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深齋日記』의 자료적 가치와 활용방안에 대한 고찰

        전송희(Jeon, Song-hee)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2 동양한문학연구 Vol.61 No.-

        심재 조긍섭은 19세기 말 영남에서 활동했던 전통지식인이다. 현재 그의 글은 『深齋集』, 『巖棲集』, 『深齋續集』, 그리고 본고에서 본격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深齋日記』로 이루어져 있다. 『심재일기』는 조긍섭 스스로 자신의 일상을 기록한 것이다. 매일의 하루하루를 짤막한 기록으로 남기고 있어 이 자료를 바탕으로 그의 생애의 여러 국면들을 구체적으로 재구할 수 있으며, 그가 남긴 작품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자료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그 중 본고에서는 『심재일기』가 시작되는 1898년 1월과 2월 두 달간의 일기를 본격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때 조긍섭은 26세의 젊은 나이로 영남 일대의 큰 스승인 서산 김흥락을 뵙기 위해 안동으로 향했다. 그 과정에서 영남 일대의 여러 학자들을 만나 그들과 교유를 맺었는데, 그 당시 방문했던 곳과 만났던 이들에 대한 기록이 일기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또한 금계와 도산 등 안동의 일대를 둘러보며 여러 편의 시를 남겼는데, 일기를 참조해보면 시를 지을 당시의 여정이나 함께 했던 인물 등 작품을 둘러싼 정황들을 밝힐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에 묘사된 풍경, 그 당시 느꼈던 감회 등을 알 수 있어 보다 폭넓게 시를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그 과정에서 시의 번역 역시 정확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처럼 『심재일기』는 조긍섭의 생애를 보다 깊이 이해하고 그가 남긴 작품을 더욱 정확하게 해석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때문에 앞으로 조긍섭의 삶과 문학을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하게 검토되어야 할 자료라 하겠다. Cho Geung-seop is a traditional intellectual who was active in Yeongnam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Currently, his writing consists of 『深齋集』, 『巖棲集』, 『深齋續集』 and 『深齋日記』, which is intended to be dealt with in earnest in this paper. 『深齋日記』 is a record of Cho Geung-seop s daily life. Each day is left as a short record, so based on this data, various aspects of his life can be reconstructed in detail, and it has a meaning as a material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his work. Among them, this paper reviewed the diary for two months in January and February 1898, when the Diary began. At that time, Cho Geung-seop headed to Andong to meet Kim Heung-rak, a big teacher in Yeongnam, at the young age of 26. In the process, he met various scholars in Yeongnam and formed a friendship with them, and records of those who visited and met at that time are recorded in the diary in detail. In addition, he left several poems while looking around Andong, including Geumgye and Dosan, and if you look at the diary, you can reveal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work, such as the journey at the time of writing the poem and the characters you felt at the time. In the process, the translation of poetry can also be done accurately. As such, 『深齋日記』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a very important material in understanding Cho Geung-seop s life more deeply and interpreting his work more accurately. Therefore, it is a material that must be reviewed in understanding Cho Geung-seop s life and literature in the future.

      • KCI등재

        대순진리회와 불교의 심우도 비교연구

        차선근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3 대순사상논총 Vol.46 No.-

        Simwudo (尋牛圖), known as Ox Seeking Pictures, originated in the 11th-12th century and have consistently played a guiding role in the teachings of various religions in East Asia. Some Korean religions that emerged during modern times conveyed their teachings through depictions of ox seeking or herding. Among them, Daesoon Jinrihoe stands out as a representative religion. The belief system of this particular religion elucidates its distinct doctrine and worldview by reimagining Simwudo, into a new set of six panels (seven or nine panels in some variations). The Simwudo of Daesoon Jinrihoe differs from that of Buddhism, particularly in its treatment of meditation (禪), both in terms of context and significance. While they share similarities in the aspect of ox-seeking, the Buddhist Simwudo symbolizes human nature, whereas the Simwudo of Daesoon Jinrihoe represents the great Dao of Heaven and Earth propagated by Kang Jeungsan and brought into completion by Jo Jeongsan. In the Buddhist context, the subject of the search is the Ox, signifying the restoration of a deluded human's pure nature in order to achieve personal salvation and in some version of Simwudo, reenter society to perform salvific actions for others. On the other hand, in the Simwudo of Daesoon Jinrihoe depicts the process of a human attaining immortality and following the teachings of Jeungsan and Jeongsan. This culminates in the final image which is the redemption of the world. The final phase of the Buddhist Simwudo, depending on the version, is either enlightenment (personal salvation) or reentering society to perform salvific actions (as a bodhisattva), whereas the Simwudo of Daesoon Jinrihoe show the simultaneous achievement of the perfection of humanity and the redemption of the world. This distinction highlights the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the Simwudo of these two distinctly different religious traditions. These differences arise from the contrasting purposes pursued by Buddhism and Daesoon Jinrihoe. 대략 11∼12세기에 등장한 심우도는 동아시아에서 특정 종교의 가르침을 안내하는 역할을 해왔다. 근대 이후 등장한 한국의 종교들도 소를 찾거나 기르는 그림을 활용하여 자신들의 가르침을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종교가 대순진리회다. 이 종교는 독창적인 6폭(또는 7폭, 9폭)의 심우도를 별도로 제작해 자신의 교리와 세계관을 설명한다. 대순진리회 심우도는 선(禪) 수행의 과정을 담은 불교 심우도와는 그 내용과 의미가 다르다. 소를 찾는다는 측면에서는 양자가 같지만, 불교 심우도의 소는 인간 본성을 상징하고, 대순진리회 심우도의 소는 증산이 펼치고 정산이 완성한 상생의 천지대도(天地大道)를 상징한다. 찾는 대상은 소지만, 그 소의 상징과 의미가 다르다. 이 때문에 불교 심우도는 오염된 인간의 본성을 청정하게 회복하여 중생제도에 나서는 그림으로, 대순진리회 심우도는 증산과 정산의 가르침을 찾아감에 따라 인간은 신선이 되고, 세상은 구제되어 지상천국으로 완성되는 그림으로 각각 설명된다. 불교 심우도의 최종 단계가 세상 구제를 위해 내딛는 수행자의 발걸음인 데 비해서, 대순진리회 심우도의 최종 단계가 인간과 세상의 구제와 완성을 동시에 성취함이라는 것은 두 그림이 완전히 다르다는 사실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런 차이는 불교와 대순진리회가 추구하는 목적이 다른 데에서 나타난 결과다.

      • KCI등재

        왕양명의 心에 보이는 神性과 聖性에 대한 이해

        김영건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6 No.-

        This thesis is focused on discovering the divinity and holiness out of Yangming Wang's spiritual mind. These two factors have been dealt separately in order to give comprehending that there exists the ultimate reality in his mind and this reality is very religious. Wang places the state of his mind to the same level as God's to justify the authority of his divinity. The mind leveled up to the state of God's transcends a human's physical body, limited human mind, and the earthly material world and it becomes the source of the ultimate truth and sageness as the metaphysical being. I divided this divinity of his mind into two. One is embracing all the principles of the universe, and the other is accepting the universe as it is and actualizing its principles. This point of view will give us the conception that there does exist the ultimate reality or truth in Wang's mind. I also split the holiness of his mind into two. The first one is having a pure mind which is just like holiness. The second is that Liangzie produces holiness. The former says that when he has a pure mind, the mind becomes like the universe and it actualizes the original mind which Heaven has bestowed human beings, and retrieves the holiness. The latter says that Liangzie becomes the same source producing holiness because the thoughts originated from Liangzie obeys all of the universal principles, so if we practice Liangzie the holiness is automatically followed. Therefore, the mind is the absolute being or the supreme judge to Wang. Wang is very positive of his noesis and belief in his mind. His assurance is like that of a man who did not believe in God at all, and one day suddenly changes his mind and confesses his strong belief in God after experiencing something extraordinary in his mind. Wang has an insight into the ultimate reality through his mind. From Wang's point of view, the ultimate reality is able to put the physical body and the spiritual mind together, make people love one another, and harmonize a human with the university. He realizes he has the ultimate reality or truth in his spiritual mind and he believes it strongly. This belief leads him to conclude that the mind can save both an individual and the world. In conclusion, Wang's firm belief in his spiritual mind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conviction of a theist who is sure about the existence of God and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with God. Although Wang does not believe in God as the religious being, he is very certain that there is the absolute being or ultimate reality in his mind. 본 논문은 명대 왕양명의 심에 보이는 심의 신성神性과 성성聖性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필자는 왕양명이 말하는 심에는 신성과 성성이 내재하고 있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먼저 그가 말하는 심에는 궁극적 실재가 내재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며. 다음으로 그 궁극적 실재가 왕양명의 심이 종교적인 의미를 지니게 한다는 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왕양명의 이러한 심을 신성과 성성으로 나눠서 검토함으로써, 심에 궁극적 실재가 내재하고 있고, 그러한 심이 종교적인 의미를 지닌다는 점을 살펴본다. 왕양명은 심의 신성에 대한 정당성을 보장받기 위하여 심의 권위를 하늘ㆍ상제ㆍ천명과 같은 위치에 둔다. 왕양명이 심과 하늘ㆍ상제ㆍ천명을 동일시함으로써, 심은 자연적으로 생리적ㆍ심리적ㆍ피동적ㆍ유한적인 차원을 뛰어넘는다. 그래서 심은 초월적인 궁극적 실재가 존재하는 형이상학적 본체로서 궁극적 진리와 지혜의 원천이 된다. 이러한 심의 신성은 주로 두 가지 측면에서 검토한다. 하나는 우주 자연의 모든 이치를 담고 있는 심이라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천지만물을 순리적으로 인식하고, 그들에 대해 천리天理의 지혜를 창출해내는 심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두 가지 측면에서의 심의 신성을 살펴봄으로써, 심에 궁극적 실재 혹은 궁극적 진리가 내재하고 있다는 점을 밝힌다. 심의 성성에 대해서는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본다. 첫째 ‘마음이 순수한 천리의 상태에 있다[心純乎天理]’는 것이 곧 성스러움[聖]이라는 것이며, 둘째 ‘생각이 성스러움을 만든다[思曰睿, 睿作聖]’는 것이다. 첫째는 주체가 마음을 순수한 천리의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하늘이 부여한 궁극적 실재인 성性을 회복하고 실현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런 경지가 바로 성스러움[聖]을 얻은 경지라는 점을 밝힌다. 둘째는 양지에서 발하여 작용하는 생각[思]은 천리 아닌 것이 없으며, 이것은 곧 성스러움[聖]을 만들어 내는 동인이라는 것을 밝힌다. 따라서 하늘의 천명인 양지를 실현하게 되면, 성스러움[聖]은 자연히 나타나게 된다는 것을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왕양명에게 있어서 오로지 심이 절대자이고 삶의 최고의 심판관이다. 왕양명의 이런 심에 대한 인식과 믿음은, 초월적인 신이나 인격신을 믿는 자가 어느 날 별안간 종교적인 체험을 하고 나서 그의 삶과 인생관이 완전히 바뀌는, 그런 종교적인 고백과 같은 확신에 차 있는 것이었다. 왕양명은 심에 궁극적 실재[天理]가 내재하고 있음을 분명하게 통찰한 것이다. 왕양명이 볼 때, 그 궁극적 실재는 몸과 마음이 하나가 되게 하고, 인간과 인간이 서로 사랑할 수 있게 하고, 인간과 우주가 하나가 되게 하는 궁극적 진리와 같은 것이었다. 이러한 심 안의 궁극적 실재ㆍ궁극적 진리를 깨닫게 됨으로써, 그는 심의 완전한 진리와 지혜를 신앙하게 되었고, 그러한 심을 통해서 개인 구원과 사회 구원도 이룰 수 있다고 확신한 것이다. 따라서 왕양명의 심에 대한 확신은 유신론자가 신과 신의 계시를 확신하는 그런 신앙적인 믿음과 서로 유사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왕양명은 유신론적인 신의 타자성이나 영적 타계성을 목표하고 설정하지 않았을 뿐이지, 심 안의 절대자ㆍ심 안의 궁극적 실재를 확신하고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후보

        화서 이항로 성리설의 심학적 특징에 관한 시론

        김근호 ( Goun Ho Kim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3 율곡학연구 Vol.26 No.-

        이 논문은 화서 이항로의 성리설을 심학의 관점으로 접근하면서 그 사상적 특징과 동시대 사상사적 의미를 밝힌 것이다. 지금까지 연구에서 그의 성리설은 주로 주로 주리론과 주기론이라는 사상사적 맥락 속에서 연구되고 평가되어 왔다. 이로 인해 19세기에 나타나는 한주학파나 노사학파의 성리설과 함께 강한 주리론적 성향의 성리설로 평가되었고, 그 사상적 특징도 크게 대별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주리론적 성향의 성리학자들이 대체로 마음 심(心)의 문제에 천착하고 있었다. 이에 연구 방법론을 성이학적 심학에서 새롭게 접근할 수 있는지를 시론해 보고, 힘학적 시각의 연구 방법론을 통해 그의 성리설이 가진 특징들과 동시대 사상사적 위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성리학적 심학(心學)의 관점을 연구 방법론으로 삼기 위해 먼저 퇴계 심학을 중심으로 ``성리학적 心學``에 대한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이것을 토대로 ``성리학적 心學``의 영역에서 화서 이항로 성리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율곡학파의 심(心)에 대한 전통적 이해를 새롭게 구축한 ``심합리기 心合理氣``, 이황의 ``리동(理動)``과 유사한 의미맥락이 담겨 있는 ``理體神用``, ``심즉리(心卽理)``로 오해할 수 있는 ``心興理一``, 율곡학의 ``리통기국(理通氣局)``을 계승한 ``理通物局``, 心의 직분(職分)을 사회, 천하로까지 확장하여 직업(職業)과 동일시하는 덕업(德業) 등의 특징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19세기 지성사에 있어서 한주학파나 노사학파와 구별되는 지성사적 면모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성리설의 특징들은 그의 심학에서 구축되었다고 말할 수 있고, 이심학을 토대로 도학(道學) 실천의 정당성과, 덕업으로써 부여된 도학의 의리 실천성을 확보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었다. This paper discusses how Hwaseo`s theory of mind marked and what it based on. His theory is marded by five features in a mind philosophy. ``Mind contains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心合理氣], ``Principle is the substance and it`s function is the initiative against body`` [理體神用], ``unity of mind and principle`` [心興理一], ``all the principle in the world are at bottom one and the initiative of things is restrict by it`s materiale`[理通物局], ``unity of an individual duty of virtue and public morality`` These features of his mind theory show conflicting Yulgok school;[票谷學派]`s traditional views on mind: on the other hand, the disparities in mind theory still exist between Hwaseo`s and Toegye`s mind philosophy. Nevetheless, it is important that most of 19th Neo-Confucianists had met the demands of the times. There were, however, a very distinct difference between Neo-Confucianist and Yangming`s mind theory. Even though, they put their moral faith into social practice as powerful as Yangming`s.

      • KCI등재

        중국철학 : 왕양명의 심(心)에 보이는 신성(神性)과 성성(聖性)에 대한 이해

        금영건 ( Young Gun Kim )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6 No.-

        본 논문은 명대 왕양명의 심에 보이는 심의 신성神性과 성성聖性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필자는 왕양명이 말하는 심에는 신성과 성성이 내재하고 있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먼저 그가 말하는 심에는 궁극적 실재가 내재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며. 다음으로 그 궁극적 실재가 왕양명의 심이 종교적인 의미를 지니게 한다는 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왕양명의 이러한 심을 신성과 성성으로 나눠서 검토함으로써, 심에 궁극적 실재가 내재하고 있고, 그러한 심이 종교적인 의미를 지닌다는 점을 살펴본다. 왕양명은 심의 신성에 대한 정당성을 보장받기 위하여 심의 권위를 하늘·상제·천명과 같은 위치에 둔다. 왕양명이 심과 하늘·상제·천명을 동일시함으로써, 심은 자연적으로 생리적·심리적·피동적·유한적인 차원을 뛰어넘는다. 그래서 심은 초월적인 궁극적 실재가 존재하는 형이상학적 본체로서 궁극적 진리와 지혜의 원천이 된다. 이러한 심의 신성은 주로 두 가지 측면에서 검토한다. 하나는 우주 자연의 모든 이치를 담고 있는 심이라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천지만물을 순리적으로 인식하고, 그들에 대해 천리天理의 지혜를 창출해내는 심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두 가지 측면에서의 심의 신성을 살펴봄으로써, 심에 궁극적 실재 혹은 궁극적 진리가 내재하고 있다는 점을 밝힌다. 심의 성성에 대해서는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본다. 첫째 ``마음이 순수한 천리의 상태에 있다[心純乎天理]``는 것이 곧 성스러움[聖]이라는 것이며, 둘째 ``생각이 성스러움을 만든다[思曰睿, 睿作聖]``는 것이다. 첫째는 주체가 마음을 순수한 천리의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하늘이 부여한 궁극적 실재인 성性을 회복하고 실현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런 경지가 바로 성스러움[聖]을 얻은 경지라는 점을 밝힌다. 둘째는 양지에서 발하여 작용하는 생각[思]은 천리 아닌 것이 없으며, 이것은 곧성스러움[聖]을 만들어 내는 동인이라는 것을 밝힌다. 따라서 하늘의 천명인 양지를 실현하게 되면, 성스러움[聖]은 자연히 나타나게 된다는 것을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왕양명에게 있어서 오로지 심이 절대자이고 삶의 최고의 심판관이다. 왕양명의 이런 심에 대한 인식과 믿음은, 초월적인 신이나 인격신을 믿는 자가 어느 날 별안간 종교적인 체험을 하고 나서 그의 삶과 인생관이 완전히 바뀌는, 그런 종교적인 고백과 같은 확신에 차 있는 것이었다. 왕양명은 심에 궁극적 실재[天理]가 내재하고 있음을 분명하게 통찰한 것이다. 왕양명이 볼 때, 그 궁극적 실재는 몸과 마음이 하나가 되게 하고, 인간과 인간이 서로 사랑할 수 있게 하고, 인간과 우주가 하나가 되게 하는 궁극적 진리와 같은 것이었다. 이러한 심 안의 궁극적실재·궁극적 진리를 깨닫게 됨으로써, 그는 심의 완전한 진리와 지혜를 신앙하게 되었고, 그러한 심을 통해서 개인 구원과 사회 구원도 이룰 수 있다고 확신한 것이다. 따라서 왕양명의 심에 대한 확신은 유신론자가 신과 신의 계시를 확신하는 그런 신앙적인 믿음과 서로 유사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왕양명은 유신론적인 신의 타자성이나 영적 타계성을 목표하고 설정하지 않았을 뿐이지, 심 안의 절대자·심 안의 궁극적 실재를 확신하고 있었던 것이다. This thesis is focused on discovering the divinity and holiness out of Yangming Wang`s spiritual mind. These two factors have been dealt separately in order to give comprehending that there exists the ultimate reality in his mind and this reality is very religious. Wang places the state of his mind to the same level as God`s to justify the authority of his divinity. The mind leveled up to the state of God`s transcends a human`s physical body, limited human mind, and the earthly material world and it becomes the source of the ultimate truth and sageness as the metaphysical being. I divided this divinity of his mind into two. One is embracing all the principles of the universe, and the other is accepting the universe as it is and actualizing its principles. This point of view will give us the conception that there does exist the ultimate reality or truth in Wang`s mind. I also split the holiness of his mind into two. The first one is having a pure mind which is just like holiness. The second is that Liangzie produces holiness. The former says that when he has a pure mind, the mind becomes like the universe and it actualizes the original mind which Heaven has bestowed human beings, and retrieves the holiness. The latter says that Liangzie becomes the same source producing holiness because the thoughts originated from Liangzie obeys all of the universal principles, so if we practice Liangzie the holiness is automatically followed. Therefore, the mind is the absolute being or the supreme judge to Wang. Wang is very positive of his noesis and belief in his mind. His assurance is like that of a man who did not believe in God at all, and one day suddenly changes his mind and confesses his strong belief in God after experiencing something extraordinary in his mind. Wang has an insight into the ultimate reality through his mind. From Wang`s point of view, the ultimate reality is able to put the physical body and the spiritual mind together, make people love one another, and harmonize a human with the university. He realizes he has the ultimate reality or truth in his spiritual mind and he believes it strongly. This belief leads him to conclude that the mind can save both an individual and the world. In conclusion, Wang`s firm belief in his spiritual mind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conviction of a theist who is sure about the existence of God and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with God. Although Wang does not believe in God as the religious being, he is very certain that there is the absolute being or ultimate reality in his mind.

      • KCI등재

        <심생전〉 이해의 새로운 시각

        신희경(Shin, Hee-kyu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장서각 Vol.0 No.37

        이 글은 〈심생전〉이 문체반정 이전에 창작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여 문체반정과 충군 이전의 이옥 작품들을 통해 〈심생전〉 창작 당시 이옥의 의식 지향을 살펴봄으로써 〈심생전〉의 창작 배경과 주제 의식을 새롭게 규명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Ⅱ장에서는 매화외사의 평에 주목하여 〈심생전〉의 성격과 『情史』와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서당 선생이 겪은 동창의 이야기를 이옥이 듣고 작품화했다는 것이 지금까지 〈심생전〉 창작 배경과 동기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이다. 서당 선생의 이야기에 대해 이옥은 “새로운 이야기”이며 “『情史』와 비슷한”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사대부가의 여성이 아닌 소민이 자각에 의해 정절을 지킨 것은 자체가 기이한 것이었으므로 서당 선생이 들려준 심생의 이야기를 이옥은 ‘新說’이라고 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옥은 『情史』가 정이 천지 만물의 근원이며 유대를 맺어 나가는 핵심 인자라는 생각을 바탕으로 편찬된 책인 것을 인식하고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보유를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 이옥은 『情史』의 지향과 의식면에서 유사성을 말하고 있으며 기이한 남녀의 진정을 소재로 〈심생전〉을 창작하였고 이를 근거로 매화외사의 평에서 “『情史』의 보유”를 말한 것이다. Ⅲ장에서는 이옥이 성균관 유생으로 입신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음을 전제로 하여 〈심생전〉 창작 이전 이옥의 행적과 글들을 통해 입신에 대한 이옥의 생각을 추론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심생전〉에 나타나는 이옥의 창작의도와 지향을 살펴보았다. 〈심생전〉은 양반 남성과 중인 여성의 비극적인 사랑을 통해 봉건적 신분관계의 비인간적 폭력성을 보여준다고 이해되어 왔다. 이옥은 문체반정 이전에 과거를 통해 입신하려는 의지를 가진 인물이었다는 점에서 궐녀를 향한 심생의 열정은 이옥이 가진 과거와 문장에 대한 열정으로 읽힐 수 있다. 또한, 논찬부가 가진 일반적인 기능을 고려할 때 서당 선생의 교훈은 학동에게 주는 권면의 의도를 가지고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심생전〉은 있는 세계의 모순을 거부하고 있어야 할 신분 해방의 세계를 지향하고 있는 작품이라는 평가는 재고되어야 한다. 그간의 논의는 이옥이 출사를 꿈꾼 사대부로서 유가적 이념에 충실한 인물이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자신의 처지에도 불구하고 오랜 시간동안 입신을 꿈꾸며 경서를 공부한 이옥이 신분해방의 세계를 지향하는 작품을 창작하였다는 것은 어불성설이기 때문이다. 〈심생전〉에 나타난 비극은 이옥이 가진 생래적 의식이 구현된 것이며 이 것은 자신의 처지를 투영하면서 작품화한데서 온 것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옥은 출신과 정파가 열악한 자신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정조의 인선 정책에 기대를 걸고 있었기에 지속적으로 과거에 응시하면서 입신을 희망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태생적 한계와 성향으로 인해 좌절에 대한 두려움도 가지고 있었다. 〈심생전〉은 진실로 이루고자 하는 뜻을 세우겠다는 욕망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패할 수 있다는 좌절에 대한 두려움이 나타나는 작품으로 입신 욕망에 대한 이옥의 분열된 자아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The thesis noted that 〈sim-saeng-jeon〉 was created prior to Munchebanjeong(文體反正) and explores the orientation of Lee Ok during the creative period through his works prior to Munchebanjeong. The thesis aims to establish a new version of the creative background and theme consciousness of 〈sim-saengjeon〉. In Chapter 2, I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 〈sim-saengjeon〉 and 〈Jeong-sa (情史)〉. It is extraordinary that somin (小民), who is not a woman of sadeabu (士大夫), is chastity personified.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teacher mentioned the story of Simsaeng was called “新說” Also, Lee Ok was aware that 〈Jeong-sa〉 is a book compiled on the basis of the idea that Jeong is the core of the universe and is the core builder of the world. Based on this, he mentioned 補遺. Chapter 3 suggests that Lee Ok was trying to achieve himself as a student of sung-kyun-kwan. And examines the movements and works of Lee Ok before the invention of 〈sim-saeng-jeon〉. Prior to Munchebanjeong, Lee Ok was a man who was willing to advancement through the 科擧. In this sense, simsaeng’s passion for 厥女 can be read with passion for the advancement of Lee Ok. Considering the general functionality of nonchanbu (論贊部),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teacher’s moral intention is to have the intent of hard work. The evaluation that 〈sim-saeng-jeon〉 aims to be a quest for social status should be reconsidered. So far, the debate is overlooking that he was a loyal figure in the study of Confucianism. Nevertheless, he had fears of frustration, due to his own inherent limitations and tendencies. However, he also had fears of frustration due to his own inherent limitations and tendencies. 〈sim-saeng-jeon〉 is a work that shows the divided ego of for his craving for fame.

      • KCI등재

        老莊(노장)과 禪家(선가)의 초월적 수양 공부

        서명석 韓國宗敎敎育學會 2001 宗敎敎育學硏究 Vol.13 No.-

        다음과 같은 정식이 있을 수 있다: <나는 초월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때 초월은 인간의 존재론적인 비약이면서 인식론적인 포월을 의미한다. 이 정식을 염두에 두면서 동양의 전통, 특히 노장(老莊)과 선가(禪家)의 담론 속에서 그것이 공부로서의 인간 초월과 어떻게 협연하는가를 여기서 다루었다. 교육의 주요활동을 배움(學·learning)으로 포착하는 것은 서양이냐 동양이냐를 구분할 필요는 없지만, 배움을 둘러싼 둘 사이의 지평의 결별은 너무나 크다. 먼저, 서양에서 유입된 현대적인 배움(learning)에서는 교육내용에 대한 습득의 활동과 긴밀하게 조응한다. 물론 이 교육내용은 학문의 영역을 구획해내는 <지식의 형식> 담아 교과를 통하여 부활한다. 그러므로 여기서의 배움은 교과에 대한 배움과 동일하다. 그런데 이 배움은 교육내용을 담보하는 <구체적인-내용물-자체에-대한-배움>물학(物學)으로 지탱한다. 허나 동양에서 바라보는 배움의 지평은 달랐다. 여기서 바라보는 배움(學)은 인간의 마음과 그 마음 자체에 대한 연마활동과 만난다. 따라서 배움의 구체적인 양태는 마음이 어떻게 현실의 세계 안에서 작동하며, 그 작동의 실상이 마음을 넘어 인간의 몸에 어떻게 편승하는가를 직시하는 일이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단순한 직시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몸 너머의 존재 승격 그리고 세계관의 변화라는 것으로 압축되었기에 그것은 마음의 질을 다루는 배움이었다. 그럼으로써 이와 같은 배움은 <마음의 형식> 일상 속에서 포착하며 마음 자체를 다잡는 것을 배우는 것이기에 마음속 안으로 직접 들어가서 <마음을-갈고-닦으며-새-마음으로-그-마음을-배양하는-배움>심학(心學)이라는 가닥으로 수렴시켰다. 이런 심학(心學)은 마음 안에서 피고 지는 욕망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다룬다. 즉 동양에서 바라보았던 심학(心學)은 존재의 욕망과 맞닿아 있으면서 욕망의 문제에 일일이 화답하는 것이었다. 물론 이 지형 속에서, <존재는 욕망하며 실존한다, 그러면서 존재는 현존한다.>肩린?인간이 욕망하는 존재이기에 그의 욕망은 수축과 팽창이라는 연동 운동을 할 수밖에 없다. 이 와중에서 욕망의 질서를 규율하고 조정하는 것이 마음의 주체적 몫이다. 하여 마음은 욕망하는 실체이면서 동시에 욕망하는 그 마음을 상위에서 지배하는 또 다른 마음이 있을 수 있다는 전제를 심학(心學) 전통은 받아들인다. 이 마음이 있음으로써 마음 안에서의 초월은 가능하다. 물론 이런 초월은 교육내용이라는 구체물의 세계를 배우는 것에서 일어날 수 없는 것이고, 스스로 주체가 되어 마음 안에서의 마음의-닦음과-배양으로써 일어나는 내재적인 마음의-질적-변환(metanoia)이다. 이것은 존재가 욕망을 독자적으로 주재하고 기획함으로써 존재의 탈바꿈이 마음 안에서 일어날 수 있다는 가정이다. 이것이 동양의 초월적 마음 공부이다. 이 공부는 우리들의 마음 속에서 더 큰 존재를 스스로 만들어 가는 활동과 같다. 그리하여 존재의 첫 명제는 나(我·ego)로부터 출발한다. 왜냐하면 나 곧 무지와 탐욕으로 뒤덮인 자아가 바로 진리를 찾아가는 주체요 또한 진리의 본체이기 때문이다. 이런 무지와 탐욕과 같은 욕망을 담금질함으로써 나를 소멸시키면서 진아(眞我·Self)를 찾아가는 것이 전통 배움인 심학(心學)에서의 초월인 것이다. 더불어 초월이 일어난다는 것은 존재가 뒤바뀌면서 그에 따른 존재의 세계관도 동시에 갱신된다는 것을 함의한다. 이런 공부의 지평을 동양에서는 수양(修養)으로 등록시켜 놓았다. 이 중 노장(老莊)에서의 무위(無爲)와 진아(眞我)의 추구, 그리고 선가(禪家)의 부처 입론과 견성(見性)의 탐구는 이런 마음의 초월 공부와 직접 만난다. 이 속에서 존재는 마음의 초월적 부활을 구체적으로 체험할 수 있을 것이다. 존재의 궁극적 원리 자체가 다함 없이 운동하기 때문에, 우리의 공부도 끝없이 날로 전진한다.―黃宗羲 (道無窮盡 吾之工夫亦日進無彊,『孟子師說)「禹惡旨酒章)) There is such as formula: I transcend, therefore I am. At this point transcendence means ontological leaping and epistemological jumping. Holding this meaning sets, I studied harmony topography between Kung Fu tradition and human transcendence focused on Taoism and Zen Buddhism of eastern tradition. Both West and East emphasized learning of education for long time. But two paradigms of learning differed from educational mind. In West, modern learning corresponds to the accumul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that is, curriculum. In this context, contents are formed through subject-matters constructed by knowledge form of academic area. Therefore modern learning of West accords with learning of subject-matters. It is called Mul-Hak(物-學). This Mul-Hak means the accumulative learning of concrete contents in educational practice. But the learning of eastern tradition ran to special horizon on education. In this text, human learning tackled mind and alchemy of mind and heart. This learning concentrated on mind movement of daily world, and was studied cosmic order of heart and mind by self cultivation. It is called Sim-Hak(心-學). This is Kung Fu tradition of learning in eastern religion and philosophy. This Sim-Hak paradigm is directly treated human desires that cyclically birth and die inside human mind. So Kung Fu of Sim-Hak was connected the problem of desires and it was problem of being to eastern. Because eastern people thought that the quality of being relied on to the quality of desires. In this assumption, human being experiences successive desire movement designed by energy flow of decrease and increase. At this process, human being is emerged coordinator of one's desire for oneself. When human being continue self management and control of own desires, being can transcend lower level toward higher level in self mind. This is transcendental Kung Fu of learning. And, in eastern paradigm, it is called the self cultivation of heart and mind. This is Su-Yang(修-養) Kung-Fu(工-夫). Of course, Taoism and Zen Buddhism have been kept this tradition of Kung Fu. Concretely speaking, Taoism stressed true Self building of mind trough polishing desires. Also, Zen Buddhism accepted discovery of Buddha nature as a apogee of Kung Fu. In this context, true Self building of mind and discovery of Buddha nature is equal to final accomplishment of human transcendence.

      • KCI등재

        The Effects of the Establishment of Code-Blue Team on In-Hospital Care of Patients with Cardiac Arrest

        Il Kug Choi,Chan Young Kho,Han Joo Choi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8 Crisisonomy Vol.14 No.4

        병원 내 심정지는 그 생존률이 병원 외에서 발생하는 심정지 환자의 예후와 비교할 때 높지 않으며, 초기 심정지 리듬, 제세동 가능 여부, 시간 지연, 소생술의 수준, 심정지 발생 전 환자 감시 여부, 소생 후 치료 등 다양한 요소들이 환자의 경과와 관련된다. 저자들은 심정지 대응팀의 구성과 활동 이 병원내 심정지 환자의 치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기간 2년 동안 531명의 병원 내 심정지 환자가 발생하였다 (이 중 289명은 심정지 대응팀 구성 전 의료진에 의하여 심폐소생 술을 시행 받았다). 연구 자료는 전향적으로 수집하고 후향적으로 분석되었다. 심정지 대응팀 구성 의료진에 대한 팀으로서의 심폐소생술 교육과 함께 원내 심정지 상황 전파체계를 재정비하여 대응한 결과, 심정지 인지까지 걸린 시간 (9.9±8.2 대 11.0±8.1 minute), 현장 도착까지 걸린 시간 4.1±2.6 대 12.4±10.3 minute) 그리고 심정지 인지로부터 흉부압박까지 걸린 시간 (15.6±7.2 대 20.6±10.6 minute) 은 비교육군보다 교육군에서 훨씬 빨라졌다 (모두 p<0.05). 생존율도 교육군이 비교육군 보다 높았으 나 유의하지 않았다 (9.09% 대 8.33%). 본 연구의 수행 결과, 교육된 심정지 대응팀의 소생술 수행도 는 더 좋아졌으나, 병원 내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심정지 대응팀의 수행도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다. We sought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performance of the Code-Blue Team on survival of patients with in-hospital cardiac arrest. This study was performed a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a detailed cardiac arrest registry containing prospectively collected data during two years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1). We compared Code-Blue Team performance and patient survival in 2011 (Education Group) with those in 2010 (Pre-education Group). A total of 531 cases, including 289 cases in the Pre-education group, were included in the study. Time to arrest recognition (9.9±8.2 vs 11.0±8.1 minute), time to scene arrival (4.1±2.6 vs 12.4±10.3 minute), recognition to chest compression (15.6±7.2 vs 20.6±10.6 minute) were much shorter in the Education group than in the Pre-education group (all p<0.05). Although the Code-Blue team showed a better performance, the survival rate of in-hospital cardiac arrest was not influenced by the performance of the Code-Blue team.

      • KCI등재

        심부근 안정화 운동이 대학 배구선수의 심부 근 기능과 중심 밸런스에 미치는 영향

        송낙훈 한국스포츠학회 2024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2 No.1

        요약본 연구의 목적은 심부근 안정화 운동이 대학배구선수의 심부 근기능과 중심밸런스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대학배구선수의 스포츠 손상 예방과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수행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C지역과 D지역 대학 배구선수 36명을 비 운동 비교집단(NEG) 12명, 웨이트 운동그룹(WEG) 12명, 심부근 안정화 운동그룹(LEG) 12명으로 무선 할당하여 실험 전과 후 심부근기능과 중심밸런스를 측정하였다. 심부근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은 12주간 진행하였으며, 연구 수행을 통해 얻어진 자료는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 반복측정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은 첫째, 심부근 안정화 운동에 따른 심부근기능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LEG가 WEG와 NEG에 비해 심부근기능의 근파워와 스피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부근 안정화 운동에 따른 중심 밸런스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LEG가 WEG와 NEG에 비해 중심밸런스의 4개 축의 이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심부근 안정화 운동이 대학배구선수의 심부 근기능과 중심밸런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ocal muscle stabilization training on trunk muscular ability and center balance in university volleyball player.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volleyball player at J, C universict, were selected at random and allocated 12 volleyball player each for the Non Exercise group(NEG), Weight Exercise group(WEG), Local Muscle Stabilization Exercise group(LEG) and measured trunk muscular ability and center balance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local muscle stabilization training program for 12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of trunk muscular ability according to local muscle stabilization training, LEG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NEG and WEG.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of center balance according to local muscle stabilization training, LEG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NEG and WEG. As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local muscle stabilization training ontrunk muscular ability and center balance in university volleyball player. However, there is a need for more specific exercise programs to be developed for the continual improvement of volleyball performance in volleyball along with further studies to confirm the physiological benefits of those programs.

      • KCI등재후보

        심장외막지방과 대사 증후군 및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와의 연관성

        백승희 ( Seung Hee Baik ),안성균 ( Sung Gyun Ahn ),최정현 ( Jung Hyun Choi ),고보람 ( Bo Ram Koh ),유준환 ( Jun Hwan Yoo ),강수진 ( Soo Jin Kang ),최병주 ( Byoung Joo Choi ),최소연 ( So Yeon Choi ),윤명호 ( Myeong Ho Yoon ),탁승제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3

        목적: 저자 등은 1) 심장외막지방과 대사 증후군과의 연관성과 2)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3) 심장외막지방과 인슐린 저항성 정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흉통을 주소로 내원하여 처음 관동맥조영술을 시행 받은 289명을 대상으로 경흉부 심초음파을 이용한 심장외막지방의 두께 및 인체 계측, 혈청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공복 시 혈당, 공복 시 인슐린, CRP, 섬유소(fibrinogen), 요산 등을 측정하였다. 결과: 1) 대사 증후군의 환자군(185명, 64%)에서 심장외막지방의 두께가 의미있게 두꺼웠다(평균 4.3±2.5 mm vs. 평균 3.6±2.8 mm, p=0.005). 2) 심장외막지방 두께의 중앙값인 3.4 mm을 기준으로 환자를 두 군으로 분류하여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들을 비교해 보았을 때 두꺼운 군에서 대사 증후군 동반 빈도가 높고, 대사 증후군의 구성요소의 유병률이 높았으며. 나이, 허리둘레, 총 콜레스테롤, log CRP 등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고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은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낮았다. 3) 대사 증후군의 여부에 따라 심장외막 지방의 ROC curve를 분석하여 심장외막지방의 두께 3.2 mm가에서 민감도 58%, 특이도 58%를 보여 가장 신뢰성 있는 cut-off 수치였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심장외막지방의 두께가 0.1 mm 증가할 때마다 대사 증후군의 유병률이 1.78배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4) 나이, 허리둘레,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log CRP가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었고. 이들 중 나이, log CRP는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하여 심장외막지방의 두께와 독립적으로 상관관계가 있었다. 5) 비 당뇨 환자군에서 인슐린 및 HOMA-IR score도 심장외막지방의 두께와 연관이 있었다. 결론: 경흉부 심초음파로 측정한 심장외막지방의 두께는 대사 증후군 및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와 연관성을 보였고, 인슐린 저항성과도 관련성을 보여 앞으로 내장 지방의 새로운 지표로서 대사 증후군 및 심혈관 질환을 예측하는 새롭고 부가적인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Increased adiposity is widely accepted as the main expression of obesity and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syndrome. The significance of epicardial adipose tissue (EAT), frequently observed during a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ic examination, is not well recogn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EAT to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Methods: We collected clinical, biochemical, and anthropometric information from 289 consecutive and prospective patients (147 men; 59±11 years) who visited our hospital for a complaint of chest pain. EAT thickness was measured by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on the free wall of the right ventricle in the parasternal long axis and short axis views at the base level during end-diastole. Results: EAT thicknes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185 (64%)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as compared with patients without metabolic syndrome (4.3±2.5 mm vs. 3.6±2.8 mm, p=0.005). By a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EAT was correlated to age (r=0.484, p<0.001), waist circumference (r=0.177, p=0.01), the level of HDL cholesterol (r=-0.182, p=0.001) and log CRP (r=0.268, p=0.012).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age and log CRP were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correlated to EAT thicknes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chocardiographic EAT should be considered as a new useful imaging indicator of visceral adipose tissue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disease. (Korean J Med 72:290-297, 200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