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족은 정의롭지 못한가?

        서선희(Suh Sun Hee) 동양사회사상학회 2016 사회사상과 문화 Vol.19 No.3

        1980년대 이래 한국 사회의 가족 연구는 가족의 가치보다는 무가치에 초점을 맞추고, 가족을 비판적이며 사회발전에 역기능적으로 보는 경향이 높았다. 이 같은 경향은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존재로 인간을 상정하고 권리와 공평이라는 정의의 관점에서만 가족을 접근해 온 결과이다. 정의로서의 가족 관점이 가족의 이름으로 숨겨져 있던 차별과 억압의 부정의를 드러내는 공헌을 했지만, 한편으로는 가족의 가치를 간과하거나 부인하는 경향을 초래했다. 인간은 그 생물학적 한계로 인해 돌봄을 필요로 하는 존재이다. 뿐만 아니라 역사적으로 인간은 독립되고 자유로운 존재로 살아온 것보다는 관계적 존재로 살아왔다. 이는 “좋은 삶”의 구현에 정의만이 아닌 도덕이나 미덕이 필요 한 이유이다. 가족의 가치도 정의의 관점만이 아니라 인간의 필요에 가족이 어떻게 기능해왔는가의 관점에서 평가되어야 한다. 역사적으로 가족은 출산과 양육의 기능을 통해 인간의 생물학적 한계를 보완하도록 기능해 왔고, 돌봄을 필요로 하는 성인들의 필요를 충족시켜 왔다. 뿐만 아니라 가족은 도덕성의 기초로 작동해 왔다. 가족관계를 통해 인간을 관계적 존재로 위치시키고, 그 관계성을 통해 도덕을 습득하고 실천하는 환경으로 작용해 온 것이다. 돌봄과 도덕성의 기초로서 가족이라는 점은 간과되어질 수 없는 가족의 미덕이다. 가족의 재생산기능과 도덕성이 가족의 미덕이며, 이러한 점은 가족 정책에도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The studies of familes in Korea since 1980’s have focused on the valueless of the family rather than on its values, and have approached it in terms of critical, dysfuncTional perspectives. The tendency may be called justice perspective, which has added up from the viewpoint explaining human beings only as independent and autonomous being and analizing whether the family is just and equal or not. The studies have contributed to explore the discrimination and suppression in the family, but brought about the tendency denying The value of the family. Human beings need caring due to their biological limits and also have lived more as relational beings than as independent beings. This means there are to be morals or virtues as well as justice to live out the condtions of the human beings. Thus, the value of the family is to be examined in terms of morals and its functions to cover the limitations of human beings. Historically the family have supplemented the biological limits and satisfied emotional needs of human beings. The family also have functioned as the basis for morals. The family is the basis for reproductions and morals, which is to be consideraTed in the analysis of the family. Reproductions and the basis for morals are the virtues of the family, and family policies are needed to pull the long-term functions of the family into the policies.

      • 가족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4차 산업혁명 시대

        최새은(Saeeun Choi) 한국가족정책학회 2021 가족정책연구 Vol.1 No.1

        이 글은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가족의 미래를 일별하고, 가족학적 관점에서 앞으로 주목해야 할 지점을 제시하는 시론적 성격을 갖는다. 가족학적 관점에서 제시한 다섯 가지의 질문은 첫째, 속도의 시대를 가족은 어떻게 살아낼 것인가? 둘째, 초지능성을 시대를 사는 세대는 어떠한 미래를 꿈꿀 것인가? 셋째,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의 경계는 허물어질 것인가? 넷째, 관계의 상호성은 확보될 수 있는가? 다섯째, 가족의 기능은 ‘보편적으로 평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가? 이다. 이러한 질문에 대하여 빠른 변화 속도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가족이 공유한 축적된 시간을 고려할 필요와, 초지능성의 시대에 세대 간 이해와 소통을 높이는 교육이 중요함을 논의하였다. 또한 제4차 산업혁명이 이끄는 융합의 시대에는 가장 사적인 곳에서부터 가장 공적인 질문과 해답이 나올 수 있으므로 가족의 역할에 대한 논의와 실천이 공공성을 갖추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가족 간 및 가족 내의 불평등에 대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고 관계형성역량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This paper aims to ascertain the future of the famil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from a family scholar’s perspective. It posits five questions on how families can prepare for and respond to rapid changes: 1) How will the family spend their time in a fast-paced era? 2) What attitude to life should future generations adop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3) Will the boundary between public and private life be maintained? 4) How can reciprocal relationships be secured? 5) Can universally equal replacements for family functions be found? The subsequent discussion focuses on the necessity for family members to learn that their way of life will be very different from the other generations and to recognize the value of shared time with the family in a fast-paced era is considered. Also, as the boundary between public and private life erod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t is suggested that the discourse surrounding famili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public sphere. In addition, policies being expedited to support vulnerable families through this period of rapid change and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relationship-building skills.

      • KCI등재

        젠더적 관점에서 분석한 한국과 스웨덴 가족정책 비교

        홍세영 ( Sae Young Hong ),김소진 ( So Jin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09 한민족문화연구 Vol.28 No.-

        가족정책과 관련된 국내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출산 정책에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젠더적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젠더적 관점에서 스웨덴과 한국간 비교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우리나라 가족정책의 위치와 가족 내 양성평등정도가 어떤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분석하기 위한 기준틀로는 가족정책 목적, 가족정책의 발전방향, 가족내 양성평등발단단계로 분석하여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젠더적 관점에서의 가족정책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가족정책의 목적에서 한국은 가족복지 기능향상 -> 양성평등 -> 인구정책의 방향으로, 스웨덴의 경우는 인구정책 -> 가족 기능향성 -> 양성평등으로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가족정책의 발전 방향에서는 한국은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에서 가족친화정책으로 가는 과도기로 스웨덴은 가족친화정책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가족내 양성평등 발달단계에서 한국은 여성노동력의 가족화에서 여성노동력의 상품화단계로 스웨덴은 아버지 가족화 단계에 있다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의 가족정책이 스웨덴보다 더디다는 점과 스웨덴의 가족정책을 교훈삼아 가족내 양성평등을 구현하기를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Korea with Sweden relating to Family Policy in Gender Perspective. For this analysis, we construct the Family Policy developnrntal Model. This framework consists of three dimensions about Purpose of family policy, progress of family policy, the degree of Gender Equality within Family. As the result, Korea has been progressing from the family wellbeing to population policy. To Sweden, there is toward from the population policy to Gender equality. In the Developmental progress, We found Korea experience the transition from the Male breadwinner system to the family friendly system and Sweden has the step of the family friendly. In Gender Equality within family, Korea has step familiarize of female to com modification of female but Sweden already reaches the step familiarize of father(male)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출산ㆍ양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영주(Young Joo Kim) 한국인구학회 2010 한국인구학 Vol.33 No.1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의 임신ㆍ출산 및 자녀 양육 정책의 관점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출발한다. 즉, 다문화가족의 출산 및 양육 관련 정책은 젠더 관점과 다문화 관점을 동시에 견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이 두 관점에서의 다문화가족 출산 및 양육과 관련한 정책 관점과 내용을 점검한 후, 현재의 관련 정책들을 살펴보고 향후 정책 방향과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향후 관련 정책은 젠더 관점에서 볼 때 크게 네 가지 점에서 새로운 방향설정과 정책개선이 필요하다. 첫째, 현재의 정책들은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을 좁은 의미에서의 모자보건에 치중하고 있는 한계가 있으며,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의 생애주기 전반을 고려하는 접근과 지원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둘째, 현재 결혼이주여성의 재생산권 보장과 관련한 정책이 강화되어야 하고, 셋째, 임신과 출산에 대한 지원이 생물학적 건강 유지의 성격을 넘어 정신 및 심리적 건강 등 다양한 차원의 지원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넷째, 다문화가족의 자녀양육 지원 정책이 대체로 이들을 ‘자녀양육의 전담자’로 설정하고 있는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성별분업 체계를 넘어서는 정책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다문화적 관점에서는 소수자인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출산 및 양육 정책이 다양한 문화적 배경과 차이들을 인지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며, 그러한 점에서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권의 확보와 소수자로서 차별을 받지 않도록 관련 법령들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관련 정책들이 보다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도록 강화되어야 하고, 셋째, 자녀 양육 지원 정책을 결혼 이주여성의 한국어 문제가 아닌 자녀양육 환경의 개선과 지원으로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This study starts with the question raised from the perspective of marriage migrant women's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care policies. In other words, the study starts with the basic perspective that policies concerning the childbirth and childcare of marriage migrant women should be looked at from both gender-specific as well as a multicultural-specific perspective. In this context, the study examines the policy issues concerning childbirth and childcare of marriage migrant women from these two different perspectives as well as focuses on the current statistical data of childbirth amongst marriage migrant women. Next, the study examines the childbirth and childcare policies for marriage migrant women and proposes improvements in future policy development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it is revealed that although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policies regarding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care, there needs to be a new direction and policy improvements in four areas from a gender perspective. Next,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as a minority group, childbirth and childcare policies for marriage migrant women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and differences from the following multicultural perspective.

      • KCI등재

        계급적 관점에서 바라본 현대 가족의 두 양상 - 김혜진의 『딸에 대하여』와 정세랑의 『시선으로부터,』를 중심으로

        오연희(Oh, Yeon-hee)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21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0 No.38

        출세주의와 연관된 한국 사회의 가족이라는 맥락에서 2010년 이후 한국소설에서 일종의 변형 가족들이 대거 등장하기 시작했다. 본고에서는 이런 경향성을 집약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두 편의 소설을 대상으로 오늘날 그 안에 재현된 가족을 계급적 관점에서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김혜진의 소설 『딸에 대하여』는 오늘날의 가족이 엄마 노동자, 혹은 그림자 노동이라고도 불리는 여성들의 돌봄노동을 통해 지탱되고 있음을 보여준 소설이다. 그러나 프롤레타리아 가족 구성원의 여성들은 사회적 돌봄 노동에 종사하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에 정작 자신의 가족 안에서의 돌봄 노동에 소홀해질 수밖에 없다. 이에 오늘날 가족해체 현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 작품은 돈을 매개로 한 돌봄과 사랑을 매개로 하는 돌봄이라는 돌봄의 상반된 방식을 보여줌으로써 오늘날 부르주아 가족의 허상을 고발하고, 진정한 가족의 의미를 타자와 타자성까지도 포용하는 사랑의 체제 속에서 찾고 있다고 보았다. 반면 정세랑의 『시선으로부터,』는 근대화 초기 나혜석과 같이 가부장적 질서의 폭력으로 인해 비참하게 생을 마감했던 여성들이 살아서 가계를 일구었다면, 이라는 판타지에서 출발한다. 하지만 이 소설은 서로 협력하고 연대하는 일종의 시민적 결합으로서의 가족의 모습을 구현해 내고는 있지만, 계급적 관점에서 봤을 때 그런 가족은 어디까지나 일정한 자산과 소유를 전제로 가능하다는 점에서 가족을 지탱하는 것이 돈임을 잠시 잊거나 괄호치자고 제안한다. 이 소설이 판타지스럽게 다가오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본다. 오늘날 가족은 가장 첨예한 계급투쟁적 함의를 지닌 영역이다. 사회의 축소판으로서의 가족을 향후 어떻게 정의하고 어떤 모습으로 나아갈 것인지를 전망해 보는 것은 21세기 소설에서 중요한 과제 중 하나가 될 것으로 보인다. 개인화 경향이 강화될수록 사회와 개인을 연결해주는 매개체로서의 가족은 더더욱 중요한 역할을 부여받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In the context of the family of Korean society related to successionism, a kind of transformed family began to appear in many Korean novels after 2010. This paper aimed to explore the class struggle implications of a new family model reproduced in two contemporary two novels that intensively show this tendency. First, Kim Hye-jin’s novel, “About Daughter”, is on that shows that today’s family is supported through the care work of women, also called mother workers or shadow labor. Furthermore, since women in proletarian families often engage in caring work socially, they are bound to neglect caring work in their own family. This is also the cause of the family breakup phenomenon that is occurring today. However, it is to accuse the illusion of the bourgeois family through different ways of caring, caring through money and caring through love, and looking for the true meaning of family in a system of love that embraces the other It may be seen as the political implication of the Kim Hye-jin novel. On the other hand, from Seerang Jeong’s view, starts from the fantasy that if women who died miserably due to the violence of the patriarchal order like Na Hye-seok in the early modernization period lived and built a household. However, this novel embodies the appearance of a family as a kind of civic union that cooperates and solidifies with each other without oppressing individuals whose feminine values are realized, but such a family can only be made on the premise of certain assets and possessions. A suggestion may be made that money itself may be forgotten in the quest for pecuniary gain which leads one to assess the novel as fantastical. Today, the family is an area with the most acute class struggle implications. It seems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in 21st century novels to view the family as a miniature version, or microcosm, of society as it will be defined in the future. This is because the stronger the individualization trend, the more important the family will be given as a medium connecting society and individuals.

      • 기독교 관점의 가족치료에 대한 사회복지 실천 방안에 관한 연구

        김미애 한국복지상담학회 2008 복지상담학연구 Vol.3 No.1

        본고에서는 가족 사회복지실천 접근방안에 대한 가족치료의 전략은 가족의 중요성을 다루고 강조하는 것에서 기독교적 기본사상들과 그 맥을 같이한다고 보고, 기독교 안에서의 가족에 대한 사회복지 실천적 방안을 기존 연구들을 기초로 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고찰 결과, 기존의 가족 사회복지 실천적 접근방법은 한 인간을 개인이라는 개념보다는 가족이라는 체계 내에서 다루기 때문에 개인의 중요성이 흐려졌다. 또한 체계론적 가족치료의 핵심 가정 중 하나인 행동주의 같이 환경 주의적이며 결정 주의적 기반을 두고 모든 문제행동은 인간자신이 아닌 외부요인들에 의해 일어난다는 관점으로 보아 인간이 환경을 통제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보았다. 이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에서의 사회복지 실천적 가족치료 방안은 가족이란 하나님이 지으신 최초의 제도로서의 가정을 소중히 여기고 모든 문제를 하나님과의 관계를 통해 성장해 가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과 성경의 원리로써 부부가 연합하여 원가족으로부터 온전한 떠남을 실천하는 것이 문제발생에 대한 예방으로 밝혀졌다. 그럼으로써 기독교적 사회복지 실천적 방안으로서의 가족치료는 성경적 가정 원리에 입각한 인간의 모습을 회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는 가족의 사회복지실천 영역에서 기독교적 관점에서 심리학 관점을 도구로 사용하여 그 통합적 접근방법을 가능하게 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그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실직자 가족의 Resilience강화를 위한 사회사업실천모형 연구

        이은정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2 이화사회복지연구 Vol.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actical Model of Social Work for unemployed families at crisis of unemployment in respect of the Strengths perspective and the Ecosystem perspective. It was particularly intended to reconstruct major factors which affect coping strategies of unemployed families to overcome crisis of the unemployment through focusing strengths and resilience of unemployed families. In conclusion, it appears to major factors family resources, family perception, family functions. These factors enable to reconstruct crisis of unemployed families, which not only improve coping mechanism of families but also result in strengthening resilience of unemployed families. Furthermore, these will bring out the growth of whole families through their crisis. Also these are shaped by developmental process of families - phrase of crisis, phrase of interaction, phrase of growth - in ecosystemic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s focusing on person-in-situation. To enhance resilience of unemployed families, it is important to the empowering as practical skills for social workers. 본 연구는 실직의 위기에 처한 실직자 가족을 대상으로 강점 관점 및 생태학적 관점에서 실직자 가족의 강점과 잠재력에 초점을 두어, 실직가족의 위기 대처와 resilience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을 재구조화하고, 이를 통한 실직자 가족의 resilience 강화를 위한 사회사업 실천모형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실직자 가족의 위기 상황에 대한 대처전략으로 가족자원, 가족인식, 가족기능을 주요 요소로 보았다. 이러한 요소들은 실직 가족의 강점과 잠재력에 기반한 접근에 의해 위기 상황을 재구조화함으로써 실직의 위기 대처능력을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위기를 통해 가족의 resilience를 강화되고 더나아가 가족 전체가 성장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이러한 대처 전략은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 생태학적 및 발달론적 관점에 기반하여 위기국면, 상호작용국면, 성장국면의 발달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실직자가족의 resilient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사회사업가의 권한부여 (empowering) 실천기법이 중요하다.

      • KCI등재

        시민청소년관점에 비추어 본 다문화가족지원법의 한계 및 발전방향

        김윤나 ( Yoon Na Kim ) 대한교육법학회 2012 敎育 法學 硏究 Vol.24 No.2

        본 연구는 다문화자녀가 증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다문화가족을 정책적으로 가장잘 지원해줄 수 있는 다문화가족지원법을 시민청소년관점에서 분석해봄으로써 다문화가족지원법의 한계를 지적하고 발전방향을 모색한 연구이다. 시민청소년관점에서 다문화청소년을 어떻게 바라보고 이해할 것인지 분석틀인 지평 모형에 적용해보면 시민됨(becoming)으로서의 소극적 청소년관을 중시하고 책임보다는 권리를 보장해주는 관점으로 분석해볼 수 있다. 시민청소년관점에서의 세 가지 분석틀 즉 청소년참여와 시민성학습 차원, 비형식적 학습의 활용, 통합적 청소년정책 지향 수준에 따른 법률내용을 분석해보면 현재 이 법률에 근거하여 정부부처에서 실시하는 정책 및 서비스가 다문화 청소년의 참여와 시민성 학습을 지향하고 있다고 판단하기 어려운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연구는 효과적인 다문화 청소년정책을 수립 및 수행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닐 것이다. This research is moving toward a multicultural society,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nd that this policy the best by doing thing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to analyze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Act and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sought direction is the study. Citizens in terms of youth and how youth look at multicultural understanding, whether applied to the model that corresponds to the horizon look becoming as a negative emphasis on youth and responsible management that guarantees the right point of view than can be analyzed. In addition, three kinds of citizens from the perspective of youth participation and youth citizenship learning dimension that framework, the use of informal learning, according to the level of an integrated youth policy-oriented law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is law based on the current conducted by the Policy and ministries multicultural service learning, citizenship and participation of youth-oriented and would be difficult to determine that were analyzed. This study establishes an effective multicultural youth policies and provide basic data in performing the study`s significance.

      • KCI등재

        가족중심실천이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미경(Mi Kyung Kang),노혜련(He Len Noh) 한국아동복지학회 2012 한국아동복지학 Vol.- No.40

        본 연구는 가족중심실천이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가족중심실천의 일차적 대상이 되는 가족강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가족중심실천의 성과를 확인하고, 실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분 석은 삼성과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기획사업인 우리아이 희망네트워크 지원 사업에 참여한 아동과 주 양육자가 작성한 서비스 평가 자료를 기초로 다 중회귀분석을 활용한 매개분석을 하였고, 연구모형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이 경험한 가족중심실천에 대한 평가는 상당히 높아 가족중심실천이 충실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중심실천에 참여한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가족강점 수준의 사업 참여 전후를 비교해 보면 둘 다 참여 후에 유의하게 향상하였다. 셋째, 가족강점은 가족중심실천과 아동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중심실천은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가족강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아동복지 영역에서 강점관점에 기반을 둔 가족중심실천의 필요성과 좀 더 효과적인 실천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 of family centered practice on children`s self-efficacy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conducted using data provided by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Children`s Hope Network and their primary caretaker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amilies rated highly on their level of experience regarding family-centered practice, which show that social workers were faithful in performing family-centered practice. Second, the levels of both children`s self-efficacy and family strength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project participation when compared to the levels measured before participation. Third, family-centered practice affected children`s self-efficacy only indirectly through family strengths indicating that the level of family strengths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explored in relation to the importance of family-centered practice and measures to improve social work practice.

      • KCI등재

        강박장애를 가진 성인자녀에 대한 가족치료 사례연구: 가족체계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최춘화,문혜린,박태영 한국가족치료학회 2024 가족과 가족치료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치료 사례에서 나타난 강박장애에 영향을 미친 요인, 가족치료 과정, 치료자의 개입 방법 및 개입의 효과를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시기에 강박장애가 발병하여 만성적으로 강박장애를 겪고 있는 성인의 가족을 대상으로 진행한 가족치료 상담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하여 주제분석방법과 매트릭스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강박장애를 일으킨 요인으로 촉발요인, 개인 요인, 가족 요인, 환경 요인이 나타났다. 전반적인 가족치료 과정은 우선 각 가족구성원에 대해 개인상담을 진행한 후, 남매상담, 부부상담, 가족상담을 하는 순서로 진행되었다. 치료자의 개입방법으로는 내담자 욕구에 맞춘 가족의 불안요인 탐색, 원가족으로부터 전수된 부모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방식 인지시키기, 자신의 경험 노출하기, 억눌렀던 마음속 응어리진 감정 표출시키기, 가족구성원의 오해 풀어내기, 효과적인 소통방식 실연하기가 나타났다. 개입결과, 가족구성원들이 효과적인 소통방식을 사용하게 되었고, 내담자의 강박증상이 줄어들었다. 본 연구는 강박장애의 요인을 체계론적인 관점에서 촉발요인, 개인 요인, 가족 요인, 환경 요인을 탐색하였고, 강박장애를 가진 내담자에 대한 가족치료 과정과 치료자의 구체적인 가족치료 개입방법 및 개입의 효과를 보여주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family therapy case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contributed to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CD), intervention approaches used by the family therapist and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Method: This study employed a case study method and used thematic analysis and a matrix approach in data analysis. Results: Contributors to the development of OCD were triggering, individual, famil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therapist's interventions included analyzing the familial factors, promoting the awareness of the parents' dysfunctional communication patterns transmitted from the family of origin, helping the client express the repressed emotions, resolving misunderstandings among family members, and practicing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related to OCD from a family systems perspective and explored specific family therapy interventions used by the therap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