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폐기물처리방법별 환경효율성(Eco-efficiency) 평가 연구

        이소라 ( Sora Yi Et Al.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8 기본연구보고서 Vol.2018 No.-

        In conjunction with the "Basic Law on Resource Circulation" in 2018, Korea established the Basic Plan for National Resource Recirculation (2018-2027), which contains the nation’s mid-to-long term policy directions and detailed strategies to transform into a resource circulating society. The new directive places greater importance in changing Korea’s recycling system from simple recycling to high value-adding material recycling, with the national goal to realize a final disposal rate of 3% by 2027 and zero waste-to-landfill. In this context, this study conducts the much-needed review on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of Korea’s waste treatment facilities by analyzing their economic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s. Based on this review, the overall environmental efficiency of each waste treatment method is assessed to propose policies for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the facilities.The wastes were analyzed in terms of combustible waste (disposed in volume-rate waste bags) and organic waste (food waste). Under Korea’s regulations, among municipal/household wastes, food waste is not sent directly to landfills. Instead, a separate volume-rate system is in place for food waste so that most of the food waste is recycled, with only 1.0% and 2.2% sent to landfills or incinerated, respectively. Thus, the different treatment methods for combustible waste and food waste were examined to find the most efficient treatment methods for the respective wastes. Economic performance was evaluated using the treatment facility’s revenue per treating one ton of waste minus the operational costs as the indicator,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was determined by conducting a life-cycle assessment (LCA) for calculating the weighted environmental impact per one ton of waste. In assessing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the avoidance effects from utilizing recovered incineration heat and selling the biogas produced from organic waste were excluded to prevent an overlap with the economic performance.The facilities subject to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were chosen based on their location, size, treatment method, etc. for each waste disposal method. In particular, to ensure a good mix of the facilities that received high scores and those that did not in the “2016 Evaluation of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hereafter 2016 Evaluation),” the facilitie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for waste disposed in volume-rate waste bags: incineration facilities, combustible waste-to-fuel facilities, landfills; for food waste: organic waste biogasification facilities, food waste recycling facilities). 79 facilities were initially chosen, from which 42 facilities were finally selected and analyzed for their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s based on the data submitted by the facilities and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results.The chosen facilitie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ir sizes, into small facilities that treat less than 100 tons per day, medium facilities that treat more than 100 tons but less than 300 tons per day, and large facilities that treat more than 300 tons per day. Different facility types were incorporated into the analysis, such as facilities for reducing food waste, converting food waste into animal feed and compost were included under food waste recycling facilities; and landfills for incombustible waste and general waste under landfills.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following data from each treatment facility: the amounts of waste sent to the facility, energy use, incineration heat recovery, captured landfill gas, biogas production, and compost and feed production, as well as operational costs and operational revenue, etc.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analysis by waste treatment method showed that the weighted environmental impact of landfills was the smallest at 4.42E-02 points, followed by organic waste biogasification facilities (8.87E-02 points), food waste recycling facilities (2.25E-01 points), incineration facilities (3.50E-01 points), and combustible waste-to-fuel facilities (1.39 points). On the other hand, the economic performance analysis based on each facility’s revenue minus operational costs revealed that the economic performance of landfills performed best at 731 won/ton, followed by organic waste biogasification facilities (-33,419 won/ton), food waste recycling facilities (-40,172 won/ton), incineration facilities (-58,646 won/ton), and combustible waste-to-fuel facilities (-60,149 won/ton).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based on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 analyses showed that landfills were most environmentally efficient at 10,837 thousand won/point, followed by the organic waste biogasification facilities (4,760 thousand won/point), food waste recycling facilities (1,540 thousand won/point), incineration facilities (760 thousand won/point), and combustible waste-to-fuel facilities (-184 thousand won/point).More specifically, in terms of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by facility size, medium-sized facilitie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environment efficiency at 2,108 thousand won/point, followed by small facilities (834 thousand won/point), and large facilities (280 thousand won/point). However, in the case of combustible waste-to-fuel facilities,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of large facilities was the best at 5,306 thousand won/point, followed by small facilities (-212 thousand won/point) and medium facilities (-236 thousand won/point). Also, in the case of organic waste biogasification facilities, large facilities were most environmentally efficient at 10,617 thousand won/point, followed by medium facilities (6,236 thousand won/point) and small facilities (2,859 thousand won/point).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of food waste recycling facilities turned out to be best for medium-sized facilities at 1,959 thousand won/point, followed by small facilities (1,308 thousand won/point). In the case of food waste recycling facilities, large facilities were not included in the evaluation.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of landfills for incombustible waste was higher at 18,957 thousand won/point than that of landfills for general waste, which came out to be 9,458 thousand won/point.Based on the results of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and a waste disposal scenario based on future projection,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mix for 2027 was estimated and compared with the current environmental efficiency mix. In the case of waste disposed in volume-rate waste bags, the landfill disposal rate was 31.1%, incineration rate was 53.2%, and combustible waste-to-fuel conversion was 15.6% in 2016, but in 2027, which is the target year of the first Basic Plan for Resource Circulation, it was projected that the rates would change to 2.5%, 33.5%, and 23.5%, respectively. In the case of food waste, 10% was converted to biogas and 90% was recycled into compost or feed in 2016, but in 2027, the rates were projected to be 69.7% and 30.3% in 2027, respectively. Overall,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mix for all treatment facilities was calculated to be 5,173 thousand won/point in 2016 and 4,118 thousand won/point in 2027. When it was assumed that all landfills were landfills for general waste in 2016 and will become landfills for incombustible waste in 2027,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mix came out to be 4,744 thousand won/point in 2016 and 4,321 thousand won/point in 2027.The results of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2016 Evaluation. The comparison revealed that incineration facilities that scored high environmental efficiencies had also received good scores in the 2016 Evaluation, although with some differences that seem to be due to the inclusion of the incineration heat recovery rate in the 2016 Evaluation. Incineration heat recovery rate was excluded from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analysis of the present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and the life-cycle assessment of the fuel used at incineration facilities was also reflected only in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In the case of combustible waste-to-fuel facilities also, the results of 2016 Evaluation and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mostly agreed with each other, with slight differences due to the insignificant effect of SRF production rate on economic performance. In the case of organic waste to biogas facilities, the 2016 Evaluation and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did not match,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exclusion of indicators such as odor management, the rate of operation, and facility management, all of which are included in the 2016 Evaluation but not in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For landfills, the 2016 Evaluation and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showed similar tendencies, and any differences seemed to have been caused by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technical evaluation index of the 2016 Evaluation, which includes compaction efficiency and leachate reduction rate, etc., and the index used for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used to develop strategies on how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can be utilized through policy implementation.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for each waste treatment method were analyzed and listed in Table 4 below, which can be used as an index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s of the treatment facilities.It may not be appropriate to perform simple comparisons between the environmental efficiencies of individual facilities since their revenues and operational costs, which are used as economic indicators, can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location, condition, and operation standards of individual facilities. Therefore, the environmental efficiencies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need to be compared among the same facilities or analyzed specifically for individual facilities when identifying and suggesting areas for improvement. As such, three comparison coefficients were proposed for understanding how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of each waste treatment facility can be improved in comparison to others, namely, the improvement comparison coefficient, benchmark comparison coefficient, and capacity design comparison coefficient.The improvement comparison coefficient can be used to compare the before and after of a specific facility when efforts are made to reduce its economic costs or environmental impacts. The benchmark comparison coefficient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identifying whether a particular facility has low environmental efficiency among comparable facilities or needs improvement when compared to the best performing facility of its type, or to understand how effective the efforts toward improvement will be and how much the facility can be improved in terms of its conditions. The capacity design comparison coefficient, on the other hand, provides a guideline for environmental efficienc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acility, thus preventing excessive operational costs projections or potentially adverse environmental impacts when constructing new waste treatment facilities.The improvement comparison coefficient and benchmark comparison coefficient were used to study how an improvement in waste-to-resource capacities at facilities can improve their environmental efficiencies. Specifically, case studies (types A, B, C, D) were performed by assuming an improvement in the waste-to-resources capacities of existing incineration and biogasification facilities with low environmental efficiencies and comparing them against other facilities with different levels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s. Type A compared between facilities with similar operational costs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when the energy recovery (economic value) is improved in the target facility. Type B looked into how the improvement in the target facility’s energy recovery (economic value) would compare to a facility with higher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Type C, to a facility with higher operational costs and similar environmental performance. Lastly, Type D compared the target facility against a facility with higher operating costs and higher environmental performance.In the case of incineration facilities, Hanam incineration facility was chosen for Type A and B case studies to investigate how an improvement in the facility’s thermal energy recovery (economic value) level would make it comparable to Asan and Gumi incineration facility, respectively. For Type C and D, Sejong incineration facility was selected and compared against Asan and Gumi incineration facilities, respectively. In the case of biogasification facilities, only Types B and D were studied due to the limited availability in facility types. For Type B, Gimhae biogasification facility, assuming an improvement in its waste-to-resource production, was compared to Namyangju biogasification facility, and for Type D, Asan biogasification facility was compared to Namyangju biogasification facility.When a 50% improvement was projected for the incineration heat recovery rate of Hanam incineration facility the improvement comparison coefficient came out to be 1.04, and the benchmark comparison coefficient to be 0.56 for Type A and 0.147 for Type B. A 50% improvement in the incinerator heat recovery rate of Sejong incineration facility rendered the improvement comparison coefficient to become 1.03, and the benchmark comparison to become 0.98 for Type C and 0.26 for Type D. Meanwhile, a 35% enhancement in the biogas production of Namyangju biogasification facility resulted in an improvement comparison coefficient of 1.02, and the benchmark comparison coefficients of 0.22 for Type B and 0.40 for Type D.The capacity design comparis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by computing the mean environmental efficiency by facility size, then comparing it with other facilities of the size that showed the highest environmental efficiency. The capacity design comparison coefficient of small incineration facilities was 0.40, which is better than that of large incineration facilities; and in the case of biogasification facilities, medium-sized facilities had a coefficient of 0.59, which is superior to small biogasification facilities.We propose four ways to translate the present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into policy implementation: 1) using the evaluation to assess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and potential improvements in old facilities, 2) utilizing the evaluation methods in strategi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and preliminary performance studies, 3) using the evaluation to calculate the social costs of resident subsidy projects and waste disposal charges, and 4) using the evaluation as a guideline for implementing optimization strategies and government-subsidized projects.First,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can be applied to the annual evaluation on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for assessing the actual conditions of waste treatment operations and improving their energy utilization and recovery and operational efficiency. The current annual evaluation includes the level of efforts made toward improvements such as the efforts to enhance the facility’s economic performance and the efforts of local governments to reduce the amount of waste. However, the annual evaluation has yet to incorporate the level of initiatives for improving environmental efficiency. Thus, it will be helpful to apply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comparison coefficient presented in Chapter 6.2 to assess the level of efforts to improve the facilities’ operations. Also, based on the survey of treatment facilities nearing the end of their lifecycles,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comparison coefficient can be used to identify whether the facilities should be improved or closed and to decide whether new facilities should be constructed.Korea’s Act on the Promotion of Waste Treatment Facility Installation and Support to the Surrounding Areas requires strategi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to be conducted and reviewed in terms of policy plans and basic development plans before making the decisions on the installation cost and site selection when installing and operating waste treatment facilities. Currently, the items reviewed under the strategi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o not include an environmental performance analysis by facility size, treatment method, or the properties of the waste that is being treated, nor an economic performance analysis on the profitability of the facilities. Therefore, applying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conducted in this study will allow a better assessment of the treatment facilities’ suitability in terms of type, size, and location. Also, since the environmental costs included in the preliminary performance studies on environmental facilities are often estimated based on related literature or expert surveys, which can be open to controversy, the methods presented in this study for measuring environmental efficiency using actual data from treatment facilities can be a helpful index for calculating their economic and environmental effects.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can also be used to estimate the social costs of resident subsidy projects and waste disposal charges. According to our analysis,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s of landfills were better than other types of facilities, possibly because the social costs related to operating landfills are much lower. A pilot project for evaluating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of landfills will help to identify the social costs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other negative environmental impacts, especially in terms of the land acquisition costs for landfills, which are difficult to measure, by considering both the direct costs and indirect effects (drop in land prices, etc.) in the measurement of economic performance. The comparison of the social costs of landfills to that of incineration facilities showed that the economic value of general landfills was estimated at -368,703 won/ton. Since the average cost of landfill disposal is 14,956 won/t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landfill disposal charges be increased by 340,000 won/ton.Government-subsidized waste treatment facility projects aim to promote systematic government support and investment in waste treatment facilities by providing clear subsidy criteria and priorities for regional waste treatment facility installation. At present, the unit cost guidelines for installing government-subsidized treatment facilities is set according to facility type and size, where the lower the facility capacity, the higher the set unit cost subsidized by the government based on the unit cost ratio.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of small facilities is lower than that of larger facilities, and since small facilities receive more government subsidies due to the unit cost ratio, our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guidelines to provide more efficient government support based on optimal facility sizes. A revision of government subsidy guidelines will also provide a useful basis for promoting investment in regional and direct-disposal waste treatment facilities in line with the national policy direction. Furthermore, it may be possible to consider incorporating 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in reviewing the applications for facility operation budgets and government subsidies based on the Guidelines on the Budget Support and Integrated Administrative Process for Waste Treatment Facilities (Jan 2018), Waste Treatment Facility Optimization Strategy (2011), and the Environmental Technology and Environmental Business Support Act.We anticipate the effects of utilizing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as follows. First, by providing a basis for national policies for each waste treatment method through an integrated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s of waste recirculation,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will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strategies formulated under goals of the first Basic Plan for Resource Circulation (2018-2027). Secondly, it will become possible to expand the paradigm for assessing the environmental impact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from merely looking at their potentials for environmental pollution to a more robust evaluation of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s. Third, by establishing a model for evaluating waste treatment facilities and introducing a minimum standard for environmental-friendliness,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will help improve the public image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Fourth,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will make it possible to develop strategies for managing environmental impact and pollution levels efficiently, thereby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inducing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ies that consider economic efficiency through eco-innovation.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in this study presents a meaningful methodology for improving and optimizing treatment facilities by providing a more accurate comparison of different treatment facilities and methods. In particular, the methods used in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identify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environmental efficiency among treatment cost, revenue, and environmental impact, thus allowing for the development of better strategies for improving and optimizing individual facilities. The introduction of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to government-subsidized project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etc., may lead to pilot projects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data on each facility as well as expanding the utilization of the evaluation itself.When installing a preventive facility, such as a malodor prevention facility, at a waste treatment facility to control pollutants that may have negative aesthetic and health-related environmental impacts, the improvements made in this area are not included as an indicator in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As such, the facility, despite its advances, may receive a lower environmental efficiency score due to the increase in the facility’s operational costs from installing new equipment. Thus, further research and pilot projects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the measurement items and methodology used in the present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to reflect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ies.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negative (-) indices to positive values, the numerical shifts and the avoidance effects were excluded from the economic performance index and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analysis, respectively. To strengthen the robustness of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conducted in this study, we suggest more case studies to be undertaken, especially on waste treatment facilities that have negative economic values and environmental impacts, and to discuss them at the global level. 2018년 「자원순환기본법」을 시행하면서 우리나라에서는 자원순환사회로 전환하기 위해 국가 중장기 정책방향과 세부전략을 담은 국가 『자원순환기본계획(2018-2027)』을 수립하였다. 그동안 주로 행해 왔던 단순 재활용에서 고부가가치를 생산하는 물질 재활용으로 변화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는 『자원순환기본계획(2018-2027)』을 통해 2027년 최종처분율 3%와 더 나아가 직매립의 제로화 달성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에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효율적인 측면을 검토할 필요성이 발생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처리시설의 경제성 및 환경성을 분석하여 이를 통합한 폐기물처리방법별 환경효율성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생활폐기물 공공 처리시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해 폐기물의 유형을 크게 가연성폐기물(종량제봉투 폐기물)과 유기성폐기물(음식물류폐기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국내 제도상 생활폐기물 중 음식물류폐기물은 직매립이 금지되고 별도 종량제로 운영되어 처리물량 대부분이 재활용되고 있으며, 매립되거나 소각되는 물량은 각각 1.0%, 2.2% 수준이다. 이에 가연성폐기물의 처리방법간 비교와 음식물류폐기물의 처리방법 간 비교를 통해 효율적인 처리방안을 검토하였다.환경효율성 평가에서는 시설의 수익에서 운영비를 제외한 톤당 비용을 경제성 지표로 설정하였으며, 환경성 지표의 경우 시설에 대해 전과정평가(LCA)를 수행하여 톤당 발생하는 가중화 환경영향으로 설정하였다. 환경효율성을 평가할 때 소각여열 이용, 바이오가스판매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회피효과가 경제성 평가에서 중복 반영되는 것을 막기 위해 환경성에서는 이를 제외하였다.평가대상인 시설은 폐기물처리방법별로 지역, 규모, 처리유형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특히 「2016년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운영실태평가」에서 우수시설로 평가된 시설과 그렇지 않은 시설이 포함되도록 처리방법별로 5개 그룹(종량제봉투 폐기물: 소각시설, 가연성폐기물 연료화시설, 매립시설; 음식물류폐기물: 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화시설, 음식물류폐기물 자원화시설)의 79개 시설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각 시설에서 제출한 데이터와 평가결과의 신뢰도를 고려하여 42개 시설의 환경성 및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시설 규모는 100톤/일 미만의 소형시설, 100톤/일 이상~300톤/일 미만의 중형시설, 300톤/일 이상의 대형시설로 구분하였다. 특히 세부시설 유형은 음식물류폐기물 자원화시설의 경우 자원화 방식별로 감량화, 사료화, 퇴비화 시설로 구분하여 선정하였으며, 매립시설의 경우 불연물 매립시설과 일반 매립시설로 구분하여 선정하였다. 환경성·경제성 분석을 위해서는 시설별로 폐기물반입량, 에너지 사용량, 소각여열 이용량, 매립가스 포집량, 바이오가스 생산량, 퇴비 및 사료 생산량과 운영비용, 시설수익 등의 자료를 이용하였다.폐기물처리방법별 환경성 분석결과, 매립시설의 가중화 환경영향이 4.42E-02포인트로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뒤를 이어 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화시설(8.87E-02포인트), 음식물류폐기물 자원화시설(2.25E-01포인트), 소각시설(3.50E-01포인트), 가연성폐기물 연료화시설(1.39포인트) 순으로 나타났다. 경제성 분석에서는 시설 수익에서 운영비용을 제외한 비용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매립시설의 경제성이 731원/톤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뒤를 이어 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화시설(-33,419원/톤), 음식물류폐기물 자원화시설(-40,172원/톤), 소각시설(-58,646원/톤), 가연성폐기물 연료화시설(-60,149원/톤) 순으로 나타났다.환경성·경제성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환경효율성을 평가한 결과, 매립시설의 환경효율성이 10,837천 원/포인트로 가장 좋게 나타났으며, 뒤를 이어 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화시설(4,760천 원/포인트), 음식물류폐기물 자원화시설(1,540천 원/포인트), 소각시설(760천원/포인트), 가연성폐기물 연료화시설(-184천 원/포인트) 순으로 나타났다.시설 규모에 따른 환경효율성을 평가한 결과, 소각시설의 경우 중형시설의 환경효율성이 2,108천 원/포인트로 가장 좋게 나타났으며 뒤를 이어 소형시설(834천 원/포인트), 대형시설(280천 원/포인트) 순으로 나타났다. 가연성폐기물 연료화시설의 경우 대형시설의 환경효율성이 5,306천 원/포인트로 가장 좋게 나타났으며 뒤를 이어 소형시설(-212천 원/포인트), 중형시설(-236천 원/포인트) 순으로 나타났다. 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화시설의 경우 대형시설의 환경효율성이 10,617천 원/포인트로 가장 좋게 나타났으며 뒤를 이어 중형시설(6,236천 원/포인트), 소형시설(2,859천 원/포인트) 순으로 나타났다. 음식물류폐기물자원화시설의 경우 중형시설의 환경효율성이 1,959천 원/포인트로 가장 좋게 나타났으며 소형시설(1,308천 원/포인트)이 뒤를 이었고, 대형시설은 평가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매립시설의 경우 반입 폐기물의 성상에 따라 불연물 매립과 일반 매립으로 구분하여 환경효율성을 평가하였으며, 불연물 매립의 환경효율성이 18,957천 원/포인트로 일반 매립의 환경효율성 9,458천 원/포인트보다 높게 나타났다.환경효율성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폐기물 처리 시나리오에 따른 2027년의 환경효율성믹스를 산정하여 현재의 환경효율성 믹스와 비교 분석하였다. 종량제봉투 폐기물의 경우2016년 에는 매립 31.1%, 소각 53.2%, 가연성연료화 15.6% 비율로 처리1)되던 것이 『제1차 자원순환기본계획』 목표연도인 2027년에는 매립 2.5%, 소각 33.5%, 가연성연료화23.5% 비율로 처리2)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음식물류폐기물의 경우 2016년에는 바이오가스화 10%, 음식물류폐기물자원화(사료화, 퇴비화 등) 90%였던 처리 비율이 2027년에는 바이오가스화 69.7%, 음식물자원화 30.3%가 될 것으로 전망되었다.산정결과, 매립시설 전체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환경효율성 믹스는 2016년 5,173천 원/포인트, 2027년 4,118천 원/포인트로 나타났다. 매립시설을 2016년에는 일반 매립, 2027년에는 불연물 매립으로 구분하여 가정하였을 때 환경효율성 믹스는 2016년 4,744천 원/포인트, 2027년 4,321천 원/포인트로 나타났다.또한 본 연구에서는 환경효율성 평가결과와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운영 실태평가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소각시설의 경우 환경효율성 평가가 좋은 시설이 실태평가에서도 좋은 결과를 나타냈으나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이는 실태평가에서는 소각열 회수율이 반영되었으나 환경효율성 평가의 환경성 분석에서는 제외되었고, 시설의 연료 사용에 대한 전과 정평가가 환경효율성에만 반영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가연성폐기물 연료화시설에서도 실태평가결과와 환경효율성 평가결과가 대부분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SRF 생산율이 환경효율성 평가의 경제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화시설의 경우, 실태평가와 환경효율성 평가결과가 다소 일치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실태평가에 반영된 악취관리, 가동률 및 시설관리 등의 지표가 환경효율성 평가에는 반영되지 않기 때문으로 판단된다.매립시설의 경우, 실태평가의 환경성 및 경제성 결과와 환경효율성 평가결과가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실태평가의 기술성 평가지표가 환경효율성 평가 지표와는 달리 다짐효율, 침출수 감량률 등을 반영하기 때문으로 보인다.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환경효율성 평가를 정책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폐기물처리방법별로 환경효율성 평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하여 <표 4>에 나타냈으며, 이를 시설의 환경적·경제적 효율 개선을 위한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또한 폐기물처리시설의 입지조건 또는 운영기준에 따라 경제적 지표에 활용되는 수익과 운영비용에서 큰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폐기물처리시설 간 환경효율성을 단순 비교분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환경효율성 평가는 동일 시설 간 비교나 특정시설의 개선효과를 파악 및 권고하는 데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처리시설별 환경효율성 향상을 위해 개선향상 비교계수, 벤치마크 비교계수, 용량설계기준 비교계수의 3가지 비교계수를 제시하였다.개선향상 비교계수는 특정 폐기물처리시설에 대하여 해당 시설의 경제적 비용 절감 효과또는 환경영향 효과 절감 노력 등의 시설개선 전후를 비교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벤치마킹비교계수는 비교 대상인 여러 시설 중 특정 시설의 환경효율성 결과가 나쁠 경우, 또는 최우수 시설과 비교를 통해 특정 시설의 개선이 필요할 경우에 개선을 통해 어느 정도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지 비교하고, 해당 시설의 환경을 어느 수준까지 개선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용량 설계기준 비교계수의 경우, 신규 폐기물처리시설 건설 시 시설용량별 환경효율성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시설의 과도한 운영비용 산정 이나 환경영향 발생의 예방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환경효율성이 높은 시설과 비교하여 환경효율성이 낮은 시설이 폐기물 자원화 생산품판매량의 향상을 통해서 환경효율성을 개선한다고 가정할 때, 개선향상 비교계수와 벤치마크 비교계수를 사례 연구로 산정하였다.소각시설의 비교분석은 4가지 유형(A, B, C, D)으로 나누고, 각 유형에 맞는 시설을 선정하여 수행하였다. A유형은 시설운영비 및 환경성 평가결과가 비슷한 시설과 비교하여 에너지 회수를 개선(경제적 가치)하는 사례(아산 소각시설 대비 하남 소각시설의 수준으로 열에너지 회수 수준 개선)이며, B유형은 시설운영비는 유사하고 환경성 평가결과는 우수한 시설과 비교하여 에너지 회수를 개선(경제적 가치)하는 사례(구미 소각시설 대비 하남 소각시설의 수준으로 열에너지 회수 수준 개선)이다. C유형은 시설운영비가 높은 시설에 대해 환경성 평가결과가 비슷한 시설과 비교하여 에너지 회수를 개선(경제적 가치)하는 사례(아산소각시설 대비 세종 소각시설의 수준으로 열에너지 회수 수준 개선)이다. D유형은 시설운영비가 높은 시설에 대해 환경성 평가결과가 우수한 시설과 비교하여 에너지 회수를 개선(경제적 가치)하는 사례(구미 소각시설 대비 세종 소각시설의 수준으로 열에너지 회수 수준개선)이다.바이오가스화시설은 시설 유형 선정에 한계가 있어 B와 D 유형 2가지에 맞는 시설만 선정하였다. B유형은 시설운영비는 유사하고 환경성 평가결과는 우수한 시설과 비교하여 폐기물 자원화 생산을 개선하는 사례(남양주 시설 대비 김해 시설의 수준으로 바이오가스생산 수준 개선)이며, D유형은 시설운영비가 높은 시설에 대해 폐기물 자원화 생산을 개선하는 사례(남양주 시설 대비 아산 시설의 수준으로 운영비 수준 개선)이다.하남 소각시설의 소각열 회수량을 50% 개선했을 때 개선향상 비교계수는 1.04이며, A유형의 경우 벤치마크 비교계수는 0.56, B유형의 경우에는 0.147로 나타났다. 세종 소각시설의 소각열 회수량을 50% 개선했을 때 개선향상 비교계수는 1.03이며, C유형의 벤치마크계수는 0.98, D유형의 경우에는 0.26으로 나타났다. 남양주 바이오가스화시설의 바이오가스생산량을 35% 개선했을 때 개선향상 비교계수는 1.02이며, B유형의 경우 벤치마크 비교계수는 0.22, D유형의 경우에는 0.40으로 나타났다.용량 설계기준 비교계수를 산정하기 위해서 처리시설별 규모에 따른 환경효율성 평균을 계산하여 환경효율성이 가장 좋은 시설규모를 기준으로 다른 시설과 비교하였다. 평가결과 소형 소각시설의 용량 설계기준 비교계수는 0.40으로 대형 소각시설에 비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이오가스화시설의 경우 중형시설의 용량 설계기준 비교계수가 0.59로 소형바이오가스화시설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환경효율성 평가의 정책적 활용방안으로는 1)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운영실태평가 및 노후시설 개선 시 환경효율성 평가 활용방안, 2) 전략환경영향평가 및 예비타당성 조사, 3) 주민지원사업과 처분부담금의 사회적 비용 산정 시 환경효율성 평가 활용방안, 4) 최적화 전략추진 및 국고보조사업 추진 시 환경효율성 평가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환경효율성 평가를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운영 실태평가에 적용하여 매년 운영 실태를 평가하고 에너지 활용 및 회수, 효율적 운영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현재 실태평가에서는 폐기물처리시설의 경제성 개선 노력도와 지자체의 폐기물 감량률 등 개선 노력도를 평가하고 있으나, 환경성과 경제성을 모두 고려한 개선 노력도는 평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폐기물처리시설의 운영 개선 노력을 평가하기 위해 제6장 제2절에서 제시한 환경효율성 비교계수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처리시설의 노후도 조사결과에 따라 환경효율성 비교계수를 적용하여 노후시설의 개선 및 폐쇄 여부, 신규시설 설치 여부 등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폐기물처리시설 설치촉진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운영할 시 설치비용과 입지선정계획 등을 결정해야 하며, 이를 위해 환경부에서는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시행하는 동시에 정책계획과 개발기본계획으로 나누어 검토하고 있다. 현재 전략환경영향평가의 조사항목에는 폐기물처리시설의 처리규모 및 처리방법, 반입 폐기물의 성상과 관련한 환경성 평가와 처리비용 및 수익에 관한 경제성 평가가 수반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환경효율성 평가를 조사항목에 포함하여 처리시설의 종류와 규모, 입지선정 시의 적합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환경시설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시 환경비용은 관련 문헌이나 전문가 조사에 따른 추정비용으로 산출되는 경우가 많아서 논란의 소지가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환경효율성 평가방법은 실제 시설에서 측정한 자료를 바탕으로 경제적·환경적 효과를 제시하므로 좋은 활용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또한 주민지원사업과 처분부담금의 사회적 비용 산정 시에도 환경효율성 평가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 매립시설의 환경성 평가결과와 경제성 평가결과가 다른 종류의 시설보다 우수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사회적으로 매립시설에 대한 운영부담을 그만큼 적게 주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매립시설의 환경효율성 평가 시범사업을 실시하여 환경오염 배출 방지를 위한 사회적 비용과 환경영향을 추가로 규명해야 하며, 특히 매립시설을 위한 토지확보 비용의 경우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경제성 평가 시 직접 비용과 간접 영향(지가하락 등)을 고려한 비용을 모두 반영해야 한다. 본 연구결과에서 소각시설과 비교하여 매립시설의 사회적 비용을 예측한 결과, 일반 매립시설의 경제적 가치는-368,703원/톤으로 나타났다. 현재 평가대상 매립시설의 평균 처리비용은 14,956원/톤이므로 톤당 약 34만 원 정도를 추가로 반영하여 매립처분부담금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폐기물처리시설 국고보조사업의 목적은 지역별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사업에 대한 지원기준, 우선순위 등을 명확히 하여 체계적인 국고지원 및 시설투자를 유도하는 것 이다다. 현재국고보조를 위한 시설 설치비 표준단가는 시설별·용량별 기준으로 제시되는데, 시설 용량이 적을수록 사업비 표준단가가 높게 책정되며 이 표준단가에 따라 비율대로 국고지원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 따르면 소형시설의 경우 다른 규모의 시설보다 환경효율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국고보조사업의 지원 비율에 따라 더 높은 국고보조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최적 시설용량에 따라 국비지원을 차등 적용하는 것에 대한 개정이 필요하며, 이는 국가정책방향에 부합하는 폐기물처리시설의 광역화·직접화 처리시설에 대한 투자추진 근거가 될 수 있다. 또한 「폐기물처리시설 국고보조금 예산지원 및 통합업무처리지침(2018.1)」, 「폐기물처리시설 최적화 전략(2011)」,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 등에 의해 시설의 예산을 신청하거나 국비를 지원하는 경우에도 환경효율성 평가 활용을 검토할 수 있다.마지막으로 환경효율성 평가 활용에 따라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폐기물의 자원화에 대한 환경·경제적 통합평가를 통해 처리방법별 정책적 추진방향의 근거를 제시하여 『제1차 자원순환기본계획(2018-2027)』 목표에 따른 자원순환 전략 수행에 기여할 수 있다. 두 번째, 단순 오염부하를 기준으로 평가하는 환경성 평가 개념에서 환경·경제적 효율성 평가로 연결되는 패러다임을 확산할 수 있다. 세 번째, 폐기물처리시설에 대한 평가 모델을 구축하여 친환경적인 평가 개념 도입함으로써 폐기물 처리에 대한 국민의 이미지를 제고 할 수 있다. 네 번째, 환경영향 및 부하관리를 효율화하는 방안을 마련하여 환경오염을 사전에 예방하고 경제효율화를 감안한 기술개발을 유도하여 에코이노베이션과 연계할 수 있다.또한 본 연구의 환경효율성 평가결과는 폐기물처리시설 간, 처리방법 간의 단순 비교보다는 시설 개선 및 효율화를 위한 방법론으로서의 활용도에 더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환경효율성 산정 방법론의 주요 요소인 시설의 처리비용, 수익, 환경부하 중에서 환경효율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여 시설별 개선 및 효율화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환경효율성 평가가 국고보조사업, 환경영향평가 등에 도입된다면 시범사업 실시를 통해 시설별 데이터의 신뢰도가 높아지는 것은 물론이고 환경효율성의 활용도 또한 높아질 것이다.폐기물처리시설에서는 심미적 또는 건강과 관련하여 환경영향을 미치는 악취와 같은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악취방지시설과 같은 방지시설을 도입하면 악취 개선효과 등은 본 연구의 평가항목이 아니므로 반영되지 않는 반면에, 시설의 운영비가 증가하여 환경효율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연구와 시범사업을 실시하여 시설의 특성을 반영한 평가항목 및 방법론을 적용하는 방향으로 개선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환경효율성 산정에 있어 음수(-)인 지수를 양수(+)화하는 과정에서 경제성 지표의 수치이동, 환경성 평가에서 회피효과는 제외하였으므로 폐기물처리시설 특성상 경제적 가치와 환경부하가 음수로 발생하는 사례의 연구를 추가로 수행하고 국제적으로 논의 할 필요가 있다.

      • R&D 프로그램의 유형별 경제성 평가 방법론 구축

        황석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6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연구개발 프로그램의 경제성 평가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이론적 바탕이 튼튼하면서도 여러 유형의 연구개발 프로그램/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는 포괄적인 경제성 평가 모형은 아직 구축되어 있지 않음 · 각 부처별, 연구관리 기관별로 평가 기준 및 평가 체계가 서로 상이하여, 표준적 가이드라인이 제시될 필요가 있으나 기존에 그러한 표준적 가이드라인은 존재하지 않음. - ‘사전/사후’, ‘기초/응용개발’, ‘상용/공공’ 등 연구개발 프로그램의 유형과 경제성평가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경제성 평가 수요를 가능한 포괄적으로 만족시키기 위한 표준적 가이드라인 구축이 필요 · 목적 - 경제성 평가의 유형별 표준적 가이드라인 제시 - 위와 같은 표준적 가이드라인 제시를 위한 경제성 평가의 프레임워크 개발 - 전략적 유연성을 고려한 경제적 가치 산정을 위한 실물옵션 방법론 개발 주요 연구내용 · 경제성평가의 유형별 표준적 가이드라인 제시 - 평가 절차 및 단계별 tool 제시 - 전략적 유연성을 고려한 실물옵션 방법론 개발 - MCDM을 위한 유형별 지표체계 제시 · 평가의 프레임워크 개발 - 전략적 유연성 부가를 위한 기획과 평가 사이의 피드백 - 기초/응용개발, 공공/상용, 사전/사후를 기준으로 한 유형 구분 · 실물옵션의 이산시간수리모형에 기반을 둔 경제적 가치 산정 기법 개발 - 확률과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 실증 사례 연구 - 위에서 제시된 유형별 경제성 평가의 핵심이 되는 것이 화폐 단위로 경제적 가치를 산정하는 것이므로, 그에 관한 실증 사례 연구를 수행 - 아직 단순한 수준에 불과하지만 의사결정의 단계, 의사결정 비용 등을 변수로 한 전략적 유연성을 시나리오별로 다르게 부과하면서 각 시나리오의 경제적 가치를 산정하여 보다 우월한 전략을 선택할 수 있음. 기대효과 · 다양한 연구개발 프로그램의 경제성 평가를 위한 표준적 가이드라인 제시 · 정확하고 신속한 경제성 평가를 통한 국가 연구개발 프로그램 기획 및 사후 성과분석 작업의 효율성 제고 · 정부는 일정규모 이상의 연구개발사업에 대해 의무적으로 경제성 평가를 포함한 예비 타당성 평가를 실시하고 있음. 이러한 의무적 타당성 평가에 있어 경제성 평가의 공식 매뉴얼 작성을 위한 시금석 역할

      • KCI등재후보

        불확실성 하의 의사결정을 위한 경제성평가 모델의 적용에 관한 연구:호주 태양광 발전 사업을 중심으로

        조한필,박현영 한국회계정보학회 2019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19 No.2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s a NPV model to evaluat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business in Australia and conducts the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Methodology] Cost-Benefit Analysis is used to evaluate economic feasibility under uncertainty in management accounting, which includes Net Present Value (NPV), Benefit/Cost ratio (B/C ratio), and Internal Rate of Return (IRR). This study establishes a NPV model to evaluat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business in Australia. Based on prior research, we derive reasonable assumptions on the analysis of the insolation and measurement of the amount of photovoltaic power, sales price of the renewable energy certificates, the unit sales price of the photovoltaic power, capital expenditure and operating expenses, and residual values of the busines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established model, we conduct an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on the virtual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lant located in 5 states, in Australia. We estimate the NPV and the investment payback period of the virtual plant, and perform sensitivity analysis on the significant variables used. [Findings] The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results show that all plants except the one located in Melbourne have positive NPVs and the payback periods are from 18 to 25 years. We also find that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s the amount of power of the plant, and the unit sales price of the photovoltaic power, the amount of capital expenditure, and discount rate are also substantial to determin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business. [Implications] This study has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shows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of virtual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lant using NPV model based on realistic assumptions. [연구목적] 본 연구는 호주 태양발 사업을 심으로 불확실성 하의 의사결정 을 한 경제성평가 모델을 도출하고 용한다. [연구방법] 비용편익분석(Cost-Benefit Analysis)을 통한 리회계의 불확실성 하 의 경제성 평가는 순재가치(Net Present Value;NPV), 편익비용 비율(Benefit/ Cost ratio;B/C ratio), 내부수익률(Internal Rate of Return;IRR) 등의 계산을 통하 여 사업의 경제성을 악하는 과정이다. 본 연구는 기존 사업의 경제성 모델을 일반 화하여 호주 내 태양 발사업의 경제 타당성을 용이하게 가늠해 볼 수 있는 NPV 모델을 도출하다. 문헌 사례 조사를 통해 경제성평가 모델의 근간이 되 는 일사량 분석 발량 산출, 신재생공인증서 매가격, 발력 매단가 측치, 단 자본 지출 운비용, 잔존가치 산출 등 항목에 한 합리 가정을 도출 하다. 도출된 경제성평가 모델의 유효성을 확인하고자, 호주 5개 주(州)에 치한 가상 태양발 랜트에 한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다. 경제성 분석 시 순가 회수기간을 산출하고, 사업 경제성에 상당한 향을 미칠 것으로 상 되는 변수에 한 민감도분석을 수행하다. [연구결과] 경제성 분석결과 VIC 주(州) Melbourne에 치한 랜트를 제외하고 모 든 경우에서 양의 순가(NPV)가 산출되었고 회수기간은 18~25년 사이의 값을 보 다. 민감도 분석결과 호주 태양발 랜트 경제성에 가장 크게 향을 미치는 변수는 랜트의 발량이며, 그 외 력매단가, 자본 지출 할인율 순으로 경제성에 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태양발 산업에 한 구체인 가정을 바탕으로 NPV 모델을 이용하여 불확실성 하의 의사결정을 한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다는 데에 실 시사을 가진다.

      • KCI등재

        부산항 신항 켄테이너터미널 배후단지 조성사업의 경제성 평가에 관한 연구

        이기환(K.H. Lee),황두건(D.K. Hwang),김명희(M.H. Kim) 한국항만경제학회 2008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4 No.4

        본 논문은 부산 신항 배후단지에 대한 경제성평가로써, 항만 배후단지 투자에 대한 편익-비용분석을 이용한 실증분석으로 이루어졌다. 항만 배후단지 경제성평가를 위해 항만 배후단지 경유 물동량과 항만 물동량 중 항만배후단지경유비율 등이 중요한 고려사항이 되고 있다. 그러나 관련된 선행보고서를 살펴보면, 각 다른 항만물동량 추정치와 경유비율을 적용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대부분의 보고서들은 항만배후단지 개발과 관련하여 낙관적인 관점에서의 물동량추정치와 경유비율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분석들과 달리, 부산신항 배후단지 경제성평가를 비관적인 관점에서 시도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신항 배후단지 경제성평가를 위해 세 가지의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경제성분석을 하였는데 그 결과는 세 가지 시나리오 모두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좀 더 보수적 관점에서 파악하자면 만약 항만배후단지의 활성화에 의한 전략수요가 창출되지 않는다면 현재 계획된 배후부지 면적은 다소 크게 추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미래 수요추정을 기본으로 하여 편익이 산정되고 이를 바탕으로 경제성 평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물동량 예측치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즉, 보다 정확한 배후단지 경제성평가를 위해, 무엇보다도 신뢰할 수 있는 물동량 예측치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공신력 있는 국가 기관 및 국책 연구 기관등의 역할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economic benefits for the investment of port hinterland. This research has conducted the empirical analysis, by calculating the investment of port hinterland. The key factor for the economic benefits for the hinterland is the utilizing throughputs. This demand is influenced by the throughput in the port. However the data is different between the different organizations. The positive opinions are prevailed about constructing of port hinterland by a optimistic view about throughput. However this paper analyzes the economic benefits by a pessimistic point of view. The main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port hinterland of Busan New Port does not have economic benefit for investment and the hinterland will face the overcapacity problem. We recommend that the plan for investment has to be considered the modification. Second, data of forecasted throughputs is an important factor for evaluation of hinterland's investment. The research for reliable forecasting of throughput has to be preceded for the pertinent evaluation of hinterland's investment.

      • 재해예방 및 복구사업 경제성 평가모델 개발

        김한태,한종수,장문엽,권정호 한국재난정보학회 2015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1

        본 논문에서는 재해 예방 및 복구사업 경제성평가 모델 개발을 위해 경제성 평가 활용현황 및 문제점을 정리하고 경제성 평가모델개발방안 도출 등의 연구를 수행한다. 경제성 평가기법의 연구개발 현황 파악과 경제성 평가방법의 당면 과제 도출로부터 조사 범위 및 방법을 결정하고 성과물에 대한 활용방안 또한 결 정에 참고하도록 한다. 기존 연구 및 풍수해 관련 자료의 분석결과 경제성 평가는 BCA가 일반적으로 사 용되여 Benefit과 Cost의 고려범위에 따라 연구방법과 내용이 각기 다른 실정이었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 는 정량화가 쉬운 직접비용에 치중되어 있으며, 고려 범위가 추상적인 경우는 과다하게 측정되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피해 발생 시 현재는 NDMS에 피해액관련 데이터 입력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이는 관련보상 법규가 없던 과거조사자료와 최근의 조사자료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 KCI등재후보

        기후환경 변화에 따른 한국사회 위기의 경제성평가 개념모형

        박지영 ( Jiyoung Park ),조동인 ( Dongin Cho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5 국정관리연구 Vol.10 No.1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가 심화되고 있다.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로 발생할 수 있는 위험과 재난의 발생가능성을 예측하여 사회·경제·문화·환경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세밀하게 평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재난발생에 따른 경제성 피해를 평가할 수 있는 개념적 모형을 제시하여, 한반도 재난관련 빅데이터와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통합하고, 재난발생가능성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정밀하게 정량화 하고자 한다. 재난발생의 경제성평가를 위한 여러 정량적 모형들이 통합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경제성평가 통합모형의 개념적 개발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여러 문헌과 사례를 바탕으로 현재까지 자연재난의 경제적 평가모형을 조망한다. 둘째, 이를 바탕으로 기후환경 리스크의 경제성평가 개념모형을 제안한다. 셋째, 제안한 개념모형의 실질적 구축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여 완성된 개념모형을 개발한다. 이러한 경제성평가 개념모형은 다양한 정책적 제안들의 평가를 바탕으로 국가 재난대응역량을 고도화하기 위한 재난안전 연구개발 종합계획에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자연재해가 국경을 초월하는 특성상, 여러 나라에 전파하여 일관성 있는 글로벌 평가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선진적 표준화에 앞장설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conceptual framework that quantitatively assesses economic impacts on various Korean contexts including societies, environments and economies stemming from climate change. While experiencing numerous disasters, the absence of rigorous models that could quantify various impacts stemming from natural or man-made disasters has made local and central governments difficult to financially allocate their resources to targeted regions and sectors. This framework considers various disaster risks that provide risk probabilities and are combined with data collected from historical events and/or surveys. To analyze various events, this conceptual framework needs to includ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Via iteration process, numerous anti-disaster policy scenarios will be tested and cumulated into database if effective to policy implementations. This framework suggests an integrated, systematic assessment approach that quantifies disaster damages, classifying the disaster types, impacted regions and impacted sectors. Based on this framework, therefore, various policy suggestions can be prepared and compared so they are promptly implemented to a future disaster. Hence, it will be effective to apply for an emergent event.

      •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를 고려한 연구개발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평가방법론 개발

        황석원,임용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7 정책자료 Vol.- No.-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의사결정은 다양한 변수와 큰 불확실성 아래 놓여있다. 연구개발사업 착수 여부에서부터, 연구개발 투자 규모, 상업화 이전의 파일럿 플랜트 건설 여부, 상업화 시기, 시장 진입시의 투자 규모, 시장 진입후 설비 투자 확장 등 연구개발에서부터 상업화에 이르기까지 의사결정에 관한 전략 변수는 대단히 다양하고 복잡하다. 또, 가격, 시장 규모, 시장 경쟁 정도 등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변 환경 변수도 큰 변동성을 가지는 경우가 많아서 의사결정의 불확실성도 대단히 높다.이렇게 복잡한 의사결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연구개발 투자의 경제적 편익도 극대화해야 하는 것이 당면한 요구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고, 연구개발 관련 의사결정을 둘러싼 복잡성과 불확실성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론 모색이 본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다. 주요 연구내용전략적 유연성을 고려한 연구개발 프로그램의 경제성 평가에 활용될 수 있는 새로운 이론 모형을 개발하였다.연구개발 로드맵, 연구개발 투자 규모, 투자 재원 조달과 관련된 의사 결정, 상용화 시기 등 연구개발 및 상용화와 관련된 여러 전략 변수가 존재한다. 미래의 불확실성과 이들 전략 변수의 다양한 가능성을 고려하여 가장 바람직한 연구개발 및 상용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다양한 대안들 가운데 어떤 것이 가장 바람직한 전략인가, 다시 말해 가장 큰 가치를 기대할 수 있는 전략인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전략적 유연성을 고려한 정교한 경제성 평가 모형이 필요하다. 전략적 유연성을 고려한 경제성 평가 모형 구축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실물옵션 접근법에 기반을 두고, 이용 가능한 데이터의 수준, 고려하는 전략 변수의 종류 등에 따라 구체적인 평가 절차와 방법론을 새롭게 개발해야 한다. 특히 의사 결정의 중요한 분기점이 존재할 때, 또 다양한 전략 변수에 따라 고려해야 할 시나리오 구조가 복잡할 때는 격자 모형 실물옵션 등 새로운 접근법을 사용해야 한다.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은 격자모형 실물옵션 접근법에서 사용되는 의사결정나무와 Monte Carlo 시뮬레이션 방법을 융합하여 각 방법의 장점을 취한 접근법이다. 모형 검증을 위한 실제 사례 연구로서 자원개발 관련 정부의 대형연구개발 사업을 선정해 경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는 실용화를 앞둔 단일한 성격의 연구개발사업이나 대형과제 가운데 실제 사례를 선택하여 모형 적용한 것이다. 의사결정의 중요 분기점 및 복잡한 시나리오 설정을 고려하였다. 결론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나무와 Monte-Carlo 시뮬레이션 방법을 접목하여, 전략 시나리오별로 의사결정나무와 의사결정 기준을 구성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가장 우월한 전략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보다 우월한 연구개발사업 추진 전략을 선택하기 위한 첫 단계 작업으로서, 전략변수와 환경변수를 동시에 고려하여 의사결정나무를 그린다. 이 때 핵심 전략 변수에 대해 전략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전략 시나리오별로 의사결정나무가 그려질 수 있도록 한다. 환경변수와 전략변수 그리고 의사결정 기준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통해 어떠한 전략 시나리오가 가장 높은 기대 수익을 제공하는지 분석함으로써, 최적 전략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것이다.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을 실제 연구개발사업(A사업)에 적용하여 보았다. 분석 대상 사업은 광물자원의 채광 시스템 개발 사업으로서 시장 진입 시점, 설비 투자 규모에 대한 전략적 의사결정이 중요한 사업이다. 또, 최종 생산품 가격의 불확실성이 대단히 높기 때문에, DCF 등 전통적인 방법보다는 불확실성과 전략적 유연성을 다루는데 적합한 실물옵션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책제언Fast Follower 전략에서 First Mover 전략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무게중심이 옮겨가는 상황에서 미래 기술 및 시장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기획/평가 과정에 전략적 유연성을 강화할 필요성이 강력히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그러한 시대적 요구에 걸맞는 기획/평가 구조에 대한 탐색 연구 성격을 갖는다. 요 약 제1장 서 론 5 제2장 유연성에 대한 가치 평가 이론 : 실물 R&D 옵션 11 제1절 실물 R&D 옵션의 개요 11 1. 금융옵션과 실물 R&D 옵션 11 2. 실물 옵션의 종류 16 제2절 실물 R&D 옵션 가치평가의 일반적 절차 20 1. 응용문제의 체계 구성(Frame the Application) 20 2. 옵션평가모형의 실행(Implement the Option Valuation Model) 24 3. 결과의 재검토 25 4. 재설계의 검토 단계 26 제3장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와 경제성 평가 방법론 27 제1절 연구개발사업 추진의 의사결정나무 27 제2절 의사결정나무 접근 및 Monte-Carlo 시뮬레이션에 의한 경제성 평가의 사례 32 제3절 본 연구의 방법론 : 복잡한 의사결정나무를 고려한 Monte-Carlo Simulation 52 제4장 사례 연구 59 제1절 분석 대상 연구개발사업의 의사결정나무 전략 시나리오 59 제2절 시뮬레이션 개요 66 제3절 시뮬레이션 결과 및 분석 79 제5장 결론 93 참고 문헌 97 URL : http://www.stepi.re.kr/app/report/rss.jsp?cmsCd=CM0013

      • KCI등재후보

        공공부문 정보화사업의 경제성 평가방법론 개발

        문태수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3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13 No.1

        공공부문 정보화사업은 행정업무의 혁신과 효율성을 높이고 동시에 대국민 서비스를 향상함으로써 작고 효율적인 정부를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공공부문 정보화사업의 평가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정보화사업 평가조직, 평가기간, 평가방법, 평가항목, 그리고 질적인 평가에 한정하여 평가함으로써 투자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논문은 비용편익분석을 이용하여 공공조달업무에 촛점을 두고, 공공부문 정보화사업의 경제성을 평가하는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공공 EDI 시스템은 여러 번의 구축사업과 확산 사업 등을 수행하였으나 아직까지 공공 EDI 사업에 대한 경제성 평가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았으며 특히 정보시스템의 기능성을 고려하지 않은 사후평가에 촛점을 두어 왔다. 본 연구는 공공 IT사업의 평가를 위해 MIS 관점을 도입하고 공공 IT 사업의 실행을 행정 업무의 프로세스 재설계 관점에서 분석하는 틀을 제시하고, 적절한 경제성 평가 측정항목을 설정하여 조달 EDI사업에 적용하였다. 새로운 모형을 적용한 결과 공공부문 조달 EDI 사업의 평가는 경제성이 있는 긍정적인 사업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모형을 공공부문의 정보화사업 평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법적이고 제도적인 수정이 필요할 것이며 또한 다양한 범주의 평가범위와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현금흐름 패턴을 고려한 경제성 평가모델

        강성수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08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춘계

        투자대안을 올바르게 선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투자대안들에 대한 경제성 평가방법은 대안들의 현금흐름을 대하여 기간별 순 현금흐름으로 바꾸어 MARR을 이용한 NPV, FW, AE 혹은 IRR 등으로 평가하여 왔다. 그러나 실제 문제에 있어서는 이러한 평가 방법은 모든 현금흐름은 언제나 MARR로 가치가 증가하거나 할인 된다는 가정 하에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현금흐름의 패턴이 다양하여 경제성 분석 및 평가 시 평가이율인 MARR과 다른 흐름이 많이 발생하지만 이를 제대로 반영을 하지 못하여 대안의 선정을 그릇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금흐름의 패턴을 고려한 투자대안의 경제성 분석 및 평가에 대한 모델을 개발하여 다양한 실무에서 쉽고 효과적으로 투자대안의 경제성을 분석하고 평가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optimal investment alternative. The common method of economic evaluation is to compare of NPV, FW, AE by MARR, or the rate of return for the cash flow of alternatives. This method is undergoing by assumption that cash flow can be always evaluated by MARR, but the cash flow is not always increased or discounted like MARR. So this paper suggests a model on an economic analysis and evaluation regarding to various cash pattern, that is helpful for the person in the field to use easily.

      • KCI등재

        미술치료의 신의료기술평가를 위한 제반사항 및 단계별 전략

        최한(Choi Han),김태은(Kim Tae-Eun),정여주(Chung Yeo Ju) 한국미술치료학회 2019 美術治療硏究 Vol.26 No.6

        근거중심임상(Evidence Based Practice)에서 미술치료는 의학적 도움이 필요한 이들에게 긍정적인 건강개선 효과들에 대한 근거들이 보고되고 있다. 신의료행위는 신의료기술평가 제도를 통해 국민건강보험 등재 여부를 결정한다. 신의료기술은 첫째, 안전성 및 유효성, 둘째, 경제성평가, 셋째,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가이드라인 존재 여부를 주요 심사 조건으로 심의하고 있다. 최근 들어 영국 중심으로 미술치료의 안전성 및 유효성 연구, 경제성평가 연구 출현이 증가하고 있으며,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가이드라인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증가하고 있는 국내외 미술치료 근거를 발판 삼아 미술치료의 의료기술화를 위한 단계별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단계별 전략은 첫째,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를 통해 미술치료 근거 수준과 연구자원이 집중된 영역을 파악한다. 둘째, 계속해서 양산되고 있는 미술치료 근거들과 임상현장에서의 미술치료사들의 목소리, 서비스 사용자 그리고 의료기관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사항을 충실하게 반영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한다. 셋째, 한정된 연구자원을 집결시켜 검정력이 높은 대규모, 다기관 집단연구를 전개한다. 마지막으로 경제성평가와 미술치료 산업 규모를 조사하여 미술치료의 경제적 효용성과 경제적 기여에 대한 근거를 양산한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evidence based practice in art therapy, the positive effects of art therapy on clients with medical needs have reported. The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is a decisive process for coverage under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The acceptance criteria for new health technologies are efficacy, economic evaluations and guidelines. The British Association of Art Therapists is increasingly taking central role in conducting a number of studies on efficacy, economic evaluation and developing guidelines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Stepwise strategies are required for new art therapy medical technologies. Stepwise strategie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ers must identify art therapy research resources and target research areas. Second, art therapy guideline must be developed to reflect the interests of art therapists in specific clinical fields, service users and medical institutions. Third, a large scale multi-centered study should be carried out by assembling limited resources. Finally, a number of grounds on economic utilities and contributing effects of art therapy produced by investigating economic scale and assessment of cost-effectiveness of art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