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구화 조건 안에서 본 문화 정체성과 주체성 : 문화혼합시대의 공共주체적 혼성 자아의 구성

        홍윤기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1 사회와 철학 Vol.0 No.1

        문화 담론에서 보편과 특수의 문제는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이다. 그러나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보편과 특수의 내용을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보편-특수의 이진법 코드로 전개되는 담론 맥락의 정치적 성격이다. 이 이진법 코드는 술어를 실체화함으로써 이 술어에 해당되는 주체들의 실존을 은폐하고, 특수에 대한 보편의 우월성을 개념 구도 안에서 미리 상정하고 들어간다. 따라서 이 개념 구도 안에서 전개되는 모든 문화 담론은 불가피하게 보편에 대한 특수의 식민지성을 인정하고, 보편에로 포섭되는 담론 결과를 산출한다. 이런 개념식민지성을 근절하기 위해 이 이진법 코드 안에서 보편에 대해 다양한 재해석이 개진되었다. 흄의 유명론을 원용한 탁석산 선생의 정체성 논의는 보편을 유명론적으로 해소시키려고 했으나, 보편의 개념 명칭만 탈각시키고 보편적인 것으로 지목된 미국의 문화적 힘에는 그대로 보편적 포섭력을 인정한다. 즉, 보편의 이름은 없어졌으면서도 그 권력적 실체는 제대로 투시되지 않았다. 보편을 문화종합으로 재해석한 김여수 선생의 논변은 독단론적 보편주의와 문화 상대주의를 벗어났으나, 보편 안에 실현 불가능한 이념 내용을 담은 나머지 그 누구도 실현할 수 없는 보편성을 제시하였다. 이런 논의 결과에 따라 필자는 문화담론에서 보편-특수의 개념식민지적 이진법 담론 방식 대신 그 술어 뒤에 은폐된 주체들을 복귀시켜 문화담론을 '나-남' 또는 '나-타자'의 공동 주체성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 활동 주체들로 재편성하였다. 이런 입장에서 문화 담론의 권력성은 나와 타자의 만남의 방식을 통해 공동으로 규정되는 것으로 부각된다. 이런 구도 안에서 보면 타자의 생활권生活圈을 물화시켜 전면 부정하는 서양 현대의 주체는 몰주체적인 단독 주체성에 다름 아니다. 문화 이론에서 본 지구화의 과정이 그 어떤 관념적 최적점을 찾는 문화종합이 아니라 다양한 문화 맥락의 복합적 혼합, 즉 문화혼합의 연속이라고 했을 때, 모든 정체성과 주체성 담론의 출발점은 순종의 자폐적 자아가 아니라 문화혼합 속에서 자기 나름의 생활영역과 생활양식을 선택적으로 취하는 일종의 '혼성 자아'이다. 이 혼성 자아들은 다른 자아와의 상생을 통해서만 존립 가능하다고 했을 때, 특히 세계화와 민족 분단의 극복이라는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추구해야 하는 것은 혼성 자아들의 공共주체성이다.

      • KCI등재후보

        선군시대의 관료문화

        박상익 ( Sang Eeg Park ) 북한연구학회 2009 北韓硏究學會報 Vol.13 No.1

        북한의 관료문화는 전통문화 및 사회주의 정치문화, 당-국가관료제 그리고 통치이데올로기로서 주체사상의 구조적 동인에 의하여 형성되었으며, `주체 관료문화` 의 특성을 나타낸다. 이를 기능적으로 구분하면 첫째, 주체기능적 관료문화로 집단주의의 관료문화와 군중노선·동원의 관료문화를 들 수 있다. 둘째, 주체역기능적 관료문화로 종파·지방·가족·연고주의 등의 관료문화와 권위주의 등 제(諸) 관료문화를 들 수 있다. 끝으로 주체모순적 관료문화로 수령절대주의의 관료문화와 이기·기관본위주의의 관료문화, 기술신비주의 관료문화를 들 수 있다. 1990년대 이후 선군시대의 북한 관료문화는 계획실패와 위기·부족의 심화로 관료적 분배와 정치적 보상체계의 변화를 가져오며, 공적 시스템의 약화로 공식과 비공식이 서로 다른 행태, 즉 이중적인 성격의 여러 다양한 모습이 나타났다. 특히 `고난의 행군` 시기에는 생존을 위한 관료일탈로 연줄과 뇌물의 메커니즘 속에서 관료부패가 일반화되기 시작했다. 이와 같이 계획경제 자체에서 기인한 부족경제와 계획경제를 수행하는 위계적인 관료제 자체의 문제로 발생하는 `계획의 무정부성`은 북한이 지속적으로 비판해 온 지방주의·기관 본위주의 등 부정적 관료문화와 생존을 위한 경제적 성격으로 변질되어 사회주의적 가치의식의 변화, 즉 집단주의와 가족주의의 약화, 개인이기주의 등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었다. 현재 경제난의 지속과 7·1조치로 대표되는 기관 및 개인 차원의 경쟁을 유발하는 `실리 사회주의`의 도입으로 인해 부정부패현상의 출현은 불가피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북한사회 전반은 혁명전통과 주체사상, 선군사상 등 사상에 의한 체제 정당성 제고 노력을 지속하고 있지만, `실리 사회주의`의 등장으로 혁명 이념성의 퇴조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선군시대의 북한 관료문화 흐름의 변화를 다음과 같이 전망할 수 있다. 첫째, 정치문화적으로 전통적 집단주의 관료문화는 실리주의의 행위양식 즉, 개인주의로 변화되며, 둘째, 관료제는 선군정치하의 당-국가 관료제 속에서 반사회주의적 관료문화는 지속되며, 셋째, 주체사상을 구현한 선군사상이 위기관리 방식의 작동 원리로 기능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ureaucratic characters in North Korea. Bureaucracy culture in North Korea was greatly influenced by traditional culture and socialist political culture, Party-State Bureaucracy and Ju-Che culture (a ruling system in North Korea). The structure of Bureaucracy culture in North Korea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sections in this paper, and the first one is Ju-Che functional bureaucracy culture, the second one is Ju-Che reverse functional bureaucracy culture, and the last one is Ju-Che contradictory bureaucracy culture. After the 1990s, the bureaucratic culture of `Son-gun era` in North Korea has brought about changes in bureaucratic distribution and political-reward-system due to the plan`s failure and crisis and severeness of shortage, and it shows a variety of different, namely ambivalent, features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because of weakened public system. Especially, because of the bureaucrats` deviation for survival during `Arduous March,` in the mechanism of connections and bribery, the bureaucratic corruption started to become common. These shortage economy caused by planned economy and `anarchistic plans` caused by hierarchical bureaucracy, which performs the planned economy, have brought about such changes in socialistic value-consciousness as weakened collectivism and familism and selfish individualism because it is changed into economic desire for survival and such negative bureaucratic culture as regionalism, bureau-centralism, etc, which North Korea continued to criticize. Because of continuing economic hardship in the present and adoption of `utilitarian socialism`-such as `7·1 improvement of economic management` in 2002-which encourages competition among institutions and individuals, the phenomena of corruption appears inevitable. Though, for this reason, the whole North Korea society keeps trying to strengthen the legitimacy of North Korea regime through the tradition of revolution, Juche-ideology, Sun-gun ideology, etc, it seems that the advent of `utilitarian socialism` makes people experience the decline of revolutionary ideology. In conclusion, the changes of bureaucratic culture in North Korea can be predicted as following. First, in terms of political-culture, the traditionally collective bureaucratic culture has changed into the individualism as a way of utilitarian behavior. Second, in the party-state-bureaucracy under Military-first Politics, anti-socialistic bureaucratic culture has been sustained. Third, the Son-gun ideology that actualizes Juche-ideology has functioned as a method for managing the crises. The main causes of the changed bureaucracy culture in North Korea are the failure in the national economy and its consequential laxity in political and social order. In this situation, the features of changes in the consciousness of the common people and the bureaucrats are homogeneous though each of them is situated in different circumstances and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m. The social position of bureaucrats, who have to serve the country and the regime and the way of solving the problems related to livelihood, has brought about direct conversions in the consciousness and livelihood. The decline in authority of bureaucrats, which has been resulted from laxity in social and political order, prevalence of deviant bureaucratic-culture through the position, and limit in ruling ideology show the changed and changing various features in bureaucratic culture of North Korea.

      • KCI등재

        문화교섭의 측면에서 본 三國遺事의 아내 얻기 이야기(得妻談)

        임재욱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9 국어교육연구 Vol.- No.69

        이 논문은 삼국유사에 수록된, 아내 얻기를 모티프로 하는 이야기(得妻談)를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거기에서 드러나는 특징적 양상과 의미를 문화교섭의 측면에서 살핀 글이다. 삼국유사의 수많은 설화 중에서 아내 얻기 이야기에 해당하는 작품은 단군, 주몽, 혁거세, 도화녀 비형랑, 거타지, 경문대왕, 무왕, 수로왕, 조신의 꿈, 원효, 김현감호 이야기로 모두 11편이다. 이러한 이야기들에서 아내를 얻어 결혼을 하게 되는 교섭 주체들은 대개 위대한 업적을 남겼거나 큰 깨달음을 얻은 인물로 나타난다. 이러한 이야기는 교섭의 범위와 대상, 교섭 방식, 교섭 결과, 교섭 주체의 노력 등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교섭의 범위와 대상은 異家, 異域, 異國, 異界, 異物 등으로 나타나는데, 異家에서 異界·異物로 나아가면서 교섭의 주체와 대상 사이의 거리는 점점 멀어지고 그 범위도 넓어진다. 그리고 교섭 주체와 대상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고 범위가 넓어질수록 교섭의 결과는 더욱 위대해지는 경향이 나타난다. 아내 얻기 이야기에서의 교섭 방식은 부모와 국인과 같은 제3자의 허락이나 도움을 받는 公認型과 교섭 주체의 자발적 의지에 따라 혼인이 이루어지는 私合型으로 나뉜다. 그런데 사합형에 해당하는 사례들에서는 교섭의 결과가 모두 뚜렷하게 드러나는 것과 달리, 공인형에 해당하는 사례들에서는 교섭의 결과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지만 나타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자발적 의사에 따라 결혼이 이루어지는 사합형에서는 모든 사례에서 교섭의 주체가 아내를 얻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기 때문에 그 결과도 예외 없이 나타나지만, 공인형의 일부 사례에서 신의 계시나 부모에 시혜로 아내가 주어지기 때문에 아내를 얻기 위한 교섭 주체의 의지와 노력이 잘 드러나지 않는 경우에는 그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채로 이야기가 마무리되는 것이다. 이러한 양상을 보이는 삼국유사의 아내 얻기 이야기는 다문화 및 문화교섭과 관련하여, 1) 오늘날 우리 사회가 처한 문화교섭 현상이 기피할 것이 아니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또 적극적으로 장려해야 할 것이며, 타문화와의 교섭이 새롭고 위대한 문화 창조의 원천이 될 수 있다는 것, 2) 교섭 주체와 대상은 다르면 다를수록, 주체와 대상 사이의 거리는 멀면 멀수록 성취의 수준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 3) 주체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이 있을 때 문화교섭의 결과 또한 자연스럽게 산출되는 것이지, 필요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그것이 저절로 이루어지리라고 기대하기만 해서는 결실 자체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 4) 문화교섭을 통해 더욱 위대하고 창조적인 문화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좋은 문화를 선택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르고 그러한 문화를 받아들이기 위한 지혜와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 5) 문화 교섭에서는 상대방 문화의 겉모습보다는 내면과 실리를 중시해야 하고, 우수한 타문화와의 교섭에 성공하고 그것을 통해 새로운 문화를 창달하기 위해서는 현자의 지혜로운 생각을 수용할 수 있는 열린 마음과 유연한 태도가 필요하다는 점 등을 말해준다. This paper analyzes the motif of getting a wife in the stories of Samgukyusa(三國遺事)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stories in terms of cultural exchange. There are about 11 stories about the topic of getting a wife in Samgukyusa. They are the story of Dangun(檀君), Jumong(朱蒙), Hyeokgeose(赫居世), Dowhaneo and Bihyeongrang(桃花女 鼻荊郞), Geotaji(居陀知), Kyungmun Great King(景文大王), Muwang(武王), Suro(首露), Josin dream(調信夢), Wonhyo(元曉) and Kim Hyun(金現). In these stories, the subject who get married with their wives are generally those who left great achievements or gained great enlightenments. These stories can be divided into various types depending on the scope and counterpart of exchange, the way of exchange, the outcome of exchange, and the efforts of exchanging subjects. The scope and counterpart of the exchange is represented by different families, different regions, different countries, different worlds, different animals and so on. As it move from different families to different worlds and animals, the distance between the subject of the exchange and the counterpart is getting farther away and its scope is widening. An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exchanging subject and the counterpart gets wider and the range becomes wider, the result of the exchange tends to become greater. The method of exchange in the story of getting a wife is divided into a private union type in which the marriage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voluntary will and an officially authorized type in which the subject receives the permission or help of the third party such as the parents and the citizen.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vate union type, the result of the exchange is all clear, whereas in the case of the officially authorized type, the result of the exchange is sometimes seen but not all the case. In some cases of officially authorized type, when the will and effort of the exchanging subject to obtain a wife does not appear because the wives are given to him by God’s revelation or parent’s dispensation, the story ends without the results being presented.

      • KCI등재

        북한 관료문화의 특성 '주체 관료문화'

        박상익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08 북한학연구 Vol.4 No.1

        The paper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 of North Korean bureaucracy. Bureaucracy culture in North Korea was greatly influenced by traditional culture and socialist political culture, Party-State Bureaucracy and Ju-Che culture (a ruling system in North Korea). The structure of Bureaucracy culture in North Korea is to be classify into three sections in this paper, and first one is Ju-Che functional bureaucracy culture, second one is Ju-Che reverse functional bureaucracy culture and finally, Ju-Che contradictory bureaucracy culture. To begin with, the first trait of Juche-functional bureaucratic culture is the bureaucratic culture based on collectivism. Though the value of collectivism is very common in socialistic system, it is more powerful in North Korea by connecting it to traditional spirit of collectivism in the East. Especially, in the core of North Korea's collectively-bureaucratic-culture, the existence of Su-Ryung forms the special feature of North Korea's regime. Second, there is the bureaucratic culture of mass-line/mobilization: in North Korea, mass-line has been adopted as a way to overcome bureaucratic culture's such problems as communalism, regionalism, familism, nepotism and used for the mobilization of people. Next, as Juche-reverse bureaucratic culture, there is bureaucratic cultures such as communalism, regionalism, familism, nepotism, etc. Especially, the bureaucratic culture such as communalism has been formed through postwar North Korea's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dynamic situations. In the processes of postwar reconstruction, socialist revolution, establishment of socialism, solidification of Jaju-line (self-reliance line), and the elimination of communalism provided a just cause for the establishment of Kim, Il-Sung's absolute dictatorship. Second, there are bureaucratic cultures such as authoritarianism. In the process of solidifying party's rule, the authoritarianism became typical feature. Lastly, the first of several features of Juche-contradictional-bureaucratic-culture is the bureaucratic culture of Su-Ryung-absolutism. The bureaucratic culture in Su-Ryung-absolutism precipitated the seclusion, and the principle of perfect performance of Kim, Il-Sung and Kim Jung-Il's instructions as well as unconditional performance and absolutism created bureaucratic human being, which leaded to limit and restrict the creativity and reformation. Second, there is bureaucratic culture of selfishness and bureau-centralism. The socialistic economic system in North Korea could not overcome the problems of bureaucratic dictatorship in reality because it maintains centralized-planned- economy which is based on the social possession of productive means. Third, the bureaucratic culture of technology-mysticism, which means the idolization of scientific technology or material-technological condition, has been criticized because its passivism and conservatism mystify the science and technology making them regarded as things for scientists or engineers. Accordingly, though this technology-mysticism was criticized alongside of passivism, conservatism, flunkyism, empiricism, etc., maintaining Juche-ideology and planned economic system, which totally eliminates creativity, cannot help making the bureaucratic culture of technology-mysticism and contradictional-Juche-culture coexist. 북한의 관료문화는 전통문화 및 사회주의 정치문화, 당-국가관료제(Party-State Bureaucracy) 그리고 통치이데올로기로서 주체사상의 구조적 동인에 의하여 형성되었으며, ‘주체 관료문화’의 특성을 나타낸다. 이를 기능적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체기능적 관료문화로 첫째, 집단주의의 관료문화를 들 수 있다. 수령중심의 유일지배체제가 강력한 사회통합을 지향하고, 남북한이 대치하고 있는 일상적 위기상황으로 집단주의적 경향성은 더욱 심화되었다. 특히, 북한의 집단주의 관료문화의 핵심에는 수령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북한 체제의 특수성을 구성한다. 둘째, 군중노선․동원의 관료문화로 북한에서는 종파․지방․가족․연고주의 등 관료문화의 병리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군중노선을 채택하여 대중동원에 활용해 왔다. 다음으로 주체역기능적 관료문화로 첫째, 종파․지방․가족․연고주의 등의 관료문화를 들 수 있다. 특히, 종파주의 등 관료문화는 전후 북한의 정치경제적으로 역동적인 상황 속에서 형성되었다. 전후복구와 경제건설의 기초를 구축하기 위한 노선과 관련하여 이견이 당내 헤게모니의 틀 안에서 갈등구조를 형성하고 있었다. 전후 복구 및 사회주의혁명, 사회주의건설과 자주노선의 확립과정에서 종파주의 등의 척결은 김일성 유일지배체제를 구축할 수 있는 명분을 제공하였다. 둘째, 권위주의 등 제(諸) 관료문화를 들 수 있다. 당적지배가 관철되는 과정에서 권위주의가 일반적인 성향이 되었다. 끝으로 주체모순적 관료문화로 첫째, 수령절대주의의 관료문화를 들 수 있다. 수령절대주의에서의 관료문화는 폐쇄화를 더욱 촉진시키고 있으며, 김일성․김정일 교시의 관철이나 무조건성․절대성은 관료주의적 인간을 만들고 창의력과 혁신성을 제약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둘째, 이기․기관본위주의의 관료문화를 들 수 있다. 북한 사회주의 경제체제는 생산수단의 사회적 소유에 기초한 중앙집권적 명령계획경제를 유지함으로써 현실적으로는 관료적 독재의 폐해로부터 벗어나지 못하였다. 셋째, 기술신비주의 관료문화는 과학 기술과 물질 기술적 조건을 우상화하는 것으로, 소극성과 보수주의는 과학과 기술을 신비화하고 과학과 기술을 과학자와 기술자들이나 하는 것으로 여겨 생각하게 만듦으로써 비판되었다. 이와 같이 기술신비주의는 소극성, 보수주의, 사대주의, 경험주의 등과 함께 비판되었으나 창의성을 근본적으로 말살하는 주체사상과 계획경제 시스템의 유지는 기술신비주의 관료문화가 모순의 주체문화와 양립하여 지속될 수밖에 없었다.

      • KCI등재

        ‘개인공동체’로서의 굿문화 엿보기

        박흥주(Park, Heung-Ju) 실천민속학회 2016 실천민속학연구 Vol.27 No.-

        한국민속 내에 잠재된 가능성에 대한 인식력 제고와 더불어, 이제까지 한국민속학이 이룬성과를 재창출의 토대와 가능성으로 적극 활용하려는 인식제고에 관심을 갖고, 그 한 방안으로서 한국민속문화가 갖고 있는 공동체의 실상과 그 특성에 주목하였다. 현대 사회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공동체론과 그 실체 형성에 기여할 방안을 찾기 위해 굿문화를 대상으로 살펴본 결과, 개체와 집단과의 관계는 상보적이어야 하는 공동체였으며, 상생하기 위해서는 개체성을 최대화시키고 집단성을 최소화시키는 인식체계가 도출됐다. 이를 실제상황에서 매 순간마다 최대한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주체성(내 멋), 원초성, 즉흥성(시나위), 현장성을 얼마나 살려나가는 가가 관건이었다. 현대사회는 “자본주의 인간형으로서의 개인이 확산 심화되는 상황에서 개인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 것이며, 공동체와의 관계가 계속 서로에게 유익할 것인가, 공동체와의 바람직한 현재적 관계 설정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진단으로 요약될 수 있었다. 현대인들은 자신 이외의 모든 사회 구성원들이 자신을 주체로 간주해주지 않는 상황에 직면해 있으며, 거대한 타자들의 대상화에 대항해 홀로만 스스로를 주체라고 주장하는 사태에 직면하고 있다. 점점 구성원들 사이에서 주체적 존재로 인정받거나 상호협력이 불가능한 상황으로 치닫는 중이다. 그것이 극명하게 드러나는 현상을 ‘익명성’에 자신을 숨기는 개인의 확산이라고 봤다. 그러면서도 관계에 대한 필요와 욕구는 상존해 있다. 익명성은 필요한 내용을 그 순간(한정된 시간)만 공유하기를 원한다는 특징을 보인다. 익명성이 자신을 보호할뿐더러 오히려 자신의 주체성을 적극 발현시킬 수 있는 장치와 통로로 전환시키는 방안이 되고, 익명성을 유지하면서도 상호 협력할 수 있는 적절한 접점을 찾는 공동체를 찾을 수 있다면, 익명성과 한정된 시간을 공유하려는 현대인들의 속성을 굳이 부정할 필요가 없을 것이며, 오히려 시대성을 획득한 적절한 현대의 공동체문화를 구축할 돌파구일 수 있다. 그 접점찾기에서 굿문화의 공동체성에 주목해봤다. 집단보다는 개체의 절대성과 주체성 발현을 최대한 보장하려는 굿문화의 인식목표는 현대인들이 개인의 주체성을 견지하려는 목표와 상통한다. 익명성 또한 굿문화는 이를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이 내재된 것으로 보았다. 그것은 즉흥성과 현장성에서 도출됐다. 즉흥성은 그 순간의 상황과 관계를 개체가 주체적으로 소화해서 적극 자신을 발현시켜내는 것으로서, 이를 그 현장에 있는 집단(다른 개체들)으로부터 ‘인정받음’을 획득하거나 집단이 그 개체의 즉흥성을 인정하게 될 때 서로 ‘하나’가 되는데 기여할 수 있었다. 익명성으로 실체를 가린 상태라 하더라도 이는 가능했다. 굿문화에서도 익명성이 필요로 할 때는 탈(가면)과 인형이라는 장치를 적극 활용하였다. 사회전체와 개인이라는 관계가 설정될 수밖에 없는 현대인들에게는 익명성이 자신의 주체성을 보호받을 수 있는 좋은 ‘탈’일 수 있으며, 한시적인 만남은 이를 안정적으로 발현시켜줄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현대인 저마다의 주체성 발현이 ‘내 멋’이 되고, 내 멋에 원초성도 담보된 문화를 갖게 될 때, 그 만남의 순간만을 최대한 내 멋으로 즐기는 것이 시나위적으로 조화를 이룬다면 공동체형성에 긍정적일 것으로 봤다. 본고에서는 이를 찾아가는데 있어 ‘개체성(개인)을 최대한 존중하는 공동체상’을 ‘개인공동체’라는 용어와 개념으로 수렴시켜봤으며, 구체적인 개인공동체문화를 만들어가는 데 있어 굿문화가 갖고 있는 공동체성의 기여 가능성을 문화력 차원에서 제기하였다.

      • KCI등재

        연구몰입환경을 돕는 과학기술 연구행정 문화 제시 : 주체적 책임 문화

        황광선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3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7 No.10

        과학기술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에 대한 여러 문화적 진단과 이해가 학계에 제시되어 있음에도 “연구몰 입을 돕는 연구행정 문화”에 대한 갈증은 매우 높다. 기존 연구에서, 연구몰입을 돕는 연구행정을 지향하는 문화 는 “연구자의 성과를 향한 행정 문화”로 제시된 바 있는데, 이 연구행정 문화는 정확히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기술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몰입환경을 위한 바람직한 연구행정 문화를 발굴하여 제시 하는 데에 있다. 인터뷰를 통한 질적분석 결과, 출연연의 연구행정 문화는 ‘임무 내 책임 문화’에서 ‘(임무에 대한) 주체적 책임 문화’로 변화해야 됨을 본 연구는 역설하였다. 이 주체적 책임 문화에서 ‘주체’는 스스로 판단하고 제 안하며 연구직과 행정지원직 서로가 전문 집단인력(파트너십)으로서의 역할을 해내는 것이다. 주체적 책임 문화에 서 ‘책임’이란 업무 내 책임을 능가하여 행정직들이 연구직들에게 적극적으로 자신의 업무를 이해·설득시키려는 노 력을 의미하고, ‘조직’안의 책임이 아닌 ‘나’의 책임 의식을 강화, 즉, 임무 내 책임만이 아닌, 임무 내외적으로 나 와 연관된 책임에 대해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조직 성과 혹은 연구 성과를 돕는 차원에서의 행정에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Although various cultural diagnoses and understandings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are presented in the academic world, the thirst for a “research administrative culture that helps people focus on research” is very high. In existing research, the culture that aims for research administration that helps immersion in research has been presented as “administrative culture toward researchers’ performance,” but what exactly does this research administration culture me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and present a desirable research administration culture for a research immersion environment at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interviews, this study emphasized that the research administration culture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must change from ‘a culture of responsibility within the mission’ to a ‘culture of independent responsibility (for the mission).’ In this independent responsibility culture, the ‘subject’ makes his own judgments and suggestions, and the researchers and administrative support staff each play the role of a professional group (partnership). In the independent responsibility culture, 'responsibility' means the efforts of administrative staff to actively understand and convince researchers of their work by exceeding the responsibilities within the work, strengthening the sense of 'my' responsibility rather than the responsibility within the 'organization', In other words, it means actively accepting not only responsibilities within the mission, but also responsibilities related to oneself both inside and outside the mission, and applying them to administration in a way that helps organizational performance or research results.

      • KCI등재

        문화와 주체

        천호강(Chun, Ho Ka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15 노어노문학 Vol.27 No.3

        본 논문은 레닌과 보그다노프의 철학적 이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들이 사고하는 문화와 주체에 대한 관점을 비교 분석한다. 본론에서는 러시아 혁명기의 사회정치적 맥락을 간략히 살펴보고, 사회전반의 삶의 방식으로 창조되고 향유되는 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입장과 연결되는 두 사상가의 기본적인 철학적 관점을 고찰하여 레닌의 변증법적 유물론과 보그다노프의 경험일원론과 조직학을 분석한다. 그 다음에 시월혁명 이후 사회변혁의 과제에서 두 혁명가가 내세운 문화의 위치와 주체의 설정 문제에 접근한다. 보그다노프는 기존의 문화와는 다른 프롤레타리아트의 독자적 문화를 만들자는 입장이었고, 레닌은 기존 문화의 계승과 새로운 문화의 형성을 당파성으로 결합하자고 주장했다. 보그다노프는 ‘문화강령’에서 혁명의 주체가 과거 문화에 종속되어 있으면 정치적 변혁이 지속될 수 없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사실상 레닌 자신이 체계를 세운 문화론은 존재하지 않았으나, ‘전위정당’과 프롤레타리아트에 대한 그의 이론을 문화영역에 적용하면 레닌의 ‘문화론’이 어느 정도 재구성될 수 있다. 부르주아 문화와는 독립적이며 아직 존재하지는 않지만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프롤레타리아 문화 창조에 대한 가설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보그다노프의 ‘집단주의 문화론’과 레닌의 ‘문화론’은 통합적으로 재조명될 수 있다. In this study we compare and analyze the perspective of V. Lenin and A. Bogdanov on ‘the culture and subject’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ir philosophy.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divided into two themes. First of all, we consider the difference of the philosophical position between the two thinkers in the social and political context at the time of the Russian Revolution. There is analyzed in relation to the dialectical materialism of Lenin and the empiriomonism and the tectology of Bogdanov. The second topic is the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of social change and their culture during the October Revolution. Here we approached to the problems of ‘cultural and subject" in accordance with the theory of Lenin and Bogdanov. Bogdanov claimed to make proletarian culture that distinguishes itself from traditional culture. Lenin argued connection through partisanship between traditional and new cultures. By "cultural program" of Bogdanov, if the subject of the revolution depends on the culture of the past, the political reform will not continue. Lenin did not have a certain cultural theoretical framework. But Lenin"s theory of "vanguard party" and the proletariat can be applied to areas of culture. Through this search, Lenin"s "cultural theory" can be reframed. According to this, it may be obtained hypothesis to create proletarian culture which is independent of bourgeois culture and does not yet exist and "given from the outside" in connection with the class interests. In this regard, the concept of "theory of collectivistic culture" of Bogdanov and "externality" of Lenin may be reviewed again.

      • KCI등재

        지역문화정책 주체의 운영실태 분석 -전국 광역문화재단을 중심으로-

        전인석,채경진 한국정책개발학회 2019 정책개발연구 Vol.19 No.2

        Since the enactment of the Local Culture Promotion Act, the establishment of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 has been increasing rapidly.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s and The Regional Cultural Foundations,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plays an important role as the main actors of cultural policy enforcement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but the research on the operation and system of them is not active yet. In particular, the central government-wide uniform support system, which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local administrative conditions or circumstances, is acting as a cause of making it difficult to promote cultural policies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situation in terms of organizational system, workforce, budget structure, and project to analyze the conditions of 16 Regional Cultural Foundations that are the main actors of regional cultural polic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egional Cultural Foundations have different positions in terms of organization, workforce status, budget, and project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o support the artistic creation of the central unit considering regional gaps, accumulate actual data through regular surveys by the Regional Cultural Foundation, and strengthen the role of coordinator of the Korea Regional Cultural Support Council. 지역문화진흥법 제정 이후 지역문화재단 설치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인 광역문화재단은 지방분권화 시대에 문화정책 집행의 운영 주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중앙정부와 기초문화재단의 문화정책의 연결고리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어 지역문화정책의 중요한 주체로 볼 수 있지만 아직까지 이들에 대한 운영이나 체계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현재처럼 지역의 행정적 여건이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중앙정부 중심의 일률적 지원체계는 지역특성을 반영한 문화정책 추진을 어렵게 만드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지역문화정책의 주체인 16개 광역문화재단의 여건을 분석하기 위해 조직 체계, 인력 현황, 예산 구조 및 사업 측면에서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조직, 인력, 예산 및 사업에 있어서 지역문화재단 간 편차가 나타나고 여건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지역 간 격차를 고려한 중앙단위의 예술창작 지원, 광역문화재단의 정기조사를 통한 실태자료 축적, 한국지역문화지원협의회의 조정자 역할의 강화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중국문화의 정신요소와 인문정신

        이상선 ( Sang-sun Lee ) 한국공자학회 2015 공자학 Vol.29 No.-

        문화의 주체는 사람이고 사람은 문화를 벗어날 수 없으므로 문화생명체다. 사람은 문화라는 거대한 정신적 물질적 토대에서 생활할 수밖에 없는 문화적 존재이고 운명적 존재다. 중국문화의 모든 문화활동은 문화주체(덕성주체)인 사람에 의해 전개된다. 즉 문화주체에 의하여 천차만별의 다양한 문화현상으로 표현된다. 천인합일은 중국의 문화철학의 방법론적인 원칙이다. 따라서 중국문화는 천(天)과 사람을 소통하는 교량이고, 인류의 문화창조는 ‘천인합일’중에 발생되고 또 완전하게 된다. 중국문화발전의동력의 시각으로 보면 천명(天命)도 문화를 추진하는 종극적인근원임과 동시에 문화생명체의 귀착점이다. 문화는 사람이 창조한 것이므로 모든 문화의 정신이 곧 인문정신이다. 따라서 중국문화의 정신이 곧 중국의 인문정신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문화가 말한 ‘성인경계’는 사람의 심령경계이지신(神)이 아니고 사람은 모두가 요순과 같이 성인경계에 도달할수 있다. 그러므로 그것은 인문주의적일 뿐만 아니라 중국의 인문정신이 있는 곳이다. 덕성을 실현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는 덕성문화가 중국의 원형문화라고 할 수 있고, 또 인문정신이 드러난 곳이라고 할 수 있다. ‘덕성문화’는 정감을 사람의 기본적인 존재방식으로 간주할뿐만 아니라 동시에 모든 인류를 이성화된 정감적 존재가 되기를 바라는 문화이상을 가지고 있다. 이성화된 정감 존재가 곧 성인경계이다. 따라서 덕성문화는 풍부한 인정미를 가지고 있는 이성즉, 지성의미의 이성이 아닌 덕성의미의 이성이다. 말하자면 정리(情理)가 살아나는 사람들로 가득한 이상사회를 구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중국문화의 인문정신은 비단 인류의 이상적인 사회의 실현만이 아니라 인류와 자연계의 조화롭고 화해로운 생태계의 실현을 의미한다. People are the protagonists of culture, and people as living cultural beings cannot exist independent of culture itself. In other words, human beings exist as cultural beings and beings of destiny; they cannot live apart from being grounded in the colossal foundation of spiritual and materialistic culture. Cultural activity in Chinese culture has always been carried out by people, the cultural protagonists, or protagonists of virtue (dexing zhuti). These protagonists have given us many manifestations of Chinese culture. "Unity of Heaven and Man" is an organizing principle in Chinese cultural philosophy. Hence Chinese culture is a bridge between Heaven and Man. Creativity in human culture is rooted in, and perfected by the principle of "Unity of Heaven and Man." The force that drives the development of Chinese culture is "the Mandate of Heaven." It is the ultimate source of culture and purpose of living cultural beings.Since all culture is created by human beings, the spirit of culture is the human spirit. Therefore Chinese culture can be said to represent the Chinese human spirit. The so-called "Spirit of Sages" in Chinese culture does not imply deification, it is simply the realm of the human soul and spirit. Hence it is possible for all to attain to the same sagehood as Emperors Yao and Shun. Because of this, the spirit of Chinese culture is humanistic, and this is where the human spirit lies in China. The Culture of Virtue (dexing wenhua). the central aim of which is the practice of virtue.is the original form of Chinese culture. This cultural paradigm is also where the human spirit is manifested. The “Culture of Virtue” does not just view emotions as the basic mode of human existence, it also places hope in the cultural ideal that all human beings can eventually become rationalized emotional beings. A rationalized emotional being is in the realm of the sage. The Culture of Virtue is rationality imbued with rich human emotion, not rationality in the sense of intellectualism, but rationality in the sense of virtue. In other words, a true utopia is full of people who live with emotion and rationality. The human spirit in Chinese culture not only aims for an ideal society, but also by implication harmonious co-existence betweenpeople and nature, as well as harmonious eco-systems.

      • KCI등재

        매체문화에서 주체의 해석학적 역할

        이병옥(Byung-Ok Lee) 한국현상학회 2006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0 No.-

        이 글은 매체문화에서 메시지 산출과 해석에 있어서 주체의 역할을 정보해석학적 시각에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 근대적 주체는 포스트모더니즘과 해체주의에 의해 주변적이고 부수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매체가 개인의 주체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면, 인쇄매체는 근대적 주체의 형성과 전개에 기여한데 반해 영상매체는 주체의 위기를 야기했고, 인터넷은 해석하는 주체의 능동적 참여와 자기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매체라 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컴퓨터와 인터넷으로 유지되는 정보사회에서 주체는 더 이상 주변이 아니다. 원리적으로 보면 매체가 제공하는 메시지는 다양한 의미의 가능성의 조건이다. 이때 의미를 결정하는 것은 해석주체이며 해석의 차이나 오해의 원인은 주체와 메시지 사이의 의미규칙의 비대칭성이 아니라 주체의 동기부여와 개성에 있다. 결국 매체문화에서 메시지 해석의 궁극목적은 오락이나 유희에 있는 것이 아니라 주체의 자기형성과 실현에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