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작업과학-가슴은 뜨겁게, 머리는 차갑게

        김지현 한국작업과학회 2018 건강과 작업과학 Vol.1 No.1

        이 글은 작업치료 철학과 작업과학에 대한 한국 작업치료인의 관심과 이해와 수용을 촉진하기 위한 논설이다. 작업치료인은 작업치료 직종의 철학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에서부터 직업인으로서의 그 내재적 전문성이 구축된다 할 수 있다. 작업치료 철학은 ‘인간은 작업적 존재이다’라는 대전제에 기초한 존재론과 직종의 지식을 성찰하는 인식론과 임상행동원칙을 정립하는 가치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업치료 철학을 살펴보다보면 자연스럽게 작업과학이라는 학문을 만나게 된다. 작업과학은 직종의 위기를 맞은 20세기 후반, 작업치료를 뜨겁게 사랑하는 선구자들의 철학적 성찰을 배경으로 출현하였기 때문이다. 작업치료 선구자들은 당시 직종의 전문지식에 대해 냉철하게 비판하기 시작했고, 작업치료 직종의 본질적, 필수적, 핵심적인 지식은 작업에 대한 지식이라는 인식론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철학을 배경으로, 작업치료를 위해 작업에 대한 지식을 생성해내는 학문인 작업과학이 탄생된 것이다. 이렇듯 작업과학은 작업치료사들에 의해, 작업치료학에서 파생된 첫 기초과학이다. 초기 작업과학은 작업적 본성을 지닌 인간과 인간의 작업에 대해 탐구하는 기초 사회과학 학문으로 태동하였고, 오늘날에는 인간-작업-건강-환경의 관계를 탐구하는 인간과학으로 성장 발전하였다. 작업과학은 작업치료를 옹호하고 사회의 작업적 건강을 지원한다는 따듯한 목적을 가졌으나, 그 기반지식을 형성하고 구축하고 활용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차가운 과학적 태도를 지니고 있다. 오늘날의 한국 작업치료는 직종의 전문성과 당위성을 보다 자신 있게 피력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의 추론 내용과 방식에 대해 점검하여 오늘날 요구되어지는 근거기반치료의 틀에 맞춰나갈 필요가 있다. 작업과학은 작업치료로 하여금 직종의 철학이 명확히 반영되는 본질적이고 핵심적인 지식, 즉 작업참여에 대한 지식을 내적으로 구축함과 동시에 외적으로 표명하는데 있어서 보다 체계적이고 분석적일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당대와 미래사회가 새롭게 요구하는 역할과 기능에 대한 근거와 비전을 제시해 줌으로써 작업치료가 인간사회의 작업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장시켜주는 데에 기여한다. Profession’s philosophy and occupational science(OS) calls for attention and acceptance of occupational therapy(OT) profession in Korea. A train called philosophy of OT will take you to a stop named OS. OS has been emergent from philosophical reflection, especially cool-headed epistemology by world OT leaders with passionate hearts in late 20C. OS has born as a first basic science of OT focused on knowledge of occupation, and now has grown as a human science addressing more broad issues about occupational engagement. Koren OT need to be more self-confident to advocate for our unique professionalism, justification and legitimacy. In order to do that, we need essential and core knowledge reflecting our philosophy clearly and coherently. In addition, our reasoning paradigm need to be examined within evidence-based practice frame. OS help OT profession to have essential and core knowledge reflecting our philosophy, more importantly in scientific, systematic and rich way. By employing contemporary and cutting edge knowledge that OS generate, we can make our current practice more autonomous and powerful, plus support our potential innovative roles hereafter as well.

      • 작업치료학 전공자를 위한 한국작업과학회 국제실습 교육체계

        김지현,김정현,김협 한국작업과학회 2018 건강과 작업과학 Vol.1 No.2

        This is a description of an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fieldwork(OTIF) administered by the Korean Academy of Occupational Science(KAOS). Curriculum of OTIF-KAOS education is consist of clinical fieldwork, pre-education, distance supervision, onsite guidance, and post-education. The fieldwork is volunteered and unpaid work for 4 weeks in US, as a level Ⅰ role-emerging fieldwork of non-traditional practice. Contents of the pre-education include general orientation, cultural knowledge, tips for living, communication skills, google simulation, and fellowship with fieldwork mate, learning assignments, and mentoring. The distance supervision is communication utilizing closed-SNS. Onsite guidance is a distinctive feature of OTIF-KAOS that fieldwork educator actually visits the site and guides students’ problem solving and reflective learning during their fieldwork. Post-education requires student to give a briefing on the fieldwork and be a mentor for future participants. Learning objectives of OTIF-KAOS based on the keyword of contemporary OT(client, occupation, evidence, culture) are 1) understand clients’ needs & desire, 2) identify what kind of occupational opportunity is supported and how, 3) be witness, reporter, and pioneer of the best-practice with own experience, and 4) improve cultural intelligence & competence. KAOS expects OT students grow as leader of innovative OT in future Korea through the systemic OTIF-KAOS program. 요약 : 본 문헌은 한국작업과학회에서 주관하는 작업치료 국제실습(OTIF-KAOS) 프로그램의 교육체계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국내의 작업치료 관련 국제교육의 근거를 확립하고 작업치료의 국제화와 글로벌 보건인재 양성교육에 관심 있는 작업치료인에게 영감을 주고자 한다. OTIF-KAOS의 교육 목적은 진취적이고, 주도적이고, 선도적이고, 세계적인 작업치료인을 양성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은 임상실습과 이를 지원하는 사전교육, 원격지도, 현장지도, 사후교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임상실습은 신청으로 이뤄지는 자발적 무보수 실습으로, 비전통적 신흥 임상환경에서 4주간 최소 120시간 이상 이뤄지는 수준 Ⅰ 실습이다. 현재의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실습분야는 대부분 비전통적 신흥 임상환경이며 실습국가 및 지역은 미국 하와이 주, 워싱턴 주, 유타주, 펜실베니아 주로 이뤄져있다. 사전교육은 다양한 내용의 강의와 워크샵으로 구성되어 있고, 원격지도는 폐쇄형 SNS를 활용하여 이뤄진다. 현장지도는 실습교육자가 현장에 직접 방문하여 실습생의 성공적 실습경험과 성찰적 배움을 가이드 하는 것이며, 사후교육은 귀국 후 실습보고회와 지속적인 멘토링 기회를 통해 이뤄진다. 클라이언트 중심, 작업 중심, 근거기반, 문화 타당이라는 당대의 작업치료 가치론의 주제어를 바탕으로 도출 된 OTIF-KAOS 학습목표는 1) 클라이언트의 필요를 이해하기, 2) 클라이언트에게 어떤 작업적 기회가 어떻게 지원되고 있는지 파악하기, 3) 모범임상의 훌륭한 목격자로서 국내에의 보고자 및 선도자 되기, 4) 문화 감수성 및 문화 역량을 높이기이다. OTIF-KAOS의 전반적 진행과정은 설정, 지원, 심사, 선발 및 배정, 사전교육, 실습준비, 최종점검, 실습배치, 현장지도, 사후교육 순이다. 한국작업과학회는 작업치료 전공자가 국제실습 교육 과정을 통해 국내 작업치료의 진보와 혁신을 이끌어가는 작업과학 및 작업치료 리더로 성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남자 작업치료사의 근무 경험에 대한 해석적 현상학 분석

        김협 한국작업과학회 2018 건강과 작업과학 Vol.1 No.2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there are more females than males working as therapis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ved experience of male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a setting that consists mostly of female occupational therapists. Metho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3 therapists were conducted where the data were subjected to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Results: Three main themes were derived from the interview analysis: 1) difference in life experience, 2) expectation of a male, and 3) feminine atmosphere. Conclusion: The experiences of male occupational therapists may be considered for assignment of clients to therapists, and there may be a room for modification in the occupational therapy working environment for better service provision. 목적 : 여성 치료사가 남성 치료사들보다 작업치료 분야에서 더 많이 활동하고 있다. 현대 작업치료 이론과 개념은 소수를 대표하는 인구집단으로부터 기원하였으며 최근 들어서 다양성에 대해 주목을 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작업치료사들의 수가 더 많은 치료실에서 남성 작업치료사들의 삶의 경험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3명의 남자 작업치료사들과 반 구조적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정보는 해석적 현상학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결과 : 세 개의 주요 주제가 면담 후 분석을 통해 도출되었다: 1) 경험의 차이, 2) 남성에 대한 기대치, 그리고 3) 여성스러운 분위기 결론 : 클라이언트를 치료사에게 배정할 때 남자 작업치료사의 경험이 고려되면 향상된 서비스 제공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

      • 작업기반 중재이후의 클라이언트의 인식과 작업참여의 변화: 증례보고

        정주희 한국작업과학회 2018 건강과 작업과학 Vol.1 No.1

        Objective :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on occupational participation and client's perception in patient with stroke. Method : A-52-yr-old woman with chronic stroke participated a treatment session once a week for 8 months in a hospital setting designed to simulate a home environment. We tested physical function(Manual Function Test, Grip Strength Test, BBS, MAL), community integration(K-CIQ) and MOHOST at baseline and at completion of intervention. We collected descriptive data on occupational participation after postintervention . The data analysis compared the physical functions and community integration and analyzed the factors of occupational participation affecting community integration. Results : There has been little change in grip strength, grasp, manipulation and balance but it has shown improvements in the use and capacity of paralyzed arms in daily life and in community integration at postintervention. Changes in community integration was correlated with the motivation for occupation, occupational patterns, motor skills and the environment among the MOHOST subitem for occupation participation. Conclusion : In a hospital-based simulated homelike environment,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demonstrated positive changes in the increased functional use of the affected UE, improved community integration, and increased community integration was highly associated with motivation and motor skills factors for occupational participation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가 클라이언트의 작업참여와 작업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52세 뇌졸중 클라이언트 1명이었으며, 가정환경을 모의하도록 디자인된 병원 환경에서 총 8개월 동안 일주일에 한 번씩 치료 회기에 참가 하였다. 기초선과 중재 종료 이후에 신체기능(Manual Function Test, Grip strength test, BBS, MAL)과 지역사회통합(K-CIQ), 작업참여 요인(MOHOST)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작업기반 중재 종료 이후에 효과에 대한 서술적 데이터를 수집했다. 자료 분석은 중재 전후의 대상자의 신체기능, 지역사회통합 수준을 비교하였고 지역사회 통합에 영향을 주는 작업참여 요인이 분석되었다..결과: 작업기반 중재이후 파지력, 쥐기와 조작, 균형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일상생활에서 마비측 팔의 사용량과 능력, 지역사회통합에서 향상을 보여주었다. 작업기반 중재 전 ·후 지역사회 통합 변화는 작업참여 요인 분석을 위한 MOHOST 하위 항목 중 작업을 위한 동기, 작업패턴, 운동기술, 환경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결론: 병원 기반의 모의된 가정환경에서 작업기반 중재는 마비측 상지의 증가된 기능적 사용, 향상된 지역사회 통합의 긍정적 변화를 입증했고, 증가된 지역사회통합은 작업참여에 대한 동기, 운동 기술적 요인과 매우 관련되어 있었다.

      • 작업치료사의 원격건강관리 인식도 조사

        김영주,나남희,이성아 한국작업과학회 2023 건강과 작업과학 Vol.3 No.1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 작업치료 원격관리 방법에 대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작업치료사 의 원격건강관리 및 원격 작업치료 인식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작업치료사의 원격건강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의견에 관한 설문지를 제작하여 작업치료사 50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Statistics 25 version을 이용하여 연 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인지도 및 의견에 대한 응답을 빈도와 백분율 분석하였다. 작업치료사의 원격건강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의견을 분석한 결과, 원격건강관리에 대해 ‘조금 안다’,‘잘 모른다’ 라고 답한 작업치료사는 절반 이상 이었으며, 원격작업치료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는 작업치료사(48%)보다 들어 본 경험이 없는 작업치료사(52%)가 더 높았다. 원격작업치료가 ‘도움이 될 것 같고, 시도해 보고 싶다’가 66%로 절반 이상이었으며, 원격작업치료를 원하는 대상으로는 노인(60%), 서비스 내용으로는 교육(38%)이 가장 높게 차지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원격건강관리를 이용한 작업치료는 더욱 중요해 질 전망이다. 추후, 국내에서 원격건강관리의 활성화를 위해 활용방법, 접근성 등에 대한 연구가 많이 필요하며 원격건강관리에 대한 작업치료사들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홍보와 교육을 강화하여 지역 사회에서 활성화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ception of Thelefealth for Occupational Therapists. A questionnaire on the perception and opinions of occupational therapists on remote health care was produced a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50 occupational therapists. For data analysis,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responses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wareness, and opinions of the study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5 version.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ption and opinions of occupational therapists on telehealth management, more than half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swered “I know a little” or “I don't know” about telehealth management, and (52%) had higher experience than occupational therapists (48%).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said remote work treatment would be “helpful and want to try it,” with the elderly (60%) wanting remote work treatment and education (38%) being the highest in terms of service content.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ork treatment using remote health management is expected to become more important. In the future, a lot of research on utilization methods and accessibility is needed to revitalize remote health management in Korea, and it is expected that publicity and education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remote health management can be strengthened in the local community.

      • 지루함과 작업치료 : 문헌고찰

        유경진,주상훈,김환 한국작업과학회 2018 건강과 작업과학 Vol.1 No.1

        목적: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지루함을 이루는 요인, 지루함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지루함을 정량적으로 측정 하는 척도 그리고 작업치료연구에 나타난 지루함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Pubmed, Psyinfo, CINAHL을 사용하여 검색어‘Boredom’,‘Occupational therapy’. ‘Occupational Science’를 사용하여 2007년부터 2017년까지의 문헌을 검토하였다. 결과 : 지루함을 구성하는 요소는 집중력, 시간 지각, 기분과 피로, 각성 수준, 대리인, 작업과 관련 없는 생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루함은 이런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다차원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런 요소들에 의해 발생한 지루함은 증가된 자율신경계 흥분 유발, 낮은 자율신경계 흥분 유발, 부정적 감정, 인지 기능, 행동 장애, 부정적 경험과 같은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 작업치료에서 역시 의미 있는 작업의 부족, 작업 박탈과 불균형, 궁핍한 환경으로 인해 지루함이 발생된다. 이런 지루함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는 16개가 있으며, 특성 지루함(7개)과 상태 지루함(9개)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나누어진다. 결론 : 본 연구에서 문헌 고찰을 통해 지루함을 이루는 요인, 지루함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지루함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척도 그리고 작업치료연구에 나타난 지루함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임상에서 환자들이 겪고 있는 지루함에 대해 더욱더 적극적인 중재가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 :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 on boredom to examine the factors that cause boredom, the health effects of boredom, the measures to measure boredom quantitatively, and the boredom in occupational therapy research. Methods : In Pubmed, Psyinfo, CINAHL reviewed the literature from 2007 to 2017 using the search term ' Boredom ', ' Orcupational therapy 'and ‘Occupational Science.’Results : The factors that make up boredom consist of attention, time perception, mood and fatigue, arousal level, agents, and ideas that are not related to work. Boredom has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due to these various factors. The boredom caused by these factors has a negative impact on health, such as increased autonomic nervous system excitement, low autonomic nervous system excitement, negative emotions, cognitive functioning, behavioral disorders, and negative experiences. Occupational therapy also occurs boredom due to lack of meaningful occupation, deprivation of occupation, disproportion, and deprived environment. There are 16 assessment tools to measure these boredom, and they are divided into tools that can evaluate the trait boredom (7) and state boredom (9).Conclusion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factors that cause boredom, the effect of boredom on health, the measure to measure boredom quantitatively, and the boredom in occupational therapy research. Based on this review, we expect that more active intervention will be possible for the boredom patients are experiencing in clinical settings in Korea.

      • 지역사회 복지관을 이용하는 고령자의 특성에 따른 작업 영역 별 시간 사용 분석- 예비 연구 (Pilot Test)

        한다영,이성아 한국작업과학회 2018 건강과 작업과학 Vol.1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use of daily time and occupational area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ho using local elderly welfare center.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who using local elderly welfare center. The time use of subjects research by occupational questionnaire and Occupational areas based o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Ⅲ; OTPF-Ⅲ. The play area was excluded. The collected time were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ccording to subject’s characteristics. Results : Both men and woman had the most resting and sleeping areas (남 36.8%, 여 31.85), In all subject’s ages used more time ADL, IADL, rest & sleep and leisure than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and work. The subjects with mental history and medical history had spent less time in areas of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and work. The subjects of spouse dead and alone used a lot of time in most occupational areas. At the cognitive level, At the cognitive level, it was found that the high cognitive subjects spend a lot of time in most of the occupational area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e study has identifi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elderly characteristics and the time use of occupational areas, we found out distribution of subject’s routine and occupational areas. Therefore, If we study the time use of elderly in carious contexts, we should suggest more strategic occupation for the elderly and lead to meaningful intervention. 목적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고령자의 특성에 따라 생활시간 사용과 작업영역 별 시간 사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고령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의 시간사용은 작업 설문지(OQ)로 조사하였고, 작업 영역은 작업치료 실행 체계(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Ⅲ; OTPF-Ⅲ)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놀이 영역은 제외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 연구대상자의 작업영역 별 시간 사용의 빈도분석을 하였다. 결과 : 남녀 모두 휴식과 수면 영역이 제일 많은 시간(남 36.8%, 여 31.85)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연령에서 일상생활, 수단적 일상생활, 휴식과 수면, 여가 영역을 사회참여, 교육과 일에서 보다 많은 시간을 사용하였다. 또한 정신적 과거력 및 의학적 과거력이 있는 사람들은 사회적 참여, 교육과 일의 영역에 시간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었다. 반려자와 사별을 한 대상자와 독거 형태의 대상자가 대부분의 작업 영역에서의 많은 시간을 사용하였다. 인지수준에서는 인지가 높은 대상자가 작업 영역 대부분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복지관을 이용하는 고령자의 특성 및 인지 특성에 따른 시간 사용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일과와 작업 영역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제한점을 보완하며 다양한 맥락에서 고령자의 시간 사용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보다 전략적인 작업을 고령자에게 제시하고 의미 있는 치료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작업치료 문헌에 나타난 공간성과 장소성에 대한 이해 : 주제범위 문헌고찰

        이주현,박수은,정형기,김환 한국작업과학회 2023 건강과 작업과학 Vol.3 No.1

        본 연구는 작업치료과 작업과학 문헌에서 나타나는 공간성 및 장소성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장소성 및 공간성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과 작업치료 임상에 적용하기 위한 성찰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시행하였다. 연구는 Arksey와 O'Malley(2005)의 scoping review 5단계를 바탕으로 진행하였고, 2010-2022년 1월까지 출 판된 국내/외 문헌으로 PubMed, CINAHL, EMBASE, Taylor and Francis Archive 와 DBpia, 한국학술정보시스템(K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사용하였다. 키워드는 공간성(spatiality, space of occupation), 장소성(placeness), 장소상실 (placeless), 장소 정체성(place identity), 장소애착(place attachment) 이었고, 최종 17개 문헌을 선정한 후 미리 선정된 연 구질문에 따라 정리하였다. 공간성 및 장소성이 개인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연구방향을 모색하고 공간성 및 장소감 관련된 임상 작업치료와 추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 뇌졸중 환자의 그룹치료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조영석,김금숙 한국작업과학회 2018 건강과 작업과학 Vol.1 No.2

        Obje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group therapy in Stroke patients through a systemic review. This research tries to provide the information needed for succeeding research through investigating the subjects,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in order to look at the effects of a group therapy for the stroke patient. Methods : The systematic review was executed using RISS, DBpia link. The key words used for the search were “stroke”,“group therapy”, “group occupational therapy. eight studies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of a group therapy to the stroke patient in terms of subject, intervention, and levels of evidence were levels Ⅱ, Ⅲ. Results : The subjects suffered to intervention consist to 3 of art group therapy, 2 of group occupational therapy, 2 of group therapy to task orientation, group education program. All the researches that applied a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and Anxiety, Angry, function of upper extremity, quality of life, ability of cognitive and perception, balance to the stroke show a positive effect and present a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 Conclusion : This systematic review provides evidence concerning the effectiveness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and anxiety, angry, function of upper extremity, quality of life, ability of cognitive and perception, balance of group therapy in stroke patient. Future studies to expect about the effect of communication skill, sociality, psychological problems in group therapy of domestic research.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들에게 적용한 그룹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들의 그룹치료의 방법, 연구결과 등을 통해 향후 뇌졸중 환자들의 그룹(집단) 작업치료에 관한 정보와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DBpia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뇌졸중, 그룹치료, 집단치료, 그룹 작업치료, 집단 작업치료”를 검색어로 연구 자료를 검색하였다. 연구대상이 뇌졸중이며 중재방법이 그룹치료인, 총 8개의 연구가 선정되었으며, P.I.C.O 방법의 질적 근거 수준은 Ⅱ, Ⅲ 이었다. 결과 : 뇌졸중 환자의 그룹치료 중재에는 집단 미술치료가 3개, 집단 작업치료와 과제지향 집단치료가 각각 2개, 집단 교육프로그램이 1개로 적용이 되었다. 그룹치료 중재의 효과는 일상생활수행능력, 우울과 불안, 분노, 상지기능, 삶의 질, 인지 및 지각능력, 균형능력 향상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결론 : 본 체계적 고찰을 통해 그룹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우울과 불안, 분노, 상지기능, 삶의 질, 인지 및 지각 능력, 균형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으며 향후에는 의사소통능력, 사회성, 심리적 문제에 대한 그룹치료의 국내 연구가 좀 더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요양보호사 교육과정에 대한 다중측면 검토 - 교육자, 피교육자, 수혜자 집단의 관점에서

        김지현,이혜연 한국작업과학회 2023 건강과 작업과학 Vol.3 No.1

        이 연구는 잠재적 교육자, 피교육자, 궁극적 수혜자 관점에서의 평가를 토대로 현 요양보호사 교육과정을 검토 하여 개선점을 제언함과 동시에 요양보호사 교육에 있어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조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지역사회건강 관리 전문가(잠재적 교육자 집단) 80명, 재가요양보호사(피교육자 집단) 60명,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수급자(교육 수혜자 집단) 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총 189 (전문가 79, 요양보호사 59, 수급자 51)개의 의견이 수집되었다. 요 양보호사 교육과정의 17개 항목에 대해, 1) 전문가에게는 중요도와 교육시간의 적절성을, 2) 요양보호사에게는 실용도 와 보강의 필요성을, 3) 장기요양서비스 수급자에게는 기대지식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교육과정의 타당 성, 실용성, 요구 적합성 측면에서 집단 간 및 집단 내 의견을 비교분석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잠재적 교육자인 전문 가 집단은 교육과정의 모든 항목에 대해 보통 이상으로 중요하다고 응답하였고, 피교육자이자 실무자인 요양보호사 집단은 모든 항목에 대해 보통 이상으로 실무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고, 교육의 궁극적 수혜자인 장기요양서비스 수급자 집단은 1개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 대해 보통 이상으로 중요한 지식이라고 응답하였다. 교육 내용의 중요 도 측면에서 요양보호서비스의 교육 전문가와 수혜자 두 집단 간의 의견이 가장 유사한 항목은 ‘가사 및 일상생활 지 원’이며, ‘요양보호 업무 기록 및 보고’에 대한 의견 차이가 가장 크다. ‘요양보호 관련제도 및 서비스’와 ‘서비스 이용 지원’은 수혜자 집단이 전문가 집단보다 더 중요하게 평가했다. 전문가 집단은 많은 교육항목들에 대해 교육시간이 약 간 부족하다는 응답이 평균적인 반면, 요양보호사 집단은 전반적으로 교육시간이 적당하다고 보고하여 교육자와 피교 육자 간의 의견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요양보호사 집단도 대부분의 항목에 대해 약간의 보강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현 요양보호사 교육과정에 대한 본 연구조사에서, 현 요양보호사의 교육 내용은 타당성과 실용성 측면에 서는 긍정적이지만 요구 적합성 측면에서는 교육의 궁극적 수혜자의 필요에 대한 반영이 다소 미흡하다. 종합적 검토 결과 전문가 관점에서 중요도가 높고 요양보호사의 실무에도 도움이 되며 서비스 수혜자가 요구하고 보강이 필요하다 고 분석된 것은 요양보호 관련제도 및 서비스 이용 지원, 요양보호서비스 대상자에 대한 이해, 가사 및 일상생활/의사 소통 및 여가/체위변경 및 이동/ 섭취 등 다양한 활동들에 대한 지원, 안전 및 감염 관리, 그리고 의학․간호학적 기초 지식에 관한 교육이다. 이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전문성이 현 요양보호사 교육과정 및 그 체계에 보다 잘 반영되고 기능 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