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갑상설관낭에서 발생한 원발성 유두상 암종

        이건국,최영석,이옥준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7 忠北醫大學術誌 Vol.7 No.1

        갑상설관낭은 두경부에 생기는 가장 흔한 낭이나 갑상설관낭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앙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갑상설관낭의 약 1% 미만에서 발생한다. 현재까지 100여예가 보고 되었으며 국내에 오직 몇예만 보고되었다. 43세 여자의 갑상설관낭에서 발생한 원발성 유두상 암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is report presents a case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arising in a thyroglossal duct cyst(TGDC) of a 43 year-old women and literature is reviewed. Thyroglossal duct cyst is a common congenital cyst, occuring in the neck and carcinomas arising in the TGDC are a rare event. To date, approximately 100 cases of carcinoma have been reported, the majority of them being papillary carcinoma. Only a few cases have reported in Korea.

      • 갑상설관낭의 임상적 분석

        곽동석,이영학,김정균,배선근,최정일,이재태,이규보,이영하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4 慶北醫大誌 Vol.35 No.3

        목적 : 갑상설관낭을 수술하여 조직학적 소견을 얻은 예들에서 임상적 소견, 갑상선 스캔 및 조직학적 소견 등을 조사하여 이 질환의 임상상을 정립하고자 이 분석을 시도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상은 41예의 갑상설관낭 환자들로서 후향성 분석을 하였는데, 갑상선 스캔은 Tc-99m pertechnetate를 정맥주사한 후에 실시하였다. 결과 : 갑상설관낭 환자 41예 중에서 38예(93%)는 목의 정중부에 위치한 결절을 주소로 하였고, 일부에서는 누공을 형성하거나 감염된 경우도 있었다. 갑상선 기능검사 소견은 모두 정상이었고, 초음파소견은 주위와 경계가 분명한 저에코 낭종양상을 나타내었고, 갑상선 스캔에서는 결절부위에 방사능 섭취의 증가는 없었다. 갑상설관낭병소의 조직학적 소견에서는 17예(41%)에서 갑상선 여포세포가 발견되었고, 34예(83%)에서는 상피세포조직이 발견되었다. 결론 : 갑상설관낭은 93%에서 목의 전면 중앙 부위에 결절을 주소로하며, 갑상선 기능검사 소견과 Tc-99m 스캔 소견은 정상이며, 초음파에서는 저에코 낭종으로 나타나며, 조직학적 소견에서는 41%에서 갑상선 조직이 포함되어 있었고, 83%에서 상피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A clinical analysis was done in forty one patients with surgically proven thyroglossal duct cyst. The most common symptom was palpable mass at the midline of neck(93%), but there were also fistulae formations and infection. Thyroid function tests revealed euthyroidism in all cases, and ultrasonogram showed hypoechoic cysts with well defined margines. Thyroid scan with Tc-99m pertechnetate showed no radioisotopic uptake on thyroglossal duct cysts. There noted thyroid follicles in the histological findings in 17 cases(41%) and epithelial cell lining in 34 cases(83%). The reason for nonvisualization of the thyroglossal duct cysts on scan might be that the amount of thyroid tissue is too small for the thyroid tissue to take the radiopharmaceuticals as doing of normal thyroid gland. There noted two cases of recurrence after Sistrunk's operation.

      • KCI등재후보

        경부 림프절 전이를 동반한 갑상설관 낭종 유두암 1예

        이동준,안동빈,김재혁,박준식 대한이비인후과학회 부산,울산,경남 지부회 2012 임상이비인후과 Vol.23 No.2

        A thyroglossal duct cyst (TGDC) is the most common developmental anomaly of the thyroid gland. Malignant neoplasms arising from a thyroglossal duct cyst are rare (only 1% of thyroglossal duct cyst cases). In most cases, diagnosis of the thyroglossal duct cyst carcinoma is incidentally established after excision of a clinically benign thyroglossal duct cyst. We report a case of papillary carcinoma arising in the thyroglossal duct cyst with both neck lymph nodes metastasis, which defined preoperatively through clinical, radiologic and cytologic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