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제어프로파일링 및 동시출현주제어분석을 통한 한국의 프랑스학 연구 학회들의 정체성 분석

        배진아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22 프랑스문화연구 Vol.55 No.1

        본 연구는 데이터마이닝 기법의 하나인 NodeXL을 활용하여 한국불어불문학회, 한국프랑스문화학회,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에서 2015년 이후 출간한 935편의 논문들의 주제어를 분석했으며, 이를 통해 각 학회의 연구 정체성에 대해 살펴보고, 학회 간 유사도를 분석함과 동시에, 학회 간 공통으로 연구된 주제어들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고빈도 출현단어 분석에 있어서 세 개의 학회는 각 학회가 추구하는 학문 영역과 일치하는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도 분석에 있어서는 전반적으로 세 학회 간 유사도 수치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학회별로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해석된다. 동시출현주제어분석을 통해 학회 간 공통연구 주제를 분석한 결과, 세 학회는 프랑스어 교육학, 프랑스 언어학, 문학, 문화 및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통된 주제어를 바탕으로 연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L’objectif de cette étude est d’examiner les identités de recherche des sociétés liées aux études françaises, d’analyser les similitudes entre les sociétés et d’examiner les mots-clés communs étudiés entre les sociétés. À cette fin, les mots-clés de 935 articles publiés depuis 2015 par la Société coréenne de langue et de littérature française, l’Association culturelle Franco-Coréenne et la Société coréenne d’enseignement de langue et littérature françaises ont été collectés et analysés à l’aide du programme NodeXL. À la suite de l’analyse, il a été constaté que les mots-clés à haute fréquence de chaque société correspondent au domaine académique poursuivi par chaque société. Dans l’analyse de similarité, la similarité entre les trois sociétés n’était pas relativement élevée, ce qui a été interprété comme le maintien de l’identité de chaque société. Enfin, il a été constaté que les mots-clés communs dans les trois sociétés étaient dans différents domaines tels que le FLE, la linguistique, la littérature, la culture et l’art français.

      • KCI등재

        Les apprenants sud-coréens de FLE et leur propre culture: une relation dissymétrique au niveau secondaire

        김진하(Kim Jin-Ha)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21 프랑스문화연구 Vol.51 No.1

        한국 고등학생은 무엇 때문에 한국에서 프랑스어를 배우는가? 한국문화에 대해 그들은 무엇을 어떻게 프랑스어로 말할 수 있는가? 이런 물음들은 한국의 프랑스어 교육에서 한국 상황에 맞는 문화 내용과 상호문화적 태도에 대해 고려하도록 이끈다. 하지만 교육부의 교육과정에는 문화를 비교하여 교육한다는 목표가 제시되어 있지만 한국인 학습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상호문화적 요구를 반영하는 교과서들은 거의 없으며 또한 대학입학수학능력시험에서도 출제되지 않는다. 그런데 외국어 학습자의 주체성은 타자의 발견과 동시에 자기 성찰에 대면한다. 관건은 중등학교의 프랑스어 교수-학습 안에서 프랑스문화와 한국문화 간의 비대칭적 관계를 넘어 대칭적 균형을 만드는 것이다. 자기 문화에 대해 외국어로 말하는 것은 자기 문화를 외국어로 해석하는 능력에 기반을 둔다. 우리나라 중등수준의 FLE 교육에서도 프랑스의 문화 지식을 배우는 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 문화를 해석하고 표현하며 상호문화적 이해를 배워야 한다. Si l’on prend en considération le rapport contrasté entre la culture cible et la culture propre de l’apprenant, il accuse un certain retard dans la situation pédagogique de l’enseignement du FLE en Corée du Sud. Bien que la méthode communicative et l’approche actionnelle se justifient aujourd’hui dans le contexte d’ouverture et d’échanges entre la Corée et la France, il faut reconnaitre un certain oubli et manque d’envisager l’aspect culturel et la reconnaissance de soi chez les apprenants de FLE. Autour de la contextualisation dans la didactique du FLE, il serait surtout utile d’employer l’expression décalage horaire entre l’Occident et la Corée du Sud. Si l’on considère l’évolution des didactiques des langues étrangères, il reste toujours un fossé entre les deux pratiques. Tous les éléments, les enjeux et les circonstances qui conditionnent la création du renouveau didactique en FLE sont conçus de manière très éloignée de la péninsule coréenne. Cependant, en Corée du Sud, la France et la langue française sont très présentes dans tous les secteurs culturels, du savant au quotidien, bien qu’elles soient enfermées dans des images fantasmées. Les images de la civilisation française sont toujours illusionnaires et les représentations en sont stéréotypées en Corée du Sud notamment lorsqu’il s’agit de faits historico-culturels. C’est pour cette même raison que même dans l’enseignement du FLE, les images de cette France fantasmée n’échappent pas à la règle, comme on l’a vu longtemps déjà depuis la méthode Cours de langue et civilisation françaisesG. Mauger, Cours de langue et civilisation françaises, Paris, Hachette, 1967. de G. Mauger. Cependant, on ne peut pas nier le changement des objectifs et l’évolution de la didactique des langues étrangères sur cette question. Et la notion de culture à l’instar de la civilisation s’est imposée graduellement dans le curriculum coréen. Ainsi, aujourd’hui, le terme « culture » est l’un des plus usités et prend le premier rang dans les objectifs de l’enseignement du FLE. Enfin, la culture et son enseignement semblent être au cœur de l’enseignement du FLE en Corée du Sud. Et il va sans dire que les textes en prose littéraire, très prisés dans Mauger, sont remplacés par des dialogues du quotidien et que les thèmes des dialogues tournent autour de la vie de tous les jours dans le cadre de la culture quotidienne. Toutefois, les items culturels sont décrits de manière très floue et confuse dans les manuels scolaires coréens. Les termes concernés font l’amalgame d’éléments culturels issus de diverses sections. De plus, alors que la comparaison culturelle entre la France et la Corée prend de l’importance dans le curriculum, les éléments concernés sont tout à fait absents des textes de dialogues et/ou de présentations. Surtout en ce qui concerne la culture coréenne dans les situations présentées, on ne peut trouver que des noms et prénoms coréens pour les personnages qui, seuls, démontrent de manière neutre une certaine rencontre entre Coréens et Français. Il s’agit donc de demander aux apprenants coréens de dire leur propre culture en français. Mais quoi et comment parler de sa propre culture en français langue étrangère ?

      • KCI등재

        Expériences vécues à Busan

        Hubert SEVIN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05 프랑스문화연구 Vol.10 No.-

        부산이라는 곳은 호기심을 자극하는 도시이기는 하지만, 한국이라는 나라는 언뜻 보기에 그렇게 매력적인 나라로 비춰지지 않고, 진정으로 한국을 이해하는 외국인도 드문 것이 사실이다. 우선 한국인의 사고방식은 서구인의 그것과는 완전히 다르다. 특히 종교가 한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한데, 점점 더 그 세력을 확장하고 있는 기독교에도 불구하고 불교는 특히 중요하다. 한국의 중요한 명절인 추석과 설날도 다분히 종교적인 면이 강하다. 전통은 특히 한국과 그 주변국과의 관계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중국과 일본이라는 거대한 나라 사이에서 잊혀진 한국은 이 두 거인들과 경쟁하기 위해 역동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한국에서의 여가 활동 역시 놀라운 면이 많다. 수많은 사람들이 등산을 즐기는 것도 놀랍지만, 더욱 특이할만한 것은 바로 낚시이다. 엄청난 사람들이 주말에 낚시를 즐기고, 심지어 TV 채널 중에는 낚시 전문 방송이 있을 정도이다. 이에 반해 젊은이들은 시골 생활에 매력을 잃고, 점점 더 도시 생활에 매료되어 간다. 또 하나 놀라운 것이 있다면 바로 한국 음식이다. 그 독특한 맛, 젓가락문화, 셀 수 없이 다양한 음식, 좌식 문화 등은 처음에는 외국인들에게 많이 생소하지만 곧 익숙해질 뿐더러, 한국 음식이 전세계 최고의 음식 중의 하나라는 사실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근로면에 있어서도, 그 리듬은 상당히 서구의 것과 대조적이다. 진행 중인 건설 현장, 24시간 내내 넘쳐 나는 차량, 프랑스의 주당 근로시간 35시간을 넘는 근로시간 등 한국은 늘 분주하게 돌아간다. 결론적으로 나는 음식 문화, 안정된 치안, 인정 많은 사람들이 공존하는 많은 장점을 가진 한국이라는 나라 안에 있는 부산은 그야말로 멋진 도시라고 생각한다. 불행하게도 한국말을 할 줄 모른다는 사실이 큰 장애였지만 말이다.

      • KCI등재

        서양문화에서 녹색에 투영된 상징과 편견: 프랑스 문화와 연극계를 중심으로

        임재일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22 프랑스문화연구 Vol.52 No.1

        Inconsciemment, nous savons tous qu’une couleur ne change pas, toutefois sa symbolique peut varier. Ainsi, dans la culture coréenne, le rouge implique différentes connotations. Depuis fort longtemps, traditionnellement, cette couleur symbolise certains aspects notamment du chamanisme. À partir du moment où les communards l’ont choisi pour couleur de leur drapeau, il a été plus spécifiquement associé à une idéologie politique. Cependant, avec l’apparition des Diables rouges, ces supporteurs de l’équipe de Corée du Sud lors de la Coupe du monde de football en 2002, puis l’adoption de cette couleur par certains partis conservateurs, certaines idées préconçues ont commencé à disparaitre. Ainsi, même si l’essence d’une couleur est immuable, les significations qu’elle véhicule peuvent varier à travers les époques. Dans la culture occidentale, le vert est réputé depuis des siècles comme une couleur à éviter. Ce préjugé, qui trouve son origine surtout dans la culture chrétienne, persiste et continue toujours plus ou moins à influencer bien des gens. Ce préjugé est courant non seulement dans le domaine de la peinture mais aussi ceux de l’architecture, de la mode et du théâtre. On lui octroie ainsi la responsabilité de certains problèmes techniques et donc une connotation étrange voir effrayante. En France, les préjugés vis-à-vis du vert prédominent dans le domaine du théâtre. En effet, jusqu’au 18ème siècle, les costumes des acteurs comportant du vert ne pouvaient être teints car la teinture verte ne tenait pas. Ils étaient donc nécessairement peints mais malheureusement avec des produits toxiques, contenant notamment du plomb et d’autres substances qui au contact de la peau pouvaient empoisonner les acteurs plus ou moins gravement et même les tuer. Le décès de Molière aurait été, dit-on, provoqué par un costume vert. La mort d’un tel auteur, si important pour le domaine du théâtre et même de la culture française, n’a fait que renforcer encore davantage cette superstition et les préjugés liés à la couleur verte. 색은 변하지 않고 고정불변한 것으로 이해하기 쉽다. 우리 문화에서 빨간색은 오랫동안 무속과 이데올로기 등 특정 주제를 상징하는 색깔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붉은 악마’의 등장과 일부 정당이 이 색을 사용하면서 그동안 이어져 온 편견에서 벗어나게 된다. 색은 그대로이나 사람들의 의식 속에서 색의 의미가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녹색은 서양문화에서 오랫동안 기피하는 색으로 알려졌다. 기독교 문화에서 비롯된 이러한 편견은 쉬이 사그라들지 않고 여전히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녹색은 구현하는데 여러 기술적인 어려움을 겪으며 기이하고 끔찍한 색으로 알려지게 된다. 이러한 편견은 회화뿐만 아니라 건축, 패션이나 연극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성향이다. 프랑스의 경우, 연극 분야에서 녹색에 얽힌 편견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근대까지 배우들은 독성이 있는 녹색 의상을 입었고 이 독성이 피부를 파고들어 배우들의 생명을 위협하였다. 몰리에르의 죽음에 얽힌 일화가 왜곡되어 마치 고전주의 작가가 녹색에 깃든 액운으로 인해 사망한 듯이 인식되었다. 연극이라는 한 장르를 넘어 프랑스 문화 전반에 걸쳐 차지하는 몰리에르의 위상이 녹색에 얽힌 편견으로 확대ㆍ재생산되는데 큰 영향을 미쳤음을 이해하게 된다.

      • KCI등재

        프랑스의 1990 철자법 개혁과 한국의 FLE 학습자를 위한 교육 방안

        박은미 ( Park Eunmee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24 프랑스문화연구 Vol.60 No.1

        본 논문은 1990년 프랑스의 철자개혁과 한국의 FLE 학습자를 위한 철자법 교육 방안에 관한 것이다. 프랑스어 철자개혁은 프랑스어 발음과 철자 사이의 괴리를 해결하기 위해 오랜 기간 변화해왔다.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승인에도 불구하고 1990년 철자법 개혁은 일부 교육자와 언어 전문가의 반대로 정착되지 못했고, 사용자의 소극적인 적용으로 실생활의 사용 빈도도 낮았다. 2016년 교육부가 모든 교과서에 개정된 철자법을 적용하면서 철자개혁의 적극적인 교육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의 FLE 학습자들이 프랑스어에 입문하게 하는 교재와 문법서에서의 출현 어휘와 이에 상응하는 철자법 규칙을 제공함으로써 철자법 교육에 대한 방안을 단계별로 제안하고자 한다. 1단계에서는 철자법 개혁의 목적을 강조하고 사전 이용 방법을 설명해야 한다. 변화의 핵심인 악상시르콩플렉스와 트레뒤니옹의 사용에 주의한다. 2단계에서는 일관적이지 않은 복합명사의 복수와 이중자음 단순화를 통해 간소화와 합리성을 추구하는 철자개혁을 강조한다. 3단계는 개정된 철자법의 권고사항을 자세히 설명하여 프랑스 철자법 개혁이 지향하는 바를 강조한다. Cet article traite de la réforme de l’orthographe française de 1990 et de la manière d’enseigner l’orthographe aux apprenants coréens de FLE. La réforme de l’orthographe française est en cours depuis longtemps afin de combler l’écart entre la prononciation et l’orthographe de la langue française. Bien qu’approuvée par l’Académie française, la réforme de l’orthographe de 1990 n’a pas réussi à s’imposer en raison de l’opposition de certains éducateurs et linguistes, ainsi que de la faible adoption par les utilisateurs. En 2016, le ministère de l’Éducation nationale a adopté l’orthographe réformée dans tous les manuels scolaires, stimulant ainsi l’enseignement actif de la réforme. C’est pourquoi nous proposons un plan d’enseignement de l’orthographe aux apprenants coréens de FLE, étape par étape, en leur fournissant le vocabulaire et les règles d’orthographe correspondantes dans les manuels et les grammaires qui les initient au français. L’étape 1 doit mettre l’accent sur l’objectif de la réforme de l’orthographe et expliquer comment utiliser le dictionnaire. Nous faisons attention à l’utilisation des vocalisations ‘accent-circonflexe’ et ‘trait d’union’, qui sont au cœur du changement. Dans l’étape 2, nous soulignons que la réforme vise à simplifier et à rationaliser en éliminant les pluriels incohérents des noms composés et en simplifiant les doubles consonnes. L’étape 3 développe les recommandations de l’orthographe révisée pour souligner les objectifs de la réforme de l’orthographe française.

      • KCI등재

        프랑스령 서인도제도의 해양 분쟁과 대륙붕 문제: 과들루프와 마르티니크를 둘러싼 해양경계획정과 대륙붕한계설정

        정남모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22 프랑스문화연구 Vol.54 No.1

        Le gouvernement de la République Française demande le 5 février 2009, les limites extérieures du plateau continental au-delà des 200 milles marins des lignes de base, au large des départements français d’outre-mer des Antilles, la Guadeloupe et la Martinique, auprès de la Commission des Limites du Plateau Continental (CLPC). Et le 19 avril 2012, le gouvernement de la République Française a reçu cette recommandation du plateau continental au-delà des 200 milles marins des lignes de base. L’objectif de notre étude est de répondre à cette question et révéler la problématique du plateau continental et le conflit territorial français en mer. Pour traiter cette question, nous avons choisi d’adopter un plan en deux parties: 1. “le conflit territorial des Antilles françaises” et 2. “les limites extérieures du plateau continental au-delà des 200 milles marins des Antilles”. Dans la première partie nous avons commencé par aborder les deux points suivants : 1) “l’histoire et le statut d’outre-mer dans les Antilles françaises”, 2) “Les eaux territoriales, le conflit territorial en mer et la ZEE des Antilles. En ce qui concerne la seconde partie, elle s’articule en deux chapitres suivants : 1) “La prétention du gouvernement français concernant des limite d’extension du plateau continental dans les Antilles françaises”, 2) “La recommandation du CLPC(CLCS) pour les limites extérieures du plateau continental dans les Antilles françaises”. 본 연구에서는 “프랑스령 서인도제도의 해양과 분쟁”과 “프랑스령 서인도제도의 대륙붕한계설정 문제”라는 주제를 통해 이 지역의 해양과 분쟁을 통시적 관점으로 고찰하고 또 대륙붕한계설정에 관한 현실적이고 시사적인 문제를 이해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먼저 “프랑스령 서인도제도의 귀속 배경과 해외영토의 지위”라는 주제를 통해 이 지역이 프랑스로 귀속되는 약사와 행정적 지위를 개관한다. 그 다음으로는 과들루프와 마르티니크의 영해와 해양 분쟁의 양상 그리고 배타적경제수역(이하 EEZ)을 둘러싼 해양경계획정에 관해 개관하면서 이 해역에 대한 이해를 제고한다. 2장, “프랑스령 서인도제도의 200해리 이원에 대한 대륙붕한계설정과 프랑스 정부의 주장” 그리고 “프랑스령 과들루프와 마르티니크의 대륙붕 외측 한계에 대한 CLCS의 권고”에서는 특히 CLCS가 프랑스 정부에 권고를 위해 적용한 기준과 기술⋅과학적 적용 방법을 고찰한다.

      • KCI등재

        프랑스-독일 합작방송 아르떼(ARTE)를 통해 본 문화 간 시너지

        최진철(CHOI Jin Chul)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8 프랑스문화연구 Vol.38 No.1

        La chaîne de télévision ARTE qui se situe à Strasbourg, en France, ne dénote pas une approche négative comme celle des conflits mais une approche positive malgré la relation historique particulière qu’ont vécue la France et l’Allemagne. Aujourd’hui, le rôle des deux pays dans l’Union européenne est remarquable à travers des activités de collaboration telles que la radiodiffusion bi-nationale publique. En d’autres termes, la France et l’Allemagne ont décidé à partir d’une chaîne culturelle nommée « Arte » de se rencontrer et de mettre en place un laboratoire pour connaître les synergies culturelles entre les deux pays. Notre étude a pour but, au travers d’ARTE de comprendre les synergies interculturelles entre les deux pays, malgré les différences de culture, les façons de travailler etc. Dans notre article nous avons commencé par aborder la diversité culturelle, les différences culturelles, l’interculturalisme et finalement nous avons mis en évidence une “synergie interculturelle” en ce qui concerne la chaîne de télévision franco-allemande ARTE. En outre, nous avons pu confirmé que les membres français et allemands développent leurs compétences créatives en matière de résolution de problèmes et d’entreprise à travers un processus de négociation, de coordination et de coordination entre les cultures depuis 20 ans. Et l’organisation d’ARTE montre que la diversité culturelle doit faire face à un certain nombre de conflits et de conflits potentiels afin d’obtenir des résultats positifs en termes de créativité et de synergie.

      • KCI등재후보

        L'autonomie du français québécois

        SUH Duck-Yull(서덕렬)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09 프랑스문화연구 Vol.19 No.-

        퀘벡 프랑스어는 퀘벡 사회와 그 언어 공동체에 적응하고 살아가는 데 매우 중요한 자율성을 지닌 언어이다. 역사적으로 오랜 기간에 걸쳐 일어 났던 언어 분쟁에서 벗어나 오늘날 퀘벡 사회에서 자율적인 언어로서 더 나아가 다문화 사회통합을 위한 언어로서 확고한 언어 지위를 누리게 되 었다. 퀘벡 프랑스어는 프랑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델과 퀘벡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델 사이에서 더 이상 해체 되거나 양분되지 않은 완전하고 계층화 된 언어라 할 수 있다. 올바른 용법으로 인정된 모델과 함께 특별한 용법 도 지니고 있는 언어로서 문학적이고 시적인 층위에서 품위 있는 언어와 친숙하고 통속적인 층위에서 형식을 가리지 않는 언어의 총체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퀘벡 프랑스어 사용에 대한 총체를 기술하면서 그것들을 서 로 계층화시키고 자유자재로 구사하려고 노력하는 퀘벡 사람들만의 고유 한 언어 모델을 보여주고 있다. 퀘벡 사람들은 자녀들에게 되도록 프랑스어를 배우도록 권장하는 퀘벡 정부의 언어정책에 적극 호응하고 그러한 언어 환경을 함께 조성해 나감 으로써 자신들의 삶도 프랑스어 중심으로 영위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그 들은 프랑스와는 조금 다른 삶의 가치관과 나름대로 고유한 정체성을 갖 고 평등한 권리를 향유하는 프랑스어 공동체를 이루고 있다. 과거에 오랜 세월동안 경시되고 종속되어 왔던 언어 풍조에서 벗어나 퀘벡 프랑스어는 이제 국제무대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준 프랑스어에 가까 운 형태로 그 방향을 조금씩 선회해 가고 있다. 또한 퀘벡 프랑스어는 언 어로서 자가 조절과 동시에 프랑스어권 지역의 상호 이해 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완전하고 자율적인 언어 체계로서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이에 퀘벡 프랑스어는 다양성을 지닌 위대한 문화적 산물로 이제 무시할 수 없 는 언어적 실체로 탈바꿈하게 된 것이다. 어느 한 사회 집단에서 언어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서 의사소통 수단으로 공유되는 정체성을 이루게 된다. 두 세기 반의 투쟁의 역사를 거쳐 보전되고 강화되어 온 퀘벡의 정체성의 미래에는 어떤 변화가 올 것 인가? 퀘벡은 널리 공유되는 언어 정체성의 현실을 바탕으로 스스로의 단 일성과 특수성을 실현시키게 될 세계화의 흐름 속에 한층 더 시너지 효과 를 얻어 동화될 것이다. 퀘벡 프랑스어가 유럽에서 사용되고 있는 프랑스어와는 확연히 다른 모습을 갖도록 하는 데는 영어가 지대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다 른 언어 때문에 발생하게 되는 한 언어의 진화와 동화는 완전히 다른 두 가지 언어학적 현상으로 보아야 한다. 즉 언어는 진화되는 과정에서 다른 제 요소들과 통합 되면서, 동시에 동화적 역량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따 라서 퀘벡 프랑스어도 영어에 의해 동화력을 보이면서 영어와 끊임없는 유사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퀘벡 프랑스어가 영어에 의해 완전히 동 화되지 않고 나름대로 자율적이고 독특한 진화를 따르는 데 필요한 역동 성을 갖추고 있는가? 이러한 언어 진화가 가능할 수 있도록 조장하는 환 경들은 잘 이루어져 있는가? 이러한 의문들이 퀘벡에서 자율성을 지닌 언 어로서 프랑스어의 생존을 가늠할 수 있는 주요한 척도가 될 것이다. 경우에 따라 언어는 새롭게 태어나 그 나라 문화의 저변을 이루는 초석 과도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퀘벡 사람들이 퀘벡 프랑스어를 통해 언어 적 자율성과 효율성 그리고 용이성을 자연스럽게 느끼게 되는 것은 프랑 스어가 그들만의 고유한 언어로 새롭게 진화하여 태어났기 때문이다.

      • KCI등재

        프랑스어 의성어의 한국어 번역에 관한 연구: <아스테릭스(Astérix)>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희경,박진석,Maryse Catherine Bourdin,최내경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23 프랑스문화연구 Vol.56 No.1

        Ce travail consiste à analyser des exemples d’onomatopées tirés de la série de bande dessinée Astérix. Pour nous, les onomatopées sont des signes arbitraires, qui doivent par conséquent être traduits. Le coq ne chante pas de la même manière en français et en coréen, bien qu’on retrouve des traits communs phonologiques entre ces différentes onomatopées, et une certaine conventionalité demeure donc. Ce sont des mots ou des expressions qui restent dans l’ensemble fidèles au système phonologique de la langue où ils se situent. Comparée à la langue française, la langue coréenne comprend de nombreuses onomatopées, des mots qui sont à la fois des onomatopées et des idéophones, et des idéophones. Contrairement aux onomatopées qui miment le son, les idéophones décrivent une sensation, une forme ou un mouvement. Les idéophones sont développés dans la langue coréenne, ce qui permet de rendre la subtilité des nuances. Ce travail se divisera en trois étapes. En premier lieu, nous travaillerons sur l’aspect de la traduction en essayant de comprendre le rôle et les caractéristiques des onomatopées, utilisées dans la bande dessinée. Dans les vignettes, les onomatopées fonctionnent comme une phrase complète, accompagnée de signe d’exclamation sans les bulles et le cartouche. En second lieu, nous comprendrons le fait suivant : le traducteur ne choisit pas la stratégie de la traduction par l’emprunt, mais il traduit les onomatopées du français en coréen en essayant de recourir à l’exemple du type exclamatif + expression idiomatique ou aux onomatopées coréennes du type divers pour la compréhension des lecteurs. En troisième lieu, nous nous concentrons sur les exemples des onomatopées françaises qui se prêtent à la traduction en idéophones coréens. Selon nous, il est important de traduire les exemples des onomatopées utilisées dans la bande dessinée en tenant compte de la condition pragmatique et de la situation contextuelle pour la compréhension des textes par le lecteur. 이 연구의 목적은 만화 <아스테릭스(Astérix)>에 사용된 프랑스어 의성어가 한국어로 번역되는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의성어는 일반어휘와는 구별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의성어는 소리를 묘사하는 말로 감각적 표현 가치를 위해 사용되는 어휘 부류에 속한다. 프랑스어 의성어는 문학작품이나 소설보다는 만화에서 많이 볼 수 있다. 그리하여 의성어가 가장 많이 사용되면서도 정제된 예문을 보여줄 분석 자료로서 만화 <아스테릭스(Astérix)>를 선택하였다. 한국어처럼 의성어를 풍부하게 가진 언어도 드물지만, 프랑스어 의성어의 한국어 번역은 번역자에게 쉽지 않은 작업이다. 의성어는 실제로 사전에 등재되지 않았거나 사전에 등재되어 있더라도 사전적 용법과 다른 문맥에서 사용되기도 하고 형태의 변형이 상당히 자유롭게 허용되어서 비규범적 표기가 많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프랑스어 의성어가 한국어로 번역되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우선 의성어가 가진 의미 특성과 감각적 표현력의 가치를 알아보았고, 다음으로 프랑스어 의성어가 한국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한국어 의성어나 의성의태어, 의태어로 번역되는 사례를 차례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도착어 독자들의 이해를 위한 의성어의 번역에서 의성어가 가지는 특성과 표현력에 대한 이해와 함께 상황 의미와 맥락 의미를 고려하는 차원이 가장 중요하다는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한다.

      • KCI등재

        Typographisation de la langue dans le processus de formation de la langue nationale

        조태린(CHO Tae Rin)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5 프랑스문화연구 Vol.30 No.-

        이 논문은 국민어의 형성 과정에서 문어의 발달이 가장 기본적인 요건임에 주목하고 문법도구의 형성(grammatisation)과 함께 문어의 발달에 필수적인 활판 인쇄술의 발전(typographisation)이 국민어의 형성 과정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프랑스어와 한국어의 국민어 형성 과정을 통해 살펴보았다. 먼저 한국어로는 하나의 단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활판 인쇄술 발전'의 개념을 인쇄술(특히 활판 인쇄술)의 출현 및 확산과 함께 문어의 지평이 변화하는 과정으로 정의하고, 인쇄술의 발전이 문어의 대중화를 통해 가상의 공동체로서의 국민의 수립에 필수적인 국민어의 형성에 기여해 왔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근대 국민국가의 대표적 모델 중의 하나인 프랑스와 근대 식민지기 경험에도 불구하고 국민국가로의 성공적 발전 모델로 평가되는 한국을 대상으로 활판 인쇄술의 발전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한국에서의 활판 인쇄는 이미 12세기부터 시작되었고, 한국어의 활판 인쇄술 발전은 15세기부터 그 모습이 발견되었지만, 진정한 의미에서의 활판 인쇄술 발전은 훨씬 나중인 19세기 후반에 와서야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프랑스에서의 활판 인쇄술 발전은 한국보다 훨씬 늦은 15세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했지만, 16세기부터 곧바로 진정한 의미에서의 활판 인쇄술 발전을 가속화하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한국의 경우에는 19세기 이전의 활판 인쇄술이 한글이 아닌 한자 서적을 중심으로 적용되었고 한국어 문법서나 사전과 같은 문법도구의 형성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프랑스에서는 활판 인쇄술이 16세기부터 서유럽 공통의 로마자 알파벳으로 쓰인 서적을 중심으로 적용되었고 프랑스어 문법서나 사전의 발간도 함께 이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