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 장애인의 감각처리능력에 관한 연구

        정병록(Byoung-Lock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0

        본 연구는 지적 장애인들의 감각처리 유형에 따른 감각처리능력을 확인하고자 진행하였다. 장애인복지시설에 생활하는 98명의 지적 장애인을 대상으로 청소년/성인 감각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감각처리능력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지적 장애인들의 감각처리능력은 4가지 영역(낮은 감각등록, 감각찾기, 감각민감성, 감각회피)에서 모두 평균보다 낮은 점수를 보여 대부분의 사람들보다 적거나 매우 적은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연령을 청소년기(11세에서 17세)와 성인기(18세 이상)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에서는 낮은 감각등록, 감각찾기, 감각민감성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장애 등급에 따른 감각처리능력은 낮은 감각등록과 감각회피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차후 연구에서는 지적 장애인의 거주 환경에 따른 감각처리능력을 확인하고, 대상자 수를 확대하여 장애등급에 따른 감각처리능력을 비교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nsory processing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AASP). AASP was executed for 98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iding in nursing home. The score of sensory processing ability expressed the conditions of being ‘Less Than Most People’ and ‘Much Less Than Most People’ in the all sensory processing areas of Low Registration, Sensory Sensitivity, Sensory Seeking, Sensory Avoiding.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x. The score of sensory processing ability between teenagers(11 years to 17 years) and adult(above 18 years), teenagers statistically showed lower scores in the three sensory processing areas of Low Registration, Sensory Seeking, and Sensory Sensitivity. In addi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nsory processing areas of Low Registration and Sensory Avoiding according to the disability grading. In the future research, it is suggested to examine the sensory processing within residual setting and it need a study comparing sensory processing skills according to the disability grading by increasing subjects.

      • KCI등재

        감각소구광고에서의 감각적 관여 및 조절 변수의 역할

        윤성준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9 No.3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 sensory advertising model based on a theoretical premise that sensory appeals (i.e., five human sensual stimuli) activates self-referencing as well as affective responses, which then influences the attitude toward ad featuring products providing various sensory clues. The major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wo-fold; First, according to advertising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when ad information is congruent with self image, self-referencing occurs while the affective response of the stimulus is positive, when positive, will positively influence attitude for the ad. Based on this theoretical premise, this study seeks to verify the mediatory role of self-referencing and affective responses between sensory involvement and attitude toward ad. Second, based on the theoretical ground that inter-stimuli congruence and information presentation format (image vs. word) interact with sensory involvemen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ing role of these two intermediary variables between sensory involvement and attitude toward a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self-referencing was found to mediate the sensory involvement for olfactory sense used for coffee ad to exert influence on attitude toward ad. Second, when sensory involvement is high, it was found to invoke affective responses more easily, which verified mediation hypothesis concerning affective response. Third, the study found that sensory involvement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toward ad through interactions with ad type (copy vs. visual). Finally, the result of conducting 2 way ANOVA designed to deter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istency among sensory appeal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sensory involvement and sensory appeal consistence. 본 연구는 감각적 브랜딩의 실증적 검증의 일환으로 사람들에게는 광고제품과 연상되는 감각적 단서에 대한 관여도가 존재하며 감각적 자극 (예: 제품의 오감적 자극) 에 의해 자아연상과 감성적 반응이 발동됨으로써 이것이 다시 그 제품이 등장하는 광고의 태도에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이론적 논거 하에 소비 심리적 기제를 통하여 감각적 광고소구의 효과모형을 개발하려고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목적은 크게 두개로 축약될 수 있다. 첫째, 광고 정보처리이론에 따르면 제시된 광고정보가 자신과의 이미지와 인지적으로 일치할 때 자아준거(self-referencing)가 발생하고 동시에 그 자극에 대한 감성적 반응이 긍정적일 경우 광고에 대한 태도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이같은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감각적 광고에 대한 긍정적 감정과 자아준거는 감각적 관여와 광고 태도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감각적 자극들 간의 일관성과 정보제시형태(이미지 vs. 문자)가 감각관여도와 상호작용한다는 이론적 근거 하에 이들 변수들이 감각적 관여도와 광고 태도 간에 조절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에 보여진 제품에서 대표적으로 연상되는 감각(본 연구에서는 커피광고물에 대한 후각적 자극)에 대한 관여도는 광고물에서 인지되는 소비자의 자아연상이라는 매개 작용을 통해 광고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둘째, 광고의 감각적 자극에 대한 관여도가 높을 경우 보다 쉽게 긍정적 감성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다시 광고에 대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의 검증결과 감성적 반응은 감각 관여도와 광고 태도에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셋째, 광고에서 소구되는 후각에 관한 관여수준은 광고유형 (카피 vs. 비쥬얼) 과의 교호작용을 통해 광고의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광고의 감각소구들 간의 일관성이 감각관여와 광고태도에 미치는 조절영향을 보기 위하여 2(감각자극 일관성) x 3(감각관여수준) 2원 ANOVA를 실시한 결과 감각자극일관성과 감각관여수준 간의 교호효과는 .05 유의수준에서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발달장애아동의 질환별 감각처리능력의 비교

        김진경,이택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10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8 No.3

        목적 : 발달장애아동의 질환별 감각처리능력을 파악하여 감각통합치료에 방향성을 제시 하고, 작업치료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발달장애아동의 질환별 감각처리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임윤정 등(2007)이 한국어로 번역한 Sensory Profile을 사용 하였다. 연구대상은 발달장애아동으로 진단받은 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보호자에게 설문조사에 대한 동의를 얻어 2009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 방문 및 우편 배부를 하여, 총 325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일반적 특성과 감각처리능력의 감각영역 14항목과 감각요인 9항목은 빈도 분석하였으며, 감각통합처리기술을 비교하기 위하여 일요인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사후검정은 Scheffe 검정을 하였다. 연구결과 : 감각영역에서 G영역(지구력/근긴장도 조절)이 네 집단(ADHD아동, 자폐아동, 정신지체아동, 발달지연 아동)에서 모두 문제범주로 나타났다. 발달장애아동의 질환별 감각요인 비교에서 요인1(감각추구)과 요인2(정서반응)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결론 : 발달장애아동은 역치와 행동의 관계를 설명하는 4개의 감각모델(감각등록저하, 감각민감성, 감각회피, 감각 찾기) 중 감각등록저하에 공통적인 문제점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는 정상아동과의 연구를 통해서 발달장애아동과의 차이를 판별할 수 있는 기준을 결정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감각처리 유형과 대인관계문제 및 성인애착의 관계

        윤수정,이춘엽,김희정,정혜림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7 No.2

        목적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감각처리 유형과 대인관계문제 및 성인애착의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국내 K지역의 대학생 169명을 대상으로 감각처리 유형은 청소년/성인 감각프로파일(Adolescents/Adults Sensory Profile; AASP)을, 대인관계문제는 한국판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척도의 단축형(Short Form of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 KIIP-SC)을, 성인애착은 친밀관계경험척도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Scale-Revised; ECR-R)를 사용하여 측정을 실시하였다. 감각처리 유형과 대인 관계문제 및 성인애착의 관계는 피어슨 상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대학생의 감각처리 유형은 감각찾기만 “일반인보다 덜함”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등록저하, 감각예민, 감각회피는 “일반인과 유사함”의 결과를 보였다. 대인관계문제는 자기희생과 과순응성에서 어려움이 많았고, 자기중심성과 통 제지배가 어려움이 적었으며, 성인애착은 애착회피가 애착불안보다 더 안정적이었다. 감각처리 유형 중 등록저하와 감각예민은 모든 대인관계문제 및 성인애착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대인관계문제 중 자기희생과 과관여는 감각 찾기와, 냉담, 사회적 억제, 비주장성, 과순응성은 감각회피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감각찾기와 감각회피는 서로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p<.05). 결론 : 작업치료 임상에서 장애인뿐만 아니라 대인관계와 애착의 문제를 경험하는 비장애인에게 감각처리의 유형에 따른 중재를 실시한다면 그들이 질 높은 사회활동을 영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level of sensory process type,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on university students and then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Methods : For this study, 169 students who don`t know about the evaluation tool in university students of K area in Korea were participated. To execute evaluation, Adolescents/Adults Sensory Profile (AASP) was used for the sensory process type, Short Form of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 (KIIP-SC) was used for interpersonal problems, and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Scale-Revised (ECR-R) was used for the adult attachment. The correlation between sensory process type and interpersonal problems, adult attachment was analyzed by us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 Sensory process type of university students appeared that sensory seeking was lower than general people, and the rest of items showed similar results with general people. For interpersonal problems, there was a lot of difficulty in self-sacrificing and overly accommodating, whereas there was a little difficulty in vindictive and domineering / controlling. For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voiding was more stable than attachment anxiety. Also, low registration and sensory sensitivity all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problems and adult attachment. Among interpersonal problems, self-sacrificing and intrusiv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ensory seeking whereas cold, socially inhibited, nonassertive, and overly accommodating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ensory avoiding. Thus, sensory seeking and sensory avoiding showed different results (p<.05). Conclusion : In occupational therapy clinic, not only the disabled but non-disabled people that experience issue of interpersonal problems and attachment could be helped with managing high quality social activity if they execute intervention according to sensory process type.

      • KCI등재

        감각과 풍경: 백석 시에 나타난 감각의 특징

        한수영 ( Soo Young Han ) 現代文學理論學會 201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7

        이 논문은 백석 시에서 감각이 시적 대상을 재현하는 도구로서가 아니라, 그 자체로 자기 존재성을 드러내고 있다는 것에 주목했다. 오감은 각각의 기관감각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고 복합적으로 소통되고 있다. 시각은 청각, 촉각, 후각 등의 다양한 감각으로 전이되거나 대체되며 이에 따라 시각 중심의 감각질서가 전복되게 된다. 보는 주체의 위치가 약화되면서 백석의 풍경은 ''주체''와 주체의 지배를 받는 ''세계''가 부재한 인식 이전의 상태에 가까워진다. 풍경은 인식론적인 지각 작용으로부터 독립적인 ''순수 감각''에 의해서 구성되며, 보여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움직이고 소리내는 세계가 된다. 순수감각은 개별 사물에 생명성을 부여하고, 사물 각각에 고유한 권위를 제공해준다. 사물은 순수감각을 통해 쉽게 타자에게로 이동하여, 존재의 변전을 이룩해낸다. 순수감각이 활성화된 감각의 영토에서는 인간, 동물, 사물의 경계가 없으며, 감각을 통해 생명, 비생명이 어우러진다. 이곳에서는 개별자의 특정성이 아닌 익명적인 생명의 에너지가 가득하다. 이 에너지야말로 공동체적 시세계를 떠받치는 바탕이며, 원초적인 충족성의 기반이 된다. 감각의 회복은 주체에 의해 배제되었던 타자들의 복권을 의미하며, 인간과 사물, 자연과 세계가 새롭게 공존하는 근원적인 통로가 된다. 또한 백석 시가 따뜻한 긍정에 이를 수 있는 자기장의 역할을 한다. This thesis paid attention on the fact that the scenery described in Baek Suk's poems is not visual oriented. The scenery is not being described by subject's eye sight but formed with equal operation of the five senses. This become a basis to turn over the visual centralized order concept. Auditory, tactile sensation and olfactory sense replace the vision metastasizing to other senses. Baek Suk's scenery is not for visual, but it moves and sounds by itself. Thereby, senses are not the tool for reproduction of poetic objects but become starting fundamental of capturing the right poetic moment. There is no segregation of the subject from the real world in Baek Suk's scenery. The manifestation of the free and pure sense rise from perceptivity. The pure sense animates objects and furnish them with unique prestige. The objects easily migrate to others through the pure sense, then establish the mutation of their existence. In the territory of senses, there is no boundary among humans, animals and objects, and the harmony becomes realized between lives and ajiva through senses, where there is affluence of energies not with individualized characteristics but with anonymous lives. This energy is the real source to support the real collective world and becomes foundation for basic fulfillment. The latter part of his time, there come named subjects and stories into the territory of senses. Anonymous powers are being divided into the horizontal side of the history. But, the reason why we can still feel the worm feeling even in defragmented world is that the poems in the latter part are still alive over the other side, the territoy of senses. Unconsciously. Senses work as a giant magnetic field of lives. The recovery of the senses does mean the comeback of the others excluded by the subjects and will become a basic conduit for humans, objects, nature and the work to make harmonic lives.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감각 개념

        전재원(Jeon Jae-won) 대한철학회 2008 哲學硏究 Vol.108 No.-

        아리스토텔레스는 〈영혼론〉 제2권 제5장에서 잠정적으로 선배들의 견해를 받아들여 감각이 ‘일종의 변화’요, ‘외부로부터의 영향을 받아들이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 변화는 감각능력이 감각대상의 감각적 형상을 받아들이는 변화라고 설명함으로써 선배들과 선을 긋는다. 계속해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영혼론〉 제2권 제7장-제11장에서 각각의 감각기관이 바깥 사물들의 영향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를 설명한다. 이 때 아리스토텔레스가 강조하고 있는 것은 상이한 종류의 각 사물이 모종의 중간매체를 통하여 감각기관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 것이다. 이러한 설명을 마친 후에 〈영혼론〉 제2권 제11장의 말미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과연 감각이 무엇이며 왜 감각이 감각대상에 대하여 ‘판단하고 평가하는’(κρινειν)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감각에 대하여 형이상학적으로 정의하고 있는 말들을 다듬어 보면, 감각이란 ‘우리 외부에 있는 감각대상의 영향을 받아 감각능력 안에 가능태로 존재하고 있던 감각적 형상이 현실태로 존재하게 되는 하나의 과정’이다.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는 각각의 감각이 극단적 성질들 사이의 ‘중간자’이기 때문에 판단하고 평가하는 능력을 가지게 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감각 개념은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용어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가능태로 존재하고 있던 감각적 형상이 현실태로 존재하게 되는 과정을 신체 안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생리적(기계적) 사건으로 보는 사람들은 감각이 현실적으로 존재하게 되었을 때 그것을 감각(지각)작용으로 명명해야 할 것이고, 그 과정을 마음 안에서 일어나는 정신적(심리적) 사건으로 보는 사람들은 감각(지각)활동으로 명명해야 할 것이다. 흥미로운 것은 감각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를 따르자면, 감각은 언제나 감각활동 내지 감각작용을 의미한다는 사실이다. Aristotle opens his discussion of perception by describing perception as a kind of ‘change’ or ‘being acted upon’. According to Aristotle, when an animal perceives an object, the sense organ takes on or actually becomes like the form of the object it is perceiving. In describing this process, Aristotle uses two technical terms: potentiality and actuality. And Aristotle believed that we don’t perceive anything directly. Instead we perceive things indirectly, through some son of medium. This medium varies from sense to sense. According to Aristotle, sense-perception is to receive the sensible form without the matter. Plants cannot perceive because they do not have a medium and hence cannot receive forms of sensible objects without their matter. Aristotle mad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Greek science by being the first to propound a physiological and metaphysical theory of perception. His treatment of the sense-perception laid the groundwork for the debates which continue into our own day.

      • KCI등재

        감각통합중재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김경미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09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7 No.2

        목적: 감각통합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을 통하여 감각통합중재의 객관적인 근거기반을 제시하기 위하여 감각통합중재가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중재 결과 측정에 사용된 평가도구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 체계적 고찰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데이터베이스는 MEDLINE/PubMed, PsycINFO, CINAHL, Cochrane Library, OTSeeker 이었고, 검색어는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sensory integration therapy"와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이었다.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논문은 11개로, 근거의 질적 수준은 수준Ⅰ과 수준 Ⅱ, Ⅳ이었다. 분석내용으로는 감각 통합중재의 대상군과 중재방법, 중재결과 측정 영역에 따라 중재결과를 측정하는 도구 및 중재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1. 감각통합중재 대상으로는 자폐스펙트럼장애가 30.7%로 가장 많았으며, 전반적발달장애와 조산아가 각각 15.4%이었다. 2. 감각통합중재 방법으로는 J. Ayres에 의해 제시된 전통적인 방법이 36.4%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감각통합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된 결과측정 영역은 행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영역이 40.63%로 가장 많았으며, 운동수행결과를 보기 위한 것이 28.13%, 감각기초 결과를 보기 위한 것이 25.0%이었다. 3. 감각통합중재 효과는 운동수행기술의 중재결과가 가장 많았으며(66.7%), 그 다음으로는 감각기초를 위한 중재결과가 62.5%, 그리고 행동 문제 해결에 효과적인 경우가 61.5% 순으로 분석 되었다. 학습과 관련하여 쓰기기술에는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감각통합중재는 운동수행기술과 감각기초능력 향상, 그리고 행동문제의 해결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치료적 접근방법이었으나 학습에 관하여는 효과적이지 않았다. 앞으로 감각통합중재의 일차적인 효과가 지속되어 학습이나 일상생활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문제를 가지고 연구방법 및 평가도구 중재방법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evidence for the effectiveness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SII) through a systematic review. Method : The systematic review was executed using MEDLINE/PubMed, PsycINFO, CINAHL, Cochrane Library, OTSeeker. The key words for search was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nd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11 stud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level of evidence were level Ⅰ, level Ⅱ and level Ⅳ. The substances of review were subject (population), meth ­od (intervention type), effect of the intervention, outcome parameter, and outcome measurement. Results : 1. The subjects of SII were autism spectrum disorders (30.7%),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15.4%) and preterm infants (15.4%). 2. Most frequently used method was the traditional intervention of J. Ayres (36.5%). The outcome parameters of SII were behavioral outcome (40.63%), motor perform­ance outcome (28.13%), sensory-based outcome (25.0%), and academic outcome (6.35%). 3. The effects of SII were improvement of motor performance (66.7%), sensory-based (62.5%), and behavior problems (61.5%). In most studies, however, academic skill such as writing skill was not a positive outcome pa­rameter in terms of effectiveness of SII. Conclusions : The results implied that the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is effective on motor performance, sensory-based and behavioral change, but not on the academic skill. It is suggested that the future re­search need to be done to examine whether and how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can be long-lasting and contribute any academic skill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 KCI등재

        들뢰즈의 ‘감각을 그리는 활동’으로서의 회화 예술과 교육의 관계: 『감각의 논리』를 중심으로

        김재춘 ( Gim¸ Chaechun ) 한국교육철학학회 2021 교육철학연구 Vol.43 No.3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감각의 논리』에 나타난 들뢰즈의 ‘감각을 그리는 활동’으로서의 회화예술이 어떤 의미와 특징을 지니는지 밝히고, 이런 감각을 다루는 예술활동이 교육과 어떤 관계를 맺을 수 있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작업을 수행하였다. 첫째, 들뢰즈가 말하는 감각의 의미를 밝히기 위해 ‘지각체들과 정감들의 복합체’로서의 감각이 지닌 특징을 분석하였다. 들뢰즈가 말하는 감각은 현실 차원에서 우리가 경험하는 피상적인 감각이라기보다는 그런 피상적인 감각 이면에 존재하면서 그런 감각을 생산해내는 심층적인 차원에 거주하는 감각임을 밝혔다. 둘째, 베이컨의 감각을 그리는 회화활동이 어떻게 가능하며, 그 특징은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감각을 그리려는 베이컨은 전통적인 재현회화와 현대의 추상회화 추상표현회화와는 다른 제3의 길로 형상회화라는 새로운 유형의 예술을 창조했다. ‘감각적 닮음’을 그리는 형상화가는 현실화되어 드러난 특정 얼굴을 그리는 ‘얼굴의 화가’라기보다는 변이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한 얼굴로 드러날 수 있는 머리를 그리는 ‘머리의 화가’임을 논의하였다. 셋째, 들뢰즈의 사유의 형식으로서의 예술이 어떤 의미와 특징을 지니는지 탐색하였다. 사유의 형식으로서 ‘무한을 복원시키는 유한을 창조’하는 예술은 카오스로부터 한 줌의 신성한 공기를 받아들여 카오스를 품는 코스모스 즉 카오스모스를 구성하려는 활동임을 밝혔다. 넷째, 들뢰즈의 감각을 그리는 회화예술과 교육의 관계를 탐색하고, 들뢰즈의 예술론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들뢰즈의 감각 예술론과 ‘감각들의 교육(학)’은 현 시점의 감성으로 감각할 수 없는 것을 감각할 수 있도록 주체가 지닌 현재의 감성을 와해시키고 새로운 차원의 감성을 생성해낸다는 점에서 예술과 교육이 동형적 관계를 맺고 있다고 볼 수 있다.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Deleuze’s act of “painting the sensation” in The Logic of Sensation and to explore how the act of painting the sensation can relate to education. First,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sensation as “a compound of percepts and affects” to clarify the meaning of Deleuze’s sensation. This paper discusses how Deleuze’s sensation is not the superficial sense but is, rather, a sensation as a potential entity that exists in depth behind the superficial and, at the same time, produces the superficial. Second, it explores how Bacon paints the sensation and what its characteristics are. Bacon, who seeks to paint the sensation, paints the Figure by creating a third way of painting. The Figure painter who “creates resemblance, but through non-resembling means” is not “a painter of faces” but, rather, “a painter of the heads.” Third, it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art as a form among Deleuze’s three great forms of thought. Art as a form of thought creating the finite that restores the infinite is interpreted as letting in a breath of air from the chaos into the cosmos, therefore constituting a chaosmos. Deleuze and Bacon’s sensation is not fixed into one particular form but is instead a sensation of multiplicity that can potentially be actualized as various forms depending on changing conditions. Fourth, Deleuze’s sensation shows the importance of creation not only in art but also in education. Education is an eternally recurrent movement of both destructing the current level of sensation and creating a new dimension of sensation, and Deleuze employs the terms “education of the senses” and “pedagogy of the senses” to show the importance of creation, compared to imitation and representation, in education.

      • KCI등재

        감각통합치료가 아스퍼거 아동의 전정․고유감각 처리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은성 (Kim, Eun-Sung),김경미 (Kim, Kyeong-Mi)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08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6 No.1

        Objective : This study verifies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ve (SI) therapy on vestibular- and proprioceptive sensory (BPS) processing ability of a child with Asperger Syndrome (AS). Method : A boy who is 11 years and 2 months old took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 (Wee-FIM),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Short Sensory Profile, Bruininks-Oserestky Test of Motor Proficiency-2 (BOT-2), and Test of Playfulness (ToP) for the baseline. The child participated in 3 evaluation sessions and 8 therapy sessions based on the AB research design. Duration of each session is 50 min and the therapy session is divided into 40 minutes for treatment and 10 minutes for evaluation. Since the vestibular sense and proprioception build up one's ability of postural control, several tests were employed to evaluate the child' postural control as outcome measure; distance from front leg of chair to heel of the child with sitting (C-H distance), angle between trunk and thigh (hip joint angle) with sitting, and the 'prone-extension posture' which is a subtest of Clinical Observation of Motor and Postural Skill (COMPS) to examine postural control embodied with integration of reflex and BPS processing. Result : During the therapy, average data of the C-H distance is decreased from 27.33cm to 11.69cm, average data of the hip joint angle is also decreased from 43.3° to 20°, and average time for the prone-extension posture is increased from 13.15seconds to 24.84seconds. Conclusion :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ability to postural control in sitting and to maintain the prone-extension posture can be improved by sensory integrative therapy, with enhanced BPS processing. 목적 : 본 연구는 전정감각과 고유감각 제공을 기초로 한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아스퍼거 아동의 전정․고유감각 처리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P시에 거주하는 만 11세 2개월 된 남아로, 8세되던 해에 아스퍼거로 진단받았다. 본 연구는 개별 실험 연구 중 AB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과정은 기초선 기간(A) 3회, 중재 기간(B) 8회로 진행되었다. 기초선 기간에는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지 않았으며, 중재기간에는 전정감각과 고유감각 제공을 기초로 한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전정․고유감각 처리는 자세 조절 능력의 기초를 형성하므로 자세 조절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테이블 활동 후 아동의 앉은 자세 변화와 복와위 신전 자세를 평가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동의 앉은 자세 조절 능력과 복와위 신전 자세는 기초선 기간과 비교하여 중재기간에 대부분 2 표준편차 이상으로 향상되었다. 따라서 전정감각과 고유감각 제공을 기초로 한 감각통합치료가 아스퍼거 아동의 전정․고유감각 처리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아스퍼거 아동이 보이는 감각처리의 어려움을 파악하여 감각통합치료를 접근하고 그 결과를 측정함으로써, 감각통합치료의 질적인 효과를 제시한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감각처리와 소운동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홍은경,김한길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09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7 No.2

        목적: 본 연구는 감각통합에 장애가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감각처리와 소운동, 사회성 능력에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만 4-7세의 감각통합에 장애가 있는 아동 3명이었다.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주 1회(40분씩), 총 21회가 실시하였다. 감각처리능력, 사회성, 소운동을 측정하기 위해 감각프로파일,사회성숙도검사, 한국판시지각발달검사,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eo Proficiency(BOTMP)를 사용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적용 전과 후의 결과는 윌콕슨 순위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그룹 감각통합치료 전과 후의 감각프로파일, 사회성숙도검사, 한국판시지각발달검사, BOTMP의 평균점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감각통합장애가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한 후 감각처리, 사회성, 그리고 소운동 능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앗다. 그러나 그룹 감각통합치료 전에 비해 후의 사회성과 소운동에서 평균점수가 향상되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진다. 더 나은 연구를 위해 대상아동의 수, 치료의 회기를 늘리고 외적인 변인에 대한 통제가 필요하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group approach of sensory integration (SI) en­hances sensory processing, fine motor function, and social skill for the children with sensory integration disorders. Method : Three children with problems related in sensory integration had got received 21 intervention sessions. We evaluated children with sensory profile(SP), social maturity test, Korean-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K-DTVP),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BOTMP) before-and after interventio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ata is tested by the Wilcoxon matched-pair signed rank test. Results : All data of post-intervention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P, social ma­turity test, K-DTVP, BOTMP. Conclusions :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group SI intervention on sensory processing, fine motor function, and social skill for children with sensory integration disabilities. The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average score after SI intervention has been improved in the section of fine motor and social skill comparing to that of pre-intervention period. It would have positive impact for children with sensory integration disabilities. It is needed to study with the larger number of target children and more often treatment session are suggested. The confounding variables also should be con­trolled in the further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