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현대 중국의 사상 흐름에 대한 한국 철학계의 연구 동향 - ‘문화열’과 ‘중국학열’에 대한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이철승(李哲承) 한국동양철학회 2006 동양철학 Vol.0 No.25

          1978년 ‘제11기 3중전회’를 기점으로 중국의 사상계는 ‘실천이 진리를 검증하는 유일한 기준’이라는 관점 아래, 중국 사회를 전면적으로 개혁하기 시작하였다. 그들은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실사구시’와 ‘사상해방’을 주장하며, 신‘백화제방’ㆍ‘백가쟁명’의 시대를 열었다. 경직된 사회 구조에서 벗어난 중국의 지식인들은 1980년대에 더욱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직면한 시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관점에서 이론을 펼쳤다. ‘문화열’이란 학계의 이러한 동향을 지칭한 말이다.<BR>  중국의 사상계는 또한 1989년의 이른바 ‘6ㆍ4 천안문 사태’를 경험한 후, 이 사건의 사상적 배경을 ‘문화열’ 때 확산된 서구의 부르주아 자유주의 사조의 만연으로 여기고, 중국의 정체성 회복과 새롭게 펼쳐지는 국제 질서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사상적 대안을 강구하는 과정에 ‘신중화사상’을 토대로 하는 ‘중국학열’을 조성시켰다.<BR>  오랫동안 중국의 현대 사상에 대한 연구보다 전통 사상에 대한 연구에 치중했던 한국의 철학계는 1990년대 초부터 시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유 체계의 확립을 철학의 중요한 역할로 여기는 일군의 학자들에 의해 중국 현대 철학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BR>  그들은 그동안 한국의 철학계가 중국 사상을 연구하면서 비실제적인 문제에 관심을 집중시킴으로 인해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면에 한계를 노정시킨 것으로 평가하고, 현대 중국의 사상을 심층적으로 탐구하여 중국에 대한 바른 이해와 합리적인 한중 관계의 정립에 이론적인 기여를 하고자 하였다.<BR>  필자는 이 글을 통해 ‘문화열’과 ‘중국학열’을 중심으로 하는 중국 현대 사상의 연구 경향에 대한 한국철학계의 연구 동향을 소개하여, 균등하면서도 평화로운 한중 관계의 지속에 필요한 사상적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장신부(張申府)에서 장대년(張岱年)으로: 가치철학 체계의 전환

        김주창 ( Ju Chang Kim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5 儒學硏究 Vol.33 No.-

        장신부 장대년 두 형제는 ‘철학의 핵심은 시대 정신이다’라는 철학적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이 시대 정신으로 철학 체계를 만들었다. 그들이 말하는 ‘시대 정신’이란 고정되어 있지 않은 살아 숨쉬는 생명체이며 끊임없이 진화하며 흐르고 있는 우주의 규율이다. 이것은 과거부터 지금까지 또 아직 오지 않은 미래까지 멈추지 않고 흘러가는 물질이며 생명이며 규율로 존재하고 있다. 이것은 가치로이 세상에 드러나기 때문에 이것을 알지 못하고 잡지 못하면 우리는 살아있는 존재가 되지 못하게 된다. 이것이 핵심 가치로 드러나기도 하고 체계로 나타나기도 하며 시스템으로 존재하기도 한다. 장신부는 그 당시의 시대 정신으로 활기차고 균형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활중’(活中)의 가치 체계를 구축한다. 장대년은 좀 더 적극적으로 균형의 가치를 추구하는 ‘겸화’(兼和)의 가치 체계를 창조한다. 그러나 이렇게 두 사람의 시대 정신은 분화를 하게 된다. 이렇게 두 사람의 핵심 가치가 다른 것은 전적으로 두 사람의 체험 공간과 경험이 달랐기 때문이다. 장신부는 일본 군국주의에 맞서 싸우는 중국 남방의 전선에 있었기 때문에 전통 중국에 대한 ‘희망의 불씨’가 꺼지지 않아서 중국 전통의 골간이 되는 유가 철학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활중’의 가치 체계를 세웠지만, 장대년은 일본 식민지의 점령 지역인 중국북방의 북경에서 온갖 수모와 여러 가지 ‘인성의 극단’을 경험하였기 때문에 앞으로 새로운 시대가 필요로 하는 균형을 강조하는 ‘겸화’(兼和)의 가치 체계를 창신하였던 것이다. 이렇듯 두 형제의 역사적 체험 차이로 시대 정신인 핵심 가치를 다르게 본 것이다. 그 차이가 두 사람 사이의 철학과 가치 체계를 갈랐다. 본 논문은 장신부 장대년 두 형제가 시대 정신인 핵심 가치가 다른 이유를 역사적 체험에서 그 이유를 찾고 있다. The brothers, Zhang Shenfu(張申府) and Zhang Danian(張岱年), had the same belief that "Philosophy is Zeitgeist." That idea is fixed but living and spiritual. It is a living and breathing rule over the universe, constantly evolving and flowing. This is a matter flowing over from past to future; that is, it has been existed as a rule of life. This concept is so valuable to the present world so that if we do not comprehend it we are not able to live as a living being in this world. It also exist as a core value and an organic system. Zhang Shenfu established the system of "Huozhong" (活中)as a core value of Zeitgeist of his contemporary pursuing a dynamic and balanced one. However, Zhang Danian made "Jianhe"(兼和) seeking a value of more equity. In this way, the Zeitgeist of them was split. The main reason of the different understandings of it is that they grew and were experienced in a different circumstance. As the former was in the southern front of China fighting against the militarism of Japan, he did not change his philosophical system of "Huozhong"(活中) which was similar to the confucian philosophy laying the foundation of Chinese tradition as he was trying to hold it. On the other hand, Zhang Danian suffered various insults and went through the extreme trial of personality in Beijing, which was one of the northern colonies of Japan, so that he created the "Jianhe"(兼和) which emphasizes "equity" necessary for a new era. Thus, it is their own personal experiences in a particular historical situation that made them have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core value of Zeitgeist based on their own distinctive philosophical systems. This thesis claims that the different historical settings caused them to result in their unique philosophical ideas of Zeitgeist between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