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 of Family-Friendly Corporate cultu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Focus on ICT companies in Korea

        Won-Hee Lee(이원희),Dal-Nim Yang(양달님)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11

        본 연구는 한국 ICT기업들을 대상으로 가족친화적 기업문화가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실증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ICT 기업조직에서 가족친화적 기업환경이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 ICT 기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가족친화적 기업문화의 내부요인들이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 한국 ICT 기업 조직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가족친화적 복지제도는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몰입은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 중 가족친화적 근무환경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형식적인 가족친화형 프로그램 보다는 경제적 보상이 따르는 가족친화적 복지제도를 더 선호하는 종사자들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to examine how the family-friendly corporate culture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for ICT companies in Kor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mily-friendly culture of ICT companie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of their employees. To this end, the impacts of internal factors of family-friendly corporate culture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of the employees of ICT companies in South Korean are empirically analyzed. And the findings of the empirical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and Family-Friendly Welfare System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return, has positive effects on the job performance. But the Family-friendly working environment i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se results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workers who prefer family-friendly welfare systems with economic rewards rather than formal family-friendly programs.

      • KCI등재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사내기업가정신 및 혁신행동의 관계 :성별의 조절효

        유준,박재춘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5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FFOC),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FOC and innovative behavior. Also we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between FFOC and corporate entrepreneurship. Research sample consisted of 1,037 employees who were working in various manufacturing companie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FFOC showed a positive effects on corporate entrepreneurship. Second, FFOC had a positive effect on employee’ innovative behavior. Third, corporate entrepreneurship partially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FOC and innovative behavior. Finally, gender had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FOC and corporate entrepreneurship. Specifically, the positive effect of FFOC on corporate entrepreneurship was stronger in women than in men when FFOC was higher. In particular, this research concludes with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actical application. 본 연구는 제조산업에 재직 중인 노동자를 대상으로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사내기업가정신 및 혁신행동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또한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사내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사내기업가정신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실증하였다. 전국 제조산업의 노동자 1,037명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구성원들의 사내기업가정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구성원들의 혁신행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사내기업가정신은 부분매개역할을 하였다. 즉,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혁신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사내기업가정신을 거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넷째,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사내기업가정신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규명하였다. 즉, 여성은 남성에 비해,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높을수록 사내기업가정신이 더욱 강화되었다. 마지막으로 사내기업가정신과 혁신행동 강화에 대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를 토대로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사회복지사가 인식한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가족 및 직장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황혜원 청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한국사회과학연구 Vol.44 No.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organization’s family-friendly work culture on the family life and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331 social workers in Chungbuk area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The main research results were followed. First, the job satisfaction of 50’s social workers were higher than 30’s, 50’s women social workers positively perceived the expectation of working hours than others, and 30’s social workers showed the higher level of concern about disadvantage in career than 50’s. Second, the older social workers who perceived positively on the expectation of working hours and the organization’s managerial support showed the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organization’s family-friendly work cultur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amily life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Finally, several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level of family-friendly work culture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이들의 가족생활만족도 및 직장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충북지역 남녀 사회복지사 3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50대 사회복지사가 30대 사회복지사에 비해 직장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의 하위요인인 근무시간기대는 여성 사회복지사 및 50대 이상의 사회복지사가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불이익우려에 있어서는 30대가 50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가족 및 직장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복지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근무시간기대 및 조직의 관리적 지원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직장생활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사회복지사의 가족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사회복지기관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향상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가족친화제도와 일-가정 양립 지원 조직문화가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권혜원 한국기업경영학회 2022 기업경영연구 Vol.29 No.6

        이 연구는 가족친화제도의 효과성을 분석하고, 기업 간 가족친화경영의 수준과 효과의 차이를 설명하는 요인들을 질적 방법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가족친화인증을 받은 총 9개 기업 소속 인사담당자와 근로자 34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가족친화경영이 조직구성원들의 일-생활균형을 매개로 조직몰입 강화와 이직의도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한다. 이 과정에서 이 연구는가족친화제도의 포괄적 도입 수준만큼 제도의 활용가능성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의 지각이 중요하며, 이와 같은 지각을 구성하는 데 일-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조직문화가 핵심적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가족친화경영의 수준과 효과가 기업 간에 상이하게 나타나는 데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들을 규명하였다. 면접조사 결과,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정착되어 있고 구성원들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이 높은 기업들의 경우 첫째, 경영자/관리자가 지원적 리더십을 발휘하며 가족친화경영을 전략적으로 실행하고자 하며, 둘째, 가족친화제도를관리하는 내부 통제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확립, 운영함으로써 일-가정 양립문화를 조성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지며, 셋째, 여성 대표성과 노동조합의 발언권이 제도의 도입과 실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지원적 조직문화와 직무환경 관련 변수들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선행연구의 성과를 더욱 확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있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경영자가 조직 전반에 걸쳐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를 조성하고 가족친화제도의 실무력을 강화하는 내부통제시스템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밝힘으로써 정책적 시사점도 제공한다.

      • KCI등재

        경찰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일-가정 양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권혜림 ( Kwon Hye Rim ) 한국경찰학회 2017 한국경찰학회보 Vol.19 No.2

        이 연구는 업무의 특수성으로 타 직업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일과 가정의 양립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 예상되는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조직문화의 가족친화정도에 대해 구성원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경찰공무원의 일과 가정의 양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진단해 보았다. 분석결과, 경찰공무원들이 인식하는 경찰조직 문화의 가정친화정도는 평균 이하였고, 집단적 조직문화는 평균 이상이었다. 또한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일-가정 양립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집단적 조직문화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내 가족친화적 제도나 정책의 존재가 구성원들의 이용을 담보하지는 못하며, 이용가능성 자체가 아닌 실질적 이용을 방해하는 요인들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제도화 된 정책의 확산을 막는 조직문화적 변수가 존재한다면 그 원인과 결과에 대한 철저한 규명과 대안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the police officers, who are expected to experience more difficulties in reconciling work and family than other groups in occupation due to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ir work, perceive the degree of family-friendly culture of their organization and how the family-friendly culture affects the balance of work and family among the police officer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degree of family-friendliness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police was below the average, and the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compatibility in work and family, on the other hand, group-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had negative influence on it. The existence of family-friendly institutions and policies in the organization does not guarantee the use of members, and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factors that hinder practical use rather than availability itself. If there are organizational cultural variables that prevent the spread of institutionalized policies,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identify the causes and results and to prepare alternatives.

      • KCI등재

        가족친화적 기업문화가 근로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정우(Kim Jeongwoo),김경미(Kim Kyungmi),박현준(Park Hyunjun) 한국산업정보학회 2018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3 No.2

        본 연구는 제조기업에 재직중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가족친화적 기업문화가 직원의 가족친화제도 인지도와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가족친화적 기업문화가 기업의 경쟁력 강화 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행복에 영향을 끼쳐 근로자와 기업이 서로 상생할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본 연구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배포된 설문지 중 295부가 최종 유효한 응답지로 선택되었다.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기업문화, 근무시간, 직장상사의 지원과 가족친화제도 인지도와의 관계를 도출, 가족친화제도의 인지도가 직장만족도 및 삶의 질, 이직의사,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첫째, 기업문화가 직원의 가족친화인지도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근무시간이 가족친화인제도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직장 상사의 지원이 가족친화인지도에는 무의미한 영향을 주었는데 이는 직장상사의 지원은 근로자에게 일-가족 갈등을 줄여주고, 조직몰입, 이직의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던 선행연구와는 다른 결과가 도출되었다. 넷째, 가족친화제도 인지도는 근로자의 직장만족도 및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가족친화제도 인지도는 근로자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여섯째, 가족친화제도인지도는 근로자의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연구 결과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가족친화적 기업문화는 기업과 근로자에게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미침에 따라 기업에서는 가족친화제도가 있음을 적극 알리고 제도를 활용하고자 하는 직원에게 적극 권장 및 지원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족친화제도를 받아들이는 문화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중간관리자급을 중심으로 한 인식전환교육과 기업문화로의 정착을 위한 전사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family-friendly corporate policies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Data was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medium sized manufacturing company during the summer of 2017 and received 295 useful respons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multiple and simple regres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s of family-friendly corporate policies were signific antly positive from the employee’s perspective. The employees’ awareness of the family-friendly poli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job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i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urnover int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boss’ support at work showed the insignificant effect on the family friendly policy awareness and this result was ver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y. The study concludes that companies as well as employees benefit from family-friendly policies. The study that in order to create a family-friendly corporate culture, the company should not only introduce the policy to employees but also provide the support and atmosphere for the employees to utilize the family-friendly policy easily, and to establish a companywide support policy, organizational practitioners should find the way family-friendly policies to be rooted in the organization.

      • KCI등재

        가족친화적 경영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장-가정 갈등의 매개효과 가설 검증

        이선희,김문식,박수경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1 No.3

        직장-가정 갈등의 매개 가설이 가족친화적 제도 및 프로그램의 이용경험과 지각된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구성원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고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설명하는 기제로서 적합한지를 검증하였다. 기혼 남녀 1,767명에게 인터넷 설문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가족친화 제도 및 프로그램의 이용경험이 높고 조직문화가 가족친화적이라고 지각할수록 직장의 요구 때문에 발생하는 직장과 가정 갈등(직장→가정 갈등)을 적게 경험하고 조직에 대한 정서적 조직몰입이 높으며 이직의도가 낮은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효과는 직장→가정 갈등에 의해 부분적으로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장→가정 갈등을 통한 간접 효과의 양은 상당히 미미하였다. 사회교환 이론과 상징행동적 관점을 바탕으로 가족친화적 경영이 조직원의 태도에 영향을 주는 과정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직장→가정 갈등의 감소 이외의 다른 심리적 기제를 찾아보아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러나 직장→가정 갈등은 이직의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직장→가정 갈등에 대한 조직의 관심은 여전히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사회복지기관 기혼 여성 사회복지사의 일과 가정 양립을 위한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에 대한 연구

        송유미(Song, Yoomee),이선자(Lee, Sunja),이제상(Lee, Jesa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사회복지학 Vol.65 No.4

        본 논문은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가 사회복지기관 기혼 여성 사회복지사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과, 양자 간에 일-가정 갈등이 가진 매개효과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기관의 바람직한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 조성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는 직무열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일-가정 갈등을 매개로 직무열의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일-가정 갈등이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와 직무열의 간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가 기혼 여성 사회복지사의 일-가정 갈등을 경감시키고 직무열의를 향상시키는 좋은 방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기관의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일과 가정의 조화를 중시하는 가치를 공유하는 수준을 넘어, 조직 내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되는 탄력근무제와 직무표준화, 성과관리제 그리고 인사시스템 등을 갖추어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The modern society has undergone the fast change of the family structure and labor market. Particularly, the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life became the era's agenda while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of the women increased. However, the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was not created and the job engagement of the married female workers was decreased. The married female workers complained of suffering due to the work and family confli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tudy a relationship between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engagement of married female social workers, and secondly to investigate if family conflict affect the relationship.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known that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has effect on the job engagement, and work and family conflict play an intermediary role betwe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engagement. Therefore, it can be explained that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enhances the job engagement of married female social workers, and the culture would be a good measure of the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life. Based on the study, it is suggested that public relation and education need to be preceded for the spread of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by national initiated programs. Secondly, in terms of welfare organization, related regulations and guidelines need to be prepared, and thirdly, in the view of individual respect, members of family should have their own rights to put forth an opinion grandly with firm faith of the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life.

      • KCI등재

        여성관리자의 일-가정 상호관계와 조직성과

        김은주(Eun-Ju Kim),한인수(In-Soo Han)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0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충실화를 포괄하는 일-가정 상호관계는 구성원의 삶의 질과 직무만족 · 조직몰입 등의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기업에서는 구성원들이 일과 가정 생활을 병행함에 따라 나타나는 부정적 현상인 일-가정 갈등을 완화시키고, 반면에 긍정적 현상인 일-가정 충실화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일-가정 갈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고 일-가정 충실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향상시킨다는 가정 하에, 기혼 여성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일-가정 상호관계와 조직성과 사이에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미치는 역할에 대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일-가정 갈등과 직무만족 사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일-가정 충실화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한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Work-family interface including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richment has an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empirical research mainly investigated influence of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on work-family interfa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ee key variables apply for this research : work-family interfa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A total 750 questionnaire was collected from female managers in various companies for hypothesis testing.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reducing work-family conflict and enhancing work-family enrichment positively contribute to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plays a moderating role between work-family interfa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s a result, the findings support the fact that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work-family balance.

      • KCI등재

        ICT기업에서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내재적 동기부여, TMX, 창의성의 관계

        박재춘(Jae-Choon Park),정지연(Jee-Yeon Jeong),정재진(Jae-Jin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5

        본 연구는 개인 창의성의 선행변인으로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내재적 동기부여의 효과를 검증함과 동시에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효과와 TMX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가설검증은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였으며, 연구표본은 ICT기업의 연구개발 및 지원부서의 구성원 2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개인 창의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내재적 동기부여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조직구성원들의 내재적 동기부여는 개인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창의성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부여는 매개역할을 하였다. 넷째, TMX는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내재적 동기부여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창의성 또는 내재적 동기부여와 창의성의 관계에서 TMX의 조절역할은 검증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토의 및 결론을 통해,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among family-friendly culture, intrinsic motivation, team-member exchange(TMX), and creativity in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company. Also the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or effect of TMX and the mediator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friendly culture and creativity.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employed to test the hypotheses. Us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229 R&D department and support personnel in ICT company. The main finding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a family-friendly culture had a negative effect on employee creativity. Second, intrinsic motiv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employee creativity. Third, a family-friendly culture had a positive effect on intrinsic motivation. Fourth, intrinsic motivation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family-friendly culture and employee creativity. Fifth, th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a family-friendly culture and intrinsic motivation were stronger when TMX was high rather than low. In particular, this review concludes with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actical ap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