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거칠부의 出家와 出仕

        朱甫暾(Ju, Bo-don) 한국고대사학회 2014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6

        신라 진흥왕대에 가장 두드러진 활동을 한 대표적 인물로서는 거칠부를 손꼽을 수 있다. 그럼에도 그를 본격적으로 다룬 적이 없다는 사실은 생각 밖의 일이다. 그래서 여기서는 거칠부의 활동상에 대해서 특별히 그의 출가와 연관지어 살펴봄으로써 실상에 접근하여 보고자 하였다. 거칠부의 집안은 불교가 국가적 종교로서 공인되기 오래전부터 각별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그래서 그는 관료로 나아가기에 앞서 승려의 길을 걸었던 독특한 경험을 하였다. 어린 나이로 출가한 배경에는 집안의 분위기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었다. 전국을 자유롭게 주유, 유랑하면서 습득한 그 시절의 체험은 관료로 나아갔을 때 곧장 정책에 반영되었다. 특히 고구려 승려 혜량과의 운명적 만남은 그를 실천에 옮기는 데 크게 영향을 미쳤다. 551년 친정을 개시하면서 연호를 開國으로 내건 진흥왕은 혜량을 국통으로 맞아들여 그에 어울리는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갔던 것으로 보인다. 진흥왕대는 이제 막 불교가 국가적 종교로서 공인된 상태였으므로 기반은 제대로 갖추어지지를 못하였다. 그래서 진흥왕은 고구려 망명 승려 혜량의 주장을 적극 수용함으로써 취약점을 극복하려고 하였다. 대표적 호국도량인 황룡사의 창건은 그의 건의를 받아들여 이루어진 것으로 짐작된다. 이로써 불교는 정치와 밀착되어가 명실상부한 불교식 왕명시대를 구축하여 갔다. 진흥왕은 스스로 신라의 전륜성왕으로 자처하였으니 그럴 만한 이론적 사상적 근거는 거의 대부분 혜량에게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거칠부는 관료로서 기반을 굳혀가고 특히 진흥왕의 핵심 보좌역을 수행하게 되면서 화랑제의 창설을 건의한 것 같다. 화랑도 교육의 중심적 내용은 건의자 거칠부의 성장 과정 및 출가의 경험으로부터 비롯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거칠부는 어린 출가의 경험을 배경으로 진흥왕 일대를 통해 숱한 업적을 쌓음으로써 삼국통일에의 기반을 구축하였다. A representative person, who was the most remarkably active during King Jinheung in the Shilla Dynasty, can be Geochilbu(居柒夫). Nonetheless, there was no historic document that addressed him in full scale seems to be quite unusual. This study intended to approach facts by examining his activities in association with his leaving home to become a Buddhist monk. Geochilbu’s family had special relation with Buddhism a long time before Buddhism was recognized as the national religion. He had a unique experience of taking a path as a monk, before becoming a government official. His family atmosphere strongly affected the background that he left home to be a Buddhist monk at young age. The experiences those days, freely making a trip across the nation and wandering around were reflected to his policy, when he became a government official. Especially, fateful encounter with Koguryo Buddhist priest, Hyeryang(惠亮), hugely affected Geochilbu to put those experiences into practice. As King Jinheung started direct rule in 551 using era name, Gaeguk(開國), embraced Hyeryang as Guktong (top place in the Buddhist monastic order), policies in harmony with such an appointment seemed to be implemented in full scale. During the rein of King Jinheung, Buddhism was just recognized as the national religion, and its basis was not properly laid. For this reason, King Jinheung tried to overcome such a weakness by actively accepting Koguryo’s exile monk, Hyeryang’s assertions. A typical patriotic temple, Hwangryongsa Temple, is conjectured to be founded by accepting Hyeryang’s proposal. In this way, Buddhism began to build Buddhism style king’s order era in name and reality through close adherence between Buddhism with politics. King Jinheung called himself Shilla’s Chakravatin. The most plausible theoretic basis of such thought seemed to come from Hyeryang. As Geochilbu solidified his footing as a government official, and carried out core aid role of King Jinheung, he appeared to propose the foundation of Hwarang (Shilla chivalry) system. The main content of Hwarangdo (the code of Shilla chivalry) education appears to be derived from Geochilbu’s growth process and the expedience of his leaving home to be a Buddhist monk. Likewise, Geochilbu laid the foundation for Shilla’s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by building up many achievements through out King Jinheung’s period at the backdrop of his experience of leaving home to be a Buddhist monk at early age.

      • KCI등재

        6세기 신라의 영역 확장과 이주자

        김수진 ( Kim Su-ji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0 No.55

        6세기 사국 간 이주 현상의 중심에는 신라가 있었다. 이 시기 확인되는 이주의 양상은 소경의 설치와 같은 행정 구역 변경에 따른 전략적 사민, 자연 재해와 기근으로 인한 신라로의 도망, 비조부의 여동생, 성왕의 딸과 같은 혼인으로 인한 이주, 금관국왕 김구해 등 왕족의 귀부, 우륵과 같은 망명, 대가야 멸망의 결과 발생한 이주와 신라로 새롭게 편입된 지역으로 신라민을 집단 사민시키는 경우 등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전쟁은 기존의 질서들을 파괴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주민 이동, 즉 이주를 동반한다. 551년 신라는 고구려의 10군을 공취하였는데 고구려가 신라에게 이처럼 대규모의 영역을 상실한 것은 처음이었다. 이를 통해 신라는 국력의 신장을 가시적으로 확인하였고, 이때의 자신감은 뒤이어 세워지는 일련의 순수비로 나타났다. 그런데 10군 공취 과정에서 주목되는 이주자가 바로 고구려의 승려 혜량이다. 혜량과 거칠부가 재회한 곳은 10군 공취 지역 중 하나로 추정되는데 금강산 장안사가 주목된다. 가정 이곡이 지은 「金剛山長安寺重興碑」와 미수 허목이 地誌를 읽고 쓴 글, 유재 이현석의 「金剛山長安寺重建上梁文」, 『梵宇攷』 등 고려·조선시대 장안사가 언급된 자료들은 그 창건 시점을 법흥왕대(재위: 514~540)로 분명히 밝히고 있다. 이곡은 금강산 일대를 유람하며 장안사에 묵기도 하였는데 장안사가 법흥왕대 창건되어 고려 성종대인 982년 중건되었고, 지금, 즉 1343년에 또 중창하는데 모두 400년 간격으로 이루어졌다고 하였다. 문제는 법흥왕의 재위 기간 장안사가 위치한 지역은 고구려가 점유하고 있었고, 고구려의 ‘大楊菅郡’에 속했다. 거칠부가 정탐하러 왔던 그때 마침 혜량이 開堂하였고, 강경이 이루어졌는데 그곳은 대양관군의 장안사였던 것으로 보인다. 혜량은 거칠부가 10군을 공취하는 과정에서 신라로 자발적으로 이주하였다. 고구려의 입장에서 혜량은 배신자로, 그에 관한 사적은 철저히 삭제되었고 신라에서 승통으로 활약하며 신라에 의해 간략하게나마 기록되면서 고구려에서의 행적 역시 신라의 왕호, 즉 법흥왕대로 기록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혜량이 대양관군에 장안사를 개창하고 사미의 모습을 한 거칠부를 처음 만났던 때는 법흥왕대와 중첩되는 고구려 안장왕대이다. 이때 거칠부가 대양관군과 인근의 冬斯忽郡(岐城郡), 客連郡(連城郡), 母城郡(益城郡) 등 회양과 김화 지역을 둘러 본 경험은 551년 10군 공취의 선봉장으로 활약하는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Silla achieved massive territorial expansion in the 6<sup>th</sup> century by conquering Gaya and the north region of the Han River basin. Due to Silla’s territorial expansion, neighboring countries including Goguryeo, Baekje, Silla, and Gaya lost their territories and some residents of four countries moved to Silla voluntarily or forcibly. Silla also immigrated their people to the newly achieved territories in order to take immediate control of new regions. The migration pattern among four countries is toward Silla or from Silla as a result of Silla’s territorial expansion. In 551, Goguryeo’s Buddhist monk Hyeryang(惠亮) moved to Silla and stayed at the Temple Jangan(長安寺) in Province Daeyanggwan(大楊菅郡) while Geochilbu(居柒夫) conquered ten provinces of Goguryeo. Because of the residence of Hyeryang, we find that Province Daeyanggwan is one of ten conquered regions while its spatial scope reached Hoeyang-gun, Gangwon-do(江源道 淮陽郡) at present. It is even further than we thought as the Han River Basin when it comes to “north region of Jukryeong and south region of Gohyeon(竹嶺以北高峴以南).”

      • KCI등재

        진지왕 대 거칠부의 국정 주도와 ‘政亂’의 의미

        임평섭 고려사학회 2020 한국사학보 Vol.- No.81

        This paper is about examining the meaning of “Politics was chaotic as well as the king was impure(政亂荒淫)”, written in Samgukyusa (三國遺事) in the reign of King Jinji. The phrase has been understood as the main reason why King Jinji was dethroned. In particular, the paper approached the question, mainly tracking the historical whereabout about Geochilbu. Most previous research, meanwhile, has been attracted attention to two topics, such as the pros and cons to the king and political opposition between Dongryun and Saryun family. Besides, in the paper, I inquire into how Silla responded to a historically atypical situation, it faced at that time. Thus, the paper produces the conclusion that “政亂荒淫” could be occurred from the result of the changed the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Paekje. In addition, this situation was deeply related to the background of the status rise of Geochilbu as Sangdaedeung(上大等). This helps succeeding studies look at the period of King Jinji from diverse perspectives. 이 글은 진지왕의 폐위 명분으로 언급된 ‘정란황음’에 담긴 의미를 살피고자 하였다. 특히 진지왕 대 상대등으로서 정국을 주도했던 거칠부를 중심으로 ‘정란’이 의미하는바에 주목하였다. 그동안 진지왕 대 정국에 대한 선행 연구는 대체로 거칠부의 친왕과반왕적 성격을 중심으로 분석하거나, 동륜과 사륜의 가계 집단 간 정치대립에 초점을맞춰왔다. 본고에서는 동륜 태자의 사망과 진흥왕의 급사, 그리고 신라의 비약적 영토확장이라는 상황에서 진지왕과 거칠부가 당면했던 문제들을 적절하게 대응하였는지를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본고는 거칠부가 상대등에 오른 시대적 배경과 신라의대백제 관계가 정국에 영향을 미쳤고, 이것이 ‘정란’으로 이어졌다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진지왕 시대가 가지는 의미를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신라 진흥왕의 왕위계승을 통해 본 신라 중고 왕실의 ‘나물왕계’ 형성

        이천우 진단학회 2020 진단학보 Vol.- No.134

        This study began with the thought of how King Jinheung could have won the throne at an early age with both King Beopheung and Ipjong-Galmunwang dead. In the process, we tried to identify the political groups that served as the political basis of King Jinheung and find out the background and the contents of the political alliance with them. To this end, we first looked at the genealogy of Isabu and Geochilbu. This was because they actually paid attention to the power of the groups they belonged to, rather than to the personal capacity they had. A look at Geochilbu's genealogy showed that he was a member of a group of relatives incorporated into the royal family through marriage with the King Namul's immediate family. But in the case of Isabu, which has limited feed unlike Geochilbu, it was forced to indirectly infer from Ichadon's case. As a result, it was clear that Isabu was also a member of the King Namul's family's personal group. Lady Bodo, who secured the throne's support through political solidarity with the relatives of The King Namul's family. So what was the background behind Lady Bodo's ability to draw political solidarity with them? To figure this out, he noted the contents of Chon-jun Li, Ul-ju county(蔚州 川前里書石) which contain records of royal family members during the reign of King Beopheung. The result showed that 於史鄒女郎 was Lady Bodo and was a member of The King Jabi's family's relatives. This lineage served as the main backdrop for the capture of the King Namul's family’s a group of relatives represented by Isabu and Geochilbu. Also ‘妹王考妹王’ referring to King Soji, King Jijung, Lady Bodo, and Ipjong-Galmunwang, the King Namul's family, while promoting that the succession of the throne of King Jinheung was a legitimate one, the political support of The King Namul's family’s a group of relatives. The reason Lady Bodo sought solidarity with the relatives of The King Namul's family in the process stems from her intention to preempt their opposition by limiting political participation by members of the King Namul's Immediate family, who were dissatisfied with the right to ascend the throne to The King Jijung's family. 본고는 진흥왕이 어린 나이로 왕위계승을 할 수 있었던 정치적 배경을 살펴본 연구이다. 이를 위해 진흥왕의 즉위를 전후한 정치세력을 파악한 뒤, 그들과의 정치적 연대를 이끌어낼 수 있었던 요인을 살펴보았다. 특히 이사부와 거칠부의 출계를 통해 그들이 속해있던 정치세력의 실체를 분석한 결과, 거칠부의 경우 나물왕 직계와 혼인을 통해 왕실에 편입된 인척 집단의 구성원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사부의 경우 이차돈 사례와의 비교를 통해 그 역시 나물왕계의 인척 집단 구성원이었음을 유추해낼 수 있었다. 한편 천전리서석의 원명과 추명에 나오는 왕실 인물들을 분석한 결과, 525년 입종갈문왕과 동행했던 於史鄒女郎은 보도부인이었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그녀는 법흥왕비 이전에 나물왕 직계인 자비왕계 인척 집단 구성원이었다. 이러한 보도부인의 계보는 이사부와 거칠부로 대표되는 나물왕계 인척 집단을 포섭할 수 있었던 주요한 배경으로 작용했다. 천전리서석의 추명에 언급된 ‘妹王考妹王’은 보도부인이 의도했던 정치적 연대의 목적을 짐작케 해주는 대목이라 할 수 있다. 즉, ‘妹王考妹王’은 ‘소지왕·지증왕·보도부인·입종갈문왕’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는 진흥왕의 왕위계승이 나물왕계로부터 이어진 정통성 있는 것이었음을 내세우는 동시에 나물왕계 인척 세력으로 대표되는 ‘凡나물왕계의 지지’를 받고 있다는 정치적 정당성까지 확보했다는 표현의 발로였던 것이다. 보도부인을 필두로 한 왕실 세력과 나물왕계 인척 집단 간의 정치적 연대는 지소부인의 ‘自思’, 즉 그녀가 등장할 수 있는 당위성을 제공해주었고, 결국 어린 나이, 전왕인 법흥왕과 父 입종갈문왕의 부재 등과 같은 불리한 여건들 속에서도 진흥왕이 왕위계승을 할 수 있었던 주요한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나아가 지소부인이 섭정해나갈 수 있었던 정치적 기반 역시 확보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신라의『國史』 편찬과 儒・佛 접점의 斷想 -왜국 修史와의 비교를 위한 전제(Ⅱ)-

        이재석 고려사학회 2022 한국사학보 Vol.- No.88

        Regarding the compilation of Silla's “Guksa(National History)," it mainly emphasized the strengthening of royal authority and Confucian ideology of the King Jinheung based on the national growth of Silla. In this paper, I mentioned the following. First,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tatus of Geochilbu, it is possible that the compilation period of “Guksa" was less than about five years, indicating that this work was carried out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Second, I mentioned that the nature of “Guksa" should also be viewed from that point of view, in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both the individual power of the monarch of consultation and the representative power representing the ruling community of Silla. Third, the issue of narrative of Silla's Buddhist expropriation history was mentioned as a subject that would have had a more direct effect on strengthening the power (king power) of King Jinheung and others, such as Isabu and Geochilbu. Fourth, as is well known, Silla's intellectual climate at the time was already a convergent situation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I think that the admiration of “Guksa" from this situation can be seen not only in Confucianism but also in connection with Buddhism. 지금까지 신라의『國史』의 찬수를 보는 통설적 시각은 6세기 신라의 국가적 성장을 토대로 한 진흥왕대의 왕권 강화와 유교 이념의 강화를 강조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幼年의 군주 치하에서 이루어지는『국사』 찬수가 왕권 강화와는 구체적으로 어떤 정치적 연결고리를 통해 가능해지는지가 분명하지 않으며 또한『국사』의 찬수를 유교의 관점에서만 보는 것이 과연 타당한가 하는 점에서 재검토의 여지가 남아 있다고 생각한다. 본고에서 필자가 생각한 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거칠부의 관등의 변화를 추적하여『국사』 찬수 기간을 추정해 보면 대략 5년 미만이었을 가능성이 도출되며 이는 비교적 단기간에 이루어진 작업이었음을 보여준다. 둘째 ‘왕권’의 개념을 협의의 군주 개인의 권력과 신라의 지배공동체를 표상하는 대표권력이란 광의의 개념을 모두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에서『국사』의 성격 또한 그런 관점에서 보아야 함을 언급하였다. 셋째 이사부, 거칠부 등의 찬수 주도세력 및 진흥왕의 권력(왕권) 강화에 보다 직접적인 효력을 발휘하였을 소재로서 신라의 불교 수용사에 대한 기술 문제를 언급하였다. 불교의 수용 문제는 법흥왕대까지 이어진 대표적 君臣 갈등의 사례였으며 그 정치적・사상적 연장선상에 유년의 군주 진흥왕의 시대가 위치하고 있었다. 불교 문제의 기술은 과거 수용 반대파들에 대한 견제의 의미와 함께 유・불 습합의 현실의 정치를 주도해갈 수 있는 명분을 강화해 주는 효과가 있었다. 그런 점에서 이사부의 <君臣善惡・褒貶>론은 그저 명분론적인 수사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매우 현실적인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넷째 당시 신라의 지적 풍토는 주지하듯이 이미 유・불의 습합적 상황이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나온『국사』의 찬수도 유교만이 아니라 불교와의 연관 속에서 재음미해 볼 수 있는 여지는 있다고 생각한다. 여기서는 예컨대 진흥왕의 연호인 ‘開國’과 건국기년인 갑자년에 대한 관심도 불교적인 맥락과 연관지어 생각해보았다.

      • KCI등재

        6세기 우륵의 망명과정

        유우창(Yoo, Woo-Chang) 부산경남사학회 2018 역사와 경계 Vol.108 No.-

        6세기 전반에 우륵이 뜻밖에도 신라로 망명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가라에서 왕의 최측근 음악인으로서 왕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고, 때로는 정치적 견해도 피력하며, 상당히 여유로운 삶을 살았을 우륵. 우륵은 왜 고독한 망명객의 신세를 선택했을까? 가라의 악사였던 우륵은 왕산악, 박연 등과 함께 우리나라 3대 樂聖으로 추앙받아 오고 있다. ‘악사’라는 지위에 걸맞게 우륵은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한 것으로 보이지만, 이제까지 학계에서는 그를 가리켜 ‘정치인’이라 부르기도 한다. 왜냐하면 그가 결행한 신라로의 망명은 정치적 행동에 상당하며, 그 망명 동기 또한 매우 정치적이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음악인 우륵’보다 ‘정치인 우륵’의 망명 동기와 망명 과정을 추적하였다. 6세기 벽두부터 맹렬하고도 끈질기게 영역을 잠식해오는 백제를 견제하기 위하여, 가라는 522년에 신라와 혼인동맹을 성립시켰다. ‘가라-신라 혼인동맹’이 맺어지는 과정에서 우륵은 ‘악사’라는 지위로 인하여 일정한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믿어진다. 신라에서 오는 사절을 접대하고 혹은 우륵 본인이 직접 신라에 혼인(준비)사로 갔을 경우도 충분히 상정된다. 우륵은 ‘친신라파’정치인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른바 ‘변복’ 사건이 양국의 우호관계를 어긋나게 만들었다. 그 결과, 신라는 가라의 ‘도가 등 3성’과 ‘북경의 5성’을 함락시켰고, 가라는 종래의 ‘친신라 정책’을 철회하고 ‘친백제 정책’을 모색하게 되었다. ‘친신라파’로 낙인찍혀, 목숨까지 위태로웠던 우륵. 가라가 백제와 ‘상맹’을 맺고자 하는 모습을 보고, 그는 마침내 신라로 망명하고 말았다. 아마도 그 시기는 544년 3월∼548년 4월의 사이의 어느 때였을 것이며, 그 과정에는 거칠부의 도움이 있었을지도 모른다. In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Woo-Reuk(于勒) was unexpectedly exiled to Shilla. As the king’s closest musician, Woo-Reuk may have been fully supported from the king, expressed his political views, and lived a fairly relaxed life. Why did Woo-Reuk choose a lone exile? Woo-Reuk, who was a musician of Gara(加羅), has been as one of Korea’s three Sacred Musicians along with Wang, San-Ak(王山岳) and Park, Yeon(朴堧). Obviously Woo-Reuk had performed various musical activities according to his status as a royal ‘musician’. Sometimes, however, the academic world highlights his ‘political’ figure. In this paper, I tried to examine the cause and process of Woo-Reuk’s exile to Shilla to illuminate the aspect of the ‘political’ Wook-Reuk rather than the ‘musician’. From the starting of the 6th century, Baekje had been fiercely and persistently invading Gara’s borders. In order to check Baekje’s invasion, Gara established a marriage alliance with Shilla in 522. It is believed that as a royal ‘musician’, Woo-Reuk played such a role in the process of ‘Gara-Shilla Marriage Alliance’ as hosting the envoys from Shilla or attending the marriage ceremony. On this occasion, he showed his political aspect of ‘Pro-Shilla.’ However, the so-called “Changing Clothes Clothed” incident had damaged the relationship in the alliance. This led Shilla to conquer three castles and five castles subject to Gara. In turn, Gara repealed its conventional ‘Pro-Shilla Policy’ and pursued the switch into ‘Pro-Baekje Policy’. Stigmatized as a ‘Pro-Shilla Politician’, Woo-Reuk was tried in the political crisis. When he saw Gara form an alliance with Baekje, he eventually fled to Shilla. Perhaps it happened between March 544 and April 548, and his exile seems to have been helped by Geochilbu(居柒夫).

      • KCI등재

        異斯夫의 家系와 政治的位相

        전덕재(Jeon Deogjae) 한국사학회 2014 史學硏究 Vol.- No.115

        본 논고는 이사부의 가계와 진흥왕대 그의 정치적 위상 변화를 살핀것이다. 이사부는 눌지왕의 둘째 아들인 파호갈문왕의 손자였다. 이사부는 지증왕대 초반에 가야국을 습격하여 취하였고, 505년부터 512년까지 悉直軍主와 何瑟羅軍主로서 동해안지역에 주둔한 停軍團을 지휘하며 고구려의 남진과 왜군의 침략에 대비하고, 우산국을 정벌하였다. 법흥왕대인 529년에 3천의 군사를 이끌고 金官(김해시) 등 4촌을 공략하여 차지하였다. 진흥왕 즉위 이후 지소태후 섭정기와 진흥왕대 친정기 초반에 이사부가 병부령과 상대등을 겸직하며 정국을 주도하였다. 551년부터 진흥왕이 연호를 開國으로 바꾸고 친정체제를 구축하며 정국을 주도하였는데, 이때 이사부는 진골귀족의 대표로서 진흥왕의 국정운영을 배후에서 후원하였다. 568년 이후에 신라와 고구려 사이에 틈이 벌어지자, 진흥왕은 더이상의 영토확장을 포기하는 대신 새로 개척한 영토를 수호하고, 장기간의 전쟁으로 지친 백성들을 위로하는 정책을 폈다. 570년대에 이사부는 이미 사망하였거나 생존하였다고 하더라도 고령이었기 때문에 정치적 영향력은 미미하였을 것이다. 570년 무렵부터 진지왕대까지 이사부를 대신하여 거칠부가 국정운영에서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This paper examined the lineage of Isabu and the change of his political posi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Jinheung. Isabu was a grandchild of Paho Galmunwang who was the second son of the King Nulji. Isabu attacked and occupied the Kaya country early in the King Jijeung’s reign. From 505 to 512 as Siljig Gunju and Haseulla Gunju, Isabu conquered the Usanguk and led the Jeong corps that was stationed around the east sea area to prepare for the Goguryeo dynasty’s expansion toward the south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invasion of Whae. Leading 3,000 military, he attacked 4 Chon including the Geumgwan(Gimhae city) and took it in 529 during the King Beobheung’s era. After King Jinheung came to throne, Isabu led a political situation as Byeongburyeong and Sangdaedeung during the period under a regency by Jisotaehu and early reign period of King Jinheung. Since 551, King Jinheung began to control politics by changing the title of his royal year to Gaeguk and constructed his direct government system. At the same time Isabu supported the governance of King Jinheung behind the curtain as a representative of the Jingol nobility. After the bond between Silla and Goguryeo got weaker in 568, King Jinheung gave up further territorial expansion and chose to defend his new territory and resolve the anxious state of mind of people that was caused by a long-term war. In the 570s, Isabu may have been already dead. Then even though he was even alive, his influence must have been insignificant. From around 570s to King Jinji’s period, Geochilbu had the great influence on national administration on behalf of the Isabu.

      • KCI등재

        신라의 安城地域 진출과 의미

        황보경(HwangBo, Kyung)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7 한국고대사탐구 Vol.25 No.-

        안성지역은 기원을 전후한 때부터 백제와 마한이 대립했고, 고구려가 南進함에 따라 백제와 공방전을 벌이기도 했으며, 신라가 北進하면서 백제와 대결했던 곳이기도 하다. 최근에 안성에서는 많은 백제 유적이 발굴되었는데, 신라 유적도 적지 않게 조사되어 주목받고 있다. 신라의 입장에서 안성은 경주에서 추풍령로와 죽령의 길을 따라 지금의 서울과 서해로 가기 위한 주요 요충지 중의 한 곳이었다. 그와 동시에 백제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최전방이었기 때문에 죽주산성 일대를 사수해야만 南川州일원을 방어할 수 있고, 이는 곧 중국과의 외교를 위한 교통로 유지와도 직결되었다. 특히 죽주산성의 축성기법과 고배 등의 유물로 볼 때, 6세기 중반에 신라에 의해 축조되었고, 비봉산성과 무양산성도 차례로 점령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장원리와 반제리, 당왕동에서 횡혈식 석실묘를 비롯한 횡구식 석실 및 석곽묘와 부가구연장경호가 출토되어 신라의 안성지역 진출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신라는 당항성을 지켜내기 위해 죽산-안성-평택으로 이어지는 교통로도 확보해야만 했다. 때문에 안성지역이 신라로서는 중요한 요충지로 인지되었으며, 영역확장과 당항성 개척, 중국과의 외교 推進에는 居柒夫가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신라는 독자적인 외교를 위하여 당항성을 점령하고자 했으며, 전략적으로 안성지역으로의 진출을 꾀하여 성공하였다. 이에 백제는 관산성 전투에서 패전한 이후 신라의 대중국 외교을 저지하지 못하다가 579년에 이르러 웅현성 등을 축조하여 교통로 차단에 나섰다. 그러나, 신라가 안성 일대를 백제로부터 지켜냄으로써 당항성을 통한 외교노선이 유지될 수 있었으며, 583년 선부서의 설치로 신라 정부는 한층 적극적이면서 체계적인 대중국 외교를 펼쳐 나갈 수 있었다고 사료된다. In Anseong region, Baekje Kingdom and Mahan Kingdom confronted each other since around the B.C 1. Their battles became fierce when Baekje Kingdom moved the capital city to Woongjin against the invasion of Goguryeo Kingdom southward. Anseong was also the region where Shilla competed with Baekje to obtain when Shilla moved northward and bordered on Baekje. Recently, many Baekje’s relics were found in Anseong but there found lots of relics of Shilla, too. From the standpoint of Shilla, Anseong was geographically one of the key stations to reach Seoul and Seohae through the path of Chupungryeong road and Jukryong road from Gyeongju. At the same time, since Anseong was the front line contacting the border on Baekje Kingdom, Shilla should defense the whole area of Jukju Fortress in order to defense Namcheonju, which was directly linked with the maintenance of the traffic route for diplomatic relations with China. Shilla also should secure the traffic route of Icheon-Yongin line connecting to Juksan-Anseong-Pyongtaek. Therefore, Anseong was recognized as one of the key stations for Shilla Kingdom. It was Geochilbu who was suspected to take the leading role when Shilla promoted to expand territories and build Danghang Fortress for promot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China at that time. Shilla tried to occupy Anseong around from 555 A.D. to 565 for independent diplomacy and conquer Danghang Fortress to secure a stable traffic route. After Baekje was defeated in the battle for Gwansan Fortress, Baekje failed to deter Shilla Kingdom’s diplomacy with China. Around 579 A.D., Baekje began to block the traffic route by building Woonghyeon Fortress. However, as Shilla Kingdom succeeded to defense Anseong area against Baekje Kingdom, Shilla’s diplomatic path through Danghang Fortress could be maintained. By the establishment of Ship Department in 583, Shilla could expand the diplomacy with China more systematically.

      • KCI등재

        眞智王의 卽位에 대한 再檢討

        金德原(Kim, Deok-Won) 백산학회 2002 白山學報 Vol.- No.63

        There has been little substantial progress in the study of King Jin Ji (眞智王). This is due to a shortage of records regarding his reign that resulted from the political turmoil leading up to his dethronement four years after taking the throne. Negative impressions implanted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and recording his administrative achievements in comparison to King Jin Pyeong(眞平王) are another reason for this dearth of records. The background information that made it possible for him to become King, however, highlights both his personal ability and internal and external circumstances unique to the era of his accession. In terms of ability, his age was considered an important fact qualifying him to be King, as was his renown as a wise statesman with a keen and accurate sense of judgment. Taking into account the internal and external circumstances both before and after he became king, one must consider the Shilla Kingdom (新羅) suffering frequent attacks mounted by the Paekje Kindgom(百濟) externally given the inroads that King Jin Heung(眞興王) made into the Hang River(漢江) basin. The ideology of Cakravartirajan(轉輪聖王) late emerged as an internal factor, in terms of how it was closely connected to the Buddhist politics of King Jin Heung(眞興王). It was Geo Chil-bu(居柒夫) who played a pivotal role in bringing Jin Ji to the throne. He had been characterized as a symbolic figure that made great contributions to the expansion of Shilla Kingdom(新羅) territory by becoming a member of inner Buddhist circles somewhat earlier than others. In this context he was able to assist Jin Ji's accession to the throne in the following ways: Safeguarding the Shilla Kingdom territory from external threats was always an imminent proposition, while the internal politics of the Kingdom involved a pursuit of inheriting the Buddhist policies of King Jin Heung(眞興王). In addition to the Geo Chil-bu's(居柒夫) loyalty played in the coronation of King Jin Ji(眞智王), the role Kim Mu-ryeok(金武力) played is also worthy of attention. It has been inferred from what few records are available, that the military stronghold Kim Mu-ryeok had in cooperation with Geo Chil-bu(居柒夫) was a major factor in Jin Ji's accession to the throne.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 Jin Ji(眞智王) and Kim Mu-ryeok(金武力) also played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kinsfolk. It has, therefore, been suggested that as a result King Yong-chun(金龍春) was nudged toward ties with Kim Seo-hyeon(金舒玄), and Kim Chun-chu(金春秋) affiliated himself with Kim Yu-sin(金庾信). It was perhaps these Saryun(舍輪系) and Kaya(加耶系) clique relationships, upon which a new aristocracy that has come to be known as the spread of ‘the middle ages(中代)’ was ba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