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랑세기』에 보이는 무도

        이진수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5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화랑세기』에 보이는 무도를 밝히는 것이다. 1989년 『화랑세기』 의 발췌본이, 1995년에 그 필사본이 등장한 이래 이것의 진위가 역사학계의 중요한 쟁점이 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화랑세기』에 보이는 무도의 내용을 밝히는 작업은 『화랑세기』의 眞僞를 가리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이다. 『화랑세기』에 보이는 도에 관해 고찰해 보았는데 선도에 관해서는 앞으로 더욱 精織한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우리가 분명히 주장할 수 있는 것은 신라의 선도가 중국의 그것과는 전혀 다른 異質의 仙으로 신라만이 갖는 독특한 선이 란 것이다. 신라의 선은 조상신을 받드는 나라의 큰 제사를 주관하는 선이다. 『화랑세기』에 보이는 무도는 지금 우리가 말하는 무술을 연마함으로 하여 획득되는 어떤 정신적인 사상을 말하는 것은 아니었다. 이것은 용어상으로만 보면 20세기 초에 성립된 일본식 한자를 사용하여 우리를 혼란스럽게 하지만 실제의 의미는 武事를 뜻 하고 있다. 이것은 婚道가 혼사를 의미하는 말 이외의 그 어떤 것도 내포하지 않고 있음과 같다. 그러므로 무도 혹은 검도란 특정한 용어의 사용만을 놓고 『화랑세기』가 위작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고 생각된다. 우리가 『화랑세기』의 무도란 용어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얻은 수확은 우리 무도 사상의 정립을 위해 이 『화랑세기』가 그 출발점이 될 수도 있다는 신념이었다. 무도는 무술을 수련함으로 하여 얻어지는 정신적이고도 관념적인 德目이라 할 수 있다. 우리가 보는 8세 풍월주 文努야말로 이 같은 덕목을 획득한 기장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검술을 연마한 사람이다. 그의 인간적인 매력에 이 검술의 연마가 미친 영향은 심대한 것이 있었을 것이고, 이 같은 영향은 그대로 그의 전인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figure out the literal feature of Moodo武道 which was performed in Silla era. As a bibliographic reaserch for this study, I analysed the content of reference book, <Hawrangsegy>. There are the main points of the discussion that I gave attention. First, There is the many kind of Do道 in the Hwarangsegi. Hondo婚道 was the method of marriage of early Silla people, it was so characteristic the the intermarriage. The Saekdo色道 was the technics of love. The Seondo仙道 of Silla was dissimilar in character of Chines hermit or Shinshen神仙. Seondo was connected with the sacrificial rite that was the ancestor worship. Wharang花郞 who was the priest of the Shingoong that is the palace of ancestor worship in Silla kingdom take charge of this rite. Second, The spirit of Moodo was forrned through the activity of the ritual ceremony which is the worship of their country god. Wharang trained and acquired the skill of martial art, the most important thing was the master of the sword course especial maditation. Third, Hwarng Moonno who was the 8th Poongwoljoo風月主 represented the Silla Moodo at that time. He had produced a large number of the many famous Hwarng.

      • KCI등재

        『화랑세기』에서 보이는 검도(劒道)의 해석학적 함의

        이상호 ( Sang Ho Lee ) 대한무도학회 2013 대한무도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화랑세기』에서 보이는 검도(劒道) 개념이 갖는 해석학적 함의에 대한 연구이다. 검도 용어는 일본의 무도사상과 연관성을 부인할 수 없지만, 우리가 검도라고 이야기할 때 그 의미는 단지 일본 무도사상의 지향점과는 다르게 사용한다. 그렇다면 우리의 관점에서 검도의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한 답을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지 못한 것 또한 사실이다. 우리에게도 무사계급은 존재했고 나름대로 무도와 관련된 사상적 배경이 존재해왔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특히『화랑세기』에서 보이는 검도 용어는 한국적 검도 수행의 목적이나 가치를 찾기 위한 중요한 담론을 제공한다.『화랑세기』에서는“검도를 크게 떨쳤고 사기를 북돋아서 백세의 스승이다”(劒道大擅 士氣以興 百世以師)라는 내용이 있다. 여기에서 보여주는 검도의 해석은 한국적 검도의 의미를 산출하는데 유용한 근거를 제공한다. 기존 화랑도 연구는 무도사상과 오늘날 체육학적 의미와 관련하여 많이 서술해왔다. 그리고『화랑세기』와 관련된 연구 또한 검도 그 자체에 대한 의미와 논의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이에 따라『화랑세기』에서 보이는 검도 개념을 어떻게 해석하고 이해해야 하는지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한국적 검도 개념에 적용가능한지에 대한 새로운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화랑세기』의 검도 개념이 갖는 의미를 파악하기 위한 이론적 접근방법으로 해석학(Hermeneutics)의 관점을 도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화랑세기』에서 보여주는 검도 해석학적 타당성의 논의는 그 당시에 검도가 어떠한 의미를 갖고 있었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검도 개념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검도와 관련된 용어인 학검(學劒), 검술(劒術), 격검(擊劒), 검장(劒仗) 등과 연관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화랑세기』에 보이는 검도의 의미는 남녀를 불문하고 검을 배웠다는 것이다. 특히 검도는 화랑들에게 필수적 이었다. 죽을 때 까지 검을 버리지 않고 배웠으며, 검도를 통해 화랑의 사기를 북돋는 이념적 토대의 역할을 하였다. 둘째, 그것이 오늘날에 의미 있는 개념이 되기 위해서는『화랑세기』에서 보여주는 검도와 관련된 화랑도가, 특히 비보랑을 중심으로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는 스승의 사기를 이어받아 평생검도를 수련하였다. 부도덕한 일에 싸웠고 부하에 대한 의(義)를 보여줌으로써 타인 지향적 인격적 태도를 보여준다. 이 모든 것을 대변하여『화랑세기』의 저자인 김대문(金大問)은“劒道大擅 士氣以興 百世以師”로 표현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개념들은 현재 우리에게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오늘날 적용되고 실천적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이것이 가능할 때『화랑세기』에서 검도 개념은 단지 과거의 검도 단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오늘날 검도가 가져야 할 함의와 지평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e Hermeneutical implication on Kumdo(劒道) showing in the 『Hwarangsegi』. The word of Kumdo(劒道) does not deny a direct interrelation with martial thought of Japan. But when we talk about the Kumdo(劒道) to us, the directions of the meanings in Korea are different with the those of Japan. And then, from our viewpoint, we should answer the question of what Korea``s Kumdo(劒道) is. In fact, the answer is not enough. But it is no denied that there are to be the classes of martial warrior and thoughtful backgrounds related with Mudo(武道) in Korea. The word of Kumdo(劒道) at Silla period will provide the critical discourse to find the Korean Kumdo(劒道)``s concept, purpose, and value. We will find the sentence "become well-known as Kumdo, then boost morale, and become a teacher for one hundred generations”(劒道大擅 士氣以興, 百世以師) in the『Hwarangsegi』.The established researches do not show the diverse meanings having the Kumdo(劒道) in it. So, we need the new approach of understanding the Kumdo(劒道)``s meanings. To get the result, I use Hermeneutics as the theoretical methodology. The result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It helps us understand the Kumdo(劒道)``s meanings of having the『Hwarangsegi』at that time. That needs to figure out the concepts related with Kumdo(劒道), that is, including HakKum(學劒), KumSul(劒術), KyugKum(擊劒), KumJang(劒仗). The cultivation of Kumdo(劒道) showing in them practices without the male and female. Hwarang warriors learn the Kumdo(劒道) for their longtime. It makes Hwarang spirits boost as ideological foundation at that time. Second, we need to know what roles of Hwarang are and how to behavior specifically at that time. Especially, it is important to know the role of Bivorang(秘寶郞). He cultivates the lifelong Kumdo(劒道) inherited from his teacher Munno(文弩). He fights against the illegal behaviors and shows the justice to his disciple. This means that he otherorientedly shows the personal attitude. In other word, Kimdaemun(金大問), author of『Hwarangsegi』, represents Bivorang``s(秘寶郞) role as the sentence of "劒道大擅 士氣以興, 百世以師”. But these concepts should converse practically to apply into the present situation. Accomplishing these conditions, we make it possible to see newly『Hwarangsegi』from present view. The concept of Kumdo(劒道) should be not limited in the word of the past. After then, we will get the implication and horizon that Kumdo(劒道) should be in these days.

      • 『花郞世紀』를 보는 눈

        李鍾旭(Lee Jong-Wook)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0 한국고대사탐구 Vol.6 No.-

        김대문이 저술한 『화랑세기』는 540년부터 681년까지의 기간 동안 활동하였던 신라 花郞의 우두머리인 풍월주 32명의 전기로서 本文ㆍ贊ㆍ世系로 구성되어 있다. 20세기 말 모습을 드러낸 『화랑세기』를 보는 시각은 천동설과 지동설이라 불릴 만큼 서로 완전히 다른 두 가지 견해가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전자(「모델 2」)는 일제시대 관학파들의 植民史觀에 그 토대를 두고 있고, ‘강한 민족’과 ‘자랑스러운 역사의 실증’이라는 이름으로 民族史를 탄생시켰으며 『화랑세기』를 박창화의 역사소설로 폄하하면서 僞作으로 판정하였다. 후자(「모델 3」)는 20세기 관학파 사학자들이 창조해 낸 민족주의사학과 실증사학을 비판하며 민족과 실증의 차원을 넘어서서 진정한 한국사의 원류가 바로 柰勿王 이전 신라에 있음을 강조하고 『화랑세기』를 진본에 가까운 것으로 인정하였다. 『화랑세기』에 나오는 神國의 道를 인정하면 20세기 근대 민족주의사학과 실증사학이 철저히 따르는 「모델 2」에서 은폐하려고 했던 신라의 역사를 선명하게 복원할 수 있게 된다. 「모델 2」를 따르는 학자들이 근대 민족관념과 성리학적 윤리관을 고수한 채 『화랑세기』를 배척하면 할수록 신라사의 진실은 역사 너머 저편에서 배회하게 될 것이다. 『화랑세기』는 聖骨의 개념, 근친혼의 성행, 여왕의 왕위 계승 원리, 화랑도, 眞骨正統과 大元神統 등에 대해서 너무도 명확한 해답을 전해주고 있다. 「모델 3」에서는 이러한 『화랑세기』의 귀중한 내용을 통해서 한국사를 제로베이스에서 재구성해야만 올바른 역사인식이 가능해지고, 제대로 된 한국사를 후손들에게 물려줄 수 있는 첩경이 되리라 확신한다. Written by Kim Taemun in either the late 600s or early 700s, Hwarangsegi(『花郞世紀』, Chronicles of the Hwarang) is a collection of biographies of thirty-two masters (p’ungw?lchu: 風月主) of the hwarang who flourished between 540 and 681. It consists of stories, eulogies, and genealogies. Since a manuscript of Hwarangsegi was found late in the last century, views on the text have diverged greatly, with interpretations as contradictory as the geocentric and heliocentric theories of Ptoelmy and Copernucus, respectively. Basing its argument on the Japanese colonial view of Korean history, one group of scholars (Model 2), who build a national history in the name of a ‘strong nation’ and the ‘substantiation of a proud history,’ conclude that the copy must be a forgery and no more than Pak Ch’anghwa’s historical fiction. Critical to both nationalism and historicism, the other group of scholars (Model 3), who stress that the origins of Korean history should be traced back to early Silla prior to King Naemul (r. 356~402), authenticate the copy as very close to the original. If one understands and accepts sin’gukto(神國道 , lit. code of the divine state), the history of Silla-which had been concealed by Model 2 scholars-would be restored clearly. Indeed, Model 2 scholars have been brainwashed by the modern concept of nation and the Neo-Confucian ethics. The more they reject the manuscript of HwarangSegi, the farther they drift from the truth of Silla history. The manuscript of HwarangSegi provides clear answers to the concept of the holybone(s?nggol: 聖骨), the prevalence of consanguineous marriage, the principle of the royal succession by queens, the code of the hwarang, and the two major lineages of the royal consort families, such as chin’golch?nt’ong(眞骨正統) and taew?nsint’ong(大元神統). By using the manuscript of HwarangSegi as a primary source, the scholars in support of Model 3 reconstruct the history of early Korea, which they firmly believe is historically more accurate.

      • KCI등재

        『화랑세기』에 나오는 系譜(genealogical charter)가 갖는 중요성과 그 의미

        이종욱(Lee, Jong-wook)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8 한국고대사탐구 Vol.29 No.-

        『화랑세기』는 신라인이 아니면 쓸 수 없는 책이고, 신라인이 아니라면 필요하지도 않았던 책이다. 본고에서는 『화랑세기』를 통하여 그 동안 알 수 없었던 신라의 역사를 밝힘으로써 위작설에 반박하려 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를 위해 『화랑세기』에 나오는 계보에 대해 살펴보았다. 신라인들은 단순한 족보가 아니라 계보를 통해 세보・파맥・세계를 구분하여 파악하고 있었다. 골품제 사회를 살아간 신라인들에게 계보는 고려나 조선 그리고 현재 한국과는 비교할 수 없는 소중한 장치(제도)였다. 골품신분을 사회구성의 중심체제로 유지하던 신라인들에게 계보는 골품신분을 상속하거나 골품신분을 떨어뜨리는 族降의 기준이 되었다. 신라인들의 계보는 신분집단을 유지하는 장치도 되었다. 그러한 系譜는 신라인들에게는 골품신분체제를 유지하는 필수적인 장치였고 나아가 신라인의 모든 면을 규제하는 기본이 되는 장치였다고 하겠다. 그런데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보면 신라버전의 『화랑세기』가 담고 있는 계보를 거의 은폐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삼국사기』나 『삼국유사』는 삼국의 역사를 옳게 다루기 위한 자료로는 많은 부분이 부족한 사료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 은폐・축소된 신라인의 계보가 『화랑세기』에는 신라인의 필요에서 그대로 기록된 것이라 하겠다. 결국 『화랑세기』에 나오는 계보는 『화랑세기』가 위서(위작)일 수 없다는 강력한 증거가 아닐 수 없다. 『화랑세기』가 전하는 신라버전의 이야기를 이해하기 위하여, 『화랑세기』에 대한 견강부회의 위작설을 버리고 신라인의 신라 이야기를 찾는 역사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Hwarangsegi(『花郎世紀』) is the book which could not be written by Silla people, and had no need to non-Silla people to describe. In this paper, I tried to reveal the history of Silla which had been uncovered before the appearance of Hwarangsegi. For this purpose, I studied on the genealogical charter which appears in Hwarangsegi. Silla people separated and understood sociocultural charter(世譜)・lineage group(派脈)・ancestry link(世系) by genealogical charter(系譜). Silla people lived in a society based on Bone rank system(骨品制), so that genealogical charter was a very important mechanism(system), uncomparable to Goryeo, Joseon, and Korea nowadays. The genealogical charter became a standard for succeeding social status, or dropping down social status(族降), to Silla people whose social status were based on Bonk rank system. It was also a mechanism to maintain a status group to Silla people. The genealogical charter was essential to keep the Bonk rank status system, and it was a mechanism to regulate every aspect of Silla people. In Samguksagi(『三國史記』) and Samgukyusa(『三國遺事』), however, most of the Silla-version genealogical charter in Hwarangsegi was concealed. Therefore, we can find that Samguksagi and Samgukyusa are highly insufficient materials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Three Kingdoms right. Especially, the genealogical charter of Silla people which was concealed and cut was recorded intact because of the need of Silla people themselves. As a result, I insisted that the genealogical charter of Hwarangsegi is critical evidence which shows that Hwarangsegi is not a forged book(material). To understand Silla-version narratives of Hwarangsegi, I wish to abandon forgery theories on Hwarangsegi, and shift a historical paradigm to find out narratives of Silla written by Silla people.

      • ‘世紀의 발견’, 『花郞世紀』

        金台植(Kim Tae-Shik)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0 한국고대사탐구 Vol.6 No.-

        신라 景文王 시대에 황룡사 구층목탑을 수리한 내용을 摘記한 그 「刹柱本紀」에 의하면, 신라 善德女王 14년(645)에 시작해 이듬해에 완료한 목탑 창건을 총감독한 이는 伊干 龍樹다. 1989년에 홀연히 출현한 『화랑세기』의 眞僞 감정에 나선 어떤 이는 이를 근거로 『花郞世紀』가 후대 누군가가 신라인 金大問을 가탁해 지어낸 僞書라고 주장했다. 그것은 『화랑세기』에 의하면, 용수가 목탑 건립 총감독을 했다는 645~646년 무렵에는 이미 죽고 없어야 하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찰주본기」를 주목한 이런 접근 방식에는 적지 않은 문제가 있다. 다른 무엇보다 그 절대적인 판단기준을 오로지 「찰주본기」에만 두고, 그것이 말하는 것은 오직 史實 뿐이라고 전제한 다음에 『화랑세기』의 관련 내용을 비추어 보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문제 제기를 본격적으로 검토하면 『화랑세기』가 위서가 아니라 眞書임을 여실히 밝혀준다. 『화랑세기』 출현 이전에는 「찰주본기」에 보이는 용수를 일명 龍春이라고도 했다고 알았다. 하지만 『화랑세기』를 통해 두 가지 표기는 각기 다른 인물, 즉, 형제로 판명이 났다. 형제 중에서도 동생인 용춘은 형인 용수를 생물학적인 아버지로 하는 양아들 金春秋가 왕위에 오름으로써, 사후에 文興大王으로 추봉 받았고, 더구나 文武王 시대에는 宗廟에 모셔져 왕실의 제사를 받은 인물이다. 이런 인물을 후대 신라인들이 생전의 이름으로 부를 수는 없다. 따라서 「찰주본기」에서 伊干 용수가 監君이었다고 기술한 것은 용수와 용춘이 다른 인물이라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다. 『화랑세기』를 통해 다른 인물로 드러난 용수와 용춘이 서로 다른 인물임이 「찰주본기」를 통해 재삼 확인된 것이다. 더 나아가 『화랑세기』를 통해 645~645년 무렵에 황룡사 구층목탑 수리 총감독이 용수라는 기록이 실은 龍春의 오류라는 사실도 밝혀냈다. 「찰주본기」가 史實을 반영한 기록이 아니라 誤謬를 담았으며, 그런 오류가 다름 아닌 『화랑세기』를 통해 교정된 것이다. 鮑石亭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도 우리는 『화랑세기』 진위론을 감정할 수 있다. 『화랑세기』에 의하면, 포석정은 그 역사의 시작이 적어도 眞平王 이전이며, 그 주된 기능은 吉禮의 場이자, 화랑의 聖地였다. 이러한 면모를 통해 우리는 그동안 아무런 문제의식 없이 지나친 『삼국유사』의 에피소드 ‘貧女養母’의 한 대목 기술을 이해할 수 있게 됐다. 이 이야기에 의하면 신라 眞聖女王 시대 화랑 우두머리인 孝宗郞이라는 사람이 무리를 데리고 南山 鮑石亭에 행차했다. 왜 그가 포석정에 행차했는지는 오직 『화랑세기』를 통해서만 풀 수 있다는 점에서 『화랑세기』야말로 진서임을 확인해준다. 『화랑세기』가 僞作임을 증명하려는 모든 시도는 좌절하고 水泡로 돌아갔다. 그것이 위작임을 주장한 어떤 논자가 쓴 표현을 그대로 빌리건대, 『화랑세기』는 ‘百年大旱의 단비’이며 ‘世紀의 발견’이다.

      • KCI등재

        최근 제기된『花郞世紀』필사본 조작설에 대한 비판적 고찰

        李熙眞(Lee Hee-Ji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0 한국고대사탐구 Vol.5 No.-

        ??花郞世紀?? 필사본이 발견된 이래, 이 사료를 두고 진위논쟁이 계속되어 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화랑세기?? 필사본을 사료로 인정하느냐 마느냐에 따라 신라 역사에 대한 이해와 서술은 판이하게 달라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에 대하여 철저한 검증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그러나 ??화랑세기?? 필사본의 진위논쟁에 관한 한, 내면을 들여다보면 그렇게 상식적인 기대만 하고 있기 어렵게 흘러가는 듯하다. 시간이 흐르면서 치밀한 검증보다 자기 학파가 원하는 결론을 조작해 나아가는 경향이 생기고 있기 때문이다. ??화랑세기?? 필사본에 대한 진위논쟁은, 1990년대를 중심으로 치열한 논쟁이 벌어졌다. 하지만 2003년 ??역사비평??에서 많은 지면을 할애하여 다룬 시점을 기점으로 하여 아이러니컬하게도 논쟁이 수그러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03년과 2007년, ??화랑세기?? 필사본을 조작으로 보는 김기흥과 박남수의 논문이 각각 나왔던 이래, 이에 대해서는 아무도 반론을 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필자가 검토해본 결과 이들의 논리에는 맹점이 있었다. 그래서 필사본 수정 내용 비교, ??화랑세기?? 원본의 존재 여부에 대한 조사, 이른바 ‘殘本’의 특징과 위작론, ??화랑세기?? 殘本과 1·2본 비교를 통한 위작설의 문제점, ‘碧海上白波歌’와 ‘波浪歌’를 근거로 한 위작설의 주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설득력 있는 근거와 논리를 갖춘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화랑세기?? 필사본이 조작이건 아니건 어느 쪽을 선택해도 무조건 50%의 확률은 보장되어 있다. 그러니까 어쩌다 결론을 맞추었다고 해도 그것만 가지고는 학문적 의미를 가질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근거나 논리 없이 아무 내용이나 갖다 붙인 최근의 연구는, 나중에 ??화랑세기?? 필사본이 조작임이 밝혀진다고 해도 연구 업적으로서의 의미를 가질 수 없다. 본고에서는 바로 이런 성향을 비판하고 싶은 것이다. 혹시라도 본고의 비판 대상이 된 연구자들이 그때 미처 생각하지 못하여 충분한 근거나 논리 없이 글을 발표할 수밖에 없었다면, 지금이라도 부족한 내용을 보충해서 발표해야 할 것이다. 만약 그렇게 된다면, 과거의 불찰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라 해도 현 상태에서 학계에 주는 폐해는 만회할 수 있다. 그렇게 되어 본고 역시 ??화랑세기?? 필사본을 둘러싼 진위논쟁의 질을 한 차원 높이는데 기여하게 되기를 바란다. Since the discovery of the manuscript in ??Hwarangsegi(花郞世紀)??, it is a well-known fact that there has been the argument of authenticity with this historical material. That is because the understanding and description on history of Silla cannot help being varied completely depending on whether recognizing the manuscript in ??Hwarangsegi?? as historial material. Therefore, it is natural to thoroughly verify on this. However, as far as the argument of authenticity in the manuscript of ??Hwarangsegi?? is concerned, it seems to flow difficultly just for such sensible expectation given looking in the inside. That is because of the occurrence of tendency, which proceeds with fabricating the desired conclusion by own school, rather than close verification as time passes. As for the argument of authenticity on the manuscript in ??Hwarangsegi??, the fierce dispute was spread centering on the 1990s. However, the argument is showing tendency of being subsided ironically based on the point of time when having addressed by spending many pages in the criticism of history for 2003. Especially, since having been revealed, respectively, the theses by Kim Gi-heung and Park Nam-su, who see the manuscript in ??Hwarangsegi?? as fabrication, in 2003 and 2007, it is the real situation that anyone hasn't argued against this. However, as a result that a writer examined, there had been weak point in these people's logic. Thus, it examines by dividing into themes such as the comparison of the modified contents in manuscript, the survey on the appearance of existence in the original of ??Hwarangsegi??, the characteristics and forgery theory of the so-called ‘Janbon(殘本),’ the problem of a forgery theory through comparing Janbon(殘本) in ??Hwarangsegi?? and copy 1·2, and the forgery theory based on Byeokhaebaekpaga(碧海上白波歌) and Parangga(波浪歌). As a result, it is thought to have been possibly confirmed not to be equipped with persuasive ground and logic. The probability of 50% is secured even if selecting which one regardless of being whether or not fabrication in the manuscript of ??Hwarangsegi??. Thus, even if having guessed rightly conclusion somehow, it cannot have academic significance just with it. Accordingly, the recent research, which attached any contents without ground or logic, cannot have significance as the research achievement even if the manuscript in ??Hwarangsegi?? is clarified to be fabrication. This study is what desires to criticize just this propensity. If the researchers, who accidently became the target of criticism in this study, couldn't help having announced writing without enough ground or logic due to failing to think in advance at that time, they will need to supplement and announce the insufficient contents even if being now. Given being so, the harmful effect will be able to be recovered that gives to the academic circles in the present situation, even if the past carelessness isn't disappear. By becoming so, this study is also desired to be probably contributed to enhancing the quality in the argument of truth one-dimension further of surrounding the manuscript in ??Hwarangsegi??.

      • KCI등재

        필사본 <화랑세기(花郎世紀)>의 서술방식과 서술시각에 대한 연구

        황혜진 ( Hwang Hye-jin ) 한국고소설학회 2018 古小說 硏究 Vol.45 No.-

        이 연구는 위서 논란이 진행 중인 필사본 <화랑세기>의 텍스트성을 규명하고, 그 서술시각을 밝히기 위한 목표로 기획되었다. 이러한 목표 아래, <화랑세기>를 날줄과 씨줄의 짜임, 이로 만들어진 고유한 문양을 갖춘 텍스트로 보고 그 의미론적 탐구를 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2장에서는 <화랑세기>를 대하는 관점을 성찰하고 방법론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익은 자신의 저술에서 <화랑세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비설하기 심한 것”, “남색의 유”, “음란하고 추악한 분위기” 등)을 드러내었다. 필사본을 전한 박창화 역시 화랑 이야기가 난잡한 이야기이며, <화랑세기>도 화랑의 난잡한 족보에 불과하다는 말을 했다고 한다. <화랑세기>를 보는 우리의 인식도 이러한 관점의 자장 안에 놓여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화랑의 애정관계로 점철되어 있는 것 같은 <화랑세기>의 내용은 분방한 성생활 속에서도 계보를 정리하고자 하려는 합리성의 발현이자 혈통을 통해 정체성을 구성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신라인의 성생활은 문명에 의한 성적 본능의 통제가 덜 했던 시기의 산물이기에 자유로울 수 있는 한편, 이후 문명인의 눈으로 보기엔 꺼림칙하게 여겨지는 것이다. 특히 신라의 왕족과 귀족이 누렸던 성적인 자유는 우리의 상상력을 훨씬 뛰어넘을 정도로 막대한 것이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면서 우리 시대의 성문화에 대한 태도를 성찰하고, 가급적 <화랑세기>의 성문화에 대한 평가적 시선 없이 고유의 짜임을 갖고서 나름의 방식으로 의미를 생성하는 텍스트로서 <화랑세기>를 볼 필요가 있다. 3장에서는 <화랑세기>의 서술 내용을 구성하는 서술방식을 고찰하였다. 6대 세종 조와 11대 하종 조의 내용을 서사 단락으로 나누어 제시한 후, 그 구조적 특성을 밝혔다. <화랑세기>를 풍월주 개인의 전기로만 여기고, 일반적인 전기 양식을 떠올리며 인물 중심의 행적을 따라 의미 구성을 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화랑세기>는 발문(跋文)에서 밝혔듯이 “그 낭정의 대체를 요약하고 파맥(派脈)의 옳고 그름을 밝혀” 내는 것을 목표로 삼는 텍스트이다. 이러한 저술 의도를 실현하기 위해 <화랑세기>는 한 사람이 풍월주가 되기 전의 상황, 풍월주가 되는 과정, 풍월주로 있을 때 낭정의 일들, 풍월주에서 물러나는 상황과 차기 풍월주의 임명 등을 주요 서술 내용으로 취하였다. 따라서 <화랑세기>의 각 풍월주 조의 기록은 풍월주를 입전인물로 삼는 전기이자, 낭정의 주요 사건을 제시하고 이로부터 갈라진 파맥을 정리하는 화랑도(花郞徒) 전체의 역사로 볼 수 있다. 4장에서는 <화랑세기>에서 인물과 사건을 재현하는 특징적인 서술방식을 살펴보았다. 첫째, 입전 대상이 된 풍월주는 스스로의 삶을 주체적으로 이끌어간 삶의 주인공이라기보다는 개별자의 삶을 넘어서는 혈통이나 집단적 역사의 흐름에 속한 수동적 존재로 그려진다. 서술자는 이러한 풍월주를 입전 대상으로 내세웠으나 화랑 전체의 역사라는 관점에서 풍월주를 조망하는 관점을 가졌기에 전체 역사의 흐름에서 잠시 표면 위로 떠오른 수동적 존재로 풍월주를 형상화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둘째, 비록 인물의 삶이 수동적인 것으로 그려졌다고 하지만 인물의 고유성이 드러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인물의 성격적 특성을 구성하여 한 인물에 대해 고유한 인성을 부여하는 것이 <화랑세기> 서술의 한 특성이 된다. 셋째, 같은 일과 사람들이 여러 조의 전기에 걸쳐 등장하지만, 한 편에서 그에 대해 모든 것을 다 말해주는 것은 아니다. 해당 풍월주의 삶에 핵심적인 내용, 또 그 고유한 인성의 가장 특징적 면모를 강조하느라 ‘남겨둔 것’은 다른 편을 통해 서술되어 사태와 인물의 또다른 진실을 드러낸다. 넷째, 종종 인물의 감정에 초점을 두어 정감과 생동감 넘치는 장면화 기법을 구사하기도 한다. 감정에 관심을 가진 서술 주체는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상황의 자질구레한 요소들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이러다 보니 상황 묘사는 자세할 수밖에 없고, 감정이 표현되거나 유추될 수 있는 인물의 말은 직접 인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5장에서는 앞의 논의를 바탕으로 <화랑세기>의 서술시각을, <화랑세기>를 생성하고 향유한, 사회문화의 의미론적 차원에 존재하는 ‘정신적 형식’인 ‘상징형식’의 관점에서 조명하였다. 첫째, ‘삶은 살아지는 것이다.’ 풍월주의 삶이라 할지라도 강물의 수많은 물줄기가 만들어내는 인연과 사연의 물결에 휩쓸리며 뒷 물결에 앞 물결이 떠밀리듯 살아지는 것이다. 둘째, ‘그가 사랑하는 대상이 그를 구성한다’ <화랑세기>의 서술은 무엇을 행하였는가보다 무엇을 느꼈는지가 그의 사람됨과 정체성을 결정한다고 보는 듯하다. 특히 사랑이란 감정과 성행위로 ‘한 몸’임을 체험한 대상은 그의 정체성과 삶을 규정하는 가장 중요한 존재가 된다. 셋째, ‘성적 능력은 권력이다’ 성적관계가 자신의 확장이었듯 성적 능력은 존재를 고양하고 확대할 수 있는 중요한 능력이자 권력 획득의 수단이 된다. In the begin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eaning of the text and the implications of the Hwarangsegi. However, some texts and narratives which were revealed in the course of the discussions were helpful in considering the authenticity of the Hwarangsegi. First, it is noteworthy that the data on the evaluation of Hwarang in the Yi-ik text appeared as a negative perception of Hwarang in late Joseon Dynasty. The negative perception of Hwarang indicates the possibility that the Hwarang's records similar to the Hwangangsegi appeared in the 18th century. Second, the narrative structure of Hwangangsegi is composed of the history of Pungwolju and the history of Hwarangdo as a whole. This dual structure is not a literary approach to the narrative interest of a person's life, nor is it consistent with the historical interest in Hwarangdo's history. Third, narrative methods such as passive portrayals, but expressions of unique personality, multi focused narrative on the perspective of various characters, and emotional scenes, etc. It shows well the point of view: human is an emotional subject who can not control his/her given life but has a unique personality and perspective and communicates through sex and love. Fourth, the narrative consciousness those can be deduced through these narrative methods are ‘life is be lived’, ‘the object that he loves composes him’, and ‘sexual ability is social power’. Those are divided into the modern ‘mental form’ which can be characterized as subjective life, rational and independent personality, sexual taboo and restricted sexual culture.

      • KCI등재

        박창화, 『화랑세기』 필사자에서 역사학도로

        김태식(Kim, Tae-sik)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7 한국고대사탐구 Vol.27 No.-

        필사본 『화랑세기』를 둘러싼 진위 논쟁은 1989년 소위 ‘拔萃本’ 출현을 기점으로 몇 차례 분기 설정이 가능하다. 이에 즈음해 그 텍스트를 어찌 봐야 하는지를 둘러싼 사태 전개를 1차 논쟁이라 한다면, 1995년에 공개된 소위 그 ‘母本’을 진원지로 삼는 일련의 상황 전개를 2차 논쟁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러다가 『화랑세기』 논쟁은 이종욱이 역주본을 출간한 1999년을 기점으로 『화랑세기』가 ‘열린 텍스트’가 되면서, 또 다른 국면으로 진입했다. 2003~2004년은 『화랑세기』 논쟁사, 혹은 그 필사자를 둘러싼 의문에서 또 하나의 분기 설정이 가능하다. 이때에 이르러 박창화가 역사가라는 행적이 완연하게 드러났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드러난 박창화의 면모를 간단히 추리건대 그는 천재 역사가도 아니었고, 그렇다고 아마추어 역사가도 더더욱 아니었다. 그는 그 시대와 함께 호흡하고, 그렇기에 그 시대정신을 민감하게 그 자신의 글들에 반영한 역사가일 따름이었다. 이와 관련된 자료의 발굴은 내가 직접 관여한 일이기에, 본문에서는 그 전후 사정을 정리하려 하였다. 이후 나는 줄기차게 박창화를 역사학도로 자리매김할 것을 주문했다. 박창화는 철두철미 시대정신에 투철한 모습을 보였다. 첫째, 그는 철저한 내셔널리스트였다. 둘째, 그의 역사학은 방법론의 측면에서 당대에 유행한 흐름과 어긋남이 없다. 이런 자세들은 현존하는 그의 거의 모든 저술을 관통한다. 하지만 그 내셔널리즘에서 예외가 있다. 그것이 바로 『화랑세기』다. 『화랑세기』에는 당대가 요구한 순국무사 화랑이 없다. 그것이 20세기 한국 내셔널리즘이 요구한 국가를 위한 忠을 구현한 ‘국민’의 이상형과는 확연히 다르다. 이는 『화랑세기』가 박창화가 살다간 그 시대의 산물이 아니라는 단적인 증거다. 한동안 잠잠한 듯했던 『화랑세기』 문제가 정식 학술대회 주제로 올랐다. 고려대 한국사연구소가 2017년 10월 20일 이 대학 백주년기념삼성관 국제원격회의실에서 ‘南堂박창화의 한국사 인식과 저술’을 주제로 표방한 학술대회를 개최한 것이다. 이 자리는 박창화를 역사학도로 자리매김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지만, 많은 한계를 노출했다. 그러나 단 한 번의 학술대회로 모든 것을 평하고 싶지는않다. 그럼에도 이참에 확실해진 점 하나가 있다. 그것은 박창화를 이제는 『화랑세기』 필사자라는 주술에서 풀어, 역사학도로 우뚝하게 세워야 한다는 사실이다. History of controversies on the authenticity of manuscript Hwarangsegi 『花郞世紀』) can be diverged by some stages after the book appeared in 1989. Around that year, the first stage can be set when scholars debated on how we should view the text itself. The second stage can be set when scholars debated on original text(‘母本’) of the book. After then, the debates on Hwarangsegi encountered a new stage in 1999 when Lee Jong-wook published a translated and annotated version of Hwarangsegi, and it became an ‘open text’. I think that another stage on the history of controversies on Hwarangsegi or its recorder can be set around 2003~2004. At this time, traces of Park Chang-hwa as a historian showed up clearly. To sum up his traces, he was not a groundbreaking historian, and also not an amateur historian. He lived his age itself, so he reflected the spirit of the age sensitively on his writings as just one historian at his age. I participated in excavations of Park Chang-hwa’s writings about this fact., so I tried to explain the situations at that time. After then, I insisted on placing Park Chang-hwa as a historian. He followed the spirit of the age thoroughly. At first, he was a thorough nationalist. Second, his view on history does not deviate from the methodologies of historical studies at that age. These stances appear consistently on his most writings. However, there is an exception of his nationalism, and that is Hwarangsegi. In Hwarangsegi, we cannot find chauvinist warrior Hwarang. It is different from an ideal type of ‘nation people’, which demonstrates loyalty to the state and demanded by 20th-century Korean nationalism. It shows clearly that Hwarangsegi was not created in the age of Park Chang-hwa. Debates on Hwarangsegi had looked like come to a state of a lull for some time, but Hwaragsegi became a subject of an academic conference recently again. That is hosted by Korea University Center for Korean History, named as ‘A view and writings on Korean history of Namdang Park Chang-hwa’, at Global Conference Hall of Centennial Memorial Samsung Hall in 20th October 2017. This conference has an importance to place Park Chang-hwa as a historian, but also exposed many limits. However, I do not want to evaluate everything by just one trial. Nevertheless, it became obvious that we should not evaluate Park Chang-hwa as just a manuscript recorder of Hwarangsegi, but should define him as a historian.

      • KCI등재

        『화랑세기』를 통해본 신라 화랑도의 가야파

        이종욱(Lee, Jong-wook)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7 한국고대사탐구 Vol.27 No.-

        『화랑세기』는 신라인이 아니면 쓸 수 없는 책이며 동시에 쓸 필요도 없는 책이다. 그 『화랑세기』에는 신라인이 쓴 신라버전의 이야기들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그렇기에 『화랑세기』는 지금까지 중시할 수밖에 없던 고려버전의 『三國史記』나 『三國遺事』를 넘어, 신라인의 신라 이야기로서 신라의 역사를 살려낼 수 있게 만든다. 이 글에서 필자는 『화랑세기』를 통하여 신라의 역사를 구체적으로 밝혀내는 방법을 통해, 『화랑세기』가 위서일 수 없다는 사실을 논증하려 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를 위해 『화랑세기』를 통해 화랑도의 파맥 중 가야파의 정체를 밝히는 작업을 하였다. 『화랑세기』에 따르면, 15세 풍월주 유신공은 眞骨・大元・加耶3파의 자손이라고 하였다. 김유신은 그의 어머니 만명부인의 姻統을 이어받아 진골정통으로 태어났고, 그의 아버지 서현이 대원신통이었다. 거기에 더하여 김유신은 수로왕의 부계혈통을 이은 후손으로서 서현-김유신(15세 풍월주)으로 이어지는 가야정통이었다. 가야정통은 수로왕을 시조로 하는 구충왕과 그의 일족들이 신라에 항복하여 신라인이 된 후 형성하였던 파맥이다. 구충왕(구해, 구형)과 무력이 신라에 항복할 때 그들에게는 진골의 피가 많이 들어 있었으며, 그 결과 구충왕과 그를 시조로 하는 宗族(lineage)의 자손들은 신라의 골품신분 중 진골로 편입될 수 있었다. 그런 면에서 『화랑세기』 15세 풍월주 유신공 조의 세계는,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않았지만 김유신이 신라 사회 안에서 차지하는 사회적・정치적 지위를 분명히 밝힌 자료 라 하겠다. 그와 달리 비정통 가야파는 신라인 아버지와 가야(특히 대가야, 북국) 왕의 딸들 즉 공주들이 신라로 시집와서 낳은 아들들이 화랑도에 들어가 가야파를 이룬 경우이다. 외가계통이 가야였던 천주공과 문노가 그 대표적인 예다. 그러나 이후시대에 가야파라는 파는 기본적으로 부계계승을 통해 이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신라의 사회체제가 부계제 사회였기 때문이다. 신라인들이 남국(금관국)인을 중심으로 한 가야인들과 북국 여자와 혼인하여 낳은 문노나 천주공 그리고 그들의 후손을 가야파로 인정한 것은 신라인들의 피정복민 정책의 한 단면과 그 융통성을 보여주는 것일 수 있다. 이후 김유신은 진골정통・대원신통・가야파로 나뉜 파맥에 대해 3파의 자손으로서 골품과 파맥을 뛰어넘어 화랑도를 거느리면서 各徒를 화합시키려 노력하였고, 신라 오리진이라는 역사적 유산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였다.__ Hwarangsegi(『花郞世紀』) is a book which could not be written by Silla people, and does not have to be written if a writer was not Silla people. In Hwarangsegi, there are Silla-version narratives which are written by Silla people. Therefore, Hwarangsegi makes us reenact narratives of Silla written by Silla people beyond the Goryeo-version narratives of Samguksagi(『三國 史記』) or Samgukyusa(『三國遺事』), which has been held in great regard up to now. I tried to reveal the history of Silla by Hwarangsegi, and demonstrate Hwarangsegi cannot be a forged book. For these purposes, I tried to reveal the meaning of Gaya group(加耶派), a group in Hwarangdo, in this paper. Following Hwarangsegi, 15thth Pungweolju (風月主) Yu-sin is a descendant of three groups, Chin’gol(眞骨)・Taewŏn(大 元)・Gaya(加耶). Kim Yu-sin is a descendant of Chin’golchŏnt'ong(眞骨正 統) which is succeeded following a maternal line of mother Lady Manmyeong(萬明夫人), and his father Seo-hyeon(舒玄) belonged to Taewŏnsint’ong(大元神統). Furtheemore, Kim Yu-sin was a descendant of King Suro(首露王) which is succeeded following a paternal line. He belonged to authentic Gaya group, which was succeeded from Seo-hyeon to Kim Yu-sin(15th Pungweolju). when King Guchung(Guhae, Guhyeong) and Muryeok surrendered to Silla, they were tied intimately by Jingol(眞骨) group of Silla, so King Guchung and his descendants in his lineage(宗族) could be included in Jingol group of Silla. In that view, the lineage of Yu-sin in Hwarangsegi shows clearly his social and political status, although it was written directly in that book. On the other hand, non-authentic Gaya group was originated from sons between Silla people fathers and princesses of Gaya(especially Dae-gaya, ‘North state’) moved into Silla. The sons participated in Hwarangdo and created Gaya group. Cheonju-gong(天柱公) and Munno(文弩) are representative examples, whose lineage were connected with Gaya. Nevertheless, a qualification of Gaya group was succeeded following the paternal line. It was because Silla was a patriarchy society. There were two factions of Gaya group. One was organized by Gaya people from ‘Namguk’(Geumgwan-guk). The other was sons who were born between Silla men and Gaya(especially ‘Bukguk’) women like Munno and Cheonju-gong, and their descendants. The fact that Silla acknowledged both two factions as Gaya group can be viewed as a part of policies to conquered people and its flexibility. After then, Kim Yu-sin struggled to harmonize three groups and leaded Hwarangdo as a descendant of three groups. By this effort, Kim Yu-sin contributed to creating a historical legacy called ‘Silla origin’.

      • KCI등재

        『화랑세기(花郞世紀)』를 통해 본 선(仙)사상

        양은용(Yang Eun Yong)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7 한국종교 Vol.41 No.-

        본고는 김대문(金大問, ?-704-?)의 『화랑세기(花郞世紀)』를 통하여 화랑도의 조직과 활동, 그리고 그 선(仙)사상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선사(仙史)」로 불리는 이 책은 일실되었다가 1989년에 발굴되어 서지적 검토와 함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의 내용은 『삼국사기』 등의 사서에 나타난 역사적 사항과 일치하며, 화랑도에 관한 다양한 사실을 전해준다. 이를 중심으로 밝혀온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화랑세기』는 신라 화랑도의 우두머리인 풍월주(風月主) 32명의 전기(傳記)이다. 1세 위화랑(魏花郞)랑에서 32세 신공(信功)까지이며, 저자 김대문은 위 화랑에서 부친인 28세 오기(吳起)까지 대를 이은 풍월주로, 오기가 남긴 「세보(世譜)」를 바탕으로 저술하였다. 둘째, 화랑조직은 법흥왕대의 원화(源花)제도를 원류로 하며, 진흥왕(540-576)의 등극과 함께 모후 지소(只召)태후의 뜻에 따라 남자조직으로 설치된다. 이후 권력의 흐름에 따라 부침이 일어나며 진흥왕 12년(568)과 29년(576)에 원화제도가 부활되고 있는데, 『삼국사기』는 576년조에 전후의 사항을 찬집(撰集)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8세 문노대에 이르러 풍월주와 부제(副弟) 휘하에 좌‧우‧전 대화랑의 3개대로 구분되는 등의 제도가 확립된다. 이는 도의교육․군사훈련, 심신수련․예악가무, 물자관리․제례공양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특성을 보인다. 셋째, 27세 풍월주 흠돌(欽突)은 이후 화랑도조직을 좌우하는 권력을 가지며 결국 모반을 일으키는데, 호성(護城)장군이 된 오기가 모반계획을 알아내어 이를 평정하며, 이를 계기로 화랑도조직을 군부에 소속시킨다. 아마 효성왕 9년(704) 경영(慶永)의 모반사건의 한 축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화랑도는 지방조직 등이 있어 결국 부활을 가져온다. 넷째, 화랑도는 풍월도(風月道)‧화랑도(花郞道)‧선도(仙道)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데 도교의 선과는 무관하다. 최치원(崔致遠)이 「난랑비서(鸞郞碑序)」에서 유․불․도 삼교를 포함․초월하는 성격으로 본 것은 적실하며, 호국사상의 바탕 위에 홍익인간(弘益人間)․광명이세(光明理世) 등 전통 고유사상의 신라적 전개라 할 수 있다. 화랑의 존재는 진흥왕 12년(551)에 팔관회(八關會) 등에서 찾을 수 있으며, 천하태평을 기원하는 흐름이 고려시대까지 이어지는데, 그 가운데 사선악부(四仙樂部) 등으로 그 정신이 계승된다. This research aims to shed light on the organization, activities and thoughts of the Hwarang Corps (hwarang-do) through the Hwarangsegi (Records of Hwarang’s Generation) written by Kim Dae-mun (?~704-?). This book, called Seonsa (History of Seon), was lost once and discovered in 1989. It was studied in various ways along with a bibliographic examination. The contents correspond to historical details in historic books such as the Samguksagi(History Records of Three Kingdoms), delivering a variety of facts about the Hwarang Coprs. It can be summarized, focusing on these particulars, in the following way. First, the Hwarangsegi is a biography of 32 Pungwoljus (master of the wind and moon) who were heads of the Hwarang Corps in the Silla Dynasty. It covers the period from Wihwarang in the first generation to Sin’gong in the 32nd generation. The writer, Kim Dae-mun, was a son of Ogi in the 28<SUP>th</SUP> generation whose ancestors had descended as pungwolju since Wihwarang. Kim Dae-mun wrote it based on the Sebo (world geneology) that had been written by Ogi. Second, the organization of the Hwarang originates from the Wonhwa (original flower) system in the time of King Beopheung. With King Jinheungs’ (540-576) ascent to the throne, and, according to his mother, Jiso’s intention, it was changed into a male organization. Hereafter, depending on power struggles, there were many vacillations and much volatility. The Wonhwa system was revived in 12<SUP>th</SUP> year (568) and 29<SUP>th</SUP> year (576) of King Jinheung. The Samguksagi compiled the details around 576. At the time of Munno in the 8<SUP>th</SUP> generation, a system was established in which it was were divided into the three corps of the great Hwarang such as Jwa, U, and Jeon under the Pungwolju and his associate. Those corps had responsibilites in relation to the education of morality and military training; physical and mental cultivation, and also learning and training in music such as singing and dancing; and the management of supplies and ritual offerings. Third, the 27<SUP>th</SUP> Pungwolju, Heumdol, attained the power to deal with the Hwarang system and raised a rebellion. Ogi, who became a general to protect castles, found out about the rebellion plan and suppressed it. Since then, as a result of this event the Hwrang-do organization was included withing the military. Maybe this was partly due to the event of Gyeong’yeong’s rebellion in the 9<SUP>th</SUP> year (704) of King Hyoseong. As the Hwarang-do featured a local organizational structure, finally it was revived. Fourth, the Hwarang-do is referred to in various ways such as Pungwol-do and Seon-do, which have nothing to do with the Seon in Daoism. It was proper that in his Preface to the Stele of Nan’rang, Choe Chi-won opined that the Hwarang-do not only included but also transcended the three relig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The Hwarang-do ideology, based on the thoughts of protecting the nation, incorporated perspectives prevailing during the Silla Dynasty such as promoting the welfare of people and ruling in an enlightened manner. The existence of the Hwarang can be traced back to Palgwan-hoe (eight ritual meeting) in the 12<SUP>th</SUP> year of King Jinheung (551), etc. As the tradition of seeking peace in the world flowed to the Goryeo Dynasty, the Hwarang’s spirit was embraced by Saseon-akbu (music division of four Se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