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갯방풍(Glehnia littoralis Fr. Schmidt ex Miq.)의 양액 염분 농도 및 생육 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양명균,염문선,조우재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6 No.2

        최근 농지 및 수자원의 염류화로 인해 염생식물에 대한 작물화와 생육 조건 구명을 위한 연구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재배 조건 변화에 따른 작물의 생육 및 기능성 성분 변화 분석을 위해서는 양액 및 작물 생육부 시료를 채취하여 이를 전처리 및 분석해야 하여 시간적, 인적 자원의 소모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염생식물의 최적 생육 조건 구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비파괴적으로 재배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작물 생육부와 수경재배 근권부의 염분 농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 시스템을 통해 NaCl 0 mM, 50 mM, 150 mM, 300 mM의 4가지 농도 조건에서 갯방풍을 대상으로 재배실험을 수행한 결과, 재배 중 염분 농도 수치의 변화 및 염분 농도가 높을수록 생체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제 생육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개발 시스템을 통한 모니터링 결과에 상응하는 생체중 결과를 확인하여 염생식물의 생육 모니터링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단위 생체중 당 기능성물질 함량의 경우, NaCl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갯방풍의 상업적 재배 조건의 구명을 위해서는 생체중 외에 기능성 성분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Due to the recent salinization of farmland and water resources, the need for research on halophytes is increasing. However, to analyze the changes in crop growth and function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varied cultivation conditions, samples of nutrient solution and plant tissues must be collected, pre-processed, and analyzed. These are highly time-consuming and laborious. In this study, a system was developed that can non-destructively monitor the salinity concentration of the hydroponic rhizome and crop growth in real-time at the cultivation site to efficiently investigate the optimal growth conditions of halophytes. From the application experiment with Glehnia littoralis under four salinity conditions(i.e., NaCl 0 mM, 50 mM, 150 mM, 300 mM), the proposed system showed the salinity changes in the nutrient solutions and the increase of the fresh weight according to the NaCl concentration. The actual growth analysi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sh weight and the salinity was corresponded to the monitoring system, indicating the system feasibility on the growth monitoring of halophytes. However, in the case of the functional materials per unit fresh weight, it was found that the functional materials per unit fresh weight increased as the NaCl concentration increased. In a further study, on-site monitoring of the functional ingredients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commercial cultivation conditions of Glehnia littoralis.

      • KCI등재

        염생식물 갯방풍의 화학적 성분연구

        엄영란,이정임,이진혁,김해진,예성수,서영완,Um, Young-Ran,Lee, Jung-Im,Lee, Jin-Hyeok,Kim, Hae-Jin,Yea, Sung-Su,Seo, Young-Wan 대한화학회 2010 대한화학회지 Vol.54 No.6

        우리나라 동해안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인 갯방풍으로부터 2개의 polyacetylene 화합물인 falcarindiol(1)과 falcarinol(2), 4개의 coumarin 화합물인 bergapten(3), xanthotoxin(4), umbelliferone(5), scopoletin(6) 및 1개의 sesquiterpene 화합물인 $(5\beta,10\alpha)$-lasidiol angelate(7)가 분리되었다. 이들 화합물 중 scopoletin(6)과 $(5\beta,10\alpha)$-Lasidiol angelate(7)는 갯방풍으로부터 처음 분리되어진 것이다. 분리된 화합물의 구조결정은 $^1H$ COSY, HMQC 그리고 HMBC와 같은 2D NMR 분광학적 실험과 문헌에 보고 된 값을 비교하여 이루어졌다. Two polyacetylenes (1 and 2), four coumarins (3-6), and one sesquiterpene (7) were isolated from the halophyte Glehnia littoralis. Particularly, compound 6 and 7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Glehnia littoralis. Their chemical structures have been determined by extensive 2-D NMR experiments such as $^1H$, COSY, HMQC and HMBC and by comparison with the reported data in the literature.

      • KCI등재

        인간모유두세포에서 갯방풍과 천심련 추출물이 모발 성장에 미치는 영향

        강은정,최윤식,장영아,박지아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24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7 No.-

        In modern society, as hair serves not only protecting the body but also as a tool for self-expression, interest in hair care and research using natural products on hair growth are increasing.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Glehnia littoralis (G.littoralis) and Andrographis paniculata (A. paniculata) on hair growth. First,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G.littoralis and A.paniculata were evaluated. At the results, G.littoralis and A.paniculata significantly reduced ABTS+ radical and nitrite. Next, qRT-PCR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 littoralis and A. paniculata on hair growth factor such as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Wnt/-catenin signaling pathway which is essential for hair follicle morphogenesis and regeneration. At the results, VEGF, Wnt5a and - catenin mRNA expression increased by G.littoralis and A. paniculata in human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 (HFDPC). Interestingly, these effects were potentiated when mixture of Glehnia littoralis and Andrographis paniculata was tested.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G. littoralis and A. paniculata may be able to use as functional materials of natural productderived drug for alopecia and hair growth by protecting against oxidative stress, increasing VEGF expression and Wnt/-catenin signaling pathway in HFDPC.

      • 화학적 및 물리적 처리에 의한 약용작물의 종자소독 효과

        이공인 ( Gong In Lee ),김승희 ( Seoung Hee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

        식물공장의 초기 투자비, 운영비 등 경제성 확보를 위해 경쟁력이 있는 약용작물을 대상으로 고부가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약용작물의 안정적인 발아촉진을 위하여 갯방풍(Glehnia littoralis Fr. Schm) 종자를 대상으로 화학적 방법과 물리적 방법에 대해 종자소독 효과를 검토하였다. 화학적 처리는 시판 중인 25%의 황토유황 원액을 사용하여 희석농도(0.03%, 0.04%, 0.05%, 0.06%, 0.08%), 침지시간(3시간, 6시간, 9시간, 15시간, 24시간)에 따른 종자의 부패상태를 조사하였다. 또한, 종자의 과피제거 유무에 따른 황토유황(0.25%, 침지 6시간) 및 락스(500ppm, 침지 6시간)에 대해서도 비교시험을 실시하였다. 화학적+물리적 혼합처리의 경우 전처리 단계로 종자를 냉동 15시간, 상온 30분 처리를 한 후, 0.08% 황토유황 희석액을 초음파 장치의 수조에 채우고 40kHz 주파수에서 5단계 출력(350W, 600W, 750W, 1,000W, 1,200W)조건으로 각각의 소독효과를 조사하였다. 갯방풍 종자에 대한 화학적 처리의 결과는 황토유황의 희석농도 0.03%, 0.04%, 0.08%, 침지 6시간일 때 종자의 부패가 발생되지 않았으나, 다른 처리에서는 2주 이후부터 부패가 관찰되어 소독효과가 전혀 없는 것으로 보아, 처리 후 환경조건이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피제거 유무에 따른 소독효과는 락스 대비 황토유황 처리에서 부패가 전혀 진행되지 않아, 처리 후 온도 5℃ 냉장 상태의 환경조건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화학적+물리적 혼합처리의 결과는 출력에 관계없이 거의 소독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금후 0.25% 황토유황 희석액을 가지고 대진폭 고출력 초음파 처리에 대해서도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