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SCISCOPUS
      • SSCISCOPUS
      • SSCISCOPUS
      • SSCISCOPUS
      • SSCISCOPUS
      • KCI등재

        Digital Response to the COVID-19 in Korea: Lessons for the Next Infectious Disease Outbreak

        Ahn, Sun-Ju Korean Academy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22 보건행정학회지 Vol.32 No.3

        The digital response is an excellent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measure to minimize person-to-person contact when a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is rapidly spreading. However, few studies have explored the reasons for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hese technologies. Here, we analyze documents by the Korean government, existing research, and news articles to provide a qualitative review of the digital response, and new concepts explored by Korea during coronavirus disease 2019, to apply them for the next infectious disease outbreak.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n Primary Health Care in Republic of Korea and Republic of Uzbekistan

        Dronina, Yuliya,Moon, Jiyoung,Nam, Eun Woo Korean Academy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7 보건행정학회지 Vol.27 No.3

        Background: Primary health care (PHC) plays a major role to ensure the basic right and equal distribution of the essential health care services. This study presents comparative analyses of PHC in Korea and Uzbekistan, discusses the existing scenario and the challenges, and provides recommendations. Methods: This study reviewed secondary data from Korea's National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nd the State Committee of the Republic of Uzbekistan on Statistic, regulatory legislation, research reports, and policy papers by research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s. We focus on comparing input and outcome health data, PHC structure, and health expenditure. Results: Overall health status of the population in Korea is better than in Uzbekistan; both countries achieved more than 95% immunization coverage. The reforms implemented in both countries provide initial health care service delivery. However, there are several challenges such as the distribution of the staff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nd interest of the graduates on specialization rather than working in PHC system. Conclusion: PHC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ovision of medical services to the population, addressing both health and social problems; it is the best tool for achieving universal coverage for basic health needs of the population. The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in Korea and nurses in Uzbekistan plays main role in universal coverage through providing essential health care services. Continuous reform of the PHC system should be directed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the PHC staff in health promotion knowledge and activities as well as to encourage population to improve their own health.

      • KCI등재

        네트노그라피를 이용한 공개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확산 패턴 분석에 관한 연구 -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 사례를 중심으로 -

        강희숙,윤인환,이희상,Kang, Heesuk,Yoon, Inhwan,Lee, Heesan Daehan Academy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2017 경영과 정보연구 Vol.3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개 소프트웨어(Open Source Software, 이하 OSS)가 운영 기간 내 주변의 행위자들과 관계를 수립하는 동안 OSS의 개발 및 확산 패턴을 확인하는 것으로, OSS 참여자들의 변화 패턴을 조사하기 위해 OSS 통과시간을 기반으로 그 변화 양상을 추적할 수 있는 온라인 데이터와 네트노그라피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OSS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인 jQuery, MooTools, YUI 등 이상 세 가지 사례에 대하여 블로그, 웹 서치와 함께 GitHub 공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OSS 변형 과정의 변화 패턴을 분류하기 위하여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전환(translation) 과정을 적용하였으며, 관찰된 OSS 변형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로젝트 개시' 단계에서 소스 코드, 프로젝트 책임자 및 관계자, 내부 참여자 등과 같은 세 가지 유형의 OSS 관련 행위자들을 확인하였고, 그들 사이의 관계성을 개념화 하였다. 이후 프로젝트 책임자가 최초로 프로젝트를 착수하는 '프로젝트 성장' 단계는 관계자들에 의해 소스 코드가 유지 보수되는 과정을 통해 개선된다. 마지막으로 OSS는 홍보 활동을 통해 참여자들의 관찰기를 갖고, 소스 코드 사용을 통해 학습기를 거친 사용자가 본격적으로 등장함으로써 '참여자의 도약' 단계로 진입한다. 이 시기에는 기업과 외부 관계자들도 출현하는 모습도 살펴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OSS 참여자들이 OSS를 선택하는데 있어 홍보 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OSS의 급속한 개발속도가 오히려 참여자의 출현을 지연시키는 구축 효과(crowding-out effec)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토대로 주요 OSS 사례를 네트노그라피를 활용하여 종단적인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OSS의 발전 과정을 일반화시키기 위한 노력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의의가 있으며, OSS가 지배적인 위치에 오르기 위한 단계별 영향 요인, 세부적인 변화 양상 등을 확인함으로써 OSS 개발자와 관리자들에게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spread pattern of open source software (OSS) while establishing relations with surrounding actors during its operation perio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 pattern of participants in the OSS, we use a netnography on the basis of online data, which can trace the change patterns of the OSS depending on the passage of time. For this, the cases of three OSSs (e.g. jQuery, MooTools, and YUI), which are JavaScript frameworks, were compared, and the corresponding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of GitHub as well as blog and web searches. This research utilizes the translation process of the actor-network theory to categorize the stages of the change patterns on the OSS translation process. In the project commencement stage, we identified the type of three different OSS-related actors and defined associated relationships among them. The period, when a master commences a project at first, is refined through the course for the maintenance of source codes with persons concerned (i.e. project growth stage). Thereafter, the period when the users have gone through the observation and learning period by being exposed to promotion activities and codes usage respectively, and becoming to active participants, is regarded as the 'leap of participants' stage. Our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omotion processes in participants' selection of the OSS for participation and confirm the crowding-out effect that the rapid speed of OSS development retarded the emergence of participants.

      • KCI등재

        An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Uniform Laws for International Trade by Principles for Achieving Uniformity

        김성훈,최승욱,Kim Sung-Hoon,Choi Seong-Wook Daehan Academy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2001 경영과 정보연구 Vol.7 No.-

        국제물품매매계약은 당사자간의 합의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국제간의 물품매매에 관련하여 모든 상황을 특정계약에 반영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특정계약에 대한 해석과 판단의 기준이 되는 하나의 보편적이며 합리성에 기초를 둔 준거법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준거법은 어느 특정국가의 사범으로 충분할 수도 있지만 국제거래가 안전하고 원활하게 실행되기 위해서는 그것이 세계 어느 나라에 있어서도 같은 내용의 통일적인 법에 의하여 규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경제적 합리성에 기초를 둔 거래법의 분야에서는 이론적으로 법의통일은 가능하며 실제적으로는 로마의 사법통일협회(UNIDROIT)나 국제연합 국제상거래위원회(UNIDROIT)에 의하여 지금까지 어느 정도 통일사법 제정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 되어 왔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UNICITRAL(국제연합 국제상거래위원회)이 1980년에 발표한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UN 조약-비엔나협약(CISG)은 국제간의 물품매매에 관한 계약법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비엔나협약(CISG)의 법리적인 근거는 "자주적인 준거법의 제정 및 그 적용상의 통일성"에 있다는 것이다. 또한 그 내용을 보면 첫째, 지역적 의미를 가지는 법률용어의 사용을 피하고 대신 격지간의 계약시 실제로 발생하는 현실적 사례의 관점에서 법안을 작성하고자 하였고 둘째, 그 내용을 달리하고 있는 각국의 사법을 통일하는 것에 의해 모든 사법적 법률관계에 같은 내용의 사법을 적용하는 방법, 즉 세계통일사법의 제정이라 하겠다. 본 연구는 비엔나협약(CISG)의 입법취지와 배경을 고찰하였으며 또한 통일사법으로서 협약상의 "일반원칙의 통용"을 계약성립(Formation of Contract)의 과정별로 정리하였다.

      • KCI등재

        Impact of the Outpatient Prescription Incentive Program on Reduction of Pharmaceutical Costs of Clinics in South Korea

        Kwon, Seong Hee,Han, Kyu-Tae,Park, Sohee,Moon, Ki Tae,Park, Eun-Cheol Korean Academy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7 보건행정학회지 Vol.27 No.3

        Background: South Korea has experienced problems with excessive pharmaceutical expenditures. In 2010,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an outpatient prescription incentive program to effectively manage pharmaceutical expenditures. Therefore,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utpatient prescription incentive program and pharmaceutical expenditures. Methods: We used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base, which included medical claims filed for 22,732 clinics from 2011-2014 to evaluate associated pharmaceutical expenditures. We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oisson regression analysis using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model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outpatient prescription incentives and the outcome variables. Result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123,392 cases from 22,372 clinics (average 5.4 periods follow-up). Clinics that had received outpatient prescription incentives in the last period had better cost saving and Outpatient Prescribing Costliness Index (OPCI) (received: proportion of cost saving, ${\beta}=6.8179$; p-value < 0.0001; OPCI, ${\beta}=-0.0227$; p-value < 0.0001; reference = non-received). Moreover, these clinics had higher risk in the provision of outpatient prescription incentive (relative risk, 2.772; 95% confidence interval, 2.720 to 2.824). The associations were higher in clinics that had separate prescribing and dispensing programs, or had professional staff. Conclusion: The introduction of an outpatient prescription incentive program for clinics effectively managed problems with rapid increases of pharmaceutical expenditures in South Korea. However, the pharmaceutical expenditures still increased in spite of the positive impact of the outpatient prescription incentive program. Therefore,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health policy makers should develop more effective alternatives (i.e., for clinics without separate prescribing and dispensing programs) based on our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