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중세고고학 연구와 문헌사료의 활용

        김광철(Kim, Gwangcheol) 한국중세고고학회 2017 한국중세고고학 Vol.- No.2

        중세고고학이라는 용어와 그에 대한 이해도 이제 한국 고고학계와 역사학계에서는 어느 정도 익숙해진 것 같다. 그동안 중세고고학이라는 이름으로 그 연구의 필요성, 중세사학과 고고학의 소통과 융합을 강조해온 결과이다. 더욱이 한국 중세고고학 기초자료가 데이터베이스화되고 관련 연구 성과를 정리한 『한국 중세고고학 자료집성』이 간행됨으로써 중세고고학 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었다. 분묘유적, 성곽유적, 사원유적, 도자 연구 중심으로 고고학적 연구에서 문헌사료 활용의 양상을 검토한 결과, 전체적으로 문헌 사료 활용의 빈도가 높지만, 성곽유적 연구에서 사료의 활용 빈도가 가장 높고, 분묘연구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물론 연구 분야에 따라 문헌사료 확보량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중세고고학 연구에서 문헌사료의 활용방법은 사료를 먼저 제시하고 유적, 유물의 분석에 들어가는 유형과 분석과 해석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사료를 제시하는 유형이 있다. 문헌사료의 활용은 고고학 연구 분야에 따라 그 방법이 다르겠지만, 현황과 배경 서술에서 많이 활용되고, 해석의 단계에 해당하는 성격과 특징, 그리고 변화상을 조명하는 데에 관련 사료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중세고고학 연구에서 문헌 사료의 활용은 매우 중요하며, 역사학과 서로 소통하고 융합하는 것은 연구 성과의 질을 한층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문헌사료의 활용과 중세사학과의 통섭이 본래의 고고학적 연구방법에서 벗어나거나 왜곡하는 것으로 되어서는 안 된다. 문헌사료를 폭넓게 활용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이라 하더라도, 문헌사료의 입을 빌어 말하는 것이 아니라 유적 유물 등 물질자료 스스로 말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문헌사료의 역할은 물질자료 스스로 말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조언하는 선에서 그쳐야 한다. The term and understanding of medieval archeology is now somewhat familiar to Korean archaeologists and historians. It is the result of the emphasis on medieval archeology, the necessity of its research, mediation of medieval history and archeology, and its convergence. Furthermore, the Korean medieval archaeological data collection has been published and the results of the related research results have been published, thus creating the conditions for the medieval archaeological research to be revitalized. The number of medieval archaeological research results in Korea is 1,095 by 2011, and the number of research results for 6 years from 2012 to 2017 is 596. The research results of Korean medieval archeology seems to be led by the study of porcelain only by quantity. The next active area of research is the study of tombs. In the archaeological study, the utilization of the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 was examined in the research of tombs, castle ruins, temple ruins, and ceramics. Although the use of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 as a whole is high, the study of castle ruins has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and the use of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 in the study of Grave Relies is relatively low.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are often used to describe current status and background, and are actively using related diets to analyz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order to utilize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effectively, it is first required to secure a large amount of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of the Goryeo period, and to classify and sort them by field. Next, when using the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 it is necessary to constantly criticize the historical materials. In medieval archaeological research, the utilization of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is very important, and communicating and converging with history is a way to enhance the quality of research results. However, the use of medieval texts and the mediation of medieval studies should not be deviated from or distorted from the original archaeological methods. Medieval archeology is not a medieval history but an archeology, and the purpose and method of research as archeology must always be maintained. Even if it is desirable to utilize a wide range of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it should be possible to talk about material artifacts of the relics, not the mouths of documents. The role of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should be abandoned in a line that guides and advises the material data on its own.

      • KCI등재

        호남지역 고려사지의 가람배치와 조영적 특징

        조원창 한국중세고고학회 2022 한국중세고고학 Vol.- No.12

        In the Honam area, while there are temples that have continued since its foundation, such as Gurye Hwaeomsa Temple, Yeongoksa Temple, Haenam Daeheungsa Temple, Namwon Silsangsa Temple, and Gimje, Geumsansa Temple but there are also considerably temple sites that have been handed down. Among them, the Goryeo temple sites representing the Honam area are Hwasun Unjusa Temple Site, Namwon Manboksa Temple Site and Silsangsa Temple Site, Gangjin Wolnamsa Temple Site and Wando Beophwasa Temple Site. Also, The traces of Goryeo Temple Site can be seen in various places in Iksan, Mireuksa Temple Site, but it was excluded from the paper in that it was founde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re are various characteristics in the layout of Buddhist temple of Goryeo temple site in Honam area. The first is diversity. In other words, there are Pattern of Single Pagoda-Image Hall (one pagoda with one image hall), Two Pagoda- Image Hall (two pagodas with one image hall), Single Pagoda-Two Image Hall(one pagoda with two image halls), Single Pagoda- Three Image Hall (one pagoda with thee image halls) and No pagoda. In addition, the change of status through the location of the stone lantern, and among the three main temples, the use of the western part of the temple as a main Buddhist Temple, rather than the middle of the three temples, are characteristic elements that can not be foun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 Unification Silla period. Second, it is a large fence that can be seen in Wando Buddhist temple site. This can be judged by the fact that the outskirts of the temple is surrounded by a perfect square, which implies the history, functionality, and religiosity of the Goryeo Dynasty's War against the Mongolian Invasion, which can not be seen in the Buddhist temple site of the previous period. In particular, the fence, which is about 120-150cm, is so large that it is difficult to see it in other Goryeo temple sites.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Goryeo Temple Site in Honam area can be seen in Hwasun Unjusa Temple Site (Yonggang-ri Building site). This was identified as a Won<chamber院> in the late Goryeo Dynasty compared to the previously excavated ruins of Oeseonmi-ri in Uljin. In addition, there are considerably Goryeo temple sites in Honam area. However, most of them are limited to only a few part of the investigation, such as Yeongam Saja Temple Site, so it is not possible to examine the detailed the layout of Buddhist temple. Therefore, it is not easy to grasp the construction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Buddhist temple site, there are many things to think about at the excavation site than other ruins. In this regard, architectural archaeological participation is urgently required. 호남지역에는 구례 화엄사나 연곡사, 해남 대흥사, 남원 실상사, 김제 금산사 등과 같이 창건 이후 법등이 이어져 내려오는 경우가 있는 반면, 사지로 전해오는 것들도 적지 않다. 그 중에서 호남지역을 대표하는 고려사지로는 화순 운주사지, 남원 만복사지·실상사지, 강진 월남사지, 완도 법화사지 등을 들 수 있다. 물론 익산 미륵사지의 경우도 고려사지의 형적을 여러 곳에서 볼 수 있지만 이의 창건이 삼국시기라는 점에서 본고의 대상에서는 제외하였다. 호남지역 고려사지는 가람배치에서 여러 특징이 간취되는 데 첫 번째로 들 수 있는 것이 바로 다양성이다. 즉 일탑일금당식을 비롯한 쌍탑일금당식, 일탑쌍금당식, 일탑삼금당식, 무탑식 등을 살필 수 있다. 이 외에도 석등의 위치를 통한 위상 변화와 삼금당 중 중금당이 아닌 서금당을 주불전 등으로 사용하는 사례는 삼국∼통일신라시기 사지에서 볼 수 없는 특징적인 요소로 파악할 수 있다. 두 번째로는 완도 법화사지에서 볼 수 있는 대형의 담장시설이다. 이는 사찰 외곽을 완전 방형으로 감싸고 있는데 이전 시기의 사지에서 볼 수 없는 대몽항쟁이라는 역사성과 기능성, 종교성 등이 함축된 유구로 판단해 볼 수 있다. 특히 120∼150cm 정도 되는 담장체는 다른 고려사지에서 보기 힘들 정도의 넓은 규모에 해당된다. 마지막으로 호남지역 고려사지에서 살필 수 있는 특징은 화순 운주사지(용강리 건물지)에서 볼 수 있다. 이는 기존에 발굴된 울진의 외선미리유적과 비교하여 고려 후기의 원(院)으로 파악하였다. 이외에도 호남지역에는 고려사지가 적지 않게 분포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은 영암 사자사지와 같이 일부분에만 조사가 국한되어 자세한 가람배치를 살필 수 없다. 따라서 이에 대한 축조기법이나 특징들도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아울러 사지는 여느 유적보다 현장에서 고민할 것이 매우 많다. 그런 점에서 건축고고학적 참여가 시급히 요구되는 바이다.

      • KCI등재

        고고자료를 통해 본 신라 천주사(내제석궁)의위치와 성격

        양은경 한국중세고고학회 2023 한국중세고고학 Vol.- No.13

        Although the existence of Cheonjusa Temple (or Naejeseokgung), a royal temple of the Silla dynasty, has been identified based on a fragmentary record, no detailed research on the temple has been conducted to dat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istorical evidence, such as relics bearing the inscription “Cheonju” and other relevant artifacts, in order to ascertain the location of Silla’s royal palace, and to briefly examine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mple and the Buddhist practices of the royal house during the Silla Dynasty based on the name of the temple. First, based on an examination of various ancient relics including roof tiles and stone objects, it is assumed that Cheonjusa Temple was located due west of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both of which were located outside Wolseong Palace. Judging by the overall shape and manufacturing technique of the convex roof-end tile bearing the inscription “Cheonju, it is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sometime between the late Silla period and the early Goryeo period. In addition, a concave roof-tile with lotus design, which was discovered at the former site of Cheonjusa Temple, has been dated to the late sixth or early seventh century, which corresponds to the record stating that Cheonjusa Temple was founded during the reign of King Jinpyeong of Silla (r. 579-632). Second,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results of the excavation of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and of the records of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suggests that Cheonjusa Temple was located to the northwest of Jeongjeonji (Building Site A). In addition, the Naewontap Pagoda, which is mentioned in Samguk yusa, Volume 5 “Wolmyeongsa Dosolgajo (Song of Dosol or Maitreva Buddha by Buddhist monk Wolmyeongsa),” is estimated to have been located to the northwest of Jeongjeonji (Building Site A in the west) at the site of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Furthermore, it is assumed that Cheonjusa Temple was a formal Buddhist temple with a wooden pagoda, inhabited by Buddhist monks, where Buddhist ceremonies were held on a regular basis. Third, it is assumed that the temple was named “(Nae)Jeseokgung” because Jeseok, i.e., King Sakra or Indra, was worshiped there. However, its other name, Cheonju, is believed to have originated from a traditional faith whose followers revered the god of heaven (cheonju) in Korea. Based on references to the kingdom of Baekje’s Jeseoksa Temple and its royal palace in Iksan, the distance between Naejeseokgung (Cheonjusa Temple) and Wolseong Palace has been proven, and Cheonjusa Temple is now believed to have been a formal Buddhist temple where Buddhist events and ceremonies were regularly held. 단편적인 기록이지만 신라는 천주사(내제석궁)로 명명되는 내도량의 존재가 확인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구체적인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고는 “천주”가 표기된 유물과 관련 유구를 기준으로 그 소재지를 고증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아울러 寺名을 기준으로 신라 왕실불교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첫째, 기와와 석부재 등 고고유물을 기준으로 살펴 본 결과 천주사의 위치는 월성 외부이자 동궁과 월지 서편에 소재한 것으로 유추하였다. 근거자료로 제시한 천주명 수막새의 제작연대는 전체적인 형태와 제작기법을 기준으로 8세기, 천주명 암키와는 나말여초로 추정하였다. 또한 (전)천주사지 일대에서 수습한 연화문수막새는 6세기 후반~7세기 전반으로 편년되는 이유로 인해 천주사가 진평왕대에 건립되었다는 문헌기록과 서로 부합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동궁과 월지 유구의 발굴성과와 三国遺事 기록을 종합하여 고찰한 결과 천주사의 위치는 추정 정전지(A건물지)의 서북쪽 일대로 비정하였다. 다시 말해 三国遺事 권5 月明師兜率歌条에서 언급한 내원탑은 동궁과 월지의 정전지(서편 A건물지)를 기준으로 서북쪽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천주사는 목탑을 갖춘 정식 가람으로 승려가 거주하고 불교행사가 거행된 사찰로 해석하였다. 셋째, 천주사의 또 다른 이름이었던 제석궁은 제석을 모신 이유로 인해 사찰이름이 정해진 것으로 여겼으며, 천주사의 天主는 하늘을 경외한 전통신앙과 연결된 것으로 보았다. 또한 신라 왕실에서 강조한 천주사상은 불교신앙의 제석과 결합하여 새롭게 탄생한 우리나라의 특징적인 존재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신라 내제석궁(천주사)과 월성 사이의 거리는 동 시대 백제 제석사와 익산 왕궁의 관계에서 유사한 사례를 찾을 수 있었으며, 역으로 백제의 사례를 근거로 신라 천주사의 위치 추정안을 공고히 하였다.

      • KCI등재

        나말여초 분묘 변화에 대한 시론적 검토

        이희인(Lee Hee-In) 한국중세고고학회 2017 한국중세고고학 Vol.- No.1

        나말여초는 한국사에서 정치․사회․문화적 전환기로 묘제에도 큰 변화가 나타난다. 삼국시대의 고총고분이 소멸하고 새로운 문화가 등장하는 것이다. 분묘 문화의 전환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졌지만 분묘의 유형과 규모, 매장방식, 부장품 그리고 분묘가 가지는 사회 · 문화적 의미의 차이는 크다. 보수적인 묘제의 변화는 곧 당대의 사회 전반의 큰 움직임이 있다는 것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전환기 분묘 자료에 대한 이해는 대단히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해당 시기의 자료가 많지 않을 뿐더러 구체적인 고민의 예 또한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글에서는 나말여초기 분묘의 변화 양상을 시간적으로 8∼11세기, 공간적으로 중서부지역의 분묘 자료를 대상으로 시론적 검토를 시도하였다. 이 시기 묘제에서는 몇 가지 의미 있는 변화가 확인된다. 우선 종래의 석축묘(石築墓) 중심에서 토축묘(土築墓)로 변화가 시작된다는 점이다. 고려 초에도 재래의 석곽묘가 일반적인 묘제로 자리하지만 토광묘가 또 다른 분묘의 유형으로 등장한다. 이는 12세기 이후 토광묘가 보편적인 분묘 형태로 자리 잡는 변화의 출발로 생각된다. 매장풍습의 변화도 눈에 띈다. 다장(多葬)에서 단장(單葬)으로, 아울러 목관의 사용 증가가 두드러지는데 이는 제도화된 중국의 풍속과 사상의 영향으로 매장 관념의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나가서 분묘가 가지는 사회 · 경제적 함의가 달라진다. 나말여초 분묘는 이전 시기에 비해 분묘의 규모가 감소되고 점차 정형화 되는데 이는 무덤이 중앙과 지방, 지배층 내 우열관계의 표현보다는 이전 시기에 비해 보다 확대된 계층 내에서 사회․경제적 위치를 나타내는 물질 자료로 차츰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변화된 분묘의 성격은 부장품에서도 확인된다. 종래의 부장용 토기가 아닌 일상 생활용기 위주로 바뀌고 10세기 이후 통일신라시대 중앙 및 지방 관료의 상징으로 이해되는 과대(銙帶)의 부장 빈도가 감소한다. 나말여초기에 등장한 새로운 묘제의 흐름은 이후 조선 중기까지 큰 틀에서 이어진다. 이러한 새로운 분묘 문화는 고대의 고분 문화와 구분되고, 그러면서 조선시대까지 지속된다는 점에서 중세 분묘 문화로 부를 수 있을 것이다. 8∼11세기는 그 이행기에 해당되지만 본격적으로 중세 분묘 문화가 시작되는 시기는 묘제의 새로운 경향이 확산되는 12세기경이 될 것으로 본다. A transition in Korean history and tomb culture occurred between the Late Unified Shilla Dynasty and the Early Goryeo Dynasty. The period in which this transition happened is called theNamal-Ryocho period. During this time, there was a gradual change in the tomb system. There were big differences of scale, burial goods, burial method, and social and cultural meaning of tombs in this period. It’s very important to study the Namal-Ryocho period to understand the tomb systems of the Han peninsula. In this study, the transitional appearance of the tomb system from the 8th to the 10th century in the mid-west area of Han peninsula will be examined. First, a change from stone tombs to earthen tombs started in this period. Earthen tombs (pit tombs) have been the main type of tomb type in Korean since the 12th century. Second, a change in burial ideology also occurred. This was influenced by systems and concepts of china. It changed the burial method from multiple burials to singular burials in the tombs of the Han peninsula. Third and most importantly, the implication of tombs during the Namal-Ryocho period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ancient ages. The meaning of tombs had gradually changed from an expression of superiority and inferiority in ruling class to social and indication of economic status in more expanded classes. This changed implication of tombs was reflected in types of burial goods. The new culture of tomb system that occurred in the Namal-Ryocho period lasted until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These new aspects of the tomb system can be called the ‘Middle Age Tomb System’ to distinguish it from the ancient age. However, a new trend of tomb system might have started in earnest in the 12th century.

      • KCI등재

        고려시대 장묘제(葬墓制)와 봉분(封墳)의 형태

        홍영의(Hong Youing Eui) 한국중세고고학회 2017 한국중세고고학 Vol.- No.2

        이 글은 고려시대 장묘제의 운영을 통해 중국 장묘제의 변천과정과 고려 장묘제도를 추적하고, 고려시대 매장 유형과 방식에서는 장례 방식과 분묘의 형태, 매장 방법과 유형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하여 고려 분묘의 외형인 봉분의 형태가 일반적으로 알려진 원형 봉분이 아니라 방형의 마렵분(馬鬣墳)임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나말여초기에 새로운 장묘제의 흐름 속에서 고려시대 유행하였던 방형 형태의 봉분인 마렵분은 적에도 관리의 분묘 조성과정에서 16세기까지 유행하였고, 이 시기부터 원형의 봉분과 혼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방형의 봉분인 마렵분은 주로 관인들이 선호한 분묘제이기 때문에 주로 석실분이나 석곽묘에 조영되었을 것으로 짐작되지만, 일반 서민층이 사용한 토광묘에 적용되었는지는 확실치 않다. 이 점이 고려 장묘제의 특징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이 과정에서 묘의 내부는 지배 신분이나, 경제력에 따라 달랐을 것으로 짐작된다. 따라서 오늘날까지 전국에 산재해 있는 방형의 마렵분은 중세 분묘 문화 특징의 징표로 볼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thesis, I studied the process of the change of the grave system in the Goryeo Era and looked at the funeral system and the form of the tomb, the method and type of burial of the age. By doing this, I would like to reveal that the sealed mound form of the Goryeo period is not a commonly known round shape but a rectangular horse"s mane tumulus(馬鬣墳). In the process of the creation of the tombs of the government official,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mounds that became popular in the Goryeo period prevailed until the 16th century. Until then, it was a mixture of circular and square pieces. The horse"s mane tumulus, which is a square-shaped mound, is mainly presumed by the officer, so it is presumed that it was mainly built by a chamber tomb(石室墳) or a Stone Coffin"s Tomb(石棺墓). However, it is unclear whether such forms have been applied to the Pit-tombs(土壙墓) used by ordinary people. This can be understood as a feature of the tomb of the Goryeo dynasty. In other words, the inside of the tomb is presume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ruling class and economic power. Therefore, it is a characteristic of the medieval period "s grave culture that the square – shaped sculptures scattered nationwide to this day. Therefore, the rectangular seal horse"s mane tumulus scattered all over the country to date can be said that characteristic of the tomb culture of the Middle Ages.

      • KCI등재

        강화 고려왕릉의 조사성과와 과제

        정해득(Hai Deuk Chung) 한국중세고고학회 2018 한국중세고고학 Vol.- No.4

        강화도로 천도한 기간 중에 조성된 고려왕릉은 진강산(鎭江山) 일대에 모여 있는데, 이것은 고려 왕릉조성의 전통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고려 왕릉은 검약하게 조성하던 전통이 있었으며, 북한학계의 연구에 따르면 3~4단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강화도에는 석릉(碩陵), 홍릉(洪陵), 가릉(嘉陵), 곤릉(坤陵) 등의 왕릉이 조성되어 있으며, 피장자가 밝혀지지 않은 왕릉급 고분이 위치하고 있다. 석릉과 가릉이 8각의 봉분인데 비해 곤릉과 능내리석실분은 12각으로 조성되어 있어 이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강화도에는 세조 창릉(昌陵)과 태조 현릉(顯陵)터가 있고, 희종 왕비 소릉(紹陵)이 있었다. 이와 함게 무신집정자 묘와 예장(禮葬) 대상자의 묘 등도 앞으로 확인되어야 한다. 강화도에 조성된 고려 왕릉은 봉분의 규모를 상당히 줄였고, 병풍석에 12지신상을 장식하지도 않았다. 이는 개경 환도(還都) 이후에 천장(遷葬)할 것을 고려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역사시대 유적의 해석은 역사기록물에 대한 면밀한 분석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고려사』 「배릉의」는 고려 왕릉의 공간구성과 관련하여 몇 가지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왕릉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을 마련하여야 한다. 이광연은 고려 왕릉에 대한 도상학적 분석을 통해 황금비와 금강비가 계획적으로 적용되었다는 사실을 밝혔다. 향후 고려 왕릉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방법에 더하여 보다 과학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Goryeo royal tomb, which was built during the Ganghwa period, is gathered around Jinjeong Mountain. This is related to the tradition of Koryo royal tomb formation. The royal tombs of Koryeo had a tradition of making scarce. The royal tombs of Koryo consist of three or four spaces. In Ganghwa-do, royal tombs such as Seog-reung, Hong-reung, Ga-reung, and Gon-reung are built. There is a burial tomb burial mound where the trainee is unknown. In contrast to the 8-angles of the Seog-reung and Ga-reung, the number of dolmens in Gon-reung and ReungNaeLy tomb are 12 angles, which requires a careful analysis. In Ganghwa-do, there are the temples of Seo-gong Chang-reung and Taejo Hyun-reung, and there is the So-reung of Queen Heejong, and the tombs of Musin rulers and the Grave of a senior bureaucrat should be identified. The royal tombs of Goryeo, which was built in Ganghwa Island, greatly reduced the size of the temple and did not decorate the 12-ji sinsang. This is thought to be due to considering the ceiling after the opening of the capital. Interpretation of historic relics necessarily requires careful analysis of historical records. 『GoryeoSa』「Bae-reung ui」 provide some important clues about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Koryeo Royal Palace. A standard should be established to judge whether it is a royal tomb. Lee Kwang-yun revealed that the Golden Ratio and the Geumgang Ratio were applied in a planned way through the iconographic analysis of the royal tombs of Goryeo. More scientific research is needed in addition to the archeological survey method of the royal tombs.

      • KCI등재

        조선시대 구들주거의 구조와 변천과정- 평택 고덕국제화계획지구를 중심으로

        김용호,이유진 한국중세고고학회 2023 한국중세고고학 Vol.- No.13

        As a result of the archeological surface survey of Pyeongtaek Godeok Internationalization Planned District, 36 sites of scattered relics were reported, and inspection thereon was carried out by 11 cultural heritage survey-specialized institutions over 10 years thereafter. Diverse remains of the past ranging from prehistoric times to medieval times were reported from the inspection of the project district, and it is those of the Joseon Dynasty that account for the largest number of the remains. 5,300-odd remains of the Joseon Dynasty were reported from 30 sites of scattered relics, 680-odd dwellings related to settlements from 20 sites of scattered relics, and 2,200-odd supplementary facilities (dug holes, storage holes, standing pole buildings) from 20 sites of scattered relics, respectively. They are remains of the largest scale from a single project district. Meanwhile, the mainstream of archeological research on gudeul in Korea has concentrated on primordial arguments, and has centered on particular periods. Although studies on periods after medieval times have also been carried out, they have limitation in that they investigated a particular class. The buildings or dwellings of the particular class are not useful for comparing and indicating the society due to their strong identity and indivisuality, whereas private houses of most people have representative natur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gudeul housing clearly and discern its transition process that continued up to modern traditional houses, by investigating gudeul dwellings of the Joseon Dynasty reported from the Pyeongtaek Godeok Internationalization Planned District that has rich data thereon. In addition, the Joseon Dynasty provides richer historical records and modern data than other periods because it is a period nearest to the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and so is also advantageous for mutual comparison. Gudeul dwellings of the Joseon Dynasty transited from a single room + partial floor gudeul or a single room + full floor gudeul in the former period to two rooms + full floor gudeul or two rooms or more + full or partial floor gudeul in the latter period. Further, gudeul dwellings increasingly accounted for the overwhelming number of housing, the conspicuous purpose of gudeul was spatial utilization, and the area of gudeul became wider as well. These changes may be attributed to the socio-political situation of those times and the change of natural climate. 평택 고덕국제화계획지구에서는 지표조사결과, 36개소의 유물산포지가 보고되었으며 이후, 11개의 문화재조사전문기관에 의해 10년에 걸쳐 조사가 진행되었다. 사업대상지구에서는 선사~중세에 걸쳐 다종다양한 유적이 보고되었는데 그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것은 단연 조선시대 유적이다. 조선시대 유적은 30개소 유물산포지에서 5,300여기가 보고된 것을 비롯하여 취락과 관련된 주거지는 20개소 유물산포지에서 680여기, 부속시설(수혈, 저장공, 굴립주 건물지)은 2,200여기가 상회한 것으로, 이는 단일사업지구에서는 최대규모이다. 한편, 국내 고고학에서 구들에 관한 연구의 주류는 시원적 논의에 집중되어 있으며 원삼국~삼국시대 등 특정 시기를 조명해왔다. 중세 이후의 연구도 미약하게나마 진행된 바가 있으나 특정 계층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시대를 아우르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특정 계층의 건물이나 주거는 독자성과 개성이 강하기 때문에 그 사회를 비교하고 대변하는데 유용하지 못하는 반면 대다수를 차지하는 민가야말로 대표성을 띠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의 목적은 민가의 범주 안에 속하는 조선시대 구들 주거에 관해 변천 과정을 간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더불어 조선시대가 현·근대와 가장 가까운 시기인 만큼 타시기에 비해 사료와 근대 자료가 풍부하여 상호 비교하기에도 유리한 이점이 있기 때문에 근대 재래가옥에서 나타난 구들을 검토하여 조선시대에서 근대로의 이행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연결고리를 찾고자 하였다. 조선시대 구들주거는 전기에 단실+편재구들 또는 단실+전면구들에서 후기로 갈수록 양실+전면구들 또는 양실 이상+전면·편재구들로의 이행이 된다. 또한, 점차 구들을 설치한 주거지의 수량에서 압도적인 차이를 보이게 되고 공간 활용의 목적이 두드러지며 면적도 넓어지게 되는데, 이와 같은 변화의 결과는 당시 사회·정치적 상황과 자연기후의 변화 등 양자를 시야에 넣을 수 있었다.

      • KCI등재

        統一新羅 傳統의 高麗 初期 숟가락 硏究

        정의도(Jung Euido) 한국중세고고학회 2017 한국중세고고학 Vol.- No.2

        고려의 숟가락은 중국북방과의 교류를 통하여 변화하게 되는데 이번 글은 중국북방과의 교류 이전의 숟가락 사용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었는지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금까지 고려 전기-적어도 11세기 전반 이전- 석곽묘에 해무리굽청자완과 함께 부장되는 숟가락이 어떤 배경에서 비롯되었는가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그 숟가락은 다양한 기물과 함께 토광묘에서 주로 출토되는 단면 『S』자 형의 숟가락과는 분명히 양식적으로 구분되는 것이었다. 필자는 석곽묘는 통일신라의 전통 묘제로 판단하였고 아울러 숟가락 또는 식도구가 부장되는 전통이 이미 통일신라사회에 일부 계층에서나마 유행하고 있었음을 청주 용정동 통일신라시대 석곽묘에서 청동제국자가 출토되는 것이 반증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런데 이러한 전통은 결국 통일신라가 한화정책을 시행하면서 묘제의 변화와 함께 부장품의 변화도 일부 일어나고 있었고 이러한 변화의 진원지는 당이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말하자면 당나라의 전축분과 그 내부에 생활도구 일체를 부장하던 전통이 신라사회에 전래되어 박장으로 대표되던 장법이 일부 변화하게 된 것으로 보았으며 이러한 변화가 11세기경 까지는 고려사회에 통일신라의 전통이 계승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통일신라의 전통은 고려와 거란과의 갈등이 해소되고 거란사람들이 고려로 다수 유입되면서 11세기 중반 이후는 요의 영향을 강하게 받게 되어 숟가락의 형태도 변하게 되고 부장품의 내용도 변하게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생각해보면 요의 숟가락도 당의 숟가락을 계승한 것이고 통일신라의 숟가락도 당의 숟가락을 받아들인 것이지만 고려 초기의 숟가락은 당의 숟가락을 계승하여 요 스타일로 변화된 것이 아니라 통일신라 이래의 숟가락으로 보는 것이 고고자료를 검토한 결과이다. 이것은 고려 개국 이후 통일신라 이후 일부 계층에서 사용되던 숟가락이 그 사용 계층이 확장되고 사용하던 숟가락이 중국 북방과의 교류가 증가하면서 통일신라 전통에서 북방 스타일의 숟가락으로 변하게 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고려는 개국 초기에 발해의 멸망으로 요를 금수의 나라로 지목하면서 강한 적대심을 키워가고 있었고 또한 자국의 문화에 대한 정통성을 내세우던 상황으로 외부와의 교류에 의해서 자신들의 문화를 쉽사리 바꾸려고 하지 않았을 것이므로 이와 같은 숟가락 형태의 변화는 당시의 상황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Spoon of Koryeo era was changed through exchange with northern region of China and in this study, how spoon before such exchange was used was observed. For this objective, in what background spoon buried in stone-lined tomb together with Haemurigub Cheongjawan in early Koryeo - at latest before early 11c - was derived was reviewed. Such spoon was discriminated in pattern from cross sectional "S"-shaped spoon being mainly excavated from pit tomb together with diversified things. The writer considered that stone-lined tomb was a traditional tomb ritual in unified Shilla and a tradition of burying spoon or feeding product was popularized in some class of unified Shilla society was proved by bronze ladle excavated from stone-lined tomb during unified Shilla era at Yongjeong-dong, Cheongju. By the way, as unified Shilla implemented Hanwa policy, this tradition was eventually changed together with partial change of tomb ritual and grave goods and this change was presumed to be derived from Tang dynasty. So to speak, as a tradition of burying whole living things in brick-layered tomb of Tang was passed down to Shilla society, graving method being represented by Bakjang was considered to be partially changed and this change was handed down to unified Shilla as a tradition up to around 11c. However, as conflict between Koryeo and Georan was eliminated and a lot of Georan people was migrated to Koryeo and tradition of unified Shilla was strongly influenced by Yo from middle of 11c, shape of spoon and contents of buried goods were considered to be changed. Looking back,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reviewing archaeological data, it was learned that spoon of Yo and unified Shilla succeeded that of Tang but spoon of early Koryeo was not changed to Yo style by succeeding Tang spoon but remained as spoon since unified Shilla. This result is understood that since foundation of Koryeo, spoon being used in some class of unified Shilla was changed to northern region style from the tradition of unified Shilla as its using class was extended and exchange with northern region of China was increased. As an early stage of its foundation, as Koryeo harbored strong hostility against Yo by called it brutal kingdom due to fall of Balhae and they were hesitant in changing their own culture through exchange with outside world while claiming legitimacy for their own culture, change of spoon shape like this is considered to fully reflect the situation at that time.

      • KCI등재후보

        하남 동사지(河南 桐寺址) 가람배치에 관한 일고

        이승연(Lee, Seung-Yeon) 한국중세고고학회 2020 한국중세고고학 Vol.- No.8

        하남 동사지는 고려시대 절터로 사원의 창건배경이나 성격, 종파, 중창 및 폐사시기 등에 관한 기록이 확인되지 않았다. 1917년에 이루어진 고적조사를 통해 두 탑이 처음으로 보고 되면서 오랫동안 춘궁리사지로 불리다가, 1980년대 초반 석탑을 중심으로 ‘桐寺’명 기와가 수습되고, 1988년 일부 지역에 한해 발굴조사가 실시되어 ‘同寺’, ‘桐寺’명 기와가 출토됨에 따라 광주 동사지로 밝혀지게 되었다. 본 글은 하남 동사지와 관련된 조사·수리내용과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절터에 남아있는 석탑과 연관하여 고려 초기 오층석탑이 건립된 다른 유적의 탑 일원 가람배치를 비교해 봄으로써 기존에 제시되었던 동사지의 가람 배치안을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사원은 시간이 흐르면서 중심사역이 이동하기도 하고 , 새로운 전각이 건립되거나 중창·수리되는 등 다양한 변화를 겪게 되는데, 석조물 역시 이와 함께 위치를 이동해 가면서 새로운 가람배치 내에 중요한 구성요소로써 역할을 담당했음을 알 수 있다. 하남 동사지 중심사역의 배치는 오층석탑 건립 당시에는 단탑식 가람배치일 가능성이 높으며, 삼층석탑은 하층에 선대유구와 함께 존재했거나 후대에 이전해 왔을 가능성을 추정해 볼 수 있다. 그러나 간략한 조사정보만으로 추론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으므로, 향후 본격적인 정밀발굴조사를 실시하여 사역의 범위, 초창시기, 석탑의 원위치 여부와 가람변천, 건물지의 성격과 구조에 관한 해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Dongsa temple site in Hanam is a temple site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no historical materials have been identified, such as the background of the temple"s foundation, characteristics, religious sects, and the period of death. As the two pagodas were first reported in 1917, the temple site was long called the Chungung-ri Temple Site. In the early 1980s, roof tiles with the name of "Dongsa" were recovered around the stone pagoda. In 1988, excavation surveys were conducted in some areas, and roof tiles with the name ‘Dongsa’ were excavated, and it was discovered as the Dongsa Temple Site in Gwangju. This article examined the precedent research of the investigation and repair related to the Dongsa temple site in Hanam, and examined the layout of Buddhist temple in the early Goryeo Dynasty by comparing the layout of other sites where the five-story stone pagoda was built. As a result, the temple undergoes various changes over time, such as the relocation of the central area, the construction of new buildings, or the renovation of buildings. In addition, stone structures as well as important components within the new move, the position of the buiding layout. The layout of the central temple of the Dongsa Temple Site is likely to be a Single-Pagoda-Image Hall layout at the time of the construction of the Five-story Stone Pagoda, and the three-story stone pagoda can be estimated to have existed previous period or been relocated to later period.

      • KCI등재

        고려전기 분묘 출토 도자의 편년과 변화 양상

        남진주(Nam jin-ju) 한국중세고고학회 2017 한국중세고고학 Vol.- No.2

        이 글은 고려전기 분묘 출토 도자를 중심으로 고려전기 도자의 편년과 양상의 변화상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은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등 41개 유적의 분묘 166기에서 출토된 청자와 백자 등 자기 274점, 도기 118점이다. 분묘의 형태는 석실묘 2기, 석곽묘 126기, 토광묘 38기로 석곽묘가 80% 정도를 차지하나 석곽묘는 충청권에 집중되는 등 지역적인 편차가 존재한다. 유물은 기종과 특징에 따라 형식 분류를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순서배열법을 적용하여 편년과 특징을 좀 더 구체화 하였다. 그 결과 고려전기 분묘 출토 도자는 두 시기로 구분되었다. 먼저 1기는 고려 건국에서 전축요가 소멸되는 11세기 초로 편년하였고, 석실을 비롯한 석곽묘와 토광묘 등 다양한 형태의 묘제가 공존한다. 1기 분묘 출토 유물은 선해무리굽완과 과도기식 해무리굽완을 포함한 전축요 단계에서 제작된 접시, 잔, 유병 등 한정적이고 제한된 형태의 초보적인 청자류가 중심이 된다. 도기는 통일신라시대 토기와 금속기의 영향을 받은 병과 발 등 비교적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즉 1기의 도자는 통일신라시대 영향을 받은 도기와 중국 월주요의 영향으로 제작되기 시작한 자기가 완전한 기능 분화가 되지 않은 채 서로 공존하였고, 비교적 많은 양의 중국 청자류가 수입되어 사용되었다. 2기는 11세기 전반에서 후반까지로 한국식 해무리굽완과 변형 해무리굽완을 중심으로 좀 더 다양한 형태의 완, 접시, 잔이 제작되었고, 잔탁이나 주자 등 茶具의 생산량도 증가한다. 반면 도기류는 병과 같이 단순한 기종에 제한된다. 이것으로 보아 2기는 도기와 자기의 기능분화가 어느 정도 정립되었고, 자기의 생산량이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문양이 시문되는 예가 증가하는데 예를 들면 상단에 음각의 반원문을 돌린 후 하단을 깎은 연판문과 단순한 형태의 당초문이나 연판문이 음각되기도 한다. 이러한 변화는 제도의 정비, 수공업의 안정과 함께 다양한 도자의 소비층이 형성된 것에서 기인하였으며, 차문화의 확대 또한 다구의 소비를 촉진시키며 청자 생산의 원동력을 제공하였다. 국산 도자의 생산 증가는 자연스럽게 중국 도자의 수입을 줄어들게 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고려전기 분묘 출토 도자를 통해 고려전기 도자의 변화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trend of the ceramic in the early Goryeo based on the ceramics excavated from the tombs of the early Goryeo Dynasty. The subjects are 274 pieces of porcelain and 118 pieces of pottery such as celadon and white porcelain excavated from the 166th tomb of 41 ruins in Gyeongi-do, Chungcheong-do, Jeolla-do and Gyeongsang-do. There are 2 stone chamber tombs, 126 stone outer coffin tombs, 126 pit tombs. The stone outer coffin tombs showed the local standard deviation, accounting for approx. 80% in Chungcheong area. The artifacts were classified by type and feature, based on which, the sequence revealed by seriation method was applied more specifically to chronological forms and features. As a result, it was divided into two periods. The first period is chronologically estimated between the foundation of Goryeo and the early 11th century, and various types of tombs coexist, including a stone outer coffin tomb and pit tomb along with the stone chamber.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tombs in the first period are limited to a certain type of basic celadons such as plate, cup, and Yu-byeong(oil bottle), all of which were produced at the stage of brick-built kiln including the pre Haemuri-gup and transitional Haemuri-gup. Pottery shows a variety of forms such as bottle and feet affected by the earthenware and metalware of the Unified Shilla era. In other words, the porcelain of the first period coexisted with the pottery influenced by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porcelain by Yuezhouyao in China, not fully divided. Also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Chinese celadon were imported and used in such period. In the second period from the early 11th century to late Goryeo, a more variety of ceramics such as bowl, plate and cup were produced in form of Korean style Haemuri-gup and modified Haemuri-gup while the production of tea utensil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pottery is limited to a simple model like bottle. Referring to this trend, during the second period it is found that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pottery and porcelain was established to some extent and the production of porcelain increased. In addition, various patterns increasingly were engraved on the porcelain, e.g., the semicircle pattern engraved on the upper part, and lotus carved on the bottom, simple form of vine pattern or engraved lotus petal pattern. These changes stemmed from establishment of the new manufacturing system and a broad range of consumers, promoting the expansion of the tea culture as well as the consumption of tea utensils, and providing the driving force for celadon production. The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domestic ceramics has naturally reduced the import of Chinese ceramics. It was an opportunity to observe the changes of ceramics in the early Goryeo through the ceramics excavated from the tombs of the early Gorye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