality.

      • KCI등재

        고구려 기와로 본 경신리 1호분(소위 “한왕묘”)의 조영연대와 피장자 검토

        주홍규(Ju, Hong-Gyu) 고려사학회 2017 한국사학보 Vol.- No.68

        일제 강점기인 1911년에 행해진 경신리 1호분의 조사는, 발굴에 할애한 시간이 매우 짧았고, 정식으로 보고서가 간행되지 않은 빈약한 것이었다. 또한 출토된 유물이 극소수인 점과, 발굴 당시의 정황에 관한 충분한 검토가 행해지지 못한 점은, 지금까지 경신리 1호분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를 진행시키지 못한 원인을 제공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에 간행된 관련 조사 보고를 철저히 재검토한 후, 연대를 알 수 있는 유적과 유물과의 비교를 통해 경신리 1호분의 조영시기와 피장자를 검토했다. 경신리 1호분은 기단봉토석실분이라는 새로운 외형적 특징 이외에도, 중앙에 자리잡은 연도가 긴 단실묘라는 내부 구조적 특징 및 와당을 포함한 기와가 발견되는 점에서는 장군총을 비롯한 집안 지역의 왕릉급 무덤과 유사성이 인정된다. 그러므로 경신리 1호분은 집안 지역과 평양 지역의 묘제를 이어주는 왕릉급 무덤으로서 주목된다. 본 연구에서는 경신리 1호분에서 출토된 와당을 두가지 형식(경신리 A식, 경신리 B식)으로 분류하고 연대를 검토했다. 그 결과 경신리 A식의 와당은 5세기 4/4분기의 중국 북위 와당에서 보이는 문양 요소가 확인되는 점으로 미루어 5세기 4/4분기의 연대가, 경신리 B식의 와당은 5세기 단계의 고구려 와당보다 퇴화된 문양 특징이 확인되는 점으로 미루어 6세기 2/4분기 이후의 연대가 상정된다. 고구려 무덤의 조영과 와당의 제작연대가 동일하다고 보면, 와당의 연대를 통해 경신리 1호분의 조영연대를 5세기 4/4분기로 판단할 수 있다. 경신리 1호분은 고구려의 석실 봉토분 중에서 가장 크기 때문에 왕릉으로 비정이 가능하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고구려의 역사상 5세기 4/4분기에 沒한 왕은 장수왕이 유일하다. 따라서 경신리 1호분을 장수왕릉으로 비정한다. 평양 지역에서는 왕릉급으로 추정되는 고구려의 거대 적석총이 발견되지 않는다. 집안 지역에서 평양 지역으로 천도하면서 왕릉 조영에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변화의 획기는 경신리 1호분이고, 그 연대는 5세기 4/4분기다. 중앙 연도의 단실묘로서 긴 연도를 가지는 특징의 고구려 무덤은 본 연구에서 검토한 경신리 1호분 이외에도, 傳동명왕릉, 호남리 사신총, 토포리 대총 등이 있다. 차후에 이와 같은 무덤들의 선후관계와 피장자를 추정함에 있어서 경신리 1호분이 큰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심경부주』에 드러나는 경의 개념,작용,효과 그리고 그 너머의 교육적 메시지

        서명석 ( Myoung Seok Se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연구 Vol.34 No.4

        성학에서 경(敬)이 차지하는 위치는 무엇인가. 이것을 해명하는 작업 앞에 이 글이 놓여 있다. 경은 성인됨의-배움[聖學]으로 가는 유일무이한 통로다. 그러므로 누구나 성인-역에 도착하려면 경-열차를 반드시 탑승해야 한다. 왜 그러한지 이 안에다 상세하게 밝혀 두었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경의 의미는 무엇이고, 성리학의 담론구조 속에서 경이 어떤 위치에 있으며, 경이 심학과 만나면서 어떤 효력을 발휘하는지 말이다. 그 결과 경은 심학을 구성하는 핵심적 요소였으며, 이 경으로 말미암아 『심경부주』의 심학담론이 21세기 동양의 전통담론으로 여전히 견고한 성채를 확보하고 있었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 교육이 현재 이와 같은 심학적 장치가 완전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현행 담론에서 참담한 교육적 파열음이 더욱 크게 나오는 것이다. 경을 한마디로 응축해서 말하면 인간이 성인됨으로 나아가는데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존재의 두뇌처다. 이런 경으로 말미암아 존재는 더욱 격조가 높아질 수 있다. 그래서 인간다움의 한없는 추락을 부채질하는 현 세태에 경이 한줄기 존재론적 구원의 빛을 발출한다. 따라서 심학의 교학장치가 없는 오늘날 우리 교육은 매우 위태로워 보인다. 이런 관점에서 경학(敬學)은 우리들에게 현행 교육담론에 대한 깊은 반성과 함께 그것의 새로운 해체적 재구성을 교육적으로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는 무엇이리라. This paper highlights the active role played by mindfulness[敬] in the diagram of the study of the mind. Drawing on contents from Sim-Gyung-Bu-Ju[心經附註] text, the paper explores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mindfulness that has led to self-cultivation theory in Neo-Confucianism. The major conclusions are centered on putting complex meaning in charge of mindfulness. This involves making sage learning[聖學], that is learning to be a sage[心學], on key function during its design and its management. It attempts to reveal the point of a powerful weakness in contemporary education. This work requires a re-conceptualization of modern education to capitalize on mindfulness`s pedagogical potentials. Therefore, discourse of mindfulness is a full and systematic tradition of both philosophical framework and the practical application to self-cultivation in East Asia. This has significant messages for 21st century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주역』 「진괘(震卦)」에 담긴 경 사상 연구

        허진웅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connection between Juyeok(周易) ‘Jin trigram(「震卦」)’ and ‘Gyeong(敬)’ theory. ‘Gyeong’ is a core concept that is indispensable in Confucian self-cultivation theory. ‘Gyeong’ presides over the human mind and regulates the body, penetrating the beginning and end of self-cultivation. The final goal of this ‘Gyeong’ is to bring a human being to the sage and harmonize the community. Fear is the origin mental attitude of the human that enables the cultivation of ‘Gyeong’. It means moral fear, not just fear. Human beings look back on their minds and behaviors with moral fear, and always guard against falling in the wrong direction. The Jin trigram of Juyeok speaks about the fear caused by thunder. Thunder is a natural phenomenon that threatens humans. Humans reflect on themselves by substituting the feelings of fear through natural phenomena with moral fear. Thunder’s role is to arouse human moral fear. As such, ‘Gyeong(敬)’ theory and ‘Jin trigram(「震卦」)’ use the common medium of 'fear' as the starting point for self-cultivation. If you follow the stern relationship, you will experience fear due to thunder, and keeping that fear will be the cultivation of ‘Gyeong’. This shows that awe of natural phenomena can be one of the causes of the cultivation of ‘Gyeong’. ‘Jin trigram’ says that the fear of thunder makes the human world peaceful. This is because the moral fear of humans cultivates human beings, and the human beings who complete the cultivation make a harmonious community. The same goes for ‘Gyeong’. ‘Gyeong’ begins with fear and careful mind, and completes self-cultivation through solemn action. And the completion of self-cultivation through the ‘Gyeong’ enables harmonious operation of human society. This is the part that confirms that ‘Jin trigram’ is the source of ‘Gyeong’ not only in terms of content, but also in the direction they are aiming for. 본 논문의 목적은 주역 「진괘(震卦)」와 경(敬) 사상의 연관성을 밝히는 것에 있다. ‘경’은 유가 수양론에 있어서 빠질 수 없는 핵심 개념이다. ‘경’은 인간의 마음을 주재하고 몸을 단속하여 수양의 처음과 끝을 관통한다. ‘경’의 최종 목적은 한 인간을 성인에 이르게 하고 공동체 사회를 조화롭게 만드는 것이다. ‘경’ 수양을 가능하게 하는 인간 본원의 마음가짐은 두려움이다. 그것은 단순한 공포심이 아닌 도덕적인 두려움을 뜻한다. 인간은 도덕적 두려움을 가지고 자신의 마음과 행동을 돌아보고, 잘못된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늘 경계한다. 주역의 진괘는 우레로 인해 발생하는 두려움에 대해서 말한다. 우레는 인간에게 위협적인 자연현상이다. 인간은 자연현상을 통해 느낀 공포의 감정을 도덕적 두려움으로 치환하여 자신을 반성한다. 우레가 인간의 도덕적 두려움을 일깨우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처럼 경 사상과 「진괘」는 ‘두려움’이라는 공통적인 매개체를 수양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그 선후 관계를 따지면 우레로 인한 두려움이 발생하고, 그 두려움을 지켜나가는 것이 경의 수양이 된다. 이것은 자연현상에 대한 경외심이 경 수양을 가능하게 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진괘」는 우레의 두려움이 인간 세상을 태평하게 만든다고 말한다. 이것은 인간의 도덕적 두려움이 인간을 수양하게 하고, 수양을 완성한 인간들이 조화로운 공동체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경 사상 또한 마찬가지이다. 경은 두려움과 삼가는 마음으로 시작되며, 엄숙한 행동을 통해 수양을 완성한다. 그리고 경을 통한 수양의 완성은 인간 사회의 조화로운 운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진괘」의 괘·효사가 내용적 측면뿐 아니라 그 지향하는 부분에서도 경 사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f Zhu Xi’s Approach to Self-Cultivation: An Analysis of Jing 敬

        ( Zhao Yanyan )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6 儒敎文化硏究(中文版) Vol.0 No.25

        朱熹繼承了“敬”在先秦文本中的主要意涵, 卽, 對待具體對象時於心理上嚴肅認眞、高度關注, 以及持續集中注意力的心理狀態, 幷對上述意涵做了兩方面發展。一是認爲有具體對象的“敬”和持續心理狀態的“敬”幷不是兩個“敬”, 而是心在動和靜時集中注意力的不同工夫形態, 且這兩方面形態相卽不離。二是强調“敬”的時時警醒工夫有助於我們回復心的原初狀態, 幷給出了敬的工夫在不同情況回復這種狀態的方法。由此反觀西方哲學中“敬畏”(reverence)和“尊敬”(respect)這兩個看似與“敬”相對應的槪念, 它們與“敬”至少有兩方面區別:其一, 這兩個槪念只涉及我們在面對具體對象時的反應, 而不涉及我們端肅不懈的持續心理狀態的養成。其二, 在涉及具體對象時, 這兩個槪念的發生情境相關於外在他者的特質, 而不是我們的自身修養。將上述區別運用於道德修養論領域, “敬”的工夫一方面凸顯了一種預見式的道德修養過程, 另一方面强調了我們需要依事情的是非曲直做出回應, 而不應僅僅因爲對象不同而在反應上有所區別。另外, “敬”的思想也可以爲解決當代西方道德修養論關於道德原則與道德情感之間關係的爭議提供資源。 In pre-Qin texts the termjing 敬generally has two connotations. First, it refers to a serious, careful, and highly focused psychological response to specific objects. Second, it refers to a lasting psychological state of high focused-ness. Zhu Xi 朱熹(1130-1200) develops the two connotations of jing above from two perspectives. First, he considers the two connotations above as one single jing rather than two kinds of jing, representing different-though correlated-self-cultivation states of high focused-ness connected to xin’smovement and to xin’s stillness. Second, Zhu emphasizes that the frequently alert self-cultivation process indicated by jing helps xin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of clearness, and he also suggests different ways of returning to xin’s original state through jing’s selfcultivation. When comparing jing and two seemingly relatedwestern terms, i.e. reverence and respect,we can see that both reverence and respect differ from jing from at least two perspectives. First, both reverence and respect only refer to the response to specific objects while having no connotation of cultivating a lasting psychological state. Second, even in referring to a response to specific objects, the occurrence of both reverence and respect has much to do with the object’s character rather than with the perceiver’s self-cultivation. In relating the two differences above to the western moral-cultivation theory, the self-cultivation theory of jing demonstrates at least two outstanding characteristics. On one hand, it represents a foreseeing moral-cultivation process; on the other hand, it emphasizes that we should only respond in accordance with the rights and wrongs of what happens as such, instead of responding differently due to different characteristics belonging to objects. Furthermore, the self-cultivation theory of jing may have important contributions to offer to contemporary Western debates within the field of moral-cultivation theory on the relation between moral principles and moral emotions. [Article in Chinese]

      • KCI등재후보

        조선 왕들의 경서류 언해에 대한 인식과 활용

        이기대(Lee, Gi-Dae)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코기토 Vol.- No.74

        경서류 언해는 국가적 간행물이었던 만큼, 언해의 과정에는 조선의 왕들이 중심에 위치해 있었다. 따라서 왕들의 언해에 대한 인식을 중시하면서 경서류 언해를 살펴보면, 경서류 언해에 대한 사회적.문화적 접근이 용이해 진다고 할 수 있다. 경서류 언해는 기본적으로 경서의 교육적 성과를 높이기 위해 간행된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한자음을 단일화하고 해석과 현토에서의 사투리를 교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경서류 언해가 교정되는 과정을 통해, 조선의 왕들은 조선시대 유학이 주자학으로 고착화되어 가는 과정을 인식하고 있었음이 드러난다. 아울러 조선 후기에 들어 경서류 언해가 발췌되는데, 이 과정에서 조선 왕들은 왕실 인물들의 교육에 발췌된 경서류 언해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조선 왕들의 인식을 토대로 경서류 언해에 대한 시각을 다변화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이후 경서류 언해에 대한 연구에서도 다양한 접근의 가능성을 용인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As much as Gyeongseoryu(經書類) Eonhae(諺解:Korean annotation) had been the national publication, the Joseon kings had been placed in the center of the process of Eonhae. Accordingly, examining Gyeongseoryu(經書類) Eonhae(諺解) according to kings’ sight, it can be said to come to be easy for the social and cultural approach to Gyeongseoryu(經書類) Eonhae(諺解), which had been apt to be lost before. Gyeongseoryu(經書類) Eonhae(諺解) is what was published basically in order to increase educational performance in Gyeongseo(經書). It can be said to have been effective for allowing language in the center and region to be consistent in this process. That is because of having unified Chinese characters and having changed a dialect, which was reflected in analysis and Hyeonto(懸吐) in the process of Eonhae(諺解). Even the Joseon kings emphasized this point. Also, through the process of being corrected Gyeongseoryu(經書類) Eonhae(諺解), the Joseon kings is revealed to have been recognizing the process that the Confucianism in Joseon period was fixed into Neo-confucianism. In addition, Gyeongseoryu(經書類) Eonhae(諺解) is extracted with entering the late Joseon period. In this process, the Joseon kings aimed to apply the extracted Gyeongseoryu(經書類) Eonhae(諺解) to education for loyal-family figures. In this way, a sight on Gyeongseoryu(經書類) Eonhae(諺解) could be diversified on the basis of the Joseon kings’ recognition. In this sense, even a research on Gyeongseoryu(經書類) Eonhae(諺解) hereafter can be said to necessarily admit possibility of diverse approaches.

      • KCI등재

        景中情이 지향하는 境의 세계 : 정완영론 A View on Jeong Wan-yeong

        이정환 청람어문교육학회 2004 청람어문교육 Vol.28 No.-

        정완영의 시조문학을 ‘景中情이 지향하는 境의 세계’로 보고 그것을 어떻게 구체적으로 구현하고 있는가 하는 점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그의 시조는 景 속에 情을, 情 속에 景을 담고 있어서 실제적으로 景과 情의 엄밀한 경계를 긋기는 어렵다. 景情의 묘한 교직을 통해서 새로운 이미지 즉 境에 가 닿은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 이다. 그는 시조이론서『시조창작법』에서 3장 6구 12음보라는 정형의 틀을 가진 시조에서도 그 핵심이 되는 종장에 그 境이 있다고 보았지만 다른 장에서도 그러한 예는 찾아 볼 수 있었다. 그가 끊임없이 추구한 세계는 경중정의 지향을 통해 새로운 이미지 창출이 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한국인의 정서에 깊이 뿌리내린 것이기도 하다. 그의 작품에서는 자연과 교감하는 정서의 깊은 호흡을 감지할 수 있고, 근원적인 향수와 생명의 久遠性을 읽을 수 있다. 즉 생명에 대한 경이가 절묘한 비유와 가락에 실려 높은 문학성을 획득한 세계를 구축해 온 것이다. 이것은 자연과 사물에 대해 새로 보고 느끼기와 그 형상화 작업에 부단한 천착을 해왔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이다. The sijo world of Jeong Wan-yeong is concerned with the world of Kyeong(景) highlighted by Mind in Landscape. This study is designed to take a look at how this comes to be materialized. It is hard to draw a line between Kyeong(landscape) and Jeong(mind) for his poems have landscape in the mind and have the mind reflected in nature. New images, or Kyeong(境) can be said to be created with the exquisite combination of landscape (景) and mind(情). According to his theory on sijo, "How to Create Sijo", the regular forms of the Korean poem, sijo had Kyeong(境) at the end of the last chapter, which could be seen in other chapters. He constantly looked for the creation of new images through pursuing Mind in Landscape(景中情), which takes a deep root in the spirit of the Kioreans. His works enable us to perceive harmony and communion with nature, original nostalgia, and the permanence of life. His works were filled with the wonders of life with the help of delicate metaphor and rhythm. This seems to have been made possible because of a new and fresh look at nature and things along with the constant efforts of the poet.

      • KCI등재

        20세기 초 일제협력유림의 경학원 활동

        정욱재(Jung Uk-jae)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6

        이 글은 일제강점기에 경학원 直員으로부터 시작하여 부제학까지 올랐던 이대영(1874~1950)의 활동을 살펴보았다. 그는 19세기 후반에 태어나 20세기 중반까지 살았던, 우리 역사의 격변기를 겪은 인물이었다. 일본제국주의가 대한제국을 강점한 후, 이대영은 일제가 성균관을 폐지하고 설립한 경학원에 처음부터 참여하였다. 경학원은 조선총독부가 성균관을 폐지하고 총독부 정책과 지배이념을 홍보하는 것을 주된 기능으로 하여 설립한 조선총독부 직속기관이었다. 이대영은 1911년 9월 8일부터 1921년 7월 30일까지 경학원의 직제 중에서 가장 말단인 直員으로 근무하였다. 그 후 공로를 조선총독부에게 인정받아 그는 1921년 7월31일에 경학원 사성으로 승진하였으며 1936년 1월 17일까지 직무를 수행하였다. 경학원 사성은 경학원의 실질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중추적인 직책으로 이대영은 『경학원잡지』 편찬주임을 맡았다. 아울러 그는 조선 유림의 동향을 관찰ㆍ보고하고 유교의 보편적 논리를 이용하여 일제의 식민통치를 합리화하는 강연도 하였다. 이대영은 그의 나이 63세인 1936년 1월 18일 경학원 부제학으로 승진하였고 동시에 명륜학원 강사까지 겸임하였다. 경학원 관계자 중에서 경학원 직원부터 시작하여 경학원 부제학까지 올라간 사람은 이대영이 유일하였다. 요컨대 이대영은 경학원 설립 때부터 일제강점기 말엽까지 경학원 말단인 직원에서 시작하여 경학원 이인자인 부제학까지 올랐던, 일제강점기 경학원의 역사와 함께 한 인물이었다. 그는 비록 당대의 일급 일제협력유림처럼 두드러진 활동을 남기지 못 하였지만 경학원의 직원으로서 일제의 식민통치와 침략전쟁에 충실히 협력을 다하였다. Yi Dae-young has witnessed the turmoil of Korean history until his death in mid-20<SUP>th</SUP> century. Born in late 19th century, he participated as ascribe to a pro-Japanese society of the Daedong Hakhoe(大東學會). Since then Yi showed his pro-Japanese tendency that was most evident when he joined the Japan Tourist Party hosted by a newspaper company, The Kyungsung Ilbo(京城日報) in 1909. After the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occupied the Daehan Empire, Yi Dae-young joined the Kyunghakwon(經學院), a scholary organization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established after abolishing the Seonggyungwan. Kyunghakwon was a direct institution for promoting policies and ruling ideology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in Korea. In such organization, Yi worked as a lowest ranking officer of Jikwon(直員) from September 8, 1911 to July 30<SUP>th</SUP> 1921. Then he was promoted to the Saseong(司成) of the organization on July 31<SUP>th</SUP> 1921, after his contributions were recogniz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nd performed his duty until January 17<SUP>th</SUP> 1936. Yi’s job, the Saseong, The Saseong is a critical job that performed actual works in the organization. As the Saseong, Yi took the role of chief editor of the 『Kyunghakwon Japji(經學院雜誌)』, and at the same time, not only monitored status of traditional scholars, the Yulim, and gave several lectures that rationalized Japanese colonization using general logic of the Confucism. On January 18th 1936, Yi Dae-young was not only promoted to Bujehak(副提學) of the Kyunghakwon, but also began to give lectures in the Myungryoon Hakwon(明倫學院), and became the only officer who became the lecturer. Until his retirement in April 26th 1943, he cooperated to invasion and colonial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for 32 years.

      • KCI등재

        景을 통한 情의 표출 방식에 따른 漢詩 해석

        구본현 국문학회 2013 국문학연구 Vol.0 No.28

        Examining tendency of researching into classical Chinese poetry[漢詩] so far, there are many cases of analyzing them by referring to the evaluation in the contemporary generation or future generation and to a traditionally classical poetic theory. By the way, the terms, which were used in criticism or poetic theory of the past, are not definite mostly in a concept or fail to be systematic in logic. Thus, this isn't easy to be utilized positively. This study was prepared under the aim of specifically analyzing significance and aesthetic sense of classical Chinese poetry by using Jeong[情] and Gyeong[景], which had been used as an important conceptual term in the traditional poetic theory of the past. ‘Gyeong’ signifies a paragraph that is composed of objective description on the sensually accepted object. ‘Jeong’ indicates a paragraph of containing a poet's emotion or thought. Gyeong becomes a cause of stimulating Jeong, too. Also, it becomes a result that a poet selected subjectively, too, sometimes according to Jeong that a poet has. Accordingly, Gyeong, which was shown in classical Chinese poetry, has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Jeong. In case of being classical Chinese poetry in the form that Jeong and Gyeong are combined, the ultimate meaning of Gyeong needs to be analyzed on the basis of a character that Jeong has. In the face of being very diverse in objects and aspects available for being experiences sensibly, a poet needs to be always mindful of needing to making it poem by selecting only specific object and aspect. A poet needs to form Gyeong so that Jeong can be signified. Thus, examining which poetic diction was chosen and how Uigyeong[意境] was organized leads to being able to analyze a meaning that Gyeong was implied. In the meantime, a poet also uses a character as symbol and Jeongo[典故, authentic precedents] that an object has. Community of sharing spirit and culture gives a peculiar meaning to one object, thereby tending to secure internal homogeneity. Classical Chinese poetry is a branch of being well revealed this characteristic. Thus, there is a need of examining whether a thing or a case of forming Gyeong has a symbolic meaning or Jeongo-based character. Gyeong, which uses a symbol or was utilized Yongsa[用事], cannot help certainly suggesting Jeong behind it. Symbol and Yongsa are a rhetoric for making a meaning of a work, namely, the theme, more implicitly. Hence, motive and background of creation are very important to be grasped. Examining the poetic theme and the associated data closely leads to obtaining information on a creative situation. A meaning of Jeong, which is hidden in it, can be understood only when needing to analyze characteristic of Gyeong based on this. 지금까지의 한시 연구 경향을 살펴보면, 당대나 후대의 평가 및 전통적인 詩論을 참조하여 한시를 해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과거의 비평이나 시론에 사용된 용어들은 대부분 개념이 명확하지 않거나 논리가 체계적이지 못하여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가 쉽지 않다. 본고의 목적은 과거의 전통적인 시론에서 중요한 용어로 사용되었던 ‘情’과 ‘景’의 형상화 방식을 고찰하는 것이다. 景은 감각으로 수용된 대상에 대한 객관적 서술로 이루어진 구절을 가리키며, 情은 시인의 감정이나 생각을 담은 구절을 가리킨다. 景은 情을 불러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며, 때로는 情에 따라 시인이 주체적으로 선택한 결과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한시 속에 나타난 景은 情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情과 景이 결합된 형태의 한시일 경우, 情이 지니고 있는 성격을 기준으로 삼아 景이 함축하고 있는 의미를 해석해야 한다. 감각으로 경험할 수 있는 대상과 측면이 매우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시인은 특정한 대상과 측면만을 선택하여 詩化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하는 것이다. 시인은 情을 함축할 수 있도록 景을 구성해야 하므로, 어떤 시어를 선택하였고 어떻게 意境을 조직하였는지 살펴본다면 景이 함축한 의미를 해석해낼 수 있다. 한편, 시인은 대상이 지닌 상징성과 典故로서의 성격을 이용하기도 한다. 정신과 문화를 공유하는 공동체는 하나의 대상에 고유한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내부적 동질성을 확보하려는 경향이 있다. 한시는 이러한 특징이 잘 드러나는 갈래이므로, 景을 이루고 있는 사물이나 사건이 상징적 의미나 典故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상징을 이용하거나 用事가 활용된 景은 반드시 그 이면에 情을 함축할 수밖에 없다. 상징과 용사는 작품의 의미, 즉 주제를 보다 함축적으로 만들기 위한 수사법이므로 창작의 동기 및 배경을 파악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시의 제목 및 연관 자료를 면밀하게 검토함으로써 창작 상황에 대한 정보를 얻어내고, 이를 기준으로 삼아 景의 특징을 분석해야만 그 속에 감추어진 情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 KCI등재

        退溪의 敬 공부 고찰

        신창호,이동윤,홍기표 동양고전학회 2010 東洋古典硏究 Vol.39 No.-

        퇴계 철학의 핵심은 경(敬)이다. 퇴계를 비롯한 동아시아 성리학자들에게서 ‘경’ 공부는 일상생활의 모든 차원에서 조심하는 태도를 기르는 작업이다. 이는 삶의 전반적인 일 처리의 측면에서 진정성을 갖고 노력할 것을 강조하며, 마음을 다잡고 긴장의 끈을 놓지 않는 일종의 주의(注意)와도 통한다. 그것은 유교의 궁극적인 공부로 연결된다. 퇴계는 「경재잠도」에서 경(敬)을 성학(聖學)의 처음과 끝이 된다고 언급하며 자신의 학문이 유교의 전통에 의거하고 있음을 밝혔다. 본고는 이러한 퇴계의 사유를 경(敬) 공부의 측면에서 재해석한 것이다. 경(敬)은 성(誠)과 더불어 성리학의 시종(始終), 이른 바 알파와 오메가이다. 성은 우주의 본질로서 인간 수양의 근거가 되고, 인간은 이 근거를 바탕으로 경 경부를 실천하며 자기실현과 완성을 도모한다. 조선의 유학자들은 보편적으로 성과 경을 통해 삶을 영위하고, 공부를 심화해 나갔다. 본고에서는 유교에서 제시하는 경(敬)의 의미를 검토하고, 퇴계가 강조하는 경의 의미맥락을 성찰한 후, 그것이 삶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고찰하였다. 물론 퇴계가 주장하는 경(敬)도 그 내용상 정주학자(程朱學者)들의 주장과 다르지 않다. 중요한 것은 퇴계의 사상이 사유에 머무르지 않고 실천적 특징을 지닌다는 점이다. 무엇보다도 일상에서 자세를 가다듬고 마음을 엄숙하게 가지는 정제엄숙(整齊嚴肅)을 제일 먼저 내세우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그 다음으로 자주적인 의식의 각성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양심의 자각과 통하며 도덕적 자아의 구현으로 이어진다. 요컨대 퇴계는 경(敬)의 역할을 심학(心學), 즉 마음공부의 차원에서 이해하였다. 그리고 의복과 용모를 가지런히 하여 단정한 몸가짐을 갖고 행동과 태도를 엄숙히 하며 예절을 지키는 정제엄숙의 자세와 의식의 각성을 통해 경을 최고의 실천 덕목으로 자리매김한다. 이런 점에서 퇴계는 경(敬)의 실천학을 구현하였다. The core of philosophy of Toe Gye(退溪) is Gyeong(敬). The learning of Gyeong from neo-confucians including Toe Gye is an careful attitude in all levels of daily life. It emphasis endeavoring faithfully in the side of dealing with most of living things. This is a kind of caution with regulating oneself very carefully. It is linked to the final goal of confucianism. The purpose of confucianism is simply not theoretical composition such as treatise of human nature and universal essentialism but practice of governing and education, cultivating realized upon these. Toe Gye announced that his study is rooted in tradition of confucianism saying that Gyeong is the first and last one of sage learning(聖學, Seong Hak) in Kyung Jae Jam Do(敬齋箴圖). This paper re-interprets the thought of Toe Gye in the side of learning. Gyeong with Seong(誠) is the first and last one, alpha and omega, in neo-confucian. Seong is essential of universe which roots on cultivating human beings. Human beings endeavor self-realization and perfection practicing about learning Gyeong upon this theory. Neo-Confucians of Joseon dynasty generally deepen learning and manage life through Seong and Gyeong. This study reviews the meaning of Gyeong showed in confucianism, reflects the meaning of context of Gyeong, and considers what meaning it has in life. Above all, Gyeong of Toe Gye keeps practical character. First, it is to be solemn mind and calm oneself in daily life(整齊嚴肅, Jeong Jae Um Suk). Second, it emphasizes awakening of self-consciousness. This leads to awakening of conscience. Third, it is realization of ethical self. In the final analysis, Toe Gye understood the role of Gyeong in the level of learning for mind(心學, Simhak). Gyeong is placed in the best practical virtue through awakening of consciousness and attitude of solemn mind, calm oneself, and keeping manner in daily life which is neatly attired and prudent to one's conduct. As this point, Toe Gye realized practical learning of Gye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