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업재활사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박혜전,손관호,조주현 한국직업재활학회 2009 職業再活硏究 Vol.19 No.3

        This survey research was intended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in Korea. The Korean Society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KSVR) was established in 1991. This organization has been playing a significant role of expanding and developing various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However, the KSVR has not yet done research concerning the issues of professional vocational rehabilitation manpower. This study analyzes factors affecting professional developments levels and the confidential perception of their professional roles as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counselor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ir duties and satisfaction levels as a professional and to provide more specialized services by examining of characteristics of their current condition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duration of work period and the length of time spent for their rehabilitation clients had the biggest impact on the professional identity. Their perception of work efficiency tend to have much stronger when they work longer and spend more time with their immediate clients. Second,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report that they share their work responsibilities with their clients half and half, reflection the recent paradigm shift empowerment among person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is paradigm, services providers should focus more on the quality aspect of service delivery rather than one of the quantity so that disabled persons life changes can be occurred. Therefor, future research efforts should deal with rehabilitation client's self-determination and full participation aspects. Third,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fessionalism tends to be developed by participation and presenting papers at the conference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such as Korea Society Vocational Rehabilitation. Fourth,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anticipated and expected to have research topics of employment assistance programs, knowledge and skill areas of vocational assessment,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ies including other issues of roles function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본 연구는 한국직업재활학회를 통해 발급되는 자격증을 지닌 직업재활사를 대상으로 하여 직업재활사 특성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직업재활학회는 1991년에 창립되어 28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학회를 통해 배출된 직업재활사에 대한 분석연구는 한 번도 실시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동안의 직업재활사 특성을 분석함으로서 학회활동을 점검하고, 앞으로의 학회 활동의 방향을 결정짓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원의 특성으로 학부의 전공은 직업재활학이 67.8%로 나타나고 있으며, 현재의 직종도 직업재활사가 60.0%로 나타나고 있다. 하루 중 직업재활 업무에 보내는 시간은 8시간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내담자와의 직접 관계하는 시간은 1시간이라는 응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회활동에 관한 사항에서는 회원들의 학회활동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학회연수 강좌에 기대되는 내용으로 직업평가의 지식과 기술, 직업재활 관련 제도 ․ 정책에 관한 사항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재활에 관한 생애학습 환경에 관한 내용에서는 학습의 기회가 없다는 비율이 73.3%로 나타나고 있다. 직업재활 과정에서의 전문가와 내담자 간 책임의 비율은 50:50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회 연구의 우선순위에서는 장애특성별 직업재활과 직업재활 전문직의 교육체계, 직업재활 전문가의 전문성과 윤리로 나타나 직업재활사의 역할정립이 우선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직업재활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직업재활 근속기간, 내담자와의 직접적 관계 시간과의 비율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직업재활학회와 한국직업재활사협회의 역할정립 방안

        조성열,박종균 한국직업재활학회 2010 職業再活硏究 Vol.20 No.2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suitable roles and fun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the Korean Association of Rehabilitation Counselors as well as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the rehabilitation counselor certification system. The Korean Societ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which started in 1991 has certified approximately 3,000 rehabilitation counselors during the last 20 years and ha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ystem. However the title of rehabilitation counselor is not included in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Welfare Act's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n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Employment Promotion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Act's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For this purpose, research was done on related professional organizations such as Korean Societies and Associations of Social Welfare, Occupational Therapy, and Speech Therapy as well as to compare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certification system of the United States to find the efficient roles and functions of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of the Korean Societ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the Korean Association of Rehabilitation Counselor, to improve the defects of the rehabilitation counselor certification system and to seek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rehabilitation counselor‘s specialty. The short term goal is to find a solution to make n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long term goal is to enhance the reputation of rehabilitation counselors' founded on the law as a nationally recognized certification and suggests eventually to make public service personnels as a possible goal. 본 연구는 한국직업재활학회와 한국직업재활사협회의 역할 및 기능 모색과 직업재활사 자격제도에 대한 방향설정에 그 목적이 있다. 1991년에 시작된 한국직업재활학회는 20여년 동안 3,000여명의 직업재활사를 배출하고 장애인직업재활 발전에 많은 기여를 했지만 직업재활사는 장애인복지법의 ‘장애인복지전문인력’에도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의 ‘장애인직업재활전문요원’에도 들어 있지 않다. 이에 관련 단체인 사회복지, 작업치료, 언어치료 등의 학회와 협회, 그리고 외국 사례들의 비교분석을 통해 한국직업재활학회와 한국직업재활협회의 효과적인 역할과 기능, 직업재활사 자격제도의 개선점을 찾으면서 직업재활사의 전문성 확보방안과 직업재활의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단기적으로는 직업재활사 자격의 국가공인 방안을 모색하고, 장기적으로는 법률에 근거한 국가자격증으로 직업재활사의 위상을 제고하여 최종적으로 공직임용에 이르기까지 목표로 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직업재활실시기관의 연계방안연구

        나운환(Woon-hwan Na),정승원(Seung-won Jeong),이문정(Moon-jeong Lee) 한국직업재활학회 2004 職業再活硏究 Vol.14 No.1

        본 연구는 장애인 직업재활이나 고용은 여러 가지 요인들이 상호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가운데, 특별히 서비스 제공자들의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연계는 필수적이라는 전제하에 연계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로 문헌연구, 실태조사 등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부처의 직업재활업무를 통합하든지 아니면 상시적인 조정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현 제도에서 보완하는 방법으로 국무총리실의 장애인복지조정 위원회의 기능을 상시적인 조정역할을 할 수 있는 체계를 총리실이나 보건복지부에 마련하는 것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체계에 대한 분명한 역할분담이나 사례관리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지역체계가 연계형인 독일과 일본의 경우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재활실시기관과 행정과 지원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분류하고 전자는 체계를 다원화하여 장애인의 접근성을 확보하고 후자는 실시기관들과 연계를 강조하여 다원화되어 있지 않을 것을 볼 때 우리나라의 경우도 행정과 지원업무는 공단 지방사무소, 직접적인 직업재활서비스는 직업재활기금사업 수행기관이나 다른 장애인 기관들이 담당하게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직업재활서비스 연계모형은 관련 법률에 사례 관리체계를 마련하고 구체적인 사례관리방안에 대해서는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 한 현 체계에서는 우선적으로 장애인복지관의 직업재활센터나 장애인복지관을 직업재활 의 종합적인 서비스제공기관(중심기관)으로 두고 직업상담과 직무개발 및 배치는 장애인 복지단체와 공단지방사무소, 직업적응훈련과 보호고용은 직업재활시설, 확대평가는 직업 평가센터 행정적인 지원은 공단지방사무소로 역할분담 및 연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 과정에서 동일한 사례관리체계와 평가시 연계건 수에 대한 가중치를 취업확정과 동일한 수준에서 다룰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ethod of active partnership inter-agenc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agenc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surveying the real status partnership. The ultimate goal of partnership between vocational rehabilitation agencies is to more PWD into meaningful, remunerative employment and maximally independent living arrangement. As such, this study may include a broad array of possibles services and outcomes, such as, counselling, assessment, work-adjustment traning, skill-training, job development and placement, sheltered employment, supported employment, postemployment services, and assistant technology. The model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ir qualit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their service outcome data, and surveying in the real status partnership.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o establish a basic infrastructure for successful creation of job and en acting a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and a revision of the Disabled persons welfare Act and the Disabled persons Employment promotion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Act. Second, have got to building care management system and formulate a plan. Third, require to link inter-agency with as the central rehabilitation center.

      • KCI등재

        직업재활실습 관련요인과 예비 직업재활사의 전문성 간의 관계 구조분석

        최선아,나운환,이수용 한국직업재활학회 2016 職業再活硏究 Vol.26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actically determine what effects a vocational rehabilitation practicum and empowerment can give future specialist's performance when they build a professional identity. This study assumed that empowerment through a vocational rehabilitation practicum should be the potential factor effect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identity formation positively. For this purpose,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 finish their practicum in accordance with the qualification and course certification regulation. The survey data was collected by 250 undergraduate students that are supposed to graduate a 2 or 4 college of Rehabilitation. These students are required to take a practicum which the association approves nationally. The research used SPSS 23.0 and AMOS 23.0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first, individual factor, institution factor or supervision factor had no influence o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fessional identity, but university factor had a positive influence. Second, individual factor, institution factor and university facto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mpowerment, but supervision factor had no influence on the empowerment. Third, empowerment had a meaningful influence by individual factor, institution factor and university factor, but supervision factor had no influence. As a result, empowerment had a completely mediated individual factor, institution factor and university factor. Based on the findings, empowerment is important factor that affect specialt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s. 본 연구는 직업재활실습을 통한 임파워먼트가 예비직업재활사의 전문성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미치는 잠재적 요인이라는 가정 하에 직업재활현장실습과 임파워먼트가 직업재활을 전공하는학생들의 직업재활 전문성을 형성하는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탐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직업재활사 자격 및 양성과정 인증 규정에 의거 현장실습을 마치고, 학회가 인정하는 연수를 이수해야 하는 전국의 2, 4년제 직업재활전공학과를 졸업 예정인 학부생 400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하여 총 250명의 설문 응답 내용을 토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과 AMOS 23.0을 이용하여 직업재활실습과 전문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개인요인, 기관요인, 수퍼비전요인은 직업재활 전문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교요인은 직업재활전문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요인, 기관요인, 학교요인은 임파워먼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퍼비전요인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요인, 기관요인, 학교요인은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직업재활 전문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퍼비전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인요인, 기관요인, 학교요인은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전문성을 높여주는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직업재활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임파워먼트의 매개변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 서비스 개념 연구

        박희찬 한국직업재활학회 2010 職業再活硏究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in legal, bibliographical, practical aspect, respectively. Then, the study presented operational definitions of the ten services. For the purpose, prior related studi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were reviewed and presented ten components of services such as initial interviews,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ing, vocational assessment, eligibility determination, vocational rehabilitation planning, vocational training, job placement, employment, follow-up, and case closure. The study used consulting of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in developing draft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concepts. Also,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n appropriateness of the concepts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in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practically. Thus, the professionals could utilize the concepts to clarify in communicating about services each other, to understand documents fairly, and to strengthen the theory for rehabilitation case management. Further,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because of sophisticated concepts. The study suggested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analyse major concept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elaborate strategies and methods for concept analysis. 이 연구는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 서비스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직업재활 서비스 개념을 법적, 문헌적, 실제적 측면에서 검토하고, 조작적 개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 서비스 과정도에 의거하여 각 직업재활 서비스에 대한 개념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선행연구 검토, 경기도내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전문가들의 협의회 개최, 선정된 전국의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 실시 등이었다. 연구의 결과로 접수, 직업재활상담, 직업평가, 적격성 결정, 직업재활계획수립, 직업(적응)훈련, 취업알선, 취업, 취업후 적응지도, 종결의 10개 직업재활 서비스에 대한 개념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 서비스의 개념에 대한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직업재활 서비스 개념을 각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팀에서 보다 적절하게 이해하고 활용함으로써 직업재활 서비스 제공과정에 대한 적절성을 높이고, 이론적 실제적 토대를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증장애인 직업재활사업의 성과와 개선방안

        나운환 한국직업재활학회 2016 職業再活硏究 Vol.26 No.3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on improvement way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in Korea, making a comparison of government data and primary data as a part of measures to promote integrated employment of an individual with the most significant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ies, the improvemen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monitor and manage as a control tower. Second, it is need to integration between the support service for the most significant disabilitie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of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Third, it is necessary re-structure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Fourth, it is need to integrate Sheltered workshop’s evaluation. Fifth, it is need to expand the scope of support through networking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and unemployment policies. Sixth, it is need to introduce a system of priorit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Seventh, it is need to build a case management system. Finally, it is need to change awareness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and approach skills.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중증장애인 직업재활사업으로 분류되고 있는 직업재활시설운영과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사업, 중증장애인 직업재활지원사업, 장애인복지일자리 사업, 장애인생산품판매시설, 생업지원사업을 포함하여 중증장애인생산품우선구매사업 등을 대상으로 실태와 문제점 분석을 통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제시된 개선방안을 요약하면 첫째, 첫째, 중증장애인 직업재활사업을 전체적으로 모니터하고 관리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가필요하며, 둘째, 중증장애인직업재활 지원사업과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시설의 사업을 일원화 힐필요가 있으며, 셋째, 발달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사업의 체계를 정비할 필요가 있으며, 넷째, 직업재활시설 평가의 주체를 전환할 필요가 있으며, 다섯째, 중증장애인의 직업재활 문제를 실업대책사업과 연계하여 전체적인 지원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여섯째, 중증장애인 서비스 우선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일곱째, 사례관리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마지막으로 중증장애인 직업재활사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접근의 변화가 필요하며, 또한 직업재활사업은 광의적인 관점에서 보면 복지문제이지만 직업과 노동기본권이라는 권리와 기술문제이다. 직업재활사업의 전문화와 사업의 고유성을 인정하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비용편익분석을 통한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유형개편 전·후 성과 비교 : B지역 보호작업장을 중심으로

        이창희 한국직업재활학회 2014 職業再活硏究 Vol.24 No.3

        This study using B community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2008 and 2013 fiscal datainvestigated the impact of sheltered employment has on this community. The analysismethodology of this study was cost-benefit analysis. Net present value of the sheltered employment program was -704,735,000 won andcost-benefit ratio was 0.65 in 2008. But in the case of 2013, sheltered employment programnet present value was 90,799,000 won and cost-benefit ratio was 1.03. Therefore shelteredemployment program investment in communities gave a positive impact on society. Based on the result, future sheltered employment program policy directions are as follows. First,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sheltered employment by expanding investmentsshould increase the benefits of business. Second,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of thestaff should increase the number of personnel. Third, incubator system is needed for theenhancemen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capabilities. Forth, require the developmentof product item and the selling support. 본 연구는 보호고용사업으로 대표되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유형개편 이전과 이후에 대한 운영성과를 비교해봄으로써 직업재활시설의 운영 성과의 규모는 얼마나 되는지, 투입된 비용에 비해사회경제적 효과는 얼마나 나타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유형개편 이전부터 운영되어 오고 있는 B지역 10개 직업재활시설을 중심으로 2008년과 2013년 회계연도의 투입과 산출에 대한 비용-편익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2008년도 B지역 보호고용사업 성과는 순현재가치가 -704,735천원이며, 비용/편익 비율은 0.65로 나타나 사회경제적 효과가 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형개편 이후인 2013년의 경우 B지역 보호고용사업의 순현재가치는 90,799천원으로 나타났으며, 비용/편익 비율도 B/C.1로 나타나 유형개편 이후 보호고용사업의 편익 규모가 증가하여 보호고용사업에 대한 투자가지역사회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 향후 보호고용사업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향으로는 첫째, 직업재활시설에 대한 투자규모를 확대하여 보호고용사업의 편익을 증가시켜야 한다. 둘째, 보호고용의 투자 요소 중에서 가장 시급한 직업재활시설의 종사자 인원수를 늘여야 한다. 셋째, 직업재활시설 간의 편차를 줄이고역량이 낮은 직업재활시설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제도와 절차를 마련하여 인큐베이팅지원을 실시해야 한다. 넷째, 직업재활시설의 기초적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직업재활시설에서 생산할 수 있는 생산품목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하며, 생산품 판매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더불어 생산품목의 개발과 판매에 대한 지원과 관리를 담당할 컨트롤 타워 체계를 갖추어야 할 것으로 보았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직업재활시설 예산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박철현,나운환,이수용 한국직업재활학회 2013 職業再活硏究 Vol.23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view to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dget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of the nation's local governments and examining the determinants of the budget empirically. To this end, it selected the 2011 budget data about 158 local governments, wher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re established across the nation. The analysis on the influential factors in two areas: the budget rates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the budget levels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as conducted by using the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factors which would have an effect on the budget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re the budget rates of the previous year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terms of the incremental factor, the number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terms of the factor of welfare demand, and the population size in terms of the socioeconomic factor. The determinants of the budget level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include the financial independence in terms of the financial factor, income level and population size in terms of socioeconomic factor, the rates of the Basic Livelihood recipients and the number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terms of the welfare demand, and the budget rates of the previous year in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terms of the incremental factor, which are more various variables than the determinants of the budget rat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the central government can suggest the need for the budget support measure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factors as well as the budget reflection through the reassessment of efficiency and value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초자체단체의 직업재활시설 예산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결정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직업재활시설이 설치된 158개 기초자치단체의 2011년도 예산자료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직업재활시설 예산비율과 직업재활시설 예산수준 두 영역의 영향요인을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직업재활시설 예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점증적 요인의 전년도 직업재활시설 예산 비율, 복지수요 요인의 직업재활시설 수, 사회․경제적 요인의 인구규모였다. 직업재활시설 예산 수준을 결정하는 요인은 재정적 요인의 재정자립도, 사회․경제적 요인의 소득수준과 인구규모, 복지수요 요인의 기초생활수급자비율, 직업재활시설 수, 점증적 요인의 전년도 직업재활시설 예산비율 등으로 직업재활시설 예산 비율 결정요인 보다 다양한 변수로 결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앙정부는 직업재활시설에 대한 효율성과 가치의 재평가에 의한 예산 반영과 더불어 다양한 요인들의 특성을 고려한 예산 지원 방안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일본의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정책에 관한 일 고찰

        이미정 한국직업재활학회 2013 職業再活硏究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of Korea by comparing Japanese policy to resolution of Korean policy. Two countries share similar culture as well as disability related legal policy and the system. Both countries basically practice disability types and disability ratings system in service deliveries. This literature research focused on the philosophy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of Japan for the severely disabled. Mainly, its ideological change, details of the support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for the severely disabled, the delivery system for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for the severely disabled, and the human resources supporting the system. The research results discovered the following.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of Japan for the severely disabled has advanced under the influence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volving the UN and ILO. The basi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was influenced by normalization paradigm. Therefor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in Japan is practiced in community based services. The difference from Korea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is customized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for better services deliveries. The services are planed in accordance with disability types and degrees, and vocational training is systemized according to their competence. Even further, the role, function, and coordina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have been promoted to support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addition, to increase the employment rate and vitalize the employment services, rehabilitation specialist support and provide instruction to companies hir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Recently,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disability rating system Japan has been utilizing individualized assessment criteria to better support necessary services. To enumerate the merit of Japanese system, it is necessity to consider the different disability types and functional limitation to support vocational rehabilitation delivery system in Korea. The consideration of supporting system for companies hir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uld reviewed and remedy of any shortcoming. 이번 연구는 동양 문화권으로 장애유형과 장애등급이 존재하고, 법률체계가 유사한 일본의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정책을 고찰해 봄으로써 우리나라 직업재활 정책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내용은 일본의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정책의 변화과정,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정책의 지원내용,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정책을 위한 전달체계, 지원인력 등으로 문헌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일본의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정책은 UN과 ILO와 같은 국제기구의 영향을 받으며 발전하였으며 “노말라이제이션” 이념과 지역사회로의 전환을 기반으로 중증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추진하고 있었다. 우리나라와의 차이를 정리하면, 일본의 중증장애인 직업재활은 장애유형 및 장애정도에 따라 지원인력의 종류가 다르고 중증의 경우 지원시기도 최대 10년까지 지원하며 취업을 위해 생활부분까지 병행해 지원하고 있다. 또, 장애인의 능력에 따라 단계적으로 직업훈련을 실시하고 직업재활기관의 역할과 기능 및 연계가 법제화되어 있어 있으며 장애인의 직업재활과 더불어 장애인 고용사업체에 대한 지원과 지도를 병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중증장애인 직업재활사업을 위한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체계가 구축되어 있고 중증장애의 범위를 기존 장애등급은 물론 장애구분인정조사 결과를 토대로 새롭게 정의,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일본의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정책을 통해 우리나라는 중증장애인 직업재활사업에 대해 효율성과 효과성을 논의하기에 앞서 장애유형이나 장애정도에 따른 차이를 충분히 고려하고, 그에 따른 충분한 지원과 체계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 고용사업주에 대한 지도와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장애인 직업재활분야의 현황과 과제 -관련 법과 제도를 중심으로-

        조성열(Sung-yeol Cho) 한국직업재활학회 2004 職業再活硏究 Vol.14 No.1

        한 나라의 직업재활서비스를 규정하는 것은 관련 법과 제도이고, 이러한 법과 제도는 그 나라의 독특한 역사와 문화, 사회현상을 반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국가마다 차이가 있다. 할당고용제를 실시한 지 25년이 되어 가는 이 시점에서 직업재활제도가 그 동안 걸어온 길을 되돌아 보고 앞으로 가야할 길을 모색해 보는 것은 시의적절한 일이라 하겠다. 본고에서는 장애인 직업재활제도를 다룬 자료와 문헌연구를 통한 장애인의 직업 재활 관련 법과 제도를 고찰하기 위하여, 먼저 제2차 장애인복지발전 5개년 계획에 나타난 장애인 고용정책의 기본 방향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직업재활 정책으로서 할당고용정책과 보호고용정책 및 차별금지정책에 대하여 소개한 후, 직업재활체계와 기본원칙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직업재활 관련 법으로서 특수교육진흥법과 장애인복지법, 장애인고용촉진및직업재활법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 마지막 결론으로 우리나라에서 직업재활제도의 향후 전개방안을 제시하였다. Policy and laws which regulat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in a country are different from country to country as these systems reflect unique history, culture, and social issues of that country. At the point of 25 years of quota system has passed in Korea, it is meaningful to consider past history and future direc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ystem in our country. To study policy and laws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through rehabilitation materials and literature, this article examined basic direction of employment poli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wn in The Second Five Year Rehabilitation Pla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is article has also introduced quota system, sheltered employment, and discrimination legislatives on employment polic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policy and basic principl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have been introduced along with major issues of related legislatives such as Special Education Promotion Act, Welfare Ac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Employment Promotion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Ac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Finally future direc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in our country has been suggested as a concl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