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懶雲 申禹相과 그의 詩文에 대하여

        김동준(Kim Dong-jun) 돈암어문학회 2012 돈암어문학 Vol.- No.25

        이 논문은 申光洙의 첫째 아들인 申禹相(1730~1799)의 문집 『懶雲稿』?『懶雲集』 및 『槐景錄』을 학계에 알리는 것을 겸하여 그의 삶과 한시를 개략적으로 조망한 것이다. 신우상의 문학을 조망하기 위한 관점으로는 家風과의 관련성을 먼저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詩史的 의의를 가늠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제2장에서는 신우상의 생애를 개괄하고 ??懶雲稿?????懶雲集??의 구성과 주요 내용, 작품의 제작 시기 등을 정리하였다. 제작 시기를 기준으로 삼아 작품의 전체적 흐름을 재정리한 성과는 이후 신우상 연구에 밑바탕이 될 것으로 본다. 이어 제3장에서는 신우상 시문학의 실제와 특징적 면모를 ‘家風과의 관련성’, ‘風流의 시적 수용과 艶情化 경향’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그 결과 그의 시에 나타난 緣情的이고 浪漫的인 경향, 풍류와 염정을 활용하는 경향, 음악성을 겸비한 악부 창작의 양상, 艶情風의 한시를 강화한 양상이 家風과 연속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이러한 특징이 18세기 前後의 漢詩批評史的 맥락에서 보건대, 擬古派의 자양분을 섭취하여 향토색과 지역성을 능동적으로 흡수한 사례로 평가될 수 있다고 보았다. 신우상의 저술과 시문학에 대한 본고의 성과를 통해 古樂府 정신의 토착화 방향이 얼마간 증명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aper’s purpose is to introduce Shin Guang-soo(申光洙)’s eldest son, Shin Woo-sang’s (1730-1799) literary collections?Nawoon Manuscripts(懶雲稿), Nawoon Anthology(懶雲集), and the Records of Guae-gyeong(槐景錄)?and to take a broad view on his life and his Chinese poetry. To examine Shin Woo-sang’s literary point of view,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literary works and his family tradition; then study the meaning of poetry history base on it. In the second section, Shin Woo-sang’s biography is summarized; then it describes the construction, main contents, and the period of poetry composition of Nawoon Manuscripts and Nawoon Anthology. An outcome which rearranging the whole course of his literary works base on the period of poetry composition will be the groundwork for later Shin Woo-sang’s research. In the third section, his poetry practice and its distinctive feature are separately considered with the relationship of the family tradition, the reception of pyungrhyu (風流), and an inclination for passion. As a result, we can perceive that his poetry’s tendency for passion and romance, an application of pyungrhyu and love, a creative aspect on arkbu(樂府), and intensifying Chinese poetry with passionate air are succeeded from his family tradition. Furthermore, perceiving these distinctions with the accordance of the eighteenth century Chinese poetry criticism history’s context, his works can be appraised as examples of adopting nourishments from the faction of composing in ancient style and absorbing the characteristics of native and regional nature actively. Through the paper’s result on Shin Woo-sang’s literary works, hopefully, prove a part of direction in how the spirit of ancient arkbu settled in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기획논문: 문학의 통속화, 통속의 문학화 : 아속(雅俗)의 교차, 석북신광수가한시(石北申光洙家漢詩)에 나타난 "속(俗)"의 활용 방향

        김동준 ( Dong Jun Kim ) 근역한문학회 2014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9 No.-

        본고는 石北申光洙家[申光洙, 申光淵, 申光河, 申禹相등]에서 남긴 漢詩가운데 ‘俗’의 활용 양상을 검증할 수 있는 작품을 택하여 그것의 문학적 가공 방식과 예술사적 맥락을 탐색한 것이다. 제1장에서는 <문학의 통속화>라는 학회의 기획 논제가 한문학 영역에서는 적용되기 곤란함을 근거로 삼아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雅-俗담론을 분석의 도구로 삼았다. 그리하여 ‘상층과 대비되는 민간의 삶과 언어적 유산, 그리고 범속한 사람이 욕망하는 통속적 정서’를 ‘俗’의 개념으로 설정하고, 제2장에서 신광수가의 한시에서 주목되는 俗의 성분과 현전하는 자료를 검토하였다. 제3~4장에서는 ‘속’의 성분을 활용하여 형상화된 신광수가의 한시를 두 갈래로 나누어 조명하였다. 첫째는 俗의 雅文學化경향에 초점을 맞추었다. 생활현장에서 취재한 속의 소재들을 활용하여 실감과 공감을 보유한 시 작품으로 전환해내었다는 것이 그 요지이다. 두 번째로는 艶情코드가 강화된 風流공간의 작품들을 대상으로 삼아, 그 속에 담긴 통속적 욕망과 향유층 확장의 시적 전략을 고찰하였다. 우아한 풍류로 포장된 채 출발했으나 결과적으로는 통속적 욕구를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이는 雅의 俗文學化현상이라 간주될 수 있었다. 마지막 제5장에서는 신광수가의 한시가 俗의 雅化와 雅의 俗化를 모두 보여준 사례였음을 확인한 뒤에, 이들의 시도가 金弘道·申潤福의 풍속화와 미의식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 민간의 문학적 자산을 예술적 자산으로 활용한 결과라는 점, 나아가 민간의 삶과 욕망에 주의했던 이전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성과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chose works that can be verified about the application of ‘security’ among Chinese poems left by poets from the Seokbuk Shin Gwang-su’s family to explore its literary processing method, way of realization, and art historical context. In the first chapter, changing the society’s subject_‘popularization of literature’, discussion of grace-secularity was used as the tool for analysis. By doing so, ‘people’s life contrasted with the upper class and vulgar sentiment desired by the common crowd’ were set as the concept of ‘secularity’. In the second chapter, components of secularity notable in Chinese poems of the Shin Gwang-su’s family were reviewed. In the third and fourth chapters, aspects embodied by using components of ‘secularity’ were divided into two prongs to be illuminated. First, this researcher focused on the tendency of secularity’s turning into the graceful literature, whose gist is that they made use of materials in life to change them into the literary works that holds realistic and sympathetic feelings. Second, being targeted at the works in the space of having taste for arts where romantic feelings were strengthened, this researcher contemplated vulgar desire in it and poetic strategy of expanding the class enjoying it. Its substance is that they started by claiming to stand for grace, but resulted in embodying common desire. And in the last chapter, after diagnosing that Chinese poems of the Shin Gwang-su’s family that utilized secularity were sharing aesthetic sense with genre paintings of Kim Hong-do and Shin Yun-bok, it is suggested that they used folks’ literary asset as the artistic one and that they reflected the art historical flow of the former times when artists had paid attention to the people’s life and desi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