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민과 해방; 두 "탑" 사이의 거리 -발굴 작품을 중심으로 본 오장환의 해방기 시-

        장만호 ( Man Ho Jang ) 민족어문학회 2011 어문논집 Vol.- No.64

        이 논문은 오장환의 해방기 시문학에 관한 연구이다. 해방 후 발간된 『病든 서울』을 중심으로 한 해방기 시편들과 필자가 새롭게 발굴한 월북 이후 오장환의 시를 통해 해방에서 월북에 이르는 오장환의 시적 이력과 정치적 행보 사이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필자가 찾아낸 오장환의 시 「탑」과 번역시 「튀스터-氏」, 한효의 오장환 관련 평문은 해방을 맞이한 순간부터 월북에 걸친 시기의 오장환의 시를 이해하는 데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오장환은 식민지 시기의 행적에 대한 철저한 자기반성을 일회성의 차원에서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었고 이 점에서 오장환의 자기반성은 새롭게 조명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그의 해방기 시편들은 피식민의 역사를 건너 온 한 시인의 자기반성과 머뭇거림을 당대 어느 시인보다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개아적(個我的) 진정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월북 후 오장환은 「탑」을 발표하는데 이 시는 식민지 시기 「絶頂의 노래」와 상호 참조적인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탑」을 통해 새로운 세계에 대한 희망과 다짐을 노래하였지만 북한 내에서 이 시는 봉건적이며 재래적인 시라는 비판을 받게 된다. 두 시의 대상인 ``탑``의 거리는 오장환 개인에게 있어 피식민의 억압으로부터 새로운 세상을 기약하고자 한 바람의 거리였지만, 해방기 시문학사로 보면 해방기 남과 북, 또는 정치와 시의 거리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Oh, Jang-hwan`s career as a poet and political practices from the liberation to detection to North Korea through his poems of the liberation period in ``Byeong-deun Seoul``(Diseased Seoul) published after the liberation and poems written after his detection to North Korea, newly unearthed by the author. Especially, his poem ``T`ap``(Pagoda) and translated poem ``Mister Twister`` newly unearthed and Han, Hyo`s criticism related to Oh, Jang-hwan are expected to offer new perspectives on the understanding of Oh`s poems. It seems that Oh, Jang-hwan had been thoroughly and consistently reflecting on his whereabouts in the colonial period not as a one-off thing and in this respect, we needs to shed new light on Oh`s self-reflection. His poems in the liberation period much more clearly showed self-reflection and hesitation of a poet who had passed the history of colonized nation than any other poets in that period and displayed ``individual sincerity`` based on this. After detection to North Korea, Oh wrote ``Pagoda``, which showed the cross-referential characteristics with poem ``Song of Zenith`` written in the colonial period. He expressed his hope and promise for a new world in poem ``Pagoda``, however, it was criticized as feudal and conventional in North Korea. To Oh, Jang-hwan, the distance between two ``Pagodas``, objects of poems, was the distance of his hope and promise for a new world, free from the suppression due to the colonization, but it also showed the distan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or politics and poetry in the liberation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poetic history back th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