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FP학회 발전과정에서의 (고)윤병철 회장의 역할과 공헌

        박광수(Kwangsoo Park) 한국FP학회 2017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0 No.4

        이 기고문은 한국FP학회 창립 10주년을 맞아 (고)윤병철 회장이 한국FP학회의 창립과 발전과정에 공헌한 점을 요약 정리한 글이다. 일부 내용은 객관적인 자료의 뒷받침이 부족한 순수 저자의 판단에 의한 것이다. 또한 한국FP협회와 한국FPSB와 관련된 내용을 CEO로서의 윤병철 회장의 기여로 인식한 부분도 있을 수 있음을 밝혀 둔다. This memorial letter acknowledges the contribution of the late president of Korea FP Association, Mr. Yoon, Byung Chul, on KASFP establishment. Mr. Yoon was the key person in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KASFP. He supported and helped expanding academic network of financial planning and promoted financial planning research. This letter briefly reviews some of the key achievements of KASFP which were realized due to Mr. Yoon’s dedication to the financial planning field.

      • KCI등재

        개인투자자의 VIX를 활용한 한국 주식시장에서의 투자전략에 관한 연구

        박승혁,안성필,김도성 한국FP학회 2022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5 No.1

        The volatility index (VIX) in the US represents the variability of stock prices due to the stock market uncertainty, and it measures the expectations of market participants over the 30-day volatility of the S&P 500 Index option. This study tests the spillover effect of VIX from the US stock market to the Korean stock market. Retail investors in Korea can utilize the VIX to minimize their risk exposure in Korean stock market. For the period between 2002 and 2021, we exploit the GARCH-M model to estimate the impact of the VIX on Korean stock index returns. We find that the VIX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Korean stock index returns, suggesting that the volatility spillover effect runs from the US market to the Korean market. We document that the spillover effect diminishes by almost half in the post-financial-crisis period. Even in the later period, we continue to find the stronger spillover effect when the VIX is higher than 20 and/or the VIX increases by more than 3%. Our study is limited to the spillover effect from the US only, and ignores the spillover effect from other countries, especially the Chinese stock market. Even so, our findings suggest retail investors can utilize the VIX to set up a conservative investment strategy that can reduce their risk exposure in the Korean stock market. 미국의 변동성지수(VIX)는 주식시장의 불확실성에 따른 변동가능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S&P500 지수옵션의 향후 30일간의 변동성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를 나타낸다. 본연구는 VIX가 국내주식시장의 주가수익률에 미치는 변동성 전이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개인투자자가 VIX를 선행지표로 활용하여 한국주식시장에서 투자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한국주식시장의 국제화가 진행되었던 2002년 1월부터 2021 년 10월을 분석기간으로 선정하여 GARCH-M모형으로 VIX와 한국 주가수익률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VIX수익률과 한국시장 주가수익률 간에는 유의적인 음(-) 의 관계가 존재하여 미국시장에서 한국시장으로의 변동성 전이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변동성 전이효과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는 대략 절반으로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VIX가 20 이상인 경우와 VIX 변동폭이 3% 이상 급증하는 경우에는 한국시장으로의 변동성 전이효과는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나타나는 것을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개인투자자가 시점과 무관하게 VIX가 높은 수준에서 변동폭이클수록 한국시장에서 보수적인 포지션을 취하는 것이 투자위험을 최소화하는 방안임을시사한다. 본 논문의 분석범위는 미국시장 변동성의 한국시장으로의 전이효과로 한정하고 있어 다른 나라시장 특히 중국시장의 영향을 포괄적으로 제시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개인투자자가 VIX를 활용하여 투자위험을 감소시킬 수있는 방안을 제시한데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과 중국 대학생소비자의 화폐태도와 개인재무관리행동의 관련성 연구

        린쉬에(Xue Lin),조향숙(Hyang Sook Cho),김시월(Siwuel Kim) 한국FP학회 2014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7 No.1

        본 연구는 미래 소득형성 계층으로 현재의 개인재무관리행동이 중요한 한국과 중국 대학생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과 중국의 화폐태도와 개인재무관리행동의 차이가 어떤지를 비교하고 개인재무관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국과 중국 대학생소비자의 개인재무관리행동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재무설계 및 실행, 투자와 보험관리 행동, 위험과 저축관리 행동요인으로 유형화되었으며, 한국과 중국 대학생소비자의 개인재무관리행동 수준은 한국 2.43, 중국 2.90으로 5점 만점에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과 중국 대학생소비자의 화폐태도별 개인재무관리행동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측정동일성 분석 후 다중집단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국 대학생소비자의 개인재무관리행동 측정동일성은 차이가 없었고, 한국의 경우 인정을 받기 위한 도구, 성공과 문제해결의 도구, 감정충족의 도구, 불안의 원천 등 다양한 화폐태도가 개인재무 관리행동에 영향을 보인 반면에, 중국은 인정을 받기 위한 도구의 화폐태도만 유의한 변수로 나타나 양국 간에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는 한국과 중국 대학생소비자의 화폐태도와 개인재무관리행동 등 실제적인 개인 생활과 관련된 금융소비행동을 이해하며, 대학생소비자가 정확한 화폐태도와 재무관리행동 형성하기 위한 재무 관련 소비자교육방안을 제시하고 도모하는 여러 가지 정보제공에 의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ttitude toward money and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between Korean and Chinese students and to identify variables influencing their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applied to examine behavioral factors influencing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of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factors were categorized as financial planning and implementation, investment and insurance management activities, risk management and savings. In addition, the level of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appeared as less than moderate, recording 2.43 for Korean students and 2.90 for Chinese students respectively, out of 5 point. Path analysis was applied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regarding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their attitude toward money. Multi-group path analysis was also used to for equality test.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equality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regarding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activities. For Korean college students, achievement of recognition, success and problem-solving, emotional satisfaction, and source of anxiety influenced their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On the other hand, for Chinese students, only achieving recogni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is study would help understanding of financial behavior of Korean and Chinese students. The result would also give some information on consumer education for personal finance, enabling the college students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attitude toward money and finance management behavior.

      • 화폐태도 척도 개발 및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화폐태도 비교

        린쉬에(Xue Lin),조향숙(Hyang Sook Cho),김시월(Si Wuel Kim) 한국FP학회 2013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6 No.4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대학생소비자를 대상으로 화폐태도 관련 척도를 개발하고, 척도의 내용구성과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아울러 한국과 중국 대학생소비자의 화폐태도 척도를 활용한 군집의 분류와 그 특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화폐태도의 최종모형 탐색적 요인분석 후 내용을 검토하여 요인Ⅰ: 인정을 받기 위한 도구, 요인Ⅱ: 성공과 문제해결의 도구, 요인Ⅲ: 감정충족의 도구, 요인Ⅳ: 불안의 원천으로 명명하였고, 단일차원성, 타당성과 신뢰도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에서도 한국과 중국 대학생소비자 모두 인정을 받기 위한 도구, 성공과 문제해결 도구, 감정충족의 도구, 불안의 원천 등 각 요인이 각 측정 문항에 유의하게 정적인 효과를 보여 화폐척도가 타당성 있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좀 더 심도 있게 대학생소비자의 특성을 알기 위하여 군집분석을 시도하여 군집별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5개의 군집으로 구성되어 군집 1: 인정의 도구 집단, 군집 2: 감정해소 도구 집단, 군집 3: 소극적 집단, 군집 4: 불안감 해소 집단, 군집 5: 적극적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한국과 중국 대학생소비자의 군집 간 특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한국은 성공과 문제해결의 도구, 불안의 원천에서 높게 나타났고, 중국은 인정을 받기 위한 도구로서 높게 나타나 국적별 차이를 보였고, 사회경제적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외부영향 요인에서는 한국은 친구, 중국은 친구, 부모, 대중매체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한국과 중국 대학생소비자의 화폐태도는 극명한 차이가 있었으며, 화폐태도는 개인재무관리 및 소비자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므로 지속적인 평생교육으로서 좀 더 폭넓은 금융 관련 소비자교육으로서 개인과 집단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 할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문화적, 지역적, 그리고 사회경제적 특성별 심도 있는 분석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scale on money attitude, to compare the attitude toward money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money attitude by group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scale on money attitude was developed using factor analyses. Four factors were identified and named; means of recognition(factor 1), means of success and problem solving(factor 2), means of satisfaction of emotion(factor 3), means of source of anxiety (factor 4). Second, cluster analyses were used to identify different groups by money attitude and five groups were identified: a means of recognition group(cluster 1), a means of satisfaction of emotion group(cluster 2), a passive group(cluster 3), a means of solving anxiety (cluster 4), and an aggressive group(cluster 5). The group comparison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attitude towards money between Korean and Chinese students. Also, socio-economics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 of external 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developing financial education program and policies for consumer education. Since money attitude is very important for understanding consumer behaviors, studies on money attitude should be continued. It is recommended that future research should examine cultural and regional differences along with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 KCI등재

        한국·미국·독일의 비트코인 활용 현황과 공유가치창출에의 함의 탐색

        이경미(Kyung-Mi Lee),고은희(Eun-Hee Koh),주소현(So-Hyun Joo) 한국FP학회 2016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9 No.3

        인터넷과 IT기술의 발달은 핀테크라는 새로운 유형의 금융서비스와 P2P거래를 등장시켰고, 소비자의 편의성과 새로운 대안화폐의 요구에 맞춰 비공식적 화폐인 비트코인을 출현시켰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 독일, 한국의 문헌과 기사를 활용하여, P2P방식의 대표적인 가상화폐 비트코인의 활용현황과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함의를 탐색하였다. 비트코인 거래가 활발한 미국과 독일의 이용 사례를 문헌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한국 현황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해 보는데 초점을 두었다. 공유가치창출에 비트코인이 시사하는 바는 세 가지이다. 첫째, 변화하는 소비가치에 따라 비트코인은 협력적 소비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의 소비가치는 소유에서 공유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소비가치에 비트코인의 특성이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트코인은 24시간 후원금 지급이 가능하고 수수료를 최소화 해 지원사용자와 지원공급자 모두에게 이익이 되어 서민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비트코인은 사회경제적 가치창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소액결제가 가능한 비트코인을 통해서 소액 콘텐츠 시장의 확장과 소상인들의 판매영역 확대를 가져올 수 있다. 상인들은 카드사에 지불하는 수수료를 없앨 수 있으며, 비트코인 관련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 및 벤처기업의 등장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한 가치창출이다.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해 개인 간 P2P거래의 활성화, 블록체인 기술로 인한 거래의 투명성 및 이중 지불 방지, 사용자의 자유로운 이탈과 참여는 시장에서의 평등성달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직 비트코인은 글로벌 거래 결제수단으로써의 비중은 미미하지만, 수수료를 축소하려는 가맹점들을 중심으로 보급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향후 금융소비자는 비트코인을 통한 참여적인 금융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적극적 생산자로서 공유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비트코인이 공유가치 창출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한국에서 비트코인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가계의 새로운 투자처 및 서민경제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으로써 비트코인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use of the Bitcoin and its implications for creating shared value.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financial industry experienced an increasing need for newer services, one of which is the cyber currency. The Bitcoin, a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cyber currencies, has several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at can provide insights into the creation of shared value. To explore the use and implications of the Bitcoin,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literature, both academic and non-academic.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whether the Bitcoin can help establish a new economic market and develop the economy for ordinary people. In addition, we looked at the meaning of creating shared value by comparing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with Korea. The Bitcoin is issued via mining in fixed amounts and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currencies which are subject to inflation. Fees can be reduced due to the use of direct transactions between individuals. When the Internet is operating, it is traded freely without any time and space constraints. All of the transactions would be shown to the public and there could be an opportunity for people who do not have bank accounts to participate in financial dealing. The Bitcoin could be helpful in the places, which where depreciated in the value of the currency is depreciated or has a weak capital market (Brito, J., Castillo, A., 2013). However, transactions, which abuse the guarantee of anonymity of the Bitcoin, could happen.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Bitcoin in money laundering, drug trafficking and tax evasion, and it could be affected by speculation, hacking and cyber terror. There are three implications of the Bitcoin regards the creation of shared value: cooperative consumption, socio-economic value, and creating value through a digital network. The consumption value, which is shifted from possession to sharing, seeks coexistence and harmony. The Bitcoin promotes the ordinary people"s economy, enables cooperative consumption, expands the small content market, and extends retailers" territories. Tradespeople don"t have to pay commissions to credit card companies and bitcoin-related businesses will therefore appear. The network vitalizes peer-to-peer transactions, guarantees the transparency of the block chain technology and prevents double payments. The amount of virtual money used in global transactions is insignificant, but its distribution is spreading rapidly through the franchises that are trying to reduce commissions. As of now, consumers can establish a participatory financial network through the Bitcoin.

      • KCI등재

        IPA기법을 적용한 소비자의 금융지식 수준과 금융교육 내용 영역별 중요도 연구 : 일반성인과 고령자를 중심으로

        손지연(Jiyeon Son),박주영(Jooyung Park) 한국FP학회 2020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3 No.1

        본 연구는 일반 성인 소비자와 고령소비자의 금융지식 수준과 금융교육의 하위영역별 내용 중요도를 분석하여 향후 맞춤형 금융교육을 추진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금융교육의 하위 내용영역은 ①시장경제의 기본원리, ②금융소비자정보의 탐색과 활용, ③금융소비자피해 예방, ④현금관리와 재무상태, ⑤저축과 투자, ⑥연금과 은퇴설계, ⑦소비자금융과 신용, ⑧위험과 보험의 8개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IPA를 위해 각 내용영역에 대한 중요도 평가와 금융지식 평가를 진행하였다. 먼저, 내용영역별 중요도 평가는 2019년 7월-8월 사이 온라인으로 진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소비자학과 대학교수, CFP, 소비자행정 담당 공무원과 공공기관 직원 등 총 45인으로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여, 일반 성인과 고령자를 대상으로 금융교육을 실시한다고 하였을 때 어떤 내용이 중요한지에 관한 전문가의견을 수렴하였다. 소비자의 금융지식 평가를 위해서는 한국소비자원의 「2018 한국의 소비자역량지수」 조사에 응답한 성인 남․녀 소비자 2,000명의 자료를 65세 미만 일반 성인 집단(1,641명)과 65세 이상 고령자 집단(359명)으로 나누어 분석에 활용하였다. 동 자료는 2018년 7월 9일-8월 8일 사이 성․연령․지역별 할당표본 추출하여 1:1 면접조사 방식으로 수집한 것이다. 기초분석 결과, 금융교육 내용 영역 가운데 무엇이 더 중요하고 덜 중요한지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은 직군 별로 차이가 있었다. 예를 들어, 일반인 대상 금융교육에서 대학교수 집단이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한 내용 영역은 ⑥연금과 은퇴설계였다. 반면, CFP집단이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한 내용 영역은 ④현금관리와 재무상태였으며, 공무원/공공기관 직원 집단이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한 내용영역은 ③금융소비자피해 예방이었다. 단, 고령자 대상 금융교육의 경우, ③금융소비자피해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는데 세 직군간 전문가 의견이 일치하였다. 각 영역별 한 문항씩 총 8개 문항으로 측정한 소비자의 금융지식 수준은 일반 성인의 평균 정답률 71.36%, 고령자의 평균 정답률 63.96%로 고령자의 금융지식 수준이 일반 성인에 비해 낮은 편이었다. IPA 매트릭스 분석 결과, 일반 성인 대상 금융교육의 “중점 개선” 분야(높은 중요도-낮은 지식수준)에 해당하는 내용영역은 ⑦소비자금융과 신용, ⑧위험과 보험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5세 이상 고령자 대상 금융교육의 “중점 개선” 분야에 해당하는 내용영역은 ⑥연금과 은퇴설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IPA 매트릭스의 활용 사례를 보여주기 위해 금융감독원이 2011년부터 현재까지 월1회 운영 중인 「FSS금융아카데미」의 수업 주제 134개, 발간교재 31개 및 한국금융투자자보호재단의 발간자료 128개를 내용 분석하여 일반 성인 대상 IPA 매트릭스와 비교하고, 일반 성인 대상 금융교육 추진 방향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xperts’ perceived importance of financial education course contents and consumers’ financial knowledge. To conduct two sets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es (IPAs) for adults and the elderly, we analyzed levels of experts’ perceived importance and consumers’ financial knowledge. The levels of experts’ perceived importance are based on data obtained from 15 professors, 19 certified financial planners (CFPs), and 11 government officials from July to August 2019. The levels of consumers’ financial knowledge are based on data from 2,000 individuals included in the “2018 Consumer Empowerment Index in Korea” produced by the Korea Consumer Agency. Eight areas of financial education course contents include ① market economy principles, ② searching and utilizing financial information, ③ preventing consumer damage in the financial area, ④ cash management and financial status, ⑤ saving and investment, ⑥ pension and retirement planning, ⑦ consumer credit, and ⑧ risk management and insurance. Expert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financial education course contents for adults (age 20-64) differed according to their profession. For instance, ⑥ pension and retirement planning was the most important area for professors, while ④ cash management and financial status was the most important area for CFPs and ③ preventing consumer damages in the financial area was the most important area for government officials. For the elderly (age 65 and over), experts’ opinion ranked ③ preventing consumer damages in the financial area as the most important regardless of their profession. Also, the elderly’s level of financial knowledge was lower than the level of financial knowledge of adults. In the IPA matrix for adults, the financial education course contents such as ⑦ consumer credit and ⑧ risk management and insurance were located in the “concentrate here” area, while ⑥ pension and retirement planning was located in the same area in the IPA matrix as for the elderly. We also conducted content analyses for the financial education projects by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FSS) Korea and the Korea Financial Investor Protection Foundation.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s showed that more classes and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concentrate here” area found in the IPA matrix.

      • KCI등재후보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통한 한국 중고령자의 점진적 은퇴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임은정,정순희 한국FP학회 2015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8 No.4

        This study aimed at deriving determinants and rules of retirement process of the Korean middle-old aged and describing retirement decision-making by constructing a decision tree model from data mining techniques for complementing the limitation of the existing statistical analysis. The study used the data from the 2011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collect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constructing the optimal decision tree model, it showed that the middle to old aged selected gradual retirement in case that they recognized a very low technological suitability on the present job, did not have much difficulties from small income when they searched for a job and that they planned retirement age more than 68.6 or less than 66.1. Secondly, as a result of constructing a completely grown decision tree model, difficulties from small income during job search and planned retirement age more than 68.6 or less than 66.1 derived from the optimal decision tree. This revealed that above middle school graduates, individuals who had under 11 million won in the last year’s family gross income selected gradual retirement. On the contrary, individuals who felt a higher technological suitability, highly satisfied with the present job and who planned retirement aged more than 68.6 selected gradual retirement. It means that vocational and employment environments and planned retirement age are significant factors. Particularly, it was identified that the difference existed between planned retirement age and the current average retirement age or the retirement age by the law. Thirdly, in order to verify superiority of the constructed decision tree model, the results was compared with the findings of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It showed the total error rate was 2.30% for the decision tree and 5.40% for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So, it was identified that decision tree model is superior for deriving significant factors and explaining rules. Besides, McNemar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 of errors between the actual value of 4 dependant variables and the classification value from analysis. As a result, with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of .000, it showed that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lassification accuracies for the decision tree and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발표하는 한국 고령화 패널 연구(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의 2012년 자료를 이용하여 모수적 가정을 하는 기존의 통계분석의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의사결정나무 모형을 구축함으로써 한국 중고령자의 점진적 은퇴 결정요인 및 규칙을 도출하여 은퇴의사결정을 설명하는데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적의 의사결정나무 모형 구축 결과, 현 일자리에 대한 기술적합도를 매우 낮게 인식하고, 구직 시 제시되는 일자리의 적은 수입으로 인한 어려움을 덜 느끼며, 은퇴계획연령이 68.6세 이상 혹은 66.1세 미만인 경우 중고령자들은 점진적 은퇴를 선택하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완전히 성장한 의사결정나무 모형구축 결과, 최적의 의사결정나무에서 도출된매우 낮은 기술적합도, 적은 수입으로 인한 구직시의 어려움, 68.6세 이상 혹은 66.1세미만의 계획된 은퇴연령의 요인 이외에도, 최종학력이 중졸이상이며, 지난해의 가구총소득이 1,100만원 미만인 경우 점진적 은퇴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술적합도를 높게 느끼는 경우에는 현 일자리에 대한 높은 만족도, 68.6세 이상의 은퇴계획연령이점진적 은퇴의 선택요인이었다. 이를 통해 그 어떤 요인보다도 중고령자의 직업환경과구직환경, 그리고 계획한 은퇴연령이 주요한 영향요인임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은퇴계획연령의 경우 현재 평균 퇴직연령인 52.6세 및 법상에서 명시된 정년연령인 60세와도차이가 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구축된 의사결정나무 모형의 우수성을 검증하기 위해 다항 로짓 회귀분석의 결과와 비교해본 결과 의사결정나무의 전체 에러율이 2.30%, 다항 로짓 회귀분석의 전체에러율이 5.40%로 나타나 의사결정나무 모형이 영향요인 도출 및 규칙 설명에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네 가지 종속변수의 실제값과 분석결과로 나타난 분류값간의 오차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 맥네머 검정(McNemar Test) 결과에서도 유의확률이 .000으로 의사결정나무와 다항 로짓 회귀분석의 분류 정확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통한 한국 중고령자의 점진적 은퇴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임은정(Eunjung Lim),정순희(Soonhee Jeong) 한국FP학회 2015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8 No.3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발표하는 『한국 고령화 패널 연구(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eing)』의 2012년 자료를 이용하여 모수적 가정을 하는 기존의 통계분석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의사결정나무 모형을 구축함으로써 한국 중고령자의 점진적 은퇴 결정요인 및 규칙을 도출하여 은퇴의사결정을 설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적의 의사결정나무 모형 구축 결과, 현 일자리에 대한 기술적합도를 매우 낮게 인식하고, 구직 시 제시되는 일자리의 적은 수입으로 인한 어려움을 덜 느끼며, 은퇴계획연령이 68.6세 이상 혹은 66.1세 미만인 경우 중고령자들은 점진적 은퇴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완전히 성장한 의사결정나무 모형구축 결과, 최적의 의사결정나무에서 도출된 매우 낮은 기술적합도, 적은 수입으로 인한 구직시의 어려움, 68.6세 이상 혹은 66.1세 미만의 계획된 은퇴연령의 요인 이외에도, 최종학력이 중졸이상이며, 지난해의 가구총소득이 1,100만원 미만인 경우 점진적 은퇴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술적합도를 높게 느끼는 경우에는 현 일자리에 대한 높은 만족도, 68.6세 이상의 은퇴계획연령이 점진적 은퇴의 선택요인이었다. 이를 통해 그 어떤 요인보다도 중고령자의 직업환경과 구직환경, 그리고 계획한 은퇴연령이 주요한 영향요인임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은퇴계획연령의 경우 현재 평균 퇴직연령인 52.6세 및 법상에서 명시된 정년연령인 60세와도 차이가 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구축된 의사결정나무 모형의 우수성을 검증하기 위해 다항 로짓 회귀분석의 결과와 비교해본 결과 의사결정나무의 전체 에러율이 2.30%, 다항 로짓 회귀분석의 전체 에러율이 5.40%로 나타나 의사결정나무 모형이 영향요인 도출 및 규칙 설명에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네 가지 종속변수의 실제값과 분석결과로 나타난 분류값 간의 오차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 맥네머 검정(McNemar Test) 결과에서도 유의확률이 .000으로 의사결정나무와 다항 로짓 회귀분석의 분류 정확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deriving determinants and rules of retirement process of the Korean middle-old aged and describing retirement decision-making by constructing a decision tree model from data mining techniques for complementing the limitation of the existing statistical analysis. The study used the data from the 2011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collect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constructing the optimal decision tree model, it showed that the middle to old aged selected gradual retirement in case that they recognized a very low technological suitability on the present job, did not have much difficulties from small income when they searched for a job and that they planned retirement age more than 68.6 or less than 66.1. Secondly, as a result of constructing a completely grown decision tree model, difficulties from small income during job search and planned retirement age more than 68.6 or less than 66.1 derived from the optimal decision tree. This revealed that above middle school graduates, individuals who had under 11 million won in the last year’s family gross income selected gradual retirement. On the contrary, individuals who felt a higher technological suitability, highly satisfied with the present job and who planned retirement aged more than 68.6 selected gradual retirement. It means that vocational and employment environments and planned retirement age are significant factors. Particularly, it was identified that the difference existed between planned retirement age and the current average retirement age or the retirement age by the law. Thirdly, in order to verify superiority of the constructed decision tree model, the results was compared with the findings of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It showed the total error rate was 2.30% for the decision tree and 5.40% for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So, it was identified that decision tree model is superior for deriving significant factors and explaining rules. Besides, McNemar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 of errors between the actual value of 4 dependant variables and the classification value from analysis. As a result, with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of .000, it showed that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lassification accuracies for the decision tree and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 한국형 가계재무비율 도출 및 가이드라인 제안

        양세정(Se-Jung Yang),주소현(So-Hyun Joo),차경욱(Kyung-Wook Cha),김민정(Minjeung Kim) 한국FP학회 2013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6 No.3

        본 연구는 한국 가계의 건전성과 성장성을 평가하기 위해 장?단기적인 관점에서 필요한 가계재무비율을 도출하고 각각의 재무비율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과 실무전문가 심층인터뷰 및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로써 이론적, 실증적, 경험적 근거를 바탕으로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도출된 한국형 재무비율은 단기적 관점과 장기적 관점, 그리고 건전성과 성장성 요소를 고려하여 가계수지지표, 비상자금지표, 부채부담지표, 보장성보험준비지표, 저축 및 투자성향지표 등 5개 영역의 지표군을 선정하였다. 이 중 부채부담지표군은 현금흐름측면에서의 부채부담지표(총부채상환지표, 소비생활부채상환지표, 거주주택마련부채상환지표)와 자산부채측면에서의 부채부담지표(총부채부담지표, 거주주택마련부채부담지표)로 구분하였다. 또한 저축 및 투자성향지표 역시 현금흐름측면(총저축성향지표, 금융투자성향지표, 노후대비저축지표)과 자산부채측면(금융자산비중비표)으로 구분하여 제시되었다. 선행연구 고찰과 실무 및 학계 전문가의 서베이와 FGI, 그리고 심층인터뷰를 통해 각 재무비율의 준거기준을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계수지지표(총지출/총소득)의 준거기준은 70% 이하, 비상자금지표(유동성자산/총지출)는 4~6배, 총부채상환지표(총부채상환액/총소득)는 30% 이하, 소비생활부채상환지표(소비생활부채상환액/총소득)은 10% 이하, 거주주택마련부채상환지표(거주주택마련부채상환액/총소득)는 20% 이하, 총부채부담지표(총부채/총자산)는 40% 이하, 거주주택마련부채부담지표(거주주택마련부채잔액/총자산)는 30% 이하, 보장성보험준비지표(보장성보험료/총소득)는 8~10%, 총저축성향지표(총저축/총소득)는 30%이상, 금융투자성향지표(금융투자저축/총저축)는 30% 이상, 노후대비저축지표 (노후대비저축/총저축)는 50% 이상, 금융자산비중지표(금융자산/총자산)는 40% 이상이 준거기준으로 도출되었다. 이 중 가계수지지표, 비상자금지표, 총부채상환지표, 소비생활부채상환지표, 총저축성향지표, 금융투자성향지표는 연령별 준거기준을 제시하였다 The financial ratios have served as reference points for evaluating household economic status and setting financial goals in financial planning proces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view and renew the guidelines of financial ratios for Korean households considering social and economic changes. For this study, financial ratios in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nancial planners and the professors in the field to evaluate and develop financial ratios definitions and guidelines. In-depth interviews from leading experts in the field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financial ratios from previous steps. The ratios were categorized into five groups such as household surplus ratio(savings ratio), emergency fund ratio, debt burden ratio, risk protection ratio, and investment ratio. The specific guideline for these ratios were as follows: living expenditures/total income( < 0.7) as a household surplus ratio, liquidity assets/living expenditures (4.0~6.0) as emergency fund ratio, debt payment/total income( < 0.3), consumption debt payment/total income( < 0.1), housing debt payment/total income( < 0.2), total debt/total asset(<0.4), total housing debt/total asset(< 0.3) as debt burden ratios, protection insurance payment/total income(0.08~0.1) as a risk protection ratio, total savings/total income( > 0.3), investment/total saving( > 0.3) as investment ratio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