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상희(金相姬) 한국동양철학회 2008 동양철학 Vol.0 No.30
이 글은 맹자 에 분명히 드러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화이(華夷)사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화이사상을 맹자 사상의 독립적인 부분으로 다루는 것이 아니라, 그의 중요 사상인 왕도론과의 상관성 아래에서 논하였다. 맹자는 인정에 의한 왕도론이 고대 제왕들의 정치방식이며, 그것이야말로 중화문화의 본질을 형성한다고 주장하여 이적의 문화와 대립시켰다. 맹자는 왕도론을 공문 정통의 이론으로 수립하기 위하여 화이사상을 도입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그의 당초 염원인 민생구제의 길에서 현실적 굴절을 나타냈다. 이 글은 맹자의 왕도론과 화이사상이 정치-문화적으로 동아사아의 중화주의의 서막을 열었음을 밝혔다. 这本个研究着虽在孟子显明写而轻看的华夷思想。这不是关于孟子另外部分, 论考和他的主要思想王道论的相关。孟子主张依靠仁政的王道论是以中华文明成为�古 代君王的政治,它竟然成中华文明本质,对モ立华夷文化。他为了树立孔儒正统原理 输入华夷思想,在这场局面现形救济人民瓦解。这本说明孟子的王道论和华夷思想 打开政治文化的东亚中华主义幕启。
박성현(Park, Sung-hyun) 한국고대사학회 202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7
본고에서는 ‘도시’라는 관점에서 신라 왕도의 형성 과정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고고학에서는 궁성으로서의 토성과 왕묘로서의 고총이 등장하는 것을 도성의 형성으로 보기도 했지만, 그것을 본격적인 도성으로 규정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지방에도 토성과 고총이라고 하는 동일한 구조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이것을 초기 왕도로 규정하고, 당시 신라의 고총 체계를 단순한 간접 지배가 아닌 지배층이 분거하는 형태로 이해하였다. 즉 지방을 제압할 수 있는 힘이 부족해서 간접 지배를 한 것이 아니라, 지방의 산물을 중앙으로 가져올 수 있는 제반 시설과 체계가 미비했기 때문에 지배층이 지방에 분거하면서 경제적 기반을 확보했다는 것이다. 초기 왕도는 주변 지역을 배후지로 하는 중심지에 불과했고, 영역 내 그것을 모방한 여러 읍들 가운데 가장 우월한 공간이었지만 유일하거나 압도적인 곳은 아니었다. 마립간 역시 내외의 여러 干들 중에 으뜸이 되는 존재였는데, 여러 지방의 산물중 일부를 공납으로 받아들임으로써 그와 그의 왕도는 점차 초월적인 지위를 획득하게 되었던 것이다. 5세기 말에 이르면 마립간, 왕권의 성장과 함께 왕도의 공간이 정비되고, 또 지방 지배체계가 갖추어지게 되었다. 궁성의 정비와 함께 양부와 사량부의 경계 방면에 부정형 시가지가 형성되었으며, 주요 시설이 갖추어져 지방과는 구별되는 경관이 연출되었다. 또 지방을 연결하는 도로가 정비되고 도사가 파견되는 등 지방의 산물을 중앙으로 가져올 수 있는 제반 시설과 체계가 마련되었다. 지방 고총의 쇠퇴는 묘제의 변화와 함께 직접 지배의 진전에 따라 지방 세력이 몰락한 것으로 이해되었지만, 분거에서 집주로의 전환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기존에는 지배층이 지방의 근거지에 거주하는 것이 유리했다면, 왕권의 성장과 수취 체계의 확립에 따라 왕도에 거주하는 것이 유리해졌다는 것이다. 녹읍으로 상징되는 왕도 지배층 읍락 지배의 연원은 바로 5세기 이들의 지방 분거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신라 왕도는 전 영역을 배후지로 하여 농업 생산물을 끌어들이면서 지배층이 전문 관료로서 거주하고 소비하는 도시가 되었다. 이것은 바로 본격적인 왕도의 성립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In this paper, the process of formation of Silla’s capital, Wangdo (王都) was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city’. In archeological researches, the appearance of an earthen fortress as royal palace and high-mound tombs as royal tombs has been regarded as the formation of the city, but there is a problem to define it as a full-fledged city. It is because the same structure, an earthen fortress and high-mound tombs, also appeared in the provinces. There are complexes of high-mound tombs in Silla’s main local bases. It is called high-mound tombs system. It has been understood as the existence of local indigenous forces who were controlled indirectly by the central. This paper identifies it as the distributed residence of the ruling class. Because of the lack of infrastructure and system that could bring local products to the center, they resided in the main local bases of the country. The early Wangdo was merely the center of the surrounding area, and was the most superior of all the towns that imitated it, but not the only or overwhelming space. Maripgan (麻立干), the early king of Silla was also the foremost among the many chiefs inside and out, and by accepting some of the products of the provinces as tribute, he and his Wangdo gradually gained a transcendental status. By the end of the 5th century, the space of Wangdo was reorganized, and the local governance system was established with the growth of royal authority. Along with the maintenance of the palace, an irregular street network wa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Yangbu (梁部) and Saryangbu (沙梁部), the two main districts of the central Silla, and the main facilities were provided to create a landscape that is distinct from the provinces. In addition, the roads to the provinces were installed and the officials called Dosa (道使) were dispatched. The infrastructures and systems established to bring local products to the center. The decline of high-mound tombs has been understood as the fall of the local forces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direct domination, but it is reasonable to see it as a transition from distributed residence to collective. In the past, the ruling class had the advantage of living in rural areas, but it became more advantageous to live in Wangdo as royal authority grew and the collecting system established. Then, Silla’s Wangdo became the city where the ruling class lives and consumes as a professional bureaucracy, attracting agricultural products with the whole territory as hinterland. This meant the establishment of the fullfledged Wangdo.
당대 ‘천하(天下)’와 ‘왕도(王道)’의 공공성 사고 비교
장콘쟝(張崑將)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2 다산과현대 Vol.4,5 No.-
전통 동아시아의 ‘천하’와 ‘왕도’ 개념은 일종의 공공성 이상에 관한 담론이었음은 물론, 최근 들어 대만과 중국의 지식인들이 깊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주제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중국 대륙과 대만에서 열띠게 전개되고 있는 ‘천하’와 ‘왕도’ 공공성 담론에 관해 탐구 및 비교를 진행해보고, 앞으로의 발전 전망을 타진해봄과 동시에, ‘동아시아’라는 시각을 통해 ‘천하’와 ‘왕도’ 담론의 부족한 부분을 논평하고 또 보충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왕도 문화를 추진하고 있는 주체는 여전히 대만이며, 중국 대륙은 비교적 피동적 자세를 취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왕도 포럼이 대만의 재계와 학계, 그리고 정계의 상호 협력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밝히었다. 대만에서는 재계, 학계, 정계가 주체가 되어 4차례의 왕도포럼을 진행한 바 있는데, 특히 재계에서 추동하고 있는 왕도에는 명확한 이론과 실천적 전략이 존재한다. 즉, 대만은 왕도의 공공성 담론에 비교적 집중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는 당대 ‘천하’ 담론을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비교적 완전한 이론 체계를 갖추고 있다고 평가되는 중국의 학자 짜오띵양(趙汀陽)의 ‘천하’ 철학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하였는데, 짜오띵양이 제기한 ‘천하체계’의 세계 철학이 지나치게 이상적인 나머지 결점이 적지 않다는 사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짜오띵양은 묵가(墨家) 방식처럼 ‘위에서 아래로’ 진행되는 세계 제도를 먼저 창조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는데, 이는 무척이나 엘리트주의적인 영도철학이라 말할 수 있다. 이 점에 착안하여 필자는 짜오띵양이 ‘아래에서 위로’ 향하는 이성적 공민(公民)의 자각(自覺) 의식과 비이성적 공민의 무자각(無自覺)에 관한 문제를 놓친 것이 아닌가? 하고 의문을 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 ‘동아시아’적 시각을 통해 ‘천하’와 ‘왕도’ 개념이 과거 동아시아 유학자들 사이에 실재 존재하던 공통의 신념이었음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천하’와 ‘왕도’의 가치 이념을 ‘세계’로 미루어나가고자 하는 지금, 동아시아 지역 내부에 우선 하나의 ‘동아시아적’ 공통의식이 형성되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경찬 전북연구원 전북학연구센터 2024 전북학연구 Vol.13 No.-
본 연구에서는 후백제 왕도 전주의 지형구조와 후백제 유적의 조사성과 및 분포 양상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통하여 전주 후백제 왕도의 도성구조를 도출해보고 자 하였다. 특히 ① 후백제 왕도의 영역 ② 후백제 왕도조영축 ③ 후백제 왕도의 영역구조와 도성벽 ④ 왕궁 위치 ⑤ 도로체계와 도성시설 배치양상 등은 논의의 중심에 위치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백제 왕도영역은 전주분지를 감싸고 도는 수계와 간선지맥을 활용하여 설정 되었으며 사방 약 4,000m 사방의 규모가 상정된다. 후백제 전주도성은 반태산과 오목대를 연결하는 남북방향의 왕도조영축을 기준 으로 동쪽 구릉지구역에 도성벽을 축조하여 도성시설을 배치하고 서쪽 평지구역에 는 별도의 성곽을 축조하지 않고 전주천과 제방을 활용하여 시가구역을 형성하는 동성서곽(東城西郭)의 도성형제를 취한 것으로 추정된다. 동쪽 구릉지구역은 동고산성을 포함하여 중성-내성-왕궁구역으로 이어지는 다중적인 공간구획을 이루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후백제 왕도영역 일대의 지형구조와 문헌기록, 도시평면구조, 유적 조사결과를 종합해볼 때 후백제 왕궁지는 반태산 동정리구역 일대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되 지만 풍남초등학교 일대 역시 왕궁지이 위치할 수 있는 여건을 지니고 있다. 반태 산 동정리구역을 왕궁지로 비정할 경우 왕궁이 북쪽에 위치하고 전라감영 일대에 행정시설이 위치하는 좌북남조(座北南朝)의 도성격국이 상정된다. 한편 풍남초등학 교 일대를 왕궁지로 비정할 경우 동쪽에 궁이 위치하고 서쪽에 행정시설과 생활구 역이 위치하는 궁동조서(宮東朝西)의 도성구조가 상정된다. 다만 후백제 전주도성의 추정 왕궁지에 대한 조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추 후 발굴조사를 통하여 확인이 필요한 상황이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royal capital of Later Baekje, through comprehensive review of the geographic structure of Jeonju and the excavation results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relics estimated to date from the Later Baekje period. The focal points are largely centered on ① the area of the Later Baekje royal capital, ② the royal capital construction axis, ③ the territorial structure and city walls of the Later Baekje royal capital, ④ the location of the royal palace, and ⑤ the road system and the layout of the capital faciliti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royal capital area of Later Baekje was established by utilizing the water system and mountain stream that surround the Jeonju Basin, and is assumed to be approximately 4,000m in all directions. It is presumed that the capital city of Jeonju during the Later Baekje Dynasty was modeled after basic structure of eastern walled area-western residential area without walls(東城西郭) based on the royal capital construction axis in the north-south direction connecting Mt. Bantaesan to Omokdae. And it is presumed that the walls were used to construct multiple spatial divisions of the city wall, including Donggosanseong Fortress, middle area(中城), inner area(內城), and the royal palace area. Considering the literature records, historical site survey results, and map analysis results, it is presumed that the royal palace site of the Later Baekje Dynasty was located in the Bantaesan Dongjeong-ri area, but the Pungnam Elementary School area also has conditions for the royal palace to be located. In the former case, nothern palace and southern administrative court(座北南朝) structure is assumed, with the royal palace district located in the north and administrative functions located in the Jeolla Gamyeong district in the south. In the latter case, the royal palace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royal capital area, and a capital city structure consisting of the royal palace in the east and the administrative district in the west(宮東朝西) is assumed. However, as the estimated royal palace site has not been sufficiently investigated, confirmation is needed through future excavations.
조영광(Jo, Yeong-Kwang)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1
고구려 수도권의 구조는 왕성, 왕도, 왕기라는 위계성을 가진 공간으로 구성되었다. 즉 왕도는 왕의 거소인 왕성을 중심으로 한 핵심 지역이고, 왕기는 그 배후 지역을 뜻한다. 집안 도읍기 고구려의 왕도는 왕성인 국내성을 중심으로 대체로 집안 분지 일대로 상정할 수 있으며, 방위명의 5부는 중부인 왕성(국내성)을 비롯하여 그 주변에 설정된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의 왕기는 중국, 신라와 마찬가지로 왕도에 대한 효율적 방어를 목적으로 설치된 군사적 성격이 강한 지역이었다. 대체로 오늘날 집안시 전역에 해당하는 지역이었다. 고구려에서 왕도, 왕기가 성립되었던 가장 중요한 정치 사회적 기반과 계기는 部의 형성이다. 대무신왕은 국왕의 직할지를 계루부로 편제하는 것을 시작으로 기존 고구려 연맹체에 복속되어 있던 소국을 那部로 재편하면서 국왕 중심의 원심력을 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國邑보다 강력하고 규모가 큰 왕도와 왕기를 형성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나부와 방위부는 일정 시기 동안 공존하였고, 나부가 상존할 때 수도의 행정 구획으로서 왕도에 설치된 것으로 파악되는 방위부는 ‘評’이 집미사로 붙어 불리었을 가능성이 크다. 고유어 評이 고대 사회에서 수도나 큰 도시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음은 여러 기록과 용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고구려에서 수도 혹은 큰 도시와 관련하여 評의 음역에 속하는 平壤이 여러 차례 등장하는 것 역시 이에서 기인한 바이다. 그리고 고구려 초, 중기 수도인 집안의 입지적 특성이나 고구려의 전통에 입각해 볼 때 방위부는 절대적 방위명인 동, 서, 남, 북보다는 지형지물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방위명인 전, 후, 좌, 우의 명칭을 달고 있었을 개연성이 크다. The capital city and its environs in Goguryeo (高句麗 Koguryo) was the hierarchical space consisted of the royal castle (王城), capital (王都), and capital region (王畿). The capital meant the core area that had the royal castle in the middle. The capital region meant the periphery areas surrounding it. When the capital was located in the Ji’an basin area (modern Ji’an County, Jilin Province, China), its royal castle was Gungnae Fortress (國內城). In the capital city, there were five provinces called ‘Bu (部)’ including the royal castle, the central district. They were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all their names presented the directions. The capital region was the area that had strong military purposes to protect the capital effectively like China and Silla. The most important political and social base of constructing the capital and its region was the development of Bu. In order to do this, King Daemusin (大武神) implemented several policy such as reorganizing the district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king into Gyerubu (桂婁部), one of the five lineages of Goguryeo, and governing through a centralized system named ‘Nabu (那部)’ by reforming small countries under the control of Goguryeo. He paved the way to construct more powerful and larger capital and its region than provincial capitals, Gukeup (國邑). It is possible that the Bu which was built inside of the capital named with a ‘Pyong (評)’ suffix during the time that Nabu(tribe) and Bu(district) coexisted. The old Korean ‘Pyong’ was originally used as a term for a capital or a large city in ancient society. The word ‘Pyongyang (平壤)’ also appeared several times regarding a capital or a large city in Goguryeo. Because it belonged to the range of ‘Pyong’.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 of Ji’an and tradition of Goguryeo, it would be a high probability that the names of Bu presented the relative directions (前 front, 後 back, 左 left, 右 right) according to geographic features, not the absolute directions (東 east, 西 west, 南 south, 北 north).
최재현(Choi, Jae Hyun) 영남고고학회 2021 嶺南考古學 Vol.- No.89
대가야의 중심지인 대가야읍내에서 그 동안 실시된 표본조사부터 발굴조사 자료를 검토하여 대가야의 궁성과 주변취락의 분포양상에 대하여 살피고, 궁성을 중심으로 한 대가야 왕도의 범위를 설정해 보았다. 왕도 내에서 도시구획 양상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공간구획 양상-생활공간, 사후공간(고분군), 통치공간(궁성과 대피성), 특수공간(종교 등)-은유추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고령지역 일대에 분포해 있는 성곽과 고분군의 관계를 통해 왕도를 보호하기 위한 성곽의 배치양상을 검토하여 변경을 방어한 성곽과 왕도와 그 배후지를 방어한 성곽으로 용도를 구분해 보았다. 협의의 개념에서 대가야 왕도는 현재의 대가야읍내, 즉 주산과 대가천 사이의 지산리·연조리·쾌빈리·고아리 일대가 되겠지만, 고령 쾌빈리 433-11번지에서 확인된 남-북 방향의 인공수로가 왕도를 궁극적으로 보호하는 시설로 추정된다. 광의의 개념으로서 왕도는 안림천 수계의 쌍림면과 합천군 묘산·가야·야로면 일대의 토기 및 철 생산유적과 관련된 배후지 그리고 북편으로는 성주 성산가야와의 경계지역, 동편으로는 낙동강을 잇는 국경 방어지역이 직할지로서 그범주에 포함할 수 있다. 대가야 왕도의 범위와 취락 형태는 향후 지속적인 조사자료 확보 및 검토가 필요하고, 대가야 고지 내 산성과 고분군에 대한 세부적인 시기 구분, 산성과 주변 분포 고분군의 실질적인 관련성 등에 대해서도 학술조사와 같은 보다 세밀한검토가 필요하다. 아울러 문헌 및 고대사 연구 자료에 대한 검토도 충분히 반영할 필요가 있다. From the sample survey conducted in Daegaya-eup, the center of Daegaya, the excavation survey data were reviewed to examine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Daegaya s palaces and surrounding settlements, and the scope of the capital of Daegaya s kingdom was established around the fortress. Although the pattern of urban compartmentalization was not confirmed within the capital of the kingdom, it was possible to infer the aspect of spatial compartmentalization-living space, post-mortem space (ancient tombs), ruling space (a royal palace and refuge palace), and special space (religious areas, etc.)- from the capital of the kingdom. Based on this, we examined the layout of the fortress to protect the capital of the kingdom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tresses and the ancient tombs distributed around the Goryeong area, and divided the use into the fortress walls that defended the change and the fortresses behind it. As the narrow concept, the capital of a Daegaya kingdom assumed that the current Daegaya town, namely Jisan-ri, Yeonjori, Hyebin-ri, and Goari area between Jusan-ri and Daegacheon, was a facility that ultimately protects the capital of the kingdom, an artificial waterway in the direction of the south and north, which was identified at 433-11 Sinbin-ri, Goryeong. As a broad concept, it is believed that the capital of the kingdom could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Yangrim-myeon in Anrimcheon Stream, behind the earthenware and iron production sites in Myosan, Gaya, and Yaro-myeon areas in Hapcheon-gun, and on the north, the border area connecting Seongsan Gaya in Seongju, and the border defense area connecting the Nakdonggang River. The scope and settlement of the capital of Daegaya kingdom need to be secured and reviewed continuously in the future, and the detailed timing classification of the fortress and ancient tombs in Daegaya Highlands, and the practical relevance of the ancient tombs aroundthe fortress and surrounding areas need to be reviewed through academic survey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thorough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ncient history research materials to reflect them more comprehensively.
이도학(Lee, Do Hack)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10 馬韓, 百濟文化 Vol.19 No.-
日本京都의 한 사찰에서 발견된『觀世音應驗記』라는 佛書는 백제 무왕대의 천도 사실을 알려 주었다. 무왕이 미륵신앙과 관련한 장대한 이상을 구현하기 위해 천도한 곳을 枳慕蜜地라고 하였다. 지모밀지는 현재의 전라북 도 益山을 가리킨다. 枳慕 의 地名語尾格인 蜜地 는 글자의 뜻으로 볼 때 樂土나 福地개념을 연상시킨다. 즉 고유지명을 新天地개념의 枳慕樂土 의 뜻을 담아 표기한 것이다. 여기에는 익산 新王都에 대한 이상향적인 염 원이 담겨 있었다. 『觀世音應驗記』기록을 軸으로 하여 익산이 王都였던 기록을 샅샅이 찾아 보았다. 그 결과『삼국사기』에도 백 제 무왕이 익산을 王都로 삼았던 중요한 단서가 숨겨져 있음을 발견하였다. 익산에서 開國 했다는 기록과 副首 都를 가리키는 別都 기록 역시 익산이 王都였음을 시사하고 있다. 중국 사서인『구당서』에서 그 왕이 거처하는 곳은 東과 西쪽 2개 城이다 는 기사도 부여와 익산이라는 2곳의 王都를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아울러 백제 말기에 왕궁이 사찰로 바뀌었다는 주장을 검증한 결과 수용하기 어렵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익산과 관련해 백제의 別宮說·離宮說·行宮說·別都說·미완의 王都說(천도 계획설) 등을 검증한 결 과 諸說의 오류를 죄다 밝힐 수 있었다. 이 밖에 익산 지역에 전해져 온 후조선 준왕의 南來地와 관련한 전승도 기실 백제 王都였던데서 遡及·投射된 逆傳承임을 밝혔다. 이 사실 또한 왕도로서의 익산이 지닌 由緖와 역사적 비중을 일깨워준다. 결국 기록에 대한 입체적인 그리고 交叉確認을 통해 익산 지역은 백제의 王都였다는 진정성이 입증되었다. GwanSeEumEungHeomGi, a Buddhist book found in a Buddhist temple in Kyoto, Japan, released the fact that the capital of Baekje was moved to another city during the era of KingMu(武王). JiMoMilJi(枳慕蜜地) was called the place to which the King Mu moved the capital to realize his great idea for Matireya Buddhism. Seeing the meaning of MilJi(蜜地) used as the ending of JiMo(枳慕), the word JiMoMilJi seems to reflect the concept of Paradise or Fortune Place. That is, such place s own name was written with the meaning of JiMo, the Paradise that was the concept of new world. This name embraced the wish for the new Utopia capital. I searched out every record that I could access to based on the GwanSeEumEungHeomGi, which showed the clue that Iksan was a capital city. As a result, I found that SamGukSaGi also hided another important clue that the King Mu of Baekje used Iksan as a capital city. I found also the record that he established the state and the word ByeolDo(別都) meaning another capital, which all indicated that Iksan was a capital city. The words, The king stays in two fortresses in the east and the west each , shown in GuDangSeo, a Chinese history book, could be translated also into the meaning of two capital cities in Buyeo and Iksan each. In the relation to Iksan, in addition, I investigated also such theories as theory of ByeolGung(別宮), theory of EeGung, theory of HaengGung, theory of ByeolDo(別都) and theory of unfinished capital(theory of planning to move the capital). As a result, I revealed all the faults of such theories. I looked into also the transmitted tale scattered inIksan area that Iksan was the place which the King Jun of the Old Joseon finally got in his path toward the south. I, thereby, also revealed that such transmitted tale was an oppositely transmitted tale that retroactively reflected the fact that Iksan was a capital city of Baekje. This finding also gets us enlightened of the meaning and historical weight of Iksan as a capital city. Such dimensional investigation and cross verification, in conclusion, have proven the genuinity of the fact that Iksan area was a capital of Baekje.
맹자의 이상정치론 ― 입론의 근거와 실현의 공효를 중심으로
최정묵 대동철학회 2007 大同哲學 Vol.40 No.-
논문은 맹자가 이상정치로 제시하고 있는 왕도정치의 입론의 근거와 실현 방법 및 공효를 중심으로 정리한 것이다. 왕도는 힘에 의한 지배라는 패도와는 상반된 의미를 지닌 것으로서, 인간의 본성에 내재한 仁義의 정치적 실현을 의미한다. 이러한 왕도정치의 궁극적 목적은 백성이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드는 것이다. 살기 좋은 세상이란 일차적으로 생존의 문제가 해결된 상태이며, 나아가 도덕적 본성을 온전히 실현할 수 있음을 말한다. 이러하기 때문에 맹자는 왕도정치의 기본으로서 반드시 해결해야할 선결문제를 경제 곧 민생의 문제라고 말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민생의 문제는 왕도정치의 시작에 불과하며, 이것의 진정한 성취는 백성 개개인 모두가 도덕적 본성에 대한 자각과 온전한 실현이 이루질 때만이 가능하다. 맹자는 왕도정치 실현의 필연성을 ‘남의 고통을 차마 견디지 못하는 마음(不忍人之心)’, 나아가 도덕적 본성의 소유 및 백성이 근본이라는 민본정신을 토대로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이것을 실현하기 위한 제도 등에 대해서 나름의 견해를 제시한다. 오늘날의 관점으로 본다면 다소 미흡하다고 말할 수밖에 없는 것들이지만, 이 속에는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자하는 처절한 고민이 담겨져 있다고 하는 점에서 그 가치는 충분하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왕도정치의 실현에 대한 맹자의 외침은, 시대적 사명에 대한 자각과 진리 실현을 위한 투철한 실천정신의 표출이다. 맹자가 제시하고 있는 제도적 장치들이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의 문제들을 완전하게 해결하지는 못한다. 그러나 적어도 그토록 강조하였던 治者가 지녀야할 근본자세와 책임에 대한 논의들은, 오늘에도 유효한 것이라 아니할 수 없다. 치자는 자기 자신이나 소속된 정당의 이익만을 위해 정책을 펴서는 아니 된다. 왜냐하면 부모가 모든 자식을 사랑하듯, 모든 백성을 사랑해야하는 것이 치자의 역할이기 때문이다.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을 갖고 있지 않으면서 정치를 하고자하는 사람은 가장 큰 죄인이 될 수 있음을 상기해야 한다. 이것이 왕도정치 즉 仁政이라는 말이 담고 있는 가장 큰 의미일 것이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framework that conceptualized by the bases and method of Mencius's ideal politic theory. In contrast with military government. the righteous government means the politic realization of benevolence and rightness which are immanent on the human nature. The ultimate aim of the righteous government is to make the welfare society. It means the solution of the problem of livelihood and the achievement of morality. Therefore, Mencius insists that the very important problem is public welfare. The problem of people's livelihood is a beginning of the righteous government. The completion of the righteous government is the self-awakening and accomplishment of morality. Mencius insists that the righteous government is based on empathy and morality. Although, we can not agree entirely Mencius' viewpoint of the righteous government, his effort of realization of the righteous government should be evaluated highly. Mencius’ cry for the righteous government reflects his consciousness of the contemporary mission for and the practical spirit of truth. Although his suggestions may not satisfactorily address all the problems of our times, his ideas about the fundamental attitudes and responsibilities of political leaders can be of value even today. For instance, the political leader must not solely focus on his personal benefits or partisan politics because he must love the people as a parents would love his children. Politicians must remember that it is criminal to engage in governing without truly caring about those who are governed.
이현숙 ( Lee Hyun-sook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8 백제문화 Vol.0 No.59
본고에서는 백제 왕성으로서 공주 공산성(웅진성)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성과를 분석한 후, 이를 기초로 웅진왕도의 경관을 검토하였다. 백제 웅진성인 공산성에 대한 발굴조사는 1980년대 이래 꾸준히 진행되었지만, 그동안 성벽의 구조와 왕궁의 위치 등에 대한 논란이 이루어져 왔다. 이에 발굴성과를 기초로 성벽의 특징과 내부 건물지의 조사내용 분석을 기초로 웅진성 내 백제 건물지 분포상의 특징을 살펴 왕성으로서 웅진성의 성격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공주시가지의 조사현황 자료를 통하여 웅진왕도의 경관을 분석하여 웅진성과의 관계를 고증하고자 하였다. 공산성에서 확인된 백제 성벽은 동쪽 토성지와 더불어 곡부의 내외협축된 석축성벽, 그리고 편축의 석축성벽 등이 있는데, 동쪽 토성지의 경우 지형에 따라서 토축과 석축성벽을 선택적으로 축조한 것으로 확인된다. 전체 성벽은 백제의 웅진천도 이후 성곽축조기사가 활발하게 확인되는 동성왕8년(486) 이전에 초축된 이래 지속적으로 사용되다가, 성왕4년(526)을 전후하여 대대적인 웅진성수즙이 이루어지면서 동쪽 토성지구간이 축소된 것으로 판단된다. 공산성에서 조사된 백제시대 건물지는 성내 전체 구간에 넓게 분포하는데, 왕도의 중심공간인 왕궁성으로서 다양한 기능을 갖춘 건축물을 비롯하여 다양한 시설이 유기적 복합성을 갖춘 공간으로 이해된다. 즉 수막새와 같이 건물의 의장성이 강조된 유물이 집중되는 쌍수정 앞 추정왕궁지, 벼루와 같은 문서행정 관련 유물이 집중적으로 출토된 공북루 앞 왕궁관련유적, 그리고 관리조망이 가능한 높은 구릉지대에 저장시설이 밀집되어 있는 공북루-영은사 사이의 능선지대 등 웅진성 내부에 다양한 기능을 갖춘 건물지별 공간구획이 이루어졌음을 추론할 수 있다. 이밖에 웅진성과 웅진왕도를 연결하는 도로에 대한 이해도 가능하게 되었다. 즉 공산성은 백제 왕궁성으로서 약 200,000㎡너비의 성 내부에 기능과 위계에 따라 다양한 왕궁관련 건물이 자리하고 있으며, 이는 도로를 통하여 왕도와 공간적 연계를 이루고 있음을 살필 수 있다. 더불어 웅진왕도인 공주는 남북으로 좁고 긴 분지상의 지형을 갖춘 웅진의 중앙을 제민천이 가로지르고 있어, 한성기 풍납토성이나 사비도성과 같이 평지도성의 구조를 갖추는 것은 불가능한 지형이다. 웅진왕도 내제민천을 경계로 동서의 구릉지와 인접한 남북 3.5㎞ 동서 0.8~1.5㎞ 내외의 평지에 도성의 중요 시설들이 자리했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민천’을 중심으로 그 주변의 평지와 구릉의 사면에 계단식의 대지를 조성하는 등, 공산성 내 왕궁관련유적의 조성과 더불어, 웅진왕도 내 지형환경에 맞는 도시의 구획과 확장이 단계적으로 함께 이루어졌음을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동성왕 20년(498)에 웅진교를 가설한 기록은 제민천으로 인하여 제한된 왕도 내 공간의 적극적인 개량과 활용의 지표로 주목할 수 있다. 웅진왕도가 갖는 제한된 환경은 웅진천도 초기의 불안한 정국에서는 세력의 공지인 동시에 주변에 주요 지원세력이 입지하는 안정적 환경이 될 수 있었지만, 동성왕대의 활발한 대외활동과 무령왕의 ‘更爲强國’에서 알 수 있듯이 왕실의 안정과 체제의 정비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진 과정에서는 또 다른 제약이었을 것이다. 따라서 국가성장의 동력을 축적한 웅진기 백제의 선택은 사비로의 천도였을 것이다. 이와 같은 분석을 기초로 웅진기 백제 왕도의 경관에 대한 이해의 기초를 마련하였으나 부분적으로 논리의 비약을 부정할 수 없다. 추후 백제 웅진왕도 고증연구를 통하여 보완하고자 한다. Under this article, the outcome of archaeological survey on Gongsan-seong (Woongjin-seong) in Gongju is analyzed as the Baekje castle, followed by the review of landscape of Woongjin Royal Capital based on the foregoing. The excavation survey on Woongjin-seong of Baekje for Gongsan-seong has been steadily processed since the 1980s, but there have been disputes on the structure of retaining walls of the castle, location of palace and so forth. Henceforth, based on the excavation outcome, the analysis is made for the survey content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taining walls for the castle and internal building site, and it takes a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building site distribution in Woongjin-seong of Baekje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Woongjin-seong as the royal castle. And, through the survey status data of Gongju City, the landscape of Woongjin Royal Capital is analyzed to historical research the relationship with Woongjin-seong. The retaining walls of Baekje as confirmed in Gongsan-seong are consisted of the eastern earthen site, stone castle walls narrowly constructed in and outside of valley and the stone castle walls of each side, and for the eastern earthen site, it is confirmed to selectively build for earthen construction and stone castle walls depending on topography. Entire castle wall was initially constructed prior to the 8th years of reign of King Dongseong (486) as confirmed for active construction work after the moving the capital of Baekje to Woongjin, and after its sustained use, it had the massive renovation of Woongjin-seong around the 4th year of King Seong (526) to be reduced of its eastern earthen site district. The building site during the Baekje Era as surveyed from Gongsan-seong was broadly distributed in entire district, and it is understood as the space equipped with the organic integration for various facilities including the building structure with various functions as the central space of royal capital for Royal Palace castle. Namely, it is presumed to have the spatial zoning for each building site equipped with various functions inside Woongjin-seong, such as, estimated palace pond before Ssangsu-jeong(Pavilion) where the relics emphasized with the dignity of building concentrated like convex tiles, palace related relics before Gongbuk-roo excavated intensely of document administration related relics like ink-stone, and the ridge zone between Gongbuk-roo and Youngeun-sa(Temple) where the storage facilities are concentrated in the high hillock area with possible view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for roads that connected Woongjin-seong and Woongjin Royal Capital. In other words, Gongsan-seong was the Royal Palace castle of Baekje with various palace related buildings following the internal function and hierarchy of the fortress with approximately 200,000㎡ of width, and it enables the spatial connectivity with the royal capital through this road. Furthermore, Gongju as the Woongjin Royal Capital has ‘Jemin-cheon’ across the center of Woongjin equipped with the topography of narrow and long basin in south to north to have topography impossible to have the structure of fortress in the plane, just like Hanseong Baekje Period or Sabi do-seong. With ‘Jemin-cheon’ inside Woongjin Royal Capital as the boundary, the important facilities of the castle would be settled on the hills of east and west and adjacent planes of 3.5㎞ on south and north and 0.8~1.5㎞ on east and west. It could be assumed that the zoning and expansion of the city had been made step-by-step to fit into the topographic environment in Woongjin Royal Capital along with the building up of palace related relics in Gongsan-seong, such as, establishing stair-type sites on the slope of hills and surrounding planes around ‘Jemin-cheon’. Therefore, the record hypothesized the Woongjin-gyo(Bridge) in the 20th year of King Dongseong (498) could be considered as the index of facilitation and active improvement in the space of restricted royal capital because of ‘Jemin-cheon’. The limited environment held in Woongjin Royal Capital under the unstable political situation in the early Woongjin period could have been a stable environment for main supporting forces to settle in its surroundings as the vacant site for the forces, however, as shown in ‘Gyeongwigangguk(更位强國)’ of King Muryeong and active external activities of King Dongseong, it would also be another limitation in the process of stably established stable royal family and completion of the system. Accordingly, the choice of Woongjin Period Baekje that accumulated the driving force of national growth perhaps was the move its capital to Sabi. Based on the foregoing analysis, the foundation of understanding on the landscape of the Woongjin Period Baekje royal capital has been laid down, but it is also undeniable that there is certain jump of logic in part. It is intended to supplement through the empirical study on Baekje Woongjin Royal Capital at a later time.
조원일(趙源一) 한국양명학회 2002 陽明學 Vol.- No.8
유가정치사상의 이상적인 형태는 맹자로 대표되는 왕도정치사상 이다. 이러한 맹자의 왕도정치사상의 이상은 천하를 통일하는 것인데, 천하를 통일하려는 군주는 반드시 우선적으로 보민ㆍ양민ㆍ교민의 세 정책을 시행해야만 한다. 맹자는 이러한 정책을 시행하여 달성한 군주를 왕자(王者)의 자격을 갖춘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한 국가 내에서만 인정(仁政)을 실행해서는 왕도정치사상의 이상을 실현할 수 없는 것인데, 즉 왕자(王者)는 반드시 학정 속에 있는 천하의 백성들을 해방 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맹지는 백성들을 학정에서 해방시키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왕도정치의 이상으로 보았다. 그러나 역사상의 결과로 보면 맹자는 결국 왕자(王者)의 자격을 갖춘 군주를 찾지 못하고 왕도정치사상의 실현을 직접 목격하지 못한다. 다시 말하면, 맹자는 제나라의 군주를 왕자의 자격을 갖춘 인물로 보고, 제나라 군주의 현명함에 의지하여 왕도정치사상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한다. 그러나 연나라에 대한 정벌이 실패로 돌아감에 따라 왕도정치사상의 실현기회는 없어지게 된다. 본문에서는 맹자가 묘사한 왕도정치사상의 이상과 제나라가 연나라를 정벌한 현실을 비교하여 맹자 왕도정치사상 속에 담겨져 있는 이상과 현실 사이의 긴장 관계에 대해 살펴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