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미온혈 심정지액의 임상적 고찰

        이종국,박승일,조재민,원준호,박묘식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2 No.2

        배경: 심장 수술시 저온 요법은 심근 보호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 인식되었고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효소기능, 세포막 안정성, 조직의 산소이용, ATP 생성과 이용, 심근세포 보존에 해를 끼치는 등 단점이 있다. 1989년 이러한 단점을 없앤 심장의 전기 기계적 정지, 연속적인 온혈 심정지액의 관류에 의한 정온 호기 상태의 심정지에 기초를 둔 새로운 심근 보호법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연속 온혈 심정지액의 사용에 있어서 적절한 관상정맥동의 주입속도, 압력, 연속 심정지액의 사용시 중단 가능한 시간, 심정지액의 온도 등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어 왔으며 심정지액의 온도를 37$^{\circ}C$, 34$^{\circ}C$, 33$^{\circ}C$ 및 29$^{\circ}C$ 등의 변화를 주어 각각에 대한 연구 보고가 있어 왔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1994년 10월부터 1995년 2월까지 연속 온혈 심정지액을 사용하여 판막수술을 받은 18명의 환자와 1996년 5월부터 1997년 7월까지 연속 미온혈 심정지액을 사용하여 판막수술을 받은 17명의 환자를 임상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저자들의 결과는 심폐기 가동시간, 대동맥 차단시간, 대동맥 차단 해제부터 심폐기 이탈시간, 체외순환중 혈중 최고치 칼륨 농도, 술후 인공호흡기 이탈시간, 술후 1시간 및 12시간 심근 효소 검사, 술후 심근 수축제 및 혈관 확장제의 사용 등에서 양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술중 소변 배출량 및 술후 12시간 동안의 소변량은 연속 온혈 심정지액을 사용한 군에서 많이 배출되었고, 대동맥 차단 해제후 자연 심박 재개율은 연속 온혈 심정지액군에서 높았다. 결론: 이상과 같은 결과들을 통해서 본 교실에서는 성인 심장 판막수술시 연속 미온혈 심정지액을 이용한 방법은 적어도 연속 온혈 심정지액의 심근보호 효과만큼은 얻을 수 있었다. Background: In cardiac surgery, hypothermia is associated with a number of major disadvantage, including its detrimental effects on enzymatic function, energy generation and cellular integrity. Warm cardioplegia with normothermic cardiopulmonary bypass cause three times more incidence of permanent neurologic deficits than the cold crystalloid cardioplegia with hypothermic cardiopulmonary bypass. Interruptions or inadequate distribution of warm cardioplegia may induce anaerobic metabolism and warm ischemic injury. To avoid these problems, tepid blood cardioplegia was recently introduced. Material and Method: To evaluate whether continuous tepid blood cardioplegia is beneficial in clinical practice during valvular surgery, we studied two groups of patients matched by number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Warm group(37$^{\circ}C$) consisted of 18 patients who underwent valvular surgery with continuous warm blood cardioplegia. Tepid group(32$^{\circ}C$) consisted of 17 patients who underwent valvular surgery with continuous tepid blood cardioplegia. Result: Heartbeat in 100% of the patients receiving continuous warm blood cardioplegia and 88.2% of the patients receiving continuous tepid blood cardioplegia converted to normal sinus rhythm spontaneously after removal of the aortic cross clamp.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groups in CPB time, ACC time, the amount of crystalloid cardioplegia used and peak level of potassium. During the operation, the total amount of urine output was more in the warm group than the tepid group(2372${\pm}$243 ml versus 1535${\pm}$130 ml, p<0.01).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roponin T level measured 1hr and 12hrs after the operation. Conclusion: Continuous tepid blood cardioplegia is as safe and effective as continuous warm blood cardioplegia undergoing cardiac valve surgery in myocardial protection.

      • KCI등재

        간재의 육왕학에 대한 질의와 비판 그리고 適否

        황갑연 대동철학회 2016 大同哲學 Vol.77 No.-

        이 글은 心卽理를 근본이념으로 하는 心學은 조선에 전래된 이후 심학 본래의 시대정신 그리고 공자ㆍ맹자철학과의 본질적 관련성 등을 크게 조명받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단으로 규정되어 도가와 불교보다도 심한 비평을 받았다. 필자는 이전에 심학에 대한 조선 성리학자의 오해 원인을 심학의 의리에 대한 무지에서 찾았다. 그러나 지금은 시각을 달리해서 이해한다. 필자는 도덕가치에 대한 의식구조의 차이에서 근본적인 원인을 찾는다. 퇴계 이후 심학을 비평하는 조선의 성리학자들은 주자의 심성론 구조에 따라서 心을 氣로 인식할 뿐 육왕의 입장에서 순수한 도덕의지, 즉 도덕규범에 대한 立法의 작용을 갖춘 선의지의 존재와 그 위상을 결코 긍정하지 않는다. 정확하게 말하면 이해를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못하는 것이다. 이미 性卽理와 心是氣가 그들의 도덕의식구조에서 확고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데, 心卽理를 수용할 수 있겠는가? 그들의 시각으로는 심학은 禪學의 위장에 불과할 것이다. 주지하는바와 같이 간재는 조선 기호유학의 殿軍으로 평가받는 大儒이다. 따라서 위로는 우암과 율곡, 더 나아가 주자의 도덕사유 체계를 몸과 마음으로 수용한 정통 정주학자이다. 간재 역시 이전의 성리학자와 마찬가지로 상당한 분량을 할애하여 심학 의리의 부당성을 지적하고 비평하였다. 그러나 그 논조는 상산학에 대한 주자의 비평, 그리고 육왕학에 대한 명대 정주학자와 조선성리학자의 비평 규모를 벗어나지 않는다. 필자의 분석에 의하면, 육왕학에 대한 간재의 비평은 주로 심성론에 집중되어 있고, 그중에서도 심의 지위와 작용에 편중되어 있다. 비록 良知와 理氣論에 대해서도 언급함이 있지만, 심성론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그 양이 매우 적다. Xinxue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basic idea “Heart is the Principle.- “ was underappreciated as the original spirit of the time of its writing and it’s essential relation to the philosophy of Confucius and Mencius was underdiscussed. Rather, after being introduced to Chosun Dynasty. it was criticized more severely than Taoism and Buddhism because of its heredity. In prior studies I thought the reason for misunderstanding of the Chosun Xinglixue was due to the ignorance of Xinxue. But I now have a different opinions on that issue, because I found that the fundamental for their misunderstanding were based on the difference of conscious- structure for moral values. The Chosuen Xinglixue who were criticizing Xinxue following Toe Gae supported Zhuxi’s theory of Heart-Nature and so regarded Xin exclusively as Qi. That’s why they never accepted the existence and status of pure good will in the positions of Lu-Wang’s philosophy which included the function of establishment of moral norms. To be exact, the fact is not merely that they didn’t but that they could no accept it. Since those theories such as “Nature is the Principle" and “Heart is the Energy” already had a firm basis in their structures of moral consciousness, they couldn't accept the theory of “Heart is the Principle”. As a result they believed that Xinxue was nothing but one of forms of disguised Buddhism. It is widely agreed that Kan-Jae was one of the greatest confucian scholars and is regarded as a final fortification in Chosun Ki Ho confucianism. He was regarded as orthodox confucian scholar who accepted the moral systems of U-am and Yul- Kok as well as Zhuxi. Kan-Jae also criticized the invalidity of Xinxue in many respects as prior scholars did. But the tone of his arguments was not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Zhuxi’s criticism of Xianshan as well as Chosun Xinglixue’s criticism of Lu-Wang’s philosophy. According to my analysis, Kan-Jae’s criticism of Lu-Wang’s philosophy focused only on Xinxing theories and laid stress especially on the status and function of Heart. Even though he discussed Lianzhi and Liqi theories, his main concern was Heart-Nature theory, which he dealt with it much more thoroughly.

      • KCI등재

        마음 비움의 계보학

        이종성(Lee Jong-sung)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98 No.-

        장자는 마음 비움의 방편으로 ‘심재’와 ‘좌망’ 등을 제시한다. 이들 ‘심재’와 ‘좌망’에 관련된 철학적 사유의 내용은 서로가 유사한 특징을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상호간의 관계가 사상적인 측면에 있어서 상호 동일성을 유지한다는 주장 자체에 대하여 반론이 제기되기도 한다. 이런 상황을 볼 때, ‘심재’와 ‘좌망’에 대한 사상적 특질이나, 사상사에 나타난 그 역할수행의 측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논의가 요청된다. ‘심재’와 ‘좌망’이 전혀 이질적인 사유구조를 지녔다고 평가한 것은 풍우란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그는 ‘좌망’은 장자철학적인 성격을 지닌 것으로 인정할 수 있으나, ‘심재’는 비장자적인 성격을 갖는다고 평가한다. ‘심재’는 오히려 송윤학파에 의하여 주장되었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본고는 이러한 풍우란의 주장에 대한 반론을 제시하고, ‘심재’나 ‘좌망’의 방법이 다 같이 장자철학적 사유를 대변하는 것이며, 양자는 그 사상내용의 유사성까지 동시에 갖추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기 위하여 기획되었다. 따라서 본고는 자연스럽게 비장자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다는 ‘심재’의 방면에 초점이 맞추어져 논의된다. 그리고 장자의 ‘심재’와 유사성을 보일만한 단서들을 순자와『관자』 4편, 송윤학파라 명명되는 학술유파의 주장들에서 찾아보고, 그 사상적 계보를 추적하여 고찰한다. 이 과정에서 특히 ‘심재’의 사유를 내포하고 있다는 ‘허일이정(虛一而靜)’이라고 하는 개념에 대하여 주목한다. 그 결과, ‘심재’의 사상사적인 계보가 송윤학파로부터 찾아질 종류의 것이 아니라는 점과 더불어 ‘심재’의 학술연원은 오히려 노자에게서 확보되어야 함을 논증하였다. 이는 ‘심재’가 황로학적 통치술에 사상적 기원을 두기보다는 순수 도가철학적인 사유로부터 연유되어야 하는 이유 때문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심재’의 방법을 도가철학적인 것으로 인정하고 동시에 장자적인 철학적 방법으로 인정한다면, 그것은 장자가 논의하는 ‘좌망’과 동일한 사유의 맥락에서 독해될 수 있는 가능성이 확보될 것이다. ‘심재’나 ‘좌망’의 철학적 목표는 다 같이 존재와 자아의 근원적 소통에 있다. Chuang-tzu presents ‘Emptiness of the Mind’ and ‘Mind of Detachment’ as a way of emptying the mind. And the contents of philosophical thinking of these ‘Emptiness of the Mind’ and ‘Mind of Detachment’ have a similar characteristic. Nevertheless, objections have been raised the assertio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mptiness of the Mind’ and ‘Mind of Detachment’ remain identical in terms of thought. Consequently, the discussion on the philosophical features and the role performance in the history of thought is necessary. Fung Yu-lan, the representative thinker, estimates that ‘Emptiness of the Mind’ and ‘Mind of Detachment’ are not identical. He estimates that ‘Mind of Detachment’ has the characteristic of Chuang-tzu’s philosophy, and that ‘Emptiness of the Mind’ is not. He insists that ‘Emptiness of the Mind’ was maintained by Song-Yin School. This thesis is intended to show that I present an objection on Fung Yu-lan’s assertion and that ‘Emptiness of the Mind’ and ‘Mind of Detachment’ both represent Chuang-tzu’s philosophical thinking and the similarity of the contents. Thus, this thesis focuses naturally on the part of ‘Mind of Detachment’. And the clues to the similarity of Cuang-tzu’s ‘Emptiness of the Mind’ are to be found in Xun-tzu and Four Books in the Kuan-tzu, and assertions by Schools called Song-Yin School. The philosophical genealogy is to be traced and examined. In the course, I focus on ‘Emptiness, Oneness, and Calmness’ including ‘Emptiness of the Mind’. As a result, the philosophical genealogy is found not in Song-Yin School, but in Lao-tzu. That is because ‘Emptiness of the Mind’ is to be derived from the pure thinking of Taoism rather than to be based on the ruling technique of Huang-lao. Like this, if the way of ‘Emptiness of the Mind’ is regarded as the philosophy of Taoism, and at the same time Chuang-tzu’s philosophy, it is likely to be read in the context equal to ‘Mind of Detachment’. The philosophical goal of ‘Emptiness of the Mind’ and ‘Mind of Detachment’ consists in the basic communication of being and self.

      • 기획논문 : 퇴계사상(退溪思想)의 유학사적(儒學史的) 좌표(座標) ; 퇴계(退溪)의 "경(敬)의 심학(心學)"과 양명(陽明)의 "량지(良知) 심학(心學)" -『퇴계선생언행록(退溪先生言行錄)과 『전습록(傳習錄)의 "언행(言行)" 비교를 겸해서-

        최재목 ( Jae Mok Choi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7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1 No.-

        이 논문은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이하 퇴계)과 양명(陽明) 왕수인(王守仁)(이하 양명)의 사상을, 특히 ?퇴계선생언행록(退溪先生言行錄)?과 ?전습록(傳習錄)? 비교를 통해 살펴보려는 데 목적이 있다. 내용은 <퇴계의 ‘敬의 心學’과 양명의 ‘良知 心學’>을 정리하고 나서, 이어서 <?퇴계선생언행록?과 ?전습록?의 비교를 통해서 본 사상적 차이의 예>를 살펴볼 것이다. 아울러 이 논문에 사용할 기본 자료는 퇴계의 언행을 그 제자들이 기록한 ?퇴계선생언행록?과 양명의 언행을 그의 제자들이 기록한 내용 등을 담고 있는?전습록?의 주요 부분이 될 것이다. 退溪學과 韓國文化 第41號 퇴계는 경(敬)을 중시했다, 그러나 양명은 ?성의(誠意)를 주로 하면 경(敬)이라는 글자를 덧붙일 필요가 없으며, 만약 덧붙인다면 그것은 사족(蛇足)과 같은 것?이라고 하며 양지(良知)를 중시하였다. 퇴계의 ‘경의 심학’과 양명의 ‘양지 심학’에서 전자는 심성의 수양을 통한 경건한 마음을 확립하는 것을, 후자는 자아의 완전한 발견을 통한 충분한 자유로운 실현을 꿈꾸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퇴계의 마음은 ‘거울을 단 고요한 마음’이었으며, 양명의 마음은 ‘태양 같은 활발한 마음’이었다. 그것은 ‘경’과 ‘양지’에 상징적으로 나타나 있다. 인간이 인간답게 산다는 것을 외부 지식의 양적 축적이 아니라, 사물과 인간을 진지하게 관찰하고 신중하게 응대하는 ‘태도’(=敬)를 견지함(持, 居)에서 찾던 퇴계, 그리고 자기 마음(=내면)의 온전함(=良知)을 신뢰하고 그것을 적극 실현함(=致)에서 찾던 양명은, 어느 쪽이나 동양의 사유에서 돋보이는 ‘마음’의 발견자였고 경영자였다. 그들은 지역을 달리 했지만, 인간의 삶에서 어쩔래야 어쩔 수 없이 생겨나는 트라우마를 치유하고자 했던 ‘삶의 유능한 멘토’였다. 나아가서 그들의 마음에 대한 오래된 사상적 아젠다는, 그 방식이 좀 다르다고는 할지라도, 지금의 우리에게서도 여전히 ‘첨단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해야 하겠다.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n Toegye Ihwang(1501~1570) and Yang ming Wang shuren(1472~1528)’s mind philosophy through the two ana- lects Toegyesonsengonhenglok and Chuanxilu. Toegyesonsengonhenglok is written by Toegye’s excellent disciples, and Chuanxilu is written by Yangming’ excellent disciples too. And we can find out a many point of differences through the examples of the two analects, such as instruc- tional method, a point of view on human being, a woman, nature and death and so on. Particularly, Toegye lay weight on awe and respect (Jing, Gyong, 敬) against human and nature such as Chuzhi schools did in generally. Yangming, the other side, lay weight on the nature of human mind(Liangzhi, Yangji, 良知) and sincerity(Cheng, Seong, 誠), so he lay emphasis on Liangzhi only, and denied Jing. But, I think basi- cally, Toegye and Yangming has hardly same point of view on humanity and nature. The two thinkers, although some scholar who have studied on two are against the idea, did not want to accumulate a store of knowledge quantitatively. They, In short, has same uptodately agenda for human and nature.

      • KCI등재

        尋父談의 淵源과 文學的 形象化

        정하영(Jung, Ha-young) 한국고전연구학회 2010 한국고전연구 Vol.0 No.21

        尋父談은 離散이나 失踪으로 헤어진 아버지를 찾는 이야기이다. 家父長制를 사회에서 아버지는 한 가정의 家長으로서 자녀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아버지의 부재는 자녀의 생존과 사회생활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아버지를 찾는 일은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다. 현실적 체험을 바탕으로 하는 심부담은 흥미와 감동 그리고 교훈을 고루 갖추고 있어 일찍부터 詩, 說話, 小說의 소재로 취택되었다. 주몽신화에서 시작되는 심부담의 문학적 형상화 작업은 설화와 고소설을 거쳐 현대소설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최척전>처럼 심부담을 중요 소재로 한 작품은 물론이고, <유충렬전>, <홍길동전> 같은 작품도 심부담의 전통을 수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심부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할 때 이들 작품의 본질과 성격은 새롭고 깊이있게 이해될 수 있다. 한국서사문학의 흐름 속에 광범위하게 수용된 심부담은 하나의 主題史的 脈絡을 이루고 있으며, 동아시아를 비롯한 세계문학과의 비교 연구의 소재가 될 것이다. The Tales of Searching for a Father is about a story of finding a lost father due to a family breakup or his disappearance. In a patrilineal society, a father figure, as the leader of a family, takes an important role in the lives of his children. Considering that the absence of a father can cause serious problems in his children's survival and social lives, it seems natural that the motif of finding a father is important in Korean literature. The motif has been adopted in poetry, folktales, and fiction works because it can attract people's attention, stimulate emotional responses, and provide moral teachings. The embodiment of the motif in literature can be found in the mythof Chumong, folktales, premodern fiction works, andcontemporary fiction works. For example, the motif is not only included in The Tale of Ch'oe Ch'ok which deals mainly with the Ch'oe family's separation and reunion, but also in the Tale of Yu Ch'ungryol and Tale of Hong Kiltong. We can expect that those stories can bring a new perspective on interpreting Korean literature if they are examined through the lens of the motif of finding a father. It is adoptedthroughout and becomes an important theme in Korean literature. Thus, tales containing the motif are worth examining in the context of East Asian literature and, furthermore, world literature as well.

      • KCI등재

        논문 : 심관창화록(瀋관唱和錄)?의 체제와 내용

        남은경 ( Eun Kyung Nam ) 온지학회 2012 溫知論叢 Vol.0 No.30

        심관창화록?은 병자호란의 패전 후 조선 왕자가 끌려가 머물던 중국심양(瀋陽)의 관소 심관(瀋관)에서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관리들이 서로 주고받으며 쓴 창화(唱和) 시집이다. 세자시강원은 세자의 학문과 인격수양 관련 교육을 담당하기 위해 만든 기관으로, 당대의 뛰어난 인재들이 시강원 관리가 되었다. 중국 심양에서의 8년간의 억류 생활 동안많은 관리들이 심관에 머물며 세자를 교육하고 수행했는데, 1642년 같이 봉직했던 시강원 관리 6인들은 그들의 생활을 시 작품으로 남겨놓았다. 한 치 앞을 가늠하기 어려운 인질 생활 속에서 육체적, 정신적으로 겪는 고통을 문학이라는 방법으로 이겨나갔던 것이다. 그들은 30대부터 60대의 나이로 연령층이 다양했으나, 나이를 잊은 망년지우를 맺고 함께 술자리를 열어 시 창작에 골몰했던 것이다. 이들 시강원관리들은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의 심양에서의 생활을 ?심양장계(瀋陽狀啓)?를 통해 조선조정에 보고하였고, ?심양일기(瀋陽日記)?를 통해 기록해두었다. 이러한 산문 기록이 그들의 공적인 업무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것이라면, ?심관창화록?은 그들의 내면세계를 솔직하게 쓴 것으로, 280여수의 창화시 속에서 시대적 위기상황 속 공인으로서의 임무를 잊지 않으려 다짐했고, 육체적 고통과 귀향 하고픈 솔직한 욕구를 표현하였다. 또한 벼슬아치로서 어떤 것도 할 수 없는 무기력한 모습에 대한 자괴감을 느끼며, 술과 문학을 통해 서로를 위로하며 현실을 이겨 나가려고 하였다. 심관창 화록은 병자호란 후 심양에서의 관리의 생활과 내면세계를 보여주는 귀한 역사 자료이며, 동시에 문학 창작 활동이 작가에게 치료적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자료이기에 문학치료 방면에서도 관심을 가질 자료라 하겠다. "Simgwan-Changhwarok(瀋관唱和錄)" is the poetical works written in the form of Changhe?Shi(唱和詩) by the officials of Saejasigangsiwon(世子侍講院) at Shimgwan(瀋관), the lodge for officials in Shimyang(瀋陽) where the prince from Korea who were taken after the Korea`s defeat in the Manchu war. Saejasigangsiwon(世子侍講院) was made to build up the personality of the prince and the talented of the time became the officials on Sigangwon. During the detainment of the prince for 8 years, many officials stayed at Shimgwan(瀋관) to educate the prince, and 6 officials of Saejasigangsiwon(世子侍講院) who served the purpose in 1642 wrote the poems about their living. They could overcome their physical and mental pain while they were living as hostages without foreseeing their immediate future in different ways. Their ages ranged from 30s to 60s but they became the friends without minding the age gap and buried themselves in writing poems through wine party. They reported the life of the Prince, So Hyeon and Bongrim Daegoon to the court of Chosun through "Shimynagjanggye(瀋陽狀啓)" and recorded in "Diary of Shimyang(瀋陽)". These prosaic were made as a part of their works, whereas "Simgwan-Changhwarok(瀋관唱和錄)" described their inner world frankly. In 280 Changhe?Shi(唱和詩), they made a resolution not to forget their official duties in crisis situations and expressed their physical pain and their longing to return home. Also, they, feeling the shame because they couldn`t do anything as public officials, tried to escape from the reality through wine and literature. "Simgwan-Changhwarok(瀋관唱和錄)" is very precious historical documents that show the inner world and the lives of the public officials in Shimyang and it also shows the therapeutic effect of literary creative activity on writers. Thus it is worthwhile paying attention to that in the aspect of literary therapy.

      • KCI등재후보

        심장외막지방과 대사 증후군 및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와의 연관성

        백승희 ( Seung Hee Baik ),안성균 ( Sung Gyun Ahn ),최정현 ( Jung Hyun Choi ),고보람 ( Bo Ram Koh ),유준환 ( Jun Hwan Yoo ),강수진 ( Soo Jin Kang ),최병주 ( Byoung Joo Choi ),최소연 ( So Yeon Choi ),윤명호 ( Myeong Ho Yoon ),탁승제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3

        목적: 저자 등은 1) 심장외막지방과 대사 증후군과의 연관성과 2)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3) 심장외막지방과 인슐린 저항성 정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흉통을 주소로 내원하여 처음 관동맥조영술을 시행 받은 289명을 대상으로 경흉부 심초음파을 이용한 심장외막지방의 두께 및 인체 계측, 혈청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공복 시 혈당, 공복 시 인슐린, CRP, 섬유소(fibrinogen), 요산 등을 측정하였다. 결과: 1) 대사 증후군의 환자군(185명, 64%)에서 심장외막지방의 두께가 의미있게 두꺼웠다(평균 4.3±2.5 mm vs. 평균 3.6±2.8 mm, p=0.005). 2) 심장외막지방 두께의 중앙값인 3.4 mm을 기준으로 환자를 두 군으로 분류하여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들을 비교해 보았을 때 두꺼운 군에서 대사 증후군 동반 빈도가 높고, 대사 증후군의 구성요소의 유병률이 높았으며. 나이, 허리둘레, 총 콜레스테롤, log CRP 등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고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은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낮았다. 3) 대사 증후군의 여부에 따라 심장외막 지방의 ROC curve를 분석하여 심장외막지방의 두께 3.2 mm가에서 민감도 58%, 특이도 58%를 보여 가장 신뢰성 있는 cut-off 수치였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심장외막지방의 두께가 0.1 mm 증가할 때마다 대사 증후군의 유병률이 1.78배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4) 나이, 허리둘레,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log CRP가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었고. 이들 중 나이, log CRP는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하여 심장외막지방의 두께와 독립적으로 상관관계가 있었다. 5) 비 당뇨 환자군에서 인슐린 및 HOMA-IR score도 심장외막지방의 두께와 연관이 있었다. 결론: 경흉부 심초음파로 측정한 심장외막지방의 두께는 대사 증후군 및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와 연관성을 보였고, 인슐린 저항성과도 관련성을 보여 앞으로 내장 지방의 새로운 지표로서 대사 증후군 및 심혈관 질환을 예측하는 새롭고 부가적인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Increased adiposity is widely accepted as the main expression of obesity and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syndrome. The significance of epicardial adipose tissue (EAT), frequently observed during a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ic examination, is not well recogn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EAT to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Methods: We collected clinical, biochemical, and anthropometric information from 289 consecutive and prospective patients (147 men; 59±11 years) who visited our hospital for a complaint of chest pain. EAT thickness was measured by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on the free wall of the right ventricle in the parasternal long axis and short axis views at the base level during end-diastole. Results: EAT thicknes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185 (64%)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as compared with patients without metabolic syndrome (4.3±2.5 mm vs. 3.6±2.8 mm, p=0.005). By a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EAT was correlated to age (r=0.484, p<0.001), waist circumference (r=0.177, p=0.01), the level of HDL cholesterol (r=-0.182, p=0.001) and log CRP (r=0.268, p=0.012).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age and log CRP were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correlated to EAT thicknes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chocardiographic EAT should be considered as a new useful imaging indicator of visceral adipose tissue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disease. (Korean J Med 72:290-297, 2007)

      • KCI등재

        심시기와 율곡철학의 성격 규정 문제

        김경호 한국철학사연구회 2019 한국 철학논집 Vol.0 No.62

        “심시기(心是氣)”로 표현된 율곡적 사유는 율곡철학뿐만 아니라 율곡후학들의 심성론을 이해하는 핵심 명제다. 이 명제는 퇴계의 “심합리기(心合理氣)”나 “리발(理發)”의 문제의식과 대결하면서 변형과 조정의 과정을 거치기도 하는데, 현대에도 율곡철학의 성격 규정과 관련하여 “심시기”는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율곡의 “마음–지각”에 대한 사유를 협애한 틀에서 “지각론”이나 “심기학”으로 규정하는 일부의 주장이 그러한 사례다. 논자는 이 글에서 두 가지 점을 주장할 것이다. 첫째, “심시기”를 제기했던 율곡의 철학적 문제의식은 “심여리일(心與理一)”을 염두에 두면서도 심성의 분리를 상정할 수밖에 없었던 주희의 딜레마에 대한 대안적 이론의 성격을 갖는다. 둘째, 율곡철학을 “성리학”이 아닌 “심기학(心氣學)” 혹은 “지각론(知覺論)”으로 규정하려는 일부 논의는 “율곡학”에 대한 폄하이며, 이러한 시도는 상대적으로 “퇴계학”을 강화하기 위한 은폐된 기획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규범의 근거인 성(性)으로서의 리(理)를 내면에 두면서도, 물리적인 세계에 공존하는 법칙을 예민하게 파악해 낼 것을 강조하는 율곡적 사유지평을 “심기시”를 중심으로 하여 그 의미와 맥락을 탐구한다. 이 논의를 위해 율곡이 제기했던 “합성여기(合性與氣)”, “심성정의일로(心性情意一路)”와 같은 개념을 포함한 심성론을 “마음–지각”의 측면에서 재검토하고, “은유적 사유 이미지(metaphorical image of thought)”를 통해 율곡의 마음에 대한 이해를 조명한다. 율곡의 “심시기”는 “성즉리(性卽理)”를 전제로 하여 마음의 지각과 그 지각의 근간인 리라고 하는 규범성의 원천을 당대의 현실에서 재구축하려 했던 철학적 탐구였다. 이 점에서 심시기 논의는 학술적이면서 동시에 실천적 의미를 갖는다.

      • KCI등재

        心外無物, 心外無理, 心外無事 연구

        김영건(Kim young-kun) 한국양명학회 2006 陽明學 Vol.0 No.17

        나는 심외무물(心外無物), 심외무리(心外無理), 심외무사(心外無事)에 대한 왕양명의 논증을 고찰하면서 다음과 같은 것을 주장한다. (1) 심외무물에 대한 왕양명의 논증은 타당하지 않다. 그 논증이 타당하다고 해도, 그것은 왕양명의 도덕적 관심에 방해되는 관념론을 함축할 뿐이다. (2) 심외무리에 대한 논증은 기껏해야 의미관념론을 함축할 뿐이다. 그런데 이것은 후기 비트겐슈타인이 비판하고 있는 사적 언어에 불과하다. (3) 사건의 개념이 인간적 행위나 인간적 사건에 한정될 때, 심외무사에 대한 왕양명의 논증은 그의 의도를 가장 잘 보여주고 있다. 그렇지만 그는 도덕 행위 작용과 도덕 행위의 결과를 구분하고 있지 않다. (4) 심외무사를 통해 왕양명이 주장하는 것은 바로 인간의 도덕성은 행위나 실천으로 나타나야 하며, 또 그러한 도덕행위는 자율적인 동기에 근거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이 주장을 거부할 이유는 없는 것처럼 보인다. Investigating Wang Yangming's contention that "there is no things, no principles, and no affairs outside mind", I claim as follows; (1) Wang's argument for "there is no things outside mind" is invalid. Even though it is valid, it implies the idealism, which is constraint on his moral purpose. (2) Wang's argument for "there is no principles outside mind" implies the private language. According Wittgenstein, the private langage is an idle language. (3) Wang's argument for "there is no affairs outside mind" is acceptable. But the affairs depending on our mind should be human events or human actions. Wang fails to distinguish the result of human action from the motive of human action. (4) The basic ideas shown by the argument that "there is no human affairs outside mind"is acceptable. Because human's morality must be manifest through human action and such moral actions are grounded on the autonomous human motive.

      • KCI등재

        18~19세기 朝鮮性理學의 心學化 傾向에 대한 考察

        최영진(崔英辰)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한국민족문화 Vol.33 No.-

        18세기 조선 학술계의 핵심적 논객인 南塘 韓元震(1682~1751)은 「心純善論證」에서 그의 논적 巍巖 李柬(1677~1737)을 불교ㆍ육왕학과 동일한 오류를 범하였다고 비판하였다. 그는 이간이 ‘심은 순선하다[心純善]’라고 주장하였는데, ‘心純善論’이야말로 선불교의 宗旨이며 육왕학도 이와 다르지 않다고 말한다. 그리고 불교로부터 상산학이 되고 상산학이 양명학이 되었는데 이들은 ‘심’을 종주로 삼는다고 강조한다. 불교의 ‘卽心卽佛’과 양명의 ‘心卽理’와 이간의 ‘心純善’을 같은 레벨의 이론으로 간주하고, 이것은 ‘심은 기이고 성은 리이며, 리는 선하지만 기는 고르지 않아 청탁수박이 있다’는 유교[성리학]의 종지, 즉 ‘性=無不善, 心=有善惡’에 위배되는 학설이 아닐 수 없다고 비판하였다. 한원진의 비판이 정당한 것인가에 대해서는 좀 더 세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여기에서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栗谷-尤菴을 계승하여 정통 성리학파를 자처하는 老論 내부에, 적어도 한원진이 볼 때에, 불교ㆍ육왕학과 동일한 레벨의 ‘心學的 傾向’이 나타났다는 사실이다. 16세기 중엽에서 17세기 초 조선학계에 심학적 경향의 흐름이 포착된다. 이 시기의 심학적 경향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理學과 대립된 의미의 심학이 아니라 조선 학계의 주자학에 대한 이해가 심화되어 나타난 내향적 경향을 말한다. 퇴계도 심학이라는 용어를 종종 사용하고 있다. 그는 “밖으로 삼감을 다하는 것이 안을 함양하는 근거이다. 그러므로 공자 문하에서 심학을 말한 적이 없으나 심학이 그 가운데에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것은 엄밀한 의미에 ‘심학’이라고 볼 수는 없다. 다른 하나는 양명학의 유입에 의하여 촉발된 것이다. 이 시기 양명학을 辨斥하는 것이 주류였지만 趙翼(1579~1655), 李?光(1563~1628) 등 일부 학자들은 주자학에 대한 비판적 반성을 토대로 일정 부분 양명학을 수용하고 있다. 이러한 학문적 경향이 발전하여 18세기 정제두를 중심으로 한국양명학파[江華學派]가 형성된다. 한원진과 그의 논적 이간은 기호학파의 정맥을 계승한 權尙夏(1641~1721)의 제자들이다. 그러므로 이간의 학설이 양명학을 수용하여 형성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그리고 단순한 ‘주자학의 내향적 경향’이라고 한다면 한원진이 불교ㆍ육왕학과 동일한 오류를 범했다고 극단적으로 비판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간의 학설은 조선성리학이 자생적ㆍ내재적으로 발전하여 반주자학적인 심학으로 형성된 것이거나, 아니면 한원진의 비판이 역으로 오류를 범한 것이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간의 ‘심순선설’을 분석해 보아야 한다. ‘심순선설’은 ‘理氣同實 心性一致’라는 이간의 중심 명제에서 도출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이 명제에 대한 분석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그리고 이 명제가 어떻게 발전되었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왜냐하면 심과 성[리]을 엄밀하게 구분하는 성리학의 관점에서 볼 때에 ‘심성일치’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주장이기 때문이다. 특히 ‘心是氣’를 종지로 하는 기호학파에서 심이 성, 곧 리와 일치한다는 주장은 자체 모순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므로 18세기 남당/외암 미발논변과 이후 호락논쟁에서 이 문제가 중요한 의제로서 논의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간의 ‘심성일치’와 이 명제를 발전시킨 임성주의 ‘심성일치론’을 분석하여 ‘조선성리학의 심학화’에 대하여 분석한다. ‘조선성리학의 심학화’라는 문제의식에서 조선유학사를 검토해 볼때에 주목되는 명제는 영남학파의 대표적 학자 가운데 하나인 李震相(1818~1851)의 ‘心卽理’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것은 육왕학의 핵심적 명제이다. 그러나 이진상은 양명의 ‘심즉리’를 비판하고 이 명제의 근거를 주자학에 두고 있다. 그의 ‘심즉리’는 기호학파의 ‘심시기’에 대한 비판이론으로 정립된 것이지만 영남학파의 기본 이론인 ‘心合理氣’설과 충돌하여 학파 내부에서도 극심한 비판을 받았다. 그의 학설은 19세기말~20세기 초 ‘심설논쟁’의 도화선이 되었으며 기호학파의 비판을 통하여 정밀하게 검토되었다. 이상 검토한 바와 같이, 본 논문에서 검토하려는 ‘심성일치’와 ‘심즉리’라는 명제는 호락논쟁과 심설논쟁이라는 조선성리학의 대규모 학술논쟁에서 핵심적 쟁점으로 논의된 것이다. 우리는 이 두 명제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조선유학사상의 핵심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