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정조(貞操) 담론의 근대적 형성과 법제화 -1945년 이전 조일(朝日) 양국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봉석 ( Bong Seok Ha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科學 Vol.0 No.55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정조(貞操)’라는 말은 보통 전통으로 간주되지만 실은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서 재구성된 새로운 기호 체계이다. 역사적으로 고대 중국 이래 『열녀전』 등을 통해 형성된 정절 담론은 중국 명청 시대 이래 동아시아 사회로 확산되었다. 조선은 국가수립 후 성리학적국가의 운영의 상징으로 삼강을 선택했고, 정절은 그 중요한 구성요소였다. 식민지 시기에 이르러 정조 담론은 서구와 일본의 영향을 받아 재구성되었다. 먼저 메이지 시기 전후 일본에서 정조는 중국과 조선에서 사용되던 정절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1910년대를 거치면서 수신교육과 성욕학, 그리고 일부일처제의 논리, 자유연애담론과의 결합 속에가정 내에 위치하게 되었다. 이제 정조담론은 처녀 대 ‘매소부(賣笑婦)’의 구도를 구분하는 기준점이 되는 것은 물론 일부일처제 하 양처현모의 중요한 담론으로 기능하게 되었다. 한편으로 식민지 조선에서는 종래 정절 담론의 관습이었던 재가금지와 내외 위에 일본으로부터 유입된 자유연애, 일부일처제, 성욕학, 수신교육등의 영향을 받아 정조 담론의 재구성을 보게 되었다. 1930년대에 이르면 식민지 조선에서의 정조 담론은 일본으로부터 도입했던 정조담론과 정절의 내용들을 결합한 형태의 담론이 되었다. 한편으로 이렇게 형성된 정조담론은 민법과 형법의 보호법익의 대상이 되면서 추상적인 담론 수준을 벗어나 법리적으로 그 구체성을 확보하게 되었다. 민법상 정조라는 것은권리이자 의무로 기능했고, 호주제를 유지하는 중요한 기둥으로 작동했다. 또한 형법상 정조는 간통, 강간, 간음의 중요한 죄와 함께 기능했다. 이 과정에서 정조는 그 보호법익으로서 여성이라는 주체의 인격권을 보호하기 보다는 여성주체의 신체일부에 과도하게 밀착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이렇게 담론적 법적으로 재구성된 정조담론은 해방이후 1953년 신형법의 ‘정조에 관한 죄’로 이어지면서 해방 이후 정조담론으로 그 역사성을 이어가게 되었다. Even though the term “chastity” that we use today is usually accepted as a tradition-bound word, it is a new sign system that has been reproduced from the historical and cultural perspective. Since the ancient times of China, the discourses of “chastity” had been established through various channels including the publication of Biographies of Exemplary Women (列女傳) and were later spread to East Asia in general after the Ming and Qing dynasty. Right after its foundation, the Joseon dynasty chose the three cardinal principles in human relations (三綱; or the three bonds) as the symbol of state management under the principle of Neo-Confucianism as state ideology. “Chastity” was a major element of the three cardinal principl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discourses of “chastity” were reorganized through the influence of the West and Japan. First of all, the term “chastity” was used in Japan during the Meiji Restoration (明治維新, Meiji Ishin) period in the same meaning as used in China and Joseon. In the 1910s, however, the term was confined to the space of “home” amidst a mixture of a variety of concepts such as cultivation of mind and body, the study of sexual desires, the idea of monogamy, and the discourses of free love. Thus, the discourses of “chastity” not only became the criterion of judgment in the “virgin vs. harlot” frame but also functioned as the major discourses of “good wife and wise mother” under the system of monogamy. Meanwhile, the colonized Joseon has to witness the reorganization of the “chastity” discourses because its time-honored discourses of “chastity” - prohibition of remarriage - was influenced by free love, monogamy, the study of sexual desires, cultivation of mind and body imported from Japan. In the 1930s, the discourses of “chastity” in the colonized Joseon developed into the discourses that combined the discourses of “chastity” and the ideas of fidelity imported from Japan. Meanwhile, the newly formed discourses of “chastity” became the object of the benefit and protection in both civil and criminal laws, thereby acquiring its concrete qualities free from the abstract discourses. In terms of civil law, “chastity” functioned as both the right and the duty of citizens and as a major pillar of maintaining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In terms of criminal law, losing one’s “chastity” functioned as a major crime along with extramarital relations, rape, and adultery. In the process, “chastity” was inclined to stick to the part of the female subject’s body rather than helping protect the personality of the female subject who could receive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Besides, such discourses of “chastity” that had been legalized in terms of discourses was concerned with a crime related to “chastity” in the new criminal law in 1953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 It continued to retain its historicity as the discourses of “chastity” after Korea’s liberation.

      • KCI등재

        18세기 서울 편중 인사(人事)와 정조(正祖)의 지역(地域) 인재 선발 -정조대(正祖代) 인사(人事) 관련 전교문(傳敎文)을 중심으로

        박경남 ( Kyeong Nam Park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1 大東文化硏究 Vol.76 No.-

        18세기에는 조선 사회의 각 부문에서 서울과 지방간 격차가 심화되고 있었다. 경제적으로 발달된 서울을 중심으로 새로운 사고와 문화가 발생하기도 했지만, 다른 한편 지방민을 소외시키는 사회구조가 갈수록 공고해져 가기도 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역사적 배경 하에 소외된 지역 문인들을 적극적으로 등용하여 인사상의 지역차별 구조를 혁파하고자 했던 정조의 일련의 정책을 살펴보았다. 일부 京華世族 가문에 집중되어가는 人事의 서울 편중을 극복하고자하는 노력은 이미 숙종대부터 있어왔지만, 그러한 노력이 실제적인 결실을 맺은 것은 정조대에 이르러서였다. 정조는 서울 지역 문인들의 주요한 관직 진출 통로로 이용되어왔던 庭試의 비중을 축소하는 한편, 外方 別試 및 賓興科를 적극 활용하여 소외된 지역 문인들의 문과 급제 비율을 높였다. 또한 賢者를 등용하는 관리 등용의 원칙을 지키면서, 先代에 通淸의 자격을 얻었던 지역 인사의 후손을 淸要職에 임명함으로써 門閥이 낮음을 내세워 지방선비들의 청요직 등용을 반대하는 논리를 효과적으로 물리칠 수 있었다. 정조의 이러한 노력으로 인해 인재 등용의 지역 간 격차는 정조대에 와서 눈에 띨 정도로 완화될 수 있었다. ``도시``와 ``지방``간 격차가 날로 심화되어 가는 지금, 古典을 창조적으로 變用했던 正祖의 지혜와 반대자를 설득하는 소통의 정치력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청된다고 하겠다. This essay is to analyze Jungjo 正祖`s several policies for selecting the local talentd people. Since the late Chosun 朝鮮 dynasty, more and more the government official had been come from the seoul, the capital of Chosun. Thus the socio-economic and cultural gap between seoul and other regions in Chosun had seriously increased. Jungjo 正祖 refined several policy to solve this problem. First, He reduced the importance of the Jungsi 庭試, that is an irregular test holding in palace in Seoul, when have a happy event in the state. So the local people have little acquaintance with it and did not engage it. Instead of that, He carryed out a special examination for local student of Oibang Byeolsi 外方 別試 more than ever before. Second, He created a new exam of Binhenggua 賓興科, that is a system recommending a good and smart student lived in the country, but he changed it appositely to the case and selected them for himself not through recommendation but by examination. Third, after a series of tests, he chose local talented people of good family first in order to prevent a knot of established bureaucrat from disconfirming new face come from local and country. By implement a series of this new measures, Jungjo 正祖 reduced regional disparity and could seek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regions without any particular confrict. I hope to learn it from Jungjo 正祖 how to transform and use a classical scholarship, and to be able to solve our own regional disparity problems.

      • KCI등재

        정조의 사대부 인식과 정치철학적 입장 연구

        백민정 ( Min Jeong Baek ) 한국실학학회 2010 한국실학연구 Vol.0 No.20

        본 논문은 정조의 정치철학적 관점을 당시 사대부들의 정치적 입장과 비교하면서 조명한 글이다. 현실군주로서 군도(君道)는 물론이려니와 사도(師道)까지 함께 자임한 정조의 학문적·정치적 입장을 좀 더 분명히 구명하기 위해 규장각의 초계문신으로 선발된 소장층 학자들과 제왕학 수업의 주체였던 경연관들의 견해를 비교 고찰했고, 현실 사대부에 대한 정조의 비판적 입장도 함께 살펴보았다. 정조는 당시 노론계 사대부들이 훈고학·고증학· 명청대 패관소품체에 탐닉하고 남인 소장층이 서학과 천주교 등 이단사설에 심취하는 현상을 목도하면서 자신이 사습(士習)과 문풍(文風)을 바로잡아 교정하는 주체가 되고자 했다. 이렇게 사도를 통해 학문적 수장을 자처한 정조는 더 나아가 정치적 일인자로서 군사(君師)의 책무를 함께 주장하게 된다. 정조의 군사론은 영조시대 이래 진행된 정치적 탕평책의 연장선상에서 이해 가능한 것이다. 주자학의 관점에 따르면 총명예지(聰明叡智)를 갖춘 모든 사람이 자신의 본성[性]을 실현해 누구나 군사가 될 수 있고 인륜도덕의 표준이라고 할 수 있는 황극(皇極)을 세우는 ``건극``의 주체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정조는 이런 책무가 현실적으로 군왕인 본인에게만 맡겨질 수 있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왕과 사대부 혹은 군신 간의 위계질서를 엄격히 하면서 군왕의 역할은 단순히 개인수양의 차원에만 머물 수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것은 기존 연구에서도 지적되었듯이 사대부들의 무위정치론 혹은 재상위임론을 공박하면서 왕권강화를 위한 유위정치의 이념으로 드러났다. 한편 정조의 정치철학을 총결하는 성왕론 혹은 황극 정치론은 결국 그 논리적 토대를 『서경』 「홍범」에 대한 해석에서 찾았다. 「홍범」 4장의 ``오황극(五皇極)``, 10장의 ``유황작극(惟皇作極)``을 통해 오직 군주만이 황극을 세운다는 이념을 강조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정조도 원리적으로 인정할 수밖에 없었겠지만 군사가 되고 황극에 이르는 것은 군왕뿐 아니라 모든 사대부에게도 가능한 일이었다. 인격연마와 학문적 고취를 통해 누구라도 이 과업을 실현할 수 있다고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바로 이 지점에서 세습군주로서의 정조는 도덕과 정치 혹은 학문과 정치 사이의 현실적 괴리를 목도하고, 사대부의 자기수양과 왕의 정치권한 사이에 넘을 수 없는 간극이 있다는 점을 주장하게 된다. 하지만 이렇게 주자학적 세계관을 인정하면서도 군왕의 고유한 영역을 정립하려 했던 정조의 입장은 노소론계뿐만 아니라 정약용 같은 남인학자로부터도 강한 반발을 샀다. 정약용 역시 정조의 규장각 설립과 초계문신제를 강하게 비판했던 것이다. 다산은 『상서고훈』 「홍범」 해석에서도 ``오황극``의 군주 자리뿐만 아니라 군주의 정치력을 견제할 만한 ``천[상제]``의 영역을 함께 강조했고, 이를 통해 자신의 정치적 입장이 절대왕정에 복무하려는 것이 아니었음을 내비췄다. 이처럼 사대부 지식인과 정조의 정치철학적 입장 사이에 드러나 간극을 보여주면서, 18세기 정조시대의 학술 토론들이 정치·사회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는지 그 역사적 의의를 고찰했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examine Jongjo`s politico-philosophical viewpoints against Sadaebu(士大夫)`s. Actually he was famous for his acknowledgement of Gundo(君道) and Sado(師道). In order to illuminate politico-philosophical viewpoints we should compare his standpoints with Chogyemunsin(抄啓文臣)`s and Gyongyongwan(經筵官)`s. Occasionally Jongjo expressed his sharp criticism of the heretic behavior of Sadaebu at that time. So he acknowledged the supporter of Gundo and Sado. Historically Jongjo`s Gunsalon(君師論), namely his view of king and teacher was inherited from Yongjo`s Tangpyongcheak(蕩平策). At that time Sadaebu insisted on Muwijongchi無爲政治, Jongjo should argue the idea of Yuwijongchi有爲政治. In order to contend his political idea, he attached importance on the text of Hongbom(洪範) chapter in Sogyong(書經). Interestingly in many points his strategy was resonant with Jongyagyong(丁若鏞)`s.

      • KCI등재

        박지원 <삼종형수록대부금성위겸오위도총부도총관증시충희공묘지명(三從兄綏祿大夫錦城尉兼五衛都摠府都摠管贈諡忠僖公墓誌銘)>의 구조와 서술전략 : 정조 <錦城尉朴明源神道碑銘幷序>와의 비교를 통해

        정순희(Sun hee Jeong)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3 No.-

        박지원은 정조의 명에 따라 을 쓴다. 그 묘지명은 정조의 와 비지류의 구성 요소, 구성의 전개 과정, 어휘에서 상당히 비슷하다. 두 작품은 주제상으로도 서로 긴밀하게 연결된다. 에서는 박명원이 어떻게 '충희(忠僖)'로운 삶을 살았는지를 보여주고, 에서는 박명원이 정조에게 어떤 '은인(恩人)'인지를 보여준다. 이때 '충희'와 '은인(恩人)'은 각각 신하와 임금의 입장에서 박명원을 규정한 말일 뿐, 박명원을 중심으로 보면 같은 말이다. 에서 박명원은 할아버지(영조(英祖))로 인해 아버지(사도세자)를 잃은 정조의 '슬픔'을 깊이 슬퍼하고, 사도세자의 묘 이장을 실현시킴으로써 정조의 '슬픔'과 실천적으로 연대한다. 그 '슬픔'과 연대의 과정이 바로 '충희'와 '은인'으로 명명된 박명원의 삶이라는 말이다. 박지원은 을 통해 박명원과 정조 사이의 이해와 연대를 보여주며, 동시에 과 박명원을 사이에 두고 박지원 자신과 정조 간의 이해와 연대도 함께 보여준다. 박지원은 또한 과 박명원을 사이에 두고 정조와 대립하기도 한다. 에서 정조는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박명원의 저작이라고 밝힌다. 이것은 '문체반정(文體反正)'을 염두에 둔 정조의 도발이다. 이에 대해 박지원은 박명원의 에서 자신의 8촌형 박명원에게 글쓰는 재주는 없었노라고 밝히며 정조와 대립한다. 박명원은 박지원과 정조에게 각각 다르게, 결정적인 영향을 준 사람이다. 박지원과 정조는'문체반정'과 관련된 대표적 신하와 임금으로서, 자의식 강한 '작가(作家)'로서, 박명원의 행적을 담는 비지류 산문을 통해 연대하고 대립하는 것이다. Ji-won Park inscribes Myojimyeong for Myeong-won Park, which iSamjonghyeongSurokdaebuGeumseongwiGyeomohwidochonggwanJeungsichungheegongMyojimyeong>. It is similar to of King Jeongjo as well as composition, development process and word of Bijiryu. Two works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the topic. Myeong-won Park shows us how to live a faithful and happy life in Myojimyeong, and gratitude for King Jeongjo as a savior. Specifically, 'ChungHee' and 'savior' are words used to define Park Myeong-won from vassal and king, but they are the same words based on Myeong-won Park. In Myojimyeong, Myeong-wonPark deeply grieved for King Jeongjo who lost his father(Prince Sado), and practically band together with King Jeongjo's sadness by moving the grave of Prince Sado. Solidarity with the sadness is Park Myeong-won's life designated as 'ChungHee' and 'savior'. Ji-won Park shows understanding and solidarity between Myeong-won Park and King Jeongjo as well as between he and King Jeongjo. Furthermore, Park Ji-won sometimes conflicts with King Jeongjo between Myojimyeong and Myeong-won Park. In Shindobimyeong, King Jeongjo determines that 『YeolhaIlgi』 is Myeong-won Park's writing. This is a provocation of King Jeongjo based on Munchebanjeong. Ji-won Park is opposed to King Jeongjo on this because he determines that Myeong-won Park, a third cousin, does not have a talent in writing in Myojimyeong. Myeong-won Park is a person who influence differently to Ji-won Park and King Jeongjo. Ji-won Park and King Jeongjo are a vassal represent and king related with Munchebanjeong and self-conscious writers. In addition, they band together and conflict through Bijiryu prose which includes track of Myeong-won Park.

      • KCI등재

        正祖의 聯句詩 창작과 그 의미 : 『弘齋全書』에 수록된 작품을 중심으로

        이미진 대동한문학회 2014 大東漢文學 Vol.41 No.-

        본고는 조선후기 문예군주로 칭해졌던 正祖가 그의 신하들과 창작한 聯句詩를 대상으로, 그 문학적 특징과 연구시 창작이 지니는 정치·사회·문화적 의미를 찾는 데에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홍재전서』에 수록 된 17제 18수의 연구시 가운데 창작의 시·공간적인 배경 및 작품 내용을 중심으로 크게 경치감상, 왕릉참배, 文武臣의 試取, 서적 간행 등을 기념하기 위해 지어진 작품을 선별한 뒤, 해당 작품에 대한 보다 직접적이면서 구체적인 창작배경을 살펴보기 위해 實錄을 비롯한 『承政院日記』·『日省錄』 등 관련 史料를 참고하여 당시 정조가 제신들과 연구시를 지었던 상황을 확인하였다. 정조는 따스한 봄날의 경치에 감발되어 閣臣 및 그들의 家人을 조정으로 초청하여 함께 연구를 짓는가 하면, 光陵을 참배하고 돌아오는 길에 대신 및 각신들에게 연구를 명하였고, 抄啓文臣의 親試와 武臣의 試射과정에서 그들과 연구를 짓는가하면, 또 『인서록』 간행을 기념하는 잔치에 모인 100여명의 신하들과 거대 장편의 연구시를 지어 이 날의 경사를 기록하기도 했다. 정조의 제신들과의 잦은 연구는 詩軸 혹은 규장각 현판으로 제작되어 훗날 각신들에게 경계와 모범을 보이기도 하는 등 정조는 詩作을 일종의 정치술로 이용하여 신하의 감정을 살피고 그들과 생각을 교류함과 동시에 신하의 文才를 확인하고 자신의 우월한 詩才를 우회적으로 드러내는 방편으로 삼기도 했다. 정조와 제신간에 이루어진 연구시는 여타 연구시와 비교하여 그 창작과정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특기할 만 하다. 주인격인 정조가 국왕의 신분이었던 만큼 그의 문집인 『홍재전서』외에 實錄·『承政院日記』·『日省錄』 등 다양한 史料를 통해 당시 연구시가 창작되었던 구체적인 상황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의 대부분 연구시는 100구 이상의 거대 장편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分聯방식을 구사하였다. 그중에서도 대개 정조가 첫 구와 마지막 구를 먼저 완성한 뒤 제신들이 그 안을 채우거나, 혹은 정조가 첫 구를 이루면 그 뒤는 모두 제신들이 이어나가는 방식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정조의 연구시는 즉석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신하 입장에서는 자신의 민첩한 詩才와 순간적인 문학적 機智를 발현하는 데 제격이었다. 작품의 문학적 완성도를 차치하고서라도 지어놓은 싯구에다가 맥락과 詩想을 연결시켜 싯구를 이어나가는 詩作방식은 참여원들의 사고와 筆力이 걸맞을 때라야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정조의 군신간 연구시 창작은 사회·문화·정치적으로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먼저 조선후기 군신간의 지적 교류의 수단으로 연구시가 활용되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연구시의 작품성은 다소 떨어질지라도 신하 개인의 생각을 한 구 혹은 두 구에 압축시킴으로써 군신 상하간의 정을 통하고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는 데 적극 활용하였다. 또한 그의 연구시는 詩로 쓴 공적 기록물로써의 의미를 지닌다. 정조는 국가의 비교적 큰 행사에서 제신들에게 연구를 명하여 기쁜 이 날을 기념하고 훗날 이 날을 기억하기 위해 연구시로써 기록을 남기도록 하였다. 수창에 참여한 인물의 관직명과 성명을 싯구 아래 함께 작성토록 하여 당시 행사의 규모와 참여인원, 그리고 행사의 개최목적을 짐작할 수 있어 정조의 연구시는 일종의 역사적 기록물로써의 성격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정조는 몇몇의 특정 인물을 연구시 창작에 반복적으로 참여시켰는데, 이를 통해 정조는 당대의 필수적인 문학행위로써 자신의 정치적 행위를 합리화시키고 자신의 세력을 확충시켰던 사실을 엿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Yeongusi(聯句詩: a poem with parallelism) created by King Jongjo who was called as "literary monarch" in the late Choson Dynasty and his subjects and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meaning of Yeongusi.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selects the four poems designed to commemorate specifically, appreciation of landscape, visiting of royal tomb, examination and recruitment of civil magistrates and military officers, and publication of books from the 18 poems listed in 『HongJaeJeonSeo』 depending on spatiotemporal background and content of a poem. After then, to look at more direct and specific background of creation of the selected poems, this study identifies the circumstances that King Jongjo created Yeongusi with his subjects with reference to historical sources such as 『Seungjeongwonilgi』 and 『Ilseongnok(Records of Daily Reflections)』 as well as Shilu(Veritable Records). Jongjo sometimes invited government officials of Kyujanggak and his family members to royal court and created Yeongusi with them when he was fascinated by a warm spring day and other times when taking a short rest on his way back to royal court after visiting Gwangneung Royal Tomb of King Sejo, presented the first and last phrase of a poem that he conceived and ordered his ministers and governmental officials of Kyujanggak to study it. His subjects created Yeongusi in Qinshi (examination in the presence of a king) or demonstrative archery, or created a full-length Yeongusi in the celebration of 『Inseorok』 with his more than 100 subjects to record the happy occasion to celebrate. Yeongusi created between King Jongjo and his subjects is distinct from the other Yeongusi in that it reveal its creation process. As Jongjo who deserved to be the main creator of Yeongusi was the king of a country, his collection of works like HongJaeJeonSeo, Shilu, 『Seungjeongwonilgi』, 『Ilseongnok』, many other historical sources that revealed the thensituations from which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Yeongusi can be discovered. In addition, most of his Yeongusi are full-length poems with more than 100 phrases, which seems to enable various ways of separating verses. Furthermore, Jongjo's Yeongusi was spontaneous and so good for his subjects to show their poetic genius and express their literary wits. Setting aside the degree of completion, adding one's own contexts and poetical ideas to the poetic phrases already created can lead to smooth connection of such phrases only if participating poets have enough ideas and forces of written style correspondingly. Such a creation of Jongjo's Yeongusi between he and his subjects implies various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meanings. First, Yeongusi was used as a means to exchange knowledge between king and subject in the late Chosun Dynasty. Although the literary value of Yeongusi might be rather low, such a form of compressing individual subjects' thoughts into one or two phrase(s) was used positively to become intimate with king and express their opinions. Furthermore, his Yeongusi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n official record in the form of poem. Jongjo ordered his subjects to create Yeongusi in a relatively big event in the country to commemorate the happy day and commanded recording it in the form of Yeongusi to remember the day later. Jongjo also had some figures participate in creating Yeongusi in a repeated way. By doing so, Jongjo made his political act rationalized as an essential literary activity of his time to expand his force. So Yeongusi is a good basis for understanding the social situation at the time of Jongjo.

      • KCI등재

        정조의 경학 연구 방법에 관한 규견

        심경호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05 泰東古典硏究 Vol.21 No.-

        정조(이름 : 李算, 1752~1800)는 학자이기를 지향한 군주로서, '우문일념(右文一念)'으로 문치(文治)에 주력하여 여러 문화정책을 추진하였으며, 그 정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규장각을 핵심기관으로 삼았다. 이미 즉위년의 교서(敎書)에서 정조는 국가의 급무로 숭유중도(崇儒重道)를 내세웠고, 그 내함은 '위정벽사(衛正闢邪)'라고 강조하였다. 그것은 직접적으로는 주자학 옹호를 위해 이단을 변정하는 작업을 뜻하였다. 조선후기의 한학은 독자적인 문헌학을 확립하여, 전근대 동아시아의 보편적 가치 준거였던경전을 재해석하여 새로운 의리지학(義理之學)을 확립하고자 다각도로 모색하였다. 특히 정조 연간에는 중국에서 발전도상에 있던 고거지학(考據之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정조의 경학연구는 내부전통과 외부영향의 두 요소를 결합하여 매우 독특한 방법론을 형성하였다. 조선후기 경학이 채용한 문헌학적 방법론에 대한 메타-크리틱을 하기 위해서는 정조 및 조선 조정의 경학연구방법론에 대한 일정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고는 그러한 검토의 일환으로 정조가 편찬한 경서 관련 서적과 규장각 경서강의를 중심으로 경학연구방법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The study of Jingshu (經書) in Cho-sun dynasty showed a characteristic development which was the reflection of paradigm and epistemology at that time. Especially, the books of Jingshu editied by Jung-Jo(正祖), and the lectures of Jingshu at Kyujang-Gak, led by Jung-Jo(正祖) and Choge-Munsin(招啓文臣), had a significance, in that it synthesized traditional opinions and motivated a new approach on Jingshu. The scholars who were participated in the lectures also represented and developed their own epistemology in the fields of commentaries. Futhermore, the lectures had another respect. Jung-Jo took measures to strengthen the right of his throne ; therefore the lecture of Jingshu was one of that policies, in that it could control the field of studies.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research which was influenced by revision on commentaries of Yuan·Ming·Ching was developed. Otherwise, interpretation of implicit meaning and the relation with the real world, which is so called 'studies of Yili(義理之學)', was advanced. Lectures of Jingshu which was published by Kyujang-Gak was born in these context. Jung-Jo gave lectures and asked questions like distinction between Xinchu(新注)' and Jiuchu(舊注)', and etc., He made an emphasis on opinion of Ju-Hi(朱熹) and criticised on that of recent scholar just like Maoqiling(毛奇齡). The Books of Jingshu interpretation and Books Lectures of Jingshu published by Jung-Jo(正祖) did not issue the completely new interpretation which could substitute that for Xinchu ; however it was based on the large examinations of various opinions, and it also prepared a new academical tendency of methodology.

      • KCI등재

        정조대왕의 효행과 콘텐츠로의 재현

        유형동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23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42

        This article examines filial piety, an important ritual held by King Jeongjo, the 22nd k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original behavior of Hyeonryungwon(顯隆園) as an embodiment of the aforementioned filial piety, and examines the current local cultural content, “King Jeongjo Neunghaengcha”.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explore the cultural identity formed by Suwon-si and Hwaseong-si in Gyeonggi-do. As is well known, King Jeongjo is known as the king who led the last revival of Joseon. Many of his political activities make him considered a modern figure beyond the limits of the times. What is interesting, however, is that “hyo(filial duty, 孝)” lies on the basis of such actions. King Jeongjo lost his father in the “Limohwa Incident(壬午禍變)”. One of the things he focused on after he ascended the throne was to reinstate his father, Crown Prince Sado. The result was the construction of Mars. The tomb of Crown Prince Sado, who built a new city and moved near it, was upgraded to Hyeonryungwon (Yungneung, 隆陵). King Jeongjo visited Hyeonryungwon, the tomb of Crown Prince Sado, thirteen times. One of the most notable of them is the a visit to a Royal Tombs in 1795. At this time, a visit to a grave wore the outer cover of his mother, Hyegyeonggung Hong's 60th birthday party, but it was also dedicated to his father, Crown Prince Sado, who was the same age as Hyegyeonggung Hong. In addition, the shouted hurrah at the scene can also be said to have a symbolic meaning of the apostle's reinstatement. In fact, it is common to view King Jeongjo's expedition and the construction of Hwaseong Fortress as a political choice. However, what is important is that filial piety exists on this basis. Furthermore, currently, Suwon-si and Hwaseong-si consist of one of the local identities implied in local cultural contents. In particular, Hwaseong City held the “Jeongjo Hyohaeng Cultural Festival” in 1997 to commemorate the 200th anniversary of Hwaseong's construction. Furthermore, it has been renamed the “Jeongjo Hyo Cultural Festival”, and “Jeongjo King Neunghaengcha”, which reproduces visits to Royal Tombs, a symbol of Jeongjo’s filial piety, and has become a key program. Many citizens participate in this event and reproduce the meaning of filial piety that King Jeongjo wanted to realize. Suwon-si and Hwaseong-si, which inherited Hwaseong Fortress, Hyeonryungwon (Hyeonneung), and Geonneung(建陵) Royal Tomb, which are the heritages left by King Jeongjo, are inheriting the spirit of King Jeongjo by developing local cultural contents. It is possible to make a cognitive transformation on the establishment of local culture and local identity based on historical heritage. Another noteworthy thing is that the power of content sometimes requires a change in perception of the region, as shown in the cases of Suwon and Hwaseong. Other old local governments collaborate based on common cultural assets and build cultural identity from them, showing that regional and regional ties are possible. There is no boundary between cultural heritage, especially such intangible heritag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is point and secure a wider cultural perspective. 이 글은 조선 22대 왕인 정조가 지니고 있었던 중요한 의식인 효, 그리고 효의 구현으로서의 을묘년 현륭원 원행을 검토하고 현재 이를 바탕으로 구성된 지역문화콘텐츠인 ‘정조대왕능행차’를 살펴본 것이다. 이를 통해서 경기도 수원시·화성시가 구성한 문화정체성을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주지하다시피 정조는 조선의 마지막 부흥기를 이끌었던 왕으로 알려져 있다. 그가 행한 많은 정치적 행위들은 그를 시대적 한계를 벗어난 근대적인 인물로 여겨지게 하기도 한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그 같은 행위의 바탕에 ‘효’가 자리한다는 점이다. 정조는 壬午禍變으로 아버지를 잃었다. 그가 왕위에 오른 뒤 주력했던 일 가운데 하나가 바로 아버지인 사도세자를 復權시키는 일이었다. 그 결과가 화성의 건설이었다. 새로 도시를 조성하고 그 근처로 옮긴 사도세자의 무덤을 현륭원(융릉)으로 격상시켰다. 정조는 사도세자의 무덤인 현륭원에 13번 다녀갔다. 그 중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1795년에 있었던 원행이다. 이때 원행은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의 회갑잔치라는 외피를 쓰고 있지만, 혜경궁 홍씨와 동갑인 아버지 사도세자에게 바치는 것이기도 했다. 또 현장에서 있었던 산호 역시 사도세자의 복권이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기실 정조의 원행과 화성의 건설은 정치적인 선택으로 보는 시각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그 기반에 존재하는 것이 효라는 점이다. 그리고 현재 수원시와 화성시는 이를 지역문화콘텐츠에 내포된 지역정체성의 하나로 구성하고 있다. 특히 화성시는 1997년 화성 축성 200주년을 기념하며 ‘정조효행문화제’를 개최했다. 이 축제는 ‘정조효문화제’로 이름을 바꾸어 진행하고 있으며, 정조 효행의 상징인 원행을 재현한 ‘정조대왕능행차’가 핵심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았다. 이 행사에 많은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며 정조가 구현하고자 했던 효의 의미를 재생산하고 있다. 정조가 남긴 유산인 화성과 현륭원(융릉), 건릉을 물려받은 수원시와 화성시는 지역문화콘텐츠를 개발하여 정조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다. 수원시와 화성시의 사례에서 보듯이 콘텐츠의 힘은 때로 지역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요구한다. 두 지자체가 공동의 문화자산을 바탕으로 협업하고 그에서 문화정체성을 구축하면서 지역과 지역의 유대와 연대가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문화유산 특히 무형유산에는 경계가 없다. 이러한 점을 주지하고 보다 넓은 시각에서의 문화적 시야를 확보해 나아가야 한다.

      • KCI등재

        正祖의 壯勇營 운영과 정치적 구상

        이방섭 조선시대사학회 2010 朝鮮時代史學報 Vol.53 No.-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conditions of operation of Jangyong-yeong built in the 12th reign of King Jeongjo(1778) and analyze the installation process, organization, and human relations, the financial size, and changes. King Jeongjo(正祖) was 22nd king of Joseon Dynasty and rose to the throne despite his father, Prince Sado's(思悼世子) death. In the early period, Noron had the political power and he was strongly related to Prince Sado’s death. King Jeongjo tried to appease Noron(老論) to unify political community and to secure military power by seizing Ohgunyoung(五軍營) and military post. In addition, he installed the military camp Jangyongyoung and concentrated military power centered on Ohgunyoung to Jangyongyoung to lay the foundation for strengthening loyal authority. Jangyongyoung had no big difference from Ohgunyoung in terms of organization and system, but King Jeongjo intervened actively in human relations of Jangyongyoung unlike Ohgunyoung. King Jeongjo selected his most trustworthy people for major public positions including the general of Jangyongyoung. Moreover, he considered the ability and intention of a well-qualified person instead of the existing selection process or principals. Accordingly, the authority of Jangyongyoung was promoted by Ohgunyoung, and Jangyongyoung took a great portion in the promotion process for a general of military camp. Meanwhile, King Jeongjo continued to increase military strength of Jangyongyoung besides president’s bodyguards and urban defense. In addition, he tried to operate Jangyongyoung as a crack troop by supplying books about martial arts to promote Jangyongyoung soldiers’ marital arts. However, it was hard to operate Jangyongyoung smoothly only with Naetang(內帑), which was royal finance, according to King Jeongjo’s intention. Therefore, King Jeongjo appointed Jung Min-si(鄭民始) as a Jejo(high-ranking official 提調) or a head of Jangyongyoung to give him responsibility in finance of Jangyongyoung. Jung Min-si fulfilled insufficient supplies of Jangyongyoung from other organizations to prepare financial foundation stably. The financial size of Jangyongyoung was increasing as the reign of King Jeongjo went on, but the operation of exchanging grain imposed a severely heavy tax burden. The accumulated finance of Jangyongyoung was intensively used in Ulmyowonhaeng(乙卯園幸), formation of Hyeonryungwon(顯隆園), and especially Hwaseongseongyeok(華城城役). Jangyongyoung was operated to both prepare military force and ensure finance as an important foundation to realize King Jeongjo’s political construction. 본 논문은 정조 12년(1788년)에 설치된 장용영의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로서 장용영의 설치 과정과 조직 및 인사, 그리고 재정 규모와 변화를 분석한 글이다. 정조는 조선의 22대 국왕으로 생부인 사도세자의 죽음이라는 위기를 딛고 왕위에 올랐다. 즉위 초기의 정치 주도권은 노론에게 있었는데, 노론은 사도세자의 죽음에 관여했던 정치 세력이었다. 정조는 노론을 회유하여 정치권을 통합하고, 오군영과 군권을 장악하여 군사력을 확보하려 하였다. 또 친위군영인 장용영을 설치하고, 오군영에 편중되어 있던 군권을 장용영에 집중시킴으로써 왕권강화의 발판으로 삼았다. 장용영은 조직ㆍ체제 등에서 오군영과 유사한 모습이었지만, 오군영과 달리 인사문제에 정조가 적극적으로 개입한 점이 특징이었다. 정조는 장용영 대장을 비롯한 주요 관직에 자신이 가장 신임하는 인물을 선발하는 편이었다. 그리고 기존의 관리 선발 과정이나 원칙보다는 적임자의 능력이나 자신의 의향을 중요시하였다. 이에 따라 장용영의 위상은 오군영의 반열로 격상되었고, 군영대장으로의 승진 과정에서 차지하는 중요성도 높아졌다. 한편, 정조는 국왕호위와 도성수비 병력 외에도 장용영 병력을 지속적으로 늘려갔다. 또한 무예서 보급 등을 통해 장용영 병사들의 무예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장용영을 정예로운 군영으로 운영하려고 노력했다. 한편, 장용영은 정조의 말처럼 왕실재정인 내탕만으로 원활히 운영되기는 어려웠다. 이에 정조는 정민시를 장용영 제조와 대장으로 임명하여 장용영 재정을 확보하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했다. 정민시는 장용영의 부족물자를 다른 기구들로부터 이속시킴으로써 재정기반을 안정적으로 마련하였다. 장용영의 재정 규모는 정조 집권 후기로 갈수록 증대되는 양상을 보였는데, 환곡 등의 운영이 증가하면서 백성들에 대한 조세수탈을 가중시키기도 했다. 이렇게 축적된 장용영의 재정은 을묘원행, 현륭원 조성, 특히 화성성역에 집중적으로 이용되었다. 장용영은 정조의 정치적 구상의 실현 위한 중요한 디딤돌로서 군사력 마련과 재정 확충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위해 운영된 것이었다.

      • KCI등재후보

        漢高祖에 대한 正祖의 인식 고찰 -사마천의 『史記』를 중심으로-

        이시연 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2023 인문학술 Vol.11 No.-

        정조는 『사기』에 등장하는 다양한 인물 중 한고조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였다. 이에 본고는 한고조와 관련하여 정조의 역사 인식을 도출하기 위해연구를 진행하였다. 정조의 한고조 인식은 사마천이나 조선유학자들의 인식 양상과는 두드러지는 차별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사마천과 조선유학자들의 한고조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먼저 사마천의 경우에는 한고조의 인간됨을 비교적 객관적으로 서술하고자 하였다. 다만 사마천은 한고조가 통일왕조인 한나라를 건국하였다는 점에 대해 큰 의의를 두었다. 사마천에게 한나라는 하은주의 정신을 계승한 국가였기에 한을 세운 고조에게 특별한 의미를 부여할 수밖에없었다. 한편 조선에서는 시기에 관계없이 『사기』가 널리 두루 읽혔다. 그러나 18세기 이전만 해도 한고조의 주변 인물에 대한 작품이 두드러졌으며, 18세기 성호 이익에 이르러서야 본격적으로 한고조에 대한 관심 역시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정조시기인 18세기 후반에 이르러서 위백규, 성대중, 윤기, 서형수 등 다양한 인물들이 한고조를 대상으로 한 작품을 창작하였으며 전반적으로 한고조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그러나 그들이 무조건 한고조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은 아니었고, 한고조가 겪은일화를 중심으로 고조의 행위를 비판적으로 평가하여 보다 객관적 시각을유지하려는 시선이 두드러졌다. 한고조의 잘못이나 한계를 꼬집는 내용도나타났다. 반면 정조의 경우 한고조를 현명하고 어진 인품의 소유자라 상정하고상당히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그가 세운 한나라와 그를 도와 나라를 세운 장량, 한신, 소하 등에 대해서도 높이 평가하였다. 또한 정조는 한고조에 자신을 투영하여 수원 화성에서 자신의 위업을 한고조에 비유하여 노래하기도 하였고, 한고조가 신하와 형성한 관계를 참고하여 자신의 통치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한고조에 대한정조의 시선은 그의 역사 인식과도 무관하지 않다. 정조는 사마천과 같이한고조가 통일왕조 한나라를 세웠다는데 큰 의의를 두었으며 그에 그치지 않고 고조의 신하 장량, 소하, 한신 등을 모두 높이 평가하였다. 그리고 전국을 통일한 후 미앙궁에서 대풍가를 부른 한고조처럼 화성을 축조한 후 자신 또한 조선의 중흥을 이루었음을 시를 읊으며 드러내었다. 또한미앙궁 건설이 소하가 아닌 한고조의 설계였다는 해석에 동의함으로써 화성 축조 역시 신하들의 의견에 의한 것이 아니라 정조 자신의 계획이었음을 드러내었다. 이처럼 정조는 한고조의 지혜와 용인술 등을 높이 평가하고 자신의 행보를 한고조의 그것에 투영함으로써 스스로의 위상을 높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일반적으로 고조의 업적이라 여겨지지 않는 행위에 대해서도사실은 한고조의 의도나 전략에 의한 결과였다는 해석을 보임으로써 한고조를 더 현명한 인물로 묘사함으로써 그를 닮은 자신 역시 행위 저변에 깊은 의도를 내포하고 있음을 선전하는 효과를 낳게 하였다. 본고에서 고찰한 바에 따르면 정조는 한고조와 같이 모범되는 인물을전범으로 삼아 통치술에 적용하는데 그치지 않고 보다 적극적인 해석을취하였다. 정조는 한고조를 높이고 자신을 그와 닮은 인물로 묘사함으로써 스스로의 가치를 함께 높이는 전략을 취했다. 이러한 정조의 역사 인식은 그의 경세술에도 ... “Jeongjo(正祖) took a special interest in Hàn Gāozǔ(漢高祖) among the various figures depicted in 『historical record(史記)』. Consequent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Jeongjo(正祖)’s historical perception concerning Hàn Gāozǔ(漢高祖). Jeongjo(正祖)’s perception of Hàn Gāozǔ(漢高祖) had distinct differences from the perspectives of Sīmǎ Qiān(司馬遷)or Confucian scholars of the Joseon era. In this paper, while confirming this, the perceptions of Hàn Gāozǔ(漢高祖) by Sīmǎ Qiān(司馬遷) and the Confucian scholars were examined. Initially, Sīm ǎ Qiān(司馬遷)attempted a relatively objective description of Hàn Gāozǔ(漢高祖)’s humanity. However, Sīmǎ Qiān(司 馬遷)placed significant importance on Hàn Gāozǔ(漢高祖) founding the unified dynasty of Hana. To Sama Chun, Hana represented a nation inheriting the spirit of benevolence, thus attributing special significance to Gāozǔ, who established Han. Conversely, in Joseon, regardless of the era, 『historical record(史記)』 was widely read. However, before the 18th century, works concerning Hàn Gāozǔ(漢高祖)’s contemporaries were prominent, and it wasn’t until the late 18th century,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正祖), that a genuine interest in Hàn Gāozǔ(漢高 祖) began to rise. Particularly, various individuals, such as Wi Baek-gyu, Seong Dae-jung, Yun Gi, and Seo Hyeong-su, created works centered around Hàn Gāozǔ(漢高祖) and generally evaluated him positively. Yet, their evaluations weren’t unconditional; they critically assessed Gāozǔ’s actions based on the incidents he faced, aiming to maintain a more objective perspective. Instances highlighting Gāozǔ’s mistakes or limitations also surfaced. On the contrary, Jeongjo(正祖) regarded Hàn Gāozǔ(漢高祖) as a wise and virtuous individual, evaluating him quite positively. Moreover, he highly praised the Hana dynasty Gāozǔ established and esteemed Jang Ryang, Han Shin, and So Ha, who helped build the nation. Jeongjo(正祖) even projected himself onto Hàn Gāozǔ(漢高 祖), likening his own accomplishments at Suwon Hwaseong to those of Hàn Gāozǔ(漢高祖), singing songs to that effect. He sought to apply the relationships Hàn Gāozǔ(漢高祖) formed with his courtiers to his own governance. Jeongjo(正祖)’s perspective on Hàn Gāozǔ(漢高 祖) wasn’t detached from his historical perception. Like Sama Chun, Jeongjo(正祖) placed immense significance on Hàn Gāozǔ(漢高祖) founding the unified Hana dynasty. Additionally, he didn’t stop there; he elevated all of Gāozǔ’s subjects, such as Jang Ryang, So Ha, and Han Shin. After unifying the nation, Jeongjo(正祖) revealed his aspirations by likening himself to Hàn Gāozǔ(漢高祖), who sang the grand song at Mianung Palace, indicating his role in revitalizing Joseon. Furthermore, by concurring that the construction of Hwaseong was Hàn Gāozǔ(漢高 祖)’s design, Jeongjo(正祖) revealed that the fortress construction wasn’t solely due to his ministers’ opinions but was his own plan. In this manner, Jeongjo(正祖) elevated Hàn Gāozǔ(漢高祖)’s wisdom and strategies, projecting his own actions onto Gāozǔ’s, thus elevating his own status. Furthermore, by interpreting actions generally not considered part of Gāozǔ’s achievements as intentional results of Hàn Gāozǔ(漢高祖)’s strategy, Jeongjo(正祖) depicted him as a more astute figure, showcasing that he, resembling Gāozǔ, also harbored deep intentions behind his actions. According to the findings in this study, Jeongjo(正祖) didn’t merely apply exemplary figures like Hàn Gāozǔ(漢高祖) to his governance but took a more proactive interpretation. Jeongjo(正祖) raised Hàn Gāozǔ(漢高祖)’s stature and portrayed himself as a similar figure, thereby elevating his own worth. This historical perception of Jeongjo(正祖) was also...

      • KCI등재후보

        정조(正祖)의 장서인(藏書印) - 규장각 소장 조선본(朝鮮本)을 중심으로 -

        김영진,박철상,백승호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4 규장각 Vol.45 No.-

        정조는 조선시대 역대 임금 중에서 인장을 가장 애호했고, 다양한 인장을 사용한 임금이다. 본 논문에서는 장서인을 통해 정조의 인장에 대한 애호의 정도를 확인하고, 그의 독서 편력과 장서를 재구해 보았다. 정조가 조선본에 찍은 장서인은 71종이 확인되었다. 이를 인문의 내용에 따라 분류하면 별호인(別號印) 20종, 신분인(身分印) 25종, 재관인(齋館印) 6종, 수장인(收藏印) 7종, 감상인(鑑賞印) 1종 한문인(閑文印) 12종이다. 또 정조 장서인의 특징을 인문(印文), 장서인의 위치, 장서인의 사용 방법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정조는 민간의 사대부들과 다른 방식으로 인장을 사용하기를 원했고, 이러한 점은 그의 장서인의 특징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즉, 정조는 일반 사대부 장서인의 핵심인 성명인(姓名印)과 표자인(表字印)을 사용하지 않았다. 대신에 그는 헌호(軒號)를 새긴 인장과 자신이 세손, 임금임을 드러내는 인장을 주로 사용하였다. 또 조선시대 문인들의 장서인은 대부분 우측 하단의 광곽에 붙여 위로 찍어 올라간다. 그런데 정조의 장서인은 1~2행을 비워둔 채 2~3행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등극 후에는 우측 하단의 광곽에 붙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정조 장서인에 대한 조사는 정조 장서인의 표준을 확정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우선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정조 장서의 규모와 장서의 구성 현황을 살필 수 있다. 아울러 기존에 잘못 판독한 장서인을 바로잡을 수 있다. 그러한 점에서 본 연구의 조사 대상에 정조 장서의 전체가 포함되진 않았지만 향후 정조 장서인 연구에 초석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