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0대이상 중장고령층 여성의 배우자 존재유무 및 취업여부에 따른 가계경제적 특성의 차이 및 영향요인 분석

        허경옥,문정숙,김영희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7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40대이상 중장고령층 가계의 소득, 지출, 저축, 자산, 부채, 연금, 보험 등 가계경제적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중장고령층 여성을 배우자 존재유무와 취업여부에 따라 비취업 무배우자 여성(집단1), 취업 무배우자 여성(집단2), 비취업 유배우자 여성(집단3), 취업 유배우자 여성(집단4) 집단으로 구분하여 이들 집단의 가계경제적 특성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게다가 이들 중장고령층 가계의 가계경제적 특성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 무배우자 여성(집단2)의 근로소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비취업 무배우자 여성(집단1)의 부동산소득이 가장 많았다. 가계총소득과 가계총지출은 취업 유배우자 여성(집단4)이 가장 많은 반면, 총 저축은 비취업 무배우자 여성(집단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기혼 여성의 경우 배우자의 소득으로 인해 총 소득이 가장 많지만 가족구성원의 수가 많음으로 지출이 크고 따라서 취업 무배우자 여성(집단2)보다 총저축은 낮게 나타났을 것으로 사료된다. 보유한 부동산자산의 액수는 취업 무배우자 여성(집단2)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취업 유배우자 여성(집단4)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총부채액과 연평균 민간보험 납입액수는 취업 무배우자 여성(집단2)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귀분석결과 중장고령층 여성의 연령이 낮을수록, 대졸, 서울에 거주할 경우, 자녀수가 적고, 배우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취업한 경우 근로소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총소득의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대졸이상인 경우, 서울에 거주할 경우, 자녀수가 많고 배우자가 존재할 경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소득, 부동산소득, 연금소득은 대졸인 경우가 많았고, 서울에 거주하는 경우 부동산소득이 많았다. 결국 여성의 취업여부가 근로소득, 부동산 소득에 중요한 요인이나 가계총소득, 금융소득, 연금소득에는 유의한 영향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연령이 낮을수록, 대졸, 서울 거주, 자녀가 많은 경우, 취업한 경우, 가계총지출과 저축액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배우자가 존재하는 경우 가계총지출은 증가하나 저축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자산, 금융자산, 부채의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대졸, 서울거주의 경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배우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부동산 자산가 부채는 증가하나 금융자산은 배우자가 존재하는 경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중장고령층 여성이 대졸이상인 경우, 취업한 경우 공적 연금 납입액수가 많았다. 민간보험납입액수는 연령이 낮은 경우, 취업한 경우 많았다. 결국 배우자의 존재여부와 달리 여성의 취업은 보험이나 공적연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40’s middle-aged women economic statue of household such as income, expenditure, deposit, assets, liabilities, arrests, insurances. It also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by differences of marital status and employment divided by group 1 to 4 (unemployed living alone women, employed living alone women, unemployed married women, employed married women). Further, it studied on the effects of factors on middle-aged women economic statue of household. The results are below. First, employed living alone women (group 2) had high value on earned income and unemployed living alone women (group 1) had high income from immovable. Employed married women (group 4) had high value on households’ total and incomes and expenditures, on the other hand, and unemployed living alone women (group 1) had high total deposits. Married women had high value on total income because of their partners but because they have more members on family, they have more expenditures, therefore, married women will have low value on total deposits than employed living alone women (group 2). Employed living alone women (group 2) had high value on income from immovable while employed married women (group 4) had low value. Employed living alone women (group 2) had high expenditure on liabilities and insurance fee. Second, by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young, college graduated, capital area habitant, small in kids, spouse-less, and employed women have high earned income. Young, college graduated, capital area habitant, large in kids, married, and employed women had high households’ total income. College graduated had high on financial income, income from immovable, annuity income, and capital area habitant had high on income from immovable. After all, Women’s employment differences was important factor on earned income and income from immovable, but i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on households’ total income, financial income, nor annuity income. Third, young, college graduated, capital area habitant, large in kids, employed women had high value on households’ total income and deposits. But who have a partner had high on households’ total income but low on deposits. Young, college graduated, capital area habitant women had high value on income from immovable, financial income, and debts. However, who do not have a partner had increases on income from immovable, and debts but who have a partner showed increases on financial income. Last, old aged women who are college graduated and employed had high pay interest on a public annuity. Young, employed women had high pay interest on private health insurance. After all, whether a woman is married or not, a woman’s employment had positive effects on insurance or annuity payment.

      • KCI등재

        이기성의 끝 그리고 환대 -레비나스의 타자 개념과 경제적 존재성 이해

        이상원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8 철학연구 Vol.0 No.57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egoism and otherness, interpreting Levinas’ philosophical thoughts on economic existence. I argue that Levinas’ conception of the other is based on the economic existence of the self and its bodily egoism, which necessarily leads to hospitality toward the other. Many studies in Levinas’ philosophy have focused on his metaphysical views of the absolute other containing various theological or ethical themes, and their meaning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But his mainwork, Totality and Infinity, includes a comprehensive reflection on the economic existence of the human being who seeks an independent life of enjoyment with a separate body and its sensible needs. In this light, this article tries to rigorously analyze the second section of the Totality and Infinity(“Interiority and Economy”), showing that Levinas’ ethics of the other is grounded in a realistic view of the self’s bodily movements and egoism, rather than a normative altruism. Although some scholars attempt to explain metaphysical dimensions of Levinas’ economy, their interpretations lack a concrete explication of its relationship to the bodily sensibility, egoism and hospitality. This study suggests that for Levinas, egoism is a practical possibility of the self revealing the necessity of hospitality toward the other through its end of economic existence. 본 연구는 레비나스의 경제적 존재론을 살펴봄으로써 인간 존재의 이기성과 타자성의 연관을 고찰한다. 본고는 레비나스의 타자 개념이 육체적 이기성에서 비롯된 자아의 경제적 존재성과 그것이 내포한 환대의 필연성에 기반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레비나스의 철학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많은 부분 그의 절대적 타자 개념이 담은 신학적 함의와 타자 중심 윤리의 독특성, 철학사적 함의 등에 초점을 둔다. 그러나 그의 주저 『전체성과 무한』은 그 전반부에서부터 개별적 육체와 감각적 욕구를 지니고 삶의 독자적 향유를 추구하는 자아의 경제적 존재 방식에 대한 광범위한 논의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전체성과 무한』 중 제 2 부(“내재성과 경제”)를 자세히 분석함으로써 레비나스의 타자 윤리가 단지 이타주의적 규범성의 지향이 아니라 철저하게 현실적인 개별 존재의 육체적 분리성과 이기성에 대한 통찰에서 출발함을 보여주고자 한다. 그의 경제적 존재론에 대한 몇몇 주요 연구들은 레비나스의 타자 개념이 지닌 규범적 함의와 형이상학적 차원을 잘 논의하고 있으나, 자아의 이기성과 육체적 감각성에 대한 세밀한 분석은 결여한다. 따라서 본고는 레비나스의 경제적 존재론이 담은 이기성의 기반으로서 자아의 개별적 취향과 육체적 감각성의 함의에 초점을 두고 논의를 전개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자아의 이기성이 단지 부정적인 현상이 아니라, 그 내재적 가능성과 한계성 속에 이미 타자에 대한 환대의 필연성을 담고 있음을 제시할 것이다.

      • KCI등재

        인간의 경제적, 도덕적 그리고 종교적 차원 - 애덤 스미스의 경제학과 윤리학을 넘어 왕양명과 키에르케고어의 종교적 존재로 -

        양선진 ( Yang¸ Sun-jin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0 퇴계학논총 Vol.36 No.-

        인간은 영혼과 함께 육체를 지닌 존재이기 때문에 인간의 육체적 욕망인 이기심을 극대화하려는 욕망과 욕구를 실현하려고 한다. 애덤 스미스((Smith, A., 1723 ~ 1790))는 인간이 이익을 추구하는 것은 자연스런 인간의 욕망이며 이러한 욕망이 결과적으로 타인에게도 이익을 제공한다면 전혀 문제될 것이 없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상호이익의 관점이 타인의 자비심에 의존하는 것보다 더욱 효율적인 사회라고 간주하였다. 왕양명(王陽明: 1472-1528)은 인간이 육체적 욕망과 영혼의 복합체인 형기(形氣)를 지녔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사욕(私慾)을 극대화하려는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는 점을 인정한다. 이런 차원에서 현실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주류 경제학은 인간을 기본적으로 이기적인 존재로 본다. 인간이 인간다움을 지닐 수 있는 근거는 바로 현실에 매몰되지 않고 삶의 가치와 의미를 추구하는 존재라는 사실이다. 이런 점에서 인간은 경제적 모습을 지니면서도 동시에 도덕적 삶을 추구하는 존재라는 사실이다. 애덤 스미스는 인간이 자신의 이웃에게 또는 자기 자신에게 자산의 성품과 행위가 드러날 때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도덕법칙, 즉 도덕감(moral sentiments)이 존재함을 인정한다. 왕양명의 심즉리는 인간의 마음이 자신의 비도덕적인 이기적 격정과 욕망을 제거하고 인간 내부의 양지(良知)의 목소리에 따라서 행동한다면 인간의 마음이 곧 도덕적 원리와 이치에 부합한다는 관점(心卽理)이다. 왕양명의 도덕적 원리는 사적인 욕망을 제거하고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유익이 되는 행동을 촉구하는 인간의 도덕적 감정(良知)을 의미한다. 키에로케고어(Søren Kierkegaard: 1813-1855)는 심미적, 윤리적 그리고 종교적 단계로 나눈다. 그는 인간의 정신 또는 인간의 영혼의 기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 영혼의 근원자인 절대자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인간 영혼의 기원자에 접근하는 방법은 이성이나 감성이 아닌 인간이 지닌 신앙(영성)을 통해서 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는 인간의 본래적 본성을 회복하는 길은 바로 인간의 종교적 단계인 신앙 속에서 신과의 만남을 통해서 가능하다고 보았다. 왕양명은 인간이 지닌 생리적 욕구 또는 이기적 욕망이 인간 안에 자리 잡은 하늘의 이치와 원리를 제압하지 못하도록 통제하고 다스릴 것을 강조한다. 인간의 본성이 참다운 본성인 자연의 지배를 받는다면 인간이 인간다운 선한 도덕성을 발현할 수 있지만 인간과 자연이 하나라는 본성을 인지하지 못한다면 인간이 자연의 본성에 거역하는 행동을 하게 되기 때문에 비도덕적 행동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두 철학자를 이러한 3 단계로 나눠서 인간의 복잡하고 다양한 층위를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오늘날의 인간의 모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경제적 차원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는 차원에서 가장 낮은 단계인 감각적(심리적)단계 및 사욕의 단계를 경제적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경제적 차원 이외에 인간의 도덕적 차원이 우리 사회에 어떠한 문화적 위상을 가지게 되었는지를 고찰할 것이며 마지막으로 인간의 도덕적 문화를 바르게 정착하기 위해서 종교적 차원이 왜 중요한지도 살펴볼 것이다. Adam Smith (1723-1790) found it efficient to pursue one's own interests within the scope of satisfying others' interests, and to rely more on mutual interests than to expect of others' benevolence. As such, human beings are physical beings with their souls, so they try to realize the desire and desire to maximize their selfishness, the physical desire of human beings. If understood from the philosophical point of view of Wang Yang-Ming (1472-1528), the human term means a complex of physical desires and souls, and the human term naturally flows in the direction of maximizing one's self-interest. In this regard, mainstream economics, which approaches at a realistic level, sees humans as basically selfish beings. The reason why human beings can be human is that they are not buried in reality but rather seek the values and meanings that life pursues. In this regard, human beings are both economically-looking and at the same time seeking moral life. Adam Smith explored the moral laws, or moral sensibilities, that occur in the mind when a human being enters into the nature and act of an asset to his neighbor or himself. Wang Yang-Ming's point of view is that if the human mind removes its immoral selfish passion and desire and acts according to the voice of the sheep within the human body, the human mind corresponds to the moral principle and reason. Wang Yang-Ming's moral principle refers to the moral feelings of humans that urge individuals to take actions that are beneficial to others' positions and remove desires for their own sake. Kierkegaard(1813-1855) argues that in order to understand the origin of the human mind or of the human soul, one must move on to the absolute, the source of the human soul. The originator of the human soul was not accessible by reason or sensibility, but only through the faith of man. Kierkegaard is divided into aesthetic, ethical and religious levels. And he saw that the path to restoring the fundamental nature of man becomes human through meeting with God in faith, which is the religious stage of man. Wang Yang-Ming stresses that men's physiological or selfish desires should be controlled and governed to prevent them from subdueing the reason and principle of heaven, where they are located in humans. If human nature is governed by nature, which is a true nature, human beings can express good morality like human beings, but if human beings do not recognize the nature of being one of nature, they can act against nature and act immorally.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complex and diverse strata of human beings by dividing the two philosophers into these three stages. In particular, we want to look at the lowest level of sensory (psychological) and self-interest at an economic level in order to understand the human nature of today. And besides the economic dimension, we will look at what cultural status human moral dimension has become in our society, and finally, why religious dimension is important in order to properly establish human moral culture.

      • KCI등재

        부부 짝 바꾸기 이야기의 존재 양상과 죽음명상 텍스트로서의 가치

        이강옥(Lee, Kang-ok)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68 No.-

        본고는 환생담의 한 하위 유형인 부부 짝 바꾸기 이야기를 대상으로 하여 그 존재 양상과 죽음명상 텍스트로서의 가치를 따져보았다. 먼저 전생 인연이 서사적으로 활용되는 양상들을 살폈다. 다음으로 부부 짝 바꾸기 이야기가 현실의 경제적 절망과 극복에 대한 소망에 바탕을 두고 형성된 점을 밝혔다. 전생이 사람인 경우는 사람끼리, 전생이 짐승인 경우는 동종의 짐승끼리 짝이 되어야 부부생활이 원만해지고 경제적 형편도 좋아진다는 유유상종의 원칙이 관철되었다. 이 단계에서 부부 짝 맞바꾸기가 나타났다. 다음 단계는 유유상종 중 전생이 사람인 존재가 짝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것은 ‘사람다움’ ‘사람 우위’의 세계관을 피력하면서 경제적 문제도 해결한 것이다. 이 두 항목의 결합덕에 부부 짝 바꾸기 이야기는 서사적 정점에 이르렀다. 여기에는 사람의 ‘사람답지 못함’에 대한 윤리적 반성과 비판도 담겼다. 부부 짝 바꾸기 이야기는 마침내 짝의 비교 구도를 만들어 구사함으로써 일상적 실감과 자기 성찰에 닿았다. 새 짝으로 구성된 부부가 부자가 되고 그 재산을 다른 짝을 배려해주고 구원해주는 데로 나아간 점에서 부부 짝 바꾸기 이야기의 존재전환을 읽어낼 수 있었다. 부부 짝 바꾸기 이야기는 전통 사회가 부부 관계에 허용하는 바와 사람들이 일상을 꾸려가면서 느끼는 실감 사이의 괴리를 중재하는 역할을 했을 수 있었다. 짝을 바꿔야 하는 근거를 서사에서조차 전생으로부터 가져온 것은 부부 짝 바꾸기를 미화하고 그에 대한 질책이나 응징을 완전하게 모면하는 방법이었다. 사람과 사람의 짝을 추구하는 부부 짝 바꾸기 이야기는 현실의 사람에 대한 근본적 실망감과 의혹을 생생하게 담아 실감을 더해주기에 이야기판에서 전승력을 더해갔다. 부부 짝 바꾸기 이야기는 부부 생활에 대한 회고와 반성을 촉구하고 그 범례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죽음 명상 텍스트로서 요긴하게 활용될 수 있다. 남 탓을 일삼는 부부 짝 바꾸기 이야기를 읽으면서 명상자 스스로를 대입시켜 대상화할 수 있다. 이로써 자신의 자화상이 선명하게 그려질 것이다. 또 부부 짝 바꾸기 이야기는 죽음 뒤의 나 자신을 실감나게 상상하는 기회를 준다. 부부 짝 바꾸기 이야기에서는 이런 일련의 과정과 결과에서 결락부분이 넓다. 명상자의 입장에서 그런 결락 부분을 메우는 일은 자신의 현생과 내생에 대한 관계를 정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한다. Stories of couple swapping are situated in the typology of folktale as a group of stories that have been formed by integrating two types of stories; stories of a couple getting married due to the relations of their previous life(645-14) and stories of conjecturing people’s previous lives through a tiger’s eyebrow(645-15). This paper studies stories of couple swapping as a sub-genre of reincarnation tales and illuminates their values as text for death meditation. Firstly the ways narrative utilizes the relations of previous life are examined. Secondly, the fact is foregrounded that the formation of couple swapping stories resulted from people’s economic despair and their desire of overcoming their hardships. Those stories maintain the principle of ‘birds of a feather flock together’ in that marriages between people who were both humans in their previous lives and that between people who were both animals in their previous lives have happier and affluent lives. This is where the couple swapping intervenes. The next step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getting married to a person who was also a human in his prior life. This stage stresses “humanity” and “decency of human being” and solves economic problems.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aspects leads couple swapping stories to the narrative height. This also points to the regrets and ethical criticism toward inhumane deeds. Couple swapping stories leads to self-examination through the practice of comparing each other’s spouses. A new couple through swapping makes economic success and save the other couple by distributing their wealth. Couple swapping stories hence exhibit transformation of people’s life and world view. Death meditation as a preparation of actual death consists of recollection of one’s life and imagination and conjecture of one’s after life. Couple swapping stories require introspection of the couple’s life and provide useful examples for death meditation. By reading a couple’s story blaming each other a meditator can substitute the couple’s story with his and he can clearly paint his own self-portrait. Stories of couple swapping also give a chance to vividly imagine oneself after life.

      • KCI등재

        콜론타이의 여성 인권과 자유의 정치사상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09 민주주의와 인권 Vol.9 No.3

        <P>러시아의 여성운동가 알렉산드라 콜론타이는 ‘여성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이라는 이슈를 사회문제로 부각시킴으로써 여성문제를 사회적 공간으로 이끌어냈다. 콜론타이의 여성해방은 여성의 불합리한 지위와 권리에 대한 문제제기였다. 더 이상 여성문제는 가장의 책임 하에 있는 사적공간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국가와 사회의 공적 영역에서 논의, 해결해야 하는 문제였다. 나아가 여성 문제를 해결하고 여성이 사회적 주체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남성과 동등한 교육과 노동에 대한 자유가 전제되어야 한다. 이는 여성이 사회적 존재로 인정받기 위한 조건인 ‘경제적 독립’과, 이를 토대로 하는 자기결정권 확보에 열쇠가 되기 때문이다. 남성과 마찬가지로 여성도 공적사회에서 남성과 더불어 사회노동에 종사할 수 있을 때 자신의 삶에 대해 독립적이고 자유로운 결정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콜론타이가 말하는 여성 인권은 생존권적 인권이나 정치적 참정권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공적 사회에서 남성과 더불어 책임과 권리를 함께 갖는 사회적 경제적 존재로서의 인권을 함축하는 포괄적 의미다. 따라서 콜론타이의 여성해방은 곧 인간해방이다. 인권의 보편성은 사회적 약자에게 보장될 때 비로소 인권의 의미를 획득하게 된다. 콜론타이는 여성을 사회적 약자의 위치에서 사회적 주체로 승화시키는 과정을 통해 인권의 보편성을 실현시키고자 했다. 콜론타이의 여성해방은 남성에 대한 저항 권력이나 투쟁이 아니라 남성과의 연대를 통해 사회적 부담을 나눠지는 새로운 공동체를 정치의 이상적 모델로 제시하였다. 여성인권은 여성을 사회적 주체로 인정하는 새로운 개념의 공동체 속에서 실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콜론타이의 해방론으로 표현되고 있는 여성 인권과 자유에 관한 고찰을 통해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사회·경제적 차원의 여성인권 문제에 대한 원인과 해법에 대한 숙려의 기회를 갖고자 한다.</P>

      • KCI등재

        박태원의 지식인 소설에 나타난 식민지 근대

        공종구(Chong Goo Kong) 한국현대소설학회 2002 현대소설연구 Vol.- No.16

        This thesis focuses on the Park Tae Won`s intellectual narratives which reflect ontological consideration on the essence of modern human relation. The purpose this thesis is to illuminate Park Tae Won`s critical mind about colonial modernity.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can arrange as follows. Park Tae Won`s intellectual narratives had critical mind on the phenomena which distort and damage of human relation by virtue of the logic of capital in the course of colonial modern. Specially, [Distance] which examined the ontological essence of modern human relation showed that Park Tae Won`s critical mind about colonial modernity was not simple. While, Park Tae Won`s intellectual narratives had not intellectuals. Consequently, Park Tae Won`s critical mind about colonial modernity was not clear.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