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독교 대학 교목실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의 실제 : 한신대학교 교목실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을 중심으로

        나현기(Hyun-Kee Na),강은미(Eun-Mee Ka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4

        본 논문은 기독교 대학 교목실이 비교과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본래의 교육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고, 현재 처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한신대학교 교목실이 2019학년도 2학기부터적극적으로 개발해서 운용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특별히 코로나19가 확산하던 2020학년 2학기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학생들의 만족도 결과를 분석한다. 기독교 대학 교목실은 1990년대 이후 개신교인들이 감소하고, 개인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대학 분위기 속에서 재학생들이 일방적인 기독교 예배와 교리를 전달하는 채플을 거부하면서 위기에 직면했다. 또한 2020년 코로나19 확산 과정에서 일부 개신교인들의 일탈로 개신교 신뢰도는 바닥으로 떨어졌다. 기독교 대학 교목실은 이러한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해결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한신대학교 교목실은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비교과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비교과 프로그램은 자아 탐색, 인간 관계 훈련, 심리 치료, 한신대학교 역사와 전통 이해, 소속감 향상을 주제로 진행되고 있다. 참여한 학생들은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고, 자연스럽게 교목실에 대한 신뢰도 향상되고 있다. 한신대학교 교목실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연구는 위기 상황 속에서 교목실의 미래를 고민하는 기독교 대학 교목실의 대안 마련에 좋은 사례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비교과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how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help the chaplain’s office in Christian universities more effectively achieve educational goal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aim, first,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which Hanshin University’s chaplain’s office has been developing and operating since the second semester of the 2019 academic year, will be introduced. Next, the results of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video-based extra-curricular program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will be analyzed. The chaplain’s offices in Christian universities have faced a major crisis for various reasons since the 1990s. The number of Korean Protestants has declined. University students, emphasizing individual diversity, have begun to reject the chapels sponsored by Christian universities. In addition, the credibility of Korean Protestants has fallen to the bottom. It is because many Koreans are tired of the way some Protestant Churches reacte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The chaplain’s offices in Christian universities are contemplating various solutions to overcome this crisis. For example, the chaplain’s office in Hanshin University now provides video-based extra-curricular programs in response to COVID-19.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include the followings topics: self-discovery, interpersonal training, psychotherapy, the history and traditions of Hanshin University, and a sense of belonging. The participating students not only show high satisfaction, but are much more interested in all of the curricular and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the chaplain’s office. This study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will provide a good example for preparing alternatives for the future of the chaplain’s office in a crisis situation.

      • KCI등재

        영국과 미국 종교학과의 현황과 전망

        안신 ( Shin Ahn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4 종교문화연구 Vol.- No.23

        본 논문은 영국과 미국의 대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종교학과의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종교연구의 가까운 미래를 전망하였다. 먼저, 국교를 인정하는 영국에서는 두 가지 흐름의 종교연구가 있다. 잉글랜드의 옥스브리지를 비롯한 대학교들과 스코틀랜드의 고대대학교에서는 신학연구를 시작으로 세계종교연구가 추가되는 방식으로 종교학 연구가 자리를 잡았다. 반면에 1960년대에 신설된 신규대학교는 신학에서 독립하여 사회과학적, 문화비평적, 학제 간연구의 종교학을 발전시켰다. 둘째, 정교분리와 종교자유를 헌법으로 보장하고 있는 미국에서는 개신교문화의 지배 아래 설립된 사립대학교와 주립대학교의 종교연구 경향이 큰 차이를 보인다. 시카고대와 하버드대는 신학부와 종교학과가 통합구조를 이루며 발전했고 예일대는 병행구조를 보여준다. 1960년대에 종교학의 활기를 주도한 주립대학교의 종교학과는 다양한 종교와 방법론의 추구를 기초로 꾸준히 성장해 왔다. 결론적으로 영미 대학교의 종교학은 시대적.정치적.경제적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진화해왔다. 뉴욕의 9·11테러와 런던의 7·7테러 이후 이슬람을 비롯한 종교 간 대화와 이해 및 화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대두되면서 종교에 대한 전통별 개별연구가 더욱 활발해졌으며 현상학적 연구를 사회과학적 연구가 보완하였다. 세계화와 국제화 및 다문화화가 가속화되고 세속화와 신학의 영향력이 위축됨에 따라서 영미의 종교학과는 21세기에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This article is to deal with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spect of Religious Studies (RS) in UK and USA. First, in the UK where state religions are established, ancient universities such as Oxford, Cambridge, St. Andrews, Glasgow, Aberdeen, and Edinburgh have expanded from theological emphasis to world religions. The new universities including Lancaster and Stirling began first independent departments of RS without theological orientation. They developed new styles of RS with social sciences, cultural criticism,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 Second, in the USA where the separ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and the religious freedom are protected by her constitution, there are huge gaps between private and state universities. Chicago and Harvard developed the study of religions with their Divinity school, but Yale emphasized the parallels between theology and RS. In the 1960s, the RS departments have spread in the state universities. In conclusion, the departments of RS will increase if their faculty and students meet what modern society wants in the globalization, internationalization, and multiculturalization.

      • KCI등재

        대학생활적응능력을 통한 기독교 대학 성서 교양 필수 과목 개발 모색 ― 다양성, 회복탄력성, 공감 능력을 중심으로

        강은미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3 신학사상 Vol.- No.203

        본 논문은 목적은 대학생활적응능력(다양성, 회복탄력성, 공감)을 고려하면서 기독교 대학 성서 교양 필수 과목 개발을 위한 방향과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국내외 기독교 대학들이 설립 정신과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개설하는 성서 혹은 기독교 관련 필수 과목들은 위기를 마주하고 있다. 이러한 위기는 대학 내에서 종교교육과 거리를 두려는 세속화와 전통적인 종교에 무관심하고, 개인의 자유와 다양성을 강조하는 변화된 대학생들의 문화에 기인한다. 그동안 연구자들은 기독교 대학 종교 관련 교양 교육이 맞이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단순하고 일방적인 성서의 내용과 기독교 교리를 전달하는 교육 목표를 지양하라고 조언해 왔다. 이는 학습 수요자들인 대학생들의 이해와 요구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학습 커리큘럼을 개발하라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선행 연구를 수용하면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대학생활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크게 증가하는 상황을 고려하고자 한다. 대학생활적응능력 중에서 다양성, 회복탄력성, 공감 능력에 관한 이론을 설명하고, 한신대학교 성서 수업에 참여하는 재학생 199명의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기독교 대학 성서 교과 개발을 위한 하나의 대안을 제시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alternatives to mandatory Bible courses at Christian universities, considering university students’ abilities for diversity, resilience, and empathy. Christian Universities have offered Christianity-related courses for their students in order to teach founding values. However, the universities are facing a crisis. This crisis stems from secularization, distance religious education, and the changed culture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indifferent to traditional religions and emphasize their individual freedom and diversity. In order to overcome these issues facing liberal arts education related to religion at Christian universities, scholars have claimed that the educational goals of simply delivering Bible content and Christian doctrine unilaterally should be avoided. They argue that the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in a direction fulfilling the understanding and demands of student learners. While accepting such preceding research, this study intends to consider the situation of students facing difficulties in adapting to university life, difficulties that have greatly increased in the wake of the COVID-19 pandemic. The theories regarding diversity, resilience, and empathy emphasizing the adaptive abilities of university students will be explained. In addition, reflecting the learners’ demands based on survey results from 199 enrolled students taking Bible courses at Hanshin University, this paper will suggest an alternative for developing a curriculum for mandatory Bible courses.

      • KCI등재

        종교학분야 학술지 분석에 따른 연구경향과 과제 -대학부설 연구소 발간 학술지를 중심으로-

        박종수 ( Jong Soo Park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4 종교문화연구 Vol.-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부설 종교학 관련 연구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를 대상으로 그 연구경향을 분석하여 향후 발전을 위한 과제를 제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 학술지는 서울대와 한신대 부설 연구소에서 각각 발간하고 있는 『종교와 문화』와 『종교문화연구』이다. 본 연구는 거시적 측면에서 두 학술지의 내용을 분석했으며, 수록논문 426편을 대상으로 연구주제, 연구목적, 연구범위, 연구방법에 따른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두 학술지는 각 대학부설 연구소의 설립목적을 반영하고 있어서, 『종교와 문화』에는 종교학이론 및 종교전통 관련의 논문, 『종교문화연구』에는 종교학 및 종교문화 관련의 논문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연구범위는 종교학의 전통적 범주에서부터 인접 학문분야까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사례연구, 비교연구 순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두 학술지는 대학부설 연구소의 특성상 대학의 지원, 대학 내 구성원의 다수 참여, 해당 대학연구소의 특성 반영이라는 공통된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학회들의 학술지와 다른 차원의 의의와 한계를 갖는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연구주제의 개발, 대학부설 학술지의 특성 부각, 연구 분석단위의 다양화, 연구방법론의 정교화를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research trends of religious studies in journals published by university institutes and to suggest tasks for their development. I took two journals into analysis: Journal of Religion and Culture (JRC) published by Hanshin University and Religion and Culture (RC)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I analysed the general contents of 426 articles in these journals in terms of subjects, purposes, ranges and methods. The research shows that JRC specializes in religious studies and religious culture, RC in theories of religious studies and religious traditions, which explains that each journal reflects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of the respective institutes. Research ranges vary from typical subjects of religious studies to interdisciplinary subjects. The most popular method of research is literature analysis followed by case analysis and comparative analysis. The two journals share the following features: financial support from its university, the majority of authors being its own members within the relevant university, and the reflec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tinent institutes. These features display different significances and limitations in comparison to journals published by academic societies. Finally, this papers suggests developing various research subjects, emphas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evant institutes, having more varieties in research levels, and elaborating research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