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조시대 사상적 갈등과 문화의 추이

        유봉학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05 泰東古典硏究 Vol.21 No.-

        정조시대(正祖時代 1776년~1800년)는 격동의 시대였다. 조선의 전통적 질서가 동요하고 주자학이 지도이념으로서 한계를 드러내는 가운데 정치적 변화가 일어나고 외래 사상과 문화의 영향으로 전통 사장과 문화가 급격히 변화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정조시대 격동의 진원지는 서울사회, 그 중에서도 정조 조정이었다. 대도회지 서울과 인근 경기지역을 생활 근거지로 하였던 경화사족(京華士族) 지식인들은 조선사회의 새로운 주도세력으로 등장하였고, 이들이 제시한 새로운 정치론과 사상적 기준이 정조(正祖 1752~1800)에 의해 수용됨으로써 변화와 혁신이 가속화하였다. 정조는 경화사족 일각 청론사류(淸論士類)의 주장을 수용하여 사림정치론(士林政治論)과 의리탕평론(義理蕩平論)을 내세워 정치개혁을 추진하였다. 이런 가운데 정조의 후원을 받았던 일부 지식인들은 북벌론(北伐論) 대신 북학론(北學論)을 제기하면서 북학(北學)을 선도하였고, 일각에서는 서학(西學)을 넘어 서교(西敎, 천주교)까지도 받아들이면서 조선의 사상적 변화를 이끌게 된다. 이에 따라 정조시대 정계와 학계에는 변화와 혁신을 둘러싼 심각한 갈등이 야기되었다. 정조가 학풍(學風)과 문체(文體), 악풍(樂風)과 서체(書體)를 바로잡고자 고심 끝에 제기한 '반정론(反正論)'이나 연암 박지원의 '법고창신(法古創新)'론은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포괄적 대안이었다. 화성(華城)신도시를 위시하여 정조시대 문화 예술의 빛나는 성과물들은 이러한 과정에서 창출되게 된다. 이들 문화 유산의 내면에는 갈등을 극복하고자 하였던 당대인들의 다양한 지향성과 모색의 흔적은 물론 새 시대를 향한 역사 발전의 과정이 뚜렷이 각인되어 있다. 그러므로 정조시대 정치와 문화예술의 추이, 그리고 그 이면의 사상적 갈등과 극복의 노력은 200년 후 오늘 우리에게 시사하는바 크다. 다양한 정치세력의 갈등을 지양하는 방안과 신(新) 구(舊) 사상, 그리고 전통문화와 외래문화를 융합하여 사회 발전을 이루는 일은 정조시대 이래 지금까지 여전히 우리의 현안(懸案)이기 때문이다. 正祖時代(1776~1800)是激功的時代了。 因爲朝鮮的傳統秩序動搖, 朱子學以指導理念露出問題, 發生了政治上的變化, 傳統思想和文化受到外來思想和文化的影響急劇變化了。 正祖時代的激功開始在韓城, 特別是正祖的朝廷。 住在大城市韓城和京畿地域的京華士族知識分 子成爲朝鮮社會的新領導班子。他們提出的嶄新的政治理論和思想准則被正祖(1752~1800)采用了, 加速了變化和革新。 正祖采用京華士族之中淸論士類的意見, 主張士林政治論和義理蕩平論進行政治改革了。 在這樣的情況下, 有些受到正祖的后援的知識分子提出了北學論先導北學了。 有些人不但接受西學, 還是接受西學(天主敎)。 他們帶動了朝鮮思想上的變化。 因此, 正祖時代政治界和學術界上由于變化和革新發生了嚴重的矛盾。 正祖爲了糾正學風, 文體, 樂風, 書體考慮了很長時間, 然后才提出了'反正論'或燕岩朴趾源主張的'法古創新'論。 這就是解決這些問題的包括性的對策。 這樣, 首創了華城新城市和偉大的正祖時代文化藝術上的成果。 從文化遺産里面, 我們能看得出來人們爲了克服矛盾的志向, 摸索的痕迹和歷史發展的過程。 所以正祖時代政治和文化藝術趨向, 其里面內在的思想矛盾和克服提示200年以后的我們很多事情。 因爲從正祖時代以來到現在止揚政治勢力之間的矛盾的方案和融合新舊思想, 融合傳統文化和外來文化使社會發展的事情仍是我們的懸案。

      • KCI등재

        正祖의 聯句詩 창작과 그 의미 : 『弘齋全書』에 수록된 작품을 중심으로

        이미진 대동한문학회 2014 大東漢文學 Vol.41 No.-

        본고는 조선후기 문예군주로 칭해졌던 正祖가 그의 신하들과 창작한 聯句詩를 대상으로, 그 문학적 특징과 연구시 창작이 지니는 정치·사회·문화적 의미를 찾는 데에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홍재전서』에 수록 된 17제 18수의 연구시 가운데 창작의 시·공간적인 배경 및 작품 내용을 중심으로 크게 경치감상, 왕릉참배, 文武臣의 試取, 서적 간행 등을 기념하기 위해 지어진 작품을 선별한 뒤, 해당 작품에 대한 보다 직접적이면서 구체적인 창작배경을 살펴보기 위해 實錄을 비롯한 『承政院日記』·『日省錄』 등 관련 史料를 참고하여 당시 정조가 제신들과 연구시를 지었던 상황을 확인하였다. 정조는 따스한 봄날의 경치에 감발되어 閣臣 및 그들의 家人을 조정으로 초청하여 함께 연구를 짓는가 하면, 光陵을 참배하고 돌아오는 길에 대신 및 각신들에게 연구를 명하였고, 抄啓文臣의 親試와 武臣의 試射과정에서 그들과 연구를 짓는가하면, 또 『인서록』 간행을 기념하는 잔치에 모인 100여명의 신하들과 거대 장편의 연구시를 지어 이 날의 경사를 기록하기도 했다. 정조의 제신들과의 잦은 연구는 詩軸 혹은 규장각 현판으로 제작되어 훗날 각신들에게 경계와 모범을 보이기도 하는 등 정조는 詩作을 일종의 정치술로 이용하여 신하의 감정을 살피고 그들과 생각을 교류함과 동시에 신하의 文才를 확인하고 자신의 우월한 詩才를 우회적으로 드러내는 방편으로 삼기도 했다. 정조와 제신간에 이루어진 연구시는 여타 연구시와 비교하여 그 창작과정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특기할 만 하다. 주인격인 정조가 국왕의 신분이었던 만큼 그의 문집인 『홍재전서』외에 實錄·『承政院日記』·『日省錄』 등 다양한 史料를 통해 당시 연구시가 창작되었던 구체적인 상황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의 대부분 연구시는 100구 이상의 거대 장편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分聯방식을 구사하였다. 그중에서도 대개 정조가 첫 구와 마지막 구를 먼저 완성한 뒤 제신들이 그 안을 채우거나, 혹은 정조가 첫 구를 이루면 그 뒤는 모두 제신들이 이어나가는 방식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정조의 연구시는 즉석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신하 입장에서는 자신의 민첩한 詩才와 순간적인 문학적 機智를 발현하는 데 제격이었다. 작품의 문학적 완성도를 차치하고서라도 지어놓은 싯구에다가 맥락과 詩想을 연결시켜 싯구를 이어나가는 詩作방식은 참여원들의 사고와 筆力이 걸맞을 때라야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정조의 군신간 연구시 창작은 사회·문화·정치적으로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먼저 조선후기 군신간의 지적 교류의 수단으로 연구시가 활용되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연구시의 작품성은 다소 떨어질지라도 신하 개인의 생각을 한 구 혹은 두 구에 압축시킴으로써 군신 상하간의 정을 통하고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는 데 적극 활용하였다. 또한 그의 연구시는 詩로 쓴 공적 기록물로써의 의미를 지닌다. 정조는 국가의 비교적 큰 행사에서 제신들에게 연구를 명하여 기쁜 이 날을 기념하고 훗날 이 날을 기억하기 위해 연구시로써 기록을 남기도록 하였다. 수창에 참여한 인물의 관직명과 성명을 싯구 아래 함께 작성토록 하여 당시 행사의 규모와 참여인원, 그리고 행사의 개최목적을 짐작할 수 있어 정조의 연구시는 일종의 역사적 기록물로써의 성격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정조는 몇몇의 특정 인물을 연구시 창작에 반복적으로 참여시켰는데, 이를 통해 정조는 당대의 필수적인 문학행위로써 자신의 정치적 행위를 합리화시키고 자신의 세력을 확충시켰던 사실을 엿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Yeongusi(聯句詩: a poem with parallelism) created by King Jongjo who was called as "literary monarch" in the late Choson Dynasty and his subjects and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meaning of Yeongusi.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selects the four poems designed to commemorate specifically, appreciation of landscape, visiting of royal tomb, examination and recruitment of civil magistrates and military officers, and publication of books from the 18 poems listed in 『HongJaeJeonSeo』 depending on spatiotemporal background and content of a poem. After then, to look at more direct and specific background of creation of the selected poems, this study identifies the circumstances that King Jongjo created Yeongusi with his subjects with reference to historical sources such as 『Seungjeongwonilgi』 and 『Ilseongnok(Records of Daily Reflections)』 as well as Shilu(Veritable Records). Jongjo sometimes invited government officials of Kyujanggak and his family members to royal court and created Yeongusi with them when he was fascinated by a warm spring day and other times when taking a short rest on his way back to royal court after visiting Gwangneung Royal Tomb of King Sejo, presented the first and last phrase of a poem that he conceived and ordered his ministers and governmental officials of Kyujanggak to study it. His subjects created Yeongusi in Qinshi (examination in the presence of a king) or demonstrative archery, or created a full-length Yeongusi in the celebration of 『Inseorok』 with his more than 100 subjects to record the happy occasion to celebrate. Yeongusi created between King Jongjo and his subjects is distinct from the other Yeongusi in that it reveal its creation process. As Jongjo who deserved to be the main creator of Yeongusi was the king of a country, his collection of works like HongJaeJeonSeo, Shilu, 『Seungjeongwonilgi』, 『Ilseongnok』, many other historical sources that revealed the thensituations from which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Yeongusi can be discovered. In addition, most of his Yeongusi are full-length poems with more than 100 phrases, which seems to enable various ways of separating verses. Furthermore, Jongjo's Yeongusi was spontaneous and so good for his subjects to show their poetic genius and express their literary wits. Setting aside the degree of completion, adding one's own contexts and poetical ideas to the poetic phrases already created can lead to smooth connection of such phrases only if participating poets have enough ideas and forces of written style correspondingly. Such a creation of Jongjo's Yeongusi between he and his subjects implies various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meanings. First, Yeongusi was used as a means to exchange knowledge between king and subject in the late Chosun Dynasty. Although the literary value of Yeongusi might be rather low, such a form of compressing individual subjects' thoughts into one or two phrase(s) was used positively to become intimate with king and express their opinions. Furthermore, his Yeongusi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n official record in the form of poem. Jongjo ordered his subjects to create Yeongusi in a relatively big event in the country to commemorate the happy day and commanded recording it in the form of Yeongusi to remember the day later. Jongjo also had some figures participate in creating Yeongusi in a repeated way. By doing so, Jongjo made his political act rationalized as an essential literary activity of his time to expand his force. So Yeongusi is a good basis for understanding the social situation at the time of Jongjo.

      • KCI등재

        정조의 경학 연구 방법에 관한 규견

        심경호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05 泰東古典硏究 Vol.21 No.-

        정조(이름 : 李算, 1752~1800)는 학자이기를 지향한 군주로서, '우문일념(右文一念)'으로 문치(文治)에 주력하여 여러 문화정책을 추진하였으며, 그 정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규장각을 핵심기관으로 삼았다. 이미 즉위년의 교서(敎書)에서 정조는 국가의 급무로 숭유중도(崇儒重道)를 내세웠고, 그 내함은 '위정벽사(衛正闢邪)'라고 강조하였다. 그것은 직접적으로는 주자학 옹호를 위해 이단을 변정하는 작업을 뜻하였다. 조선후기의 한학은 독자적인 문헌학을 확립하여, 전근대 동아시아의 보편적 가치 준거였던경전을 재해석하여 새로운 의리지학(義理之學)을 확립하고자 다각도로 모색하였다. 특히 정조 연간에는 중국에서 발전도상에 있던 고거지학(考據之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정조의 경학연구는 내부전통과 외부영향의 두 요소를 결합하여 매우 독특한 방법론을 형성하였다. 조선후기 경학이 채용한 문헌학적 방법론에 대한 메타-크리틱을 하기 위해서는 정조 및 조선 조정의 경학연구방법론에 대한 일정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고는 그러한 검토의 일환으로 정조가 편찬한 경서 관련 서적과 규장각 경서강의를 중심으로 경학연구방법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The study of Jingshu (經書) in Cho-sun dynasty showed a characteristic development which was the reflection of paradigm and epistemology at that time. Especially, the books of Jingshu editied by Jung-Jo(正祖), and the lectures of Jingshu at Kyujang-Gak, led by Jung-Jo(正祖) and Choge-Munsin(招啓文臣), had a significance, in that it synthesized traditional opinions and motivated a new approach on Jingshu. The scholars who were participated in the lectures also represented and developed their own epistemology in the fields of commentaries. Futhermore, the lectures had another respect. Jung-Jo took measures to strengthen the right of his throne ; therefore the lecture of Jingshu was one of that policies, in that it could control the field of studies.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research which was influenced by revision on commentaries of Yuan·Ming·Ching was developed. Otherwise, interpretation of implicit meaning and the relation with the real world, which is so called 'studies of Yili(義理之學)', was advanced. Lectures of Jingshu which was published by Kyujang-Gak was born in these context. Jung-Jo gave lectures and asked questions like distinction between Xinchu(新注)' and Jiuchu(舊注)', and etc., He made an emphasis on opinion of Ju-Hi(朱熹) and criticised on that of recent scholar just like Maoqiling(毛奇齡). The Books of Jingshu interpretation and Books Lectures of Jingshu published by Jung-Jo(正祖) did not issue the completely new interpretation which could substitute that for Xinchu ; however it was based on the large examinations of various opinions, and it also prepared a new academical tendency of methodology.

      • KCI등재후보

        ‘정조(貞操)’ 담론의 근대적 형성과 법제화 -1945년 이전 조일(朝日) 양국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봉석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人文科學 Vol.0 No.55

        Even though the term “chastity” that we use today is usually accepted asa tradition-bound word, it is a new sign system that has been reproducedfrom the historical and cultural perspective. Since the ancient times of China,the discourses of “chastity” had been established through various channelsincluding the publication of Biographies of Exemplary Women (列女傳) andwere later spread to East Asia in general after the Ming and Qing dynasty. Right after its foundation, the Joseon dynasty chose the three cardinalprinciples in human relations (三綱; or the three bonds) as the symbol ofstate management under the principle of Neo-Confucianism as state ideology. “Chastity” was a major element of the three cardinal principles. During theJapanese colonial period, the discourses of “chastity” were reorganizedthrough the influence of the West and Japan. First of all, the term “chastity”was used in Japan during the Meiji Restoration (明治維新, Meiji Ishin)period in the same meaning as used in China and Joseon. In the 1910s,however, the term was confined to the space of “home” amidst a mixture ofa variety of concepts such as cultivation of mind and body, the study ofsexual desires, the idea of monogamy, and the discourses of free love. Thus,the discourses of “chastity” not only became the criterion of judgment in the “virgin vs. harlot” frame but also functioned as the major discourses of“good wife and wise mother” under the system of monogamy. Meanwhile, the colonized Joseon has to witness the reorganization of the“chastity” discourses because its time-honored discourses of “chastity” –prohibition of remarriage – was influenced by free love, monogamy, thestudy of sexual desires, cultivation of mind and body imported from Japan. In the 1930s, the discourses of “chastity” in the colonized Joseon developedinto the discourses that combined the discourses of “chastity” and the ideasof fidelity imported from Japan. Meanwhile, the newly formed discourses of“chastity” became the object of the benefit and protection in both civil andcriminal laws, thereby acquiring its concrete qualities free from the abstractdiscourses. In terms of civil law, “chastity” functioned as both the right andthe duty of citizens and as a major pillar of maintaining the patriarchalfamily system. In terms of criminal law, losing one’s “chastity” functioned asa major crime along with extramarital relations, rape, and adultery. In theprocess, “chastity” was inclined to stick to the part of the female subject’sbody rather than helping protect the personality of the female subject whocould receive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Besides, such discoursesof “chastity” that had been legalized in terms of discourses was concernedwith a crime related to “chastity” in the new criminal law in 1953 afterKorea’s liberation from Japan. It continued to retain its historicity as thediscourses of “chastity” after Korea’s liberation.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정조(貞操)’라는 말은 보통 전통으로 간주되지만 실은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서 재구성된 새로운 기호 체계이다. 역사적으로 고대 중국 이래 『열녀전』 등을 통해 형성된 정절 담론은 중국 명청 시대 이래 동아시아 사회로 확산되었다. 조선은 국가수립 후 성리학적국가의 운영의 상징으로 삼강을 선택했고, 정절은 그 중요한 구성요소였다. 식민지 시기에 이르러 정조 담론은 서구와 일본의 영향을 받아 재구성되었다. 먼저 메이지 시기 전후 일본에서 정조는 중국과 조선에서 사용되던 정절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1910년대를 거치면서 수신교육과 성욕학, 그리고 일부일처제의 논리, 자유연애담론과의 결합 속에 가정 내에 위치하게 되었다. 이제 정조담론은 처녀 대 ‘매소부(賣笑婦)’의구도를 구분하는 기준점이 되는 것은 물론 일부일처제 하 양처현모의 중요한 담론으로 기능하게 되었다. 한편으로 식민지 조선에서는 종래 정절 담론의 관습이었던 재가금지와내외 위에 일본으로부터 유입된 자유연애, 일부일처제, 성욕학, 수신교육등의 영향을 받아 정조 담론의 재구성을 보게 되었다. 1930년대에 이르면식민지 조선에서의 정조 담론은 일본으로부터 도입했던 정조담론과 정절의 내용들을 결합한 형태의 담론이 되었다. 한편으로 이렇게 형성된 정조담론은 민법과 형법의 보호법익의 대상이 되면서 추상적인 담론 수준을벗어나 법리적으로 그 구체성을 확보하게 되었다. 민법상 정조라는 것은권리이자 의무로 기능했고, 호주제를 유지하는 중요한 기둥으로 작동했다. 또한 형법상 정조는 간통, 강간, 간음의 중요한 죄와 함께 기능했다. 이 과정에서 정조는 그 보호법익으로서 여성이라는 주체의 인격권을 보호하기 보다는 여성주체의 신체일부에 과도하게 밀착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이렇게 담론적 법적으로 재구성된 정조담론은 해방이후 1953년신형법의 ‘정조에 관한 죄’로 이어지면서 해방 이후 정조담론으로 그 역사성을 이어가게 되었다.

      • KCI등재후보

        정조대 정치체제운영과 개혁정책

        김준혁(Kim Junhyuk)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8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7 No.2

        조선후기 문예부흥의 시대로 평가받고 있는 정조시대는 17~18세기 小中華의 인식을 뛰어넘어 중원을 지배하고 있는 淸을 극복하고 동아시아 일대의 문명을 주도하는 국가로 성장하고자 노력하는 시대였다. 이를 위해 정조는 재위기간 전반에 걸쳐 王道政治를 기본 바탕으로 개혁을 통한 다양한 위민정책들을 추진했다. 정조는 국왕의 주도적 역할을 인정하는 성왕론을 전면에 내세우면서 스스로를 성인군주인 堯임금과 대비시키면서 국왕의 권위를 높여갔다. 더불어 신권과의 조화를 동시에 추구하면서 정조는 4대 개혁과제인 民産ㆍ人材ㆍ戎政ㆍ財用를 천명하였다. 정조의 개혁사상이 총 집결된 경장대고는 정조의 재위기간 전반에 걸쳐 일관되게 추진되었다. 더불어 정조는 평등적 위민론을 바탕으로 둔 대동사회를 꿈꾸면서 서얼허통ㆍ노비추쇄관 혁파ㆍ자휼전칙ㆍ흠휼전칙 등 인간 존중을 위한 사회통합 개혁정책을 추진과 사상의 자유로운 연구와 실학의 기풍을 조성하였다. 정조는 자신의 개혁정책의 근간으로 규장각 설치와 장용영 창설을 통하여 인재양성을 추진하고 국가 발전 이데올로기를 개발하며, 친위 군영을 창설하여 강력한 왕권 확보를 추진하였다. 특히 장용영은 친위 군영으로서의 역할을 넘어 효종의 북벌론을 계승하는 자주국방의 전진기지로 삼았다. 그리고 정조는 장용영의 재정 안정을 위하여 새로운 둔전 농법의 도입으로 軍政의 폐단마저 없애 민생안정을 추구한 백성의 군대로 성장하였다. 정조는 자신의 개혁완성을 위하여 배후도시 건설에 주력하였고, 조선의 문화적 역량을 총동원하여 화성건설을 완성하였다. 정조는 1804년 국왕의 지위를 양위한 후 상왕으로서 화성에 거주하며 兩京體制를 만들고자 하였다. 이와같은 다양한 개혁정책을 통해 정조는 왕권을 강화하면서 정치운영을 주도할 수 있었다. The age of King Jeongjo,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the period of cultural renascence in late Joseon dynasty, was the era of trying to overcome the Ch'ing and lead the culture of east Asia. For this, King Jeongjo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for people through renovations based on the rightous royal policies. King Jeongjo consolidated his power in competition with King Yo, who was famous for his excellent policies in China by claiming to stand for "being sage king" who mandated himself to take leading role in politics. And being in pursuit of harmony with the power of subjects, King Jeongjo declared the four reforms of wealth of people, engaging men of ability, strenthening national defense, sound public finance at the same time. All these innovations was put into practiced under the reign of King Jeongjo consistently. He also dreamed about egalitarian society based on the prosperity of people. Therefore he launched out into integrated policies such as Seoyeolheotong, abolition of Nobichusoigoan, Jahuljeonchik and Heumhuljeonchik for human beings, and set up a situation for the free research of new ideas and Silhak(practical knowledge & technique) King Jeongjo cultivated competent men and reinforced his power through establishing the Gujanggak(royal library) and Jangyongyeong(military unit). Especially, Jangyongyeong as military unit for the King Jeongjo himself, was the basis to succeed to the Bukbeollon(conquest of the northern region) of the King Hyo for the self-defense. For Jangyongyeong operations, King Jeongjo corrected military adminitration by introducing new Dunjeonbeob(state-run farm), which was grown into national army for the people And King Jeongjo concentrated on the construction of second city for his reforms, so completing the Hwaseong(fortress) with all his cultural abilities. He wanted to make Yanggyeongcheje(two capitals system) while staying in Hwaseong after handing over his reign. Through these lots of innovative policies, he could take control of politics by reinforcing his own power.

      • KCI등재

        정조대왕의 효행과 콘텐츠로의 재현

        유형동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23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42

        This article examines filial piety, an important ritual held by King Jeongjo, the 22nd k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original behavior of Hyeonryungwon(顯隆園) as an embodiment of the aforementioned filial piety, and examines the current local cultural content, “King Jeongjo Neunghaengcha”.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explore the cultural identity formed by Suwon-si and Hwaseong-si in Gyeonggi-do. As is well known, King Jeongjo is known as the king who led the last revival of Joseon. Many of his political activities make him considered a modern figure beyond the limits of the times. What is interesting, however, is that “hyo(filial duty, 孝)” lies on the basis of such actions. King Jeongjo lost his father in the “Limohwa Incident(壬午禍變)”. One of the things he focused on after he ascended the throne was to reinstate his father, Crown Prince Sado. The result was the construction of Mars. The tomb of Crown Prince Sado, who built a new city and moved near it, was upgraded to Hyeonryungwon (Yungneung, 隆陵). King Jeongjo visited Hyeonryungwon, the tomb of Crown Prince Sado, thirteen times. One of the most notable of them is the a visit to a Royal Tombs in 1795. At this time, a visit to a grave wore the outer cover of his mother, Hyegyeonggung Hong's 60th birthday party, but it was also dedicated to his father, Crown Prince Sado, who was the same age as Hyegyeonggung Hong. In addition, the shouted hurrah at the scene can also be said to have a symbolic meaning of the apostle's reinstatement. In fact, it is common to view King Jeongjo's expedition and the construction of Hwaseong Fortress as a political choice. However, what is important is that filial piety exists on this basis. Furthermore, currently, Suwon-si and Hwaseong-si consist of one of the local identities implied in local cultural contents. In particular, Hwaseong City held the “Jeongjo Hyohaeng Cultural Festival” in 1997 to commemorate the 200th anniversary of Hwaseong's construction. Furthermore, it has been renamed the “Jeongjo Hyo Cultural Festival”, and “Jeongjo King Neunghaengcha”, which reproduces visits to Royal Tombs, a symbol of Jeongjo’s filial piety, and has become a key program. Many citizens participate in this event and reproduce the meaning of filial piety that King Jeongjo wanted to realize. Suwon-si and Hwaseong-si, which inherited Hwaseong Fortress, Hyeonryungwon (Hyeonneung), and Geonneung(建陵) Royal Tomb, which are the heritages left by King Jeongjo, are inheriting the spirit of King Jeongjo by developing local cultural contents. It is possible to make a cognitive transformation on the establishment of local culture and local identity based on historical heritage. Another noteworthy thing is that the power of content sometimes requires a change in perception of the region, as shown in the cases of Suwon and Hwaseong. Other old local governments collaborate based on common cultural assets and build cultural identity from them, showing that regional and regional ties are possible. There is no boundary between cultural heritage, especially such intangible heritag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is point and secure a wider cultural perspective. 이 글은 조선 22대 왕인 정조가 지니고 있었던 중요한 의식인 효, 그리고 효의 구현으로서의 을묘년 현륭원 원행을 검토하고 현재 이를 바탕으로 구성된 지역문화콘텐츠인 ‘정조대왕능행차’를 살펴본 것이다. 이를 통해서 경기도 수원시·화성시가 구성한 문화정체성을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주지하다시피 정조는 조선의 마지막 부흥기를 이끌었던 왕으로 알려져 있다. 그가 행한 많은 정치적 행위들은 그를 시대적 한계를 벗어난 근대적인 인물로 여겨지게 하기도 한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그 같은 행위의 바탕에 ‘효’가 자리한다는 점이다. 정조는 壬午禍變으로 아버지를 잃었다. 그가 왕위에 오른 뒤 주력했던 일 가운데 하나가 바로 아버지인 사도세자를 復權시키는 일이었다. 그 결과가 화성의 건설이었다. 새로 도시를 조성하고 그 근처로 옮긴 사도세자의 무덤을 현륭원(융릉)으로 격상시켰다. 정조는 사도세자의 무덤인 현륭원에 13번 다녀갔다. 그 중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1795년에 있었던 원행이다. 이때 원행은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의 회갑잔치라는 외피를 쓰고 있지만, 혜경궁 홍씨와 동갑인 아버지 사도세자에게 바치는 것이기도 했다. 또 현장에서 있었던 산호 역시 사도세자의 복권이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기실 정조의 원행과 화성의 건설은 정치적인 선택으로 보는 시각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그 기반에 존재하는 것이 효라는 점이다. 그리고 현재 수원시와 화성시는 이를 지역문화콘텐츠에 내포된 지역정체성의 하나로 구성하고 있다. 특히 화성시는 1997년 화성 축성 200주년을 기념하며 ‘정조효행문화제’를 개최했다. 이 축제는 ‘정조효문화제’로 이름을 바꾸어 진행하고 있으며, 정조 효행의 상징인 원행을 재현한 ‘정조대왕능행차’가 핵심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았다. 이 행사에 많은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며 정조가 구현하고자 했던 효의 의미를 재생산하고 있다. 정조가 남긴 유산인 화성과 현륭원(융릉), 건릉을 물려받은 수원시와 화성시는 지역문화콘텐츠를 개발하여 정조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다. 수원시와 화성시의 사례에서 보듯이 콘텐츠의 힘은 때로 지역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요구한다. 두 지자체가 공동의 문화자산을 바탕으로 협업하고 그에서 문화정체성을 구축하면서 지역과 지역의 유대와 연대가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문화유산 특히 무형유산에는 경계가 없다. 이러한 점을 주지하고 보다 넓은 시각에서의 문화적 시야를 확보해 나아가야 한다.

      • KCI등재

        정조 대 전경무신(專經武臣) 제도의 운영 연구

        이연진 온지학회 2023 溫知論叢 Vol.- No.74

        This study examined the operation of “Jeongyung-Mooshin(專經武臣)” policy during Jeong-jo (正祖)'s regime. It tri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of this policy. Jeong-jo tried to actively operate the policy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based on the Yeong-jo (英祖)’s regul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on are as follows. It was conducted periodically four times a year, which was for enhancing education regarding the Seven Military Classics(武經七書) for military officials. The procedures were also done in accordance with the way Yeong-jo has done and were listed in the Code of Law, Daejeontongpyeon(大典通編), 1785, the ninth year of Jeong-jo’s reign. Jeong-jo actively managed Jeon’gang (殿講) performed directly by the king, all the time. He strictly managed the test results for ensuring that the policy was operated effectively. Those who failed the test were retested in order to check the level of learning. Punishment was imposed according to the grades. Meanwhile, promotion benefits were given if the performers were outstanding. The expansion of the king's discretion wa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operation.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in-service education for the military officials during Jeong-jo's regime. 본 연구는 정조 대 무신재교육 양상을 살펴보는 일환으로 정조 대 전경무신(專經武臣) 제도의 운영상 특징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정조 대 전경무신 제도의 운영 특징은 기본적으로 영조 대에 마련된 관련 절목의 시행방침을 준수하면서 정조 나름의 재량이 발휘된 점이다. 예컨대 매년 분기별 4차례 주기적으로 전경무신을 시험한 기본원칙은 준수하고자 하였다. 정조는 직접 시험을 주관하는 친림전강의 방식으로 주기적인 시행 원칙을 고수하였다. 특정한 사유가 있어 시행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그 다음 차례에 이전에 실시하지 못한 전강까지 별도로 시행하였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영조 대 전경무신 관련 절목의 주요 원칙은 정조 대 『대전통편』의 전경전강 조항으로 법규화되었다. 한편 정조의 재량권이 가장 두드러진 사안은 전경무신들의 성적 처리방식이었다. 정조는 전경무신의 성적에 따라 포상과 처벌방식을 직접 관리하였다. 직접 무신들의 무경 능력을 평가하여 우수한 무신들을 발탁하는 한편 무신 전반의 무경 지식을 향상시키고자 처벌을 엄격히 하였다. 시험에 통과하지 못한 무신을 처리하는 대표적인 방식은 해당 무경내용을 능숙히 이해할 수 있을 때까지 입직시키는 것이었다. 영조 대는 불통자를 대개 의금부에서 관리하여 금추(禁推)하는 것으로 그쳤으나 정조는 병조의 책임 하에 해당자를 소속관아에 숙직시키고 재시험을 시행하여 그 학습 정도를 확인토록 했다. 재시험 성적 정도에 따라 수속(收贖) 등의 실질적인 처벌조치가 내려졌다. 한편 성적우등자가 특출할 경우 참하관은 참상관으로 승륙(陞六)하는 등의 인사상 혜택이 바로 주어졌다. 이러한 정조의 재량권 확대는 제도 운영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방향을 모색한 결과였다.

      • KCI등재

        정조 예제·어제 원고의 텍스트 비평

        김덕수(Kim, Deok-su) 한국학중앙연구원 2021 장서각 Vol.- No.46

        장서각 소장 ‘왕실고문서’는 국가왕실 문헌의 보고로서 장서각의 위상과 정체성을 여실히 보여주는 자료다. 조령류, 주의류, 외교류, 의례류, 발기류, 시문류 등 다양한 유형의 왕실고문서가 전하는데 시문류에 속한 문서의 상당수가 국왕의 어제 관련 원고다. 특히 정조의 睿製 및 御製 관련 원고가 다수를 차지한다. 정조 즉위 직후에 徐命善이 예제의 교정과 편차를 맡았는데 이것이 『春邸錄』의 근간이 되었다. 정조 예제 원고는 신료가 정성껏 옮겨 적은 精寫本으로 정조 즉위 초엽에 만들어졌다. 여기에는 정조가 직접 교정한 흔적이 다수 남아 있다. 그 저본은 신료가 정성껏 옮겨 적은 精寫本이다. 예제 원고 중에는 정조 문집에 수록되지 않은 유일본 자료가 많거니와 일부 산삭하거나 대거 수정한 뒤 『홍재전서』에 수록한 경우도 허다하다. 정조는 교정 과정에서 예제 제목에 적힌 상대방의 호칭을 삭제함으로써 그 존재 자체를 지우기도 했는데 그들은 세손 정조의 대리청정을 반대했던 인물이다. 정조 어제 원고는 어필인 것과 어필이 아닌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어필인 것은 주로 친필 초고이거나 친필 교정 원고이고, 어필이 아닌 것은 『홍재전서』 간행 전후에 신료가 전사해 둔 것이다. 어필 원고에는 원고 서두나 피봉에 제작 시기를 기재한 경우가 많다. 정조는 친필 원고에 직접 교정하거나 첨지를 활용해 교정 사항이나 지시 사항을 표시했다. 또한 규장각 관원이 첨지를 통해 정조에게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기도 했다. 동일 어제의 여러 이본 원고들이 함께 전하는 경우도 많은데 시기적 선후 관계, 이본간 차이점 등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 그리고 어필 교정본과 어필 전사본이 함께 전하기도 한다. 정조 어제 원고에는 여러 종류의 부호들이 적혀 있다. 글자 우측의 물결 부호는 존숭할 표현이 나올 때, 행을 바꾸어 一字擡頭한다는 뜻이고, 글자 옆 원점은 해당 글자를 앞줄에 이어 쓰되 1자를 隔間한다는 의미다. 이 밖에 글자 옆에 숫자가 적힌 첨지를 차례대로 붙이기도 했다. 이러한 원고는 주로 현판을 제작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정조 어제어필 가운데 일부 원고는 피봉 속에 보관되었다. 정조는 문집 간행을 염두에 두고 피봉에 원고를 보관했는데 베껴 적은 사실, 작품 수신자, 찬술 시기, 찬술 배경, 축약된 제목, 첫 번째 시구 등을 피봉에 간략히 적어 두었다. 정조가 즉위 전후에 예제, 혹은 어제 초고를 처음 지은 시점부터 승하하고 나서 해당 작품이 『홍재전서』에 실릴 때까지 교정과 선사가 누차에 걸쳐 반복되었다. 정조 예제 및 어제 원고를 통해 그 과정과 양상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Royal ancient douments’ possessed by Palace Library (藏書閣) show its status and identity as a repository of national royal literature. There have been various contents and forms of royal ancient documents and significant numbers of documents which belong to poetry and prose are manuscripts (原稿) related to kings’ imperial writing. Especially, the manuscripts related to the crown prince’s writing (睿製) and the king’s (御製) writing by Jeongjo of Joseon (正祖) have a majority. Seo, Myeongseon (徐命善) was responsible for proofreading (校定) and editing of the king’s writing right after Jeongjo of Joseon acceded to the throne and this was the base of Chunjeorok (春邸錄). The manuscripts of the king’s writing by Jeongjo of Joseon were made at the beginning of the enthronement and there are a lot of traces that he proof read by himself. In the manuscripts of the king’s writing, there are a lot of materials of the only ones which were not included in Collected Works of Jeongjo of Joseon and many cases of being done in Collected Works of King Jeongjo (弘齋全書) after removing or amending them. Jeongjo of Joseon erased the existence of other persons against his regency (代理聽政) as the oldest son of the crown prince (世孫) who were written in the titles of the King’s Writing in the proof reading process by deleting their names. The manuscripts of the imperial orders by Jeongjo of Joseon can be classified into the king’s handwriting (御筆) and the letters which are not the king’s handwriting. The king’s handwriting was usually the drafts or proofread manuscripts written with his own hands and the letters which are not the king’s handwriting were copied by the liege before and after Collected Works of King Jeongjo was published. There are many cases that the dates of production were written on the starting parts or envelopes of the manuscripts. Jeongjo of Joseon proofread the manuscripts by himself or indicated proofreading details or instructions by utilizing the pieces of paper. And public officials of Royal Archives actively gave their opinions to him through the pieces of paper. There have been a lot of alternative versions (異本) of the identical manuscripts of the imperial orders. The timely order and differences among the alternative versions should closely be examined. And there have been also the revised texts and copies of the king’s handwriting together. Several kinds of signals were written in the manuscripts of the king’s handwriting by Jeongjo of Joseon. Of course, the manuscripts that indicate tilde, round dots, and numbers were usually written to manufacture hanging tablets. The partial manuscripts of the king’s handwriting were kept in envelopes. Jeongjo of Joseon kept his manuscripts in envelops bearing the publication of collected Works in mind. He briefly wrote the fact that he copied, the recipient of the work, the period of writing, the background of writing, the abbreviated title, and the first phrase in a poem on the surface of the envelope. Proof reading and transcription were repeated several times from when Jeongjo of Joseon first wrote drafts of the king’s handwriting or the imperial orders before and after the enthronement until the applicable works were published on Collected Works of King Jeongjo after his death. The king’s handwriting and the imperial orders by Jeongjo of Joseon are meaningful in that the process and aspects can concretely be checked.

      • KCI등재

        정조의 창덕궁 내원(內苑) 군신동행과 연회 정치

        김준혁(Kim, Jun Hyuk)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7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6 No.2

        조선의 22대 국왕 정조(正祖)는 왕권이 매우 취약한 상태로 국왕이 되었다. 국왕 등극 후 몇 차례의 시해 위기를 겪을 정도로 국왕으로서의 지위는 불안정했다. 정조는 국왕으로서 자신이 내건 개혁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는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였다. 그중의 하나가 창덕궁 북쪽에 있는 국왕만의 공간인 옥류천 일대의 내원(內園)을 규장각 각신 및 관련된 신하들에게 개방하며 함께 산책을 하였다. 정조 이전 국왕에게 전혀 찾아볼 수 없었던 파격적인 창덕궁 내원 개방은 신하들에게는 뜻 깊은 은혜였다. 정조는 창덕궁 후원을 신하들과 함께 산책하는 군신동행(君臣同行)을 통해 군신이 함께 즐거워하는 군신동락(君臣同樂)을 만들고, 이를 발전시켜 군신공치(君臣共治)의 정치적 행위로 만들고자 하였다. 특히 정조의 창덕궁 내원 군신동행은 정조의 중요한 정치적 활동에 대한 만족감의 표시이기도 했고, 또 한편으로는 자신의 정치적 행위에 대한 신하들의 사전 동의를 구하기 위한 것이기도 했다. 정조의 창덕궁 군신동행은 정조의 고도의 정치적 행위였고, 이러한 정치적 행위는 정조의 개혁정책을 뒷받침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King Jeongjo, the 22<SUP>nd</SUP> king of the Choseon Dynasty, who became the king of Joseon in the condition of weakness. His status as a king was precarious after the king"s accession to the throne. King Jeongjo promoted various policies which aimed at strengthening the royal authority to push ahead with reforming policies. One of them took the royal residence of King Okryuchun, a royal residence in the northern part of Changdeokgung Palace, and took a walk with the royal guards and related officials. The opening ceremony of the royal palace, which had never been an unprecedented event at the king"s shrine before. It was an extraordinary grace to the servants. He attempted to create a military funeral of the military gods, which served with the only royal family members. He decided to develop a military alliance with the retainers. In particular, the escort of King Jeongjo"s visit to the shrine was also a sign of his satisfaction with the importance of the political activities of King Jeongjo. And he was also required to ask for the consent of his subordinates. King Jeongjo"s military escort accompanied highly political activities, and this political action supported the central axis of Jeongjo"s reforming policies.

      • KCI등재후보

        국왕의 동선과 정치재량권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박현모(Park Hyun Mo)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1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0 No.1

        이 글의 목적은 조선후기의 국왕 정조의 도성 밖 움직임, 즉 능행과 수원화성행차 등의 동선(動線)을 조사하여, 국왕의 활용공간과 정치재량권이 상호 비례한다는 가설을 증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정조실록』에 있는 정조의 동선을 그 이전의 세종이나 영조, 그리고 그 뒤의 순조의 동선과 비교했다. 그 결과 정조는 순조보다 훨씬 더 자주 백성들을 만났음을 파악했다(각각 연 평균 2.7회와 0.5회). 궁궐 안에서만 살았던 순조와 달리 정조는 백성들을 자주, 그리고 다양한 방식으로 만나 그들의 고충을 듣고 해결해준 것이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정조는 순조보다 정치재량권 - 이른바 왕권 -이 더 컸다. 물론 국왕의 재량권을 구성하는 요소가 다양하기 때문에 언관의 탄핵에 대한 거절만으로 왕권의 크고 작음을 결정할 수는 없다. 하지만 그동안 막연하게 이야기되어왔던 왕권의 크기를 수치화해서 보여줄 수 있는 하나의 단초가 된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일정한 의의가 있다고 본다. 조사 결과 순조가 언관들의 탄핵을 ‘거절’할 수 있는 재량권이 부왕 정조보다 낮았음이 밝혀졌다. 도성 밖 행차 등의 행동반경이 정조보다 좁았던 순조는 탄핵을 거절할 수 있는 재량권에 있어서도 작았던 것이다. 그러면 이 연구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바로, 정조가 조선 후기의 혁신군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것은 기득세력인 신하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일련의 개혁정책을 추진했기 때문인데, 그 힘이 직접 백성들을 만나고 소통한 데에서 발원했다는 점이다. 조선 전기의 세종이 그랬듯이 정조는 중간관리층의 방해 없이 왕이 직접 백성들을 만나고 대화했으며, 그 과정에서 왕의 재량권도 아울러 커졌던 것이다. This article's purpose is to prove the proportionate relationship between kings' palace-outside movement and Royal Power. For this, I explored Movement of King Jeongjo and King Soonjo. As a result, I found that King Jeongjo had gone more frequently outside palace than King Soonjo: King Jeongjo moved 5 times than King Soonjo. They had palace-outside movements 2.7 times and 0.5 times per year respectively. What's interesting is the fact that King Jeongjo's 'refusal' frequency of the censors' impeachment for bureaucrats is higher than that of King Soonjo. King Soonjo who mounted the throne at the age of 11 as a son of King Jeongjo had a little discretion power. He said "no" 66% against the censors' impeachment for bureaucrats while King Jeongjo's refusal accounted at a rate of 70%. King Jongjo also had higher than King Soonjo not only in the legal discretionary power but also in movement range. His driving power for reform was prompted by his royal autho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