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修信使ㆍ朝士視察團 기록을 통해 본 高宗의 東道西器 정책과 그 한계

        정훈식 열상고전연구회 2021 열상고전연구 Vol.73 No.-

        이 글은 19세기 후반 일본에 파견된 修信使ㆍ朝士視察團의 기록을 통해 고종 이 추진한 대내외 정책의 추진 과정을 살피고 그 역사적 위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 을 두었다. 수신사ㆍ조사시찰단은 고종이 친정을 단행하고 강화도조약을 통해 일본과 새로 운 외교관계를 수립한 뒤, 모두 6차례에 걸쳐 파견한 공식 비공식 대일사절이다. 고종은 이 사절을 통해 당면한 대내외 정세에 대응하는 정책을 새롭게 추진하려고 했는데, 구체적으로는 일본은 물론 서양 각국과 수교를 통한 대외통상과 서양 문 물 도입정책이다. 고종은 재위 초 강학기부터 東道西器論을 받아들이는데, 燕行 을 통해 들어온 서적과 정보가 기본 자료의 역할을 했으나, 무엇보다 강학관 朴珪 壽의 영향이 컸다. 10여 년의 강학기를 거쳐 친정을 단행한 후 고종은 내외정세를 안정시키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방도로 동도서기론에 바탕을 둔 정책을 추진한 다. 이를 추진하기 위한 사전 견문과 탐색의 임무를 띤 것이 바로 수신사ㆍ조사시 찰단이다. 그런데 이들의 기록에는 고종의 정책이 온전하게 추진되기에는 여러 난 관이 많았음을 보여주는 여러 정황이 산재해 있다. 국왕이 부여한 명을 충실히 받 들고 일본을 다녀온 이들도 있지만, 대개 왕이 추진하는 정책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거나, 이에서 벗어난 생각을 품은 인사들이 주를 이루었기 때문이다. 수신사ㆍ조사시찰단의 기록을 통해 드러난 고종이 추진한 정책의 문제와 한계는 다음과 같다. 우선 추진세력이 상대적으로 약했으며, 치밀한 추진계획과 대응 논리를 마련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실정에서 청과 일본, 서양 각국의 거센 침략이 전개되는 정세에서 그 실효성에 의문이 컸다. 무엇보다 동도와 서기가 병립할 수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한 동도서기의 논리적 결함은 고종의 정책이 성공할 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케 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examine the process of promoting internal and external policies promoted by Gojong through the records of the Susinsa, Official Observation Group dispatched to Japan during the reign, and to examine its historical status based on this. Susinsa, Official Observation Group were envoys sent to Japan after King Gojong directly exercised his political power and established new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through Korea–Japan Treaty of 1876. This contains the direction of the policy to be promoted by Gojong, which is a policy based on DongDo-SeoGi(東道西器, the theory of Eastern moral and western material). From the early learning period of his reign, King Gojong accepted the story of the book. Books and information through diplomatic envoys to Beijing served as basic data, and Park Gyu-su(朴珪壽) had a great influence. After 10 years of learning, he began to exercise his political power directly, and then Gojong pursued a policy based on DongDo-SeoGi(東道西器) as a way to stabilize the internal and external situation and strengthen the kingship. Susinsa, Official Observation Group carried out the task of preliminary investigation to promote this. However, there are scattered circumstances in their records showing that it was difficult to fully realize King Gojong's intentions. There are some who have been to Japan faithfully following the order given by the king, but it is mostly because people who do not understand the king's policies properly or who have thoughts outside of it are dominated.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policy based on DongDo-SeoGi(東道西器) revealed through the records of Susinsa, Official Observation Group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driving force was relatively weak, and a detailed plan and response logic could not be prepared. In this situa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foreign invasion was unfolding. Above all, the logical flaws of the DongDo-SeoGi(東道西器) on the premise that Eastern moral and western material could coexist significantly reduced the chances of the success of Gojong's policy.

      • KCI등재

        19세기 후반 申箕善의 현실 인식과 사상적 변화

        노대환 동국사학회 2012 동국사학 Vol.53 No.-

        동도서기론은 개방론과 척사론이 첨예하게 대립되던 1880년대 초반에 등장한 사상적 조류였다. 동도서기론을 처음으로 주장한 인물은 申箕善이다. 본고에서는 1890년대 이후 신기선의 행적을 보충하여 신기선의 생애 전반을 재검토하면서 그의 사고가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신기선은 산림 문하에서 수업을 받다가 1880년대 초반 동도서기론자로 전신하였다. 1880년대 초반 신기선의 동도서기론은 보수적 유자들을 설득하기 위한 논리로 제기된 것이었다. 신기선은 개화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 참여하여 활동했지만 갑신정변에 연루되면서 삶에 큰 변화를 맞았다. 정변파와 친분이 깊었던 탓에 그는 유배에 처해졌으며 이를 계기로 점차 보수적인 면모를 띠게 되었다. 1880년대 후반 그의 사상적 면모는 ?儒學經緯?를 통해 확인되는데 1880년대 초반과는 달리 儒道의 가치를 확인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을 목도하면서 그의 보수적 색채는 더욱 짙어졌다. 그는 개혁이 자주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개혁 내용이 급진적이라는점 때문에 당시의 개혁에 비판적이었다. 이제 그의 관심은 급진적인 문명 개화론자들로부터 유도를 보위하는 데 있었다. 그로 인해 신기선은 독립협회로 대표되는 문명개화론 계열로부터 신랄한 비판을 받았다. 신기선은 1900년대 후반에는 新?舊學折衷論을 제시하였다. 그의 신?구학절충론은 신학으로부터 구학을 보호하는 데 기본적인 목적이 있었다. 하지만 신기선의 주장은 별다른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못하였고 그 보수적 성격 때문에 신학 계열의 비판을 받았다. 대동학회 활동시 일본의 지원을 받은 탓에 만년에는 일본의 三忠奴가운데 한 사람으로 지목을 받기까지 하였다. 신기선은 한때 진보 계열에 속해 전통 유자들에게 비판을 받았지만 1890년대 중반 이후 문명개화 계열로부터 수구로 지목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신기선이 보여준 행보는 동도서기론의 시대적 추이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였다.

      • KCI등재

        연구논문 : 19세기 후반 신기선(申箕善)의 현실 인식과 사상적 변화

        노대환 ( Dae Hwan Noh ) 동국사학회 2012 동국사학 Vol.53 No.-

        동도서기론은 개방론과 척사론이 첨예하게 대립되던 1880년대 초반에 등장한 사상적 조류였다. 동도서기론을 처음으로 주장한 인물은 申箕善이다. 본고에서는 1890년대 이후 신기선의 행적을 보충하여 신기선의 생애 전반을 재검토하면서 그의 사고가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살펴 보았다. 신기선은 산림 문하에서 수업을 받다가 1880년대 초반 동도서기론자로 전신하였다. 1880년대 초반 신기선의 동도서기론은 보수적 유자들을 설득하기 위한 논리로 제기된 것이엇다. 신기선은 개화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 참여하여 활동했지만 갑신정변에 연루되면서 삶에 큰 변화를 맞았다. 정변파에 친분이 깊었던 탓에 그는 유배에 처해졌으며 이를 계기를 점차 보수적인 면모를 띠게 되엇다. 1880년대 후반 그의 사상적 면모는 『儒學經緯』를 통해 확인되는데 1800년대 초반과는 달리 儒道의 가치를 확인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을 목도하면서 그의 보수적 색채는 더욱 짙어졌다. 그는 개혁이 자주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개혁 내용이 급진적이라는 점 때문에 당시의 개혁에 비판적이었다. 이제 그의 관심은 급진적인 문명 개화론자들로부터 유도를 보위하는 데 있었다. 그로 인해 신기선은 독립협회로 대표되는 문명개화론 계열로부터 신랄한 비판을 받았다. 신기선은 1900년대 후반에는 新·舊學折衷論을 제시하였다. 그의 신·구학절충론은 신학으로부터 구학을 보호하는 데 기본적인 목적이 있었다. 하지만 신기선의 주장은 별다른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못하였고 그 보수적셩격 때문에 신학 계열의 비판을 받았다. 대동학회 활동시 일본의 지원을 받은 탓에 만년에는 일본의 三忠奴 가운데 한 사람으로 지목을 받기까지하엿다. 신기선은 한때 진보 계열에 속해 전통 유자들에게 비판을 받았지만 1890년대 중반 이후 문명개화 계열로부터 수구로 지목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신기선이 보여준 행보는 동도서기론의 시대적 추이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였다. The theory of Dongdoseogi (東道西器, Eastern Ways and Western Machines, shortened as Dongdoseogiron hereafter) was a new current of thought introduced in the early 1880s when a severe argument of the open-door theory and the doctrine of rejecting heterodoxy in defense of orthodoxy was is at its peak. Sin Gi-seon was the very person who suggested Dongdoseoginom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races of his life 1890s and review his entire career. It is anticipated that the periodical shifts of his thoughts would be revealed during saidprocess He used to study under the guidance of rustic literati(山林, sallim), however, in the early 1880s, he was fascinated to the idea of Dongdoseoginm. Ar that time, he suggested the new theory to convince conservative Confucian scholars. He also participated in the open-door movement, but, snce he got involved in Coup d`Etat of 1884, he had to experience a huge transition of life. Because he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revolutionaries, he was sent into exile and, ever since this point, he gradually became conservative. His new thoughts in the late 1880s can be found from Yubakgyeongui (儒學經緯, Warp and Woof [circumstances] of Confucianism) and it aimed, unlike his old ideas from the early 1880s, to re-secure the significance of Confucian teachings. Witnessing the Reforms of Gdoo (1894) and Eulmi(1895), made him even more conservative. He was critical abot the reform movements since he regarded the reform as dependent and radical. At this point his only interest was to protect Confucian ways from the radical reformists. Therefore, he had to face a severe criticism from the enlightenment parties represented by the Independence Club. In the late 1900s he suggested the compromising theory of the old and new studies. This suggestion was rnainly for the protection of old studies from newer academic trends. But his argument failed to evoke a significant response and, instead, he received a severe denumciation from groups of new academia. Sin Gi-seon once belonged to a progressive groip and , thus, was criticized by orthodox Confucian scholars. But after the middle of 1890s he was marked as a conservative by the reformist groups. Shifts of his thoughts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also show the periodical transition of Dongdoseogiron.

      • KCI등재

        동도서기론(東道西器論)의 변용에 대한 연구 - 운양 김윤식(雲養 金允植)을 중심으로

        심의용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동도서기론’은 21세기 현대에도 여전히 논란거리이다. 현대에도 동양과 서양의 융합은 계속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근대 전환기 시대 동도서기론의 변용을 고찰하여 현대적 의미를 논의하려고 한다. 동도서기론은 흔히 동양의 정신과 도덕 가치인 도(道)를 지키면서 서양 기술 문명인 기(器)를 수용하여 근대화를 이루자는 논의이다. 김윤식은 근대적 전환기에 전통적인 유학자가 어떻게 서양의 근대를 받아들이며 자기변용을 해갔는가를 이해하는 데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김윤식의 ‘동도서기론’이 변용해나간 과정을 시기적으로 구별하여 동도서기론이 역사적 흐름 속에서 어떻게 변모되어왔는지를 살펴보도록 한다. 김윤식이 여러 문명의 차이를 이해하고 전통 사상에 입각하여 ‘더 나은 보편’을 추구하려는 개방적 태도는 이런 의미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태도는 18세기 홍대용, 박지원, 최한기에 이르는 실학파의 서구 문명을 대하는 개방적 태도와 밀접하게 연관된다는 점에서 동도서기론의 현대적 전망을 생각하는 데에 중요한 기점이 될 수 있다. The theory of Dongdoseogi is still a controversial issue even in modern times in the 21st century. In modern times, convergence between East and West continues. In this sense, we intend to discuss the modern meaning of the theory of Dongdoseogi in the period of the modern transition. The theory of Dongdoseogi is often a discussion of preserving the East’s spirit and moral values of dao (道), while embracing the western technical civilization of Qi (器) to achieve modernization. Yunsik Kim will be a good example for understanding how a traditional scholar during a modern transition period embraced western modernity and made self-transformation. Let’s take a look at how the theory of Dongdoseogi has been transformed in the historical context by distinguishing the process in which Yunsik Kim’s theory of Dongdoseogi has been adapted. In this sense, Yunsik Kim’s open attitude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various civilizations and pursue “better universal” based on traditional ideas is noteworthy. This attitude can be an important point in thinking about the modern outlook of the theory of Dongdoseogi in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open attitudes of the Silhak (實學), ranging from Daeyong Hong, Jiewon Park, and Hanki Choi, in the 18th century to western civilization.

      • KCI등재

        동도서기론과 개화사상

        홍원식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6 한국학논집 Vol.0 No.62

        Since the Joseon dynasty became to open a port behind China and Japan in 1876 and Shin Gi-Seon raised theory of Dongdo-SeoGi while supporting expansion of open-port and enlightenment actively. The theory of Dongdo-Seogi raised in Joseon dynasty is contrasted with the theory of Zhongti-Xiyong(中體西用) of China and the theory of Wa kon yo sai(和魂洋才) of Japan. The theory of DoGi(道器) is of “Xi-Ci-Zhuan「繫辭傳」” of “I-Ching『周易』”, Do(道) is up for Hsing erh Shang(形而上), Gi(器) is up for Hsing erh Hsia(形而下). Zhuzixue of China inherits and develops the theory of DoGi of “I-Ching”. Hsing erh Shang, Do(道) is permanent, Hsing erh Hsia, Gi(器) is variable. They is not only ‘what is divided each other into(相分)’ but also ‘what needs each other(相須)’. The theory of Dongdo-Seogi in late Joseon dynasty coped with Cheoksawijeong theory(斥邪衛正論) at an early stage and actively carried out ‘reception theory of Seogi(西器受容論)’ by suitably applying principle of ‘what is divided each other into(相分)’ and ‘what needs each other(相須)’ of Do-Gi which zhuzixue proposes, to reality. However, as pressure of reception of Seodo(西道) increased, the center of the theory of Dongdo-Seogi moved toward ‘preservation theory of Dongdo(東道保存論)’ in the late period. Reception of the christianity, Seodo, and any change of political system is denied. The theory of Dongdo-Seogi in late Joseon dynasty showed conservative side historically, as adopting an passive posture on transformation of Dongdo(東道). 중국과 일본에 이어 1876년 조선이 개항을 하게 되면서 개항의 확대와 개화정책의 추진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가운데 신기선申箕善 등에 의해 동도서기론東道西器論이 제기되었다. 동양 3국은 유사한 역사적 상황을 맞으면서 조선에서 제기된 동도서기론은 중국의 중체서용론中體西用論이나 일본의 화혼양재론和魂洋才論과 흔히 대비되기도 한다. 도기론道器論은 원래『주역周易』「계사전繫辭傳」에 나오는 것으로 도는 형이상자形而上者에, 기는 형이하자形而下者에 해당하는 것이었는데, 중국의 주자학에서는 『주역』의 이 도기론을 계승, 발전시켜 형이상자인 도는 불변적이고 형이하자인 기는 가변적인 것이라 하여 ‘서로 나눠지는 것(相分)’이라고 말하면서도 동시에 ‘서로 필요로 하는 것(相須)’이라고 말하였다. 조선 말 동도서기론은 주자학이 제시한 도·기 상분과 상수의 논리를 현실에 적절히 적용하여 초기에는 척사위정론과 맞서면서 적극적인 서기수용론西器受容論을 폈다. 그러나 후기로 오면서 동도서기론은 서도수용의 압박이 높아지자 적극적인 동도보존론東道保存論으로 그 중심이 이동하여 기독교 등 서도의 수용은 물론 어떠한 정치제도의 변화도 반대하고, 동도의 변용에 대해서도 소극적인 자세를 취함에 따라 역사적으로 보수적인 모습을 드러내 보였다.

      • KCI등재

        김윤식의 동도서기론과 개화론

        이지양 열상고전연구회 2014 열상고전연구 Vol.42 No.-

        雲養 金允植(1835~1922)의 東道西器論과 開化論은 일찍부터 학계의 주목 을 받았다. 그것은 운양의 활동 범위가 넓고 운양이 작성한 중요 문서가 많기 때문 이기도 하지만, 운양이 추구한 길이 급박하게 개화에 경도된 지식인들이나 경직된 수구적 지식인들과 달리 유교의 정신적 가치를 지켜가면서 개화를 이루고자 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전통적으로 道와 器는 일치된다는 道器合一의 관점에서 보면, 김윤식처럼 도와 기를 분리시켜 동도와 서기라는 이질적 범주를 하나로 묶는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논리적 모순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고는 김윤식이 어떤 사유의 과정을 거쳐서 동도와 서기를 하나로 연계시켰으며, 그 논리적 모순을 어 떻게 해소했는지 고찰하였다. 또 김윤식이 견지한 동도서기론은 그가 주장한 개화론, 즉 開化란 時務에 힘쓰 는 것이라고 했던 개화론과도 논리적 관계가 모호하다. 그 당시의 개화, 즉 時務 에는 東道의 범주에 드는 것과 西器의 범주에 드는 것이 혼재되어 있었기 때문이 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운양 김윤식의 사유 속에서 ‘동도’ ‘서 기’ ‘개화’ ‘시무’의 개념 및 그 상호 관계를 고찰하였다. Our academia early has noticed the thoughts of Unyang(雲養) Kim Yunsik; the theory of Eastern moral and western material and the theory of enlightenment. The reason isn't only because he had a wide range of activities and he wrote many important documents but also because he tried to achieve the enlightenment in keeping with the spiritual values of Confucianism. Traditionally, in terms of the theory of moral and material unity It is impossible to combine Eastern moral and Western material like Kim Yunsik. Because Eastern moral and Western material are heterogeneous with each other, the combination produces a logical contradiction. This article is investigated his reasoning which combined Eastern moral and Western material and how he resolved the contradiction. Also His theory of Eastern moral and western material is ambiguous with his theory of enlightenment. The enlightenment in that time meant to work for current affairs. But in current affairs we can't separate Eastern moral and western material. Then Kim Yunsik refined how have been logical to think this problem? This study is investigated Eastern moral, western material, enlightenment and current affairs with a focus on the problem.

      • KCI등재

        동도서기론자의 ‘民富國强’론과 민중 인식 ≪한성주보≫를 중심으로

        박은숙 한국근현대사학회 2008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47 No.-

        DongDo-SeoGi(東道西器, Eastern morality and Western technology) theorist wanted construct the modern independent state successfully as a attaining MinBu-GukGang(民富國强, people is rich and nation is strong),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nation and defend the aggression of the outside power. They considered seriously the role of the people in the modern society and thought that there is not a possibility of accomplishing a national wealth and power without MinBu(民富). They thought the people of Korea that to be foolish is dumb, therefore they did not consider that people immediately there is a possibility becoming the master of MinBu(民富). They accordingly educated the people and after changing with the modern worker, the people becoming the master of MinBu. They opposed the hereditariness of slaves and criticized the status system in compliance with the blood inherits. But they did not assert the abolition of slave system and status system. They considered the people with the master of MinBu(民富), it’s point was as a charge person in the economic side, did not consider as a charge person in the democratic institution and the right to vote side. But they regarding the people as the master is very important in historically. DongDo-SeoGi(東道西器, Eastern morality and Western technology) theorist wanted construct the modern independent state successfully as a attaining MinBu-GukGang(民富國强, people is rich and nation is strong),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nation and defend the aggression of the outside power. They considered seriously the role of the people in the modern society and thought that there is not a possibility of accomplishing a national wealth and power without MinBu(民富). They thought the people of Korea that to be foolish is dumb, therefore they did not consider that people immediately there is a possibility becoming the master of MinBu(民富). They accordingly educated the people and after changing with the modern worker, the people becoming the master of MinBu. They opposed the hereditariness of slaves and criticized the status system in compliance with the blood inherits. But they did not assert the abolition of slave system and status system. They considered the people with the master of MinBu(民富), it’s point was as a charge person in the economic side, did not consider as a charge person in the democratic institution and the right to vote side. But they regarding the people as the master is very important in historically.

      • KCI등재

        개항 이후 유학계의 변화와 근대적응 노력

        조광(Cho Kwang) 한국국학진흥원 2004 국학연구 Vol.5 No.-

        개항기에 이르러 조선의 유학계에서는 크게 두가지의 입장이 나타나고 있다. 그 하나는 척사위정론의 입장에서 조정의 근대화 정책에 반대하고 전통적 유학사상을 국가의 지도이념으로 유지하려던 집단이다. 다른 하나는 유학에 대한 전통적 입장을 수정하여 동도서기론적 입장에서 유학을 근대화 과정에 적응시켜 보려던 입장이었다. 그리고 이 동도서기론적 전통을 이어받은 일단의 유학자들은 한일 합방 직전 유교를 근대종교로 개혁하고자 했다. 전통사상이었던 유교를 근대 종교로 개혁하고자 하는 운동은 척사위정론을 배경으로 한 의병투쟁이 한계에 다다른 1909년을 전후하여 집중적으로 전개되었고, 그 대표적 움직임으로는 대동교 운동을 들 수 있다. 이 신종교 운동은 공자를 교조로 삼고, 그 근본이념이 대동주의임을 천명하면서 1909년 9월에 발족했다. 이 운동을 시작한 인물들은 ‘유교구신론’을 제기하던 개신적 유학자들이었다. 한편, 개항기 최말엽 일본 제국주의자들은 의병운동으로 전개된 척사위정斥邪衛正 운동을 무력으로 탄압했다. 그리고 비폭력적 방법에 의한 반제국주의 운동의 성격을 가지고 있던 유교계의 대동교운동에 대해서는 친일본적 사상운동으로 대응해 나가고자 했다. 그리하여 일제는 대동교 운동에 대한 견제작업으로 ‘공자교회’를 발족시켜 친일적 유림들을 결집시키고자 했다. 이들은 통감부와 총독부의 절대적 지원하에 향촌의 여론을 친일적 방향으로 이끌어 가고자 시도했다. 척사위정을 표방하면서 전개되던 의병운동이 좌절되던 과정에서 일부 유교계에서는 무력적 방법이 아닌 대중적 종교운동으로 척사위정의 이념을 전파시키고자 시도하기도 했다. 이러한 계열의 운동을 태극교 운동으로 볼 수 있다. 태극교에서는 유교를 개혁하려는 노력자체를 반대했다. 그라고 개화기에 성취되었던 일련의 근대적 개혁에 대해서 강한 저항을 사도하고 있었다. 이들은 그 종교운동의 형태에 있어서는 근대적 종교의 틀을 갖추고자 했으나 그 이념적 측면에 있어서는 전통사상을 고수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개항기에 이르러 유학계는 시대에 대한 대응의 방법론에 따라 그 갈래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러한 과정에서 유교는 일종의 근대종교화운동을 전개했다. 이 종교운동은 여라 갈래로 전개되었다. 즉, 민족주의적 입장에서 개화를 추진하고자 했던 대동교, 친일적 개화를 추구하던 공자교회, 전통유교의 고수 및 반근대적 움직임을 드러내었던 태극교 등으로 크게 나뉘었다. 그러나 개항기 최말엽에 전개되었던 이 유교계 근대종교운동은 식민지시대에 지속적으로 연결되지 못했다. 그렇지만 시대적 전환기에 대응하고자 하던 이러한 노력으로 인해 한국문화 안에서 오늘날까지 유교적 가르침이 일정한 가능을 담당하게 되었다. By the time of the Opening-of-Ports, the Confucian society in Chosun Dynasty had been divided into two main groups. One group, defending "Confucian orthodoxy against western heterodoxy," was opposed to the modernization efforts of the Chosun government and tried to keep traditional Confucianism as the national ideology. The other, arguing for "eastern morality with western skills," retreated from and tried to modernize traditional Confucianism. The latter attempted to transform Confucianism into a modern religion right before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which later brought about similar attempts from various groups to preserve the leadership of Confucianism in Chosun. The reformation movement of Confucianism into a modern religion reached the peak around 1909 when the war of the rightious army against the Japanese, supporting Confucian orthodoxy against western heterodoxy, came to its limits. Among others, the "Religion of the Ideal Confucian World" (Daedong-Gyo)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reformation movement was founded in September, 1909, with Confucius as the founder and the Daedong doctrine on the Ideal Confucian World. The leaders of the movement were Confucian reformists who proposed a reform theory of Confucianism, following the Chinese Confucian reformist, Kang You-Wei, of the late period of Ching. Based on the reform theory of Confucianism, they tried to transform the Chosun Dynasty into a modern state. Many of them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as an effort to prevent the destruction of Chosun Dynasty and thus opposed the imperialist Japanese invasion of Chosun. Yet less than a year after the movement began,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occurred. After the Annexation, some of the movement workers changed the name of the "Religion of the Ideal Confucian World" to the "Confucian Religion"(Gong-Gyohoi), clearly announcing its religious identity, and tried to preserve the Confucian tradition of Chosun Dynasty. The Japanese imperialists violently oppressed the movement, in defense of Confucian orthodoxy against western heterodoxy, that evolved from the resistance of the rightious army in the last years of the open-door-period. Against the non-violent movement of the Religion of the Ideal Confucian World, however, the Japanese tried to counteract with a pro-Japanese religious movement. They founded the "Religion of Confucius"(Gongja-Gyohoi) in order to solidify pro-Japanese litterati of Confucianism, who with the absolute support of the Japanese Residence-General and Government-General in Korea, tried to form a pro-Japanese public opinion of the country. Frustrated with the resistance of the rightious army supporting Confucian orthodoxy against western heterodoxy, some members of the Confucian society attempted to spread the defending argument of Confucian orthodoxy against western heterodoxy through popular religious, rather than violent, movements. The Religion of Great Ultimate (Taegeuk-Gyo), among others, was opposed to the very efforts to reform Confucianism and strongly resisted a series of modernizing reforms accomplished in the open-door-period. The Religion of Great Ultimate as a social movement tried to establish a modern form of religion but as an ideological movement adhered to traditional thoughts. Other than religious movements mentioned above, various movements for new Confucian religions were prevalent in Chosun immediately prior to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Through these religious movements Confucianism tried to continue its leading ideological role in the Chosun society. Yet new ideologies of Christian teachings, such as Catholicism and Protestantism, and social Darwinism spreaded with strong influences, in the process of which the leadership of Confucianism gradually declined. The Confucian society during the open-door-period responded in various ways to the formation of a modern state.

      • 1880년대 陸用鼎(1843~1917)의 현실인식과 東道西器論

        閔會修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002 韓國史論 Vol.48 No.-

        Yuk Yong Jeong was a person who dedicated himself to a lifetime of hermitage, and also to personal studies honoring his family tradition. He is not that well known to the researchers today, yet his studies and philosophies seem to be worth examining. He gathered vast information of the Western world through Seohak/西學 books which were being introduced to the Chinese people. The <Euijeon Gisul/宜田記述> he authored was based on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gathered in such fashion. This book contains critical views and perspectives toward the society at the time, and echoes the arguments of Park Eun Shik and other figures who supported the idea of Redefining the traditional Confuciantist philosophies. Yet this embodiment of his thoughts and philosophies also lack a sense of direction, and does not seem to be able to forward any viable options to remedy the social problems pointed out by the author himself. As an intellect, he was very disturbed by the Western forces' advance to the Asian societies, but he also supported the idea of Gaehwa/開化, which meant opening the nation to the outer world, as an effective way to counteract the Western threat. It was also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his thoughts that be at the same time supported yet also blamed both the ideas of Gaehwa and the ideas opposing that concept. Such thoughts of his ultimately led to his believing in the Dongdo Seogi philosophies/東道西器論, which supported the acception of Western techniques and industrial facets, while also maintaining efforts to protect essential qualities of the Eastern Worlds. This philosophy was originally suggested by intellectual figures such as Shin Gi Seon/申箕善 and Kim Yun shik/金允植 during the 1880s, and abiding by that basci guideline has been accepted as the official position of the government(under King Gojong's/高宗 reign) in terms of dealing with the Gaehwa issue. Yuk Yong Jeong's own view of the Dongdo Seogi philosophy also had some unique characteristics, like introducing the Sang/常 and Byeon/變 concepts in interpreting the status of realization of the Dongdo concept(the Eastern essence) inside the real world, or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haracter building which should be achieved by unwavering and continuous efforts, or maintaining relatively objective opinions toward the Western world, without unnecessary contempt or blind praise. His thoughts do represent one of the many facets that the Dongdo Seogi philosophy had featured at the time.

      • KCI등재

        三星齋 柳台衡의 현실인식과 개혁론

        이욱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5 인천학연구 Vol.22 No.-

        This study examined the philosophy of Ryu Tae‐hyeong, a scholar and bureaucrat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its characteristics. Ryu was a member of the Sisinae (始川) clan of Ryu’s family from Jinju. His family was a prestigious family representing Bupyeong, but belonged to the Sobuk line (小北系), a political minority. This environment is believed to have exerted significant influence on his life and the development of his philosophy. His life extended through historic events such as the so‐called 1862 Peasant Uprising, the reign of Prince Daewongun, and the opening of the country to foreign powers. His perception of reality and reform theory were closely linked to such historical situations. He criticized narrow‐minded Neo‐Confucian scholars, and advocated pragmatic and creative thinking. He asserted reforming evil practices prevalent throughout the Joseon society, and committed himself to making strategies to cope with imperialist powers. His perception of domestic political situations was on the same line with that of Daewongun. He believed that the root of the 1896 Peasant Uprising was in the inadequate operation of the tax policies. For this reason, he argued for the thorough reform of the three levies (三政). In order to correct evil practices in military service, he maintained the reform of private academies, and proposed a unique reform plan for the seed grain loan system. In addition, he expressed his active support for Daewongun’s reform policies. As to his perception of foreign relations, on the other hand, he can be called a typical theorist of Dong‐do‐seo‐gi (東道西器論者–theory pursuing Eastern moralities and Western things). He was negative against the indiscreet import of Western civilization. Nevertheless, he insisted on active import of Western weapons including cannons and Western scientific civilization. His intention was to resist Western powers’ invasion and exploitation. These arguments came from his open attitude toward Neo‐Confucianism. Different from other Neo‐Confucian scholars, he criticized the attitude of relying only on Chu Hsi's annotations in study. Rather he believed it more important to grasp the essence of learning through practice in person and serious research. This attitude led him to recognize Western pragmatic weapons and scientific civilization, and advocated the active import of these things. In this sense, his philosophy is considered a somewhat advanced form of the theory of Dong‐do‐seo‐gi. 이 글은 19세기말의 학자이자 관료인 류태형의 사상과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는 부평에 세거하던 진주류씨(晉州柳氏) 시시내(始川) 문중의 일원이었다. 그의 집안은 부평을 대표하는 명문가였으나, 정치적으로 소수파였던 소북계(小北系)에 속하였다. 이러한 환경은 그의 생애와 사상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그가 살았던 시기는 이른바 임술농민항쟁과 대원군 집권기, 그리고 문호개방에 걸쳐있었다. 그의 현실 인식과 개혁론은 이러한 시대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그는 고루한 주자학자를 비판하면서 실용적이고 창조적인 사고 전환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조선사회에 만연한 폐단들을 개혁하자고 주장하였고, 제국주의 열강에 대응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골몰하였다. 국내 정치 상황과 개혁 방법에 대한 그의 인식은 대원군의 그것과 궤를 같이 하였다. 그는 1862년 농민항쟁의 근원이 조세정책의 잘못된 운영에 있다고 파악하였다. 때문에 삼정(三政)의 운영상의 폐단을 바로 잡자고 주장하였다. 특히 그의 개혁안 중에서 특기할만한 것은 환곡제도 개혁이었다. 그는 환곡 제도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환곡이 장부상으로만 존재한다는데 있다고 보았다. 때문에 국가와 관료, 그리고 일반 백성들이 모두 부담하여 원곡을 보충하자고 하였다. 그리고 이로 인한 야기되는 경비 부족문제는 현인 1인당 한 개의 서원만 허용하고, 나머지 서원은 모두 혁파하여 국가재정에 귀속시키자고 하였다. 아울러 대원군의 개혁정책에 적극적인 지지를 표명하고 있다. 한편 대외관계에 대한 인식은 전형적인 동도서기론자(東道西器論者)라고 할 수 있었다. 그는 무분별한 서양문물의 도입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었다. 하지만 대포를 비롯한 서양의 무기와 서양의 과학 문명은 적극적으로 받아들이자고 주장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서양세력의 침탈을 막아내자는 것이었다. 그의 이러한 주장은 주자학에 대해 개방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그는 여타 주자학자와 달리 학문을 연구함에 있어 주자의 주석에만 의존하는 태도를 비판하였다. 오히려 스스로의 실천과 진지한 연구를 통해 학문의 요체를 파악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하였다. 이러한 자세가 실용적인 서양의 무기와 과학 문명을 긍정적으로 파악하게 하였고, 그것의 적극적인 도입을 주장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런 점에서 그의 사상은 동도서기론 중에서도 좀더 발전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