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강 중류역 청동기시대 전기 취락의 검토

        孔敏奎 한국청동기학회 2011 한국청동기학보 Vol.8 No.-

        금강 중류역의 청동기시대 전기 문화는 일반적으로 가락동유형으로 대표되어왔다. 이 지역에서 가락동유형은 둔산식 주거지와 가락동식토기를 표지로 한다. 둔산식 주거지는 과거 둔산식-용암Ⅰ식-용암Ⅱ식으로 분류하였으나 최근의 조사 자료를 재검토하여 세분된 분류안을 제시할 수 있다. 가락동식 토기와 기타 공반된 토기의 문양요소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가락동식토기 고유의 문양요소는 출현과 소멸의 과정이 진행되는데, 주거지의 변화상과 연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최근 이 지역에서 기존의 가락동유형과는 다른 양상의 청동기시대 전기 취락유적이 조사되었다. 대평리유적은 충적지에서 취락이 조사되었는데 미사리유형의 취락으로 판단된다. 대율리유적은 환호취락으로서 그 성격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그 외에 일부 유적에서도 가락동유형과 다른 성격의 주거지가 조사되어 금강 중류역 청동기시대 전기 문화는 이제 다양한 양상으로 접어들고 있다 가락동유형의 취락은 지형적으로 구릉의 평탄면에 입지하며. 하천과의 관계속에서 볼 때 주로 2차 하천의 주변에 위치한다. 취락의 형태는 취락지리학의 성과를 참조하여 (단독·분산)점상취락-면상취락으로 구분한 후 각 유적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금강 중류역의 가락동유형 취락은 세대공동체 중심의 소취락을 기본구조로 조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지역별 변천상을 통해 중대형 취락을 중심으로 주변으로 확산되고 시간에 따라 취락의 분포상도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형태는 점상취락에서 면상취락으로 변화된다. The early Bronze age culture around Geum river mid-stream is usually represented asGarakdong Cultural Assemblage. In this area, Garakdong Cultural Assemblage is recognized withdwelling site of Dunsan style and Garakdong style pottery. Dwelling site of Dunsan style used toclassify with Dunsan-Yongam I-Yongam II but recently research material is reviewed and it waspossible to suggest much segmentalized classification. Through analysis on Garakdong style pot-tery and other patterns of pottery, inherent patterns of Garakdong style pottery repeated theprocess of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and it is judged as connected with the changed ofdwelling site.Next, nowadays in this area, the early Bronze age settlement remains was founded, which wasdifferent from existing Garakdong Cultural Assemblage. Daepyeongli archaeological sites wasfounded on the an alluvion, which was considered as Misari cultural assemblage. Daeyulliarchaeological sites is moated settlements and the argument on the character of it is still going on.In some other remains, the dwelling site which is different from Garakdong Cultural Assemblagewas spotted, so Geum river mid-stream the early Bronze age culture shows various aspects.Garakdong cultural assemblage is located on flat ground on the hill and related with stream,usually it is founded near the second stream. The type of settlement is classified and reviewed asDot type settlements-Plane type settlements referred to the results of settlements geography(sin-gle, dispersion). According to this, Gem river mid-stream Garakdong cultural settlements consistsof small settlements as basic structure focused on generation communities. Especially known asregional changes, it was spreaded with middle and large settlements as the center and the num-ber of settlements was getting higher and the shape was changed from dot type to plane type.

      • KCI등재

        청동기시대 북한지역의 초석 주거지에 대한 검토

        고일홍 ( Il Hong Ko ) 호남고고학회 2015 湖南考古學報 Vol.49 No.-

        북한지역의 초석 주거지에 대한 그간의 연구는 청동기시대 가락동유형 주거지에서 확인되는 초석의 계통에 대한 논의와 결부되어 진행되어 왔다. 그 결과, 가락동유형과의 관련성을 상정할수 있는 지역(대동강 상류지역)의 초석 주거지만이 주목을 받게 되었고, 압록강 중·상류지역이나 두만강유역의 자료는 간과된 측면이 있다. 그런데 최근에 와서 남한지역의 돌대문토기 출토 주거지에서 초석이 설치된 사례들이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남한지역 초석의 계통을 가락동유형의 계통과는 별도로 살펴보아야 함을 알 수 있다. 결국 남한지역의 초석전통에 대한 이해의 정립을 위해서는 그 기원이 되는 북한지역의 초석자료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므로, 본고에서는 청동기시대 북한지역의 초석 주거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주거지에서 확인되는 초석의 사용양상과 사용맥락을 분석한 결과, 그간 남한학계의 관심을 받아온 대동강 상류지역의 주거지에서는 미송리형토기의 등장 이후에 초석이 보인다는 점과, 그런 초석이 주로 1열 혹은 3열로 설치되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청천강 상류지역의 주거지에서는 초석을 사용했던 전통을 전혀 관찰할 수 없었다. 한편, 압록강 중·상류지역과 두만강유역에서는 청동기시대의 가장 이른 단계부터 초석 주거지가 보이는데, 초석은 2열 혹은 4열로 배치되었다. 이 지역에서는 기둥구멍 내부에 설치된 초석이 발견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초석의 설치양상은 남한지역의 가장이른 단계의 가락동유형 주거지와 돌대문토기 출토 주거지에서도 관찰된다. 이처럼 가락동식토기의 기원지로 여겨지고 있는 지역에서는 2열 초석배치 주거지가 확인되지 않은 만큼, 필자는 ‘가락동유형’이라는 문화복합체에 ‘초석시설’이라는 구성요소가 추가된 것은 가락동유형 주민이 남한지역에 정착한 이후일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아울러 돌대문토기 출토 주거지에서 확인되는 초석전통이 압록강 중·상류지역 혹은 두만강유역의 초석전통에서 기원했던 것으로 판단하였고, 그것이 가락동유형 주거지에서 보이는 초석전통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에 대해서 검토했다. In Korean archaeology, the use of footstones at the base of posts in Bronze Age houses is a topic that has been considered in conjunction with the typology and origins of Garagkdong type houses. This is because such footstones had been regarded a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Garagkdong type houses. However, Misari type houses which also utilized such footstones have also recently come to be identified in the Yeongeo and Hoseo regions of Korea, which indicate that the genealogy of footstone use must be regarded separatedly from the genealogy of Garagkdong type houses. Therefore, this paper considers the use of footstones in the Bronze Age houses of the north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is where the tradition of using footstones is seen to have originated. Contrary to common consensus which regards the use of footstones as having originated from the upper reaches of the Daedong River, it is suggested that the tradition of footstone use evidenced in the Bronze Age houese of southern Korea may be traced back to the upper and middle reaches of the Apnok River or the Duman River region. This was based on similarities that could be observed in terms of footstone placement and the placement of the posts that utilized these footstones. Ultimately, it was suggested that the use of footstones had not formed a part of the architectural tradition of the homeland of the Garakdong communities, but had come to be adopted after these communities had migrated southwards and settl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eran Peninsula.

      • KCI등재

        호서지역 미사리유형의 전개양상

        최대균 한국청동기학회 2014 한국청동기학보 Vol.15 No.-

        본고는 호서지역 미사리유형 관련 주거지와 유물의 속성을 함께 검토하여 구체적인 편년을 설정하고, 다른 지역에서 확인되는 미사리유형과 비교 검토 및 호서지역의 미사리유형과 가락동유형의 관계를 검토하여, 호서지역 미사리유형의 전개양상에서 대하여 살펴보았다. 호서지역의 미사리유형은 크게 4단계로 구분되는데, 먼저 1단계는 판석부위석식노지가 단독으로설치된 평면 정방형의 소형 주거지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돌대문토기와 절상돌대문토기, 미사리계이중구연토기는 가장 이른 시기에 해당하는 A형만이 출토된다. 2단계는 판석부위석식노지와 무시설식노지가 공반되어 설치된 평면 장방형의 대형 주거지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돌대문토기는 가장 이른시기에 해당하는 A형이 소멸되고, 새로운 형태인 B형과 C형이 출토된다. 미사리계이중구연토기는 가장 이른 형태인 A형과 새로운 형태인 B형이 공반되어 출토된다. 3단계는 판석부위석식노지가 설치된주거지는 소멸되고, 위석식노지가 설치된 평면 방형의 중형·대형의 주거지가 등장한다. 또한 무시설석노지가 설치된 평면 장방형의 소형·중형 주거지가 이전 단계에 비하여 빈도수가 증가한다. 돌대문토기는 C형과 퇴화형인 D형이 공반되어 출토되며, 절상돌대문토기는 B형이 출토되고 있다. 미사리계이중구연토기는 모든 형식이 출토된다. 마지막으로 4단계는 위석식노지와 무시설식노가 설치된 평면 장방형의 대형 주거지와 무시설식노지가 설치된 평면 정방형·방형의 소형 주거지가 다수 확인된다. 돌대문토기는 소멸하며, 절상돌대문토기는 C형만이 출토된다. 미사리계이중구연토기는 모든 형식이 출토되고 있다. 호서지역 미사리유형은 청동기시대 조기~전기 전반에 걸쳐 존속한 것으로 판단되며, 1·2단계가조기, 3·4단계가 전기전반에 해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호서지역의 미사리유형은 청동기시대의 가장이른 시기에 등장하였지만, 이후 가락동유형이 호서지역에 남하하여 일정기간 병존하며, 미사리유형이 점차 소멸되고, 가락동유형으로 흡수되어 결국 가락동유형으로 전개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전개양상을 보이는 것은 호서지역의 가락동유형이 다른 지역의 가락동유형에 비해 제일성을보이고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attributes of The Misari type dwelling and relics in theHoseo area, to establish a specific chronology. And the study also made the comparative reviewwith Misary type in other areas and reviewed the relation between The Misari type and theGarakdong type in order to examine the development features of The Misari type in the Hoseo area. The Misari type of the Hoseo area can be divided into 4stages. Stage1 is mainly small dwellingwith rectangular shape on the plain where Panseokbuwiseoksiknoji was independently installed.Doldaemun pottery, Jeolsangdoldaemun pottery and Misarigyeijungguyeon pottery, Type Awhich was the earliest period was excavated only. In stage2, Panseokbuwiseoksiknoji andMusiseolsiknoji were co-installed in a large plain rectangular dwelling site. As for Doldaemunpottery, Type A, the earliest period was extinct, and new Types B and C were excavated. As forMisarigyeijungguyeon pottery, Type A, the earliest one, and TypeB, the new style were excavatedtogether. In stage3, the dwelling site where Panseokbuwiseoksiknoji was installed were extinct,and middle and large dwelling site on plain square plain where Wiseoksiknoji was installedappeared. And, the small and medium dwelling sites in plain and rectangular shape whereMusiseolseoknoji was installed increased in numbers. As for Doldaemun pottery, Type C, andType D, a kind of deterioration were excavated together. As for Jeolsangdoldaemun pottery,Type B was excavated. As for Misarigyeijungguyeon pottery, all types were excavated. Finally,in stage 4, there were many large plain and rectangular dwelling sites where Wiseoksiknoji andMusiseolnoji were installed and also many plain square and rectangular small dwelling sites.Doldaemun pottery was extinct, and Type C was found only for Jeolsangdoldaemun pottery. Alltypes were found for Misarigyeijungguyeon pottery. It is conjectured that the Misari type in the Hoseo area survived in the initial and early stage ofthe Bronze Period and that stages 1 and 2 might be the initial period and stages 3 and 4 mightbe the early period. The Misari type in the Hoseo area appeared in the earliest period of the Bronze Period. Later,the Garakdong type was transmitted and both types coexis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n,the Misary type decreased gradually and was absorbed by the Garakdong type. Eventually, it wasturned to the Garakdong type. The reason of such trend was because the Garakdong type in theHoseo area had the most primitive form compared with the Garakdong types in other areas.

      • KCI등재

        湖南地域 靑銅器時代 前期文化의 特徵

        金奎正 한국청동기학회 2011 한국청동기학보 Vol.9 No.-

        호남지역의 청동기시대 전기 문화는 아직까지 조사예가 많지 않다. 그러나 최근 자료가 증가하고 있고, 유구의 밀집도는 떨어지지만 호남전역에서 확인되고 있다. 호남지역 청동기시대 전기 문화는 미사리유형을 비롯하여 가락동유형, 역삼동유형, 흔암리유형 등이 모두 확인된다. 이들 각 유형은 분포양상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데 미사리유형은 현재 순창 원촌과 담양 태목리에서 확인되었으며 미사리유형의 한 요소인 미사리식토기는 익산 영등동, 섬다리에서도 확인된다. 가락동유형은 대체로 북서부지역과 중서부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나, 중부내륙지역에서도 확인된다. 역삼동유형과 흔암리유형은 북서부지역과 중서부지역에서는 거의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대체로 동부내륙과 동남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중부내륙지역에서도 확인된다. 호남지역에서 조사된 전기유적은 주거지와 출토유물을 통해 모두 3기로 분류하였다. Ⅰ기는 각목돌대문토기를 특징으로 하는 미사리유형과 이중구연단사선문을 특징으로 하는 가락동유형으로 미사리유형은 동부내륙의 순창 원촌유적에서 확인되며, 가락동유형은 북서부지역과 중부내륙지역에서 확인된다. Ⅱ기는 가락동유형이 북서부지역은 물론 주변지역으로 확산되고 새롭게 역삼동유형과 흔암리유형이 등장하는 시기이다. 가락동식토기는 이중구연의 요소가 퇴화되지만 아직까지 이중구연의 요소는 남아 있다. Ⅲ기는 (세)장방형 주거지의 비율이 현격하게 줄어들고 방형으로의 평면이 정형화된다. 전기의 특징적인 노지는 설치되지만 Ⅲ기 후반의 가장 늦은 단계에는 일부 지역에서 새로운 형태의 원형 송국리형주거지가 등장하고 그 영향으로 방형주거지에 설치된 노지가 사라지고 원형 송국리형주거지의 특징인 타원형구덩이가 설치되는 등 주거지의 변화가 확인되고 토기의 문양은 대부분 사라지고 무문화된다. 그러나 동부내륙지역과 동남해안지역과 같이 일부지역에서는 역삼동식토기의 특징인 공열문 요소가 늦은 시기까지도 지속된다. The number of material showing the relics of the former Bronze Age in Honam (Jeollaprovinces) area has been increasing lately and their evidences, though small in number, havebeen identified across the whole area. Clear differences have been confirmed in thedistribution ways of the former Bronze Age culture in this area between Misari-type,Garakdong-type, Heunamri-type and Yeoksamdong-type assemblages. Relics of Misari-typeassemblage were surveyed in Wonchon, Sunchang, eastern inland of the provinces, and inTaemokri on the central inland region. The Misari-style pottery which is characteristic ofMisari-type assemblage was once unearthed in Yeongdeungdong, Iksan and from the remainsof Seomdari. Garakdong-type assemblage has been found in wide areas ranging from thenorthwestern and midwestern parts of the country to the central inland region. Garakdong-style pottery, characteristically of Garakdong-type assemblage with clear form of double rim atthe mouth, was found to have been changed to the one with the vestige of double rim leftonly vaguely. Although Yeoksamdong-type and Heunamri-type assemblages were identifiedin Jangdong, Jeonju in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region and among shell mounds in BieungIsland along the west coast of the country, lots of them are spread mostly in the east inlandregion and along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 particularly centered around the central inlandregion.Judging from the remained settlements and unearthed relics, all the remains of the formerBronze Age surveyed in Honam area could be classified into 3 phases. The phase I referred tothe period when Misari-type assemblage, characteristic of Gakmokdoldaemun pottery, as wellas Garakdong-type assemblage, characteristic of double-rimmed pottery, appeared for the firsttime in Honam area. Among them, Misari-type assemblage was confirmed at the relics ofWonchon, Sunchang and Garakdong-type assemblage was ascertained in the northwesternpart of the country and at the central inland region. The phase Ⅱwas the period whenGarakdong-type assemblage started spreading not only toward the northwestern region buteven toward other surrounding areas and Yeoksamdong-type and Heunamri--typeassemblages made appearance newly. Garakdong-style pottery had double rims degeneratedbut still reminiscent. In the phase III, the proportion of rectangular (narrow) settlementsreduced drastically and square-shaped ones became typified. The remains of firing places,characteristic of the former Bronze Age, remained to be seen but pattern in potterydisappeared gradually and even tended to be patternless. During the latest part of the phase Ⅲ, new type of circular Songgukri-type assemblage made entry exercising influence upon thesquare-type settlements, forcing out firing places and introducing oval-type pits, characteristicof circular Songgukri-type settlements. Most of patterns existed no more in pottery andpatternless stamp paddled deep bowl pottery became prevalent. In some of areas like easterninland and southeastern coastal area, Yeoksamdong-type pottery lasted upto the later periodof the phase.

      • KCI등재

        靑銅器時代 聚落類型에 대한 考察

        朴性姬(Park, Sunghee) 한국상고사학회 2006 한국상고사학보 Vol.54 No.-

        청동기시대 연구는 유형설정에 있어서 주거지와 출토유물의 형식분류에 치중되었다. 취락입지를 살펴본 연구도 잇따라 발표되고 있지만 일부 대표유적만을 다루고 있어 각 유형의 입지 양상을 파악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중서부지역에서 확인된 취락의 유구·유물상과 함께 입지형태를 검토해 취락유형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취락의 입지형태는 대지형으로 구릉지와 하천·해양지(평지형)로 구분하고, 비고를 유용한 속성으로 파악해 구릉지를 고지형, 구릉지형으로 세분하였다. 각 주거유형별로 입지형태를 살펴본 결과 가락동유형과 송국리융형은 구릉지형을, 역삼동유형은 고지형을 선호하였다. 따라서 취락유형은 구릉지성 가락동유형, 고지성 역삼동유형, 구릉지성 송국리유형으로 설정하였다. 한편 고지형을 선호한 역삼동유형 가운데 구릉지형에 입지하는 유적이 다수 확인되었는데, 이들은 유구·유물상에서도 가락동유형의 속성이 일부 나타나고 있어 가락동유형과 역삼동유형의 접촉으로 파악하였다. 이상과 같이 취락입지는 청동기시대 전기에서 후기로 이행되면서 수전농경에 의해 단순히 고지에서 저지로 바뀐 것이 아니다. 고지형은 화전농경 및 수렵채집의 편리성으로 전기부터 역삼동유형의 생활터전이 되었지만 군사적·방어적 목적으로 후기까지 일부 송국리유형의 유용한 입지형태가 되었으며, 구릉지형은 평지와 인접한 생활에 있어서 효율적이기 때문에 전기부터 가락동유형의 주된 입지로 이용되었다. 한편 청동기시대 후기에 차령산맥 이남 지역을 중심으로 구릉지성 송국리유형이 확산되면서 동일한 분포권내의 구릉지성 가락동유형과 입지경쟁에 있어서 배타적 관계를 이루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A Study of the Bronze Age has been placed too much emphasis on assemblage of the settlement and remains. Recently some research works made progress in studies for Landscape Archaeology. But it has difficulty in comprehending locational pattern of cultural types. Accordingly this paper has become concerned with landscape of settlement. The locational type of settlement is divided broadly into two groups-hill, riverside & coast, and the hill type is divided into according to relative height. As for the Garakdong and Songgukri types, they preferred to locate the lowland of hill, but the Yeoksamdong type liked to place at highland of it. Consequently, three types of the highland's Yeoksamdong type, the lowland's Garakdong type, and the lowland's Songgukri type can be proposed. On the other hadn there are some sites belonging to the Yeoksamdong type of located at lowland. These partly include some artifactual attributes of the Garakdong type. Therefore this understood as the result of contact between two types. The change in the locational type of settlement from highland to lowland was not simply ascribed to the practice of the wet rice agriculture. Because the highland is better conditioned for the slash-burn farming as well as hunting-gathering, it had been settled by the Yeoksamdong type from earlier Bronze Age. Moreover, it had been also occupied by the Songgukri type people for military and defensive purposes. On the other hand, lowland of a hill had advantage for living in connection with flatland, it had been used for the settlement of the Garakdong type.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the Early Bronze Age to the Late Bronze Age the Garakdong type people became confrontational with the Songgukri type people because of their common occupation of lowland region.

      • KCI등재

        베이지안 통계학(Bayesian statistics)을 이용한 한국 청동기시대 전기 可樂洞 類型의 연대 고찰

        김명진(Kim, Myung-Jin),이성준(Lee, Sung-Jun),박순발(Park, Soon-Bal),홍덕균(Hong, Duk-Geun) 한국상고사학회 2005 한국상고사학보 Vol.47 No.-

        방사성탄소 연대측정법(radiocarbon dating)은 향상된 정밀도에도 불구하고 특정한 시대에 대한 고고학적 편년의 기준으로 활용하기에는 신뢰도에 있어 다소간의 문제점을 지적받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선험적으로 알고 있는 지식을 확률로 변환하고, 이를 측정에서 얻어진 결과에 적용하는 베이지안 통계(Bayesian statistics)가 활용된다. 한국 청동기시대 전기 可樂洞 類型에 대한 편년은 가락동 유형 Ⅰ기, Ⅱ기, Ⅲ기로 구분된 예가 있으며, 각 유형에 대한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결과가 비교적 충분히 제시된 바 있다. 이 연구에서는 베이지안 통계를 활용하여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결과에 고고학적인 유형 정보를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자료의 신뢰도를 향상시켰다. 이를 통해 가락동 유형에 대해 Ⅰ기, Ⅱ기, Ⅲ기로 시간적인 선후관계를 설정하고자 한 기존의 고고학적 연구성과가 통계학적으로 타당하지 않다는 결과를 추출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가락동 유형의 시간적인 선후관계 혹은 계기적 변화과정에 대한 새로운 모델들을 설정한 후 베이지안 통계를 적용한 결과, 가락동 유형 Ⅰ기와 Ⅱ기는 동일한 시기에 공존하는 유형이거나 서로 구분되지 않는 유형이며, Ⅲ기와는 시간적인 순서를 인지할 수 있었다. 또한 가락동 Ⅰ기와 Ⅱ기의 지속시간은 220년이고, Ⅲ기의 지속기간은 120년으로 산출되었다(1σSD). Radiocarbon dating method is still hampered by age estimate uncertainties introduced by calibration, despite of its accuracy and precision. Bayesian statistical methods have been most widely applied used to overcome the problem by combining the basic calibrated date distributions with the prior probability.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radiocarbon data obtained from Karak-Dong assemblage of the early Bronze Age in central region of Korea to Bayesian statistical methods. As a result, the Karak-Dong assemblage classified into the three stages by the earlier archaeological views is revealed to being divided into two stages, in which the duration of the former stage and the latter stage is 220 years and 120 years respectively.

      • KCI등재후보

        영남지역 청동기시대 취락의 지역적 전개

        박성희(Park, Sung hee) 중부고고학회 2009 고고학 Vol.8 No.2

        This paper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the settlements from Yeong-nam region in the Bronze age. Yeong-nam region divides the tree areas that are the southern pan(Nam River Basin), The northern-east part(Daegu) and the southern-east part/the coast fo East Sea) of Nakdong River, It has the assemblage of Misari, Yeoksamdong, Garakdong in the early Bronze age and the assemblage of Geomdanri, Songgukri in the lately Bronze age, The assemblage of Yeoksamdong is the main culture from Yeong-nam region, Because the assemblage of Misari and Garakdong so far discovered and their sertelmenr' s scale is small. In view of the results they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Yeoksarndong’ s senelemenrs. The assemblage of Geomdanri is only distributed in the southern-east pan of Nakdong River, On the other hand tile assemblage of Songgukri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southern pan, the northern-cast part of Nakdong River, But the Geomdanri has relation with the Songgukri beacause of being detected a few the Songgukri in tile southem-east pan of Nakdong River, The development of the settlements from Yeong-nam region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an aspect of the seeternnets from Chung-cheong region, The Yeoksamdong has considerable influence upon the scnelmems from Yeong-nam region in me early and lately Bronze age.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청동기시대 전 후기 취락유적을 살펴 유형을 설정하고, 지역적 전개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영남지역은 중앙부를 관통하는 낙동강을 중심으로 서부(서부내륙지역 남강유역 남강 황강유역)와 동부로 나뉘며, 낙동강 중 상류역인 동북부(동북내륙지역 대구지역 낙동강 상류지역)와 동남부(동남해안지역 낙동강 하류지역)로 세분되어 3개의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영남지역의 청동기시대 전기는 미사리유형, 가락동유형, 역삼동유형이, 후기는 송국리유형과 검단리유형이 서로 다른 양상으로 전개해 나갔다. 검토결과 전기는 역삼동유형이 전지역에 분포하여 중심문화를 이루고, 미사리유형과 가락동유형이 소규모로 형성되어 역삼동유형과 밀접한 관계를 형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후기는 검단리유형이 낙동강 동남부지역에 지역적으로 분포하며, 이외 낙동강서부와 동북부에는 송국리유형이 넓게 펼쳐져 있어 후기의 중심문화는 송국리유형으로 판단된다. 낙동강 동남부지역 일부에서도 송국리식 주거지가 소수 확인되고 있어 송국라유형의 영향관계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영남지역의 청동기시대 취락 전개양상은 충청지역의 것과 크게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공렬문토기문화의 영향이 강하게 확인된다.

      • KCI등재

        청동기시대 취락의 공간적 분포와 지역권역

        Park Sung hee(朴性姬) 중부고고학회 2015 고고학 Vol.14 No.1

        청동기시대 취락은 일차적인 지형 환경 여건과 생업경제 등으로 거주지를 우선 선정하여 점유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른 시기 강을 따라 한반도 남부까지 확산된 것으로 추정되며, 한강-금강-낙동강 일원의 경기ㆍ강원 영서ㆍ호서 차령산지 남부ㆍ영남 지역 일원에 일찍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 유형의 점유는 지역적으로 다양한 양상을 나타내며, 이후 이곳을 중심으로 문화가 점차 성장하면서 각 주거군의 핵심지는 자연스럽게 배타적 지역권이 설정되고 중심부와 주변부로 이루어진 경계를 형성하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전기 가락동유형은 호서 차령산지 남부에 밀집 분포하면서 문화권역을 이루고, 동쪽에 위치한 태백산ㆍ청량산ㆍ일월산 등과 함께 경기ㆍ강원지역과 영남지역 사이를 나누는 경계가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호서 서해안 일원과 호남지역은 전기 취락이 점유되기는 하였지만, 그 출현빈도가 낮아 다소 공백지대와 같은 양상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각 유형의 중심부에서 벗어나 분포하는 소규모 주거군은 다른 문화권의 성장 확산에 쉽게 영향을 받게 됨에 따라 흡수 통합되는 모습을 띤다. 흡수과정은 강압적 또는 자발적 등 여러 형태로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이며, 복합문 토기의 등장과 다양한 유물ㆍ유구복합체가 이의 결과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형성된 전기의 문화권역은 후대 물질문화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후기 송국리유형은 기존 취락의 주변부인 호서 서해안 일원과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확산되어 성행한다. 그러면서 공간의 경계는 해체되고 새로운 중심ㆍ주변부의 지역권이 형성되어진다. 경기ㆍ강원지역은 역삼동유형이 장기지속하고, 호서ㆍ호남 지역과 영남 북부 남서부는 송국리유형 문화권 내에 포함되며, 영남 남동부는 역삼동유형에서 계승된 지역성이 강한 검단리유형이 문화권역을 이룬다. This paper is recognized five cultural assemblages(the MisariㆍGarakdongㆍYeoksamdogㆍGumdanriㆍSonggukri Cultural Assemblages) and interpreted as a cycle of settlement going through 'emergence-growth-development-decline-disappearance'. The former early period(3300~3100 B.P./14~13th Centuries B.C.), Misari Cultural Assemblage emerged in GyeonggiㆍKangwon YeongSeoㆍHoseo Southern Charyeong Mountain RangeㆍYeongnam. Maybe It spread rapidly along the river over southern areas. But It didn't diffuse far southern regions of Honam. The former middle period(3100~2900 B.P./12~11th Centuries B.C.), the Cultural Assemblages began to emerge in the global Southern Korea. The latter early period(2700~2600 B.P./8th Centuries B.C.) Songgukri Cultural Assemblage grew and expanded into Hoseo Northern Charyeong Mountain Range and Yeongnam. During this period there are three local areas, Yeoksamdong Cultural Assemblage in GyeonggiㆍKangwon area, Songgukri Cultural Assemblage in HoseoㆍHonamㆍNorthern YeongnamㆍSouthwestern Yeongnam, Gumdanri Cultural Assemblage in Southeastern Yeongnam. The latter late period(2400~2200 B.P./5~4th Centuries B.C.) The round clay rim pottery culture grew more and then was excavated in SonggukriㆍGumdanri type settlement. As above, the Cultural Assemblages of the Bronze Age densely distributed to form certain range of area. The social space and boundary continued to change every period.

      • KCI등재

        渼沙里類型의 出現과 消滅

        박성희 영남고고학회 2014 嶺南考古學 Vol.- No.70

        미사리유형은 기원지에서부터 취락입지, 주거구조, 유물상이 비슷한 문화를 가진 가락동유형과 한반도 남부에 정착하는과정에서 밀접히 관련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른 시기부터 영향관계에서 일부 흡수되기도 하였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공렬토기문화가 한반도에 넓게 확산하게 됨에 따라 재흡수 통합 속에 놓이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미사리유형의취락민은 일차적으로 이중구연토기문화에 이차적으로 공렬토기문화에 노출됨으로 인해 복합적인 토기의 공반사례가 다양하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역삼동유형은 미사리·가락동유형과 함께 한반도 남부에 정착하였으며, 한강유역의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전기 전엽에 분포하다가 성장하면서 전기 중엽 이후 확산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과정에서 기존에 재지하던 미사리·가락동유형을 주체적으로 흡수하면서 조동리·흔암리유형과 같은 다양한 고고학적 물질문화가 발생된 것으로 이해된다. 이후 공렬토기문화권에 완전히 융화됨에 따라 전통적 속성이 사라지고 단독문화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공렬문만이 시문된 역삼동식토기는 이른 시기부터 제작사용되어 가장 오랜기간 장기지속한 것으로, 이중구연단사선문 공렬토기는 전기 중후엽에 유행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The origin of Misari Assemblage is in Northern Regions of Korea. The one of them, Garakdong style(furnacewith stone rampart, the double-rimed pottery with short diagonal patterns) is similar in the settlementlocation of river side or low level hill, the architecture, artifacts to Misari Assemblage(furnace with stone floorand rampart, the pottery with notched strip on the protrusion) but Yeoksamdong style(furnace without facilities,the rim-perforated pottery) is different to it. So Garakdong style affected the formation of Misari Assemblage inSouthern Regions of Korea. Maybe two cultures have closely relationship. However when Yeoksamdong Assemblagespread throughout southern regions of Korea, it unfriendly made an impact upon Misari Assemblageand absorbed it. As a result, it appears that Misari Assemblage has various pottery types. Yeoksamdong CulutralAssemblage settled down Han River Valley in Gyeonggi Area with Misari·Grakdong Assemblages in the EarlyBronze Age. After growing culture, it spread all over the other areas in teh mid Early BronzeA ge. It unified Misaari·Garakdong Assemblages in some areas. As a result, the diversified assemblages like Jodongri or Heunamritype appeared at that time. It widely located in southern regions of korea except the southern Hoseo Area thatmain culture is the Garakdong Cultural Assemblage in the Early Bronze Age. Misari·Jodongri·Heunamri typedisappeared in the late Early Bronze Age that became integrated into two cultures.

      • KCI등재후보

        호서지역 가락동유형의 취락구조와 성격

        이형원 호서고고학회 2007 호서고고학 Vol.0 No.17

        Recently, Garakdong assemblage have excavated in Charyoung mountain range and Hoseo area in the south of Gum-river. It shows a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 different from Yuksamdong-Hunamri assemblage. In settlement structure of Garakdong Assemblage, It was investigated distribution aspects, individual house and housing groups, and was connected with its house unit community. And whole settlement structure was analyzed as mentioned above, It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1) settlement is composed only a space for residence 2) moated(ditched) circular settlement and 3)settlement is composed residence space and tombs space. Character of Garakdong Assemblage was assumed unstable residence-settlement due to shifting fire-cultivation as principal means of subsistence economy. It appears that settlement social structure was 2 stages(superior-public) class. 가락동유형은 차령산맥과 금강 이남의 호서지역에서 집중적으로 확인되면서 비슷한 시기의 역삼동흔암리유형과는 문화 영역을 달리하는 분포상의 특징을 보여준다. 가락동유형의 취락구조에서 주거지 분포양상, 개별 주거, 주거군을 검토하면서 세대공동체를 연결시켜 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전체 취락의 공간구조를 분석하였는데, 1) 주거공간만으로 구성된 취락, 2) 환호취락, 3) 주거공간과 분묘공간으로 구성된 취락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가락동유형 취락의 성격에 대해서는 화전농경을 주요 생계경제로 하는 특성상 불안정한 정주취락으로 추정하였으며, 취락 내부의 사회조직은 2단위(상위-일반계층)의 계층구조로 구성된 것으로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