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전도 부인에 대한 윤리적 이해

        박한별 한국선교신학회 2023 선교신학 Vol.71 No.-

        전도 부인에 관한 연구는 교회 성장의 패러다임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즉, 전도 부인을 초기 한국 교회의 형성과 발전에 이바지한 인물로 묘사하는데 주력해 왔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관점은 전도 부인의 공헌을 교회의 확장으로 환원시킬 뿐만 아니라 이들이 후대에 남긴 또 다른 신앙의 유산을 발견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전도 부인의 정체성과 활동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먼저, 세계 기독교학의 등장으로 인해 서구 중심의 선교 역사의 이해로부터 벗어나야 할 필요성을 제기할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전도 부인을 선교사들의 조력자로 축소시키지 않고 협력자 이자 지도자, 즉 주체적인 활동 주체로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전도 부인을 교회의 형성, 성장, 그리고 발전 중심의 관점으로부터 벗어나 윤리적 관점에서 조망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주변성, 회복 탄력성, 그리고 환대의 세 가지 윤리적 개념을 통해 전도 부인의 정체성과 활동을 새롭게 이해할 것을 제안한다. 그 결과, 타인을 공감하 고, 위로하고, 돕고자 하는 사랑의 힘이 곧 전도 부인이 남긴 진정한 유산임을 깨닫게 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pose an alternative understanding of the Korean Bible Woman and their works. Based on an examination of how the study of World Christianity challenges the Western-centric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mission, I will argue that this challenge leads us to see the contributions of the Korean Bible Women as more than the formation, growth, and expansion of the church. Along with the lession from the study of World Christianity, I will provide an ethical lens to see the Korean Bible Woman as more than the catalyst for the formation, growth, and expansion of the church. By offering three ethucal concepts such as marginality, resilience, and hospitality, I will attempt to re-identify the Korean Bible Woman as a particular type of agent who exercises the power of love to empathize, comfort, care, and help others. Thus, I will conclude that the legacy of the Korean Bible Woman will be understood in a different way.

      • 전 · 의경 직무교육 만족도가 시민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앙경찰학교 전?의경 직무교육 분석을 중심으로

        곽영걸,한진태 한국자치경찰학회 2010 자치경찰연구 Vol.3 No.1

        전 · 의경제도는 육군훈련소 군사교육을 마친 장병들을 중앙경찰학교에서 교육을 시킨 후에 경찰관서에 배치시켜 경찰 보조임무를 수행시키는 제도로서 젊은이들의 ‘국방의 의무’의 한 이행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의 경제도는 일반 병영생활과는 달리 일반시민들을 상대로 공권력을 행사하는 관계로 시민들의 국가역할로서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에 육군에 서 전 · 의경으로 전환 복무된 직무교육의 과정과 그 만족도의 정도에 따라서 시민 에게 미치는 영향의 관계를 분석하고, 또 각자의 특성에 맞는 성향의 분석과 맞춤형 교육을 통해 국민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전?~의경 직무교육의 추구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 KCI등재

        신라 상고기 典의 운영과 재편

        정덕기 한국고대사학회 2018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2

        This paper discusses the implication of Silla’s administrative reform in the Upper-Ancient period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centralized administration, and demonstrates that the successful administrative operation in the earlier times was crucial to the formation of the bureaucratic department in the Middle period.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the title of ministers was not identical; it rather followed each department’s convention. Striking is that while so much is proclaimed about Tang dynasty’s influence on Silla, scant attention is paid to the unique feature in the Korean nomenclature; seldom did the Chinese government use Jǒn(典) as the name of their office, thereby showing Silla’s originality. Furthermore, this paper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of Muljanggo(物藏庫) and Mulzangjǒn(物藏典) is similar to yusa and sosa in the Early period. I also analyzed that the establishment time of Dongsijǒn was clearly before the creation of superior offices like Bu(部). Dongsijǒn, responsible for tasks of capital city and government is equivalent to the committee in modern times. The organization of Dongsijǒn is traced back to Gamjǒn, revealing the structural similarity in the departmental units with that period. Moreover, Gam office was succeeded in the substructure of higher offices in the Middle period. Bearing all the aforementioned evidences, we can draw a conclusion that the administrative reform was vital in forming the centralized bureaucracy and the earlier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exerted a tangible influence of the later government system. 본고는 신라 중앙행정제도의 발달과정에서 상고기 典의 운영·監典의 재편이 지닌 함의를 논의한 것이다. 상고기 전통적 행정운영경험은 중대 중앙행정제도의 原形으로 작용하였다. 직관 上의 典은 장관의 직함이 일률적이지 않고, 典별 조직이 다양하다. 典의 담당업무와 관청명칭은 한국어순으로 자연스럽고, 수·당까지의 중국 관제에서 관청의 말자로 典을 쓴 경우를 찾기 어렵다. 따라서 典은 신라 상고기 고유의 행정구조에서 발생한 관청이다. 이것은 物藏庫事務·物藏典의 관계 및 상고기 유사·소사의 활동으로 파악된다. 전자는 상고기 관청운영이 중고기에 재편되었음을 보여주며, 후자는 담당업무 상 직관지의 典과 관계된다. 정책집행방식·사안의 규모·유관 용례 상 상고기 유사·소사는 典의 활동으로 이해된다. 직관 上의 典 중 상고기 典의 原形에 가장 가까운 것은 監이 장관인 典, 즉 監典이다. 구체성을 기하고자 監典 중 동시전을 분석하였다. 동시전은 설치연대가 명료하고, 部 등 상급 관청의 성립 직전에 설치되었다. 동시전의 담당업무는 京都事·國事의 교집합에 해당한다. 동시전은 후대의 도감이나 현대의 위원회 같은 성격의 관청이 상설관청으로 전화된 것이다. 동시전의 조직은 감전의 조직을 변형하여 갖추어졌다. 따라서 동시전은 상고기 典과 상급 관청의 관계 및 상고기 유사·소사의 재편방식을 보여준다. 또 상고기 감전의 조직은 재편되어 상급 관청의 하부구조를 구성하였다. 아울러 감전의 재편 경험은 중대 중앙관직체계의 하부구조에도 계승되었다. 이상에서 상고기 典·監典의 운영과 재편에 대한 경험은 중대 중앙행정제도의 原形으로 작용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松溪 金振興(1621~ ?)의 篆書 淵源에 관한 소고

        김명희(Kim, Myeong-hee) 한국서예학회 2009 서예학연구 Vol.14 No.-

        松溪 金振興은 朝鮮 중기에 활동했던 서예가로, 篆書에 많은 업적을 남겼다. 그의 생애는 중인이라는 신분적 한계를 극복하고 전서의 서막을 열면서 전서 38체에대한 자형을 복원하였다. 그의 전서 학습연원은 呂爾徵의 훈육과 朱之蕃의『전결』그리고 景惟謙의『篆韻便覽』을 전거로 삼아 평생을 전서와 함께하였으며, 당시 학계의 대가였던 宋時烈․呂聖齊․金萬基 등의 적극적인 인정과 평가를 받았다.김진흥이 복원한 전서38體의 字形은 鳥篆으로부터 시작하여 上方大篆․ 龜書․穗書․奇字篆․芝英篆․碧落篆․大篆․飛白書․科斗書․金錯書․鳥跡書․古篆․柳葉篆․殳書․懸鐵書․轉宿篆․玉筯篆․倒薤篆․麟書․鐘鼎書․龍書․鵠頭書․鼎小篆․秦璽篆․古鼎書․懸針篆․鳳尾書․龍爪篆․垂雲書․刻符書․剪刀篆․小篆․垂露篆․纓絡篆․太極篆․墳書․雕蟲篆 등이다.이러한 篆書 연구의 의의와 성과는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선진유학의 복고적 신념을 근간으로 三代文字의 발현이라는 이상적 관념을 담아내었다는점. 둘째, 前代의 수천 년 동안 발전해온 전서 가운데 38체 자형을 일시에 회복하고 집대성한 최고의 작업을 이루었다는 점. 셋째, 자형의 복원에만 그치지 않고 전서의 창조적 미의식과 효용성을 篆大學과 東銘篆帖․禮部韻玉篇篆書․篆海心鏡․松溪各體篆帖 등 각종 저서를 간행하여 당대뿐만 아니라 후대 전서연구와 유행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다.본고는 이러한 큰 성과를 이룬 김진흥의 전서 연원을 살핌과 동시에 그의 연구업적을 소개하여 서예학계의 재평가를 기대해 보고자 하였다. Songgye(松溪), Kim, Jin-heung(金振興) who worked as a calligrapher in the middle period of Chosun, left the remarkable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JeonseJeonseo(篆書). He overcame the limits of his social standing of Jungin(中人). Preluding the Jeonseo(篆書), he restored the characters for 38 styles of Jeonseo(篆書). His origin of Jeonseo(篆書) was based on the education of Yeoijing (呂爾徵), 『Jeongyeol(篆訣)』of Jujibeon(朱之蕃) and 『Jeonunpyeollam(篆韻便覽)』of (景惟謙). I can say he lived with Jeonseo(篆書) through life. In result, he received much recognition and high estimation from Song, Si-yeol (宋時烈), Yeo, Seong-je(呂聖齊), and Kim, Man-gi(金萬基),etc, who were the great scholars at that time. The characters for 38 styles of Jeonseo(篆書) that he restored started from Jojeon(鳥篆) and he restored Sangbangdajeon(上方大篆), Guiseo(龜書),Suseo(穗書),Gijajeon(奇字篆),Jiyeongjeon(芝英篆),Daejeon(大篆), Byeokrakjeon(碧落篆), Bibaekseo(飛白書), Gwaduseo(科斗書), etc. I can summarize the significance and the result from the research of Jeonseo(篆書) in three points as follows: First, he put the ideal spirit into the revelation of three types of characters on the basis of restorative faith in Confucianism(儒學). Second, he restored and compiled Jeonseo(篆書) into 38 styles at once which had been developed for several thousands of years . He completed the best work for his life in the end. Third, he didn't only restore the forms of characters, but also put the creative aesthetic sense and the utility into his works, as follows: 『Jeondaehak(篆大學)』·『Dongmyeongjeoncheop(東銘篆帖)』· 『Yebuunokpyeonjeonseo(禮部韻玉篇篆書)』·『Jeonhaesimgyeong(篆海心鏡)』· 『Songgyegak(松溪各體篆帖)』, etc. And also he published various books and greately influenced to the study and popularization of Jeonseo of the time as well as after ages. Finally, I tried to research the Kim, Jin-heung's Origin of Jeonseo. At the same time I expect the revaluation for him in the field of calligraphy through his achievements.

      • KCI등재

        典故의 解讀 문제와 고전문학교육의 방향

        조지형(Cho Ji-hyoung) 국어문학회 2015 국어문학 Vol.60 No.-

        본고는 고전문학교육에 있어서 개별 작품 안에 포함되어 있는 전고의 성격이 무엇이며 전고의 유형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전고가 고전문학 작품을 가르치는 데 교육적으로 어떠한 유의미한 가치와 가능성을 함유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전고를 해독하여 정합적인 작품 이해와 감상에 활용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향도 탐색해 보았다. 전고는 선행 텍스트의 어구를 활용하여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이미지를 선명하게 하는 수사법의 일종으로, 문학 작품의 예술적 형상화나 성취에 기여하는 수사적 장치이기도 하다. 전고의 해독은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이라는 의사소통의 원리를 기초로 해서 형성되는 의미 파악 행위이다. 고전문학교육의 과정에서는 이러한 요소가 고전문학 작품이 지니고 있는 미학적 요소가 된다는 점을 명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고전문학교육 과정에서 전고를 파악하고 이해하여 작품의 해석과 감상에 활용하는 행위는 품위 있는 언어 능력의 신장, 언어문화 정체성의 확립, 작품향유와 창작의 심미적 역량 고양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가치와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개별 작품에 사용된 전고는 그 유형에 따라 교수-학습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학습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첫째, 물명(物名) 중심의 전고는 방식으로 개별 어휘가 지니고 있는 상징성을 파악하는 데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학습자로 하여금 대상 사물이 지닌 특성을 어떻게 언어화, 기호화 하였는가 하는 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인물(人物) 중심전고는 역사적 인물과 작자가 만나게 되는 접점이 무엇인지, 역사적 인물의 모습을 통해 작자가 말하려고 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짚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전거(典據) 중심의 전고는 경사류(經史類) 문헌에서 근거한 표현을 차용하는 경우로서, 작품의 맥락을 고려하여 해당 전고가 지닌 의미의 무게중심이 어디에 놓여 있는지를 잘 간파해야 할 것이다. 넷째, 주제 중심의 전고는 작품의 구조 및 주제화에 초점을 두고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고전문학교육의 과정에서 전고를 모르면 어렵게 가르칠 수밖에 없지만, 전고를 잘 알면 쉽게 가르칠 수 있다. 고전문학의 교수-학습 과정이 지나치게 훈고의 늪에서 빠져나오기 위해서는 교사는 전고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전고 유형별 특성을 제대로 파악하여, 학습자의 수준과 위계에 맞게, 교육의 주안점을 가지고 교수-학습에 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what is a characteristic of authentic precedent included in an individual work and what is a type of authentic precedent i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nd through this, examined which meaningful value and possibility an authentic precedent contains educationally on teaching classical literature works. In addition, an authentic precedent was decoded, so a teaching-learning direction was explored to be used in conformable work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An authentic precedent is one of rhetoric to impart contents effectively and make image clear by using a word of leading text, and is also a rhetorical device contributing on artistic imagery or achievement of a literary work. Decoding of authentic precedent is a semantic understanding act based on communication principle ‘Intertextuality’. In a process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such factor becomes an aesthetic factor of classical literature work. An act using in interpretation and appreciation of a work by understanding an authentic precedent in a process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has an educationally meaningful value and possibility in three aspects such as increase of an elegant linguistic ability, establishment of linguistic culture identity, and enjoyment of a work and aesthetic capability enhancement of creation. An authentic precedent used in an individual work should place an emphasis on study as follows in a teaching-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types. First, an authentic precedent focusing on the name of a thing should place an emphasis on understanding of a symbol individual word has. The core is making learners understand how characteristics of an object are verbalized and symbolized. Second, for an authentic precedent focusing on a figure, it is important to point out what is the interface between a historical figure and a writer, and what a writer wants to say through a historical figure. Third, an authentic precedent focusing on authority is in case of borrowing expression based on the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ical records, and it should be penetrated where the centroid of meaning relevant authentic precedent has is put by considering a context of work. Fourth, for an authentic precedent focusing on a subject, teaching-learning should be reached by focusing on structure and topicalization of a work. If teachers do not know an authentic precedent in a process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they teach difficultly, but if they know an authentic precedent well, they can teach easily. To extricate from a swamp of excessive exposition of a teaching-learning process of classical literature, it is important that teachers understand characteristics by types of an authentic precedent based on a deep understanding of authentic precedent, so engage in teaching-learning with an emphasis on education to fit a level and a rank of learners.

      • KCI등재

        전자동화 행정행위 도입 후 독일 행정절차법제 논의의 전개 양상

        이재훈 한국비교공법학회 2018 공법학연구 Vol.19 No.4

        Die Entwicklung der digitalen Technologie bedingt sozialen Wadel, und die Verwaltungshadlungsmodi und die Arbeitsweise der Verwaltung könnten auch aufgrund der modernen digitaltechnologischen Entwicklung allmählich geändert werden. Im Sog der Digitalisierung ist der normative Rahmen der vollständig automatisierten Verwaltungsakte in Deutschland bemerkenswert. Der deutsche Gesetzgeber hatte die Bestimmungen über den vollständig automatisierten Erlass eines Verwaltugnsaktes in Bundesverwaltungsverfahrensgesetz, Sozialgesetzbuch X und Abgabenordnung eingefügt. In §35a VwVfG wird vorgeschrieben, dass ein vollständig automatisierter Verwaltungsakt erlassen werden kann, sofern dieser durch die Rechtsvorschrift zugelassen wird und weder ein Ermessen noch ein Beurteilungsspielraum besteht. Auf Bundesebene gibt es bisher aber keine konkrete Rechtsvorschirft, welche entsprehend §35a VwVfG ein Erlass des vollautomatisierten Verwaltungsaktes zulässt. Auf Landesebene auch ist keine solche Rechtsvorschrift beobachtbar. Auf Landesebene kann nur in Nordrhein-Westfalen die Bestimmung, die in VwVfG-NRW mit der gleichen Form von §35a VwVfG etabliert wurde, herausgefunden werden, In dieser Situation könnte derart bezweifelt werden, dass §35a VwVfG entbehrlich sein oder §35a VwVfG die Benutzung eines vollautomatisierten Verwaltungsaktes verhindern dürfte. Aber durch §35a VwVfG kann nicht nur verschiedene rechtsdogmatische Fragen des vollautomatisierten Verwaltungsaktes gelöst werden, sondern auch dessen datenschutzrechtliche Problematik, besonders in Bezug auf Art. 22 DSGVO bewältigt werden. Zudem ist die Abweichung von der Bedingung “weder ein Ermessen noch ein Beurteilungsspielraum besteht” möglich, da diese nach §1 VwVfG subsidiär ist. In diesem Kontext ist §35a VwVfG weder sinnlos noch digitalisierungsfeindlich, sodern vielmehr erforderlich. Der deutsche Rechtsrahmen der vollständig automatisierten Verwaltungsakte und die deutsche Diskussionslandschaft darüber sind bemerkens- und berücksichtigenswert, wenn derartiger Verwaltungsakt und dessen Rechtsrahmen zukünftig im koreansichen Verwaltungsverfahrensgesetz eingefürt werden sollten. ICT 기술과 알고리즘의 발전은 사회 분야 전반에 다양한 변화를 야기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행정 작용 양태 또한 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변화와 관련하여 독일의 전자동화 행정행위 관련 법제는 알고리즘과 관련한 행정작용과 관련하여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독일 입법자는 인간의 의사적 작용이 배제된 형태로 발령되는 사인에 대한 개별적․구체적 법적 규율을 연방행정절차법, 연방사회법전 제10권 및 연방조세법전에 명문으로 규정하였다. 행정절차에 대한 일반법인 연방행정절차법 제35a조는 전자동화 행정행위에 대한 일반조항적 성격을 갖고 있는 규정을 명문화하였다. 연방행정절차법 제35a조는 전자동화 설비를 통한 행정행위의 발령을 허용하고 있으며, 이에 더 나아가 전자동화 행정행위가 허용될 수 있는 조건이자 한계에 대한 규율을 담고 있다. 이에 따르면 전자동화 행정행위는 개별 법령에 의해 허용되고 재량 또는 판단 여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허용된다. 연방행정절차법 제35a조는 법령에 의해 전자동화 행정행위가 허용된다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동화 행정행위가 허용되기 위해서는 개별 법령상의 근거가 필요하다. 연방행정절차법 제35a조가 도입된 이후 연방법 차원에서는 전자동화 행정행위를 허용하는 별도의 규정을 도입한 사례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주 법 차원에서도 전자동화 행정행위를 도입하는 개별 법역 상의 법제화 작업은 발견되지 않는다. 다만 단행 주 행정절차법을 갖고 있는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경우 주 행정절차법 제35a조에 연방행정절차법 제35a조와 동일한 조항을 도입했는데, 이것이 현재 독일 주 법률 단계에서 전자동화 행정행위의 성문화가 진행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과 관련하여 전자동화 행정행위의 규범적 틀을 규정하고 있는 연방행정절차법 제35a조에 대해서 성문화 한 실익이 존재하는지, 그리고 연방행정절차법 제35a조에서 전자동화 행정행위를 허용 및 제한하는 조건들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동화 행정행위의 법제화가 지체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와 관련된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실제로 현재 행정법학계에서는 이와 관련된 논의가 진행 중이다. 연방행정절차법 제35a조에 대해 비판적인 견해는 연방행정절차법 제35a조를 통해 전자동화 행정행위를 허용할 필요가 없었으며, 전자동화 행정행위를 허용하기 위해서 별도의 법령의 근거를 요구하는 것과 재량 또는 판단 여지의 부재를 요구하는 것으로 인해 전자동화 행정행위라는 형태의 작용형식 활용도가 떨어질 수 있다고 한다. 연방행정절차법 제35a조가 담고 있는 규범적 함의를 강조하는 입장은 연방행정절차법 제35a조에 대한 비판론에 대해 재비판론을 제시한다. 인간의 의사적 작용이 없는 전자동화 행정행위의 법적 성격 규명 및 산출 내용에 대한 귀속 문제 해결이라는 관점 이외에도, 연방행정절차법 제35a조가 갖고 있는 규범적 의의는 유럽연합의 GDPR의 규정과 함께 살펴볼 때 보다 선명하게 나타난다. 이는 GDPR 제22조는 전자동화 결정과 관련한 정보주체의 권리를 규율하고 있는데, 특히 GDPR 제22조 제1항은 정보주체는 전적으로 자동화된 개인정보 처리에 기반 하여 이루어진 결정과 관련하여 이러한 결정이 자신에게 법적 영향을 미치거나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자신에게 명백한 침해를 야기하는 경우 이러한 결정에 따르지 않을 권리를 규정하고 있으며, GDPR 제22조 제2항 b호는 GDPR 제22조 제1항에서 규율하고 있는 정보주체의 권리에 대한 예외로서, 회원국의 법령이 전적으로 자동화 개인정보 처리에 기반 하여 이루어진 결정을 허용하고(GDPR 제2항 b호 전단) 그 법령이 정보주체의 권리․자유 또는 정당한 이익을 고려하기 위한 적당한 조치를 담고 있는 경우를 들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논의 이외에도 전자동화 행정행위를 활용하기 위해 규명해야 하는 논점들은 아직도 다수 존재하며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독일의 전자동화 행정행위의 법제화 및 법학적 논의들은 국내 행정절차법제에 전자동화 행정행위에 대한 규정을 도입하려는 경우 고려해야 하는 다양한 논점이 도출될 수 있다.

      • KCI등재

        번역에서 나타나는 수사학적 효과구현의 문제-시진핑 주석의 연설문을 중심으로

        이현주 한국수사학회 2023 수사학 Vol.- No.47

        ‘전고(典故)’란 경전이나 시, 고전 산문 등에서 나타나는 그 고유의 어휘 또는 어구, 짧은 문구 등을 가리키며 이를 인용하는 것을 중국에서는 ‘용전(用典)’이라고 한다. 연설문 안에서 전고는 청중의 주의를 환기시키며 청중에 대한 호소력과 설득력을 높이기 위해 전략적으로 인용하는 하나의 언어 장치다. 이에 따라 연설문을 통역하고 번역하는 과정에서 전고가 전고로서 읽히지 못한다면 연설문의 원문이 생산되는 단계에서부터 전략적으로 사용된 전고의 효과는 완전히 상실되고 만다. 시진핑 주석은 중국 국내에서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담화나 연설에서 인용한 중국의 고전을 모아 책으로 엮어 출판할 만큼 전고를 즐겨 인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시진핑 주석이 2014년 방한 시 서울대에서 진행한 30분간의 연설문 안에 담긴 전고를 분석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번역방법을 탐색하였다. 이는 연설문 생산 단계에서부터 한국인 청중을 대상으로 전략적으로 전고를 사용하여 작성된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번역문은 졸업 후 바로 필드에서 전문 통번역사로 활동하는 한국외대 통번역대학원 석사과정 학생들의 번역문을 확보하여 중국어 원문과 대조 분석하여 다양한 번역방법들을 분류하였다. 전고가 전고로서 읽히지 못한 채 축자역으로 번역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는 원문에서 전고의 출처를 언급하지 않은 데서 비롯되었다. The term “classical allusion(典故)” refers to specific words, phrases, or short passages unique to classical texts, such as scriptures, poetry, or classical prose. Within speeches, the classical allusion is employed as a linguistic device strategically utilized to invigorate the audience's attention and augment persuasive appeal. The classical allusion is strategically used from the very inception of speech composition, if these language expressions fail to be perceived as a classical allusion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and translating the speech, its intended effect will be lost. Xi Jinping is known for frequently incorporating quotations from Chinese classics in his speeches and discourses, not only within China but also overseas, to the extent that he has compiled and published a book of such quotations. Therefore, this research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cal allusion contained in President Xi Jinping's 30-minute speech deliver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during his 2014 visit to South Korea. It was observed that the classical allusions were often translated as paraphrased explanations, losing their essence as strategic quotations, mainly because the source of the quotations was not mentioned in the original speech.

      • KCI등재

        착상전 진단의 헌법적 문제

        방승주(Seung-Ju Bang) 한국헌법학회 2010 憲法學硏究 Vol.16 No.4

        착상전 진단이란 체외에서 수정된 배아를 모체에 착상시키기 전에 유전성질환 등이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유전자 진단을 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서는 유전자 진단을 허용할 수 있는 유전적 질환에 대하여 62개 항목을 규정하고 있고, 또한 그와 유사한 유전적질환의 경우라고 하는 항목으로 유전성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에 광범위하게 착상전 진단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해 놓고 있다. 그런데 착상전 진단의 방법여하에 따라서, 그리고 배아의 헌법적 지위를 어떻게 볼 것인가에 따라서 착상전 진단은 헌법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먼저 착상전 진단의 방법과 그리고 배아의 기본권주체성을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우선 배아는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생명권, 신체불훼손권, 장애로 인하여 차별을 받지 않을 권리의 기본권 주체가 될 수 있다고 본다. 특히 인간의 시작이 언제인가가 문제될 수 있는데, 인간은 수정되는 시점부터, 착상등의 조건만 갖추어진다면 장차 인간이 될 수 있는 존재이므로, 어느 시점부터 인간이라고 할 수 없고, 수정시점부터 인간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고 가장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착상 전까지는 관련되는 기본권에 대한 제한가능성이 보다 더 클 수 있다고 하겠다. 다음으로 착상전 진단의 방법과 관련하여 수정란으로부터 4-8세포기 때 전능세포의 추출의 방법으로 진단을 하는 경우에는 배아와 같은 법적 지위를 가진다고 할 수 있는 전능세포의 파괴와 폐기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헌법상 허용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다능세포의 추출을 통한 착상전 진단의 경우에는, 그 자체가 배아와 같은 속성을 가진 세포가 아니기 때문에 보다 허용될 수 있는 여지가 크겠지만, 이 경우에도 유전적 질병의 가능성이 확인되는 경우에 원 배아를 모체에 착상시키지 않고 사멸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여전히 문제는 남는다. 그러한 이유에서 착상전 진단은 헌법적으로 금지된다고 보아야 하겠지만, 유전적 질환가능성이 많은 부부의 경우 건강한 아이를 출산하고자 하는 생식의 자유와 자기결정권에 의하여 다능세포의 추출에 의한 착상전 진단은 극히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것으로 볼 여지가 있고, 독일 연방대법원도 최근에 그러한 진단을 실행한 의사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한 바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착상전 진단을 하는 목적은 유전적 질병이 의심되는 부부가 체외수정을 통해서 수정을 하여 유전적 질병의 발병가능성을 사전에 진단한 후, 그러한 가능성이 없는 수정란만을 착상시켜 건강한 아이를 출산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만일 이러한 착상전 진단을 금지하게 되면, 부모의 자기결정권이나 생식의 자유 그리고 혼인과 가족생활기본권 등이 제한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의사의 직업선택의 자유와 학문의 자유도 제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충돌할 수 있는 기본권주체들의 기본권적 법익을 헌법적으로 올바르게 형량하여야 할 것이나, 현행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시행령상 유전자 진단을 허용하는 63가지 항목의 경우는 착상전 진단의 대상이나 방법을 구분하지 않고 광범위하게 허용하고 있기 때문에, 배아의 생명권과 인간존엄권 등을 침해하여 위헌적 소지가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법에 대한 배아의 헌법소원심판청구에 대하여 배아의 기본권주체성이 없다고 하는 이유로 각하한 2010년 5월 27일의 헌법재판소판결은 배아에 대한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를 다하지 못한 위헌적 판결이라고 생각된다. Die Präimplantationsdiagnostik (im folgenden: PID) ist eine Diagnostik, mit der man die Embryonen in vitro vor deren Implantation in die Gebärmutter auf genetische Krankheit hin untersucht, und ggf. auf eine Implantation verzichtet, falls diese Untersuchung positiv ist. Dies ist zwar nach der Rechtsverordung zur Durchführung des Gesetzes über Bioethik und Sicherheit die PID in 62 Fällen zulässig und nach der neu eingeführten Nummer 63 auch dann erlaubt wenn eine nicht genannte genetische Krankheit einem dieser 62 Fälle gleichsteht. Aber je nach der Methode der Diagnostik und der Frage, ob ein Embryo als Grundrechtsträger anzusehen ist, kann die PID als verfassungsrechtlich unzulässig beurteilt werden. Deshalb muß man zunächst die Methode der PID und das Problem der Grundrechtsträgerschaft von Embryonen betrachten. In dieser Arbeit wird der Embryo als Grundrechtsträger in Bezug auf die Menschenwürde, das Lebensrecht, das Recht auf körperliche Unversehrtheit nach der Verfassung anerkannt. Dabei kommt es vor allem auf den Beginn der Eigenschaft „Mensch“ an. Jedes Embryo in vitro kann sich zum Menschen weiterentwickeln, falls andere Voraussetzungen einschließlich der Nidation erfüllt sind. Deshalb darf man die Eigenschaft des Embryos als Mensch nicht von bestimmten Voraussetzungen bzw. einem bestimmten Zeitpunkt wie z.B. der Nidation, der Ausbildung des Gehirns, der Möglichkeit der Überlebens im draußen, oder Geburt abhängig machen sondern muss allein auf die Verschmelzung von Ei und Samenzelle abstellen. Von diesem Zeitpunkt an soll der Embryo (da das menschliche Leben bereits in ihm angelegt ist) als ein Träger der Menschenwürde und des Lebensrechts betrachtet werden. Allerdings können die Grundrechte der Embryonen vor der Nidation stärker eingeschränkt werden als die der Embryonen nach der Nidation, vor allem durch das Recht auf Selbstbestimmung und das Recht auf Fortpflanzung. Bezüglich der Methode der PID ist die Untersuchung und die Vernichtung der totipotenten Zelle strikt verboten, die aus der 4-8 Zelle der frühen Zeit der Verschmelzung entnommen wird, weil die totipotente Zellen genauso wie eine Embryo zum einzelnen Menschen entwickelt werden können. Demgegnüber ist die Untersuchung der pluripotenten Zelle, die aus der weiterentwickelten und viel weiter vermehrten Zelle entnommen wird, grundsätzlich erlaubt, weil die pluripotente Zelle zu keinem Individuum entwickelt werden kann. Trotzdem kann auf die Implantation des originären Embryos in den Mutterleib verzichtet werden, falls das Ergebnis der PID die Möglichkeit einer genetischen Krankheit zeigt. Insoweit ist die PID durch die Untersuchung der pluripotenten Zelle auch nicht ganz frei von verfassungsrechtlichen Bedenken. Jedoch kann die PID durch die Untersuchung der pluripotenten Zelle in begrenzten Ausnahmenfällen von dem Recht auf Selbstbestimmung, Fortpflanzungsfreiheit usw. gerechtfertigt werden. Auch der BGH (5 StR 386/09 – Urteil vom 6. Juli 2010 (LG Berlin)) in Deutschland hat einen solchen Ausnahmenfall der PID durch die Untersuchung der pluripotenten Zelle zum Zweck der Geburt des Kindes als zulässig angesehen. Bei der PID können Konflikte zwischen verschiedenen Grundrechtssubjekten auftreten. Deshalb hat der Gesetzgeber die grundrechtlichen Güter und Werte jedes Grundrechtsträgers optimal abzuwägen und schonend in Ausgleich zu bringen. Trozdem hat der Gesetzgeber des Gesetzes über Bioethik und Sicherheit unverhältnismäßig dem Recht auf Selbstbestimmung der Frauen gegenüber der Menschenwürde und dem Lebensrecht der Embryonen den Vorrang gegeben und eine zu weit gehende genetische Diagnostik erlaubt. In diesem Sinne verletzt das Gesetz die Menschenwürde und das Lebensrecht der Embryonen.

      • KCI등재

        체육교육에 있어서 전인 교육의 문제

        김성곤 한국초등체육학회 2017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체육 교육의 궁극적 목적으로 알려진 전인 교육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하나의 대안적 관점으로 체성 교육을 검토해 봄으로써 체육 수업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 보는 데 있다. 체육 교육에 있어서 전인 교육의 문제는 우선 전인이라는 개념이 모호하고 너무도 다양한 의미로 쓰이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전인을 바라보는 학문 공동체 내의 가치 판단의 기준이라고 할 수 있는 일치된 규범(혹은 패러다임)의 마련이 선결되어야 한다. 그러나 설령 이러한 일치된 규범이 마련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규범은 시대나 사람에 따라 변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단일한 관점에서 교육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우리는 체육 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에 관한 논의를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끊임없이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자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주체성(主體性), 개체성(個體性), 정체성(正體性), 체화(體化), 체현(體現) 등의개념에서 꼭 빠지지 않은 한 가지에 주목한다. 그것은 우리의 몸(體)이다. 신체를 가진 주체적이고 개체적인 존재인 우리 인간은 몸을 통해 익히고(體化), 자신이 익힌 것을 몸을 통해 구체적인 형체를 갖추게 하여 세상에 드러낸다(體現). 체화와 체현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는 주인된 신체 혹은 개인의 신체는 결국, 인간의 본성(本性)을 의미한다. 사전적 의미로 보아도 본성의 같은 말은 체성(體性)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인간이 가진 이성, 지성, 감성, 인성, 덕성 등은 모두 인간의 ‘몸성’ 곧, ‘체성’으로 귀결될 수 있다고 본다. 왜냐하면, 이러한 것들은 인간의본성이라 할 수 있는 ‘체성’이 지닌 다양한 양상들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교육의 시작과 끝은 체성(體性)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omatic education’ as a alternative perspective on the ‘whole person education’ known as the ultimate goal of the physical education. The problem of whole person education in physical education is that the concept of ‘whole person’ is vague and used in a variety of meaning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agreed norm(or paradigm) within the community of academic community involving value judgement. But, it is almost impossible to explain a educational phenomenon from the perspectives of a single norm(or paradigm) because of this norm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imes and individual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researcher focuses on one thing that is not inevitable in the concepts of subjectivity, individuality, identity, somatization, and embodiment that we often talk about. It is our body. Our human being, a subjective and individual being with the body, learns through the body(somatization) and reveals to the world what they have learned through their bodies(embodiment). The subjective and individual body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through somatization and embodiment ultimately means human nature. Therefore,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human reason, intellect, emotion, personality, and virtue are all can be concluded in the ‘somatic nature’. This is because they can be seen in various aspects of 'soma', which is human nature. Therefore,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all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the ‘somatic nature’. That is to say, the ultimate goal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schools is to assist individual student in the development of the attitude, skills, and knowledge of human movement.

      • KCI등재

        <유씨삼대록>의 전고 활용 특징과 그 기능

        최수현 한국고소설학회 2014 古小說 硏究 Vol.38 No.-

        이 글은 <유씨삼대록>의 전고 활용의 특징과 그 기능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유씨삼대록>은 다양한 전고를 서사에 배치하며, 특히 군신이나 치국과 관련된 전고를 활발히 끌어온다. 또 특정 인물을 부각하기 위해 집중적으로 전고를 활용하며, 전고가 동원되는 상황과 인용된 전고의 속성이 다를지라도 부분적 유사성을 활용해 전고를 동원한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사건을 만들고 장면을 구체화 하는데 전고를 활용한다. 이 같은 전고 활용은 작품의 핵심적 인물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게 하며, 인물들이 처한 상황을 보다 보편적이고 폭넓게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 또 새로운 사건을 만들어 내는 것과 작품의 진중한 분위기를 만드는데 일조하게 한다. <유씨삼대록>의 작가는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에서 익숙하게 쓰이는 전고들을 활용하면서 동시에 자주 동원되지 않던 전고도 적극적으로 끌어온다. 공통된 전고를 통해서는 인물과 사건에 전형성을 주어 작품에 익숙함을, 새로운 전고들을 통해서는 작품에 신선함을 불어넣어 작품의 흥미를 진작시킨다. 이는 <유씨삼대록>의 작가가 전고의 활용이 미시적인 부분에서 서사의 결을 만드는 한 요소로 기능한다는 점을 인지했음을 확인하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find out the use methods and functions of the authentic precedent shown in <Yussisamdaerok> The authentic precedent of <Yussisamdaerok> is characterized to use the following four respects: first, a great deal of authentic precedent is used to describe the lords and their vassals and the governance over a nation; second, authentic precedents are used intensively to reveal the quality and status of each character; third, precedents are provided as a basis for given situations utilizing some similar parts, regardless of what the contents and categories of precedents and narrations make difference; lastly, precedents are used to produce specifically scenes and events. The authentic precedent of <Yussisamdaerok> assumes the following function grounded on the characteristics as stated above. It serves main characters appearing in given literary works to be very properly shown, and makes readers view in a more broad way, the situations in which each character faces, and helps produce new events of long-length novels in the Korean letter using authentic precedents and create a true atmosphere out of the literary works. The author of the book, <Yussisamdaerok> is aware that using an authentic precedent could become an element to complete a narration from a micro-perspective, and familiar characters and events often appearing long-length novels in the Korean letter are closely linked with narration by utilizing a great deal of typical authentic precedent, and that using precedents not often found in long-length novels of three generations in the Korean letter contributes to adding a more fresh and interesting factor to the literary works. Judging this, it can be said that the authentic precedents appearing in <Yussisamdaerok> are formed and arranged through a keen endeavor of the author. It is expected that we will make a more profound understanding about the narration methods and styles of long-length novels in the Korean letter, if we make a more careful review of the difference in the use methods of the precedents formed and arranged in multiple long-length novels in the Korean let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