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영권 방어수단의 존재가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결정에 미치는 영향

        박하연,이아영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2 경영컨설팅연구 Vol.22 No.5

        본 연구는 국내기업들의 경영권 방어수단의 존재 여부가 재무분석가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재무분석가의 의사 결정과정에 있어서 기업의 회계정보는 매우 중요하게 활용되므로, 재무분석가들의 예측 결정에 있어서 핵심적인 요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 업의 경영권 방어수단이 존재하는 기업이 제공하는 회계정보의 대표적인 정보이용자라고 할 수 있는 재무분석가에 주목하여 경영권 방어수단 이 자본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정관규정을 직접 조사하여 경영권 방어수단의 존재여부를 수 집하고, 경영권 방어수단의 존재와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정확성 및 편의성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경영권 방어수단이 존재하는 기업에 대한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정확성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영권 방어 수단이 있는 기업이 제공하는 훼손된 회계 정보로 인하여 재무분석가는 이익예측과정에 있어서 어려움을 가져온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경영권 방어수단이 경영권의 안정을 지나치게 보장함으로써 경영자가 사적이익을 위한 경영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국내 자본시장 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경영권 방어수단과 재무분석가 예측편의성 간에는 유의한 음(-)의 관련성을 보였다. 이는 경영권 방어수단이 존재하는 기업에 대하여 재무분석가는 보수적인 태도를 취함으로써 경영권 방어수단이 존재하지 않은 기업에 비해 상대적 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내린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경영권 방어수단이 자본시장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설명할 수 있는 변수인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공헌점이 있다. 특 히 선진국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외부지배구조가 취약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국내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함으로써 경영권 방어수단의 존재 가 기업지배구조를 개선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nti-Takeover Provisions(ATP) of Korean companies on analysts’ earnings forecast error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financial analysts, corporate accounting information is used very importantly, so the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earnings forecasts of financial analysts. In this study, the impact of corporate Anti-Takeover Provisions on the capitalmarket was analyzed by focusing on financial analysts. In this study, the existence of ATP was collected by reviewing the regulations of listed companies from 2015 to 2017.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istence of ATP and the earnings forecast of financial analysts are as follows. Financial analysts' earnings forecasting accuracy for companies with ATP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 This can be interpreted as causing difficulties in the profit forecasting process of financial analysts due to damaged accounting information provided by companies with ATP. It seems that ATP guarantees the stability of management rights too much, causing managers to manage for personal gain, which seems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capitalmarket as well.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TP and the forecast bias of financial analysts. It can be said that financial analysts take a conservative attitude toward companies with ATP and make relatively negative predictions compared to companies without ATP.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at ATP is a variable that can explain the effect on the capital market. In particular,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n implication about whether ATP plays a role in improving corporate governance by empirically analyzing Korean companies, which are evaluated to have relativelyweak external governance compared to advanced countries.

      • KCI등재

        경영자 이익예측 공시 이후 재무분석가 예측수정의 특성

        이동헌 ( Dong Heun Lee ),유승원 ( Seung Weon Yoo ) 한국회계학회 2012 會計學硏究 Vol.37 No.3

        본 연구는 경영자 이익예측정보 이후 나타나는 재무분석가 예측의 수정선택과 수정정도의 결정요인을 살펴본다. 경영자 이익예측 공시 이전 1,159개의 재무분석가 예측치 중에서 673개의 예측이 수정되었으며 이와 관련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자 이익예측 공시 이후 경영자 이익예측과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의 차이가 작을수록, 명성이 높은 재무분석가일수록, 대규모 증권사 소속 재무분석가일수록 수정예측에 관한 보고를 공시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는 재무분석가 예측수정의 공시의 결정에 있어서 경영자 예측정보의 특성 및 재무분석가 인적특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수정된 재무분석가 예측은 경영자 이익예측과의 차이를 반영하고 있으며, 명성있는 재무분석가는 이러한 예측정보의 차이를 적극적으로 반영한다. 이러한 실증결과는 우리나라에서 재무분석가는 경영자 이익예측정보를 예측수정에 반영하고 있으며, 경영자 이익예측이 자본시장에서 중요한 정보의 원천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추가분석에서는 사전적으로 재무분석가 예측오류가 경영자 예측오류보다 클 때, 재무분석가는 경영자 예측정보를 수정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무분석가가 경영자 예측정보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해석하고 이를 활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재무분석가의 예측수정의 공시와 관련해서 내재적 특성에 관한 근거와 이론적 모형은 제시되었으나 실증적 검증은 미진하였다. 본 연구는 경영자 이익예측차이 및 재무분석가 인적특성과 같은 수정예측의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재무분석가의 예측수정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확장하였다. 또한 경영자 이익예측공시와 같은 특정 정보가 재무분석가 예측수정에 어떻게 반영되는 가를 검증함으로써 시장참여자에게 재무분석가 예측정보의 활용에 대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Management Forecasts are one of voluntary public information in capital market, which plays an affirmative role to reduce information asymmetry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market resource allocation (Diamond 1985; Verrecchia 2001). Analysts have a function to transfer and create information about firms in market. Prior research suggest that firms and analysts have mutually interrelated by sharing information about firms. However it has never been empirically investigated how analysts reflect the contents of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in their revised forecasts. This paper examines what determines analysts` revision decision and how much analysts reflec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in their revised forecasts in Korean capital market for the sample period from 2000 to 2009.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ikelihood of analysts` revision increases with analysts` reputation, brokerage size and the difference between management forecast and prior analyst forecasts.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properties of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analysts affect the revision decision making of analysts. In terms of analysts, analysts make an high effort to maintain their reputation by utilizing the new public information, such as management forecasts. Also analysts, which work for big brokerage, are capable of lower their input for analyzing firms by taking advantage of information accessibility. Second, analysts reflect the difference between management forecasts and their prior earnings forecasts in their revised forecasts. Also, analysts who has the reputation have more tendency to reflec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Furthermore, when analysts forecasts error is bigger than management forecasts. Also the more accurate management forecasts are used to revise analysts earnings forecasts, which suggests that management forecasts improves the market efficiency and alleviate information asymmetry. However prior research has focused on analysts revision behaviors after management forecasts, assuming that analysts earnings forecasts are homogeneous. They report that analyst take advantage of management forecasts information, which implies that management forecasts improves the quality of analysts` earnings forecasts overall. Recently analysts forecasts are differentiated by analys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variables, such as, analysts reputation, work complexity, and brokerage size (Clement 1999; Clement and Tse2005). They imply that analysts respond to new informa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nalysts are responsible to management forecasts and how much they reflect management forecasts to their revised forecasts heterogeneously by using individual analysts reports. This paper provides incremental contributions in suggesting the role of analysts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forecasts properties. Also this paper extends literature linked to the properties of analysts revisions by presenting the empirical results that diverse and specific characteristics of analysts determine the revision decision after management forecasts. In conclusion, this paper helps understanding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analysts regarding revision behavior.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재무분석가 정보를 활용하고자 하는 경영자의 유인이 경영자의 예측공시 성향과 산업집중도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경혜(제1저자) ( Kyung Hye Kim ),유승원(교신저자) ( Seung Weon Yoo ) 한국회계학회 2015 회계학연구 Vol.40 No.6

        본 연구는 재무분석가가 경영자의 예측공시 의사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경영자가 재무분석가로부터 정보를 얻고자 하는 유인이 있을때 경영자 스스로 예측정보를 공시함으로써 재무분석가로부터 정보를 유도하고자 하는지 검토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경영자와 재무분석가는 자본시장에서 예측정보를 제공하는 대표적인주체들로서, 이들의 예측정보는 서로 간에 정보를 교환하거나 견제하는 등의 긴밀한 상호작용(interaction)을 한다. 그러나 경영자가 재무분석가의 예측의사결정이나 분석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 및 실증 연구는 다수 이루어진 것에 비하여, 이와 반대 방향으로 재무분석가가 경영자의 예측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실정이다. 또한 경영자가 재무분석가의 예측정보를 활용하고자 하는 유인에 따라 어떠한 예측의사결정을 하는지를 살펴본 연구는 대부분 이론연구에 치우치고 있다(Mittendorf andZhang 2005; Arya and Mittendorf 2007; Beyer 2008; Langberg andSivaramakrishnan 2010; 2012). 이에, 본 연구는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경영자는 재무분석가로부터 여러 유용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rya and Mittendorf 2007; Ramnath et al. 2008; Langberg and Sivaramakrishnan 2010; Chen etal 2010; Livnat and Zhang 2011; 김경순 2012). 따라서 해당 기업을 따르는 재무분석가의 수가 적거나, 재무분석가의 예측 정확성이 높은경우에 경영자는 재무분석가로부터 정보를 얻고자 하는 유인이 강해질 수 있다. 또한 기업이 처한 여러 환경 중 산업의 집중도가 높아 산업 내 정보 양이 적을 경우 역시 재무분석가로부터의 정보가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상황에서 경영자가 어떠한 예측 의사결정을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재무분석가의 예측정보를 활용하고자 하는 경영자의 유인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본 논문은 2002년부터 2009년까지 공정공시를 통해 이루어진 경영자의 예측정보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집중도와 경영자의 예측공시 가능성 간에는 체계적인 음(-)의 관련성이 존재하였다. 이는 산업집중도가 증가할수록 예측치 공시에 따른 전유정보 공시비용이 높아짐에 따라 경영자의 예측 공시가소극적이게 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산업집중도와 경영자 예측정보 공시 가능성 간에 나타나는 유의한 음(-)의 관계는 예측정보 공시 직전년도 재무분석가의 수가 적을 경우 또는 재무분석가의 예측정확성이 높을 경우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무분석가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거나 재무분석가의 예측능력이 우수할 경우에 산업집중도의 심화로 인한 경영자의 비공시 유인이 완화된다는 결과로서, 경영자의 예측공시 의사결정에 재무분석가가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시사한다. 본 연구는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산업집중도와 경영자의 예측 공시 간의 잠재적인 관계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재무분석가가 이에 미치는 영향을 추가적으로 살펴 경영자의 예측공시 성향에 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재무분석가의 정보를 활용하고자 하는 경영자의 동기가 경영자의 예측 공시 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줌으로써 재무분석가가 경영자의 공시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보다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analysts`` on the management``s forecasting decisions. Specifically, we investigate whether managers provide forecast information when they want to receive such information from the analysts. According to prior literatures, managers and analysts are being considered as prominent forecast information providers in the capital market. Especially, they interact with one another by exchanging or monitoring forecast information. However, while most of the prior researches have focused on the effect of managers on the analysts`` forecasting decisions, there has been a relatively little research regarding the effects of analysts`` on the managers forecasting decision. More specifically, many theoretical and empirical papers provide evidence regarding the impact of managers on analysts, while there are a few theoretical papers regarding the opposite side(Mittendorf and Zhang 2005; Arya and Mittendorf 2007; Beyer 2008; Langberg and Sivaramakrichnan 2010, 2012).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fill this gap and provide relevant empirical evidence. Managers are able to receive valuable information from the analysts(Arya and Mittendorf 2007; Ramnath et al. 2008; Langberg and Sivaramakrichnan 2010; Chen et al. 2010; Livnat and Zhang 2011; Kim 2012). Therefore, managers have relatively stronger incentives to get forecast information from the analysts when analysts numbers are relatively low or analysts forecast accuracy is relatively high. In addition, analysts forecast information is more useful when industry concentration is relatively high, because there are fewer information in such circumstances. In order to perform the analysis, we hand collec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for fiscal years 2002-2009 from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s Data Analysis, Retrieval and Transfer System (DART). Our results are given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as industry concentration for the firm is relatively high, managers provide less forecast information. This finding implies that since the proprietary cost is higher when industry concentration is relatively high, managers become passive regarding their forecasting decision. Extant literatures demonstrate that proprietary cost has an effect on the disclosure policy of voluntarily disclosed earnings forecast. Specifically, when industry concentration is relatively high, proprietary cost would be increased. Therefore, managers would not be inclined to make an earnings forecast. Second, I find that such negative (-) association between industry concentration and managers forecasting probability becomes less when the number of analysts is relatively low or analysts`` forecast accuracy is relatively high.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nalysts`` have an effect onthe managements`` forecasting behavior. This paper, by demonstrating the systematic negative (-) association between industry concentration and managers forecasting probability, provides a new insight about the manager``s forecasting behavior. Also, establishing the fact that the significant negative (-) association between industry concentration and managers forecasting probability decreases as the analysts`` property changes, this study documents the crucial impact of the analysts`` on the manager``s earings forecasts behavior.

      • 스마트온실의 경영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전라권 딸기재배 경영체를 중심으로

        하지영,이승현,이혜림,김덕현 한국품질경영학회 2021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

        스마트온실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련 연구개발로 기술력이 고도화 됨에 따라 도입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온실 경영체 간의 소득 격차가 발생하고 있어 온실 운영의 안정성과 경제성에 리스크가 존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영성과에서 투입과 산출을 기준으로 스마트온실 경영체의 효율성 분석과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효율성 제고를 위한 의사결정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 대상은 전라권(전남·전북) 스마트온실 딸기재배 경영체이고, 19년~20년 작기 경영성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 효율성 분석은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을 적용하였고,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분위회귀(Quantile Regression)분석을 적용하였다. 효율성 분석(DEA)에서 투입변수는 10a당 변동비와 고정비, 산출변수는 10a당 매출액으로 총 3개를 적용하였다. 효율성 영향요인 분석(QR)은 DEA분석에서 도출된 효율성 값(BCC)을 종속변수로, 10a당 변동비와 고정비의 세부항목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효율성 분석 결과, 경영체의 비효율적 요소가 존재하는 영역은 10a당 고정비로 나타났다. 또한, 비효율적 경영체의 규모에 대한 수확 상태를 보면 대부분 투입과 산출방향에서 규모의 불경제성(Decreasing Return to Scale)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경영체는 가능하면 투입규모를 축소시켜 효율성을 달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영향요인 분석 결과, 종자·종묘비, 비료비, 기타재료비는 효율성에 음(-)의 영향을 미치고, 수리유지비는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효율성이 낮은 경영체는 종자·종묘비, 비료비, 기타재료비는 지출을 감소시키고, 수리유지비는 지출을 증가시킴으로써 효율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 KCI등재

        간이 경영분석기구개발에 관한 연구

        김연수,한승우 한국상업교육학회 2006 상업교육연구 Vol.12 No.-

        본 연구에서는 재무제표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기업의 재무분석을 할 수 있는 기구를 개발하였다. 기업 경영진단은 경영컨설팅에서 아주 중요하다. 먼저 우리 나라 컨설팅 제도의 발전과 쿠폰제 경영컨설팅에 대하여 요약하였다. 중소기업 육성 차원에서 정부에서 중소기업에 대하여 컨설팅 지원을 하여 주고 있는데 그 방법에 대하여 간단히 언급하고 기업경영분석을 살펴보았다. 기업경영분석은 산업은행 발간 기업재무분석을 이용하여 몇 개의 지표에 대한 산업평균을 정리하였다. 3개년도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제조원가명세서를 입력하고, 안정성비율 14개, 수익성비율 10개, 활동성비율 8개, 성장성비율 5개, 생산성비율 11개를 계산하기 위한 excel program을 이용하였다. 개발된 program에 D기업의 3개년도 재무제표를 입력하여 적용하여 보았다. 그 결과를 본 연구에서 보여 주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현금흐름정보와 시장가치에 대한 정보가 미흡하며, 컨설팅 분야가 노하우를 요하는 고 지식분야로 자료 수집이 쉽지 않았다. 추후에 다른 자료를 찾으면 본 연구에서 나타난 미흡한 점을 보완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program을 이용하여 재무제표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기업경영분석을 하여 차선의 컨설팅으로 연결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study is development Firm Management Analysis Implements(FMAI) by simple method. The method are using Financial Statements:Balance of Sheet, Income Statement and the Details of Production Cost. The business consulting are very important. The study are consulting history in Korea, investig-ations of coupon consulting by Small Business Corporation(SBC). FMAI are development using excel program. Financial ratios are use by 48 ratios. Using financial ratios are stability ratios(14), profitability ratios(10), activity ratios(8), growth ratios(5) and productivity ratios(11). Researchers believe that the firm will perform financial analysis by FMAI. The further study is improvement a narrow path items in using.

      • KCI등재

        경영자 및 재무분석가의 성장기대와 원가의 하방경직성

        양대천 한국회계정보학회 2015 회계정보연구 Vol.33 No.4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firm’s growth expectations on cost stickiness, Anderson et al., 2003) use GNP growth rates as a proxy of the expectations. Hence, GNP growth expectations may fail to reflect growth expectations specific to a firm. To mitigate this problem, we employ management’s- and analyst’s forecast data to explicitly measure the growth expectations. Analysing the effect of management’s- and analyst’s forecasts on sticky costs, we find the positive link between management’s sales forecast errors and the degree of cost stickiness. Further, the results of additional tests based on the adjusted models controlling GNP growth rates show more strong evidence in either cases using management’s- or analyst’s forecasts. Anderson et al. (2003)은 원가의 하방경직성은 기업의 성장기대에 의해 강화될 수 있다는 주장을 하였고, 성장에 대한 대용변수로서 실질GNP성장률을 사용하였는데, 경제 및 산업 전반의 성장정도가 기업의 성장기대를 제대로 반영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에도 불구하고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 성장기대를 보다 현시화해서 측정한 이후 동 성장기대가 원가의 하방경직성을 강화시키는지를 검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가 기업 성장기대에 관한 대용치로 경영자 예측치와 재무분석가 예측치를 채택하는 논리는 다음과 같다. 우선, 경제전반의 성장정도를 가늠하는 실질GNP성장률보다는, 경영자 스스로가 해당 기업의 성장 기대를 예측하여 공시한다는 점에서 경영자 예측치는 보다 직접적인 정보가 될 수 있다. 한편, 재무분석가의 성장 예측치는 시장의 합의된 성장 기대치를 반영한다. 만일 재무분석가가 경영자 예측치를 추종하는 경우는 재무분석가 예측치는 경영자 성장기대를 직접적으로 투영한다. 경영자 예측치를 추종하지 않는 경우라도 재무분석가는 정보위험을 줄이는 방향으로 예측치를 수정해나갈 것이므로, 경영자는 시장의 신뢰에 부합하기 위해 재무분석가의 성장 예측을 경영 의사결정에 고려하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기업 성장기대를 경영자와 재무분석가의 성장 예측치를 통해 측정하여, 경영자 스스로의 또는 시장에서 합의된 해당 기업에 대한 성장기대라는 보다 현시화된 기대정보를 이용하여 비대칭적 원가행태와의 관련성을 규명한다. Anderson et al. (2003) 기본 모형과 함께 통제변수를 추가한 통제 모형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경영자 예측치를 대용치로 사용하였을 때, 두 모형 모두에서 경영자의 낙관적 성장기대와 판매관리비, 인건비, 감가상각비 등 관련 원가의 비대칭성과 유의적 관련성을 보였다. 한편 재무분석가 예측치를 대용치로 하였을때는 기본 모형의 경우 인건비에서만 유의적 관련성을 보였다. 추가분석에서는 GNP성장률을 통제한 모형으로 분석하였는데, 경영자의 성장기대의 경우 판매관리비와 인건비에서 GNP성장률과는 달리 유의적으로 하방경직성을 유발하고, 재무분석가의 성장기대의 경우도 판매관리비와 인건비에서 유의적으로 하방경직성을 유발하거나 강화하고 있다. 종합하면, 경영자는 낙관적 성장기대를 갖는 경우 하방경직적 원가 의사결정을 수행한다. 반면에 시장이 낙관적 성장기대를 갖는 경우 경영자는 원가 의사결정시 이를 반영할 수 있지만 시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보다 완화된 증거가 나타난 것으로 추론된다. 본 연구는 기업 성장기대의 대용치로서 특정 기업에 특화되고 자본시장에 현시화된 대용치들을 사용하여 원가의 하방경직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Anderson et al. (2003)이 상정한 성장기대효과에 대한 보다 강건한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고 본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Anderson et al. (2003) 및 이후 관련 연구에서 상정한 원가의 하방경직적 행태의 유발원인으로서의 기업의 성장기대와 관련하여 보다 직접적인 대용치를 이용한다. 즉, 경제성장의 시기에 경영자가 기정자원 확대를 도모한다기보다는 경영자 스스로의 낙관적 기대가 확장적 자원 및 원가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였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경영자는 자본시장에 공시한 해당기 ...

      • KCI등재

        경영자 이익예측정보와 재무분석가 이익예측수정

        권수영(Soo Young Kwon),유승원(Seung Weon Yoo),황문호(Mun Ho Hwang) 한국증권학회 2011 한국증권학회지 Vol.40 No.3

        본 연구는 경영자 이익예측정보 발표 이후에 나타나는 재무분석가의 예측수정 행태를 살펴보고, 이들 예측수정 행태를 결정하는 경영자 예측정보의 정보적 특성을 분석한다. 2002년 11월부터 2008년 말까지 발표된 255건의 경영자 영업이익 예측과 이에 따른 재무분석가 예측수정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약 70.6%에 해당하는 재무분석가 예측치가 경영자 예측치를 추종하는 방향으로 수정되었으며, 예측수정 크기는 경영자 예측차이 대비 약 51.5%로 나타났다. 이는 경영자 예측정보가 재무분석가의 예측수정과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예측수정 행태의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재무분석가는 경영자 예측차이가 클수록, 경영자 예측정보가 보수적일수록, 예측기업의 이익지속성이 높을수록, 보고이익의 재량성이 낮을수록 경영자 예측정보를 추종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결산일에 가까이 발표된 경영자 예측정보일수록, 예측기업의 이익의 질이 높을수록 경영자 예측차이에 대해 증분적인 수정예측치를 제시하였다. 이는 재무분석가들이 경영자 예측치에 단순히 반응하기보다는 당해 정보의 특성뿐만 아니라 예측기업의 이익의 질까지 포괄적으로 고려하여 예측수정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추가분석에서는 경영자 예측정보가 재무분석가의 예측정확성 개선에도 유용하게 활용되어 시장의 정보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경영자 예측정보가 재무분석가의 예측수정에 유의하게 활용된다는 기존의 연구를 확장하여, 재무분석가들이 경영자 예측정보의 질적 특성 및 기업의 이익속성을 포괄적으로 고려하여 자신들의 예측정보를 수정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연구의 결과는 자본시장에서 직접적으로 관찰하기 어려운 재무분석가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nalysts` forecast revision behavior after management forecasts and the information properties of management forecasts that determine their revision behaviors. The paper examines 255 management forecasts on operation earnings and the analysts forecasts revision from year 2002 to year 2008.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bout 70% of the analysts modify their forecasts with the same direction of management forecasts, and the revision follows 51.5% of the management forecasts in size. It implies that management forecasts significantly influence the analysts` forecast revision. Second, the analysts are more likely to follow management forecasts if (i) the difference between analyst forecasts and management forecasts is large, (ii) management forecasts are more conservative, (iii) the earnings are more persistent, (iv) the discretionary earnings are smaller, (v) the forecast horizon is, shorter, and (vi) earnings quality is better.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analysts revise their forecasts based not only the information properties of management forecasts but the firms` earnings quality. This paper provides additional empirical evidence that the analysts do not simply follow management forecasts, bu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information quality of management forecasts and firms` information environments. This paper also provides the research results on the analysts` decision process in term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nalysts and firms` management forecasts.

      • KCI등재

        재무분석가의 발생액 구분 능력과 경영자 이익조정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정성환 ( Sung Hwan Jung ),한승수 ( Sam Han ) 한국회계학회 2011 會計學硏究 Vol.36 No.3

        본 연구는 재무분석가의 재량적 발생액에 대한 분석 능력이 경영자의 이익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재무분석가가 전기 이익의 질을 분석해 내지 못한 채이에 기초하여 당기 이익을 예측할 경우, 이 예측행위는 비효율적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경영자의 입장에서 재무분석가의 예측정보는 달성 또는 초과달성해야 할 목표치이므로, 낮은분석 능력으로 말미암아 결과적으로 과대 예측된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는 경영자에게 이익조정의 유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경영자가 전기 이익을 상향 조정했을 때, 재무분석가가 이를 분석해 내지 못하고 전기에 보고된 이익에 고착화되어 당기 이익을 과대 예측한다면 시장의 기대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경영자는 당기에도 이익 조정을 시도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무분석가의 재량적 발생액에 대한 분석 능력의 정도가 경영자의 이익조정 행위와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며, 이러한 상관관계는 경영자가 시장의 기대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동기가 강할수록 증가하리라 예측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재무분석가가 전기의 재량적 발생액을 구분해내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당기 이익을 과대 예측하였을 때 경영자의 이익조정 성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관관계는 시장의 기대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동기가 존재할 때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는데 이로써 과대 예측된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가 경영자에게 이익조정 유인으로 작용하고 이 과정에 있어 자본시장의 압력이 매개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추종 재무분석가의 수가 증가할수록 경영자의 이익조정 성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추종 재무분석가의 수가 자본시장의 관심의 정도를 대변함으로서 나타난 결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재무분석가의 비효율적인 예측행위로 인해 높아진 시장의 기대가 경영자의 이익조정 성향을 높일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자본시장에서 재무분석가의 예측행위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재무분석가의 예측정보 유용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차원에서 공시제도의 정비와 경영자의 자발적 공시를 유도할 수 있는 정보환경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analysts` forecast efficiency affects managers`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When analysts fail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discretionary accruals from prior period earnings information, forecasted current period earnings would be less efficient. Since managers have an incentive to meet or beat analysts` forecasts, less efficient analysts` forecasts may lead managers to involve in earnings management. If analysts are fixated on prior period earnings and issue optimistic forecasts, managers are more likely to manage current period earnings by exercising more discretion since they know analysts overestimate the persistence of discretionary accruals. We hypothesize that analysts` inability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discretionary accruals is associated with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Furthermore, this association is more pronounced when managers have stronger incentives to meet or beat market expectations and when investors` demand for earnings information is greater. Using 3,222 firm-year observations on the Korea Stock Exchange for the period from 2002 to 2009, we divide our sample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 magnitude of bias from analysts` annual earnings forecasts and examine whether the degree of earnings management varies over the four groups. we find the following empirical evidence. First, consistent with our prediction, the result shows that managers are likely to exercise more accounting discretion when analysts do not fully understand the persistence of accruals and thus they issue optimistic forecasts. Second, this tendency is more significant when managers face higher market pressure to meet or beat analysts` annual earnings forecasts for more than two consecutive years. In addition, we provide corroborating evidence that managers are more likely to manage earnings when the number of analysts following the firm, another proxy for market pressure, is larger. We perform several robustness checks on the data, including separate analyses for loss firms and profit firms, and find that the results are qualitatively not different. We also consider alternative explanations for our findings such as the possible substitution effect of expectation management through management earings forecasts for manipulating earnings through discretionary accruals and find that the result is largely unchanged.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analysts` ability to understand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discretionary accruals. When analysts do not fully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discretionary accruals, their optimistic forecasts might provide managers incentives to satisfy market expectations by exercising more accounting discretion, especially when managers face high capital market pressures.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improvement in the informativeness of analysts` forecasted earnings can be achieved through systematic updates of disclosure policies and better information environment that promotes managers` voluntary disclosures. In closing, we mention some potential caveats of the study. First, while suggestive of the link between market pressure and managers`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our findings are mainly from "ex-post" measures for managers` reporting incentives. If we can measure managers` "ex-ante" incentives to meet or beat analysts` earnings forecasts, we can better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analysts` earnings forecasts and subsequent managers` earnings management behaviors. Second, the documented analysts` earnings forecasts behaviors might not necessarily be due to their inability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discretionary accruals. We cannot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analysts are "intentionally" ignore the lower persistence of discretionary accruals. If analysts` optimistic earnings forecasts are due to the reasons other than their inability, the interpretation of our empirical results could be different. Future research should identify the way to discern those two possibilities and provide a clearer link to managers` earnings management behaviors.

      • KCI등재

        경영자 예측정보의 연속적 공시행태에 관한 연구 -전기 예측정확성 및 재무분석가의 영향을 중심으로

        김경혜 ( Kyung Hye Kim ),최경수 ( Kyong Soo Choi ),황문호 ( Mun Ho Hwang ) 한국회계학회 2013 회계학연구 Vol.38 No.3

        본 연구는 경영자 예측정보의 연속적 공시행태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전기에 공시된 경영자 예측정보의 사후적 정확성 및 재무분석가와의 상호작용이 당기의 예측정보 공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경영자의 자발적인 예측정보 공시에는 다양한 경제적 유인이 수반되는 것으로 보고된다. 따라서 예측정보 공시에 따른 기대효익이 크게 예상되면 경영자는 적극적인 공시정책을 취할 것이며,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소극적인 모습이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영향관계에 기초하여 과거에 발표한 경영자 예측정보의 신뢰성이 떨어질수록 당기의 예측정보 공시가능성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아울러 이러한 경영자의 연속적 공시행태에 있어 재무분석가들이 완충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한다. 경영자와 재무분석가는 예측정보를 생산하는 주요 주체로서 서로의 예측정보를 긴밀하게 모니터링한다. 따라서 경영자가 재무분석가의 예측정보를 통해서 자신의 예측정확성을 보완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면 이를 적극 참조하여 공시에 반영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08년까지 공정공시를 통해 발표된 경영자 영업이익 예측치를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자의 전기 예측정확성이 낮을수록 당기 예측정보의 공시가능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거 예측정보의 신뢰성이 떨어질수록 당기의 공시에 따른 기대효과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여 소극적인 공시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재무분석가의 전기 예측정확성이 경영자보다 우수할수록, 경영자의 전기 예측정확성과 당기 예측정보 공시 간에 나타나는 양(+)의 관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경영자의 예측정확성은 유의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영자의 예측정보 공시 의사결정에 재무분석가 예측정보가 참조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한편 재무분석가를 통해 경영자 예측정보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경영자의 전기 예측정확성과 당기의 예측정보 공시간에 체계적인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경영자의 자발적 공시유인 연구를 확장하고 있다. 아울러 경영자의 예측정보 공시에 재무분석가 예측정보가 유의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경영자와 재무분석가간의 상호작용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적 공헌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We examine the manager`s consecutive reporting behavior about the voluntarily disclosed earnings forecast. Specifically, the primary objective of our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prior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accuracy and financial analysts on the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disclosure probability. First, we examine how the accuracy of prior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influences the disclosure probability of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In addition, we investigate how the number of analysts following and analysts` relative earnings forecast accuracy of prior year impact on the relation between prior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accuracy and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disclosure probability. In order to perform the empirical analysis, we hand collec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for fiscal years 2002-2008 from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s Data Analysis, Retrieval and Transfer System (DART). Our specific results are given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finds that as the accuracy of prior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decreases the disclosure probability of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also decreases. Extant literatures demonstrate that various economic incentives have an effect on the disclosure policy of voluntarily disclosed earnings forecast. Therefore, if managers expect higher expected benefits of disclosing earnings forecast, he would be inclined to make an earnings forecast. On the other hand, when managers expect lower expected benefits of disclosing earnings forecast, he would not be inclined to make an earnings forecast. In this paper, based on the number of prior researches, we maintain that a relatively large errors of prior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diminishes the expected benefits of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disclosure, which in turn generates a diminution of managers` incentives to provide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to the market participants. Therefore, the systematic positive (+) association between prior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accuracy and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disclosure probability is consistent with our expectations. Second, when the analysts` prior relative earnings forecast accuracy are relatively high, the significant positive (+) association between prior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accuracy and disclosure probability of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becomes small. On the contrary, the number of analysts` following of prior year does not affect the systematic positive (+) association between prior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accuracy and disclosure probability of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ince the manager`s specific ability to forecast a firm`s prospect increases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as the analysts` prior relative earnings forecast accuracy becomes higher, the manager`s incentives to stop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in the current period which is due to prior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errors decreases. However, since the number of analysts` following of prior year is limited in improving manager`s specific ability to forecast a firm`s prospect, it does not influence the manager`s incentives to stop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in the current period which is due to prior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errors. This paper, by demonstrating the systematic positive (+) association between prior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accuracy and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disclosure probability, provides a new insight about the manager`s consecutive earnings forecasts disclosure policy. In particular, prior literatures which deal with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concentrate mainly on the temporary forecasting behavior of managers. On the other hand, our research is discriminated by focusing on the sequential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strategies. As a result, our research might expand the scope of prior literatures which have dealt with manager`s voluntary disclosure policy Also, establishing the fact that the significant positive (+) association between prior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accuracy and curren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disclosure probability decreases as the analysts` prior relative earnings forecast accuracy increases, this study documents the crucial impact of the analysts` on the manager`s consecutive earings forecasts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