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돼지고기 소시지에 혼합된 닭고기의 정량을 위한 DNA 표준물질 첨가와 Real-time PCR의 적용

        이남례,주재영,여용헌 한국품질경영학회 2019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이 연구는 돼지고기로 만든 소시지에 닭고기가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진행되었다. 실시간 중합 효소 연쇄 반응(RT-PCR)과 내부 표준물 첨가법이 사용되었다. 돼지고기 소시지에 소량 함유된 닭고기 유전자는 제조 과정에서 열에 의해 손실되므로 표준물질을 첨가하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내부 표준물로는 닭 DNA 50 ng을 소시지에 첨가하였다. QIAamp DNA Micro Kit를 사용하여 소시지에서 돼지와 닭 DNA 회수 및 증폭 효율을 향상 시켰다. 주형 DNA의 밀도는 3.0 ~ 5.0 μL, 프라이머는 0.5 μL가 적합 하였다. 돼지와 닭의 DNA를 50 ng~0.05 ng 까지 각각 10 배 단위로 희석시켜 표준 곡선을 확인하였다. 돼지고기와 닭고기의 검출 한계는 각각 0.05 ng 이상이었고 표준 곡선의 상관 계수는 0.98 이상이었다. 돼지고기와 닭고기의 비율이 70:30이 되도록 고기를 혼합하여 열처리한 소시지 시료 3개를 만들었고 혼합 비율을 분석한 결과 측정값은 64.3: 35.7로 나타나, 예상값과 측정값의 차이는 5.7 %로 확인되었다. 열처리(70 ℃, 10 분)를 하면 DNA에 영향을 주어 시료의 정량적인 값이 변화가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존 분석 방법으로는 DNA 증폭 효율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소시지에 혼합된 돼지고기와 닭고기의 함량을 DNA 증폭을 통한 Ct값으로 확인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웠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 개발한 분석법을 이용하여 표준물질(닭 DNA 50 ng)을 소시지에 첨가하게 되면 DNA 증폭 효율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소시지에서 닭고기의 혼합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Ct 값이 감소하여 닭고기의 혼합 비율을 추정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고기구이에서 발생하는 입자상물질의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봉춘근,박성진,박성규,김종호,황의현,Bong, C.K.,Park, S.J.,Park, S.K.,Kim, J.H.,Hwang, Y.H. 대한환경공학회 2011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3 No.3

        본 연구는 최근 들어 대도시 대기오염물질의 주요 배출원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는 음식점 고기구이로부터 배출되는 미세먼지의 배출 특성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돼지고기와 소고기의 구이 시 발생되는 미세 입자상물질의 배출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고기구이 시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채취할 수 있는 고기구이 챔버를 제작하였으며, 다단충돌식 입경분립기와 광산란식의 미세먼지 측정기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다단충돌식 입경분립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 결과에서는 전반적으로 돼지고기의 경우가 소고기보다 높게 나타났다. 미세먼지의 입경분포 특성을 살펴본 결과 돼지고기와 소고기 모두 $1.95{\sim}3.2{\mu}m$의 입경에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고기 1 kg당 배출되는 미세먼지의 배출계수는 돼지생고기, 돼지양념고기, 소생고기, 소양념고기에서 각각 1.36 g/kg, 1.03 g/kg, 1.23 g/kg과 0.92 g/kg으로 나타났다. 광산란식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에서는 돼지고기와 소고기 모두 $1.6{\sim}2.5{\mu}m$와 $2.5{\sim}3.5{\mu}m$ 입경에서 가장 높은 농도로 나타나 $2.5{\mu}m$를 중심으로 높은 농도로 나타난 다단충돌식 결과와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 광산란식에 의해 측정된 배출계수는 돼지생고기, 돼지양념고기, 소생고기, 소양념고기에서 각각 3.37 g/kg, 2.76 g/kg, 2.93 g/kg과 2.77 g/kg으로 나타나 다단충돌식 결과보다 2배에서 3배 이상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PM_{2.5}/PM_{10}$의 비는 돼지생고기, 돼지양념, 소생고기, 소양념고기에서 각각 0.56, 0.58, 0.56 그리고 0.58로 나타나 중량농도에서도 $PM_{2.5}$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중량농도를 입자의 비중을 1로 가정하여 산출한 개수농도로 환산한 결과를 보면 다단충돌식 입경분립기로 측정한 결과는 $10^{19}$개로 나타났고, 광산란식으로 측정한 결과에서는 $10^{16}$개 수준으로 나타나 다단충돌식 입경분립기의 경우에서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Emission from meat cooking may contribute to the concentration of the Particulate Matters(PM) in the city.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rticle size and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s from pork and beef cooking. The chamber was installed for sampling of PM generated from pork belly and beef sirloin cooking including seasoned ones. Cascade Impactor and Portable Aerosol Monitor (PAM) were used to analyse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At the result of the Cascade Impactor sampling, particulate matters from the pork cooking was higher than that of beef. The gravimetric concentration of PM according to the size was highest at the range of $1.95{\sim}3.2{\mu}m$ and the gravimetric concentration of PM from the non-seasoned mea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easoned one. The emission factors from pork, pork seasoned, beef and beef seasoned were 1.36 g/kg, 1.03 g/kg, 1.23 g/kg, 0.92 g/kg respectively. To see the result of PAM sampling, the ranges of $1.6{\sim}2.5{\mu}m$ and $2.5{\sim}3.5{\mu}m$ were reveled as highest. The ration of $PM_{2.5}/PM_{10}$ from pork and beef was 0.56~0.58. The emission factors from pork, pork seasoned, beef and beef seasoned measured by PAM were revealed as 3.37 g/kg, 2.76 g/kg, 2.93 g/kg, 2.77 g/kg respectively.

      • KCI등재

        젖소 송아지고기의 생산현황

        조일호,양인정,조찬미,박은영,황수정,이원재,윤호백,김진욱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4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8 No.6

        송아지고기는 어린 소 즉, 송아지에서 생산되는 고기이며 국제적 기준으로 1년 미만의 소에서 생산된 고기를 통칭한다. 송아지고기는 사육방법 및 도축연령에 따라 밥빌, 대용유사양 송아지고기, 곡류사양 송아지고기 및 방목사양 송아지고기로 구분한다. 생산 및 소비량이 가장 높은 송아지 고기는 대용유사양 송아지고기로 체중 200 kg 내외, 5개월령에 도축하며 육색은 핑크색을 나타낸다. 송아지고기는 일반적인 소고기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높고 지방함량이 낮으며 불포화 지방이 다수 포함되어 있고 고기의 육질이 부드럽다. 송아지고기의 육질에 양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체중, 연령, 사료조성, 사료내 철분 함량 등이 있다. 송아지고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송아지고기 생산용 대용유사료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대용유사료내 단백질 및 지방함량이 20% 내외로 체중의 10% 이상 급여하며 조사료를 자유채식하여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반추위발달을 유지하도록 한다. Veal is the meat of young cattle. Veal should be produced from calves less than one year age cattle in terms of international agreements. Most veal comes from male cattle of dairy breeds. The classification of veal is dependent on the age of the animal and the type of feeding compositions. There are four categories of veal : bob veal, milk-fed veal, grain-fed veal and farm-raised veal. Milk-fed veal calves are raised on milk replacer until the animal is at ~200 kg of body weight and 5 months of age. Generally, the lean of veal is creamy pink color with smooth texture. Veal has higher protein and lower fat when compared with the meat of adult cattle. The factors affected on veal quality are body weight, age, feed composition and iron amount in feed. In order to raise veal calves, a nutritionally complete milk-based formular diet is required. In milk replacer, the optimal protein and fat contents are around 20% with fed 10% diet of body weight. The roughage supplement can reduce stress and maintain rumen development of calves fed milk replacer.

      • KCI등재후보

        元代 杭州의 美術品 市場과 新安船의 古器物

        김영미 국립중앙박물관 2016 미술자료 Vol.- No.90

        This paper focuses on antiqu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ceramic wares discovered in the Sinan shipwreck. First, I selected antiques among the findings from Sinan shipwreck, then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ontext in which these objects had been loaded, as well as the paths used for transporting them, with reference to the trends of the Hangzhou art market of Yuan (元, 1271~1368) Dynasty China, and to observe how Japanese demand for Chinese ceramics reflected the antiquities found in the Sina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eramics and other antiquities carried in the Sinan vessel,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ancient art market, customers’ tastes and their selections, and the distribution channels. The results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most of the ancient ceramic items found in the Sinan shipwreck were in small quantities of just one or two pieces each. They are thought to have been purchased at the art market in Hangzhou, rather than having been ordered in advance. They are dated from the end of the Southern Song (南宋, 1127~1279) Dynasty to the beginning of the Yuan Dynasty , and they display some traces of abrasion due to having be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y had been placed in wooden boxes specially made for these kinds of objects and that they were stored in their own special place for transportation on the Sinan vessel. Secondly, the retro trend of the Song (宋, 9601~1279) Dynasty continued well through the early Yuan Dynasty. As society stabilized, the demand for antiques such as paintings, ceramics, bronze works, and jade works had increased in the Hangzhou art market, and counterfeit antiques were also prevalent. The ancient ceramics among the Sinan's cargo are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official-ware style ceramics produced in response to the retro trend that prevailed from the late Southern Song Dynasty to the beginning of the Yuan Dynasty, as well as to the vogue for Chinese objects introduced to Japan (唐物趣味) which had spread in Japan during that period. Thirdly, it is presumed that there were three routes via which the antique ceramic wares flowed into the Hangzhou art market. Firstly, objects handed down by upper class families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were disbursed into the market as demand for art objects rapidly increased at the beginning of the Yuan Dynasty, when society and politics were stabilizing. Secondly, ceramics that had been buried in dugouts for safekeeping during the wars from Southern Song until the beginning of the Yuan period appeared in the art market in Hangzhou on a large scale, as society and the economy of the Yuan Dynasty were stabilizing. Finally, as the society of Sichuan Province collapsed due to the wars, massive numbers of people were displaced into different regions including Hangzhou, and among them there must have been antique traders selling ceramics. Fourthly, several written sources attest to the fact that demand for antiques had been increasing in Japan. Referring to records on Song Dynasty ceramics in Hōjō Sadatoki jū san-kaiki (北條貞時十三回忌, Twelf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Hōjō Sadatoki, 1323) and Butsunichian Kōmotsu mokuroku (佛日庵公物目錄, Catalog of Objects in Butsunichian) from Butsunichian, sub-temple of Engaku-ji Temple (圓覺寺) in Kamakura, written by a Buddhist monk named Hosei (法淸) in 1363,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Japanese people who then frequented Hangzhou were also exposed to the retro trend and the circulation of antiques. And this must have permeated into the lives of the upper classes in Japan. Further study of the selective reception of Japan toward art works in the art market in Hangzhou in the Yuan Dynasty is to be elaborated in the future. 본고는 신안선에 실린 도자기의 특징과 의미를 파악하고자 古器物에 초점을 두었다. 우선 신안선에 실린 고기물을 선정하고, 이 고기물들이 신안선에 실렸던 배경과 이동경로를 元代 杭州 미술품 시장의 흐름 속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일본의 중국도자기 수요가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신안선에 실린 도자기를 비롯한 고기물을 대상으로 당시 고미술품 시장의 역사적 배경과 수요자의 취향과 선택, 그리고 유통경로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 성과와 의미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신안선의 고기물 도자기는 사전에 주문 제작한 것이 아니라 대부분 1~2개의 소량으로 발견되었는데, 항저우 미술품 시장의 현장에서 구입된 것으로 여겨진다. 시기적으로는 남송 말~원 초의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오랜 기간 사용하여 생긴 거친 마모흔이 남아 있었다. 이러한 기물들은 신안선에 선적될 당시 나무상자를 이용하여 특별하게 포장되었으며, 특별한 위치에 배치되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송대의 복고풍의 유행은 원 초까지 이어졌다. 사회가 안정되면서부터 항저우의 미술품 시장에는 회화, 도자기, 청동기, 옥기 등 고기물의 수요가 많아졌으며, 고기물을 비롯해서 이전의 미술품을 모방해서 만든 것도 크게 유행하였다. 신안선에 실렸던 고기물 도자기는 당시 일본에서 유행했던 唐物趣味와 함께 중국의 남송 말에서 원초에 일었던 복고풍의 유행으로 생산된 관요풍 도자기의 유행과 관계가 있다고 여겨진다. 셋째, 이들 고기물이 항저우 미술품 시장으로 유입된 경로는 세 가지로 생각해볼 수 있다. 먼저, 항저우에 거주하던 남송 시기 상류층 집안에서 전해져 내려온 것이 원 초 정치와 사회가 점차 안정을 되찾은 후, 미술품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시장으로 유통된 것이며, 또 하나는 남송 시기부터 원 초까지의 전란을 피해 중국 전역의 움집에 묻혔던 도자기가 원의 사회와 경제가 안정되자 항저우의 미술시장에 대거 등장한 경우이다. 마지막으로 전란으로 인해 쓰촨지역 사회가 붕괴되고 다량의 인구가 항저우를 비롯한 각 지역으로 이동하였을 것이며, 그 중에는 도자기를 팔았던 古器物常도 포함되어 있었을 것이다. 넷째, 일본에서 고기물에 대한 수요가 급증한 사실은 여러 문헌자료를 통해 입증이 되고 있 다. 1323년의 『北條貞時十三回忌』와 1363년에 法淸이라는 승려가 작성한 가마쿠라 圓覺寺의 佛日庵의 『佛日庵公物目錄』에 기록된 송대 도자기에 대한 기록을 통해 볼 때 당시 항저우를 자주 왕래하던 일본인들도 중국의 복고풍이나 고기물에 대한 흐름을 분명 체감하였으며 일본 상류층의 생활 속에 깊이 파고들었을 것이다. 원대 항저우 미술시장의 예술품을 대하는 일본의 선택적인 수용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는 향후의 과제로 남겨 놓는다.

      • KCI등재

        『삼국유사』 「고조선」조의 古記論

        김성환 한국고대학회 2022 先史와 古代 Vol.- No.69

        For over 300 years, researchers have accumulated historical examinations of the Ancient Joseon period's Gogi(古記). During this time, various studies and criticisms have been put forth, but it has proven impossible to form a consensus regarding the work's characteristics or even the date of its composition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surrounding issues. The Tangun mythology, encompassing the Gogi of the Ancient Joseon, seems to have been confirmed by examples provided by Gweon Geun(1352~1409), who wrote about Tangun's dynastic period, approaching the topic from the years of Tangun's reign. Scholars have thus used his examples, dating as the are from a relatively early period, to interpret this mythos. During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these examples took on a more dynamic aspect. Scholars criticized scrutinizing the mythology from the viewpoint of Neo-Confucianism as both absurd and mired in Buddhist doctrine. This was an entirely different approach from that Iryeon(1206~1289), a Buddhist monk who attempted to reframe the wonders about ghosts from a previous age into a more acceptable depiction, divinity, choosing to focus on the story's sacred and heroic aspects. The scholars, though, did not content themselves even with this criticism; their concerns went further, centering around the complete reorganization of the Tangun mythos going back to the beginnings of ancient histo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government-sponsored scholars distorted the results of Ancient Joseon's Gogi conducted during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to suit their own ends. Typical examples included scholars such as Shiradori Kurakichi, Imanishi Ryu, and others. Through their writings, Gogi of the Ancient Joseon article was reduced to a mere hermit tale based on Buddhist teachings written by monks. One scholarly viewpoint advocates the examination of the true nature of the Ancient Joseon article's Gogi using the Samhan-gogi and Haedong-gogi. Another calls for the study of the Gogi based on the title of the work itself, while yet another opinion involves evaluating the title's underlying Chinese character, which translates literally to "old record". Studies have been don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ts date of composition and Samguk-sa. Related to Uiju county boundary in Liao Dynasty, part of the records of Northern Buyeo article, one can also see a separate examination conducted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eleven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twelfth century into the Gogi's connection to the formation of the Goryeo dynasty. Among the historical documents circulated during the Goryeo dynasty, scholars were able to extract specific documents concerning Tangun and compile them into the data group. These were composed of the Ancient Joseon Gogi, Tangungi, Tangun-bongi, and an ancient record of an unknown title appearing in Wangryeok, along with others. Among these, the Ancient Joseon article's Gogi was confirmed to have been the standout document for a time. A mutual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Ancient Joseon article's Gogi and Wiseo, but a new explanatory approach is needed to address all of the weaknesses inherent in the numerous hypotheses and inferences regarding the nature of this material. 「고조선」조의 고기에 대해서는 적어도 3백년 이상의 연구사가 축적되어 있다. 그간에 여러검토와 비판이 이루어졌지만, 우리는 여전히 그 성격부터 성립시기에 이르기까지 합의된 의견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 그만큼 복잡다단하기 때문이다. 「고조선」조의 고기가 담고 있는 단군신화는 단군의 어국와 향국을 역년으로 접근한 권근의사례에서 확인되듯이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변증을 통해 해석되어왔다. 17~18세기에는 변증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성리학의 눈을 통해 들여다본 그 신화는 황탄하고 佛說에 둘러싸인것으로 비판되었다. 괴력난신이 일연을 통해 神異로 전환된 앞 시대의 시선과 전혀 달랐다. 그렇지만 그들은 비판에만 머물지 않았다. 그들의 관심은 단군신화를 조선 상고사의 서두에재정립하기 위한 것이었다. 일제강점기 일본인어용학자들은 17~18세기 고기의 연구성과를 고조선 부정론에 역이용했다. 그들은 「고조선」조 고기의 단군신화를 일선동화를 위해 일본건국신화 안에서 재편하거나, 佛說에 근거해서 승려가 허구로 지어낸 가공의 仙譚에 지나지 않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필원잡기』와 『연려실기술』에서 고기 또는 삼한고기를 전거로 실은 단군전승을 삼국시대의것으로 파악하는 오류를 범했다. 「고조선」조 고기에 대한 본격적인 검토는 비교적 근래에 와서야 이루어졌다. 여전히 그 실체를 삼한고기 또는 해동고기로 검토하는 시각도 있고, 단일서명으로의 『고기』로 검토하는견해도 있다. “옛 기록”이라는 자의를 존중하는 견해도 있다. 그 성립시기에 대해서도 『구삼국사』와 관련해서 검토되기도 하고, 「북부여」조 고기에서 분주된 “大遼 醫州界”와 관련하여 11 세기 후반부터 12세기 전반 등이 있는데, 이 글에서는 고려 건국 전후에 성립되었을 것으로추론했다. 고려시대에 유통되었던 고기류의 자료에는 단군 고기류로 묶을 수 있는 5~6종의 자료군이있었다. 그중에서 「고조선」조의 고기가 시기적으로 가장 앞선 자료였다. 「고조선」조에서 고기는 『위서』와 보합의 관계에 있다. 그렇지만 그 성격에 대해서는 향후 정치한 논리와 새로운자료의 발굴을 통해 본격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대형고기바구니 연구와 보존처리

        장윤정,김진옥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18 해양문화재 Vol.11 No.-

        바구니는 물건을 담고 운반하는 도구로서 짚, 풀, 나무 등의 재료로 결어 만들어진다. 육지와 해안가에서 모두 사용되며, 사용 목적에 따라 형태와 크기가 달라진다. 그 중 대형고기바구니는 대나무로 제작된 항아리 모양의 바구니이다. 과거에 바다에서 잡은 고기를 운반하거나 바닷물에 임시로 보관할 때 사용했으며, 특히 부산과 통영에서 장어를 보관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었다. 대형고기바구니는 대나무로 만들어지며, ①재료손질 ②밑바닥 짜기 ③옆면 짜기 ④입구 감기 ⑤힘대 넣고 마무리하는 순서로 제작된다. 얇은 대나무가 촘촘히 엮어 만들어졌기 때문에 대나무 사이사이로 바닷물이 순환된다. 이는 물고기가 보관될 수 있는 환경을 자연스럽게 조성해준다. 그래서 고기바구니에 보관된 고기는 다른 고기보다 건강하고 싱싱하게 보관될 수 있다. 그리고 자연재료인 대나무로 제작되기 때문에 수명을 다 하고도 자연으로 되돌아가 바다를 오염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플라스틱 수족관과 플라스틱 통발 등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대형고기바구니의 수요는 감소했고, 현재는 박물관 에서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최근 국립해양박물관에서는 한 점의 대형고기바구니를 보존처리 하였다. 바구니는 먼지와 이물질로 오염되고, 염분에 의해 손상을 입었으며, 바구니의 금속끈은 부식된 상태였다. 건식 및 습식세척 등의 과정을 거쳐 보존처리하고 적절한 온습도가 유지되는 환경에 보관하였다. 자연의 섭리와 조상들의 지혜로 제작된 고기바구니는 충분히 전승되고 기록될 가치가 있다. 이 연구가 토대가 되어 남아있는 대형고기바구니가 잘 보전되고 연구되길 희망한다.

      • KCI등재

        일기류 자료를 통해 본 조선시대 자연재해와 고기후의 복원 방안

        오용원 영남퇴계학연구원 2017 퇴계학논집 Vol.- No.21

        For centuries, our country experienced various forms of natural disaster, even today with high-tech and equipment, the new reality is that various disaster by natural environment must overcome. Weather information regarding closely natual disaster is accumulating from around 1900 consisting of modern weather observation in earnest, but it haven’t been nearly accumulated data regarding before weather information, namely paleoclimate. In Japan, China so on around Korea, They already set up an related institution from long time ago and are progressing for using base line data for future change of the natual environment. With this reality in mind, this article is attempted study as advanced research for performing big tasks called ‘restoration of Korea paleoclimate’. As data that extracting weather element of paleoclimate, or seeing natural disaster, for example there are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조선왕조실록]’, ‘Seungjeongwon diary[승정원일기]’, ‘Gamyeoung diary[감영일기]’, ‘pensonal diary[개인일기]’ and so on. In this article, we saw what if there is natural disaster of various weather elements regarding paleoclimate in spirit of this text the private life diary recorded by Yeongnam area, and we analyzed about how this natural disaster affects people life. Because diary data is date that person record and when they record weather information with expressive acting style and writing, those are different, so it is limited that can not be secured objectivity and accuracy. Analzed result by diary data, earthquake has already happened in Yeongnam area from 16C~19C frequently, especially it has mainly happened from Oct ~ Mar. And we can see that price rose steeply by more drought and there were losses of life because an epidemic breaks out. Sandy dust phenomenon also lead to bad year from spring to summer In conclusion, We tried Virtual Address of set, mapping activities, analyzing method of weather surrounding elements and modern application 지난 수세기 동안 우리나라는 다양한 형태의 자연재해를 경험했고, 첨단 과학과 장비를 갖추고 있는 오늘날에도 자연환경에 의해 발생하는 각종 재해를 극복해야 하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자연재해와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는 기상 관련 정보는 근대 기상관측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1900년 전후로부터 일부 축적하고 있지만, 그 이전의 기상 정보 즉 고기후 관련 자료는 거의 정리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반면에 일본, 중국 등 한반도 주변 국가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국가 차원에서 관련 기관을 설립하여 미래 자연환경 변화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고기후의 복원과 연구를 이미 진행하고 있다. 이런 현실을 감안하여, 본고는 향후 ‘한반도 고기후의 복원’이라는 큰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선행연구의 일환으로 시도한 연구이다. 고기후(古氣候)의 기상요소를 추출하거나 자연재해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 ‘조선왕조실록’, ‘각사등록’, ‘승정원일기’, ‘감영일기’, ‘개인일기’ 등이 있다. 본고에서는 영남지역에서 기록된 개인 생활일기를 연구의 주 텍스트로 삼아 고기후 관련 다양한 기상요소 중에 어떤 자연재해가 있는지 살펴보았고, 이런 자연재해가 백성들의 일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해보았다. 일기 자료는 개인이 기록한 자료이기 때문에 기록자마다 기상정보에 대한 표현방법과 문체가 각각 다르다. 그래서 그 객관성과 정확성을 담보할 수 없는 한계가 있지만, 현재 남아 있는 문헌 가운데 고기후를 복원하는데 가장 유익한 자료가 될 수 있다. 일기류 자료를 통해 분석해본 결과, 이미 16C부터 19C까지 영남지역에 지진이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특히 시기적으로 10월부터 3월까지 집중적으로 발생한 특수성도 있었다. 그리고 잦은 가뭄으로 인해 물가가 급등하고 전염병이 창궐하여 많은 인명피해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황사현상 역시 봄부터 여름까지 발생하여 흉년을 초래하는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끝으로 일기류 자료를 통해 고기후 복원을 위해 가상주소[Virtual Address]의 설정과 맵핑[mapping] 작업, 기상 주변요소의 분석 방법과 현대적 활용 방안 등을 제시해보았다.

      • KCI등재

        요한복음의 기독론적 칭호와 예수의 신적 정체성

        유은걸(Lyu, Eun-Geol) 한국신약학회 2020 신약논단 Vol.27 No.4

        본고는 요한복음의 기독론적 칭호와 고기독론의 관계를 분석한다. 요한계 기독교는 주변 세계와 상호작용 가운데 독특한 신학-예수의 신적 정체성-을 전개하였다. 이 고기독론은 부분적으로 기독론적 칭호 자체에서 유래하지만, 사실은 이미 요한이 갖고 있던 사상을 칭호들을 통해서 정당화하고자 한 부분이 더 크다. 예컨대 ‘주님’ 칭호는 그 자체로 고기독론을 드러내지 않지만, 요한복음의 플롯을 통해 가장 적절한 기독론으로 거듭난다. ‘하나님의 아들’이나 ‘주님’ 칭호가 좀 더 적극적으로 고기독론을 만족시킨다면, ‘메시아’ 칭호 등은 그리스도인들의 오해를 드러내는 문학적 장치다. 아울러 각 칭호들은 독립적으로 발전한 것이 아니라, 서로 영향을 주며 성장한 것으로 이해된다. 기존의 칭호로는 충분히 고기독론을 전개할 수 없었던 요한 기자는 이를 신학적으로 재해석하여 예수를 신으로 부각시킨다. 저기독론으로 외부 세계의 공격에 대응하고 예수 이야기를 전개하여 고기독론을 전하기 위해서 부심하였다. 이런 주석적 결과를 토대로, 요한계 기독교의 신학은 여전히 유일신 사상으로 판정할 수 있다.

      • KCI등재

        古記에 보이는 聖顯의 구축 양상

        김승호 열상고전연구회 2015 열상고전연구 Vol.48 No.-

        초기 서사물 가운데서도 『古記』는 특히 聖顯의 구축에 남다른 모습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것이다. 그에 수록된 예화들은 대체로 불경과 신화의 특성을 구비하고 있어 종교서사, 신화에서 발견되는 담론적 특성을 확인해볼 수 있는 것이다. 이 점에서 『고기』의 聖顯 구축 양상을 공간과 시간의 측면에서 구체화하는 것이 본고의 지향점이다. 『고기』에서는 하늘 숭배의 상징적 대상으로 桓因을 지목하며 거듭 그를 등장시키고 있다. 이는 전래의 天觀念에 변화가 일고 있다는 사실과 함께 神聖性을 확보하는데 있어 桓因이 그만큼 적절한 신격으로 수용했음을 말해준다. 공간적 측면에서 『古記』는 天竺과 신라의 관계성 위에서 서사를 구성한다. 즉 天竺은 불교적 神聖性이 이미 확보된 이상적 공간으로 형상화된 반면 신라는 불법이 아직 전해지지 않은 무명에 덮인 곳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불보살의 도움에 의해 天竺의 神聖性이 신라로 이식되는 단계를 맞게 되고 결국 天竺과 더불어 성스러움을 공유하는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시간을 중심으로 『古記』의 聖顯양상을 보면 세속시간을 가능한 벗어나 원초적이고 신화적인 시간 위에서 서사를 진행한다는 특징을 보인다. 중국보다 앞서 불교를 수용했음을 표방하는 것은 물론 이 땅의 곳곳을 前佛時代의 절터, 불보살의 강림처로 확증하는 데 거리낌이 없다. 역사시간을 벗어나 신화시간으로 신라불교사를 편입시키는 것이야말로 성스러움을 증폭시키는 데 유효하다는 인식이 작용한 결과이다. 『古記』는 원시불교 시대 혹은 신화시대의 산물과 무관하지만 불교적 神聖性을 이야기 속에 끊임없이 주입하려했던 서사물로 규정할 수 있다. 『三國遺事』를 신이서사의 출발지점으로 인정하고 있는 터이지만 기실 『고기』가 聖顯的 역사 구축의 앞선 사례라 할 것이다. Religious narrative tends to be aimed at promoting piety, based on the ritual of worship toward gods. People hold ritual for god or the divine and revive the holiness of their existence through the sacred stories. Few materials concentrate on the construction of saints as <古記> among early narratives. mythological discourse. Although it is not certain which of them, Buddhist scriptures or mythologies, influenced it more, the illustrations included in it confirm that it pursues sacred narratives as much as religious narratives or mythological discourse. This article aims to embody the building of saints from the perspective of space and time. From the spatial perspective, <Gogi> makes up the narrative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Cheonchuk and Silla. That is to say, while Cheonchuk was embodied as ideal space which established Buddhist sacredness, Silla was perceived as the place covered with ignorance, where Buddhist teachings were not transmitted. However, thanks to the help of Buddha and Bosatsu, the sacredness of Cheonchuk was transplanted to Silla, and in turn transformed into a space sharing deity with Cheonchuk. The sacred spectrum of <Gogi> displays the feature of running narratives on the primitive and mythological time out of the worldly time. It is unrestrained in manifesting the acceptance of Buddhism prior to China and confirming every corner of this land as the temple site and advent place of Buddha and Bosatsu. This results from the perception that the inclusion of Silla Buddhist history as mythological time is effective to enlargement of sacredness. It was revealed that <Gogi> was historical legendry which tried to inject incessantly Buddhistic sacredness in the narratives. 'Sin-i sagwan' in <Samgukyusa> in later times appeared actually in <Gogi>, and therefore it is considered related to the succession of the previous tradition of constructing sacred Buddhistic history.

      • KCI등재

        기적적인 고기잡이와 새로운 부르심

        허규(Heo, Kyu)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神學展望 Vol.- No.213

        요한 21장은 편집자에 의해 후대에 첨가된 것으로 여겨지는 것이 일반적이고 부활한 예수 그리스도의 발현에 관련된 내용을 모아놓은 부분이다. 이 본문의 중심이 되는 인물은 베드로다. 요한 21,1-14는 티베리아스 호수를 배경으로 예수의 발현과 함께 기적적인 고기잡이를 주제로 삼는다. 학자들은 이 이야기에서 다양한 주제를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발현 이야기, 기적적인 고기잡이, 식사와 성찬례적 상징, 제자들이 부활한 예수를 알아보게 되는 이야기 그리고 사랑받는 제자와 베드로의 이야기이다. 그 중에 중심이 되는 것은 예수의 발현과 기적적인 고기잡이 그리고 성찬례와 관련된 성사론적인 요소다. 요한 21,1-14는 수미상관(inclusio)의 구조 안에 제자들의 고기잡이(2-3절)와 기적적인 고기잡이(4-8절)를 대조적으로 묘사하고 그 결과와 함께 예수와 제자들의 식사를 성사론적인 상징과 함께 표현한다. 기적적인 고기잡이는 153마리의 고기가 가득 찼다는 결과로 소개된다. 숫자 153은 제마트리아 방식과 아우구스티누스의 삼각수를 통한 해석과 함께 생각해 볼 때, 성전에서 흘러나오는 물의 풍성함을 말하는 배경 안에서 엔 게디와 엔 에글람임을 지시할 수 있다(에제 47,10 참조). 이 본문과 함께 비교해 볼 수 있는 것은 루카 5,1-11이 전하는 부르심이다. 구체적인 묘사에서는 차이점도 발견되지만, 기적적인 고기잡이라는 동일한 주제를 사용하는 루카와 요한의 이야기는 기적 사화에 속하는 동일한 전승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 이 전승은 루카에서 부르심과, 요한에서 발현이라는 서로 다른 내용과 결합되었다. 하지만 요한 21,19의 부르심에 사용된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는 점을 생각한다면(ἀκολουθεω), 요한 21,1-14는 부활 후 베드로와 제자들의 사명을 나타내는 새로운 부르심으로 이해될 수 있다. Joh 21 is considered generally as a added part by redactor and gathered stories of appearance of Jesus Christ after the resurrection. In this part Peter is a major figure. The sea of Tiberias is background for Jn 21,1-14 and this story describes miraculous fishing with the appearance of Jesus as the theme. Many scholars consider to finding various themes of literature in it: An appearance story, a miraculous fishing story, a meal story with sacramental symbolism, a recognition story and Peter and a beloved disciple story. The main theme of the text may be the miraculous fishing and the sacramental symbol concerning the Eucharist. Jn 21,1-14 describes the fishing of the disciples(vv. 2-3) and the miraculous fishing(vv. 4-8) in contrast with a form of inclusion, and the meal of Jesus with the disciples. In consequence is expressed the miraculous fishing with 153 fishes. According to Gematria and Triangular Number Augustin’s, the number 153 can indicate En-gedi and En-eglaim in Eze 47,10 that refers to abundance of water flowing from the Temple. Jn 21,1-14 can be a parallel with a vocation story of Lk 5,1-11. Although a few details are different, Luke and John used the same theme of the miraculous fishing, that seem to come from the same tradition that belongs to a miracle story. This tradition is joined to the appearance story in John and to the vocation story in Luke. However, thinking the use of the same verb in Jn 21,19(ἀκολουθϵω), that is typical element of the vocation story. We can understand Jn 21,1-14 as a renewed vocation for the mission of Peter and the other disciples after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