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南坡 洪宇遠의 정치현실과 한시 연구

        朴英敏(Park, Young-Min) 고려사학회 2017 한국사학보 Vol.- No.67

        본고는 홍우원의 일생을 관료이자 정치인으로 규정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제 1기는 아직 과거에 급제하지 못하고 중앙정계에 진출하지 못한 시기이다. 제 1기에서는 홍우원이 41세의 비교적 늦은 나이에 과거합격을 하기 까지 두 차례 호란을 겪으며 지방에서 어떤 의식을 가지고 살았던가를 살펴보았다. 제 2기는 42세에 중앙정계에 진출하여 76세에 관직에서 물러날 때까지의 시기이다. 이 기간에 홍우원은 그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친 중요한 상소를 3차례 올린다. 1차는 1654년 효종에게 올린 인조의 후궁인 조귀인과 두 아들 그리고 소현세자의 아들을 유배에서 풀어달라는 상소이다. 2차는 1663년 현종에게 올린 禮訟論爭으로 유배 간 윤선도를 풀어달라는 상소이다. 3차는 1675년 숙종에게 올린 대비가 정전에 나와 종실인 三福의 국정농단사건을 직접 처결한 행위는 正道를 벗어난 것이며, 또 임금은 대비가 두 번 다시 이런 잘못을 저지르지 않도록 단속을 해야 한다는 상소이다. 홍우원이 올린 이 세 차례의 상소로 인해 조정에서는 분분하게 찬반 논쟁이 벌어졌다. 홍우원 자신도 조정의 지지와 반대 여론에 휩싸여 때로는 지방관으로 나가고 때로는 고향으로 물러나며 출사를 반복하게 되었다. 제 2기에서는 관료시절의 홍우원의 삶과 의식을 추적해 보았다. 제 3기는 1680년 함경도 명천부로 유배를 가서 세상을 떠나기까지의 시기이다. 홍우원은 숙종 1675년에 올린 상소로 인해 끊임없이 서인의 공격을 받다가 고향 안성으로 물러갔다. 그런데 경신대출척이 단행된 뒤에 다시 이 상소가 직접적인 빌미가 되어 유배를 가게 되었다. 제 3기에서는 76세의 노구로 함경도 명천부까지 유배를 가서 7년간 풀려나지 못하고 결국 유배지에서 세상을 떠날 때까지 홍우원의 유배생활과 말년의 의식을 추적하여 보았다. 그리하여 홍우원이 오랜 관료생활 동안 치열하게 자신의 신념을 관철시키고자 하였고 그 결과 17세기 후반의 정치사에서 당쟁의 격랑을 피해갈 수 없었음을 밝혔다. This study divided the life of Hong Wu-won (洪宇遠) into three main periods based on the fact that he can be defined as a bureaucrat and politician. The first period is the time when he failed to pass the state examination and did not enter the central political world. The first period examined under which awareness he had lived by in the province while experiencing two Manchu wars until he passed the exam at the age of 41. The second period ranged from when he entered the central political world at 42 and retired at 76. During this period, he filed three important appeals that had an immense influence in his life. The first appeal, filed toward Hyojong (孝宗) in 1654, pleaded to release Jo Gwi-in (曺貴人) - the royal concubine of Injo (仁祖) - and her two sons and the son of So-hyeon crown prince. The second appeal, filed toward Hyeonjong (顯宗) in 1663, pleaded to release Yoon Seon-do (尹善道) who had been banished due to the Ritual Controversy (禮訟論爭). The third appeal, filed toward Sookjong (肅宗) in 1675, insisted that the Queen Mother having directly settled the state affairs monopolization incident by Sambok (三福) - the Royal family - has strayed from the right path (正道) and the king should conduct crackdowns so that the Queen Mother does not commit this mistake again. Owing to the three appeals filed by Hong Wu-won, the controversy whether for or against the appeals took place in various ways at the Royal Court. Hong Wu-won himself, having caught up in either supporting or opposing sentiment from the Royal Court, was occasionally and repeatedly dispatched as a provincial government official and forced to go back to his hometown. The second period traced the life and awareness of Hong Wu-won during the time when he was a government official. The third period ranges from 1680 when he was banished to Myeongcheonbu (明川府) in Hamgyong Province to when he passed away. Hong Wu-won was endlessly attacked by Seo In (西人) due to the appeal that he had filed in the first year of Sookjong rule and eventually went back to his hometown, Anseong. However, after Kyeongshindaechulcheok (庚申大黜陟) was carried out, he was banished due to the appeal. The third period traced the banished life and the awareness of the last years of Hong Wu-won that ranges from the banishment at 76 years of age in Myeongcheonbu to eventually passing away at the place of exile seven years later.

      • 투고논문 : 남파(南坡) 홍우원(洪宇遠)의 논설류 산문 연구

        우지영 ( Jee Young Woo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4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5 No.-

        남파(南坡) 홍우원(洪宇遠)은 인조(仁祖)에서 숙종(肅宗) 연간에 활동한 문인 관료이다. 홍우원의 문집인 『남파집(南坡集)』은 시와 상소문이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고, 기(記)·설(說)·서(序) 등의 산문 작품의 편수는 적은 편이다. 하지만 홍우원은 그의 논설류 산문에서 당대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을 단편적이고 직설적으로 드러내기보다는 각종 문학적 장치를 통하여 효과적이면서도 흥미롭게 표현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홍우원의 논설류 산문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그 소재와 서술방식을 중심으로 분석을 해보았다. 홍우원의 논설류 산문 중 「노마설(老馬說)」에서는 늙은 말과 주인이 나누는 대화를 중심구도로 하여 필요할 때는 취하다가 쓸모가 없어지면 버려버리는 인정세태에 대한 비판의식을 서술하였고, 「목근침설(木根枕說)」에서는 목침이라는 일상의 소재에서 이야기를 시작하여 위정자가 인재를 알아보고 등용하는 문제에까지 논의를 확대해 갔다. 「각설(角說)」에서는 뿔이 난 말과 고양이라는 기형의 동물을 소재로 하여 당대 정치 상황을 비판하였고, 「백흑난(白黑難)」에서는 선과 악을 상징하는 색깔인 백(白)과 흑(黑)이 서로 벌이는 문답을 통하여 옳고 그름의 가치관이 전도된 현실세태에 대한 비판과 풍자를 담았다. 이들 작품에서는 버려지는 늙은 말, 나무등걸로 만든 목침, 뿔이 난 말과 고양이, 흑색과 백색 등의 친근하거나 흥미를 끌만한 소재를 통하여 독자의 공감을 불러일으켜서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출하였다. 또한 주인과 늙은 말 사이의 대화, 백색과 흑색이 벌이는 허구적 문답을 가설하여 답변자의 발언 속에 작자의 목소리를 담아내어 주제를 논리적이면서도 설득력 있게 드러내었다. 그리고 당대 현실에 대한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비판을 하는 것이 아니라 비유와 기탁을 통하여 주제를 우의적으로 표현하였다. Nampa Woo-Won Hong(1605~1687) is a literary bureaucrat who acted in Sukjong ~Injo. 『Nampa collection』, Woo-Won Hong``s work collection, is largely comprised of poems and Sangsomun and the number of prose works such as Gi, Seol, and Seo. However, Woo-Won Hong expressed the criticism consciousness on the social reality of that time in an effective and interesting way through all kinds of literary devices rather than revealing it in a fractional and straightforward manner. Hereby this paper analyzed Won-Woo Hong``s editorial prose focusing on its material and descriptive way. 「Nomaseol」 among Woo-Won Hong``s editorial prose described the criticism consciousness on the social condition that something is thrown away if it becomes useless by focusing on the conversation the old horse and master have, and 「Mokgeunchimseol」 expanded the discussion with the deep subject which could alarm the society by starting the story from the routine material of wooden pillow. 「Gakseol」 criticized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at time by considering the horned horse and cat as a material, and 「Baekheuknan」 contained the criticism and satire on the reality that the sense of values of right and wrong was reversed through Byeonnan that black and white fought. These works expressed the subject effectively by bringing about the readers`` sympathy through the intimate material such as thrown old horse, wooden pillow made of tree, white and black colors. Also, it revealed the subject logically by hypothesizing the fictional question and answer of white and black, question and answer of old horse and master. And it expressed the subject indirectly through the metaphor and deposition rather than referring to the reality of that time in a specific and direct way.

      • KCI등재

        南坡 洪宇遠의 논설류 산문 연구

        우지영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4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5 No.-

        Nampa Woo-Won Hong(1605~1687) is a literary bureaucrat who acted in Sukjong ~Injo. 『Nampa collection』, Woo-Won Hong’s work collection, is largely comprised of poems and Sangsomun and the number of prose works such as Gi, Seol, and Seo. However, Woo-Won Hong expressed the criticism consciousness on the social reality of that time in an effective and interesting way through all kinds of literary devices rather than revealing it in a fractional and straightforward manner. Hereby this paper analyzed Won-Woo Hong’s editorial prose focusing on its material and descriptive way. 「Nomaseol」 among Woo-Won Hong’s editorial prose described the criticism consciousness on the social condition that something is thrown away if it becomes useless by focusing on the conversation the old horse and master have, and 「Mokgeunchimseol」 expanded the discussion with the deep subject which could alarm the society by starting the story from the routine material of wooden pillow. 「Gakseol」 criticized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at time by considering the horned horse and cat as a material, and 「Baekheuknan」 contained the criticism and satire on the reality that the sense of values of right and wrong was reversed through Byeonnan that black and white fought. These works expressed the subject effectively by bringing about the readers’ sympathy through the intimate material such as thrown old horse, wooden pillow made of tree, white and black colors. Also, it revealed the subject logically by hypothesizing the fictional question and answer of white and black, question and answer of old horse and master. And it expressed the subject indirectly through the metaphor and deposition rather than referring to the reality of that time in a specific and direct way. 南坡 洪宇遠은 仁祖에서 肅宗 연간에 활동한 문인 관료이다. 홍우원의 문집인 『南坡集』은 시와 상소문이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고, 記ㆍ說ㆍ序 등의 산문 작품의 편수는 적은 편이다. 하지만 홍우원은 그의 논설류 산문에서 당대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을 단편적이고 직설적으로 드러내기보다는 각종 문학적 장치를 통하여 효과적이면서도 흥미롭게 표현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홍우원의 논설류 산문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그 소재와 서술방식을 중심으로 분석을 해보았다. 홍우원의 논설류 산문 중 「老馬說」에서는 늙은 말과 주인이 나누는 대화를 중심구도로 하여 필요할 때는 취하다가 쓸모가 없어지면 버려버리는 인정세태에 대한 비판의식을 서술하였고, 「木根枕說」에서는 목침이라는 일상의 소재에서 이야기를 시작하여 위정자가 인재를 알아보고 등용하는 문제에까지 논의를 확대해 갔다. 「角說」에서는 뿔이 난 말과 고양이라는 기형의 동물을 소재로 하여 당대 정치 상황을 비판하였고, 「白黑難」에서는 선과 악을 상징하는 색깔인 白과 黑이 서로 벌이는 문답을 통하여 옳고 그름의 가치관이 전도된 현실세태에 대한 비판과 풍자를 담았다. 이들 작품에서는 버려지는 늙은 말, 나무등걸로 만든 목침, 뿔이 난 말과 고양이, 흑색과 백색 등의 친근하거나 흥미를 끌만한 소재를 통하여 독자의 공감을 불러일으켜서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출하였다. 또한 주인과 늙은 말 사이의 대화, 백색과 흑색이 벌이는 허구적 문답을 가설하여 답변자의 발언 속에 작자의 목소리를 담아내어 주제를 논리적이면서도 설득력 있게 드러내었다. 그리고 당대 현실에 대한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비판을 하는 것이 아니라 비유와 기탁을 통하여 주제를 우의적으로 표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