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지성사에서의 왕도(王道)와 패도(覇道) 담론

        김홍백 ( Kim Hong-baek ) 한국고전문학회 2021 古典文學硏究 Vol.60 No.-

        본고는 조선에서의 王覇 담론에 대한 통시적 연구이다. 王道와 覇道의 문제는 사상적으로는 맹자와 순자, 주희와 진량의 왕패 담론을 일정하게 계승한 것이면서 역사적으로는 여말선초(원명교체)와 임병양란(명청교체), 구한말(서세동점)의 전환기마다 첨예화된 이상 정치와 현실 정치 간의 긴장 관계가 반복 변주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맹자가 개념화한 왕도와 패도는 동아시아 유가문명권에서 ‘덕에 의거한 윤리의 실천(以德行仁)’과 ‘힘에 의거한 윤리의 가장(以力假仁)’이라는 공존 불가능한 적대적 상극의 관계로서 항시 호명되고 소환되었지만, 일각에서는 이러한 이원화된 구도 안에서 왕도와 패도, 윤리와 현실의 관계를 상극만이 아닌 ‘상생’, 대립만이 아닌 ‘상보’로도 인식하고자 했던 흐름 또한 존재하였다. 본고에서는 왕도와 패도 양방을 기왕의 통념적 대립의 구도를 넘어 공히 가치중립적으로 승인하거나 패도를 상대화하여 그 현실적 의미를 왕도와의 관계에서 새로이 재인식하고자 했던 다양한 담론들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조선에서의 일반적인 ‘패도 비판 양상’을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여말과 조선 중기, 18세기의 시공간에서 현실 정치의 권력주체인 王이 유가적 이상 정치의 이념주체인 士와의 긴장 속에서 어떻게 왕도 정치의 비현실성을 의심하고 ‘윤리와 현실’ㆍ‘이념과 실재’ 간의 역사적 아이러니에 의문을 품었는지 검토하였다. 아울러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익을 중심으로 왕도와 패도의 관계가 ‘은혜와 은덕’을 통한 교화라는 윤리적ㆍ가치적 이념과 ‘위엄과 형벌’을 통한 강제라는 현실적ㆍ제도적 장치 간의 상보적 균형성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나아가 유가적 이상 정치를 그 반대편의 비윤리적 현실을 인정하고 이를 경유하여 천천히 도달해야 할 일종의 ‘잠정적 유토피아(Provisional utopia)’로서 사유되고 있음을 조명하였다. 곧 ‘인의의 부재’(暴政) ⇨ ‘인의의 가장’(覇道) ⇨ ‘인의의 실행’(王道)의 삼단과정에서 ‘인의의 가장’이 왕도 정치로 나아가기 위한 매개적 경유지로 상정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왕도 정치에의 윤리적 이념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패도 정치라는 실재의 현실을 승인하면서 점진적ㆍ잠정적 이상을 추구하고자 하는 ‘현실적 이상주의자’ 내지 ‘유가적 리얼리스트’로서의 세계 태도라 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왕패의 상보적 병용’ 내지 ‘패도의 잠정적 승인’으로서의 왕패 인식은 조선 후기 지성사에서 크게 두 개의 흐름으로 계승되었다. 하나가 ‘王道=義 VS 覇道=利’의 상극적 구도에서 후자인 ‘利’에 대한 유가적 승인이라면, 다른 하나는 ‘王道=道 VS 覇道=器’의 위계적 구도에서 전자인 ‘道’ 내지 후자인 ‘器’에의 극단적 편향에 대한 동시 지양이다. 이는 공히 왕도와 패도, 의리와 이익, 목적과 수단 사이의 균형적 인식을 드러낸다. 아울러 이러한 왕패 담론이 서세동점의 구한말에 이르러서는 더 이상 中華와 夷狄, 王道와 覇道의 구분이 불가능해졌다는 시대 인식 위에서 ‘夷狄/覇道’의 것이라도 지금 조선에 도움이 된다면 배워야 한다는 利用厚生으로서의 ‘北學’의 논리가 서양을 배워야 한다는 ‘西學’의 논리로 확장 계승되었음을 조망하였다. 이른바 ‘패도의 재인식’이라는 차원에서 여말 이래 조선 중후기를 거쳐 전개되어온 일련의 새로운 왕패 담론이 華夷論과 연계되어 19세기 말의 전환기에까지 연속적으로 심화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n this thesis, I explore the discourse of the wang dao(王道, the way of the true king) and the ba dao(覇道, the way of the hegemon) in the Middle and the Late Chosŏn Dynasty. The problem of the wang dao(王道) and the ba dao(覇道) is that, ideologically, the discourses of Mencius(孟子) and Xunzi(荀子), Chu Hsi(朱熹) and Chin Liang(陳亮) have been consistently inherited. In addition, historically, the tension between ideal politics and real politics, which has been sharpened at each transition period, between the close of the Korea Dynasty & the beginning of Chosŏn Dynasty(麗末鮮初),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the Manchu war(壬丙兩亂), the eastern penetration of western powers(西勢東漸) has been repeated and varied. In this thesis, I focused on various discourses that attempted to recognize both the wang dao(王道) and the ba dao(覇道), relativizing both sides of the wang dao(王道) and the ba dao(覇道) in a relationship with the wang dao(王道), beyond the conventional confrontational structure. To this end, I first review the general 'criticism of the ba dao(覇道)' in the Chosŏn Dynasty, and based on this, the tension between the king, who is the subject of power in real politics, and the ideological subject of Confucian ideal politics, in the time and space of the end of the Korea Dynasty, the middle of the Chosŏn Dynasty, and the 18th century. It examines how the historical irony between 'ethics and reality' was questioned. In addition, Lee Ik(李瀷), a Sirhak(Practical Learning) scholar in the late Chosŏn Dynasty, understood wang dao(王道) and the ba dao(覇道) as a balanced relationship between the ethics and system of 'grace and punishment'. It shed light on thinking as a kind of 'provisional utopia'. This can be said to be the attitude of the world as a 'Confucian realist'. Furthermore, this recognition of the wang dao(王道) and the ba dao(覇道) was inherited in two major streams in intellectual history of Late Chosŏn period. If one is a Confucian approval of the latter, 'profit(利)' in the mutual oppositive structure of 'the wang dao(王道) = righteousness(義) VS the ba dao(覇道) = profit(利)', the other is a simultaneous avoidance of the extreme bias toward the former, 'truth(道)', or the latter, 'vessel(器)' 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wang dao(王道) = truth(道) VS the ba dao(覇道) = the vessel(器). This reveals a balanced perception between wang dao(王道) and the ba dao(覇道), righteousness(義) and profit(利), and end and means. In addition, in the Chosŏn Dynasty of the late 19th century, the logic of 'Bukhak(北學, Northern Learning)' that even the things of 'barbarian(夷狄)/ba dao(覇道)' should be learned if they are helpful to Chosŏn was gradually extended and inherited into the logic of 'Seohak(西學, western Learning)'. In the so-called ‘recognition of ba dao(覇道)’, it can be seen that the new discourse on the wang dao(王道) and the ba dao(覇道) is continuously intensifying until the turning point of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n connection with the theory of civilization and barbarism(華夷論).

      • KCI등재

        맹자(孟子)의 왕도론(王道論)과 화이(華夷)사상

        김상희(金相姬) 한국동양철학회 2008 동양철학 Vol.0 No.30

        이 글은 맹자 에 분명히 드러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화이(華夷)사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화이사상을 맹자 사상의 독립적인 부분으로 다루는 것이 아니라, 그의 중요 사상인 왕도론과의 상관성 아래에서 논하였다. 맹자는 인정에 의한 왕도론이 고대 제왕들의 정치방식이며, 그것이야말로 중화문화의 본질을 형성한다고 주장하여 이적의 문화와 대립시켰다. 맹자는 왕도론을 공문 정통의 이론으로 수립하기 위하여 화이사상을 도입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그의 당초 염원인 민생구제의 길에서 현실적 굴절을 나타냈다. 이 글은 맹자의 왕도론과 화이사상이 정치-문화적으로 동아사아의 중화주의의 서막을 열었음을 밝혔다. 这本个研究着虽在孟子显明写而轻看的华夷思想。这不是关于孟子另外部分, 论考和他的主要思想王道论的相关。孟子主张依靠仁政的王道论是以中华文明成为�古 代君王的政治,它竟然成中华文明本质,对モ立华夷文化。他为了树立孔儒正统原理 输入华夷思想,在这场局面现形救济人民瓦解。这本说明孟子的王道论和华夷思想 打开政治文化的东亚中华主义幕启。

      • KCI등재

        신라 王都 성립의 전후

        박성현(Park, Sung-hyun) 한국고대사학회 202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7

        본고에서는 ‘도시’라는 관점에서 신라 왕도의 형성 과정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고고학에서는 궁성으로서의 토성과 왕묘로서의 고총이 등장하는 것을 도성의 형성으로 보기도 했지만, 그것을 본격적인 도성으로 규정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지방에도 토성과 고총이라고 하는 동일한 구조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이것을 초기 왕도로 규정하고, 당시 신라의 고총 체계를 단순한 간접 지배가 아닌 지배층이 분거하는 형태로 이해하였다. 즉 지방을 제압할 수 있는 힘이 부족해서 간접 지배를 한 것이 아니라, 지방의 산물을 중앙으로 가져올 수 있는 제반 시설과 체계가 미비했기 때문에 지배층이 지방에 분거하면서 경제적 기반을 확보했다는 것이다. 초기 왕도는 주변 지역을 배후지로 하는 중심지에 불과했고, 영역 내 그것을 모방한 여러 읍들 가운데 가장 우월한 공간이었지만 유일하거나 압도적인 곳은 아니었다. 마립간 역시 내외의 여러 干들 중에 으뜸이 되는 존재였는데, 여러 지방의 산물중 일부를 공납으로 받아들임으로써 그와 그의 왕도는 점차 초월적인 지위를 획득하게 되었던 것이다. 5세기 말에 이르면 마립간, 왕권의 성장과 함께 왕도의 공간이 정비되고, 또 지방 지배체계가 갖추어지게 되었다. 궁성의 정비와 함께 양부와 사량부의 경계 방면에 부정형 시가지가 형성되었으며, 주요 시설이 갖추어져 지방과는 구별되는 경관이 연출되었다. 또 지방을 연결하는 도로가 정비되고 도사가 파견되는 등 지방의 산물을 중앙으로 가져올 수 있는 제반 시설과 체계가 마련되었다. 지방 고총의 쇠퇴는 묘제의 변화와 함께 직접 지배의 진전에 따라 지방 세력이 몰락한 것으로 이해되었지만, 분거에서 집주로의 전환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기존에는 지배층이 지방의 근거지에 거주하는 것이 유리했다면, 왕권의 성장과 수취 체계의 확립에 따라 왕도에 거주하는 것이 유리해졌다는 것이다. 녹읍으로 상징되는 왕도 지배층 읍락 지배의 연원은 바로 5세기 이들의 지방 분거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신라 왕도는 전 영역을 배후지로 하여 농업 생산물을 끌어들이면서 지배층이 전문 관료로서 거주하고 소비하는 도시가 되었다. 이것은 바로 본격적인 왕도의 성립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In this paper, the process of formation of Silla’s capital, Wangdo (王都) was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city’. In archeological researches, the appearance of an earthen fortress as royal palace and high-mound tombs as royal tombs has been regarded as the formation of the city, but there is a problem to define it as a full-fledged city. It is because the same structure, an earthen fortress and high-mound tombs, also appeared in the provinces. There are complexes of high-mound tombs in Silla’s main local bases. It is called high-mound tombs system. It has been understood as the existence of local indigenous forces who were controlled indirectly by the central. This paper identifies it as the distributed residence of the ruling class. Because of the lack of infrastructure and system that could bring local products to the center, they resided in the main local bases of the country. The early Wangdo was merely the center of the surrounding area, and was the most superior of all the towns that imitated it, but not the only or overwhelming space. Maripgan (麻立干), the early king of Silla was also the foremost among the many chiefs inside and out, and by accepting some of the products of the provinces as tribute, he and his Wangdo gradually gained a transcendental status. By the end of the 5th century, the space of Wangdo was reorganized, and the local governance system was established with the growth of royal authority. Along with the maintenance of the palace, an irregular street network wa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Yangbu (梁部) and Saryangbu (沙梁部), the two main districts of the central Silla, and the main facilities were provided to create a landscape that is distinct from the provinces. In addition, the roads to the provinces were installed and the officials called Dosa (道使) were dispatched. The infrastructures and systems established to bring local products to the center. The decline of high-mound tombs has been understood as the fall of the local forces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direct domination, but it is reasonable to see it as a transition from distributed residence to collective. In the past, the ruling class had the advantage of living in rural areas, but it became more advantageous to live in Wangdo as royal authority grew and the collecting system established. Then, Silla’s Wangdo became the city where the ruling class lives and consumes as a professional bureaucracy, attracting agricultural products with the whole territory as hinterland. This meant the establishment of the fullfledged Wangdo.

      • 당대 ‘천하(天下)’와 ‘왕도(王道)’의 공공성 사고 비교

        장콘쟝(張崑將)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2 다산과현대 Vol.4,5 No.-

        전통 동아시아의 ‘천하’와 ‘왕도’ 개념은 일종의 공공성 이상에 관한 담론이었음은 물론, 최근 들어 대만과 중국의 지식인들이 깊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주제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중국 대륙과 대만에서 열띠게 전개되고 있는 ‘천하’와 ‘왕도’ 공공성 담론에 관해 탐구 및 비교를 진행해보고, 앞으로의 발전 전망을 타진해봄과 동시에, ‘동아시아’라는 시각을 통해 ‘천하’와 ‘왕도’ 담론의 부족한 부분을 논평하고 또 보충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왕도 문화를 추진하고 있는 주체는 여전히 대만이며, 중국 대륙은 비교적 피동적 자세를 취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왕도 포럼이 대만의 재계와 학계, 그리고 정계의 상호 협력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밝히었다. 대만에서는 재계, 학계, 정계가 주체가 되어 4차례의 왕도포럼을 진행한 바 있는데, 특히 재계에서 추동하고 있는 왕도에는 명확한 이론과 실천적 전략이 존재한다. 즉, 대만은 왕도의 공공성 담론에 비교적 집중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는 당대 ‘천하’ 담론을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비교적 완전한 이론 체계를 갖추고 있다고 평가되는 중국의 학자 짜오띵양(趙汀陽)의 ‘천하’ 철학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하였는데, 짜오띵양이 제기한 ‘천하체계’의 세계 철학이 지나치게 이상적인 나머지 결점이 적지 않다는 사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짜오띵양은 묵가(墨家) 방식처럼 ‘위에서 아래로’ 진행되는 세계 제도를 먼저 창조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는데, 이는 무척이나 엘리트주의적인 영도철학이라 말할 수 있다. 이 점에 착안하여 필자는 짜오띵양이 ‘아래에서 위로’ 향하는 이성적 공민(公民)의 자각(自覺) 의식과 비이성적 공민의 무자각(無自覺)에 관한 문제를 놓친 것이 아닌가? 하고 의문을 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 ‘동아시아’적 시각을 통해 ‘천하’와 ‘왕도’ 개념이 과거 동아시아 유학자들 사이에 실재 존재하던 공통의 신념이었음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천하’와 ‘왕도’의 가치 이념을 ‘세계’로 미루어나가고자 하는 지금, 동아시아 지역 내부에 우선 하나의 ‘동아시아적’ 공통의식이 형성되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1920~30년대 조선(朝鮮)과 만주국(滿洲國)의 왕도유학(王道儒學)

        우경섭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0 No.22

        20세기 전반 조선·일본·만주국의 유학계에서는 유학의 핵심 담론 중 하나인 王道에 관한 논의가 두드러진 현상이 주목된다.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의 일부 유학자들은 왕도론의 민본주의와 역성혁명론을 빌어 일본의 조선 병합을 정당화하였다. 그들은 새 왕조에 협력했던 은나라 재상 伊尹의 가르침을 명분으로 삼아, 새로운 시대의 ‘왕도’를 개창한 일제에 협력하였다. 그리고 왕도의 실현을 내세우며 孔子의 위패를 모신 文廟의 春秋釋奠을 주관하고 孝子·烈婦의 현창 사업을 진행하는 일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특히 총독부와 더불어 전국 각지의 효자를 표창하는 일에 앞장섰는데, 이같은 국가적 차원의 孝에 대한 강조는 곧 ‘忠孝’라는 새로운 이데올로기의 창출로 이어졌다. 충신과 동일한 맥락에서 추앙되는 효자는 곧 ‘忠良孝順한 臣民’이었고, 이는 궁극적으로 忠이라는 이념으로 상징되는 국가주의적 정치체제를 뒷받침하는 인간형이었다. 한편 1932년 일본 관동군에 의해 세워진 만주국은 ‘王道樂土’를 건국이념으로 내세웠다. 만주국 통치자들은 ‘왕도의 새 시대’가 열렸음을 자찬하며, 국가주의적 유교이념의 확립에 노력을 기울였다. 만주국 정부는 1920년대 조선의 친일 유림들과 유사하게 문묘제사 및 효자·열부에 대한 표창을 주도하며, ‘왕도정치의 실현’을 새로운 시대의 지도이념으로 제시하였다. 왕도에 대한 만주국의 집착은 단순한 정치 구호에 불과한 것은 아니었다. 만주국의 왕도론은 무엇보다 서양의 ‘覇道’에 대비되는 동아시아적 문명을 상징하는 수사로 간주되었다. 또한 왕도론의 ‘行王’의 논리는 일제 강점의 현실을 합리화할 뿐 아니라 각종 복지정책의 시행을 통하여 만주국의 또다른 건국이념인 五族協和 이데올로기를 뒷받침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왕도론의 ‘一匡天下’의 논리는 왕도의 실현을 핑계삼아 대륙을 차지하려는 일본의 침략정책을 합리화하는데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었다. Among the Confucian Studies circles in colonial Korea, Japan, and Manchukuo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t is noteworthy that there were many discourses on Wangdao[王道: King's Way or Kingly Way] which is one of the core elements of confucian ideas. In the 1920s, Korean Confucian scholars justified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while they used the democracy and dynastic revolution theory, the ideas that came from the Wangdao thesis. Having used the teachings of Yiyin[伊尹] in the Yin[殷] Dynasty who cooperated with a new dynasty, they were able to collaborate with the Japanese who opened the 'Wangdao' for a new era. While putting forward the realization of the Wangdao, they were interested not only in holding the semiannual services in honor of the Confucian shrines, but also in prizing dutiful sons and virtuous women in whole Korea. The state emphasis on filial piety led up to the invention of new ideology 'royalty and filial piety[忠孝].' The dutiful son who was praised as equal to royal subjects, was in reality a 'royal and subservient subjects,' and was a human type symbolizing royalty which supported the state system. On the other hand, Manchukuo which was established in 1932, put forward the Wangdao as a founding ideology. Manchukuo rulers self-praised the 'new era of the Wangdao' and made efforts to establish state confucianism. Manchukuo government, like Korean pro-Japanese Confucian elites, initiated a project to hold a worship at Confucian Shrines and to prize dutiful sons and virtuous women, the project that the government used for a leading ideology in a new era. The Manchukuo's Wangdao was not simply political slogan since it was accepted as a rhetoric symbolizing East Asian civilization in contrast to western ‘politics by force[覇道].' Moreover, Wangdao not only justified the Japanese occupation of Manchu but also supported another founding ideology, 'the Harmony of Five tribe[五族協和]' with the enforcement of welfare policies. And 'a relief for the whole country[一匡天下]' logic was also able to justify the Japanese aggressive policy over the China Proper with the pretext of the realization of the Wangdao.

      • KCI등재

        고구려 王都, 王畿의 형성 과정과 성격

        조영광(Jo, Yeong-Kwang)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1

        고구려 수도권의 구조는 왕성, 왕도, 왕기라는 위계성을 가진 공간으로 구성되었다. 즉 왕도는 왕의 거소인 왕성을 중심으로 한 핵심 지역이고, 왕기는 그 배후 지역을 뜻한다. 집안 도읍기 고구려의 왕도는 왕성인 국내성을 중심으로 대체로 집안 분지 일대로 상정할 수 있으며, 방위명의 5부는 중부인 왕성(국내성)을 비롯하여 그 주변에 설정된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의 왕기는 중국, 신라와 마찬가지로 왕도에 대한 효율적 방어를 목적으로 설치된 군사적 성격이 강한 지역이었다. 대체로 오늘날 집안시 전역에 해당하는 지역이었다. 고구려에서 왕도, 왕기가 성립되었던 가장 중요한 정치 사회적 기반과 계기는 部의 형성이다. 대무신왕은 국왕의 직할지를 계루부로 편제하는 것을 시작으로 기존 고구려 연맹체에 복속되어 있던 소국을 那部로 재편하면서 국왕 중심의 원심력을 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國邑보다 강력하고 규모가 큰 왕도와 왕기를 형성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나부와 방위부는 일정 시기 동안 공존하였고, 나부가 상존할 때 수도의 행정 구획으로서 왕도에 설치된 것으로 파악되는 방위부는 ‘評’이 집미사로 붙어 불리었을 가능성이 크다. 고유어 評이 고대 사회에서 수도나 큰 도시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음은 여러 기록과 용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고구려에서 수도 혹은 큰 도시와 관련하여 評의 음역에 속하는 平壤이 여러 차례 등장하는 것 역시 이에서 기인한 바이다. 그리고 고구려 초, 중기 수도인 집안의 입지적 특성이나 고구려의 전통에 입각해 볼 때 방위부는 절대적 방위명인 동, 서, 남, 북보다는 지형지물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방위명인 전, 후, 좌, 우의 명칭을 달고 있었을 개연성이 크다. The capital city and its environs in Goguryeo (高句麗 Koguryo) was the hierarchical space consisted of the royal castle (王城), capital (王都), and capital region (王畿). The capital meant the core area that had the royal castle in the middle. The capital region meant the periphery areas surrounding it. When the capital was located in the Ji’an basin area (modern Ji’an County, Jilin Province, China), its royal castle was Gungnae Fortress (國內城). In the capital city, there were five provinces called ‘Bu (部)’ including the royal castle, the central district. They were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all their names presented the directions. The capital region was the area that had strong military purposes to protect the capital effectively like China and Silla. The most important political and social base of constructing the capital and its region was the development of Bu. In order to do this, King Daemusin (大武神) implemented several policy such as reorganizing the district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king into Gyerubu (桂婁部), one of the five lineages of Goguryeo, and governing through a centralized system named ‘Nabu (那部)’ by reforming small countries under the control of Goguryeo. He paved the way to construct more powerful and larger capital and its region than provincial capitals, Gukeup (國邑). It is possible that the Bu which was built inside of the capital named with a ‘Pyong (評)’ suffix during the time that Nabu(tribe) and Bu(district) coexisted. The old Korean ‘Pyong’ was originally used as a term for a capital or a large city in ancient society. The word ‘Pyongyang (平壤)’ also appeared several times regarding a capital or a large city in Goguryeo. Because it belonged to the range of ‘Pyong’.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 of Ji’an and tradition of Goguryeo, it would be a high probability that the names of Bu presented the relative directions (前 front, 後 back, 左 left, 右 right) according to geographic features, not the absolute directions (東 east, 西 west, 南 south, 北 north).

      • KCI등재

        古都 益山의 眞正性에 관한 多角的 分析

        이도학(Lee, Do Hack)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10 馬韓, 百濟文化 Vol.19 No.-

        日本京都의 한 사찰에서 발견된『觀世音應驗記』라는 佛書는 백제 무왕대의 천도 사실을 알려 주었다. 무왕이 미륵신앙과 관련한 장대한 이상을 구현하기 위해 천도한 곳을 枳慕蜜地라고 하였다. 지모밀지는 현재의 전라북 도 益山을 가리킨다. 枳慕 의 地名語尾格인 蜜地 는 글자의 뜻으로 볼 때 樂土나 福地개념을 연상시킨다. 즉 고유지명을 新天地개념의 枳慕樂土 의 뜻을 담아 표기한 것이다. 여기에는 익산 新王都에 대한 이상향적인 염 원이 담겨 있었다. 『觀世音應驗記』기록을 軸으로 하여 익산이 王都였던 기록을 샅샅이 찾아 보았다. 그 결과『삼국사기』에도 백 제 무왕이 익산을 王都로 삼았던 중요한 단서가 숨겨져 있음을 발견하였다. 익산에서 開國 했다는 기록과 副首 都를 가리키는 別都 기록 역시 익산이 王都였음을 시사하고 있다. 중국 사서인『구당서』에서 그 왕이 거처하는 곳은 東과 西쪽 2개 城이다 는 기사도 부여와 익산이라는 2곳의 王都를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아울러 백제 말기에 왕궁이 사찰로 바뀌었다는 주장을 검증한 결과 수용하기 어렵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익산과 관련해 백제의 別宮說·離宮說·行宮說·別都說·미완의 王都說(천도 계획설) 등을 검증한 결 과 諸說의 오류를 죄다 밝힐 수 있었다. 이 밖에 익산 지역에 전해져 온 후조선 준왕의 南來地와 관련한 전승도 기실 백제 王都였던데서 遡及·投射된 逆傳承임을 밝혔다. 이 사실 또한 왕도로서의 익산이 지닌 由緖와 역사적 비중을 일깨워준다. 결국 기록에 대한 입체적인 그리고 交叉確認을 통해 익산 지역은 백제의 王都였다는 진정성이 입증되었다. GwanSeEumEungHeomGi, a Buddhist book found in a Buddhist temple in Kyoto, Japan, released the fact that the capital of Baekje was moved to another city during the era of KingMu(武王). JiMoMilJi(枳慕蜜地) was called the place to which the King Mu moved the capital to realize his great idea for Matireya Buddhism. Seeing the meaning of MilJi(蜜地) used as the ending of JiMo(枳慕), the word JiMoMilJi seems to reflect the concept of Paradise or Fortune Place. That is, such place s own name was written with the meaning of JiMo, the Paradise that was the concept of new world. This name embraced the wish for the new Utopia capital. I searched out every record that I could access to based on the GwanSeEumEungHeomGi, which showed the clue that Iksan was a capital city. As a result, I found that SamGukSaGi also hided another important clue that the King Mu of Baekje used Iksan as a capital city. I found also the record that he established the state and the word ByeolDo(別都) meaning another capital, which all indicated that Iksan was a capital city. The words, The king stays in two fortresses in the east and the west each , shown in GuDangSeo, a Chinese history book, could be translated also into the meaning of two capital cities in Buyeo and Iksan each. In the relation to Iksan, in addition, I investigated also such theories as theory of ByeolGung(別宮), theory of EeGung, theory of HaengGung, theory of ByeolDo(別都) and theory of unfinished capital(theory of planning to move the capital). As a result, I revealed all the faults of such theories. I looked into also the transmitted tale scattered inIksan area that Iksan was the place which the King Jun of the Old Joseon finally got in his path toward the south. I, thereby, also revealed that such transmitted tale was an oppositely transmitted tale that retroactively reflected the fact that Iksan was a capital city of Baekje. This finding also gets us enlightened of the meaning and historical weight of Iksan as a capital city. Such dimensional investigation and cross verification, in conclusion, have proven the genuinity of the fact that Iksan area was a capital of Baekje.

      • KCI등재

        대가야 왕도와 방어체계에 대한 시론

        최재현(Choi, Jae Hyun) 영남고고학회 2021 嶺南考古學 Vol.- No.89

        대가야의 중심지인 대가야읍내에서 그 동안 실시된 표본조사부터 발굴조사 자료를 검토하여 대가야의 궁성과 주변취락의 분포양상에 대하여 살피고, 궁성을 중심으로 한 대가야 왕도의 범위를 설정해 보았다. 왕도 내에서 도시구획 양상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공간구획 양상-생활공간, 사후공간(고분군), 통치공간(궁성과 대피성), 특수공간(종교 등)-은유추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고령지역 일대에 분포해 있는 성곽과 고분군의 관계를 통해 왕도를 보호하기 위한 성곽의 배치양상을 검토하여 변경을 방어한 성곽과 왕도와 그 배후지를 방어한 성곽으로 용도를 구분해 보았다. 협의의 개념에서 대가야 왕도는 현재의 대가야읍내, 즉 주산과 대가천 사이의 지산리·연조리·쾌빈리·고아리 일대가 되겠지만, 고령 쾌빈리 433-11번지에서 확인된 남-북 방향의 인공수로가 왕도를 궁극적으로 보호하는 시설로 추정된다. 광의의 개념으로서 왕도는 안림천 수계의 쌍림면과 합천군 묘산·가야·야로면 일대의 토기 및 철 생산유적과 관련된 배후지 그리고 북편으로는 성주 성산가야와의 경계지역, 동편으로는 낙동강을 잇는 국경 방어지역이 직할지로서 그범주에 포함할 수 있다. 대가야 왕도의 범위와 취락 형태는 향후 지속적인 조사자료 확보 및 검토가 필요하고, 대가야 고지 내 산성과 고분군에 대한 세부적인 시기 구분, 산성과 주변 분포 고분군의 실질적인 관련성 등에 대해서도 학술조사와 같은 보다 세밀한검토가 필요하다. 아울러 문헌 및 고대사 연구 자료에 대한 검토도 충분히 반영할 필요가 있다. From the sample survey conducted in Daegaya-eup, the center of Daegaya, the excavation survey data were reviewed to examine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Daegaya s palaces and surrounding settlements, and the scope of the capital of Daegaya s kingdom was established around the fortress. Although the pattern of urban compartmentalization was not confirmed within the capital of the kingdom, it was possible to infer the aspect of spatial compartmentalization-living space, post-mortem space (ancient tombs), ruling space (a royal palace and refuge palace), and special space (religious areas, etc.)- from the capital of the kingdom. Based on this, we examined the layout of the fortress to protect the capital of the kingdom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tresses and the ancient tombs distributed around the Goryeong area, and divided the use into the fortress walls that defended the change and the fortresses behind it. As the narrow concept, the capital of a Daegaya kingdom assumed that the current Daegaya town, namely Jisan-ri, Yeonjori, Hyebin-ri, and Goari area between Jusan-ri and Daegacheon, was a facility that ultimately protects the capital of the kingdom, an artificial waterway in the direction of the south and north, which was identified at 433-11 Sinbin-ri, Goryeong. As a broad concept, it is believed that the capital of the kingdom could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Yangrim-myeon in Anrimcheon Stream, behind the earthenware and iron production sites in Myosan, Gaya, and Yaro-myeon areas in Hapcheon-gun, and on the north, the border area connecting Seongsan Gaya in Seongju, and the border defense area connecting the Nakdonggang River. The scope and settlement of the capital of Daegaya kingdom need to be secured and reviewed continuously in the future, and the detailed timing classification of the fortress and ancient tombs in Daegaya Highlands, and the practical relevance of the ancient tombs aroundthe fortress and surrounding areas need to be reviewed through academic survey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thorough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ncient history research materials to reflect them more comprehensively.

      • KCI등재

        맹자의 이상정치론 ― 입론의 근거와 실현의 공효를 중심으로

        최정묵 대동철학회 2007 大同哲學 Vol.40 No.-

        논문은 맹자가 이상정치로 제시하고 있는 왕도정치의 입론의 근거와 실현 방법 및 공효를 중심으로 정리한 것이다. 왕도는 힘에 의한 지배라는 패도와는 상반된 의미를 지닌 것으로서, 인간의 본성에 내재한 仁義의 정치적 실현을 의미한다. 이러한 왕도정치의 궁극적 목적은 백성이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드는 것이다. 살기 좋은 세상이란 일차적으로 생존의 문제가 해결된 상태이며, 나아가 도덕적 본성을 온전히 실현할 수 있음을 말한다. 이러하기 때문에 맹자는 왕도정치의 기본으로서 반드시 해결해야할 선결문제를 경제 곧 민생의 문제라고 말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민생의 문제는 왕도정치의 시작에 불과하며, 이것의 진정한 성취는 백성 개개인 모두가 도덕적 본성에 대한 자각과 온전한 실현이 이루질 때만이 가능하다. 맹자는 왕도정치 실현의 필연성을 ‘남의 고통을 차마 견디지 못하는 마음(不忍人之心)’, 나아가 도덕적 본성의 소유 및 백성이 근본이라는 민본정신을 토대로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이것을 실현하기 위한 제도 등에 대해서 나름의 견해를 제시한다. 오늘날의 관점으로 본다면 다소 미흡하다고 말할 수밖에 없는 것들이지만, 이 속에는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자하는 처절한 고민이 담겨져 있다고 하는 점에서 그 가치는 충분하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왕도정치의 실현에 대한 맹자의 외침은, 시대적 사명에 대한 자각과 진리 실현을 위한 투철한 실천정신의 표출이다. 맹자가 제시하고 있는 제도적 장치들이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의 문제들을 완전하게 해결하지는 못한다. 그러나 적어도 그토록 강조하였던 治者가 지녀야할 근본자세와 책임에 대한 논의들은, 오늘에도 유효한 것이라 아니할 수 없다. 치자는 자기 자신이나 소속된 정당의 이익만을 위해 정책을 펴서는 아니 된다. 왜냐하면 부모가 모든 자식을 사랑하듯, 모든 백성을 사랑해야하는 것이 치자의 역할이기 때문이다.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을 갖고 있지 않으면서 정치를 하고자하는 사람은 가장 큰 죄인이 될 수 있음을 상기해야 한다. 이것이 왕도정치 즉 仁政이라는 말이 담고 있는 가장 큰 의미일 것이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framework that conceptualized by the bases and method of Mencius's ideal politic theory. In contrast with military government. the righteous government means the politic realization of benevolence and rightness which are immanent on the human nature. The ultimate aim of the righteous government is to make the welfare society. It means the solution of the problem of livelihood and the achievement of morality. Therefore, Mencius insists that the very important problem is public welfare. The problem of people's livelihood is a beginning of the righteous government. The completion of the righteous government is the self-awakening and accomplishment of morality. Mencius insists that the righteous government is based on empathy and morality. Although, we can not agree entirely Mencius' viewpoint of the righteous government, his effort of realization of the righteous government should be evaluated highly. Mencius’ cry for the righteous government reflects his consciousness of the contemporary mission for and the practical spirit of truth. Although his suggestions may not satisfactorily address all the problems of our times, his ideas about the fundamental attitudes and responsibilities of political leaders can be of value even today. For instance, the political leader must not solely focus on his personal benefits or partisan politics because he must love the people as a parents would love his children. Politicians must remember that it is criminal to engage in governing without truly caring about those who are governed.

      • KCI등재

        맹자와 순자 왕패론의 상대(相對)的 논리와 상보(相補)的 논리

        엄연석 ( Yeon Seok Eo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6 No.-

        본고는 선진시대 유학사상을 대표하는 맹자와 순자의 철학에서 王道覇道論의 특성을 그들의 人性論을 중심으로 하는 철학적 관점에 근거하여 해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맹자와 순자가 왕도와 패도를 각각 相對的 관점과 相補的 관점으로 바라보는 근거와 이유를 중점적으로 규명하였다. 맹자가 왕도와 패도를 대립적 시각으로 보는 이면에는 인간의 도덕적 본성과 이목구비의 감각적 욕구 중 하나는 적극적으로 실현해야 하는 이상적 지향물인 반면, 다른 하나는 규제하고 제어해야 하는 대상으로 인식하는 인성론이 놓여 있다. 반면 순자의 인성론은 내적인 도덕적 본성에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仁義와 같은 도덕적 표준에 근거하되 心의 사려능력을 통하여 구성되는 구체적 외적 규범과 제도에 중점이 있다. 그에 있어서 도덕적 진리의 표준은 내부의 본성에 있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제도와 규범에 있다. 맹자에서 왕도가 내적인 도덕성에 근거하는 것이고, 패도가 감각적인 욕구를 추구하는 것으로 대립적인 것이라면, 순자에서 왕도와 패도는 모두 仁義法正이나 제도를 믿음직하게 시행하는 것과 결합된다는 점에서 연속적이다. 맹자와 순자의 인성론의 차이는 그들이 왕도와 패도정치를 각각 상대적 관점과 상보적 관점으로 구별하는 이론적 차이를 낳았다. 맹자는 기본적으로 왕도와 패도를 대립적 통치방법론으로 간주하였기 때문에, 패도는 부국강병과 이익을 추구하는 정치로서 도덕적 이상을 지향하는 왕도와 공존할 수 없는 통치방법이었다. 반면 순자는 왕도정치를 가장 이상적인 통치방법으로 보면서도, 패도정치 또한 현실에서 수용할만한 정치로 간주하였다. 그는 왕도정치를 仁義와 禮를 근본으로 삼는 통치로 규정하는 반면, 패도 정치는 내적인 인의를 실현하지 못한다고 해도 최소한의 믿음을 가지게 하는 정치로 설명하였다. 요컨대, 맹자와 순자가 제시한 왕도정치와 패도정치의 상호 범주적 의미의 차이는 그들의 人性論과 함께 그들 각각의 시대적 상황에 대한 이론적 인식의 차이에 말미암은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This essay intended to clarify a characteristic of theory of the rule of right[王道] and the rule of might[覇道] in Mencius and Xunzi, who represented Confucianism of pre-Qin Dynasty by succeeding to Confucius` thought on the basis of the philosophical point of view focusing treatise of human nature. Especially, this thesis mainly investigated reason and grounds on which Mencius and Xunzi regarded the rule of right and the rule of might as oppositive viewpoint and complementary one respectively. In the hidden side of an attitude from which Mencius regarded the rule of right and the rule of might as oppositive viewpoint, treatise of human nature through which he recognizes ethical human nature and sensuous desire as right oppositeness is lying. Whereas Xunzi`s treatise of human nature not put emphasis on the internal and ethical human nature, but underlines concrete and outer norms and institutions composed through moral standards and consideration capacity of mind. In other words, standard of moral truth in him does not lie in the inner human nature, but the outer institution and norms. In this reason, while in Mencius the rule of right is based on the inner morality and the rule of might pursues sensuous desires, the rule of right and the rule of might in Xunzi is continuous in that they all are connected with solid practice of humanity, justice, law and rightness or outer institutions. As this, difference of treatise of human nature between Mencius and Xunzi caused theoretical distinction recognizing differentially government of the rule of right and the rule of might as mutual oppositive viewpoint or complementary one each other. Because Mencius fundamentally considered the rule of right and the rule of might as a methodology of mutual oppositive government, the rule of might as rule pursuing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and profit couldn`t coexist with the rule of right aiming at moral ideal. Whereas, Xunzi viewed governance of the rule of right as the most ideal method of rule on the one hand, he also regarded one of the rule of might as a system acceptable practically. He defined the rule of right as governance built on benevolence, righteousness and propriety, while the rule of might was regulated with reference to system giving one outer confidence than inner humanity and justice at least. In the eyes like this, it can be concluded that difference of the mutual categorical meaning of the rule of right and the rule of might which Mencius and Xunzi suggested arises from perception gap about periodical circumstances with their treatise of human n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