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지형학 연구 -해안지형 일반-

        김성환 ( Sung Hwan Kim ) 한국지형학회 2012 한국지형학회지 Vol.1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한국의 지형학 연구에서 해안지형 일반주제에 대한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한국지형학회가 창립된 1990년대를 기준으로 전·후 기간을 구분하여 해안지형 일반 연구 경향을 파악하였다. 이 연구에서 해안지형 일반 연구 주제는 간석지와 해안단구를 제외한 해안지형 전반을 가리킨다. 1990년대 이후의 연구 경향은 총 5개 한국의 지리학 관련 학회지에 발표된 연구의 양적 성과와 주제별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해안지형 연구와 관련한 방법론적 측면을 지형변화 측정과 퇴적물 분석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해안지형 연구는 다른 지형학 연구 분야와 마찬가지로 1970년대를 전후하여 시작되었으며, 1990년대 이후 타 지형학 분야의 연구가 확대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활성화되었지만, 해안지형 일반 주제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에 이르러서야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해안지형 일반 주제에 대한 연구는 해안사구에 대한 연구와 해안 관리와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것은 해안환경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대두와 관련이 깊으며 추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해안지형 연구와 관련한 방법론 정리에서는 지형학계가 극복해야할 한계점을 검토하였다. 지형변화와 퇴적물 분석 측면 모두에서 형태동역학적인 연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방법론을 개선해야 하는 것이 주요 과제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research trends and issues of coastal geomorphology in general of Korea, which is divided into two periods; the former and later periods of 1990s when The Korean Geomorphological Society was established. In this study, coastal geomorphology in general refers to the landforms except tidal flats and coastal terraces.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5 major geography journals since 1990s were computed and these paper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main subjects. The methodology for coastal landform study was analyzed by sub-fields of landform change and sediment analysis. The study of coastal geomorphology in Korea started from around 1970s and has progressed significantly in terms of the scope and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since 1990s. There is few paper published in 1990s on coastal geomorphology in general, but so many research has achieved and came to be the major part of coastal geomorphology study since 2000s. Further methodology is necessary for morphodynamics study in the future.

      • KCI등재

        2013년 국제지형학회 학술대회 참관기

        변종민 ( Jong Min Byun ),성영배 ( Yeong Bae Seong ),윤순옥 ( Soon Ock Yoon ) 한국지형학회 2013 한국지형학회지 Vol.20 No.4

        8월 27일(화)부터 8월 31일(토)까지 5일간 프랑스 파리에서 국제지형학회 (Internatioal Association of Geomorphologist, 이 하 IAG)가 주 체 하 는 국 제 학 회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morphology)가 열렸다. IAG가 주관하는 학회는 총회가 함께 열리는 국제학회와 지역학회 (Regional Conference)로 구분되며 각각 4년을 주기로 개최되는데, 이번 학회는 2009년 호주 멜버른 국제학회 이후로 4년 만에 유럽에서 열린 것이다. 이번 학회에는 27개 세션에서 830개의 구두 발표와 981개의 포스터 발표 그리고 5개의 키노트 강연이 열려 전 세계의 지형학자들이 참가한 "올림픽"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물론 IAG가 영국과 프랑스 등의 유럽 지형학자들이 중심이 된조직이지만, 지형학과 연관된 다양한 국제학술대회 중에 미국과 유럽 외의 지형학자들이 가장 많이 참가하여 각 지역의 최신 이슈를 현지 연구자들의 시각으로 직접 들을 수 있는 소중한 기회였다.

      • KCI등재

        동해 무릉계곡의 지형관광자원 분석과 평가

        권동희 ( Dong Hi Kwon ) 한국지형학회 2013 한국지형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지오투어리즘 관점에서 동해시 무릉계곡의 지형경관자원을 조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관광콘텐츠와 탐방코스를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과정에서 총 29개의 지형경관이 관찰되었고, 이들은 크게 풍화지형, 산지지형, 하천지형, 구조지형 등 4개 단위로 구분 가능하다. 가장 비중이 높은 지형은 하천지형(13개)과 풍화지형(12개)이다. 현재 관광자원으로 이용되는 경관은 19개(14개 사이트, 19개 지형경관)이며 10개는 새로운 관광자원으로 발굴할 가치가 있는 지형경관이다. 발굴 가치가 있는 10개의 새로운 지형경관은 각각①잠룡바위, ②장기판바위, ③누룽지바위, ④담장바위, ⑤계단바위, ⑥흔들바위, ⑦접시바위, ⑧돌우물, ⑨조각바위, ⑩두부바위 등의 명칭을 붙일 수 있다. 지형 탐방코스는 접근도와 시간 등을 고려하면 3개의 코스 설정이 가능하다. 제1코스는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기본코스이며, 제2, 3코스는 시간적 여유가 있고 보다 활동적인 탐방객들이 이용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topographic landscape resources of Mureung Valley in Donghae-si from the viewpoint of geotourism in order to suggest the tourism contents and tour course. A total of 29 topographic landscapes were observed; these are broadly divided into 4 features including weathering landform, mountainous landform, fluvial landform, and structural landform. Major topographies are fluvial landform (13) and weathering landform (12). At least 19 topographies (14 sites, 19 topographic landscapes) are currently used as tourism resources, with 10 topographies having potential to be developed as new tourism resources. The 10 topographic landscapes are as follows: ① Jamryong Bawi (Hidden Dragon Rock), ② Janggipan Bawi (Korean Chessboard Rock), ③ Nurungji Bawi (Parched Rice Rock), ④ Damjang Bawi (Fence Rock), ⑤ Gyedan Bawi (Stairs Rock), ⑥ Heundeul Bawi (Rocking Rock), ⑦ Jeopsi Bawi (Dish Rock), ⑧ Dol Umul (Stone Well), ⑨ Jogak Bawi (Carved Rock), and ⑩ Dubu Bawi (Topu Rock). The topographic tour course can be divided into 3 routes considering accessibility and time. Route 1 is a basic one that anyone can easily use; Route 2 and 3 can be used by visitors who have more time to spare or who are more active.Abstract :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topographic landscape resources of Mureung Valley in Donghae-si from the viewpoint of geotourism in order to suggest the tourism contents and tour course. A total of 29 topographic landscapes were observed; these are broadly divided into 4 features including weathering landform, mountainous landform, fluvial landform, and structural landform. Major topographies are fluvial landform (13) and weathering landform (12). At least 19 topographies (14 sites, 19 topographic landscapes) are currently used as tourism resources, with 10 topographies having potential to be developed as new tourism resources. The 10 topographic landscapes are as follows: ① Jamryong Bawi (Hidden Dragon Rock), ② Janggipan Bawi (Korean Chessboard Rock), ③ Nurungji Bawi (Parched Rice Rock), ④ Damjang Bawi (Fence Rock), ⑤ Gyedan Bawi (Stairs Rock), ⑥ Heundeul Bawi (Rocking Rock), ⑦ Jeopsi Bawi (Dish Rock), ⑧ Dol Umul (Stone Well), ⑨ Jogak Bawi (Carved Rock), and ⑩ Dubu Bawi (Topu Rock). The topographic tour course can be divided into 3 routes considering accessibility and time. Route 1 is a basic one that anyone can easily use; Route 2 and 3 can be used by visitors who have more time to spare or who are more active.

      • KCI등재

        제주도 해안지대의 지형분류

        김태호 ( Kim Tae Ho ) 한국지형학회 2003 한국지형학회지 Vol.10 No.1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목적에 부합하는 해안 분야의 지형환경정보도를 제작하기 위하여 해안지형에 대한 계통적인 지형분류를 실시하고, 제주도의 부속도서인 우도 해안을 대상으로 분류 방안을 적용하여 지도화하였다. 지형분류는 생물과의 유기적 관계가 반영될 수 있도록 1차 분류는 형성과정과 구성물질을 기준으로 사질해안, 암석해안 및 인공해안으로 구분하였다. 2차 분류는 형태적 특성에 의하여 사질해안은 해빈, 사주, 사구, 암석해안은 해식애, 파식대의 5개 지형단원으로 구분하고 다시 형태를 이용하여 14개의 지형단위로 세분하였다. 3차 분류는 사질해안의 경우 구성물질의 입경과 성질을 기준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암석해안은 형성과정의 정도와 형태, 구성물질에 의하여 구분하였다. 우도 해안의 사례를 보면 분류도에 지형환경의 지역적 차이가 될 수 있으므로 분류도를 객관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정량적인 구분 기분이 필요하다. In order to compile a geomorphological landscape map for 2nd National Survey on theNatural Environment, coastal landforms are systematically classified, and geomorphological land classification is applied to the coastal zone of Udo Island around Jeju Island. Coasts are firstly classified into sandy, rocky and artificial coasts by the geomorphic processes and subsequent earth materials which have a primary role in an existence of animals and plants. Based up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es, landforms of sandy coast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such as sea cliff and shpre platform consisted of five units. The landform units are subdivided according to the size type of earth materials for sandy coasts and the geomorphic porcesses and morphography for rocky coasts, respectively. A geomorphological landscape map uf Udo Island represents a regional difference of coastal geomorphological environments, and then enables a user to understand its regional characteristics. It is, however, necessary to design a quantitative classification for an objective representation because the landforms of rocky coasts can be, in part, subjectively subdivided.

      • KCI등재

        동해안 포항~울산 해안의 바위지형경관 특성과 활용방안

        권동희 ( Dong Hi Kwon ) 한국지형학회 2014 한국지형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 과정에서 총 87개의 바위지형을 조사?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구지역 바위지형 중 가장 비중이 높은 것은 풍화지형(35)이며 다음은 화산지형(10), 해안지형(42), 구조 및 기타지형(9)순이다. 바위지형의 자원적 가치를 희소성, 학술성, 규모, 접근성 등의 항목으로 나누어 상, 중, 하 등 3개 등급으로 평가한 결과, 상위는 29개, 중위는 45개, 하위는 13개로 나타났다. 상위 등급 중에서도 최고점(19점)을 받은 최상위 지형은 삼정리주상절리, 콩떡바위, 상돌, 부채꼴주상절리, 떡시루바위 등 5개이다. 이 중 삼정리주상절리와 부채꼴주상절리는 현재 관광자원으로 활용되고 있지만 콩떡바위, 상돌, 떡시루바위는 일반인들에게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지형들이다. 최상위 5개 지형을 포함한 상위 29개 지형경관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재미있는 바위 이름 찾기 여행(가칭)’, 고등학생이나 대학의 지리학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지형 탐구 여행(가칭)’ 등 체험관광 프로그램의 기초적인 콘텐츠로로서 활용이 기대된다. In this study, total 87 rock formation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most observed landform out of researched rock formations is weathering landform(35%) and it was followed by volcanic landform(10%), coastal landform(42%) and structural and other landforms(9%) in order. In the result of evaluating the resource value of rock formations as high, medium and low considering scarcity, academic value, size and accessibility, 29, 45, and 13 formations were classified as high, medium and low respectively. Of the landforms on high level, the highest landforms which received the highest scores(19 points) were 5 regions: Samjeongni Columnar Joint, Kongddeok Rocks, Sangdol, Fan Shape Columnar Joint, and Ddeoksiru Rocks. Of them, Samjeongni Columnar Joint and Fan Shape Columnar Joint are being utilized as tourist attractions and Kongddeok Rocks, Sangdol and Ddeoksiru Rocks are little known to ordinary people. The 29 landforms which were classified as high level including the highest 5 landscape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basic contents for experience tourism program such as “Searching for the interesting rock name(tentative name)” targeting ordinary people or “Exploring topography travel(tentative name)” targeting highschool students or university students who major in geography.

      • KCI등재

        동강유역 생태, 경관보전지역의 지형경관 자원과 보전대책

        김장수 ( Jang Soo Kim ),장동호 ( Dong Ho Jang ),김성훈 ( Sung Hoon Kim ) 한국지형학회 2014 한국지형학회지 Vol.21 No.3

        이 연구는 문헌 및 현장조사를 통해 동강유역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지형·경관 자원을 조사하고 지도화 하였다. 이를 통하여 지형·경관 자원의 분포특성을 살펴보고 동강유역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지형·경관자원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방안 및 보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지역은 동강 양안의 하천지역 지형·경관자원과 평창군 한탄리의 고원형 카르스트지역 지형·경관자원, 연구지역 전역에 걸쳐 대소로 분포하는 석회동굴 지형·경관자원, 연구지역 경계의 산지지역 지형·경관자원 등 크게 4개의 지형·경관자원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들 지형·경관자원은 현재 관광객의 유입과 거주민의 편의성 확보를 위해 일부 훼손되거나 훼손압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1일 탐방객을 제한하거나 학술적 의미를 담은 안내판 설치와 같은 지형·경관 자원의 보전과 주민이익이라는 공동 이익 추구를 위하여 지형·경관 자원별로 맞춤식 보전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has focused on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analysis at the Dong-gang River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 Some appropriate maps have been created for this study.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at the Dong-gang River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and suggests a solution to manage and maintain the resources. The result has shown that the resources can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 The Dong-gang`s riverside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Pyeongchang-gun Hantan-ri`s plateau and karst area, limestone caves in various sizes throughout the entire study area, and the mountainous regions close to the study area boundaries. The study concluded that these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are partially damaged or likely to be damaged due to tourist inflow and also the quality of resident lives needs to be improved. Therefore, limiting the number of tourists entering the area or installing guides wh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academic importance of such resources are necessary in terms of maintenance. There is also a need for a customized solution according to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in order to secure benefits for the residents as well.

      • KCI등재

        지오투어리즘 관점에서 본 안데스 파타고니아와 아타카마의 지형경관

        박종관 ( Jong Kwan Park ) 한국지형학회 2013 한국지형학회지 Vol.20 No.4

        본고는 2012년 11월 14일부터 25일까지 10일간 남미대륙의 파타고니아와 아타카마 지역을 중심으로 한 안데스 산지를 답사한 후 그곳에서 관찰된 지형경관에 대해 지오투어리즘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파타고니아 지형경관은 칠레의 토레스델파이네 국립공원과 아르헨티나의 로스 빙하국립공원에서, 그리고 아타카마 지형경관은 칠레의 산페드로데아타카마를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파타고니아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융기율을 나타내고 있는 곳 중의 한 곳으로 위의 두 개 국립공원에는 반건조지형과 융기지형 그리고 빙식지형이 매우 잘 발달되어 있다. 특히, 파이네와 피츠로이 암봉군은 관입에 의한 화강암 빙식지형의 백미를 보여주고 있어 두 곳 모두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록된 곳이기도 하다. 한편, 아타카마 사막은 악지와 염호, 간헐천 등 사막과 화산경관이 공존해 있는 독특한 지형경관이 발달된 곳이다. 그 이유는 아타카마 사막이 산페드로데아타카마 동쪽의 화산호(弧)와 해성층의 융기로 형성된 대륙붕단 사이의 전호분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응결응회암 완사면, 선상지면 등으로 형성된 페디플레인이 곳곳의 페디멘트와 어우러져 건조지형의 전형을 잘 나타내 주고 있기도 하다. 파타고니아와 아타카마는 남미판과 태평양판의 충돌로 인해 형성된 안데스 산지가 만든 매우 다양한 지형경관이 발달된 최적의 지리여행지이다. This paper was made on the basis of geotourism to expla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tagonia and Atacama region in the Andes through 10-day fieldwork. The Patagonian landscape was focused on the Torres del Paine National Park, Chile and the Los Glacier National Park, Argentina; on the other hand, the Atacama morphological landscape was investigated around the San Pedro de Atacama. Many geomorphological features such as uplift, semiarid and glacier landscapes can be found in Patagonia, so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have an opportunity to enjoy these landforms by geotourism. Massive intrusive rock bodies of granite can be shown in those two National Parks declared a Biosphere Reserve by UNESCO. And, the Atacama Desert located on the forearc depression in the Andes, Chile has also many geomorphological destinations of arid and volcanic landforms; badland, pediplain, pediment, salt lake and geyser. Especially, huge pediplain is one of the greatest view points in the Atacama Desert. Patagonia and Atacama are the best geographical tourism sites to know diverse tectonic landforms made by the conflict between South American and Pacific plates.

      • KCI등재

        한국의 화산지형 연구

        김태호 ( Tae Ho Kim ) 한국지형학회 2011 한국지형학회지 Vol.18 No.4

        화산지형은 분화에 따른 건설적인 작용으로 만들어지는 화산체와 파괴적인 작용에 의한 화구지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반도에는 두 유형의 화산지형이 모두 출현하고 있으나 현재 화산지형으로 인식되고 있는 사례는 제4기의 분화활동과 관련된 백두산, 제주도, 울릉도 그리고 중부지방의 추가령 일대에 국지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그 결과 우리나라에서 화산지형은 특수한 지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해방 이후 국내 연구자에 의한 화산지형 연구는 제주도는 1970년대, 울릉도와 추가령은 1980년대 그리고 백두산은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또한 제주도의 오름과 용암동굴에 관한 연구도 198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지형학의 다른 분야에 비하여 연구자와 연구성과는 매우 적은 편으로, 한반도 화산지형이 갖고 있는 가치를 고려할 때 앞으로 지형학자들의 적극적인 연구활동이 기대되는 분야이다. Volcanic landforms are classified into the volcanic edifice produced through constructive processes of eruption and the crater generated by destructive processes of eruption. Both landforms are distributed around Korean Peninsula including attaching islands. However, only a few regions such as Mt. Baekdu, Jeju Island, Ulleung Island, and Chugaryeong, which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volcanic eruption occurred during the Quaternary, could be considered as a volcanic landform. It results in categorizing the volcanic landform as an unusual topography in Korea. The study of Korean researchers on the volcanic landform were regularized in 1970s on Jeju Island, in 1980s on Ulleung Island, and in 1990s on Mt. Baekdu, respectively. Oreums and lava tubes in Jeju Island have been also examined since 1980s. Compared with other fields of geomorphology, researches as well as researchers on the volcanic landform are very few in Korea. Geomorphologists are expected to perform an active research in that the volcanic landform of Korea have diverse values.

      • KCI등재

        한국의 지형 토양환경 정밀 지도화 방안에 관한 연구

        오경섭 한국지형학회 1996 한국지형학회지 Vol.3 No.1

        본 연구는 우리 나라의 1/2.5만, 1/5만 축적의 기본도에 지형·토양 환경에 대한 내용을 지도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는 국토 면적에 비해 많은 인구가 쾌적한 환경에서의 높은 수준의 삶을 영위하려면 어느 나라 보다도 국토이용의 합리성, 효율성이 극대화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전문가의 안목에서 파악되는 국토 전반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구축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에서 착수된 연구이다. 한국의 지형·토양 환경 지도화를 위한 시론적인 연구 성격을 지닌 본 연구가 의도하는 것은 대다수 관련 전문가들이 수긍, 합의할 수 있는 내용 체계와 범례가 구체화되기 위한 토의 자료 제공의 의미를 지닌다. 이를 위하여 지표 자연환경에서 지형과 토양이 지니는 의미에 대한 고찰, 이를 바탕으로 지도에 담을 내용은 어떻게 구성되는 것이 합리적인 지를 살펴보았다. 지형이 지표의 형태라면 토양은 이를 이루는 물질로서, 이들은 지표 자연에서의 물과 공기의 흐름을 규제하면서 생물활동의 터반을 이루는 지표 자연환경의 구조적 요소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지표 자연 환경의 체계에서 지형과 토양도 서서히 변화하고 있다. 지형과 토양은 지표의 형태와 물질로서의 정태적인 특색과 이들이 생성, 발달, 변화하는 동적 의미도 동시에 지니고 있다. 이 들은 정태적, 동적 모든 관점에서 서로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는 지표 자연 환경의 주요 요소이다. 이러한 지형과 토양은 위치와 장소에 따른 증·소기후, 수리 환경, 생태적 잠재력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케하는 구조적 지표이다. 지형·토양도는 한편으로는 지형과 토양을, 다른 한편으로는 각자의 정태적 특징과 이와 관련된 동적 상황을 연결시키는 모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입장에서 필자는 본 지도의 내용은 크게 지형의 유형, 이와 관련된 지형형성작용, 토양의 물질 구성 특색, 현재의 토양형성작용 경향과 관련된 네 종류의 정보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이는 지도의 복장성도 극소화하면서 지형·토양 환경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본적인 내용을 제시하는 내용 체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네 종류의 내용에 대한 범례를 만들 때 각 종류의 부호들은 서로 뚜렷이 구분 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각 증류의 내용이 지니는 상징성도 극대화하는 모습이어야 한다. This work concerns with the methodology of the morpho-pedological milieu maping in Korea, and intends to suggest available system of It's content, with cartographic strategy, through exmination about attributes and roles of landform and soil(in broad sense, or detritic superficial formation) in earth surface environment. Landforms and soils constitute the structure of earth surface environment. They manifest influence on the fluid(water and air) flow and biological activity, and change slowly by surface water and wind actions. They present not only static characteristic, but also dynamic aspect of geosystem. particularly of case of regional scale geographical space. Morpho-pedological milieu can be understood systematically by landform type, static. characteristic of soil In broad sense, actual morphogenesis and pedogenesis type. In order to obtain simultaneously simple and sytematic maps, the author propose the mapping contents composed of the informations about these four categories.

      • KCI등재

        지형패턴(Geomorphons)을 이용한 새로운 지형분류방법

        김동은 ( Dong Eun Kim ),성영배 ( Yeong Bae Seong ),손학기 ( Hak Gi Sohn ),최광희 ( Kwang Hee Choi ) 한국지형학회 2012 한국지형학회지 Vol.19 No.4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DEM을 이용한 지형분류는 중심 셀과 주변 셀과의 수치를 비교하기 때문에 그 결과 값이 분석반경에 민감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지형패턴(Geomorphons)을 이용한 새로운 방식의 지형분류 방법이 등장하였는데 이는 중심 셀과 주변 셀의 높이를 비교하여 그 패턴을 저장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형을 분류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형패턴 분류법을 이용하여 평창강 유역을 대상으로 지형을 분류 하였다. 분석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최근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지형분류방법 중의 하나인 Topographic Position Index(TPI)와 분석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미 기 구축된 하계망도, 유역도와 비교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하였다. 첫 번째로 지형패턴 분류법은 구축시간과 구축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중심의 지형분류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개방성을 이용한 패턴을 기반으로 지형을 분류하였기 때문에 스케일종속성(scaledependency) 문제를 상당부분 극복하였다. 이는 지형패턴에 기반한 지형분류방법이 기존의 지형분류방법들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계승하면서 기존의 방법들과는 다른 독특한 강점이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형패턴을 이용한 지형분류방법이 보다 다양한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이용되기 위해서는 현장답사를 통해 실제 지형과 분류된 지형이 일치하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Most of previous landform classification methods using DEM compares the values between the center of the cell and the surrounding cells, which in turn, greatly depends on analysis scale. To overcome the problem of scale-dependency, a new classification scheme is developed, which is called “Geomorphons”. Unlike the traditional approaches using DEM, Geomorphons is the way which compares the level with other cells against the criteria cell. As a pilot study, we classify the landforms of Pyeongchang-Gun in Korea. Then, we compare the result with the other methods such as Topographic Position Index. Through the systematic analysis, we obtain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Geomorphons can reduce the time for the classification of landforms because of using unsupervised classification. Second, Geomorphons is little dependent on change in the scale, which can provide a pilot tool for reconnaissance study for covering large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