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전(國展)의 사군자 담론

        홍지석(Hong, Ji-Suk) 인물미술사학회 2014 인물미술사학 Vol.- No.10

        이 글은 대한민국미술전람회(이하 國展)의 30년 기간(1949, 1953~1981) 중 형성된 국전 담론장에서 특히 사군자 담론에 대한 검토를 통해 국전에서 ‘사군자’가 갖는 위치와 의미, 그리고 사회문화적 의의를 파악해보려는 시도다. 다른 모든 미술 장르가 그렇겠지만 이 기간 중 서예 또는 동양화의 하위 장르로서 사군자는 질적, 양적으로 큰 변화를 겪게 된다. 이러한 변화에서 국가 주도의 관전(官展)으로서 국전의 역할이 매우 컸다. 국전의 ‘사군자’ 관련 담론과 실천은 1)‘서예’라는 전통적 장르(또는 매체)가 근대사회에서 ‘예술’로서의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 전개했던 분투와 더불어 2)글(書)/그림(畵) 또는 내용/형식의 전통적 관계(위계)가 근대적 상황 속에서 교란 또는 해체되는 양상을 헤아리는 단서가 된다. 아울러 국전의 사군자 담론은 3) 1960~1970년대의 미술을 ‘예술의 대중화’, 내지는 ‘대중교양’의 문제로 접근하는 실마리를 제공해 준다. 여기에 더해 국전의 사군자 관련 담론, 실천은 당시 ‘4) 여성미술가’의 사회적, 문화적 위치를 검토하는 작업에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The 1st National Art Exhibition of Korea in 1949 was composed of 5 sections-1)Western painting, 2)Eastern Painting, 3)Sculpture, 4)Calligraphy, 5)Craft. Among them, the Four Gracious Plants painting(四君子) belonged to the section of Calligraphy. And the integration between Calligraphy and Four Gracious Plants painting had been maintained until the abolition of National Art Exhibition of Korea in 1981. During this period, the Four Gracious Plants painting as a minor genre of Calligraphy or Eastern Painting went through a major change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Of Course, the National Art Exhibition of Korea as a cultural institution of the Nation has had a large impact on that process. If we look into a discussion of Calligraphy and Four Gracious Plants painting in National Art Exhibition of Korea, we can get following conclusions. First of all, the Calligraphy could maintain it’s own status as a modern art by embracing the Four Gracious Plants painting. That is to say. by embracing the Four Gracious Plants painting, the Calligraphy could be a writing(書) as well as painting(畵). However, calligraphers had set a low value on the Four Gracious Plants painting because they wanted to stay in the domain of writing. Second, Calligraphy and Four Gracious Plants painting was a means for ‘popularization of art’ or ‘mass culture’ in that period. In 1960’s~1970’s, the nation and the capital wanted to have a means to control the mind of citizens for protecting the regime stably. In addition, patriarchal society had tried to control the minds of women by encouraging Calligraphy and Four Gracious Plants as a good means for self-discipline of women. On the other hand, however, this trial had inspired women’s ontological question and promoted the appearance of women artist even if it’s only in a small way.

      • KCI등재

        국전 Pb-Zn 스카른 광상의 산출상태

        양창문 ( Chang Moon Yang ),최진범 ( Jin Beom Choi ) 한국광물학회 2010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23 No.4

        국전 연-아연 광상은 백악기 말 유천층군의 정각산층 내에 협재된 석회암이 불국사 관입암류인 흑운모화강암에 의해 교대작용을 받아 형성된 스카른 광상이다. 정각산층은 주로 응회질 셰일로 구성되며 사암, 안산암질 응회암, 석회질암, 역암이 협재된다. 암색에 따라 하부, 중부, 상부로 나뉘며 석회질암은 하부에서 6∼8 m의 층후를 가지고 약 500 m 정도 연장을 보인다. 국전광상은 과거 갱내 채굴이 이루어진 죽갱 광체와 광산의 동쪽에 위치한 동부 광체로 구분된다. 주요 광석광물은 섬아연석과 방연석이며 황동석, 유비철석, 황철석, 자류철석 등이 수반되며, 스카른 광물로는 단사휘석과 석류석이 주로 산출되며 양기석, 녹니석, 엑시나이트, 방해석, 석영 등이 수반된다. 죽갱 광체의 경우 부광대를 이루는 중심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대칭적으로 대상 분포하는 특징을 보여주는데, 중심부로부터 단사휘석(헤덴버자이트)대, 단사휘석-석류석(그로슐라)대, 석류석(안드라다이트)대, 호온펠스 변질대 순으로 분포한다. 단사휘석은 부광대에서 멀어질수록 Fe2+의 함량이 증가한다. 섬아연석은 부광대인 중심부를 포함하여 모든 대에서 산출되며 단사휘석과 마찬가지로 부광대에서 멀어질수록 섬아연석의 Fe2+ 함량이 증가한다. 이는 국전광상의 배태에는 단사휘석과 섬아연석의 공생이 밀접히 관련되어 있음을 지시한다. 따라서, 국전광상의 산출상태는 황철석의 함량이 비교적 적으며 품위가 높은 섬아연석이 단사휘석과 수반되어 부광대를 이루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Gukjeon Pb-Zn mine was recognized as skarn deposits which replaced the limestone layer of the Jeongkansan Formation by intrusion of biotite granite in late Cretaceous. The Jeongkansan Formation is mainly composed of tuffaceous shale, and interlayers of sandstone, andesitic tuff, limestone, and conglomerate. The limestone layer is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Jeongkansan Formation with 6∼8 m in thickness and about 500 m in length. The Gukjeon deposits are divided into the Jukgang ore bodies once mined underground and the eastern ore bodies. Main ores are sphalerite and galena, in association with small amounts of chalcopyrite, arsenopyrite, pyrite, and pyrrhotite, etc. Skarns mainly consist of clinopyroxenes and Ca-garnets, associated with actinolite, chlorite, axinite, and calcite, etc. The Jukgang ore bodies show symmetrical distribution of zoning outward, representing clinopyroxene (hedenbergite) zone, clinopyroxene-garnet (grossular) zone, garnet (andradite) zone, and alteration zone of hornfels. Fe2+ contents in clinopyroxenes increase with decreasing sphalerite grade. Sphalerite ores are found in all zones and Fe2+ contents in sphalerite increase in the same way as those in clinopyroxenes, implying that clinopyroxene and sphalerite are closely related each other. It is concluded that the Gukjeon ores occurred in the ore rich zone of high grade sphalerite with less pyrite in assoication with clinopyroxene.

      • KCI등재

        조선시대 國典의 贓律에 관한 연구

        김대홍 한국법사학회 2023 法史學硏究 Vol.68 No.-

        본 논문은 조선시대 國典에 형법 사항으로 규정되었던 贓律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해당 조문들은 물론 受敎의 贓律 관련 조문, 조선왕조실록 및 《승정원일기》, 《비변사등록》, 《일성록》 등에 수록된 관련 기사, 《秋官志》와 《三典類抄》 등의 법서를 참고하여 국전에 규정된 贓律의 체계와 그 의의에 대한 답을 구해보았다. 국전에서 贓律이라는 불명확한 용어를 법문에 사용한 것은 수령의 국고나 징세와 관련한 횡령ㆍ배임 행위의 처벌 역시 결국은 착복한 贓數에 따라 형량이 결정되는 구조였기 때문이다. 또한 《大明律》의 특정 조문을 적시하지 않고 贓律이라고 규정함으로써 사안의 경중에 따른 적정한 형량의 선택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이유에 따라 贓律이라는 용어를 법문에 사용하였지만, 贓律이 가지는 불명확성으로 인해 국전 입법 당시 贓律에 대한 이해와는 별개로 이후 실제 법집행 과정에서의 혼란 역시 불가피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jangryul’, which was defined as a criminal law matter in the Joseon Dynasty’s National Code. To understand the framework and significance of ‘jangryul’ stipulated in the National Code, I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articles related to ‘jangryul’ in the King’s Decrees as well as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Seungjeongwonilgi》, 《Bibeonsadeungrok》, and 《Ilseongrok》, and criminal law books such as 《Chugwanji》 and 《Samjeonyucho》. The rather ambiguous term ‘jangryul’ was used in the legal text of the National Code because the penalties for embezzlement and breach of trust concerning the national treasury or local tax collection by officials was ultimately determined based on the amount of illicit goods involved. In addition, by not specifying a specific provision of the Great Ming Code but stipulating it as ‘jangryul’, it was easy to select an appropriate sentence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case. However, due to the uncertainty of ‘jangryul’, confusion was inevitable in the actual law enforcement process, apart from the understanding of ‘jangryul’ at the time of the National Code legislation.

      • KCI등재

        1970년대 국전의 인물화 - 동양화 구상부 입상작 중심으로 -

        송희경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1 민족문화논총 Vol.48 No.-

        The 1970s were characterized by the predominance of a Korean-style democracy with its focus on national prosperity. Founded in 1949, the National Exhibition of Korean Fine Art prevailed as a powerful institution that, until its final show in 1981, wielded enormous influence over the art world. In particular, in relation to Gukhak brought forth to overcome the colonial historical perspectives that were entrenched since the Japanese occupation, the 1970s were characterized by a high regard for the traditions of Jingyeong Sansui painting, and the coinciding realization of its replicas called Sagyeong Sansui painting. However, despite being tarnished by an organization with feudalist characteristics and prizes that were awarded unfairly, the selected Oriental painting portraits were valued as having consistently sought more progressive means of realization, rather than turning their backs on demands of the time and tradition. Despite criticism of some tendencies to merely copy tradition, the portraits selected for the National Exhibition of Korean Fine Art in the 1970s began to achieve their own characteristic style of painting, different from the Sagyeong Sansui painting which had surfaced as one of the main genres. Above all, greater consideration is needed for the self-consciousness of these portrait painters who attempted to develop a contemporary mode of Korean painting among the traditional genres which were at that time on the brink of collapse. 1970년대는 민족중흥을 목적으로 한 한국적 민주주의가 사회전반에 확산된 시기였다. 정권의 정당성을 표명하기 위한 유신체제의 이데올로기는 국가 건설과 평화적 조국통일을 최종 목적으로 삼았고, 국민 단합과 경제 발전을 목표로 추진된 각종 사업은 미술계에도 적용되었다. 1949년 창설된 <대한민국미술전람회>는 1981년 폐지될 때까지 국가가 주도한 관전답게 미술계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 권력제도로 군림했다. 특히 1960~1970년대 국전은 일제강점기의 식민사관을 극복하기 위해 대두된 국학에 힘입어, 진경산수화 전통을 맹목적으로 상속한 사경산수화를 여전히 양산했다. 그러나 국전의 봉건적 성격과 편파적 수상에도 불구하고 동양화 구상부에 입상한 인물화 작가들은 전통과 시대의 변화를 외면하지 않은 채 보다 진전된 작업방식을 모색했다. 그들은 동양의 전통 화법을 재현했고, 일제강점기의 현상인 동양적 모더니즘과 향토색을 활용했다. 또한 건설적 노동과 성실한 생활의 상징인 서민근로자, 한국 고유문화를 전수하는 명인과 예인, 고전적 이미지의 여성상 등을 시각화하여 전통의 계승과 시대적 신화법의 창안을 동시에 성취했다. 따라서 이 글에서 논의한 인물화는 ‘전통장르의 위기’라는 비평계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참신한 화법을 탐구한 1970년대 국전의 성과물이자 업적이다. 좌초 위기의 전통회화 가운데 현대한국화로의 변모를 모색한 인물화가 재평가되어야 할 시점이다.

      • KCI등재

        밀양 국전광산의 녹-청색 구리-아연 수화황산염 광물

        구효진,장정규,도진영,정기영,조현구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8 자원환경지질 Vol.51 No.6

        경남 밀양시에 소재한 납-아연 스카른 광상인 국전광산의 갱내 벽면을 따라 지하수로부터 침전된 청-녹색의 광물들이 암반을 피복하고 있는데, 이 광물들은 과거 문헌에서 남동석과 공작석으로 기재되어 왔으나, 최근 연구를 통해 녹색의 광물은 데빌린(devilline), 청색의 광물은 수화구리아연황산염 광물들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자세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한 동정이나 광물학적 특성은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청-녹색 이차 광물들을 외형적 특징에 따라 5개 그룹으로 구분하고, X-선회절분석와 주사전자현미분석을 실시하여 정확한 광물 동정과 광물학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GJG-1은 밝은 청록색을 띠는 그룹으로 브로칸타이트(brochantite)와 석영, GJG-2는 연두색을 띠며 쉽게부스러지는 특징을 가지는 그룹으로 슐럼버가이트(schulenbergite)와 소량의 석고(gypsum)로 확인되었다. 연한 청색의GJG-3와 유리광택을 가지는 청록색의 GJG-4는 외형적 특징은 달랐지만 구성 광물은 서피어라이트(serpierite)와 석고로 동일하고, 석고의 함량이 달라 특징이 다르게 나타난다. GJG-5는 연한 청색과 진한 청색의 광물들이 혼합된 겔(gel)상으로 하이드로우드워다이트(hydrowoodwardite), 글로코세리나이트(glaucocerinite), 베체러라이트(bechererite), 서피어라이트와 석고로 구성된다. 국전광산에서 산출되는 6가지의 녹-청색 광물들은 Cu:Zn 비, (Si+Al) 함량 및 Si:Al 비, Ca 함량 등에 의해 구분될 수 있으며, 각 광물들의 형성 환경은 주변 유체 내에서 이와 같은 지화학적 요인들에의하여 조절된 것으로 사료되고,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정확한 형성 환경을 밝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서피어라이트, 글로코세리나이트, 베체러라이트 등의 수화황산염 광물들은 국내에서 최초로 보고되며, 해외에서도 보고된 사례가 매우 적어 광물학적으로 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우리나라 최초의 브라이언영가이트 산출에 대한 보고

        조현구,구효진 대한지질학회 2022 지질학회지 Vol.58 No.2

        함수아연탄산염광물인 브라이언영가이트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국전광산에서 발견하여, 이 광물의 산출상태, 광물학적-지화학적 특성과 생성 환경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국전광산의 브라이언영가이트는 석고와 베체레라이트를 밀접하게 수반하며, 미립의 판상-도변상 입자들이 구과상-장미꽃 모양의 집합체를 형성한다. X선회절분석 결과에 의하면, 이 광물은 β 값이 거의 90도인 단사정계에 속한다. 열분석에 의하면, 흡착수의 탈수작용, 탈수산화반응, 탄산염의 분해 반응, 황산염의 분해 반응 등에 의한 6단계의 중량 감소가 순차적으로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광물 내에 존재하는 Zn, CO3, SO4, (OH)- 에 의한 라만 밴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광물의 화학식은 Zn3.5(CO3, SO4)2.7(OH)4로 표현할 수 있다. 국전광산의 브라이언영가이트는 섬아연석이 지표에 노출된후 탄산기를 포함하는 물과 반응하여 이차적으로 생성된 것으로 추론된다. 국내의 휴·폐광 중인 아연 광산에 대한 정밀한 조사를 통하여 이 광물의 추가적인 산출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e mineral brianyoungite, a hydroxyl Zn carbonate, was found for the first time in the Gukjeon mine, and its occurrence, mineralogical-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environment were studied. The brianyoungite forms spherulitic-rosette aggregate composed of platy-to-bladed particles and is closely accompanied by gypsum and bechererite. The X-ray diffraction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brianyoungite in Gukjeon mine is monoclinic with beta very close to 90°. Thermal analysis showed the 6 stage of weight loss due to the dehydration, dehydroxylation, carbonate decomposition and sulfate decomposition. The mineral shows characteristic Raman bands due to Zn, CO3 2-, SO4 2- and (OH)-. The empirical formula is Zn3.5(CO3, SO4)2.7(OH)4. The brianyoungite in the Gukjeon mine might be secondary mineral formed by the reaction of sphalerite with CO3-containing water on the surface. Additional report of brianyoungite are expected after further research on closed or abandoned domestic Zn mines.

      • KCI등재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출품작을 통해서 본 1960년대 한국사진의 모더니즘과 주관적 사진의 수용

        유지의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20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39 No.-

        Until the early 1980s, art photography activities in Korea have been centered on photography groups and photography competitions. Among them, the photography section of the National Art Exhibition, which started from the 13th in 1964, existed as the most prestigious competition for art photographers in the 1960s and 1970s. Nonetheless, the National Art Exhibition has rarely been the subject of attention in the devaluation of photography competitions and the discourse on photography history focused on realism. However, various photographic styles were competing in the National Art Exhibition. This article considers the distribution of the entries in the Natioanl Art Exhibition as a indicator of the topography of Korean art photography in the 1960s, and focuses particularly on the modernist works, which shows the abstraction or patternization of images or the photographic experiments such as reduction of tone-values to black and white, montages, negative prints, line-tone process, blurred images of movement using time-exposure. The tendency corresponds with ‘Subjective Photography’, the 1950s international modernist photography movement which started in Germany. Subjective photography paid attention to the photographic experiments of the 1920’s avant-garde artists such as László Moholy-Nagy, Herbert Bayer and Man Ray, which was discontinued during the Nazi regime and the World War II, and aimed at “humanised and individualised photography” contrast to applied and documentary photography based on the objective representation. It opposed to the conception limiting the properties of photographic medium to objectivity and realism, pursuing the aesthetic autonomy in photography through practicing the various experiments of photographic techniques. This article examines the reception of subjective photography in the korean modernist photography. Subjective photography, introduced to Korean photographers via Japan in the late 1950’s, provided the formal and theoretical basis for the 1960’s korean modernist photography as opposed to the realist photography, which insisted strictly ‘straight’ photography based on the conception of realism as the essence of photography. 1980년대 초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예술사진 활동은 사진단체와 공모전 제도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그중에서도 1964년 제13회부터 시작된 《대한민국미술전람회》의 사진부문은 1960~1970년대 한국사진에서 신인 사진가들의 가장 권위 있는 등용문으로서 존재했다. 그동안 국전은 공모전이라는 제도 자체에 대한 가치절하와 리얼리즘 위주의 담론 속에서 거의 주목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그러나 1960년대 국전의 출품작에서는 당대에 존재하던 다양한 사진들이 경쟁하고 있었다. 본고는 이러한 국전 출품작의 분포를 1960년대 한국 예술사진의 지형을 보여주는 공식적인 지표로서 파악하고, 그 속에서 한국사진의 한 축을 이루었던 ‘조형적’ 경향 이라 불렸던 모더니즘 계열의 작품에 주목한다. 특히 이들 작품 중에는 당대 미술에서의 추상의 경향과 연동하는 화면의 추상화 및 패턴화를 비롯해, 흔들린 화면이나 장노출에 의한 운동감, 시간성의 표현, 중간톤의 생략과 강한 흑백의 대비에 의한 구성, 몽타주, 네거티브/포지티브의 전도, 라인톤프로세스 등과 같은 실험적인 경향이 나타난다. 이러한 형식적 경향은 바로 1940년대 말 독일에서 시작되어 1950년대 유럽 예술사진의 주요한 흐름이 된 ‘주관적 사진(Subjektive Fotografie)’에서 부각된 형식적 특징과 일치한다. 주관적 사진은 모홀리 나기, 헤르베르트 바이어, 만 레이 등 1920년대 아방가르드의 사진적 실험을 전후에 다시 주목하면서, 사진의 기계적 기록성과 객관성에 기대어 대상의 사실적인 묘사에 치중해온 응용사진 및 다큐멘터리 사진의 대안으로 사진가의 주관성, 창조성의 표현을 지향했다. 특히 사진매체의 속성을 객관적 재현으로 한정하는 것에 반대하면서, 사진매체의 다양한 기법적 실험을 통해 사진 이미지의 자율성을 추구했다. 한국 사진계에는 일본을 통해 1950년대 후반에 소개되었고, 1960년대에 부상하는 모더니즘 사진에 있어 단순히 형식이나 스타일 차원의 수용에 그치지 않고, 담론적으로도 중요한 배경을 형성하고 있었다. 특히 기록성만을 사진의 본질로 삼았던 당시 리얼리즘 사진에 대한 대항 담론으로서의 핵심적인 논리를 제공했다.

      • KCI등재

        남계 이규선(南溪 李奎鮮, 1938~2014)의 회화

        송희경 ( Song Hee-kyu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84 No.-

        남계 이규선(南溪 李奎鮮, 1938~2014)은 한국화 분야에서 독자적인 추상 회화를 창작한 화가다. 그는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학부 시절에 유화를 그리고 국전 서양화부와 동양화부에 모두 출품하는 등, 동양화와 서양화를 가리지 않고 학습하였다. 그러나 1970년 19회 국전부터 동양화부 비구상 부문에만 참여하면서 본격적으로 추상성을 모색하였다. 이 시기 출품작의 특징은 직선의 교차로 생긴 기하학적 면 분할, 두터운 채색과 호분의 사용, 스프레이 기법을 활용한 얼룩의 고안이다. 이렇듯 회장미술에서는 추상 회화로 두각을 나타냈지만, 상업용 그림으로는 소품의 아동 인물화를 다작하기도 하였다. 이규선은 1970년 중, 후반부터 검정색을 위주로 한 화면에 일부 원색을 가미하였고, 부드러운 곡선으로 면의 분할을 시도하였다. 1990년대에는 단순한 흑백의 평면 추상에 더욱 집중하며, 검정색의 붓질이 지나간 자리에서 엿보이는 미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2000년대부터 시작된 <시창청공>, <서창청공> 시리즈에서는 실내 창호지 문을 열어 외부 풍경을 바라보는 연출을 시도하였다. 이렇듯 이규선은 전통 회화의 개념, 이론, 서사보다도 사물이나 상황에서 떠오르는 기분이나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현대 회화로서의 추상성, 동양 회화로서의 수묵과 자연의 모티브, 한국 회화로서의 원색을 조합하여, 이규선 만의 현대성, 동양성, 한국성의 기호를 창출한 것이다. 이것이 이규선이 추구한 추상 회화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Lee Gyu Sun(李奎鮮, 1938~2014), also known for his art name Namgye(南溪), was a painter who created his own distinctive style of abstract paintings in Korean painting. During his undergraduate degree in painting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Fine Arts, he first studied oil painting. He then studied both oriental and western paintings, submitting his works of oriental and western paintings to the relevant departments of the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However, since the 19th National Art Exhibition in 1970, participating in the Nonrepresentalism Category of the Department of Oriental Painting only, he began to pursue abstractness in earnest. The entries during this period are known for the features like the geometric area division created by the intersection of straight lines, the use of thick coloring and whitewash, and the design of stains using the spray technique. As such, he stood out for abstract paintings in venue art, but for commercial paintings, he prolifically drew small-sized portraits of children. From the mid-and late 1970s, he added some primary colors to the black base screen and attempted to divide faces with a smooth curve. In the 1990s, he focused more on flat abstraction in black and white, showing a delicate difference derived from traces of black ink brush strokes. In the series of Sichang Cheonggong and Seochang Cheonggong, which began in the 2000s, he attempted an arrangement of the scenery between the opening windows made of Korean traditional paper. Hence, he attempted to express the feelings and inspirations that arise from objects or situations as images rather than focus on the concepts, theories, and narratives of traditional painting. By choosing abstraction in the sense of contemporary painting, ink and nature motifs in that of oriental painting, and primary colors in that of Korean painting, Lee Gyu Sun's unique signs of modernity, orientality, and Koreanness were created. This can be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 of abstract painting by Gyu Sun Lee.

      • KCI등재

        20세기 한국 서예의 경향 연구

        임창웅(Lim Chang-oung) 한국서예학회 2005 서예학연구 Vol.6 No.-

        본 고는 20세기 한국서예의 경향에 대해 연구한 것으로, 그 자체에 대한 연구만으로는 그 특색을 바로보기가 어렵다 판단되어, 동양의 서예 강국인 중국과 일본의 20세기 서예흐름과의 비교를 통하여 본 모습을 드러내는 방법으로 기술되었다. 이 시기는 세계의 열강의 패권다툼과 일제의 침략과 해방, 그리고 이념의 갈등 등으로 인해 한 중 양국 모두 매우 참담했던 시절이었으며, 침략국인 일본 또한 2차 세계대전의 패망으로 그리 좋은 모양새는 아니었다. 이런 흐름들을 극복하면서 서예문화 또한 나라마다 다른 특색을 가지고 펼쳐졌으며, 이 다름을 보며 우리가 무엇이 부족하였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서예는 어떤 이즘을 가지고 변화했다기 보다는 일제시대부터 있었던 국전의 행태만을 유지하며, 오직 그 길만이 서예가로 가는 통로의 역할을 하였고, 그러기에 본질과 서예미학에 대한 담론보다는 선생의 글씨를 배워 국전을 졸업하는 것이 지상명제처럼 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결과 스승과 꼭 빼 닮은 글씨들만 양산하기에 이르렀고, 이는 결국 세계 서예의 흐름에서 한국서예의 성숙도의 정도를 알 수 있게 하였다. 지금은 여러 파트에서 한류가 대단한 흐름을 엮어가고 있다. 서예도 또한 우리만의 정신 속에 승화될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철저한 작가정신을 가지고 부단히 각자의 모습과 정신에 걸 맞는 서예세계를 찾기 위해 매진해야 하리라 본다. I am deeply aware that a study on the trend of the Korean calligraphy of the 20th century is not possible without further search and quest for the that of the Chinese and Japanese Calligraphy in the same period. In this age, because of the wars of the World Powers,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invasion, the liberation and the the ideological quarrel, Korea and China had suffered a crushing tragedy. Even in the case of Japan, she had suffered from the mere wreck of her former self. However they successfully tided over their historical difficulties. And China and Japan got their own feature in the calligraphic culture. On the other hand, I would like to take a good look at what Korea falls short of. Through the 20th century the Korean calligraphic culture not had her own idea but followed the National Art Exhibition tradition of the former Japanese imperialism. What is worse, most Korean calligraphers lost their essence and discourse to the calligraphic aesthetics. They devoted their energies for glorifying the winning a prize in the National Art Exhibition. As the result, students are the exact counterpart of their masters, their penmanship is the very image of their masters', and the Korean calligraphic culture is behindthe times and the world trends. Recently the Han-Ryu, so called, is in vogue in lots of parts. Now the Korean calligraphers should strive with the firm master-spirit and the characteristic style so that the Korean calligraphy also may get her own feature.

      • KCI우수등재

        연구논문(硏究論文) : 조선시대 형사책임능력에 관한 연구 -법전 규정과 약간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지만(부교수) ( Ji Man Cho ),김대홍(선임연구원) ( Dae Hong Kim ) 법조협회 2016 法曹 Vol.65 No.4

        이 글에서는 조선시대 형사책임능력과 관련하여 《大明律》과 《經國大典》을 비롯한 國典의 규정들을 보다 상세히 분석하고, 朝鮮王朝實錄, 《秋官志》, 《欽欽新書》등의 자료를 활용하여 형사책임능력을 조선에서 실제로 어떻게 파악하고 적용하고 있었는지를 검토해 보았다. 《大明律》에서는 형사책임무능력자에 대해서 연소자와 연로자, 장애인으로 나누어 규정하였고, 그 기준도 15세 및 70세, 10세 및 80세, 7세 및 90세, 그리고 廢疾과 篤疾로 단계별 세분화하였다. 조선시대에는 《大明律》의 조문을 기본으로 하여 율문에 해석의 여지가 있거나 불충분한 사항에 대해서는 조정에서의 논의를 거쳐 國典에 새로운 조문을 입법하는 방식으로 형사책임무능력자에 대한 처벌을 감면하여 왔다. 그러한 처벌 감면의 근거는 딱하고 가엾다는 ‘矜恤’과 지력이 부족하다는 ‘無知’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현대의 형사법제에 대입하면 전자는 형사정책에 관한 것이고, 후자는 형사책임에 관한 것이다. 형사책임무능력자의 처벌은 형사책임과 형사정책에 관한 문제가 동시에 제기될 수 있는 부분으로 소년법과 관련한 대법원 판례에 있어서도 이와 같은 전통 형사법제가 참고가 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This paper examined how the judicial officials interpreted and administered criminal liability in the Joseon dynasty by analyzing the articles and reviewing the cases. The Ming code stipulated the redemption by aged persons, youth, and those who were disabled in consideration of their misery and ignorance. It meant that criminals were punished when they committed crimes though they could distinguish what was forbidden by law. The judicial officials in the Joseon dynasty found out what was insufficient in the Ming code and made new laws in the national codes. The rule of liability that is one of the basic principles of criminal law imposes no criminal punishment without liability, which is also found in criminal justice of the Joseon dynasty. It did not only consider criminal liability of the aged persons, but also had a more detailed category for the disabl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