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러시아 국가경쟁력 분석 : IMD World Competitiveness Scoreboard를 중심으로

        이종문 釜山外國語大學校國際通商硏究所 2015 國際經營論集 Vol.28 No.-

        Analysis of Russian global competitiveness 9)Lee Jong Moon* This paper analyzed comprehensive contemporary issues of competitiveness of Russia on a global economy. The paper revealed both competitiv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Russia in the World Competitiveness Scoreboard over the last ten years through the IMD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2005∼2014), and examined the major factors contributing to or impeding to increased rating of the world competitiveness. Based on this, I suggested some strategic directions of further development which could improve the world ratings of Russia. Key Words: Russian economy, National competitiveness, World Competitiveness Scoreboard * Busan 무역장벽이 완화되고 자본, 상품, 서비스, 노동의 자유로운 이동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면서 세 계 경제는 하나의 거대한 시장으로 재편되었고 각국은 무한경쟁에 직면하게 되었다. 경쟁력이 약한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설자리를 잃고 도태되면서 경쟁력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 다. 경쟁력 강화를 위한 개별 기업의 노력뿐만 아니라 기업이 무한경쟁의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국가차원에서의 역량 결집이 중요한 화두가 되 면서 국가경쟁력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오늘날 IMD나 WEF와 같은 국가경쟁력 분석 기관들은 주요 경제 및 사회지표들을 이용해서 매년 주요 국가들의 국가경쟁력을 측정하고 순 위를 발표해 오고 있다. IMD는 1989년부터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을 발표하면서 OECD 국가를 포함한 주요 60개 국가들의 국가경쟁력 순위를 발표해 오고 있으며, WEF는 1979년부터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를 발표하면서 IMD 보다 많은 국가들을 대상으로 하여 국가경쟁력 순위를 발표하고 있다. IMD와 WEF의 국가경쟁력지수 발표는 세계 각국, 특 히 이머징마켓 국가들의 정책결정자 및 일반 국민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고는 러시 아가 시장경제지위를 획득한 2005년 이후부터 2014년까지 10년 동안 국가경쟁력 추이를 고찰하 고 취약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Ⅱ장에서는 국가경쟁력 개념 및 평가방법에 대해 살펴봤으며, Ⅲ장에서는 IMD 국가경쟁 력지수를 이용해 2005년부터 2014년까지 10년간 러시아 국가경쟁력 추이를 살펴보고, 강점요인 과 취약요인을 분석했다. Ⅳ장에서는 러시아 국가경쟁력 취약요인을 중심으로 경쟁력 향상을 위 한 방안을 제시했다. Ⅴ장 결론에서는 IMD 평가의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했다. 주제어: 러시아 경제, 국가경쟁력, 세계경쟁력스코어보드

      • KCI등재

        문화경쟁력 평가를 통한 도시 브랜딩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 문화경쟁력과 도시발전가능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구승회 한국광고PR실학회 2009 광고PR실학연구 Vol.2 No.2

        문화경쟁력이 과연 도시의 미래발전성을 담보할 수 있을까? 본 연구는 도시의 문화적 경쟁력에 대한 평가를 통한 도시 브랜딩의 방향성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초조사를 통해 7개 부문, 27개의 세부 지표를 설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7대 광역도시에 대해 각 도시의 지역민들을 상대로 각 도시의 문화경쟁력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도시 발전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생활환경’, ‘문화경쟁’, ‘문화행정’, ‘문화관광’ 등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대부분의 항목에서 가장 높은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광경쟁력의 항목에서는 상대적 취약성을 나타내었다. 부산은 모든 영역에서 서울 다음으로 자리하고 있었으며, 관광경쟁력 요인에서는 서울을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경쟁력 평가를 통해, 각 도시 간 관광경쟁력을 측정하고 이 결과가 결국 도시의 미래경쟁력을 담보한다는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 문화경쟁력을 갖춘 문화도시가 도시의 미래 경제력을 받침하고 발전의 동력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와 더불어 각 도시의 문화경쟁력을 진단할 수 있는 상시적 분석의 틀을 갖추었다는 것에 그 의미가 있다.

      • KCI등재

        국가경쟁력과 국제경쟁력 간 연관분석 -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한 지식기반경제에서 한국·중국·일본을 중심으로-

        한수범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7 e-비즈니스 연구 Vol.18 No.6

        This Study analyze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analysis framework and the analytical institution, and derives the analysis results using the competitiveness index to analyz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s a result of the study, Korea ranked 29th in Korea, 18th in China, and 26th in Japan among 63 countries for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evaluation results through IMD, the result of the WEF evaluation showed 26th place in Korea, 27th place in China, and 9th place in Japan, and the rankings of the target countries were slightly different from the evaluation results. The difference in rankings among the two organizations that publish the ranking of national competitiveness is due to the different analysis variables. However, in terms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ere is a standardized formula for measuring competitiveness. There is no concept of ranking because the variables applied to this formula vary depending on the export / import and the destination country, it will be possible to evaluate the degree of competitivenes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mpetitiveness in import and export by inputting Korean, Chinese, and Japanese markets to the world market. It is useful for analyzing competitiveness in detail because it has a smaller range of application variables than national competitiveness. 본 연구는 국가경쟁력 분석틀과 분석기관을 통해 도출된 평가결과를 분석하고, 국제경쟁력을 분석 하기 위해 경쟁력 지수를 활용하여 분석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국가경쟁력측면에서는 IMD를 통한 평가결과에서 총 63개국 중에서 한국 29위, 중국 18위, 일본 26위의 경쟁력을 갖고 있었고, WEF 평가결과에서는 한국 26위, 중국 27위, 일본 9위 등으로 나타났고, 대상 국가들의 순위는 평가결과에서 다소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가경쟁력의 순위를 발표하는 두 기관에서도 순위에서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분석 변수가 각각 다르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국제경쟁력측면에서는 경쟁력을 측정하는 표준화된 수식이 있고, 이 수식에 적용되는 변수 들은 수출입과 상대국이 어디냐에 따라 결과 값이 달라지기 때문에 순위에 대한 개념은 없지만, 상대 국에서 한국, 중국, 일본의 경쟁력이 얼마나 되는지에 대한 평가는 내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시장을 대상으로 한국, 중국, 일본 시장을 투입해서 수출입에서의 경쟁력을 분석하였 는데, 국가경쟁력보다는 적용 변수의 범위가 작으므로 보다 자세하게 경쟁력 분석에 유용하다고 할 수 있겠다.

      • 과학기술 및 ICT분야의 국가경쟁력 지수 비교 연구

        강희종,김기국,신승우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3 정책자료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정부는 범부처 차원에서 ‘7대 중점 관리분야*’를 선정하고 분야별 취약요인을 분석하여 개선과제를 발굴할 예정임. 이를 국가경쟁력정책협의회 및 경제장관회의에 상정, 실질적인 제도개선 추진 및 이행을 담보할 계획* 무역·투자장벽, 노동시장, 금융제도, 신뢰·투명성 등 사회적 자본, 기업경영활동, 과학기술, 교육○ 미래부는 IMD, WEF의 과학기술분야와 ITU의 ICT분야 취약요인에 대한 개선과제 도출을 담당○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 및 ICT분야 국가경쟁력 지수 중 IMD, WEF 및 ITU 지표를 심도있게 비교, 분석하여 지표의 정확한 활용에 기여하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 연구내용- 국가경쟁력의 정의 및 측정 방법 고찰- IMD, WEF, ITU 국가경쟁력 지표의 의미 및 한계 고찰- 과학기술 및 ICT분야 국가경쟁력 지표 비교 및 심층 분석- 관련 문헌조사 및 전문가 심층 인터뷰 ○ 연구범위- 국가경쟁력의 이론적 고찰- 3대 국가경쟁력 지표의 과학기술 및 ICT 분야 평가결과 심층 분석 - 전문가 의견 분석 및 종합 정리 ○ 연구방법- 문헌조사 및 전문가 발굴- IMD, WEF, ITU 평가결과 지표 분석- 전문가 심층인터뷰- 유형화, 개념화 및 종합정리 결론 ○ 연구개발 투입 부문 경쟁력 우수- 연구개발 투자 및 인력 우수- 기업의 혁신 역량은 미흡 ○ 연구개발 과정 부문 경쟁력 미흡- 기업 혁신 역량 미흡- 산학 협력 미흡 ○ 연구개발 성과 부문 경쟁력 양호- 지적재산권 우수- 첨단기술 제품 비중 감소 중 ○ 연구개발 인프라 부문 경쟁력 - 인력조달 환경 우수- 과학적 환경 양호- 지재권 보호 미흡- 정보보안 미흡- ICT 환경 우수- 정부지원제도 개선 중 ○ 기업의 ‘기술혁신 역량’ 경쟁력이 하락 추세이므로 정부차원의 대책이 필요함 정책제언 ○ 기업 기술혁신 역량 제고 방안- 기업의 기술혁신 현황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지식재산권 보호 강화를 통한 기술혁신 기반 마련- 실질적인 산학협력을 통한 기업 기술혁신 역량 강화

      • KCI등재

        호텔산업 경쟁력 평가에 관한 연구 :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봉미희 한국기업경영학회 2020 기업경영연구 Vol.27 No.6

        본 연구에서는 인천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호텔산업 경쟁력 진단을 하기 위하여 호텔산업 경쟁력 관련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정성적 평가요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평가요소를 바탕으로 호텔산업 성과평가와 지역관 광경쟁력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3개 의 가설을 수립하여 각각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경쟁력, 관광경쟁력에 대하여 관련 국내·외 문헌연구 및 유사사례를 조사하고 둘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호텔산업 경쟁력 요인을 도출하고 셋째, 호텔산업 경쟁력 진단지표, 호텔산업성과평가, 지역관광경쟁력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수행하 고자 인천 지역의 4, 5성급 호텔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구성원들을 모집단으로 규정하여 약 20일 동안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지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AMOS 분석 도구를 통하여 구조방 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호텔산업 경쟁력 요인인 요소조건_인프라, 요소조건_매력도, 관련 및 지원산업, 경영여건, 인적자원 요소는 호텔산업 성과평가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둘째, 호텔산업 성과평가가 지역관광경쟁력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호텔산업 경쟁력 요인 중 호텔산업 관련 및 지원산업과 정부 요소만 지역관광경쟁력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을 통해 검증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학문적ㆍ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qualitative assessment factors based on prior research on hotel industry competitiveness in order to diagno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hotel industry in Incheon area, and to present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otel industry performance evaluation and regional tourism competitiveness based on the extracted evaluation factors. To achieve this goal, thre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to verify each hypothesis. First,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search and similar cases were investigated for competitiveness and tourism competitiveness. Second, the existing developed indicators were corrected and supplemented. Third, hotel industry competitiveness index, hotel industry performance evaluation, and regional tourism competitiveness were analyzed. In order to perform the empirical analysis, the members with experience using 4 and 5 star hotels in Incheon were defined as a population, and surveys were conducted based on online and offline questionnaires for about 20 days to extract sampl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the AMOS analysis tool.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etitive factors of the hotel industry except government factor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the hotel industry performance evaluation. Second, the hotel industry performance evalu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regional tourism competitiveness. Third, only the hotel industry-related and support industries and government factors among hotel industry competitiveness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significant influence on regional tourism competitiveness. Based on the results verified through analysi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 한국 기술경쟁력의 평가와 전망

        이원영,박용태,정선양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1 정책연구 Vol.- No.-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기술경쟁력의 현주소와 미래의 잠재력을 평가하는 데 있다. 세계 여러 나라와의 경쟁이라는 관점에서 한국 기술경쟁력 현 위치와 잠재력을 평가한다. 그동안 기술경쟁력에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있었다. IMD(Interna - 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는 국가경쟁력의 한 부문으로 기술경쟁력을 1996년 이래 매년 평가하고 있다. 홍사균(1994, 1995)에서는 과학기술의 투입과 산출 지표를 종합한 복합지표를 사용하여 한국의 과학기술수준을 세계의 주요국가와 비교하였다. 앞에서 제시된 기술경쟁력 관련 연구는 주로 기술경쟁력의 국가별 순위를 매기는데 주 목적이 있었다. 그러나 이 연구는 기술경쟁력의 순위를 부여하는 것이 목적은 아니다. 그대신 기술경쟁력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가 무엇인가를 밝히고, 각각에 대해서 선진국 또는 중진국과 한국의 장단점등을 비교한다. 제 2장에서는 이보고서에서 다루어질 기술경쟁력 평가의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그 핵심내용은 경쟁력의 관점을 현위치(position)뿐 아니라 과정(process), 경로(path)로 확대한 것이다. 여기서 현위치란 현재까지 이루어진 것들을 의미하는데, 기술혁신을 위한 자원투입과 성과를 지칭한다. 과정이란 기술혁신을 추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국가기술혁신시스템의 효율성이 과정에 해당한다. 경로란 경쟁력을 진화론적인 관점에서 해석하는 것으로, 과거로부터 넘겨진 유산이 미래에 어떤 작용을 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 방법론은 Teece(2000)가 기업경쟁력을 평가하기 위해 도입한 방법론과 유사하다. 그러나 현위치, 과정 및 경로로 나누어진 영역의 세부 평가 내역은 Teece의 기업경쟁력 평가의 내역과는 전혀 다르다. Teece의 방법론은 기업단위에 적용하는 것인데 반하여, 이 연구의 방법론은 국가 단위에 적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현위치는 연구개발투자, 연구인력, 특허 등 현시점에서 기술경쟁력의 성취를 나타내는 요소들로 구성되었는데 이는 홍사균(1996)에 포함되 었던 기술경쟁력 평가 요소와 유사하다. 과정은 주로 국가기술혁신시스템의 주요분야인 기업경영, 산학연 협력, 교육 훈련, 세계화, 정부행정 효율 등을 망라한다. 경로는 미래 기술파라다임에 대한 준비와 기술적 기회의 선택 능력을 포함한다. 현위치에 대한 평가는 제 3장에 수록되었다. 기술혁신 관련 투입 측면에서의 지표는 선진국 수준을 육박하였다. 국내총생산 대비 연구개발투자의 비율 등은 소수의 기술선진국을 제외하고는 세계 최고 수준이다. 인구비례당 대졸인력의 공급은 세계 최고 수준이며, 연구인력의 수도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반면에 산출 측면의 지표는 투입측면에 지표에 비해서는 선진국과 상당한 격차를 보인다. 세계 최고 기술수준 보유건수를 보면 한국은 선진국과 현격한 격차가 있으며, 산업별 기술수준의 평가에 있어서도 한국은 선진국과 평균적으로 약 5.8년의 기술격차가 있다. 특허 출원과 학술논문 발표 수는 최근에 급속히 신장되는 추세이기는 하나 선진국에 비해서는 현격하게 열세이다. 제 4장부터 제 7장까지는 과정부문에 해당하는 내역으로 제 4장은 산학 협력을 다루고 있다. 선진국과 비교한 한국연구개발구조의 특징은, 전체 연구개발투자 중 정부부문투자의 비중이 낮으면서도, 정부부문투자의 대부분이 기업보다는 공공연구기관과 대학으로 투입된다는 점이다. 즉 정부부문연구개발과 기업부문연구개발이 연구비조달과 사용면에서 격리되어 있다. 이를 다시 말하면, 산학연간의 협력이 부진하다는 의미이다. 한국의 산학연 협력 수준은 선진국은 물론 대만, 이스라엘 등 경쟁상대국 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산학연간의 공동연구나 협력연구가 부진하고 인적 교류도 매우 저조하다. 제 5장은 한국기업의 기술경영 능력을 선진국의 기술경영 능력과 비교 하였는데, 한국 기업의 기술경영능력의 정도는 기업의 규모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약 2.6세대 정도일 것으로 판단하였다. 여기서 제 1세대 기술경영은 기술경영의 초보적인 단계이며, 제 2세대는 개별 프로젝트 및 개별 연구부서 관점에서의 기술경영을 수행하는 단계이며, 제 3세대 기술경영은 기술경영을 전사적 전략적 차원에서 수행하는 단계이며, 제 4세대는 불연속적 혁신의 창출을 목표로 기업 내·외부의 통합적인 관점에서 기술경영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IMF 경제위기 이후 한국 대기업의 최고경영자들의 기술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기술전략의 수립에 있어서 전사적 중장기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에 대한 의지는 높지만, 기술경영능력 면에서는 대기업에 비해서 상당히 열세이다. 제 6장은 인적자원개발시스템을 평가한다. 교육 부문은 한국의 높은 교육열 때문에 그동안 한국의 강점이었으나, 이제는 더이상 그러한 가정이 성립되지 않는다. 평준화를 근간으로 하는 초, 중, 고 교육은 창의적이고 차별화된 교육을 방해하는 요인이며, 학생들이 학업에 투입하는 노력이나 시간에 비하여 이루어 내는 성취도는 낮은 실정이다. 대학 교육과 연구는 점차로 개선되는 추세이나 아직도 세계 일류라 할 수 있는 대학은 하나도 없다. 학과 정원의 고착화 등 인력 공급의 경직성 때문에 인력 수급상의 불균형이 크다. 한국 인적자원개발시스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과제로는, 분권화를 위한 다양화 추구, 지식정보사회에 적합한 보상시스템으로의 전환, 노동시장의 유연화와 중견인력의 유동성 증대 등이 제안되었다. 제 2장의 방법론에서 성과부문의 평가영역으로 포함되었던, 세계화의 적응, 정부의 행정 효율, 과학기반 및 인프라구축 등은 이 보고서에서 다루지 못하였다. 제 7장은 경로라는 관점에서 한국 기술경쟁력을 평가한다. 한국의 산업발전과 기술축적 과정을 통해서 남겨진 유산을 세 가지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첫째, 조립가공형 산업으로부터 산업이 발전되었기 때문에 산업 구조의 완결성이 취약하다. 특히 시스템통합산업의 경쟁력이 약한 것은 앞으로의 창조적 혁신을 저해하는 요인이다. 둘째, 모방형 기술개발전략 하에서 형성된 제도와 조직이 창조형 기술개발전략에 부합하도록 충분히 적응하지 못하였다. 특히 대학과 공공연구기관의 변화에 대한 적응 속도가 느리다. 셋째, 정보통신 등 미래의 신기술파라다임에 대한 준비는 비교적 잘 돼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한국기술경쟁력의 강점과 약점을 종합적으로 요약하면, 강점은 주로 현위치 측면에 있는 반면 약점은 과정에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기술 경쟁력의 미래에 심각한 우려를 제기한다. 장기적인 경쟁력을 좌우하는 것은 현위치이기 보다는 과정 즉 역동성이기 때문이다. 사실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가진 것이란 허망한 것이다. 현재의 기술수준이 높더라고, 이를 끊임없이 개량하고 새로운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이 없다면 미래의 전망은 어둡다. 기술이나 정보는 실물 자산보다 진부화율이 매우 높다. 경로라는 관점에서의 평가에서 중요한 결론은 정보통신, 생명과학 등 신기술파라다임에 대해서 한국은 산업기반의 측면에서는 비교적 준비가 잘돼있기는 하나 창조적 혁신능력은 아직도 취약하다는 것이다. 제 8 장에서는 앞에서의 결과를 요약하고, 향후의 연구 과제를 제시한다. 우선 제2장에서 평가요소로 구분되었지만, 본문에서 구체적으로 다루지 못한 부문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세계화의 적응, 정부의 행정 효율, 과학기반 및 인프라구축 등과 관련해서 한국의 경쟁력을 평가 해야 한다. 다음으로 이 연구에서 다루어진 내용들을 종합하고 계량화하여 경쟁력의 순위를 매기는 일도 앞으로 중요한 과제로 대두된다.

      • KCI등재

        우리나라 7대 광역시와 세계 770개 도시 경쟁력 비교분석 - Oxford Economics 자료에 근거한 도시경쟁력 -

        조재호 한국지역학회 2017 지역연구 Vol.33 No.4

        This study ranks by developing an urban competitiveness index of major global cities, including seven citie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Global Cities Forecast (2013) provided by Oxford Economics. The City competitiveness index is selected from 18 indicators including scale index, ratio index, growth rate index while Gini coefficient is used for distribution index.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etitiveness index and the distribution index, we use the LOGIT panel regression model. As a result, the increase in income inequality (Gini coefficient)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economic growth rate in 5-year time lag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We have compiled global rankings of 770 city competitiveness based upon 19 indicators by combining the global competitiveness index and the distribution index. The trend of rank shows that 7 Metropolitan Korean Cities are expected to decline substantially over the period. In particular, Seoul ranked 59th in 2010 and 74th in 2015. Its ranking is expected to be decline to 189th in 2030. The declining competitiveness of Korean cities is expected to lead to a weakening of Korea’s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long run. Accordingly, it is imperative to identify problems and seek strategic plans to secure global urban competitiveness. 본 연구는 Oxford Economics에서 제공하는 Global Cities Forecast 자료(2013)를 이용하여 한국의 7대광역시를 포함한 전 세계 주요도시의 경쟁력지수 및 분배지수를 산출하고 그 종합순위를 정리하였다. 도시경쟁력지수는 규모지표, 비율지표, 성장률지표 등 총 18개 경제관련 지표를 선택하였고, 분배지수로서 지니계수를 이용하였다. 경쟁력지수와 지니계수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LOGIT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추정결과 소득불평등(지니계수) 증가는 5년 시차로 볼 때 도시경쟁력지수 또한 경제성장률 변화에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지니계수가 높을수록 도시경쟁력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추정결과에 따라 도시경쟁력지수에 분배지수를 포함시켜 총 19개 지표로 세계주요 도시 및 국내 7대 광역시의 글로벌 도시경쟁력 위상을 정리하였다. 2012년 실질가치 기준으로 계산된 서울의 도시 종합경쟁력 순위는 2010년 세계 59위, 2015년 세계 74위, 2030년에는 세계 185위로 급격히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나머지 6대 광역시의 종합경쟁력지수도 모두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경쟁력 하락은 장기적으로 국가경쟁력 하락을 의미하므로 도시경쟁력 확보를 위한 문제점 진단과 전략적 방안의 강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 시․도별 지역경쟁력 측정과 지역경쟁력 결정요인

        조철주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08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0 No.2

        최근 경제가 지식기반구조로 전환되면서 개별 기업차원의 경쟁력에 대한 논의를 넘어 영역 차원에서도 경쟁력을 정의할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경쟁력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차원에서의 경쟁력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여 이를 광역자치단체 차원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시·도별 지역경쟁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지역경제성장에 관한 다양한 이론으로부터 지역경쟁력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유도하였다. 이 방법에 따라 설정된 다 계층 지역경제성장모형을 준거로 지역경쟁력을 측정하는데 타당하다고 생각되는 변수 내지는 요인들을 추출하고 실제 자료를 이용하여 시·도별 지역경쟁력을 측정하였다. 충북의 경우 전반적으로 전국의 시·도 중 중간 정도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16개 시·도 중 대체적으로 측정 계층에 따라 4위에서 8위 사이의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투입요인에 의한 경쟁력은 2000년 8위에서 2005년 6위로 상승하였고, 지역구조에 의한 경쟁력에서는 동 기간 4위에서 7위로 3계단 하락, 지역산출과 및 지역결과 의한 경쟁력은 모두 6위에서 7위로 한 단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근거로 볼 때 충북의 지역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면적 접근이 필요하다. 즉 지역경제구조를 경쟁력 있는 구조로 전환시키는 정책이 필요하며 노동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이 강화되어야 함과 동시에 지역노동력의 취업을 촉진시키기 위한 양질의 정보서비스와 취업알선 프로그램 등이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s the economy is transformed to the knowledge-based structure, debate on competitiveness is extended to the national and regional levels. This research aims to devise a plausible method of measuring regional competitiveness, and to apply the method to evaluate the competitiveness of provinces in Korea. The method of measuring competitiveness is induced from the various theories that address the indigenous growth process of regional economies. The method developed in this research is structured as a hierarchy of three strata, each of which is further divided into economic, social and physical facto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s applied to provincial competitiveness show that Chungbuk Province is positioned around middle among 16 provinces. Measured at the input level, the competitiveness of Chungbuk Province was ranked 8th in 2000, but has improved to 6th in 2005. On the other hand, when measured by the structure factors, the same period shows that the competitiveness has moved backward from 4th in 2000 to 7th in 2005. Finally, the evaluation by the regional output and the regional outcome strata indicates a one step fall from 6th to 7th for the same period.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imply that various policie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regional competitiveness. That is, policy efforts should be done to transform the regional economy competitive, including a diversity of targeted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that can devote to the enhancement of labor skills and productivity.

      • KCI등재

        소비자 선택기반의 항공사 노선경쟁력 모형개발 연구

        윤문길 ( Moon-gil Yoon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7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5 No.3

        우리나라 국제선 항공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국적 항공사의 수익성은 저비용 항공사를 제외하고 크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항공시장에서의 수익성 확보는 항공사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필수적 요소지만, 최근 수년간 국제선 시장의 성장추세에 비하여 국적항공사의 성장 추세가 낮게 나타나고 있다. 항공시장에서의 성장은 항공사의 경쟁력에 의해 견인됨으로, 항공사의 경쟁력에 대한 적절한 분석과 평가가 필요하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항공사 경쟁력 평가를 항공사의 효율성 분석 또는 생산성 분석등의 연구를 통해 시도되어 왔다. 그러나 이 같은 연구는 항공사 조직 전체의 포괄적 성과에 대한 분석으로, 각 노선에서의 경쟁력 평가에는 적절하지 못한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 경쟁력을 개별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나타내는 노선경쟁력을 대상으로 분석모형을 제시하였다. 특히, 노선경쟁력이 소비자의 선택에 의해 나타나는 것임으로 소비자 선택을 고려한 노선경쟁력 모형을 제시하였고, 이를 항공사의 공급경쟁력과 항공사 특성경쟁력으로 분해하여 분석함으로써 각 항공사의 현재의 경쟁력 입지를 확인함과 동시에 향후 노선경쟁력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2010년~2015년의 여객수송 실적을 이용한 실증분석에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을 통해 노선경쟁력을 분석하는 데 의미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항공사 노선경쟁력 분석 모형이 고객선택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것으로 항공사 경쟁력 분석과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향후의 연구에서는 항공사 특성경쟁력을 가격, 서비스 품질, 고객관계관리등의 세부적인 속성으로 세분하여 분석함으로써 항공사 특성경쟁력에 미치는 각 속성의 영향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 같은 연구에 효과적으로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irline market has been growing continuously for past several years in Korea. However, even the market volume is enlarged, the legacy carrier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re financial profitability excepting low cost carriers. The profitability will be driven by the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s. With literature review, we can find many researches dealing with competitiveness in airline industry. However, most of them has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efficiency or/and productivity among airlines. In this paper, we focus to develop a model for evaluating market competitiveness of each airlines in airline market. The market competitiveness can be divided into two attributes; supply and airline self competitiveness. Using customer choice model, we suggest a new model for analyzing market competitiveness of airlines. From empirical analysis with historical data, we can find that our model will be good to evaluate the market competitiveness of each airline in each route or each regional market. Furthermore, it can be useful to drive some strategies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competitiveness of each airline. Even we have tried an exploratory study on the market competitiveness model in airline markets, our model may be expandable to further study effectively.

      • 공공기관의 경쟁력 평가모델 및 지표 개발 연구

        김예은,조재언,신완선,김주찬,조지훈 한국품질경영학회 2023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0

        기존에 제시되고 있는 공공기관 평가 체제로 대표적으로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가 있으며, 이는 공공기관의 경쟁력 수준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 전체와 유형별 경영실적 상태를 점검하는 것뿐만 아니라 경쟁력 수준을 높이기 위해 중점을 두어야 할 분야가 무엇인지를 식별을 지원하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미래 환경 변화의 대응에 활용하고, 국가 차원의 공공기관의 경쟁력 수준을 파악하여 관리할 수 있는 통합 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국가 및 기업 관점의 경쟁력 개념을 정리하여 미래지향 관점에서의 공공기관의 경쟁력을 새로 정의하였다. 다이아몬드 모델 및 키워드 분석에 기초하여 경쟁력 평가모델의 핵심 가치를 정립하였고, 품질기능 전개 및 계층적 군집 분석을 통해 경쟁력 체계 및 관점을 반영한 국내 공공기관 경쟁력 평가모델을 설계 및 도출하였다. 평가모델의 적용과 활용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시범 조사를 하였다. 조사결과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공공기관 경쟁력 평가지표 활용방안 및 보완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궁극적으로 공공기관 경쟁력 평가모델은 4대 경쟁력 범주에 16개 평가항목, 총 37개의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이는 공공기관 종합 및 유형별 경쟁력 수준을 파악하여 공공기관의 실질적인 개선을 유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공공기관의 중장기 발전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향후 연구를 통해 경쟁력평가 모델을 기존 경영평가의 객관성을 보완하는 수단으로 활용하며, 유연한 연계 운영 방식의 채택을 통해 공공기관 평가제도를 지속해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