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난한 여성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에 대한 연구 - 막 12:41-44절에 나타난 과부의 이야기 -

        최주혜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1

        이글은 막 12:41-44절에 나타난 ‘두 렙돈을 드린 과부’의 이야기를 통해 가난한 여성들이 경험하게 되는 심리적, 사회 문화 구조적 문제를 살펴보면서 오늘날 한국 교회가 가난한 여성들을 효과적으로 돌보기 위해서 필요한 목회적 돌봄을 제안하였다.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으로 내담자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돕기 위해서는 내담자들이 자신들이 경험하는 세상을 어떻게 해석하고 인식하는 가에 대한 관심 또한 사회과학적 인식론만큼 필요하게 되었다. 그래서 내담자들을 효과적으로 돌보기 위해서 심리내적인 탐구뿐만 아니라 가난과 같은 사회 문화적인 탐구가 중요한 주제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가난은 우선적으로 정신건강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실제로 가난으로 인해 정신장애와 행동장애가 증가하였다. 또한, 여성들은 여러 가지 사회 구조적 문제로 직업의 불평등을 경험하고 남자보다 더 가난하다. 마가복음 12장 41~44절에 나타난 ‘두 렙돈을 드린 과부’의 내러티브는 성서가 증언하는 초기 기독교 시대의 가난한 여성이 경험하는 심리적인 상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이 논문은 마가복음 12장 41~44절의 내러티브 속에 나타난 가난이라는 것 그리고 과부라는 사실이 주고 있는 심리적 영향과 그 당시 가난한 여성 과부를 향한 사회적 문화적 특성을 탐구하면서 효과적인 목회적 돌봄이 어떻게 이 본문에서 작동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예수님이 그 당시 공동체 안에서 유효하던 가치체계를 해체하면서 두 렙돈의 과부의 수치심을 만지시고 이해하신 것처럼 이 논문은 한국 교회가 가난한 여성들을 효과적으로 돌보기 위해서 그들의 상황을 공감하고 있는 그대로 지지하며 가난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가치의 해체를 위해 목소리를 낼 것을 제안하고 있다. Under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context of the client as well as social epistemology. In other words, pastoral counselors should know how their clients experience and interpret the world around themselves, give meaning to their life events and how social and cultural structure influence them. The problems of clients are related to social structure which is an ongoing process in which the meaning of their life is constructed. Poverty is one of the important topics that each clients authors their own meaning to make sense of their perceived reality. Many Scholars insist that poverty and mental health problems are correla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WHO, poverty increased incidents of mental and behavioral disorder. In fact, 41% poor women in U.S. reports that they are depressed. Even though women's earnings have been increasing, they are still experiencing job segregation by gender. This poverty has negative consequences for mental health. The narrative of a poor widow in Mark 12:41-44 shows psychological status of poor women and social and cultural structure of poverty at that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ffective pastoral care of the poor women through examining the narrative of poor widow in Mark 12:41-44.

      • KCI등재

        21세기 한국영화, '가난 혐오'와 청년

        오영숙 한국영화학회 2023 영화연구 Vol.- No.95

        금은 절대적 빈곤을 자신의 문제로 여기지 않는 시대이다. 그러나 빈민의 비율이 낮고 가난으로부터의 탈출이 쉬워 보인다는 것은 가난한 사람들이 더 큰 오명을 감당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가난한 사람을 혐오의 대상으로 호명하는 다양한 말들의 출현이 증명하듯이, 가난은 감춰야만 하는 부끄러움이 되었다. 가난은 단순히 경제적 어려움을 넘어서 마음의 병이 되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 논문이 관심을 두는 것은 가난을 재현한 동시대 한국영화이다. 청년의 문제적 현실로 가난에 주목한 2010년대 이후의 영화가 주 대상이다. 영화가 본질적으로 공적인 영역에 속해 있는 공동체의 이야기라는 전제 하에, 스크린에서 가난한 청년이 서사화되는 양상을 논하고, 그를 통해 이 시대의 주요한 정동을 밝혀보고자 한다. 가난을 상상하는 영화는, 우리 내부의 욕망과 불안을 대면할 기회와 함께, 이 시대를 지배하는 가치체계와 사회 전체에 공유된 심리적 리얼리티를 엿볼 기회를 제공한다. 가난한 청년을 서사의 중심으로 호출한 지금의 영화들은, 네이션의 역사나 사회현실과 밀접히 관련된 것으로 가난을 맥락화했던 과거와는 달리, 시대적 현실과의 연관성을 지워버렸다. 가난은 매우 개인적인 문제로 재현된다. 지금의 청년은, 성장기부터 높은 강도의 경쟁을 치르며 열심히 살아왔지만 그에 대한 보상은 매우 적은 세대이다. 청년 세대가 마주한 성장의 어려움과, 선택과 책임이라는 변수가 개입하면서, 영화 속 가난의 현실은 한층 복잡하고 어두운 심리적 풍경을 갖게 되었다. 이들 영화에서 청년은, 잠잘 곳을 찾아 떠도는 ‘홈리스’의 모습으로, 모든 사적 관계가 와해되는 고립의 상황으로 재현된다. 또한 가난한 청년을 구분하고 낙인찍는 다양한 혐오발언이 어김없이 등장하며, 그 중에서도 같은 처지의 가난한 청년들이 서로를 향하여 내뱉는 자기혐오는 주목을 요한다. 성별에 따라 마음의 상태가 달라지긴 하지만, 대부분의 영화가 공들여 재현하는 것은, 가난한 청년이 점유하는 공간이 좁아지는 과정과, 관계가 단절되고 낙인과 모욕을 당하는 순간이다. 일체의 희망이 없이 파멸이나 고립으로 끝나는 이들 영화는 현대인의 소외감보다 더욱 암울한 정동을 전면화한다. 주인이 되기보다 종속의 길을 선택하는 청년의 모습은, 출구 없는 세상에 대한 불안과 자기혐오를 내장한 청년세대의 우울한 자화상을 이룬다. 이러한 영화적 현상의 배후에 놓인 것은 능력주의를 전면화한 메리토크라시이다. 이 시대의 사람의 마음을 장악하고 있는 레짐인 메리토크라시는 아리스토크라시에 비한다면 민주적이지만, 지속적인 불안을 낳고 혐오를 양산하는 원인이 된다. 능력과 성과와 보상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메리토크라시 하에서는 평범한 사람들도 패배자의 마음과 가난의 정서를 갖게 될 가능성이 크다. 더 나아가 신자유주의적 가치가 내면화되면서 매우 절망적인 현실인식과 자기혐오가 만연하는 현상을 낳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개인의 의지만으로는 극복할 수 없는, 공동체 전체가 나설 때 비로소 해결될 난제이다. 일종의 공공기록인 영화는 능력주의와 성과주의가 낳는 압력을 줄이고 혐오를 완화시킬 하나의 정동적 방도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가난에 대한 교의신학적 고철

        조현권(Hyeon-Kweon Cho)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6 가톨릭신학 Vol.8 No.-

        그리스도교적인 가난은 정신적인 가난만이 아니라 물질적인 가난까지 포함하는 영적인 가난이다. 교회는 무엇보다도 가난을 청빈, 정결, 순명이라는 복음적 권고의 하나로 보면서, 가난의 근거와 유래를 성서적인 교훈과 가르침에 두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과 모범에서 유래하는 가난은, 예수 친히 자신을 따르는 길에 있어서 중요한 자세로 강조하시는 길이다. 성경은 그리스도의 강생과 육화의 신비에서 가난의 모범을 발견하고 있으며, 그리스도의 십자가상의 죽음으로부터도 그러하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인이 예수그리스도를 신앙하고 그를 부를 때, 그리고 그를 전할 때, 그들은 자신의 가난의 실천에 대해서, 그리고 가난한 이들을 위한 봉사에 대해서와 같은 가난의 문제에 항상 직면하게 되는 것이다. 복음적 권고는 하느님의 은총으로 구원을 위하여 공동체 안에서 행하는 형체들에 대한 ‘봉사’를 뜻하며, 이런 의미에서 가난은 “공동체의 생활”을 위한 형제들에 대한 ‘봉사’로서의 덕목의 하나이다. 결국 “공동체를 위한 가난”은 “사랑을 위한 가난”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가난의 실천은 사랑의 실천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는 것이고, 가난의 의미와 가치는 사랑을 떠나 발견될 수 없는 것이다. 예수께서는 가난의 정신적인 면을 강조하시지만, 그렇다고 해서 물질적인 가난을 무시하지 않으신다. 무엇보다 자선을 통하여 생활화되는 물질적 가난은 정신적인 가난을 가능케 하는 수단으로 제시되며, 하느님에 대한 자식으로서의 신뢰심과 예수를 따르겠다는 원의를 불러일으키게 하는 것이고, 하느님이 주시는 은혜를 더욱 자유로이 받아들이고, 하느님의 나라를 위하여 더 완전하체 봉사하도록 해주는 힘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교회는 가난에 대해서 늘 깨어 있지를 못했다. 가난을 살지 못했던 교회, 가난한 이를 외면한 교회, 가난 보다 부유함을 선택한 교회는 자신의 역사를 통하여 그에 대한 대가를 치러야했다. 교회 역사적으로 볼 때 가난은 특히 중세까진 수도자들을 통하여 그리스도를 따르는 길로 추구되었고, 근세에 이르러서는 그리스도의 계명을 실천하는 이웃 사랑의 측면에서, 현대에서는 교회역할적인 차원에서 강조되고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통하여 교회는 가난의 가치를 재발견하였다. 그러나 교회는 단순히 가난자체를 찬양한 것은 아니다. “세상의 구조적 악”의 하나인 가난에 대항하여 그리스도인은 모든 과학적 윤리적 수단을 동원하여 싸워야한다. 가난은 그리스도의 길이며 교회의 길이다. 가난한 이들에 대한 실천적인 사랑은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는 길인 것이다. Die christliche Armut ist eine spiritulelle Armut, die nicht nur die geistige Armut, sondern auch die materielle Armut einschließt. Die Kirche sieht die Armut vor allem als ein Rat der evangelischen Räte -Armut, Jungfräulichkeit, Gehorsam -, und die biblische Lehre und Belehrung als Grund und Quelle der Armut. Die Armut, die von Wort und Beispiel Jesu Christi stammt, ist der Weg, den Jesus selbst als eine wichtige Haltung in seiner Nachfolgung betont. Die Bibel findet das Beispiel der Armut von der Inkarnation und Menschwerdung Christi, und auch von seinem Tod auf dem Kreuz. Also wenn die Christen an Jesus Christus glauben, ihn rufen und verkünden, stehen immer dem Problem der Armut wie Dienst für die Armen gegenüber. Die evangelischen Räte bedeuten den Dienst , der durch Gnade Gottes den Brüdern in der Gemeinschaft für das Heil getan wird. In diesem Sinne ist die Armut eine Tugend als ein Dienst an den Brüdern für das Gemeinschaftsleben . Im Grunde kann man die Armut für die Gemeinschaft als die Armut für die Liebe verstehen. Die Praxis der Armut steht im Zusammenhang mit der Praxis der Liebe, und die Bedeutung und der Wert der Armut kann außer der Liebe nicht gefunden werden, Jesus betont die geistige Seite der Armut. Trotzdem ignoniert er nicht die materielle Armut. Die materielle Armut, die vor allem durch Almosen gelebt wird, zeigt sich als das Mittel, das die geistige Armut ermöglicht. Die materielle Armut bewirkt noch das Vertrauen als Kinder Gottes und die Wille zur Nachfolgung Jesu, hat die Kraft, mehr freiwillig die Gnade Gottes einzunehmen und für das Reich Gottes mehr vollkommen zu dienen. Die Kirche war leider von der Armut nicht immer wach. Die Kirche, die die Armut nicht lebte, die sich von den Armen abwendet und die das Reichtum statt der Armut wählte, mußte sich durch die Geschichte bezahlen lassen. Kirchengeschichtlich gesehen, kann man von der Armut wissen, daß bis das Mittelalter die Mönche nach der Armut als den Weg zur Nachfolgung Jesu strebten, daß dies in der Neuzeit in der Dimension der Nächstenliebe zur Praxis des Gebotes Jesu und in der Gegenwart in der Dimension der kirchlichen Rolle betont wurde und sich erweiterte Durch das Zweite Vatikanische Konzil hat die Kirche den Wert der Armut wiedergefunden. Die Kirche lobte aber nicht die Armut selbst. Die Christen müssen gegenüber die Armut, die eine des strukturellen Übels der Welt ist, mit allen wissenschaftlichen und moralischen Mitteln kämpfen. Die Armut ist der Weg Jesu und der Kirche. Die praktische Liebe für die Armen ist der Weg zum Reich Gottes.

      • KCI등재

        구티에레즈의 가난에 대한 연구 : 영성 신학적 관점으로

        최정훈(Jung-Hoon Choi)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21 가톨릭신학 Vol.- No.39

        메데인 문헌과 푸에블라 문헌에서 나타난 라틴 아메리카의 가난에 대한 신학은 연대성과 사회 정의와 관련된 ‘가난한 이를 위한 우선적 선택’이라는 가난의 영성을 제시했는데, 구티에레즈의 신학은 이러한 흐름의 시초라고 평할 수 있다. 그래서 본고는 페루 신학자인 구티에레즈의 가난과 ‘가난한 이를 위한 우선적 선택’을 영성 신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그가 제시하는 가난과 가난의 영성의 개념을 정리하고 그 특징과 공헌, 한계 등에 대해서 분석하고 평가했다. 그는 성서를 기반으로 ‘부끄러운 처지’로서의 물질적 가난과 ‘영적 어린이’로서의 영적 가난, 이 두 가지 의미의 개념을 제시한다. 그리고 세 번째 의미로서의 가난은 ‘연대와 저항에의 투신으로서의 가난’이며 후에 ‘가난한 이를 위한 우선적 선택’이란 말로 표현되는데, 이것이 그가 제시하는 가난의 영성이라고 볼 수 있다. 가난의 원인을 없애기 위해 가난한 이들과 연대하여 가난한 이들 세계에 들어가 스스로 가난한 이가 되는 이 실천(prassi)이 바로 구티에레즈의 ‘가난한 이를 위한 우선적 선택’이다. ‘가난한 이를 위한 우선적 선택’은 공동체적이고 현실적인 영성이며, 동시에 하느님 중심적, 그리스도 중심적인 특징을 갖는다. 그래서 이 영성 안에 관상과 실천이 통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구티에레즈는 이 영성을 통해서 가난에 대한 새로운 신학적 관점을 제시했고, 현실에서 고통받고 있는 가난한 이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가난의 구조적인 원인에 대해서 주목하고, 연대적 가난 안에서 물질적 가난과 영적 가난이 어떻게 통합되는지 설명한다. 하지만 가난한 이를 위한 우선적 선택이 가난한 계급에 들어가는 것으로 환원하는 듯한 인상을 주고, 가난한 이들이 느끼고 행하는 것을 교회가 따라야 할 진리인 것처럼 절대화하는 인상을 주는 위험성도 보인다. 교회는 이 위험성을 경계하면서도 구티에레즈의 의미있는 영성적 기여를 받아들여야 한다. 가난한 교회, 가난한 이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희생적인 교회의 모습이 복음 선포라는 자신의 본연의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게 할 것이다. The theology of poverty in Latin America in the Medellin and Puebla documents suggested the spirituality of poverty as the ‘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 related to solidarity and social justice, and Gutierrez’s theology can be said to be the beginning of this trend.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poverty and the ‘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 of Peruvian theologian Gutierrez from a spiritual theological perspective. An attempt was made to organize the concept of poverty and the spirituality of poverty that he suggests, and to analyze and evaluate its characteristics,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Based on the Bible, he presents the concept of two meanings of poverty: material poverty as a ‘scandalous situation’ and spiritual poverty as ‘spiritual childhood’. And ‘poverty as a commitment to solidarity and protest’, which is later expressed as the‘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 defines poverty as the third meaning, which can be seen as the spirituality of poverty that he suggests. This practice (prassi) of becoming poor by entering the world of the poor in solidarity with the poor in order to eliminate the cause of poverty is Gutierrez s ‘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 ‘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 is a communal and realistic spirituality, and at the same time has theocentric and Christocentric characteristics. So we can see that contemplation and practice are integrated in this spirituality. Through this spirituality, Gutierrez presented a new theological perspective on poverty, aroused interest in the poor who are suffering in miserable reality, focused on the structural causes of poverty, and explained how material and spiritual poverty are integrated in solidarity poverty. However, there is also the danger of giving the impression that he reduces the 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 to entering the poor class, and absolutizes what the poor feel and do as if it were a truth that the church should follow. The Church must be wary of this danger, yet accept Gutierrez’s meaningful spiritual contribution. The poor church, a sacrificial church that prefers the poor, will effectively carry out its mission of proclaiming the gospel.

      • KCI등재후보

        중세 신비주의란 무엇인가? -마이스트 에크하르트(Meister Eckhart)의 가난 사상에서의 신비적 이해

        이준섭 ( Jun Seop Yie ) 한국기독교철학회 2008 기독교철학 Vol.7 No.1

        본 소고에서는 에크하르트(Eckhart)의 사상들 중 가난사상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에크하르트의 가난 사상은 성서의 마5장 3절-심령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저희 것 임이라-을 출발점으로 삼았다. 그는 가난을 내적 그리고 외적 가난으로 구분했다. 그는 외적인 가난에 궁극적인 관심이 없었고, 내적 가난은 그의 가난 이해의 중심에 서 있다. 그의 내적 가난 사상은 자신이 속해 있었던 도미니코 수도회의 전통적인 이해를 따르는 동시에 자신의 고유한 이해를 통해 전통적인 이해를 벗어나 사상적 발전을 시키고 있다. 에크하르트의 가난사상에는 프란체스코 수도회의 물질적인 무소유를 통한 완성에 이르려고 하는 사람들 그리고 도미니코 수도회의 세속적인 것들의 불만족을 느끼며 그것들을 포기하는 대신 하나님으로 대처하려는 사람들의 비판이 발견된다. 이때 그의 가난은 어떠한 것을 원하지도, 어떠한 것을 가지지도 그리고 어떠한 것을 알지도 못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 그의 이해는 일종의 부정신학의 성격을 띠고, 사상적인 급진성-하나님과의 만남에 대한 열망을 전적 포기, 하나님에 관한 지식의 전적 포기 그리고 하나님과의 만남의 장소를 가지려는 열망조차도 포기-을 드러낸다. 세 가지 포기의 최종적인 목표는 인간과 절대자와의 내적인 연합에 이루려는데 있다. 가난한 사람은 그러한 것들에 포기를 통해 신적인 근원으로 회귀를, 그리고 하나님의 의지에 따라 전적으로 활동하는 인간으로 변화를 추구한다. 그러므로 에크하르트가 부정의 길을 통해 절대자에게 도달하려는 디오니시우스(Dionysius Areapagita)의 신비적 도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가난 사상은 디오니시우스적인 신비적 전통을 따르고 있다. In dieser Arbeit handelt es sich um Eckharts Armutslehre. Seine Armutslehre geht auf das Mt. 5,3 Selig sind, die da geistlich arm sind; denn ihrer ist das Himmelreich zuruck. Er unterteilt Armut in zwei Arten: Auβere und innere Armut. Eckharts Klarung zur Armut konzentriert sich nicht auf die auβere Armut, sondern auf die innere Armut. Sein Gedanke von der Armut folgt der dominikanischen Tradition, zugleich entgeht sich durch sein eigenes Verstandnis und entwickelt sich weiter. In Eckharts Gedanke von der Armut findet sich eine Kritik am franziskanischen und dominikanischen Verstandnis von der Armut. Jenes ist zur Vollkommenheit durch die materielle Besitzlosigkeit zu gelangen. Dies ist irdischen Dingen nicht zu begnugen und Gott anstatt des Verzichtes auf die irdischen Dinge zu besitzen. Nun wird Eckharts Armut als Nichtswollen, Nichtswissen und Nichtshaben definiert. Sie ist von der negativen Theologie gepragt und zeigt die gedankliche Radikalitat vollkommener Verzicht auf das Begehren nach der Begegnung mit Gott, auf das Wissen von Gott und auf das Begehren, das Ort der Begegnung mit Gott zu haben. Das letzte Ziel gelangt zur inneren Unio zwischen der menschlichen Seele und Gott. Der arme Mensch sucht durch diesen Verzicht den Zuruckkehre zur gottlichen Ursprung und die Veranderung des Menschen, der nach Gottes Willen ganz wirkt. Sein Gedanke von der Armut kann also der dionysischen Tradition darin folgen, dass Eckhart auf der mystischen Form des Dionysius basiert, die zum Absoluten durch via negativa galangt.

      • 아모스와 예레미야의 “가난한 자” 이해 연구 – ?????(ʾebyȏn)과 ???(dal)을 중심으로 –

        송승규 한남대학교 기독교문화연구소 2021 기독교문화연구 Vol.24 No.-

        이 연구의 목적은 아모스와 예레미야의 ‘가난한 자’에 대한 이해를 비교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아모스 A단계와 예레미야 A단계에 나타난 ?????(ʾebyȏn)과 ???(dal)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2장에서 아모스가 ?????(ʾebyȏn)과 ???(dal)을 사용한 구절들을 분석하였다. 아모스 2장 6b-7a절, 4장 1절, 5장 11-12절, 그리고 8장 4-6절을 분석하였는데, 아모스는 그의 신 탁에서 ?????(ʾebyȏn)과 ???(dal)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강조의 효과를 나타 냈다. 아모스의 ‘가난한 자’에 대한 이해는 대부분의 학자들이 동의하는 대 로 기원전 8세기의 집약농업 역학에서 착취당한 농민들이다. 3장에서 예레미야의 ‘가난한 자’ 이해를 분석하였다. 2장 32절에서는 외국인을 포함하여 고아와 과부를 총칭하는 용어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램버트의 연 구 결과 이 구절의 가난한 자는 8세기의 농민들과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5장 28절의 ‘가난한 자’는 재판을 공정하게 받지 못하는 부류의 사람들 인 고아, 과부, 외국인 등을 총칭하여 나타낸 단어이다. 20장 13절에 나타나 는 ‘가난한 자’는 예레미야 자신을 포함하여 정치적으로 압제받는 상황에 놓 인 사람들을 지칭한다. 22장 16절의 ‘가난한 자’는 요시야와 관련하여 나타 난다. 따라서 이 구절의 ‘가난한 자’는 아모스의 ‘가난한 자’와 인식을 같이 한다. 결론적으로 아모스의 ‘가난한 자’와 예레미야의 ‘가난한 자’ 사이에는 차이점과 공통점이 동시에 나타난다. 아모스는 엘리트 지배계층에게 착취당 하는 농민들을 명확하게 그 대상으로 하지만 예레미야는 착취당하는 농민들 은 물론, 토라에서 제시하는 고아, 과부, 외국인을 총칭하는 의미로도 사용 한 것을 볼 수 있다. 즉, 아모스의 신탁에서 농민에 집중되었던 ‘가난한 자’ 의 의미가 예레미야의 신탁에서는 농민들을 포함하여 예레이먀 당시의 사회 적 약자였던 고아, 과부, 외국인, 그리고 정치적으로 압제받는 사람들을 총 칭하여 이르는 것으로 확장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mos and Jeremiah’s understanding of “the poor.”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its meaning of ?????(ʾebyȏn) and ???(dal) in Amos A and Jeremiah A. In Part 2, I analyzed Amos’ phrases using ?????(ʾebyȏn) and ???(dal). Amos 2:6b-7a, 4:1, 5:11-12, and 8:4-6 were analyzed, with the effects of emphasis on the simultaneous appearance of ?????(ʾebyȏn) and ???(dal) in Amos’ oracle. Amos’ understanding of the “the poor” is, as most scholars agree, the peasants who were exploited in the dynamics of agricultural intensification of the 8th century BC. In Part 3, I analyzed Jeremiah’s understanding of “the poor.” In 2:32, it seems to be used as a generic term for orphans and widows, including foreigners. However, according to Lambert's study, the poor in this passage were analyzed to be similar to the peasants of the 8th century. “The poor” in 5:28 is a generic term that refers to orphans, widows, foreigners who were judged not with justice. “The poor” in 20:13 refers to those who are in political oppression, including Jeremiah himself. “The poor” in 22:16 appears in connection with Josiah. Hence, “the poor” in this phrase is in line with Amos’ understanding of “the poor”. In conclusion,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appear simultaneously between Amos' “poor” and Jeremiah's “poor”. Amos clearly targets peasants who are exploited by the elite ruling class, but Jeremiah also used the image of the exploited peasants as well as the orphans, widows and foreigners in the Torah. In other words, the meaning of “the poor”, which was concentrated on the peasants, was expanded to include the collective term for orphans, widows, foreigners, and politically oppressed people who were socially underprivileged in Jeremiah's day.

      • KCI등재

        고전문학에 나타난 ‘가난’의 유형과 형상

        이강엽 ( Lee Kang-yeop ) 배달말학회 2019 배달말 Vol.64 No.-

        본 논문은 고전문학에 나타난 가난을 유형화하고 그 문학적 형상에 대해 살폈다. 고전문학의 가난은 단순한 경제적 빈곤 이외에 벼슬이 없는 상태 등을 드러내는 경우도 있으며, 안빈낙도 의식처럼 가난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기도 하는 등 가난에 대한 인식과 반응이 다르다. 첫째, 가난의 유형은 크게 자발성과 경제 행위에 따라 네 갈래로 구분된다. 첫째 ‘자발-근로 가난’ 유형으로 흔히 ‘청빈(淸貧)’으로 논의되는 가난이다. 둘째, ‘자발-비(非)근로 가난’ 유형으로 안빈낙도를 표방하는 식자층에서 많이 발생한다. 셋째, ‘비(非)자발-근로 가난’ 유형으로 열심히 일을 해도 곤궁한 ‘망빈(忙貧)’이다. 넷째, ‘비(非)자발-비(非)근로 가난’ 유형으로 일을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적빈(赤貧)’이다. 둘째, 위의 네 유형에 따라 가난의 문학적 형상화 과정을 살폈다. 청빈(淸貧) 유형은 개인적 염결(廉潔)에 초점이 두어지지만, 공공선(公共善)까지 확장하는 내용으로까지 나아간다. 안빈(安貧) 유형은 가난의 주원인을 시속에 부합하지 못하는 자신의 특성에서 찾아 내면화하는 경우와, 시류가 순탄치 못해서 어쩔 수 없이 밀려난 외적 요인에 집중하는 경우로 갈린다. 망빈(忙貧) 유형에서는 원망의 대상이 비교적 분명한 가운데, 원망에 머물지 않고 치산(治産) 또는 치부(致富) 쪽으로 방향을 틀면 가난이 곧 부(富) 혹은 윤리의 문제와 직결되기도 한다. 적빈(赤貧) 유형은 가난을 통탄하는 것이 주조이지만, 윤리적인 올바름을 견지하면 외부의 도움이나 행운에 의해 문제가 해결된다는 식의 전개나, 가난의 아픔을 희화화하여 해학으로 극복해내려 하기도 한다. This paper typifies poverty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examines its literary shape. The povert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reveals the state of being out of politics other than simple economic poverty, and the perception and reaction to poverty are different, such as accepting poverty positively like the ‘being content amid poverty and taking pleasure in acting in an honest way’ consciousness. First, the types of poverty are largely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ccording to spontaneity and economic activity. First, it is a type of ‘spontaneous - working poverty’ that is often referred to as ‘pious poverty’. Secondly, it occurs in many kinds of schlolars who express ‘being content amid poverty and taking pleasure in acting in an honest way’ as ‘spontaneous - non - labor poverty’ type. Thirdly, it is a ‘working poverty’ that is hard to work hard with ‘non - spontaneous - working poor’ type. Fourth, it is ‘absolute poverty’, which can not even be expected to work as ‘non - spontaneous - non - working poor’ type. Second, I examined the process of literary shaping of poverty according to the above four types. Although the pious poverty type focuses on personal sanctity, it extends to the extension of the public good. The type of taking pleasure in acting in an honest way is divided into cases of internalizing the main person of poverty from his own characteristics that can not match with the mood and concentrating on extrinsic factors which are inevitably pushed out due to the improperness of the pace. The working poverty is directly related to wealth or ethical issues if the direction of the government is toward Increasing propertythe without staying in the grudge while the object of the resentment is relatively clear. The type of absolute poverty is the casting of poverty, but if the ethical correctness is maintained, the problem can be solved by external help or fortune, or the poverty suffering may be overcome by humor.

      • KCI등재

        현대 한국사회의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신학적 고찰

        김명현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0 가톨릭신학 Vol.17 No.-

        우리나라의 급속한 경제발전은 사람들의 삶의 모습과 사회의 모습을 바꾸어 놓았다. 단일민족이라는 의식을 가지고 살아온 우리사회에 2010년 현재 외국인체류자가 120만에 이르고 우리사회 어디서나 외국인근로자(alien worker)와 결혼이주자(married immigrant)들을 만날 수 있게 되었다. 우리사회의 경제적 성장이 지속되어도 대부분의 외국인근로자와 다문화가정(multicultural family)들은 그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가난하게 살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소외받고 차별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이들이 바로 21세기 초엽의 한국사회의 새로운 형태의 가난한 사람(the poor)들이다. 이들을 그리스도교적 관점에서 어떻게 이해하고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우선 성서에 나타나는 가난(poverty), 가난한 이들(the poor)의 모습, 가난한 이들을 위한 하느님의 배려와 사랑, 지도층과 부유한 자들에 가난한 이들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그리고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예수 그리스도의 활동과 가르침을 고찰하였다. 이어서 우리나라의 외국인근로자와 다문화가정(multicultural family)의 현실과 그들의 삶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서 외국인근로자와 다문화가정의 삶의 모습은 바로 성서에 나타나는 가난한 이들의 모습과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성서에서 가난한 사람들은 당시 사회의 소수자로써 자신들의 삶을 제대로 꾸려갈 수 없었고, 쉽게 왕과 지배층의 억압과 착취로 고통 받고 있었다. 오늘날 외국인근로자는 우리사회의 3D업종에 종사하면서 사회의 구성원으로 활동을 하고 있지만 저임금과 차별과 착취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또 다문화가정을 이루어 생활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의 경우 한 가정에서 아내요 어머니로서 삶을 살고 있지만 대다수의 결혼이주여성이 문화적 차이와 사회적 편견으로 차별과 무시 속에서 궁핍한 삶을 살고 있을 뿐 아니라 그 가족들마저 그러한 삶을 살고 있다. 하느님은 당신 예언자들을 통하여 가난한 이들의 권리를 보호할 것을 요구하였고, ‘계약의 책’(book of the convent)을 통하여 가난한 이들의 권리를 확정하였다. 이에 따라 이스라엘은 가난한 이들을 돌볼 책임이 있으며, 이들을 돌보는 것이 곧 하느님에 대한 신앙을 증거하는 것이며, 하느님의 축복을 받는 길이다. 성서의 바로 이러한 가르침에서 우리는 그리스도인이 이 시대의 가난한 사람들인 외국인근로자와 다문화가정들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지녀야 할 것인지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다. 그 해답은 곧 그리스도의 신비체인 교회와 교회의 구성원인 그리스도인은 이주민들의 삶을 바로 알고 이들의 권리를 인정해야 하며, 이들이 인간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선의의 사람들과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이 시대에 신앙을 증거하고 선포하는 길이다. The rapid economic growth changed the life’s appearance and the social figure in Korea. In 2010 there are almost 120 thousand foreigners in Korea which is full of the consciousness of a racially homogeneous nation, so anywhere in our country they meet alien workers and married immigrants. Even though the economic growth has continued recently, the majority of alien workers and the multicultural families are poor without receiving the favor from economic growth and live in social alienation and discrimination. In the 21st century they are a new class of the poor in Korea. How do we understand this situation and how do we receive them in the Christian vision? To answer the above question, first of all in the Bible we researched the concept of poverty, the appearance of the poor, God’s consideration and affection to the poor and how does the class of social leaders and riches treat them. And we looked into Jesus Christ’s teachings and activities to the poor. We investigated the reality of life of the alien workers and the multicultural families. We can identify the figure of the alien workers and the multicultural families with the appearance of life of the poor in the Bible through this research. Indeed, the poor in the Bible didn’t make a bare living as the minority in the society. And they suffered the oppression and the exploitation of the political leaders and the rich. Now the alien workers don’t get out of difficulty of low wages, social discrimination and exploitation, nevertheless they labor in the industry of 3D and discharge the member of our society. The married immigrant woman becomes a member of the multicultural family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so she is the wife of a man, a mother of her children and a housewife of a home. But the married immigrant woman and her family are in strained circumstance and suffer difficulties because of cultural differences and social prejudices. Through the prophets God asked to the people who protect the rights of the poor provide protection for the poor and established the rights of the poor through the book of the convent. Therefore, Israelites has the responsibility to give assistance to the poor. It is a testimony of the faith in God and the way of the blessing of God. In this teaching of the Bible we can find the answers to the question which we have to determine a certain attitude to the poor in this age who are the alien worker and the multicultural families. The answer is that the Church, the mystic body of Christ, and the Christian, the member of the Church, have to know the real life of the immigrants, recognize their rights and endeavor to lead a life worthy of man with the men of good will. It is the testimony and the proclamation of the Christian faith in this age.

      • KCI등재

        가난과 정의와 복음화에 대한 기초신학적 고찰

        서명옥(Seo, Myeong Ok)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神學展望 Vol.- No.194

        교회의 정체성의 실현은 세상의 복음화에 있다. 세상 안에서 하느님 나라를 이루어가는 것이다. 그렇다면 세상에서 하느님 나라를 이루어간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에 대한 깊은 성찰이 필요할 것이고, 그러기 위해서는 인간이 살아가는 세상의 현실을 직시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할 것이다. 그러면 현재 세계 도처에 실재하며 간과할 수 없는 다수(인류의 3분의 2)의 생존을 특징짓는 가난과, 그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의가 단순히 사회적, 정치적 문제인지, 아니면 그 이상의 신학적, 인간학적 문제이며 나아가 교회 존재의 의미와도 직결되는지 숙고하고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에 따라 교회와 그리스도인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그 방향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교회와 신학에서 가난은 성서적 권고와 가르침(마태 19,21 참조), 그리고 그리스도론적 숙고(참조: 필리 2,6-7; 2코린 8,9)를 근거로 모든 시대를 관통하여 중요한 주제이며 비판적 물음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고는 현시대에 어쩌면 가장 중요한 문제로 떠오른 가난과 정의가 올바른 사회의 공동선에 관한 문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교가 지향하는 인간의 해방(구원) 곧 인간화와 함께 복음화의 근간이 되는 문제이자 요구임을 기초신학적으로 밝혀보고자 한다. 가난과 정의는 무엇보다도 교회의 임무와 파견 그리고 본질과 관계하는 것이며, 그것의 근거는 바로 교회 창립자인 예수 그리스도의 가난과 정의에 있다. 결국 가난과 정의를 바탕으로 한 복음화는 우리가 신앙하는 나자렛의 가난한 이, 예수의 삶과 존재 자체에 근거를 둔 것이기에 그것의 실행 역시 예수가 실제로 행한 것을 따르는 것 외에 다른 길은 없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가난과 정의의 실행은 그것에 관심 있는 여느 개인이나 단체의 일이 아니라, 교회 본연의 소명이자 본질이고 의무이다. 곧 그리스도인 모두가 참여해야 하는, 그리스도인 실존에 해당한다. 따라서 복음화의 진정한 의미에서 예수와 그리스도인의 가난과 정의는 복음화의 필수요소이다. The realization of the church’s identity can be found in its mission of evangelizing the world, which means to achieve the kingdom of God in the world. If so, we have to reflect on what it means to achieve the kingdom of God in the world and to do so, most of all, we need to face the reality of the world where human live. Only with that reflection done, it becomes possible to question if the poverty that exists in all parts of the world today and characterizes the existence of the majority of the people(at least 2/3 of mankind) and the justice which is closely related to it are mere social-political problems or, more deeply, theological and anthropological problems. According to the answer to that question, we could find the way how the church and Christians should act. In fact, poverty has long been the important issue that needs critical inquiry within the church and theology through all the generations with biblical admonitions and instructions(Mt 19:21 cf.) and christological reflections(Phil 2:6-7; 2Cor 8:9 cf.). This treatise fundamental theologically clarifies that poverty and justice, which can be said to have emerg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re not an issue that is limited to the sphere of the common good of the right society but an issue that is fundamentally related to the liberation(salvation) of human being that Christianity aims, namely humanization and evangelization. Poverty and justice are related to the duty, mission and essence of the church and the basis of which can be found in the poverty and justice of Jesus Christ, the founder of the church. After all, since the evangelization which should be based on poverty and justice is after the life and existence of Jesus, himself a poor man from Nazareth, in whom we believe, the performance of it should be based on no other than the doing of Jesus. Therefore, the performance of poverty and justice is not a task of an individual or a group that is interested in it, but is the calling, the essence and the duty of the church. That is, it concerns the existence of Christians, in which all Christians should take part. Thus, in the true sense of evangelization, the poverty and the justice of Jesus and Christians are the essential elements of evangelization.

      • KCI등재

        가난과 전쟁이 만든 새마을지도자

        오유석 한국구술사학회 2011 구술사연구 Vol.2 No.1

        우리가 기억하고 있는 6·25전쟁의 사람들은 누구인가? 거기에는 오직‘죽음으로써 국가를 구해낸 자랑스런 영웅들'만이 상징으로 육화되어 있다. 반공투쟁의 인물들만을 기억의 대상으로 하는 그 단일한 기억 속에서는 이유도 모르고 전쟁에서 이름 없이 죽어 간, 고통받고 상처받은 가난한 사람들의 처절한 생존의 삶은 잊혀 져 있다. 이 글은 해방과 더불어 일본 사람이 물러갔으니 이제 한국 사람들도 잘살 수 있다고 믿고 가난을 물리치고 ‘잘살아 보자'고 꿈꾸던 ‘어느' 새마을 지도자가 치러야 했던 가난과 전쟁의 기억을 재구성한 것이다. 그는 전쟁을 ‘가난'의 맥락에서 기억한다. 가난했기 때문에 남보다 몇 배나 다른 전쟁을 치러야 했다. 가난해서 피난을 가도 가봤자 소용없었고, 가난해서 의용군에 끌려갔고, 가난해서 배우지 못했고 그래서 미군포로가 되었다. 국군에서조차 가난해서 징집을 면할 수도 의병제대를 할 수도 없었다. 그러나 평생을 따라 다닐 것만 같았던 가난과의 전쟁에서 자기 몸에 총알을 장전하고 스스로 총알받이가 되어 결국 이겨냈다. 그는 전쟁과 가난을 이겨낸 새마을운동이 낳은 가장 선구적인 새마을지도자가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