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어 모음사이 자음의 인지와 발화에서 철자의 영향: 파일럿 연구

        초미희,정주연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2

        한국어에서는 모음사이에서 겹자음이 나타날 수 있으나 영어에서는 이것이 불가능하므로 영어를 배우는 한국 학생들이 summer와 같이 겹자음 철자를 포함하는 단어들을 발음할 때 철자의 겹자음을 모두 발음하는 오류를 흔히 범한다. 따라서 본 파일럿 연구에서는 한국 학생들이 영어 겹자음 철자를 어떻게 발음하고 인지하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영어 겹자음과 단자음의 (유사) 최소변별쌍으로 구성된 36개의 실제어를 20명의 대학생이 듣고 발음하는 인지와 발화 실험을 실행하였다. 실험 결과 한국 학생들은 철자의 영향으로 영어 단자음 철자 단어를 발음할 때보다 겹자음 철자 단어를 발음할 때 이중으로 길게 발음하는 오류를 더 흔히 범해서 겹자음 철자 단어의 정확율보다 단자음의 정확율이 크게 높았으며, 인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단자음 철자 단어의 인지 정확율이 겹자음 철자보다 확연하게 높았다. 덧붙여, 한국 학생들의 영어 유성 파열음의 발화 오류율이 낮은 이유를 한국어 음운 체계의 전이로 설명하였다. 끝으로, 한국학생들의 발화를 스펙트로그램을 통해서 분석함으로써 영어 단자음 철자보다는 겹자음 철자에서 더 많은 발화오류를 일으키는 것도 보여주었고 또한 교육적인 함축점도 제안하였다. While Korean allows the same consonants at the coda of the preceding syllable and at the onset of the following syllable, English does not allow the geminate consonants in the same intervocalic position. Due to this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English, Korean learners of English tend to incorrectly produce geminate consonants for English geminate graphemes as in summer. Based on this observation, a pilo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Korean learners of English perceive and produce English doubleton graphemes and singleton graphemes. Twenty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perform a forced-choice perception test as well as a production test for the 36 real word stimuli which consist of (near) minimal pairs of singleton and doubleton graphem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accuracy rates for the words with singleton graphemes were higher than those for the words with doubleton graphemes both in perception and production because the subjects misperceived and misproduced the doubleton graphemes as geminates due to orthographic influence. In addition, the low error rates of the word with voiced stops were accounted for by Korean language transfer. Further, spectrographic analyses were provided where more production errors were witnessed in doubleton grapheme words than singleton grapheme words. Finally,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 KCI등재

        음보구조와 자소표기

        유시택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9 독일언어문학 Vol.0 No.85

        In der vorliegenden Arbeit werden einige neue Funktionen des graphematischen Fußes dargestellt, die in der Forschung zur deutschen Graphematik ungeklärt bleiben. In den früheren Analysen wird angenommen, dass der Nukleus einer betonten Silbe mit zwei Skelettpositionen verbunden ist. Dies gilt aber nur für einen kanonischen Fuß. Die Frage, wann eine Doppelkonsonanzschreibung erfolgt, wird in den meisten Analysen mit Hilfe der Ambisilbischkeit der betreffenden Segmente beantwortet, wobei die Domäne für die Bestimmung der ambisilbischen Segmente ebenfalls einen kanonischen Fuß darstellt. Dabei sind distributionelle Beschränkungen und andere wichtige Eigenschaften kurzer gespannter Vokale nicht adäquat zu erfassen. Die Tatsache, dass die Doppelkonsonazschreibung nach einem kurzen gespannten Vokal verboten ist, lässt sich nur erklären, wenn man nicht-kanonische Fußstrukturen berücksichtigt. Das Dehnungs-<h> dient hingegen vornehmlich dazu, die Struktur eines kanonischen Fußes deutlich zu machen. Ohne Dehnungs-<h> ist eine richtige Lesung der Vokale in einem Vokalhiatus nicht möglich. 이 논문은 겹자음 표기와 장음화-<h>를 통해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알려지지 않은 자소음보의 기능을 소개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는 겹자음을 양음절성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양음절성에 바탕을 둔 분석에서 겹자음 쓰기가 명백한 경우는 오직 전형적인 음보에 한해서이다. 그 결과 겹자음표기가 언제 불가능한지는 알 수 없으며, 특히 왜 긴장된 단모음 다음에는 결코 겹자음이 나타날 수 없는지는 설명되지 않고 있다. 이 논문은 비전형적인 음보의 구조에 대한이해를 통해 이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 밖에 이 논문은 장음화-<h>가자소음보의 구조에서 특별한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 장음화-<h>는 겹모음과 함께 불규칙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장음화-<h>는 겹모음과 달리 단순히 불규칙적인 것이 아니라, 독일어의 전형적인 음보 (강한음절+ Schwa음절로 구성된 음보)를 자소 상으로 표현하는 특수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 KCI등재

        한국 EFL 학습자의 단자음과 겹자음 철자를 가진 영어 공명 자음의 발화와 인지

        초미희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11

        Motivated by the fact that double letters in modern English do not represent length and that not many studies investigated spelling influence on English sonorant consonants, the current study has examined how Korean EFL students produce and perceive sonorant consonants represented by single and double consonant letters, respectively, in 36 English words. Specifically, twenty-eight Korean EF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perception tests of English sonorant consonants [m, n, l, r]. The participants were first asked to produce English words with the target sonorant consonants represented by both single and double letters. Then, the sam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hoose the same words they heard between the two productions of a native American English speaker: the original production and target-inappropriately lengthened production. The results revealed two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English sonorant consonants. Firstly, the participants had more difficulties producing and perceiving the target sonorant sounds represented by double letters than those by single letters, thus showing spelling influence. Secondly, the properties of individual sonorant consonants play a crucial role since different degrees of accuracy among the target consonants were found. However, modality effect was not found such that the participants’ perception of the targe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production of the same targets. Further, the participants did not show spelling influence on the target [r] in both production and perception. Also, the production of the target [m] was significantly worse than the other targets. Based on the findings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러시아어와 이탈리아어 겹자음의 유형론적 비교

        변군혁 ( Koon Hyuk Byun )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구 한국이어이문학회) 2015 이탈리아어문학 Vol.0 No.46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analyze geminates in Russian and Italian. Geminate refers to a long or double consonant that contrasts phonemically with its shorter or singleton counterpart. It is not uncommon to find examples of geminates in many languages. We can find many examples of geminates in Russian and Italian as well. But phonological status of two languages is not same. Hayes(1986) distinguishes ``true`` geminates from ``fake`` ones. ``True`` geminates are doubly linked and ``fake`` geminates are linked just singly linked into segments. In Russian most geminates are found in boundary of morphemes, but few are within morphemes. And Russian geminates found within morphemes are all loanwords originated from other languages. Unlike in Russian, there are many geminates that are found within morphemes and boundary of morphemes in Italian. Russian geminates found in boundary of morphemes can be splittable by epenthesis. But Italian ones can``t be splittable by epenthesis. In this regard, it can be said that Russian has fake geminates but Italian has true geminates. And it is noticeable that geminates are found frequently in intervocalic and immediate post-accent position in both Russian and Italian. The environment of Raddoppiamento Sintattico, the gemination of a word initial consonant when preceded by a stressed vowel, is the same position. As the result of RS, there are many gemintes found in Italian. Russian palatal [s``:] and Italian palatals [s], [n] are internally long consonants and pronounced longer than any single consonants in any position.

      • KCI등재

        영어 원어민과 한국어 영어학습자의 마찰 겹자음 실현 및 인지양상: 형태적 환경을 중심으로

        백선주 현대영미어문학회 2020 현대영미어문학 Vol.38 No.4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ain whether Korean L2 speakers pronounce geminate fricatives differently from native speakers across morphological boundaries. Als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of the geminate length speakers pronounce and perceive. Although the length of consonant is distinctive in Korean but not in English, there have been different veiwpoints on the length of geminates in English. There are fewer studies on the geminate length across morphological boundaries than those on the segment length. 24 people, 12 native speakers and 12 Korean speakers, took part in one production test and two perception tests. This study shows that most of the native speakers pronounce geminates longer than singletons in compound and word boundaries. It also shows the rate between the geminate length and that of the singleton is related to articulation. Furthermore, most participants perceive geminates from the consonant length across morpheme or at the word boundaries. On the other hand, the British English speakers rarely perceive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 of singtletons and that of geminates in American English. The Korean speakers produce both singletons and geminates longer than the native speakers do and perceive the difference between singletons and geminates better than the natives do. .

      • KCI등재

        야쿠트어 폐쇄자음 연구-러시아어 차용어휘 분석-

        강덕수 ( Duck Soo Kang ),김지선 ( Jee Sun Kim ),홍준희 ( Jun Hee Ho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07 언어와 언어학 Vol.0 No.39

        Duck-soo Kang.Jee-sun Kim.Jun-hee Hong. 2007. A Study of Obstruents in Yakut through Analysis of Borrowed Words from Russian. Language and Linguistics 39, 1-16.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straints in Yakut is connected with syllabic structure. Its syllabic structure is based on CV. So the constraint of "NoGeminates" is strictly applied. And the harmony between features is also considered important. Yakut has the strict constraint on the phonotactical relations. In Yakut a feature [constricted glottis] works more vigorously than [voiced]. This feature is combined with a feature [+back] or [+lab], making new constraints on the initial place: *#[+back, -CG], *# [+lab,+CG]. Finally, consonantal assimilation in obstruents of Yakut is dominated by 2 lows of constraints. VowelHarmony >> Ident-CV[pl] >> NCP >> *[+palatal]# >> Ident-IO; *#[+back, -cont][+back,-high] >> *#[+back,-CG], *# [+lab,+CG] >> [+cont] >> NoGem >> Ident-IO >> *[+voiced]#

      • KCI등재

        독일어의 겹자음 회피에서 정서법적 관점

        유시택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9 獨語敎育 Vol.76 No.76

        Forschungen zur Phonologie des Deutschen zeigen, dass es sich bei der Degemination um ein phonologisches Phänomen handelt. Dies wird von den bisher vorgeschlagenen Anlaysen bezeugt, die versuchen, die Degemination im Deutschen mittels phonologischer Regeln wie Konsonantentilgung und Schwa-Epenthese zu erklären. So wird beispielsweise eine Verbform wie <reist> aus dem Input <reis-st> durch die Tilgung von /s/ abgeleitet, eine Verbform wie <arbeitet> aus dem Input <arbeit-t> hingegen durch Schwa-Epenthese. Durch phonologische Analysen wie diese lässt sich allerdings die wesentliche Frage nicht beantworten, warum die Strategien zur Vermeidung der Geminaten (Konsonantentilgung vs. Schwa-Epenthese) nicht umgekehrt angewandt werden können. Bei der umgekehrten Anwendung hätte man für die 2. Ps. Sg. Präsens eine Verbform wie *<reisest> und für die 3. Ps. Sg. Präsens eine Form wie *<arbeit>. Die vorliegende Arbeit zeigt, dass die Degemination im Deutschen kein phonologisches Phänomen ist. Die scheinbar phonologische Erscheinung der Degemination entlarvt sich als ein Epiphänomen der orthographischen Regeln, die im Kern Aussagen über die Doppelkonsonanzschreibung enthalten. 이 논문은 음운적인 관점이 아니라 자소적인 관점에서 겹자음 회피를 고찰하면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다고 본다. 이를 위해 2장은 그동안 규칙이론의 틀 속에서 제안된 분석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간단히 정리한다. 3장은 이 문제점들이 최적성 이론에서 정서법과 자소론을 지배하는 제약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설명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4장은 앞의 논의에 대한 결론을 담고 있다.

      • KCI등재후보

        중국어 상고음 연구 (Ⅰ)

        李方桂(Li F. K),전광진(번역자) 구결학회 2003 구결연구 Vol.11 No.-

        중국어 상고음에 대한 연구는 청나라 陳第(1541~1617)에 의하여 비롯되었으니 약 400년의 역사를 지니는 셈이다. 그런데 이에 대한 과학(음운 anj론)적인 연구는 스웨덴의 한학자 Karlgren(1923, 1940)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그의 획기적인 연구 성과를 한 마디로 집약하자면 상고음을 국제음성기호로 재구성하였다는 점이다. 그가 재구한 상고음 체계는 일정한 근거에 의하여 추정된 것이긴 하지만, 고도의 가설 체계라는 속성을 벗어날 수 없기에 수정에 수정을 거듭할 수밖에 없는 운명을 지니고 있었다. 그래서 대만대학의 董同?(1948), 북경대학의 王力(1957), 구 소련의 Sergi Yakhontov(1950, 1960), 캐나다의 Edwin Pulleyb1ank(1962) 등이 중국어 상고음에 대한 수정 의견을 제시하였다. 주로 미국에서 활동하였던 李方桂 (1971, 1976)의 연구는 그 이전까지의 中外 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集成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재구된 상고음이 얼마나 신빙성이 있는 것인지는, (1) 《詩經》의 用韻을 얼마나 합리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가? (2) 중국 문자의 諧聲 체계와 얼마나 잘 부합되는가? (3) 《切韻》 음계, 즉 중고음으로의 음운 변화에 얼마나 잘 대응되는가? 이상과 같은 세 가지 척도에 의해서 가늠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가장 완벽한 것이 바로 李方桂의 학설이라 할 수 있다. 세 가지 척도 중에서도 세 번째의 것을 매우 중시하였기에 그의 상고음 재구는 中古音系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를 발판으로 삼고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본 변역문은 상고음의 음운체계를 전반적으로 다루고 있는 1971년도 논문이다. 그의 설이 1976년에 일부 수정 보완되기는 하였으나 그것은 겹자음에 관한 극히 국부적인 것일 따름이다. 따라서 “가장 완벽하고, 현재까지도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내부적으로도 조리가 정연하다고 평가되고 있는”(Jerry Norman 1988-전광진 역 1996:70) 李方桂의 上古音說은 이 번역문에 의하여 그 大宗과 全貌를 一瞥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국어 상고음 연구(Ⅱ)

        李方桂,전광진(번역자) 구결학회 2004 口訣硏究 Vol.12 No.-

        중국어 상고음에 대한 연구는 청나라 陳第(1541-1617)에 의하여 비롯되었으니 약 400년의 역사를 지니는 셈이다. 그런데 이에 대한 과학(음운론)적인 연구는 스웨덴의 한학자 Karlgren(1923, 1940)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그의 획기적인 연구 성과를 한 마디로 집약하자면 상고음을 국제음성기호로 재구성하였다는 점이다. 그가 재구한 상고음 체계는 일정한 근거에 의하여 추정된 것이긴 하지만, 고도의 가설 체계라는 속성을 벗어날 수 없기에 수정에 수정을 거듭할 수밖에 없는 운명을 지니고 있었다. 그래서 대만 대학의 童同?(1948), 북경대학의 王力(1957), 구 소련의 Sergi Yakhontov(1950, 1960). 캐나다의 Edwin Pulleyblank(1962) 등이 중국어 상고음에 대한 수정 의견을 제시하였다. 주로 미국에서 활동하였던 李方桂(1971, 1976)의 연구는 그 이전까지의 中外 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集成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재구된 상고음이 얼마나 신빙성이 있는 것인지는, (1) 《詩經》의 用韻을 얼마나 합리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가? (2) 중국 문자의 諧聲 체계와 얼마나 잘 부합되는가? (3) 《切韻》 음계, 즉 중고음으로의 음운 변화에 얼마나 잘 대응되는가? 이상과 같은 세 가지 척도에 의해서 가늠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가장 완벽한 것이 바로 李方桂의 학설이라 할 수 있다. 세 가지 척도 중에서도 세 번째의 것을 매우 중시하였기에 그의 상고음 재구는 中古音系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를 발판으로 삼고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본 변역문은 상고음의 음운체계를 전반적으로 다루고 있는 1971년도 논문이다. 그의 설이 1976년에 일부 수정 보완되기는 하였으나 그것은 겹자음에 관한 극히 국부적인 것일 따름이다. 따라서 “가장 완벽하고, 현재까지도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내부적으로도 조리가 정연하다고 평가되고 있는”(Jerry Norman 1988-전광진 1996, 70) 李方桂의 上古音說은 이 번역문에 의하여 그 大宗과 全貌를 一瞥해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영․미 원어민 및 한국어화자의 영어 겹자음 실현 및 인지양상: 폐쇄음의 형태적 요인을 중심으로

        백선주 언어과학회 2019 언어과학연구 Vol.0 No.90

        Although consonant length is not distinctive in English, there has been a controversy as to whether the length of geminate consonants is phonetically longer than singleton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comparing the length of geminates across morphological boundarie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how native speakers (American and British) and Korean L2 speakers pronounce geminate stops differently over various morphological boundaries. Als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ngth speakers perceive consonants as geminates from 24 participants took one production test and two perception tests. The results showed most native speakers pronounced geminates in compound and word boundaries longer than singletons. Furthermore, they could perceive geminates from the length on morpheme or word boundaries. However, Korean speakers produces both singletons and geminates longer and perceive less difference between singletons and geminates than natives d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