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특집논문 : 분황 원효와 회암 주희 -원효 사상에 입각한 화이론 비판 시도-

        이유진 ( Yu Jin Lee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5 한국불교사연구 Vol.6 No.-

        고대 중국에서 화이론은 윤리문화를 중심으로 무력적 충돌을 막고 화평을 유지하려는 인식틀로 만들어졌다. 그것은 유가사상과 상호 연관되면서 보편 적용 가능성을 높였다. 중국이 팽창하면서 지배권력의 크기와 강도도 팽창 강화되었고, 중국이 지리적 주변의 여러 나라들과 충돌하면서, 중국 윤리문화의 타당성을 만방에 선제적으로 공표하고, 그것을 중심으로 하는 화평을 주위의 제안하는 문화전략으로써의 화이론이 대두되었다. 중국과 주변 국가들이 교섭 갈등하고 중국이 수차례에 걸쳐 이민족의 지배를 받는 과정에서 화이론은 중국 뿐만 아니라 동북아시아 여러나라들의 정치언어로 받아들여졌고, 한국의 경우 유교사상의 비중이 높아 지면서 화이론의 인식틀과 언어는 한국사회 전반에서 더 큰 비중을 가지게 되었다. 주희의 화이론은 욕망을 막는 수양론을 바탕으로 한다. 수양론에서는 욕망 통제 여부에 따라 인간에 대한 엄격한 평가가 행하여진다. 주희는 화이론에서도 욕망 통제 여부를 기준으로 국가들을 평가하였다. 그런 평가의 부작용은 문화의 개별성과 다양성을 존중하지 않는 것이다. 주희는 우주 속의 모든 존재가 유기체적으로 연결되어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그러한 관점은 우주를 가족의 확장판으로 보는 것이기도 하였다. 가족 내에서는 성원 각자의 역할이 고정되어 있다. 원천적으로 가족 내구성원의 역할들은 각자 나름의 가치를 가진다. 그러나 가족제도가 놓이는 상황에 따라 그 역할들에 대한 평가는 달라지며, 그에 따라 역할들의 가치 우열이 생기게 된다. 이것이 국가들 사이의 관계에 적용되면 국가의 우열을 정하는 데로 귀결될 수 있다는 것을 주희는 심각하게 우려하지 않는다. 기질은 변화시키는 것은 주희 수양론의 세부적 방법이다. 기질 변화는 차이의 통제와 연결된다. 수양론에서의 차이의 통제는 국가들 사이의 관계에서 서로 다른 국가들의 문화들을 서열화하는 데로 귀결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주희의 화이론 그리고 그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 조선중화론은 조선 중후기에 발생 전개한 것이면서, 21세기 한국 사회에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원효의 사상 또한 21세기 한국 사회에 영향을 끼칠만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원효의 저술 속에는 여러 불교 교학들 사이의 논쟁을 해소시키는 화쟁을 논한 『십문화쟁론』이 있다. 여기에서 원효는 절언, 이언 나아가 이변비중으로 요약되는 것을 화쟁을 가능하게 하는 태도로 제안하였다. 오늘날 그 태도 자체를 화쟁이라고 지칭하고 있다. 그러나 좀 더 정확한 설명을 시도하여 본다면, 이변비중하는 태도 자체를 화쟁이라고 하기보다는 이변비중을 ‘화쟁을 지향하는 태도’라고 설명하는 것이 적절한 듯하다. 이변비중이라는 말에서도 볼 수 있듯, 화쟁을 지향하는 태도는 “양 극단을 떠나면서 중심을 갈망하지도 않는” 태도인 것이다. 원효는 이를 화쟁을 지향하는 태도로 제안하였을 뿐만 아니라, 발심 단계에서의 자경과 수행하는 자가 일상적으로 행하여야하는 참회에 있어서도 “양 극단을 떠나면서 중심을 갈망하지도 않는” 태도를 견지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태도는 조선중화론의 근거가 되어주는 주희 화이론을 비판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주희 화이론은 공동체 및 개인의 문화에 대한 평가와 개인의 통제를 바라보는 관점 혹은 태도에서 화쟁을 지항하는 원효와 대척점에 서 있기 때문이다. In ancient China, an ethical culture was made of a framework of the recognition for the purpose of bloody collision avoidance especially in royal familly. Confucianism emphasis on the love between the family. Therefore, there was a common between ethical culture of ancient China and Confucianism. The common was a standpoint on relationship in family especially in royal familly. Ethical culture of ancient China was combined with Confucianism. Hua-Yi distinction(華夷論) Was formed. Hua-Yi distinction of Zhu-Xi(朱熹), basically, succeeded ancient Confucian Hua-Yi distinction. Hua-Yi distinction of Zhu-Xi was more discriminatory than ancient Confucian Hua-Yi distinction. And it became the basis of Hua-Yi distinction(華夷論) of The Joseon Dynasty. As a result of such associations, contemporary Koreans have such a framework of the recognition like Hua-Yi distinction. Therefore, for the sake of the overcoming of tthe limitations and errors of contemporary Korean``s perspectiv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re needs to be a standard of criticism. In History ot Korean Philosophy, Attitude of avoid extremes and Do not stay in the middle(離邊非中) of Won-Hyo(元曉) is a lot less important than Hua-Yi distinction of The Joseon Dynasty. Such an attitude would remain tense. Tension prevents Hasty judgments. In this respect, Hua-Yi distinction of Zhu-Xi and Attitude of avoid extremes and Do not stay in the middle of Won-Hyo are in sharp contrast. Zhu-Xi, in his Hua-Yi distinction, constantly tries Discrimination and Intervention. On the other hand, Won-Hyo, with attitude of avoid extremes and Do not stay in the middle, Put back hasty judgments.

      • KCI등재

        華果院과 백용성, 수법제자의 재인식 - 이선파와 변봉암을 중심으로 -

        김광식 대각사상연구원 2016 大覺思想 Vol.26 No.-

        본 고찰은 白龍城이 禪農佛敎의 구현 차원에서 경남 함양에 세운 華果院에 대한 전모를 살핀 글이다. 지금껏 화과원은 백용성 연구 차원에서 중요한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미약하였다. 그래서 필자는 화과원에 관련된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화과원에 대한 모든 것을 정리하였다. 필자는 본 고찰에서는 우선 화과원의 개요, 성격을 분석하였다. 1927년 무렵에 세워진 화과원은 단순한 과수원이 아닌, 백용성 불교혁신의 구현처이었다. 백용성은 그곳에서 개간을 하고, 과수와 야채 등을 가꾸는 자급자족을 실천하였다. 그러면서 그곳에 선원을 지어 수좌들을 지도하였다. 또한 그곳에서 역경 및 저술 작업을 하였다. 이처럼 화과원은 백용성의 삶, 혁신불교, 사상적 측면에서 의의가 있는 곳이었다. 그러나 동시에 백용성의 사상을 따르고 계승한 제자들의 측면에서도 중요한 대상이었다. 즉 화과원의 선원에서는 매년 10여명 내외의 수행자들이 참선과 노동을 하였다. 이들 중에는 백용성의 전법제자가 있었으니 그 대상자는 백용성의 입적 후 조실을 역임한 이선파와 입승 및 원주를 역임한 변봉암이었다. 이 글에서는 주로 변봉암의 행적을 정리하면서 백용성과의 연관성을 정리하였다. 한편 백용성의 입적 후의 화과원 선원은 선리참구원과 협조 관계를 유지하였다고 보인다. 이는 화과원에서 임시정부 자금전달과 함께 추후 자세한 해명이 요청된다. 이 연구가 백용성, 禪農佛敎, 화과원, 백용성의 수법제자의 재인식, 선학원과 대각교와 연관성 등에 유익한 기초가 되길 기대한다. This article is about the history of Hwagwawon(華果院) which Baek Yongseong(白龍城) built in Hamyang district, for the purpose of realization of Seon and Farming Buddhism. So far,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about Hwagwawon although it was a very significant subject for the study of Baek Yongseong. Therefore, I collected and analyzed all the resources related to Hwagwawon. In this paper, first I analyzed its compendium and features. Hwagwawon established around 1927 year was the realized place of Buddhist innovation by Baek Yongseong, not just simply orchard. Baek Yongseong cultivated the land and grew fruits and vegetables to become self-sufficient. And also he taught Seon disciples as building a Seon center. Translating sutras and writing works were made there, too. Like this, Hwagwawon was a meaningful house in the life of Baek Yongseong, or in the aspects of Innovation Buddhism and the ideological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it was also an important site to disciples following and succeeding his ideology. In the Seon center of Hwagwawon, about 10 practitioners meditated and worked every year. Among them, there were his dharma disciples, Lee Seonpa - who was in charge of the main master of the center after Beak Yongseong's death - and Byeon Bong'am - who was the main director. In this research, I mainly analyzed the correlations with Baek Yongseong as explaining Byeon Bong'am's conducts. Meanwhile, the Seon center of Hwagwawon after Baek Yongseong's death seems to keep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Seon and Doctrine Research Center. In this, more details are needed to be explored about the financial support for the provisional government. I look forward to having this research as a helpful base source for Baek Yongseong, Seon and Farming Buddhism, Hwagwawon, Recognition of Baek Yongseong's dharma discipl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eonhakwon and Daegakgyo.

      • 화청(和請)의 지역적 토리의 특성

        이종미(Lee, Jong-Mi) 한국음악문화학회 2011 한국음악문화연구 Vol.3 No.-

        본 연구는 화청의 토리, 즉 소리조에 관한 연구로 현재까지 알려진 경,서도 토리 외에 각 지역에 어떤 토리가 있는지 밝히려는 것이다. 각 지역 중 주로 재의식 현장에서 화청을 부르는 전문범패승들을 통해 불려지고 있는 곡을 중심으로 연구조사 하였다. 각 지역에 속한 화청의 음악특성에 관하여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부지역의 화청은 창자 1인이 부르는 것이라도 때와 장소에 따라 다른 가사로 바뀌거나 즉흥적으로 지어 부르고 있다. 선율의 형태는 창자 1인이 부르는 화청일지라도 장소나 대상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선율을 구사한다. 영남지역은 다수의 창자가 동일한 곡명의 화청을 가사의 시작 부분도 서로 다르게 부를 뿐만이 아니라 비슷한 가사라도 부분부분 첨가되는 가사를 보아 즉흥적으로 지어 부르는 것을 알 수 있다. 선율형은 다수의 창자가 동일한 곡명의 화청을 부를지라도 일정하게 정해진 선율 안에서 부르지 않는다. 호남지역은 화청의 가사의 시작부분이 서로 다르거나 비슷하지만 각 부분에 다른 가사가 첨가되어 즉흥성을 많이 나타난다. 또한 선율형도 기타 지역과 같이 ‘비고정선율’로 부르고 있어 각 지역의 화청은 가사의 즉흥성과 동시에 비고정선율형으로 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각 지역의 토리(소리조)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밝혀졌다. 중부지역에서 부르는 대부분의 화청은 경토리가 주로 중심을 이루지만 연구결과 수심가토리로 부르거나 드물게 메나리토리로 부르는 곡도 있다. 영남지역은 경토리외 주로 메나리토리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호남지역도 현재는 경서토리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으나 육자배기토리가 지역정서의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창자에 따라 수심가토리를 혼합하여 부르기도 한다. 화청은 민요처럼 구전성이 강하고 대중이 함께 할 수 있는 친밀감 있는 음악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불교포교의 역할을 충족시킴과 동시에 누구나 쉽게 부를 수 있는 가사를 지닌 음악으로 그 역사적 보존가치 또한 높다고 하겠다. In this research, it is investigated that Tori of Hwacheong such as Sorijo. especially, it is focused on Tori in other region, not only Tori in Kyunggido and Seodo which had been known. It is also investigated that songs which are sung by Beompaeseungs. and they sing Hwacheong in rites. Summary of conclusion drawn by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 In Central region, lyric of Hwacheong is replaced by other lyric or songs as change in time and place altough it is sung by same singer. Melody type is various when same singer sing it, but its melody is not determined by opponent or place. In Yongnam region, lyric of beginning part is differ altough several people sing same Hwacheong, and ad-lib is added everywhere in it. so it could be concluded that Hwacheong in Yongnam is sung extempore. and its melody type is various although many singers sing same song. In Honam region, lyric of beginning part is differ or simillar, and improvising appeared as other lyric is added in it. also, melody type of Hwacheong is ‘non-fixed melody’, so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common characteristic of each region is improvising of lyrics and non-fixation of melody. Characteristic of Tori(Sorijo) in each region is as following; Kyungtori is main in Hwacheong in central region. but there are some songs sung by Soosimgatori or by Maenaritori. Maenaritori and Kyungtori is main in Yongnam region. In Honam region, it is affected by Kyungseotori now, but Yukjabaegitori is main in regional emotion. and it is mixed with Soosimgatori occasionally when it is sung by some singer. Hwacheong can be told easily from mouth to mouth and it sounds familiar. so it is valuable to preserving it because of its easy accessibility and its role of propagandism.

      • KCI등재

        식민형 ‘중간시민’에서 동화형 ‘유사시민’으로 - 화교화인의 변모와 ‘동아시아 시민’의 형성(1) -

        신명직 ( Shin Myoung-jik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8 石堂論叢 Vol.0 No.70

        동아시아에서 화교의 탄생은 동아시아의 국경을 넘어선 시민 곧 초국적 시민의 탄생을 의미한다. 근대의 또 다른 이름이기도 한 식민의 형성과정에서 생겨난 동아시아의 화교는 따라서 동아시아 최초의 초국적 시민이었지만 ‘동원’된 그리고 ‘배치’된 초국적 시민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들은 식민지 본국과 거주국 그리고 중국 사이를 넘나들며, 스스로의 지위를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는데, 그 결과 제한적일 수밖에 없던 이들의 초국가성은 변해가기 시작했다. 초국가성에 초점을 맞추어 화교화인의 변모과정을 살펴볼 경우, 크게 3가지 유형으로 살펴볼 수 있는데, 식민형, 동화(同化)형, 중화(中華)형이 그것이다. 화교화인의 지위는 이들 3가지 유형이 변모하는 과정에 따라, 중간자적, 피지배적, 지배적인 형태로 변모되어 갔다. 그 최초의 유형에 해당되는 식민지 시기 화교화인의 ‘식민형’ 초국가성이 화교화인의 중간자적 지위로 이어지게 되는 배경에는, 서구 식민자들의 분할통치구조가 존재한다. 로마동맹에 참가했던 고대 로마시절의 라틴 시민들에게 분할통치를 목적으로 주어졌던 ‘중간 시민’으로서의 지위와 유사한 지위와 권한이 화교화인들에게 주어졌기 때문이다. 반(半)식민지 중국에서 화교화인을 ‘동원’해낸 서구 식민자들은 이들을 통해 동아시아의 선주민들을 분할통치할 목적으로 화교화인에게 중간시민으로서의 지위와 권한을 배분, 배치한 것이다. 따라서 이들의 초국가성은 반식민지로부터 동원된 것이자 분할통치를 목적으로 배분·배치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서구 식민지 시기 이후 화교화인의 초국가성은 상실되었고, 이들의 지위는 중간자적 지위에서 피지배적 지위로 변모되었다. 이들의 지위변화에는 크게 두 가지 요인이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그 하나는 일본이 서구를 대신한 새로운 식민자로 등장하면서, 선주민들을 반(反)서구 반(反)중국 전쟁을 수행하기 위한 새로운 중간자 곧 화교화인 수탈과 학살에 동원했기 때문이며, 또 다른 하나는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냉전형 개발독재와 계급독재 체제가 초국가성 대신 선주민을 중심으로 한 국가와 국민 만들기에 전념했기 때문이다. 식민지 시기가 끝나자 화교화인들은 실제로, 거주국의 개발/계급독재 세력으로부터 거주국의 ‘국민’이 될 것 -‘동화’를 끊임없이 강요 받았고, 그 결과 많은 ‘동화형’ 국민이 생겨났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들이 거주국의 완전한 ‘국민’이 된 것도 아니었다. 이들은 ‘국민 아닌 국민’ 곧 ‘유사시민’의 지위로 전락될 수밖에 없었다. 한국의 화교화인도 마찬가지여서, 냉전을 토대로 한 개발독재가 진행되는 동안 화폐개혁과 토지소유금지법, 서울도심재개발 사업 등을 거치면서 화교화인들은 해외로 도피하지 않을 경우 ‘시민 아닌 시민’의 생활을 영위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동남아시아 역시 반공 민족주의 정책에 기반한 부미푸트라 우선정책(말레이시아), 농어촌 화교상인 상업활동 금지정책(인도네시아) 등으로, 밀우관계를 통해 유사자본을 형성한 소수 화교화인이 아닌 대다수의 화교화인들은 ‘시민 아닌 시민’의 지위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 배화(排華)정책과 화폐개혁, 재산 몰수 등으로 많은 화교화인-보트피플을 만들어냈던 베트남과 마찬가지로 라오스, 캄보디아 등 계급독재를 진행했던 인도차이나 국가의 화교화인의 지위 역시 개발독재 하의 화교화인의 지위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동아시아의 화교화인은 식민기, 개발/계급 독재기, 그리고 중국의 개혁개방이후, 각 시기별 유형은 다르지만 국경을 넘어선 시민 ‘동아시아 시민’으로 형성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이 가운데 특히 식민기의 식민형 ‘중간시민’으로서의 화교화인이 어떻게 개발/계급 독재기의 동화형 ‘유사시민’으로 변모되어갔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spread of overseas Chinese around the world has been a result of historical, economic and social policies both in China and in the host countries. The present research discusses the concept of overseas Chinese as ‘intermediate citizen’ in lands under colonial governance, especially in Southeast Asia under European and Japanese rule. It proposes that in both eras, the ruling governments had a 'divide-and-rule' social policy such as had been used in the Roman Empire, in which one group of residents received special rights and privileges in order to separate them from the general populace in order to maintain control. However, overseas Chinese under Japanese rule began to lose the rights that they had had under the Europeans and instead local residents began to play a similar role as intermediate citizens. But the transnationality of overseas Chinese began to be lost, and their status began to be changed from the intermediate to the oppressed. After the colonial period, actually overseas Chinese was forced to be the ‘nation’ of the country of residence - assimilation, by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and class dictatorship. But they didn't become to the true ‘nation’ of the country of residence. They had to fall the status of ‘nation but not nation’ that is ‘ersatz citizen’. Overseas Chinese in the Korea had to flee abroad or had to live as a ‘citizen but not citizen’, because the currency reform, the prohibitional law of landholding, and the redevelopment work of Seoul, during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The status of overseas Chinese in the Indochinese Peninsula that performed the class dictatorship as like Laos, Cambodia, and Vietnam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nation under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Vietnam had produced numerous ‘boat people’, namely overseas Chinese injured from the overseas Chinese exclusion, the confiscation of property, and the confiscating poverty. Overseas Chinese in the East Asia has been shaped as the each other transnational citizen namely ‘East Asia citizen’, according to the era of colony, developmental/class dictatorship and after the Chinese Reformation. This article focuses on the transformation from ‘colonial intermediate citizen’ to ‘assimilated ersatz citizen’.

      • KCI등재

        17세기 宗親 李建(1614-1662)과 李涵(1633-?)의 花鳥畵 硏究

        이은하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2 美術史學 Vol.- No.26

        본 연구는 17세기 宗親 李健(1614-1662)과 李涵(1633~?)의 화조화 제작배경과 작품을 통해 조선중기 종친들의 회화활동양상과 문인화풍 수묵화조화의 일면을 고찰한 것이다. 16, 17세기 조선의 화단에서는 문인들의 隱逸정신 추구와 절파화풍의 수용으로 화조화가 주요 문인화목으로 유행하였으며, 그 유행의 중심에는 종친들의 활약이 있었다. 종친들은 왕족으로서의 기본소양교육을 통해 예술분야에 두루 능했는데, 특히 17세기 종친들이 서화의 창작과 수장에 두각을 드러내었다. 그 중 당대 최고 문인화가들과의 교유 및 남인 벌열 가문과의 혼인 등을 통해 사회적 입지를 다졌던 조부, 숙부로부터 회화적 소양과 재능을 물려받은 이건과 이함이 화조화로 명성을 얻었다. 이들의 수묵화조화는 낙관이나 제화시문을 통해 작가와 기년을 알 수 있어 조선중기의 회화 연구 자료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이건의 <蓮花白鷺圖>는 채색병풍화조화의 구도와 수묵화조화의 구성을 조합한 개성적 면모를 보이는 족자형태의 그림으로, 세부양식은 15세기 김정과 16세기 김식, 17세기 이징의 화조화와 관련이 있었다. 또한 이건이 타계하기 1년 전 아들에게 준 작품인 <雪月鳥夢圖>는 눈 내린 겨울밤의 여치를 소재로 한 것으로, 이징의 화조화 양식과 관련이 깊었다. 이건의 두 작품 모두 절파풍의 농담대비, 烘雲托月의 여백과 선염을 통해 寫意를 효과적으로 표출하였다. 이함의 《花鳥草蟲畵帖》은 이함의 시, 서, 화를 모두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기에, 본고에서는 화첩의 전모소개와 본격적인 고찰을 시도하였다. 화첩의 그림은 화조화 9점과 초충도 2점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화조화는 16세기 전 이경윤의 화조화 양식과 연관이 있는 것, 17세기 조속과 이징의 화조화풍과 관련을 보이면서도 이함의 개성적인 특징이 드러나 있는 것, 그리고 조선후기 화조화에 주로 등장하는 새와 전통적인 백로도와 노안도의 배경을 조합한 창의적 구성의 그림들로 나눌 수 있어, 이함의 화조화풍과 함께 조선중기 수묵화조화의 다양한 특징들을 총체적으로 살필 수 있었다. 초충도는 소재와 구도, 표현기법 등에서 전 신사임당의 초충도와 연관이 있으나, 사임당의 그림에 비해 자연스럽고 사실적인 묘사가 두드러졌다. 11점의 작품 모두 배경을 최소화하고 여백의 효과를 최대한 살려 맑고 시원한 중기 문인화의 특징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동양예술(東洋藝術)에서 "화(化)" 경계(境界)에 대한 심미적접근(審美的接近) -추사와 강암의 부작난도(不作蘭圖)를 중심(中心)으로-

        권윤희 ( Yun Hee Kwo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4 동양예술 Vol.24 No.-

        동양 예술은 주로 儒家와 佛家·道家의 사상을 토대로 형성되었다. 이는 자연에 바탕을 두고 模·臨·倣을 통하여 熟을 요구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동양예술의 진수라 하는 서예술은 더욱 그러하다. 동양예술은 熟에 의하여 예술가의 개성과 嗜好에 따라 拙이나 樸·狂·逸과 같은 여러 심미경계로 표출된다. 인간은 예술을 통하여 다양한 미를 체험한다. 그러한 과정에서 개성과 취향·기호에 따라 각자의 심미안을 가지게 된다. 모든 예술은 보이지 않는 형이상의 궁극을 추구하며 心樂을 도모한다. 그러나 그 지향처가 可視化되는 것은 쉽지 않다. 본고는 동양예술에서 형이상의 심미의 궁극처를 ‘化’의 경계를 추사와 강암의 <不作蘭圖>를 審美的인 側面에서 接近하여 고찰하였다. 사실상 모든 예술가가 지향하는 ‘化’의 경계는 실현이 불가능하다. 다만 ‘化’의 경계를 指向할 뿐이다. 그러나 위대한 예술가는 ‘化’의 경계에 있다고 한다. 즉, 模·臨·倣을 통한 후천에 의한 熟, 천부적인 性靈과 格調를 ‘化’ 境界의 조건으로 본다. 본고는 ‘化’의 경계에 있는 서예가로 근대와 현대를 대표하는 서예가로 추사 김정희(1786∼1856, 이하 ‘추사’)와 현대의 서예가인 강암 송성용(1913∼1999, 이차‘강암’)을 예로 들었다. 특히 그들의 <부작난도>를 통하여 化’ 境界를 심미하여 보았다. 심미능력은 審美의 主觀性을 전제로 하고 있다. 추사와 강암의 <부작난도>가 ‘화’의 경계를 형성하였음은 화제에 나타난 예술철학적인 요소 뿐 아니라 문인화 미학을 심미적인 측면에서도 확인하여 볼 수 있다. 화제에 나타난 예술철학적인 관점에서는 첫째 性中天과 不二禪의 유·불의 혼융요소가 있다. 즉, 성중천과 불이선의 유가미학과 불가미학의 공존과 융화가 동양예술이 구현하는 ‘化’로 보았다. 둘째로 閉門覓覓과 偶然寫出은 積工的인 예술활동의 요소로 熟이 있다. 또한 문인화 미학적인 관점에서는 추사 <부작난도>의 미감이 文字香的古拙美感 이라면, 강암의 <부작난도>는 破中和에 의한 狂逸美感으로 심미된다. 추사의 문자향적 고졸미감과 강암의 脫中和, 破中和的인 狂逸의 미감은 ‘化’의 경지의 顯示이다. 동양예술에서 ‘化’의 경계는 동양 예술이 근본적으로 추구하는 憧憬의 길이다. 추사와 강암은 <부작난도>를 통하여 문자향적 고졸미감과 파중화의 광일미감으로 발화시켜 個性과 自己眞情을 보여 주었다. 추사와 강암의 <부작난도>는 시대의 간극을 넘어 서예로써 자신의 경계를 개척함으로 서예술의 ‘化’ 境界의 단면을 보여주었다. Eastern art has been mostly based on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t is elementally different from western art because eastern art is based on the nature. And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 eastern art becomes more riped through imitating and hard working. Especially, caligraphy, the essence of eastern art, is that case. Depending on the art’s individuality and taste, it is expressed with being unskillful, purity, passion, or deviation. So an artist can experience self-amusement when he creates his own artistic world. Usually an art help a man to experience a beauty of things and all kind of thoughts in everyday life. A man experiences various beauty, is observed in the beauty, and accumulates sense of beauty. In that process a man can have his own eye for the beautiful. Every art pursues unseen metaphysical finality and attempts pleasure. But it is hard to be seen the final destination. This study considered the borderline of ‘wha’ that is the final destination of metaphysical aesthetics based on Chusa’s and Gangam’s “Busaknando” However it is impossible that the borderline of ‘wha’ is realized. So we only try to reach its borderline. But some artist can be said that he is in the borderline of “wha”, because he sticks to his own art all his lifetime. However to be in the borderline, he should be riped with imitating and hard working, This paper studied the borderline of ‘wha’ in eastern art with the“bujaknando” of Chusa Kim, jung-hee(1786∼1856,) and Gangam Song, sung-yong(1913∼1999). The ability of judging beauty is premised on the subjectivity of aesthetic appreciation. If you trace their artistic life, you can realize that the “bujaknando” reached being riped by imitating and hard working. And not only the paintings but also the philosophical elements in the poetic expression of the painting show that they built the borderlin of ‘wha’. First, there are some philosophical elements of fusion both of confucianism and buddhist, 性中天and 不二禪. In other words, coexistence and fusion of both confucian aesthetics and buddhistic aesthetics can be ‘wha’ that the eastern art pursues. second, 閉門覓覓and 偶然寫出are the components of artistic activity, being riped. Therefore the poetic expression of “busaknando” has basic components of artistic philosophy that forms artistic activity. And the two “busaknado” are quite different in the sense of aesthetics although the poetic expression of the paintings is the same. This means the various ways of judging the beautiful because the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Chusa’s “busaknando” shows scholastic unskillfulness, while Gangam’s represents passionate aesthetic scene that breaks harmony. All of them could be possible by hardworking and being riped. So you can realize that these senses pursue ‘wha’ and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stern art. The borderline of ‘wha’ is the longing of eastern art that it pursues basically. Chusa and Gangam showed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truth with “busaknando” in that they developed scholastic unskillfulness and passionate aesthetic scene that breaks harmony. This can be an aesthetic sense of caligraphy beyond times.

      • KCI등재

        화과원의 문화관광 콘텐츠 개발과 활용 방안 모색

        이재수 대각사상연구원 2017 大覺思想 Vol.28 No.-

        Baek Yong-seong(白龍城), the Most Venerable Master, was a high priest during the modern times, advocating Seon-Nong Buddhism(禪農佛敎) for the independence of the people and the reform of Buddhism and established Hwagwawon(華果院) at Mt. Baekwoon in Hamyang. He did both labor and training there and used the income to fulfill self-sufficiency and even send money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in Shanghai for the independence fund. In addition, it was Hwagwawon that he wrote many of his books and developed the Daegakgyo(大覺敎) Movement. This study set out to propose the development and planning of cultural Contents for Hwagwawon to enhance his spirit and value inherent in it. Cultural tourism was thus examined along with measures to promote Hwagwawon's educational and complex uses. These discussions were based on the collaborative project between Daegakhoi(大覺會) and the Academy of Buddhist Studies at Dongguk University to identify, examine, and collect writings and translated works by Baek Yong-seong and sort them out according to an academic system. His writings and materials were interpreted and arranged in Korean and put together in a series called A Collection of the Great Master Baek Yong-Seong, whose publication and computerization are part of the project's achievements. The investigator proposed three prerequisites for the development of Hwagwawon's cultural Contents, and they are total digitalization, establishment of complex information about Baek and his Hwagwawon, and analysis and reprocessing of source materials. The value chain for the development of its Contents covered the creation of an “archive of Hwagwawon's source materials,” the development of “Contents for its restoration,” and the utilization of Contents to experience, teach, and use its values. The utilization plans of its Contents were mainly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branding Hwagwawon and local culture and in the scope and direction of utilizing the cultural tourism sector. The discussion results show that the cultural Contents of Hwagwawon holds value as a representative brand of the local culture and has the potential of creating derivative Contents through its complex utilization in the future. Hwagwawon will hopefully be designated as a National Historic Site and established as a local brand through more advanced discussions and joint operations.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its cultural Contents are expected fit for its historic value as the cradle of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its religious value as the venue of Seon-Nong Buddhism and reform of Buddhism, and its value as complex cultural space to publish various books and literary works including the Avatamska Sutra. 백용성 대종사는 근대시기의 고승으로 민족독립과 혁신불교를 실현하기 위해 선농불교를 주창하고 함양의 백운산에 화과원을 세웠다. 이를 통해 노동과 수행을 함께하고 자급자족을 넘어서 상해 임시정부에 독립자금을 보냈다. 여기에서 수많은 저술을 남기고 대각교 운동을 펼쳤다. 본 논의는 화과원에 담긴 백용성의 정신과 가치를 드높이기 위하여, 문화콘텐츠 개발과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문화관광과 교육 및 복합적인 활용 방안을 고민하였다. 이러한 논의의 바탕에는 백용성이 남긴 자료와 저술 및 번역서를 발굴, 조사 수집하고, 학술적 체계를 통해 정리한 대각회와 동국대 불교학술원의 협력 사업이 뒷받침되었다. 백용성의 저술과 자료를 우리말로 풀어서 정리하여 총서로 망라한 『백용성 대종사 총서』의 발간과 전산화 사업의 성과가 자리 잡고 있다. 논자는 화과원의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선결 조건으로 전적의 디지털화, 백용성과 화과원에 대한 복합적인 정보의 구축, 원천자료의 분석과 재가공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화과원 콘텐츠의 개발을 위한 가치사슬을 첫째, ‘화과원 원천자료 아카이브’ 구축, 둘째, ‘화과원 복원 콘텐츠’의 개발과 셋째, 화과원의 가치를 체험하고, 교육하며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의 활용으로 정리하였다. 화과원 콘텐츠의 활용방안으로 크게 화과원의 지역문화브랜딩의 관점과 문화관광 분야의 활용의 범위와 방향을 논의하였다. 본 논의를 통해 화과원 문화콘텐츠가 지역문화의 대표적 브랜드로 가치가 있으며, 복합적인 활용을 통한 향후 파생 콘텐츠 창출이 가능하다. 아울러 향후 보다 진전된 논의와 공동의 작업을 통해 화과원이 국가사적지로 지정되어 지역브랜드로 자리 잡기를 바란다. 또한 화과원에 담긴 민족독립운동의 산실이라는 역사적 가치와 선농불교와 불교혁신의 수행처라는 종교적인 가치, 나아가 화엄경을 비롯한 다양한 저술과 문학의 산실이라는 복합적 문화공간으로서의 가치에 맞는 문화콘텐츠 개발과 활용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장재의 ‘조화’(和)에 대한 철학적 이해

        이상선(李 尚,,) 한국동양철학회 2014 동양철학 Vol.0 No.41

        본 글은 장재의 ‘조화’(和) 개념을 그 근원에서부터 공부방법, 주체, 인류사회와 만물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현현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장재는 조화의 근원적 근거로서 태화(太和)를 제기하였다. 그 실현방법(공부) 시각으로‘적대적인 것은 반드시 조화롭게 풀린다’는 명제와 ‘중화’(中和)를 제시하였고, 심화(心和)와 ‘인류는 나의 동포이고 만물은 나의 친구이다.’라는 조화철학적인 명제를 통하여 주체와 인류사회의 이상적인 대조화경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장재에서 대립적이고 상이한 것은‘조화’(和)와 변증적인 관통관계라고 할 수 있다.‘조화’(和)는 상대, 대립, 모순적인 것을 통하여 자기실현을 하기 때문이다. 태허 본체는 지극히 조화롭고 대화해(大和諧) 상태 즉, 태화(太和)이기 때문에 상대에서 비롯된 대립과 모순, 충돌 등 모든 요소들은 결국은‘조화롭게 풀린다.’ 즉,‘조화’(和)의 시각으로 보면‘조화’(和)는 사람을 포함한 우주만물에 내재되어 자기실현을 하려는 것이다. 조화는 공평심 혹은 텅 빈 마음에 의하거나, 혹은 도리나 원리를 관통하는 마음을 통해야 자연스럽게 정현되는 것이다. 이러한 공평한 마음 혹은 평등한 마음속에 일점 전제 심리가 없기 때문에 다른 사람과 진정으로 서로 조화를 이루는 것이다. 本文主要是从根源到功夫方法,主体,人类社会乃至万物来探索张载的‘和’概念是如何显现的。张载以调和的根源根据提出了太和。从其实现方法(功夫)的角度提到‘仇必和而解’的命题和‘中和’,并通过‘心和’和‘民吾同胞,物吾与也’这个调和哲学命题,呈现出主体与人类社会理想的大调和境界。 因此,在张载看来,对立和相异的可以说与‘和’是一种辨证的贯通关系,因为‘和’是透过相对的,对立的,矛盾的来实现自己。太虚(太和)本体是因至和且大和谐状态,即太和而出于相对的对立和矛盾,冲突等都最终‘和而解’。亦即从和的角度来看,‘和’内在于包括人在内的宇宙万物,而要实现自我。调和是需要通过公平心或虚心,或与道理和原理贯通的心才能自然地呈现出来。因为在如此的公平心或平等心内毫无专制心理,才能与他人真正实现调和。

      • KCI등재

        『논어』에 나타난 공자의 ‘화(和)’의 세계관과 상생에 관한 소고

        차민경 ( Cha Min-kyu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0 No.-

        이 논문은 『논어』에 언급된 ‘화(和)’자의 의미와 사상의 분석을 통하여, 공자가 가진 ‘화’의 세계관을 살펴보고, 이를 통한 상생의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화(和)’자의 기원은 갑골문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은대(殷代)로 추정되며, 고대에는 음식의 조화로움을 의미하는 ‘화(盉)’자와 음악의 조화로움을 의미하는 ‘화(龢)’자가 ‘화(和)’자와 함께 통용되다가 점차 소멸하고 ‘화(和)’자로 통합되었다. 이후 ‘화(和)’자는 많은 경전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었는데, 본 고에서 『논어』에서의 ‘화(和)’를 중심으로 공자의 사상을 분석하여, ‘화이부동(和而不同)’의 정신 외에도 다양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현재 우리 사회는 다양성이 공존하는 한편, 무한경쟁을 통한 인간성 상실 및 사상과 이념, 극심한 빈부차 등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과 분열이 큰 사회문제로 대두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해결방안의 모색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학사상의 핵심가치라 할 수 있는 ‘화(和)’ 사상이 사회적 갈등과 분열을 해소하고 서로 상생하는 사회를 이루어가는 데 하나의 방안이 될 것인지 그 가능성을 논의해 보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고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논어』에서 언급하고 있는 ‘화(和)’는 두 가지 관계, 즉 수평적 관계에서의 조화를 이루는 방법으로서의 ‘화(和)’와 수직적 관계인 정치교화의 방안으로서 ‘화(和)’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첫째, 『논어』에서 공자가 제시하고 있는 조화로운 관계를 이루는 방법은 ① 겸손함을 바탕으로 하여 타인의 말을 경청하고 공감하는 조화, ② 의리를 원칙으로 다양성을 존중하며 공존하는 조화, ③ 예로써 절제를 이룬 중정(中正)의 조화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정치교화의 방안으로서 ① 조화를 중시하는 예치(禮治), ② 상하 계층의 화합을 통한 덕치(德治), ③ 국민이 화응(和應)할 수 있는 교화가 바로 공자가 제시한 和의 세계관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공자의 ‘화(和)’사상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그 실천을 확산시켜 나감으로써, 모두가 함께 잘 살아가는 상생 사회를 이룰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thesis, the meanings of the letter ‘Harmony (和)’, mentioned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論語) were analyzed, and through which Confucius' world view of ‘和’ was examined, and the ways of ‘Win-win relationship (相生)’ were investigated. The origin of the letter ‘和’ is assumed to have been the Yin dynasty (殷代) as shown in oracle bone scripts. In the ancient times, ‘盉’ meaning the harmony of foods and ‘龢’ meaning the harmony of music were used along with ‘和’, but they gradually ceased to be used and became integrated into ‘和’. Later ‘和’ was used in many scriptures with diverse meanings. In this paper, Confucius' ideology was analyzed focusing on ‘和’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論語), and it was examined that various meanings were implied in it in addition to the spirit of 'Harmony but not Sameness (和而不同)’. In the modern society where diversity coexists, humanity has been lost immorally and shamelessly and social conflicts are taking place due to inequality, the discussion about ‘和’ ideology, the core value of Confucianism, is very worthwhile. ‘和’ mentioned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論語) could be categorized into 和as a way to harmonize in a horizontal relationship and 和as a way of political edification. Through this research, first, the ways to make a harmonious relation suggested by Confucius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論語) were concluded to be ① harmony of listening to and sympathizing with others based on modesty, ② harmony of respecting diversity and coexisting with others with loyalty as the principle rather than following others blindly, and ③ harmony of impartiality accomplishing moderation with courtesy. Second, as the ways of political edification, ① governing by manners emphasizing harmony, ② governing by virtue through the harmon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lasses, and ③ edification that people could respond to were found to be the very world view of ‘和’ suggested by Confucius, and the way to realize an ideal society where everyone can have Win-win relationship.

      • KCI등재

        15세기 초반 경상도 상주목 일대 화기(花器)의 감조(監造) 배경과 견양(見樣)으로서의 의미

        오영인 국립문화재연구원 2019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2 No.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and implications of the supervised process of production of flower vessels (花器) in 1411. The type, the production method, and the purpose of flower vessels (花器)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workshops appearing in King Sejong-Sillok, Chiriji (『世宗實錄』 「地理志」) and Gyeongsang-do Chiriji (『慶尙道 地理志』), considering articles excavated from Sangju kiln sites.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and the starting point of production of flower vessels (花器) in the Joseon Dynasty were identified. During the Joseon Dynasty, an effort was made to reorganize the government offices, to align ritual systems in the early 15th century. Preparation for rituals, preparation of supplemental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祭器), the construction of architecture related to the Royal Family, and the production of weaponry (武器) were supervised. In 1411, flower vessels (花器) had a preferred supervised process of production as well, which means being recognized as a subject of maintenance for the Joseon Dynasty’s aims . Flower vessels (花器) had been produced using grayishblue powdered celadon (粉靑沙器) as flower pots (花盆), and as celadon flower pot-support (花臺), at Sangju kiln sites in particular, since 1411. Interestingly, products had been manufactured in royal kilns as well as in a few other kilns similar to the supervised process of production of flower vessels (花器) in the middle of the 15th century. It means that this effected the Gyeon-yang (見樣) supervised process of flower vessel (花器) production in 1411. At that time, the Joseon Dynasty used Gyeon-yang (見樣) for imperial gifts for the Ming Dynasty and on separate manufactured articles to ensure the standards of production. Gyeon-yang (見樣) affected the production of ceramic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祭器), and government officials in Saongwon (司饔院) supervised the production of ceramics for the Royal Family year after year. In sum, it was flower vessels (花器) using Gyeon-yang (見樣) that provided precise production rules to supervise the process of production in 1411. 본 논문은 1411년 감조된 화기의 실체에 주목하여 화기가 감조된 배경과 견양으로서의 의미에 대한 규명을 시도한 글이다. 이를 위해 상림원에 진공된 화기의 용도와 성격 규명을 필두로 『세종실록』 「지리지」와 『경상도지리지』, 상주 일대 자기 가마터의 실물자료에 주목하여 화기의 종류와 제작 양상을 유추하였다. 또한 조선시대 화기의 제작 시점을 추정하고, 화기의 제작에 관여한 조선 왕실의 상황과 의중을 밝히며 이후 화기 제작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15세기 초반 조선 왕실은 관제를 개편하고 예제를 정비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왕실과 관련한 건축물이나 구조물 축조, 의례 절차 및 준비에 별도 감독관을 두어 관여하였고, 제기와 무기 제작 시 별도의 감조를 명하였다. 1411년 화기가 감조의 대상으로 선택되었다는 사실은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자, 왕조가 지향하는 이념에 적합한 대상으로 화기가 받아들여졌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 화기의 제작은 자기소가 군집하였던 상주목에서 1411년의 감조를 기점으로 본격화되어 상림원에 진공될 화기로 분청사기상감화분 및 청자화분받침이 제작되었다. 15세기 중반 가마를 비롯해 관요에서는 상주목 일대에서 제작된 화기와 매우 흡사한 예가 제작되었다. 즉 1411년 감조된 화기가 이후 견양으로서 지대한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당시 조선 왕실은 명 황실로부터 전해 받은 기물을 그대로 견양으로 삼거나, 별도 제작한 그림이나 실물을 검토하여 견양을 정하였고, 이를 전국 각지에 보내어 제작의 범으로 삼도록 하였다. 일찍이 견양은 자기 제기 제작에 영향을 미쳤고, 매년 사옹원 관원이 어용 자기를 감조하였을 뿐만 아니라 ‘견양’이 자기의 명문으로 별도 표기되기도 하였다. 당시 이러한 여건 하에서 1411년 내수에 의해 감조된 화기 또한 정밀한 제작 규범을 제시한 화기의 견양으로 평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