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RFID 기반의 건축 자재 관리 시스템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문지윤(Ji Youb Mun),황석승(Suk Seung Hwa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16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1 No.8

        건축 분야에 있어 자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건축 설계 및 해체 시 필요한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건물 해체 시 발생하는 폐기물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이와 관련된 처리방법, 재활용 가능성,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기존의 건축 자재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들은 일반적으로 자재의 종류와 투입량을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축되었고, 건축물 해체 및 재건축 단계를 고려하여 건축자재의 재사용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개발은 활발히 진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추정 모듈을 탑재한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을 사용하여 습득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건축물 해체 및 재건축 시 자재의 효율적인 재사용을 위해 건축자재의 위치와 상태를 포함한 다양한 자재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건축자재 재사용 관리는 건축비용 및 시간 절감 측면에서 많은 기대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보인다. The efficient materials management in construction field is a very important work required for designing and demolishing building. As the waste amount caused by the building demolition is increased, the concern related to the treatment method, recyclability, and effect on the environment have been gradually increased. In general, the conventional databases for the construction materials management does not consider the reuse of the construction materials on steps for the building demolition and reconstruction, but they only consider managing the type and input amount of them.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database system for efficiently managing the various construction materials informations including the location and condition of each construction materials for the efficient reuse of them on the building demolition and reconstruction. The considered informations are obtained the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with on-board the location estimation module. Using the reuse management of construction materials, based on the proposed database, we expect the reduction of the construction cost and time.

      • KCI등재

        웹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건축자재 관리 시스템

        문지윤(Ji Youn Mun),황석승(Suk Seung Hwa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17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2 No.1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qualities of Web services are steadily improving and the Web database systems are actively employed to efficiently manage proper informations in various fields. In this paper, we propose a Web database system for the efficient material management for reusing construction materials. The proposed Web-based management system is operated using the spring framework, after constructing a databas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including tag ID, Location, Material, State, and Cycle, using the RFID(: Radion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equipped with a location estimation module. Recently, the processing problem for a large amount of the residues generated at the demolition stage of various buildings is magnified in the construction site. The proposed Web-based construction material management system is expected for improving the processing problem as increasing the reusability and for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as efficiently managing the construction materials for the reuse.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웹 서비스의 질은 꾸준히 향상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해당 분야에 적합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웹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건축자재의 재사용을 목적으로 자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웹 데이터베이스를 제안한다. 제안된 건축자재관리 시스템은 위치추정 모듈을 탑재한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을 사용하여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재의 태그 ID, 위치, 자재명, 상태, 주기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후, 스프링 프레임워크을 이용한 웹기반의 건축자재관리 시스템을 구현한다. 최근 건축현장에서 건물의 해체 시 발생하는 대량의 잔재를 처리하는 것에 대한 여러 문제점들이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웹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건축자재관리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자재의 재사용율을 향상시켜 잔재처리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재사용 가능한 건축자재를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건축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부합과 동산선의 취득 –그 유추적용가능성에 관하여–

        최윤석 한국토지법학회 2021 土地法學 Vol.37 No.2

        Das Urteil des koreanischen Obersten Gerichtshofs (OGH) vom 24. September 2009 (2009Da15602) setzt sich mit dem folgenden (vereinfachten) Fall auseinander: Ein Bauunternehmen [U], das Baumaterialien unter Eigentumsvorbehalt von einem Vorbehaltsverkäufer [V] erworben hat, baut diese Baumaterialien in Erfüllung des Bauvertrags mit dem Bauherrn [H] in ein in Errichtung befindliches dem H gehörendes Gebäude ein. Der OGH führt in seinem Urteil wie folgt aus: „Die Materialien sind zwar nicht vom Erwerber [U] an den Dritten [H] veräußert worden, sie wurden aber in Erfüllung des Werkvertrags dem Dritten [H] zur Verfügung gestellt, so dass dies dem Wesen nach der rechtsgeschäftlichen Veräußerung einer Sache ähnlich ist. Daher kann unter analoger Anwendung der Rechtsdogmatik über den Behalt des Nutzens beim gutgläubigen Erwerb der Entschädigungsanspruch des Vorbehaltsverkäufers [V] verneint werden.“ Auf dieser Grundlage hat der OGH entschieden, dass V gegen H keinen direkten Bereicherungsanspruch auf Zahlung des von U nicht entrichteten Kaufpreises der Baumaterialien hat. Der OGH sieht die Verbindung, den Einbau von Baumaterialien, als Realakt mit der Veräußerung von Sachen als dem Wesen nach vergleichbar an. Es ist allerdings allgemein anerkannt, dass die Vorschriften für Rechtsgeschäfte weder direkt noch analog auf Realakte Anwendung finden. Der OGH wendet dagegen die Rechtsdogmatik des gutgläubigen Erwerbs von Sachen auf einen Realakt, die Verbindung analog an. Dieses Urteil des OGH entspricht der herrschenden deutschen Literatur. Diese Abhandlung befasst sich mit der Frage, ob und wie eine analoge Anwendung der Rechtsdogmatik für Rechtsgeschäfte auf Realakte dogmatisch begründbar ist. Sie analysiert zudem rechtsvergleichend die Rechtslage in Korea und Deutschland. 대법원이 2009년 9월 24일 선고한 2009다15602 판결은 건축자재상으로부터 소유권유보부매매를 통해 건축자재를 매수한 건축회사가 건축주와의 도급계약의 이행으로 매수한 건축자재를 부합시키는 사례를 다루고 있다. 이 사례에서 대법원은 “자재가 직접 매수인으로부터 제3자에게 교부된 것은 아니지만 도급계약에 따른 이행에 의하여 제3자에게 제공된 것으로서 거래에 의한 동산 양도와 유사한 실질을 가지므로, 그 부합에 의한 보상청구에 대하여도 위에서 본 선의취득에서의 이익보유에 관한 법리를 유추적용하여 보상청구를 부정할 수 있다”고 하였다. 대법원은 이러한 점을 근거로 건축자재상이 건축회사로부터 받지 못한 건축자재대금을 건축주에게 직접 부당이득반환청구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그런데 의문스러운 점은 건축회사가 건축주의 건물에 부합이라는 사실행위를 통해 건축자재를 가지고 시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대법원은 이러한 부합이라는 사실행위가 실질적으로 동산의 양도와 유사하다는 점을 논거로 내세우면서, 건축자재상의 부당이득반환청구를 부정한 점에 있다. 사실행위에 법률행위를 적용할 수 없음은 물론이고 유추적용도 할 수 없다는 것이 법의 일반원칙이다. 그러나 대법원은 부합이라는 사실행위에 법률행위인 동산양도 및 그 동산양도를 전제로 하는 동산선의취득의 이익보유의 법리를 유추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대법원의 판단이 독일 다수설의 입장과 일치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부합이라는 사실행위에 법률행위의 법리를 유추적용하는 것이 이론적으로 타당한지, 그리고 왜 이러한 유추적용을 수행하려고 하는지를 우리와 독일의 상황을 조사하여 비교연구하고, 이에 관한 결론을 바탕으로 우리 대법원의 입장을 전반적으로 비판하는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 KCI등재후보

        RFID 기반의 건축자재 관리 시스템

        김태윤(Tae-yun Kim),황석승(Suk-seung Hwa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15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0 No.8

        지구 온난화로 인해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데, 온실가스의 주된 성분은 이산화탄소(CO₂)이다. 건축 분야에서 ??CO₂발생량을 줄이기 위해서 저탄소 장수명화가 진행되고 있고 건축자재에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사용하여 자재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RFID를 활용한 건축자재 관리 시스템은 건물의 신축단계에서 건설자재가 어디에 얼마만큼 사용되는지에 대한 연구와 실험이 대부분 이었고, 건물의 신축과 해체 시 재활용할 수 있는 자재에 대한 상태관리 시스템은 개발된 사례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건물의 신축 혹은 해체 시 건설자재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RFID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900MHz 대역의 RFID를 사용하며 건축 자재 표면 또는 내부에 RFID 태그를 부착한다. 시스템의 구조는 RFID 리더부, 통신부, 저장부로 구성된다. Due to the global warming, the restriction for emitting the green-house gas is strengthened and a main ingredient of the green-house gas is carbon dioxide ( CO₂).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CO₂, the low-carbon and long-life of the construction and the construction materials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echnique have been actively studied in the construction field.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RFID only focuses on the study and experiment for managing the used amount and location of the construction materials in the construction stage, but it does not consider the study for the status management system for the recycling materials in the construction stage or the building deactiv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effective RFID system for managing the status of the construction materials during the construction stage or the building deactivation. Employing RFID with the frequency of 900MHz,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the reader unit, communication unit, and memory unit, and its tags are attached in the surface or inside of the construction materials

      • KCI등재

        친환경건축 시방서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김현아(Kim Hyun-Ah),김광현(Kim Kwang-Hyun) 대한건축학회 201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8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the directions of sustainable architecture material specification which provides database of sustainable architecture materials and guideline specifications. It intends to help architects as easy as possible to find and use environmentally preferable building products and to provide general guideline as to sustainable installation, efficient waste management and so on. To make the direction, this paper firstly establishes the main direction of specification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after studying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specifications in Korea. Secondly, it sets up the system of the specifications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green products after it studies the case of domestic and oversea specifications. Finally, it proposes the development process and management system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material specification. The development of specification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can make the possible the practical integrated design of sustainable architecture in Korea.

      • 석면 건축자재 무해화 처리를 위한 사전 전처리 공정 설계에 관한 연구

        김지훈 ( Ji-hun Kim ),송태협 ( Tae-hyeob Song ),신현규 ( Hyun-gyu Shin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

        우리나라는 2000년대 중반까지 년간 약 10만여톤의 석면이 사용되어 있으며 이중 80%를 초과하는 양이 석면 건축자재 제조에 사용되어 왔다. 석면은 1급 발암물질로서 2007년 산언안전보건법 및 폐기물 관리법의 개정에 따라 지금은 수입, 제조, 유통이 완전 금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전까지 석면 건축자재는 매우 광범위하게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어 왔다. 가장 대표적으로 초조방식으로 생산한 6mm 천장재, 석면 슬레이트 지붕재, 경량 간막이용 평판 슬레이트 보드 등 우리 일상 생활하는 주변에서 쉽게 접할수 있는 용도에 사용되어 왔다. 앞서 언급한바와 같이 현재 석면 자체의 수입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석면의 문제는 사용단계가 아닌 유지관리 및 해체단계의 문제이다. 2007년 산업안전보건법과 폐기물관리법의 개정에 따라 석면을 질량기준으로 1% 이상을 함유한 모든 석면 건축자재는 지정폐기물로 처리 하여야 한다. 특히 석면의 경우 용융점이 매우 높기 때문에 소각에 의한 처리가 불가능하고 전량 매립 처리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 석면 건축자재의 매립이 가능한 지역은 남해안 일부 산업단지 폐기물 처리장에 국한되어 있으며, 이마저도 포화상태에 이르고 있다. 우리나라는 년간 최대 10만톤 이상의 석면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건축자재로 환산할 경우 200만톤에 가까운 석면 건축자재를 매년 사용하여 왔으며, 해체시에도 동일한 양이 매년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밀도가 1.2g/㎤ 정도로 상대적으로 낮은 실내 천장재용 석면 건축자재를 대상으로 해체단계에서 석면 비산을 최소화 하고 무해화 처리 단계에서 촉매 역할을 할 수 있는 전처리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침투경화형 전처리제를 사전 도포한 후 이를 약산과 온도, 압력 등을 조절하여 무해화 처리를 하고자 하였다. 시험결과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규정하는 무해화 처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압력 및 적용 온도가 높아질수록 처리 시간은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산성을 낮추기 위하여 사용하는 사전 전처리 공정은 해체단계에서 석면의 비산을 최소화하고 무해화 처리단계에서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사: 이 논문은 환경부의 “2018 환경산업선진화기술개발사업, 폐석면의 물리화학적 안정화 및 무해화 처리 기술개발기술개발사업”의 수행결과 입니다.

      • KCI등재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토벽(土壁)의 개발

        정진원 한국도자학회 2016 한국도자학연구 Vol.13 No.3

        Modern architecture is the experimental stage of varied & diversified construction material. The evolution of the technology and science introduce new material as a constructible resource. Consequently, modern architecture has been a setting for test and application ground for new material, which was impossible or inaccessible to building environment in relatively near past. Among these resources, ceramic products especially used to emphasize the natural characteristic by its sun-dried manufacturing procedure, sustainability, strong resiliency, and enduring application history as a building material. These products also supplement the lack of emotional feeling from modern society These merits of ceramic products by traditional manufacturing method was not adapted to modern architecture to meet the efficient construction cost and time management. As a result, the Brick products which survived as contemporary architecture material have to be baked at high temperature and dried at relatively short term of period to meet the boundary of the project budget. In these research, the new ceramic products; adobe clay wall, is tested and proposed as a supplement, and alternative for the traditional brick. The new concept and trial will be able to replace the current dry-wall which broadly used in the man made environment. 현대 건축은 종합적이고 다양한 재료를 무한하며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거대한 예술무대라 할 수 있다. 과거에는 건축에 사용하기 어려웠거나 불가능 했던 재료들이 지금은과학 기술의 발달과 함께 건축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유비쿼터스 기술의 발달과 함께건축은 점차 첨단의 길을 걷고 있다. 이러한 건축의 발전 속에 건축도자로 대변되는 번조 혹은 자연 건조되어 사용되는 도자제품들은 현대 사회에서 부족한 감성적 요인과 자연친화적이라는 점에서 건축재료 로서 강점을 유지하며 시각적으로 도시의 삭막함을 줄여 자연적인 느낌을 부여할 수 있다. 고화도로 번조되어 주로 쓰이는 대표적인 건축도자재인 벽돌과 타일은 건축시공 시 그견고함과 외적 아름다움에도 불구하고 내장 벽체 혹은 마감용재로 건축물에 적용할 때 막대한 시공비와 조적 시 많은 시간이 드는 단점이 있다. 또한 벽돌은 점차 고화도로 번조 되며, 그 모양의 아름다움과 견고성에 주안점을 두고 발달하고 있다. 그러므로 최초의점토를 성형하여 자연건조 시켜 제작한 자연건조된 점토벽돌의 장점들을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화도로 번조된 벽돌에서는 구현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새로운 개념의 건축 도자재를 기존의 제품과 차별되는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하려한다. 자연건조 점토를 사용한 토벽(土壁)은 시공 시 간편하게 벽면을 구축함으로서 향후석고 보드와 같이 건축물 내부의 주요한 공한의 창조 및 분할의 역할을 수행 할 수 있을것이다.

      • KCI등재

        실내건축자재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 특성에 관한 연구

        김상식(Kim Sang-Sik),류기정(Yoo Ki-Cheong) 대한건축학회 2008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4 No.7

        Recently, indoor air quality in a newly built apartment building has been reported to be in a dangerous condition. But, Building Materials are composed of very complex chemical compounds which emission very much VOCs. This study focused on the emission rate of the construction materials. The method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validation of small chamber method to determine emission rate of construction material was performed by Correlation Analysis(SPSS 12.0). Second, the construction materials were categorized by their feature and the emission rate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was determined. Totally, VOCs emission rate of 147 materials were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measurement results achieved, we can estimate emission characteristic of the pollutant from finishing materials. In the present case of TVOC, detected VOCs is the subject of the study range from n-hexane to n-hexadecane, and there is a somewhat discrepancy with a practice hazard material due to converted total sum of each toluenes. So, it is needed to make a plan to regulate emission intensity of hazardous material individually that is detected a large amount except for non-hazardous or rarely detectable materials.

      • KCI등재

        친환경건축 세부상세도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김홍수(Kim, Hong-Su),이병호(Lee, Byeong-Ho) 대한건축학회 201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9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component technologies and systems of sustainable architecture to building designs, by establishing a foundation of integrated design for sustainable building with developing the detail drawings. This paper firstly establishes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detail drawings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after analyzing existing classification systems and compositions of standard detail drawings and detail drawings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Secondly, Classification systems of detail drawings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should be proposed as a hybrid system consisting of hierarchical systems for categories of detail drawings by location parts, insulation location(external/intermediate/internal),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s, regional standards, and parallel systems for categories of detail drawings by jointed parts. Thirdly, Compositions of detail drawings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should be proposed as comparison of functions, basic materi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legal minimum standards of the heat transmission coefficient, suggestions for the thermal performance of excellent grade level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alternatives for the reduction of environmental impacts, check list for selections of detail drawings or alternatives, environmental impact analysis, charts related to waste, and summarized specifications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Finally, it proposes the development process and management system of detail drawings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 KCI등재후보

        건축자재용 RFID 패키징 설계

        신재희,황석승,Shin, Jae-Hui,Hwang, Suk-Seu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13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8 No.6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버스카드, 출입문 카드, 물류유통, 건축자재 관리 등 일상생활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 태그의 일종으로 ID정보를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를 사용하여 인식하는 무선인식장치이다. RFID는 투과성과 인식률, 메모리 크기, 다중태그 인식률, 외부 오염 먼지, 외부 충격 등에 따라 크기와 성능이 달라지고, 이와 같은 요소들을 고려한 RFID 보호를 위한 패키징이 필요하다. 현재 RFID는 건축자재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도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건축자재에 RFID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외부로 부터의 충격에 강건한 건축자재용 RFID 패키징 제작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외부 충격에 강하고, 고장 시 RFID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패키징 틀과 본체를 분리하여 설계된 건축자재용 RFID 패키징을 제안한다. 제안된 RFID 패키징을 위한 상세한 설계도를 제시하였으며,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설계된 패키징을 직접 제작하여 성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which is a kind of the electronic tag, is a wireless access device using the radio frequency for recognizing the ID information. It has a variety of application such as the bus card, gate access card, distribution industry, and management of construction materials. The performance and size of RFID depend on the penetrability, recognition ratio, memory size, multi tag recognition, external pollution dust, and exterior impact, and RFID requires the packaging to protect itself considered above factors. Recently, RFID is diversely employed to effectively manage construction materials and the RFID packaging, which is robust to the external impact, is required to attach RFID on construction material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construction material RFID packaging designed to be robust for the external impact and to be practicable for change of the broken RFID. For the change of RFID, we separate the cast and body of the packaging. Also, we present the detail drawing for the proposed construction material RFID packaging and implement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packaging manufactured using 3D pri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