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雇用許可制下で不法滞在勞働者の現況と問題点及び法的對応方案

        高準基(Ko zoon ki),宮城佳奈(Miyagi Keina) 한국노동법학회 2012 노동법학 Vol.0 No.41

        Even though the special permit system of employment would help to reduce the rate of illegal foreigners, due to various reasons and initiation, illegal residency still occurs. Especially lately, the rate of undocumented workers are rapidly increasing, since foreign workers’ legal residency permissions are expired. As nothing is perfect, even the proper laws try to prevent illegal residency of foreign workers. The present permit system of employment shows the problems of managing the plan and weak spot of law system. Due to various causes and reasons, illegal residency happens, in order to effective counter plans are also various. In this paper, the reviewing of problems of how illegal residency affects our society, through the causes of illegal residency, draw the conclusion of problems and weak spot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there should be examination of legal action against the main countries and implication regarding national bust and punishment about illegal residency, related administrative agency’s counter plans of illegal residency, and excessive existence of illegal residency of foreign workers, intermittent of legalization. Based on this, there are suggestions of law institutional remedies about illegal residency. This paper has provided the one legal steps in order to reduce the problems; the special permit system of employment. This steps would help to solve the problems regarding rehiring and reemployment permit arraign after rehiring which are local labor market protection policy, local labor market’s supplementation policy, short-run circulation principles, an appeasement policy about transfer of business or workplace of migrant workers, and illegal residency control;

      • KCI등재

        中文在線協同教學研究

        LI JIZHENG 한국중국언어학회 2024 중국언어연구 Vol.- No.110

        International Chinese education in the post-epidemic period has undergone tremendous changes, and teaching staff are faced with the problem of how to use the Internet and teaching reasonably. International Chinese teaching mostly follows the principle of "concise teaching and more practice", but it is generally difficult to achieve this ratio in comprehensive Chinese courses in Korean universities. This type of course focuses on learners' knowledge of Chinese vocabulary, grammar, discourse and other language knowledge as well as Chinese social and cultural knowledge, and exercises to test their language mastery in terms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and translation. Its purpose is to hope that learners can lay a foundation for the next stage of learning through systematic Chinese learning. In order to adapt to the changes in education in the post-epidemic era, and to improve and solve the problem of insufficient practice in comprehensive courses, the author tried to adopt a new hybrid "collaborative"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Internet for the elementary Chinese comprehensive courses he was in charge of. On the whole, this study is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and takes actual teaching interactive teaching cases as the object to analyze its feasibility, effects and existing problems. Ultimately,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will explore Chinese teaching methods suitable for the post-epidemic era, improve classroom efficiency and professors' teaching capabilities, and provide some reference and help for existing teaching methods.

      • KCI등재

        일본의 배외주의에 맞선 재일작가 이용덕(李龍德)의 문학

        김계자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1 비교일본학 Vol.52 No.-

        본고는 이용덕의 데뷔작 『죽고 싶어지면 전화해』(2014)에서 제기된 현대사회의 혐오와 차별, 폭력의 문제가 『당신이 나를 죽창으로 찔러죽이기 전에』(2020)에서 일본사회의 극심한 배외주의에 대한 비판과 성찰로 이어진 내용을 살펴보고 그 의미에 대하여 생각해 보았다. 이용덕은 재일을 둘러싼 일본사회의 최대 이슈인 배외주의에 정면으로 맞서 자신의 문학하는 이유를 찾은 작가이다. 특히, 『죽창』은 1923년 간토대지진 때 일어난 조선인 학살을 연상시키는 제목으로, 일제강 점기 이래 지속된 일본 배외주의의 뿌리 깊은 폐해와 문제의 심각성을 비판하며 일본사회의 성찰을 촉구한다. 그리고 소설의 내용이 일본인과 재일코리안 사이의 갈등과 대립을 강조하 는 이항대립의 구조보다, 일본의 배외주의에 대한 재일코리안 청춘 군상(群像)의 다양한 생각 과 각기 다른 대응방식을 보여주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재특 회’를 비롯한 배외주의자에 대하여 공격에 나선 가시와기 다이치 일행이나 한일 간의 갈등을 넘어 이상적인 공간을 만들려고 한국으로 귀국한 박이화 일행 외에도, 차별과 혐오의 시대를 각기 다른 방식으로 살아가는 많은 재일 청춘의 모습을 다양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용덕의 문학은 만연해진 일본의 극심한 배외주의에 맞서 지금껏 저항해 온 재일문학의 흐름을 잇는 동시에, 재일의 주체적이고 역동적인 서사를 만들어냄으로써 재일문학의 세대교 체를 알렸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considers the representation of discrimination and hatred in Lee Yong deok's debut novel, “Call me when you want to die”(2014), and thinks about the problem of ‘Hate Speech’ in the recent work “Before You Stab Me with a bamboo spear”(2020). His works criticize the extreme exclusionism of Japan including Zaitokukai(在特会) antagonizing Zainichi Koreans. Lee Yong deok is a Zainich Korean writer who found the reason for his literature against the exclusionism of Japan. In particular, it is worth noting that “Before You Stab Me With A Bamboo” focuses more on showing various thoughts and different ways of responding to the exclusionism of Japan, rather than on the conflict and confrontation between the Japanese and the Zainichi Koreans. In addition to the main characters who fought against exclusionists or pursued the establishment of ideal community in Korea, there are many characters who show different lives of Zainichi Koreans living in an age of discrimination and hatred. Lee Yong deok’s literature shows a generational shift in Zainichi Korean literature by creating an independent and active narrative against the extreme and widespread exclusionism of Japan.

      • KCI등재

        교토의 재일조선인과 히가시구조

        허영은(Huh, Young -Eun)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5 日本硏究 Vol.0 No.63

        교토는 일본을 대표하는 관광도시로서 전 세계인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교토가 오늘날과 같은 도시 모습을 갖추게 된 것은 근대에 들어서부터이다. 근대 초기 교토는 ‘공원도시’를 건설하기 위해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했다. 또한 교유젠이나 니시진오리와 같은 교토를 대표하는 직물산업 역시 힘들고 끈기 있는 노동을 필요로 한다. 근대 초기 식민지 조선에서 토지를 빼앗긴 조선인들은 일자리를 찾아 일본으로 이주하게 되고, 이렇게 유입된 조선인들은 부족한 일본의 노동력을 채우는 역할을 했다. 하지만 이들은 해방 이후 정당한 법적 지위를 부여받지 못하고 일본사회에서 소외된 채 도시 하층민으로서의 삶으로 내몰리고 있다. 재일조선인이 일본에 이주하게 된 역사적 배경과 남북이 분단되게 된 데 대해 일본은 그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하지만 최근 일본에서 벌어지고 있는 ‘헤이트 스피치’는 식민 지배와 남북분단이라는 역사에 대한 일본사회의 무지와 책임의식 결여를 여실히 보여주는 현상이라 하겠다. 그런 가운데 2014년 교토조선제1초등학교에서 있었던 재특회의 시위에 대해 법원이 유죄판결을 내린 것은 헤이트 스피치를 인종차별로 규정한 일본 법원의 첫 판결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고에서는 문화도시로서의 교토를 만드는 데 공헌한 재일조선인들의 삶의 궤적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방 이후 분단과 차별 속에 힘든 삶을 이어나가고 있는 지금의 현실에 대해서도 고찰해 보았다. 문화도시 교토의 이면에 존재하는 소외되고 차별받는 재일조선인의 공헌에 대한 재평가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Kyoto is o ne of Japan’s popular tourist cities and is loved by people all over the world. Meanwhile , Kyoto took its present form of a city with the arrival of modern times. At the beginning of that period, Kyoto required a substantial labor force to create a urban setup, ‘a park city’. Besides, Kyoto’s representative textile industry such as Kyoyuzen Dyeing and Nishijin Fabrics also needs hard and patient endeavors. Early in the Japanese colonial rule, many Koreans deprived of their lands were forced to immigrate to Japanan dfilled up the shortage of Japanese labor. But these Koreans failed to be granted the proper legal status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and came to be alienated from Japanese mainstream society and became the urban residents of the lower classes. Japan can hardly be free from responsibility either for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a wave of immigration of Zainichi into Japan or for the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 However, the recent Hate Speech Rallies targeting Zainichi are a good example displaying a lack of knowledge as well as a sense of responsibility in Japanese society concerning colonial rule and the division of Korea.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Japanese court’s verdict of guilty on demonstration of Zaitokukai at Kyoto Chosen Daiichi Elementary School in 2014 carries great significance as the first case of Japanese court to define Hate Speech as racial discrimination. In this study I tried to trace the live s of the past and the present of Zainichi who substantially contributed to create Kyoto as its present form of cultural city. Behind the splendid scene of cultural city Kyoto, there are still many Korean residents alienated and discriminated against. The reevaluation on their contribution is urgently need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見いだされた朝鮮 ―「多胡碑」と「羊太夫」一

        佐藤喜久一郞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06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2 No.-

        「多胡碑」は「日本三古碑」のひとつに位置づけられている遺物であるが、朝鮮半島から渡來 してきだ渡來人の文化との關わりで語られることがある。この論考では、こうした語りが形成された歷 史的背景を論じることで、日本內陸部の在地社會における「朝鮮」の「發見」のプロセスと 「知」との關係を明らかにした。 「朝鮮」の發見は近代的な現象であり、知識人による價値の創出行爲と深く關わる出來事で あった。近代以前の社會におけるこの石碑は、地域の宗敎的·政治的文脈のなかに置かれてお り、「羊太夫」と呼ばれる、非業の最期を遂げた英雄の墓所とされるもので、あった。ところが、石 碑の新しい意味が知識人によって「發見」されて以降は、石碑自體の「渡來人」との關係や、 その「東アジア自り」な價値が見いだされて、從來とは別の文脈に置かれるようになっていったので"あ る。 「朝鮮」の「發見」は、「羊太夫之墓」から「多胡碑」へと、古い記號の機能が近代的な ものへと轉位させられる過程で行われたものであり、それ以前の意味體系への否定の表現に他なら なかったのでらある。

      • KCI등재

        장혁주의 「氷解」에서 보는 국책과 조선인 ―‘빙해’를 중개하는 朝鮮人코레이 이야기―

        유수정 한국일본학회 2008 日本學報 Vol.75 No.-

        1939年2月に発足した大陸開拓文芸懇話会は、「内地」の作家たちが「大陸開拓地」を視察し、「満洲」 に取材した作品を生産することを目指して結成され、その年10月にはアンソロジー『開拓地帯』を出している。そ こに収録された張赫宙「氷解」(初出『新満洲』第3巻第7号、1937.7)は、主人公「王三」が「満蒙開拓青 少年義勇軍」の少年たちに対する反感が自分の誤解から来るものであることを悟り、日本側に協力していくという 典型的で単純な国策的内容である。 このテキストは朝鮮出身作家張赫宙の身体が持つエスニシティを被せることにより、被植民者自らが発する、ま たは代弁する帝国の言説という意味で、国策文学としてのプロパガンダ性が強まる。本研究では、登場人物と作 家と作品のメッセージの送信先、つまり張赫宙が想定した読者のエスニシティまでを視野に入れ、「氷解」が日 本帝国の国策文学として持つ意味とテキストに内在されている帝国主義に対する批判という両義性を踏まえた上、 もう一回「氷解」の国策文学としての戦略を捉えてみた。それに基づいて「氷解」のなかの二つの物語と二つの 国策の関係を日本帝国と朝鮮と「満洲国」に関連付けて考察した。

      • KCI등재

        唐 前期 營州城傍 契丹羈縻州의 技能

        이영철 대구사학회 2010 대구사학 Vol.100 No.-

        本硏究是关于唐代投降的契丹为对象设置的羁縻州和营州城傍硏究. 唐代初期突厥因政治内乱和唐的攻击而崩溃后, 大多数契丹部落投向唐朝. 唐朝设置松漠都督府和18个羁縻州来统治契丹, 历史上乘此为羁縻支配体制. 羁縻州里有在塬来居住地设置的在蕃羁縻州和唐朝内地设置的入附羁縻州兩种類型. 契丹的投降是从贞观年间开始的, 它们的投向可以从契丹内部的经济问题和国际秩序变化中找出原因. 通常认为羁縻支配中唐朝任命投降之前的部族长为都督或刺史, 因此维持了一定程度的自治. 但是笔者认为唐朝的羁縻支配并非是投降的异民族自治为基础维持的. 唐朝人为地调整诸羁縻州的势力均衡来阻止各部族之间的联合. 唐朝对契丹也是不断分割羁縻州的方式来阻止各部族间的联合. 如, 武后时期分割威州而设置归诚州 ; 中宗时期分割昌州而设置沃州. 威州是在契丹羁縻州中规模最大的州 ; 昌州是为了安置契丹中心氏族松漠部族而设置的羁縻州. 当时引领威州的孙万荣和松漠部的酋长兼松漠都督李尽忠通过婚姻关系联合起来. 因此, 唐朝分割威州和昌州是为了阻止他们联合后成为威胁唐朝的势力. 对此, 契丹深怀不满, 便发生了武后万岁通天元年的李尽忠、孙万荣叛乱。在羁縻州内部契丹是以诚傍来组织, 唐朝为了便于管理契丹, 把城傍安排在营州诚附近. 因此, 叫作城傍. 它是根据营州刺吏的命令召集和解散的一种兵役. 由契丹人组成的城傍里虽然有契丹人首领, 但是受营州刺吏的统治. 这种城傍指挥体系使我们对羁縻州被以往的部落首领实行自治的通论表示怀疑. 唐朝的羁縻支配制度并非是对投降的异民族社会的自治制度, 而是通过羁縻州周围的中国人刺吏或都督的监视和监督来维持的一种制度. 因此我们可以认为城傍是为了监视和监督羁縻州而组织起来的异民族组织.

      • KCI등재

        재일대한기독교회에서 한국교회파견목사의 지위 변천 과정

        이상훈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5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2

        . 본 연구의 목적은 그 선교가 시작(1908년)된 이후 재일대한기독교회(KCCJ)의 역사 속에서 한국에서 파송되어 온 파견목사의 지위가 목사를 받아들인 측, 즉 입수자 측인 KCCJ와 파견자 측인 한국교회(장로교, 감리교 등)에서 각각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KCCJ 역사를 개괄적으로 살펴본 후 세 가지의 시대구분, 즉 ‘선교 시작부터 재일본조선기독교회의 성립까지(1908∼1934년),’ ‘재일본조선기독교회의 성립부터 KCCJ의 성립까지(1934∼1945년),’ ‘KCCJ의 성립 이후(1945년∼)’로 나누어 한국에서 파송된 파견목사의 지위부여에 관해서 고찰하고자 했다. 본 연구가 이용한 주된 자료는 KCCJ 및 한국교회 측의 회의록이나 기독교계 신문의 기사 및 미국·캐나다 선교사들의 보고서 등이다. 고찰한 결과, 장로교의 경우 1917년 이후 재일조선인 선교를 위해서 파견한 목사에게 ‘전도목사’라는 지위를 부여하고 있었지만 해방 후 1960년대 중반부터 ‘선교사’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감리교는 일관되게 ‘선교사’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며 이런 차이가 1925년부터 재일조선인 선교를 담당하게 된 조선예수교연합공의회에도 반영되었다. 즉 공의회에서는 기본적으로 ‘전도목사’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지만 감리교에 소속한 이들이 ‘선교사’라는 용어를 사용한 사례도 있었다. 한편 1934년에 창립된 재일본조선기독교회(KCCJ의 전신)는 조선에서 파견된 목사들을 ‘선교사’와는 구별된 ‘목사’로 지칭하고 있었다. 해방 후 KCCJ는 선교 60주년(1968년)을 맞이했을 때부터 한국교단의 파견목사를 ‘선교사’로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재일본조선기독교회와는 달리 KCCJ가 한국의 파견목사에게 ‘선교사’라는 지위를 부여한 요인으로는 한국 장로교 각 교단들이 ‘선교사’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하고 있었던 것과 KCCJ 스스로 독립교단으로 자기인식을 심화해 나갔기 때문이며, 또한 KCCJ가 선교사를 받아들인 배경으로 한국교회 측의 해외선교에 대한 관심의 고조와, 독자적으로 개척전도를 하기 위해서는 인적으로도 재정적으로도 부족한 KCCJ 측의 상황이 맞물렸던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미군정기(1945∼1948) 남한에서의 일본의 영향

        마크 카프리오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2 翰林日本學 Vol.- No.40

        태평양전쟁 말기 몇 년간, 연합군 지도자들은 일본이 항복하는 경우 식민지에서 철수한다고하는 선언을 냈다. 최초의 것은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 처칠 영국 수상, 장개석 중국 국민정부주석이 1943년 11월 카이로에서 공동으로 작성한 선언이었으며, 거기에서 “일본은 이제껏 무력과 강욕(强欲)에 의해 빼앗아 온 영토에서 퇴거한다”고 적시했다. 해당 영토에는 중국 영토였던 타이완, 만주 그리고 한반도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 지령은 얄타와 포츠담에서 행해졌던회의에서도 반복되었다. 이렇게 반복된 약속에도 불구하고 이미 전쟁 중에 일본은 동북아시아에서 중요한 지위를 점하고자 하는 징후를 보였다. 연합국 지도자들이 일본의 항복은 전면적이고 일본제국은 완전히무장해제 돼야 한다고 하고 있었지만. 연합국이 일본에 승리하여 전쟁을 공식적으로 종결하는문서에 서명한 후에도 일본의 영향력은 우선 한국에 있어서 느껴지고 있었다. 분명 외교문서라든가 영토의 반환만으로는 30여 년의 식민지지배가 신속히 종식되는 것이 아닐지도 모른다. 그러나 일본인(특히 군대)에 의한 행동 그리고 보다 더 중요했던 것은 이 영토를 통치하게되었던 미국 정부가 일본의 영향력을 강화하는 행동을 취했었다는 것이다. 일본 헌병대는 항복을 거부해 서울 시가지와 한일간의 해역(海域)을 계속 점거했다. 미국 고관들은 한국인들이 훈련될 때까지 식민지 법률을 개정하려 들지 않고, 일본식으로 훈련된 한국인과 일본인을 찾아내그 역할을 메워 한반도를 통치하기 위한 조언을 했다. 본고는 일본이 항복 이후, 한반도 남북분단 후 한국전쟁에 이르기까지도 한국에서 일본이지속적으로 보유했던 영향력에 대해 논한다. 브루스 커밍스가 ‘최고의 아이러니’라고 했던 것처럼, 원래라면 일본이 마땅히 당했어야 했을 가혹한 점령을 외려 한국이 감당하지 않으면 안되었던 일본의 영향력 지속의 한 이유를 밝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