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thought on the mutual Relationships of History, Culture and Area Studies in the light of Epistemology

        노명환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08 역사문화연구 Vol.29 No.-

        The true nature of a certain (special, individual, particular) area implies the ultimate outcome of the history unique to the area. Because, the history unique to an area is the aggregate of all past experiences of the area people. History has a stratified structure which represents the aggregate (totality) of the diachronic accumulations of the occurrences. Each period builds upon the past. In the each phase (slice) of this stratification of history live the area contemporaries. Each phase can be understood as the culture which comprises whole life fields of the area inhabitants. This culture is formed through the history of this individual area. So, without understanding the stratified structure of history of an area (that is, the total accumulations of historical occurrences), we can not recognize the culture as the aggregate lifestyle of the area accurately. Culture may be defined briefly as a community of a people who hold numerous features of belief, behavior, and overall way of life in common, including ideology, technology, social institutions, and material possessions. Without a doubt, history is the aggregate of all past experiences. But in reality, we can only realize history which comes within our spheres of cognizance. That means that history which we know, in its volume and character, also depends on our faculty of understanding. We can conclude that history stands in a strong relationship with epistemology. The central object of area studies is the human beings of the area who are in the process of the history. Area studies can be regarded as a continuous process of interaction (an unending dialogue) between the researcher of an area and the research object (and other area). From this point of view, I conclude that area studies is a science of epistemology. Because of the different history each area possesses particularity, that is individuality. The first goal of area studies lies in the recognition of this individuality. This individuality can be more obviously recognized through continuous comparisons between areas. Under this process we can also extract universality (generality) gradually. In the end we can develop a third new perspective. That is the dialectic unification between speciality and universality. 역사 과정을 통하여 한 지역의 개성적인 문화가 형성되고 그 지역인의 성격이 결성된다. 역사의 중층적 구조의 각 층은 제 단계의 문화를 보여준다. 문화란 그 지역인들의 가치관, 사고방식 그리고 행위방식을 나타내 주는 것으로 지역학 (지역연구)의 핵심 연구 대상이다. 그런데 역사란 과거에 속하는 사료와 현재에 속하는 역사가의 끊임없는 접촉 속에서 밝혀지는 인식론적 차원의 결과물이다. 인식자인 역사가의 관점이 큰 역할을 한다. 그런가 하면 한 지역의 문화라는 것도 인식자의 관점에 따라 다르게 파악될 수 있는 인식론적 차원의 결과물이다. 이는 지역학의 결과가 그러함을 의미한다. 각 지역의 문화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우리는 그 특수성과 보편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지역을 연구하는 방법도 이와 유사할 수 있다. 각 지역의 역사를 과거, 현재, 미래의 끊임없는 “대화” 라는 관점에서 파악하고 각 지역간의 상호 인식의 끊임없는 “대화” 속에서 각 지역의 성격을 규명한다. 각 지역 역사는 그 지역의 개별성을 나타내 주는 것이고 그 개별성은 각 지역간 끊임없는 상호 교차 인식 속에서 그리고 비교 과정에서 더욱 선명해 진다. 각 지역의 개별성은 이 끊임없는 교차 인식 과정에서 변증법적 통일을 기하여 보편성을 추구한다. 이는 역사학과 지역학이 인식론의 바탕위에서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역사학과 지역학의 관계가 위와 같이 규명될 수 있는 것이며 역사학은 각 지역의 개별성 파악을 위해 필수적으로 투입되어야 할 학문 분과이고 그 개별성들의 끊임없는 비교과정을 통해 역사의 개별성과 보편성의 자대가 확립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지역학을 통해 역사연구는 심대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풍부한 역사학의 지평을 열 수 있다.

      • KCI등재

        연변 조선족 무형문화유산의 전승실태와 발전방안연구

        宋旭日,박금해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14 역사문화연구 Vol.51 No.-

        중국의 연변조선족자치주는 중국내 조선족의 고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것은 단지 연변이 지정학적으로 한반도와 잇대어 있고 또한 조선족의 가장 큰 집거구라는 요인 외에도 더 중요하게는 이곳에 조선족의 언어, 풍속, 가무, 예의 등 전통문화가 살아 숨 쉬고 있는 민족적 정서 때문이다. 19세기 말부터 시작된 이민으로부터 오늘의 중국의 일개 소수민족으로 자리매김하기까지의 장장 한 세기 반의 역사의 흐름 속에서 연변의 조선족은 두만강 북안을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거주지역과 농경문화를 바탕으로 한반도고유의 전통문화를 비교적 완벽하게 보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중국 사회문화와의 접변 속에서 그들 나름대로의 문화를 창출하면서 그 속에서 민족공동체의 연대와 결속을 다져왔다. 연변으로 이주한 이주민의 절대 대부분이 땅을 찾아 한반도를 떠난 농민층으로, 그들이 생산의 주체였고 놀이의 주체였다. 따라서 그들 중에서 생성되고 전승된 문화는 주로 생산문화와 공동체문화로, 농경문화의 색채가 비교적 짙다. 또한 한민족의 디아스포라이면서도 중국의 국민이라는 특정된 신분으로 그들의 문화에는 한반도문화의 유전자가 깊이 낙인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한반도와 다른 나름대로의 새로운 특징들이 생성되었다. 이와 같은 이중적 혹은 복합적 문화성격 및 짙은 민족적 색채로 조선족의 무형문화는 연변지역은 물론, 길림성 심지어는 전국적으로 각광을 받게 되었으며 특히 중국의 무형문화유산발굴을 계기로 세계급의 무형문화유산 1개, 국가급 무형문화유산 16개, 성급 무형문화유산 58개를 보유함으로써 문화민족으로서의 이름을 만방에 떨쳤다.그러나 중국의 개혁개방 후 급속한 산업화 및 조선족 인구의 초국적 이동으로전통적 거주지가 위축되고 공동화되면서 많은 전통적인 문화유산, 특히는 무형문화유산이 소실되고 그와 더불어 민족적 정체성도 곤혹을 겪고 있는 게 사실이다. 문화는 민족의 아이덴티티와 그 시대의 정체성을 가장 많이 내포하고 또 표상이라 할 수 있다. 문화가 없는 민족은 영혼이 없는 민족과 다름없다. 조선족의 민족정체성을 찾는 일로 가장 우선 되어야 하는 것이 바로 전통문화유산의 전승보존과 활성화를 통한 문화의 자각이며 특히 전통문화 중에서도 한번 소실되면 재생이 불가능한 무형문화유산의 보존과 전승이 절실하다. 정부차원에서 조선족 무형문화유산의 보호와 전승을 위한 제도적, 정책적 장치, 사회전면에 걸쳐 현대문명과 다문화시대에 맞는 다양한 계승방안의 개발과 재창조, 대중의 참여를 끌어낼수 있는 방안 및 한반도와의 협력방안 등이 모색되어야 한다. Connected with the Korean Peninsula,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is the largest community of Korean Chinese in China. What is more to the point,this is the place where carries the Korean Chinese traditional culture including language, custom, songs, dances and rituals. In the long course of history from the 19thcentury to present, Korean migrants who left home country became one of the 56 minority nationalities in China. Centered in the north of Tumen River and based on traditional farming culture, Korean Chinese of Yanbian has not only kept quite intact intrinsic culture of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has formed his own unique culture in the process of contact with Chinese society and culture, which go further strengthening the tie and belongings of its national community. With the identity of diaspora of Korean nation and Chinese nationality, the culture of Korean Chinese is branded with Korean Peninsula and Chinese new characteristics. This kind of dual or multiple cultural natures make the non-material cultural heritages of Korean Chinese grab the attention not only in Yanbian Area, but also in Jilin Province, and even nationwide. Grasping the opportunity of China’s non-material cultural heritages development, Yanbian Area has possessed one world-class non-material cultural heritage, six nation-class non-material cultural heritages, fifty eight provincial-level non-material cultural heritages. However, with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large-scale trans-national migration by Korean Chinese, traditional settlement has begun to shrink and hollow out, many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s especially non-material cultural heritages have begun to disappear, by which national identity of Korean Chinese disordered and confused. Culture is the connotation and representation of national identity. A nation without culture is one without soul. The way out to firm the national identity is to preserve, protect and activate the traditional heritage, especially the non-material cultural heritage, which once disappeared, could not regenerate.

      • KCI등재

        中國 國定 歷史敎科書 中外歷史綱要의 導入과 그 性格

        임상훈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22 역사문화연구 Vol.82 No.-

        In 2017, China confirmed the nationalized history textbooks, and the history curriculum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mandatory, selective, and optional subjects. The nationalized history textbook Zhong wai Li Shi Gang Yao( 中外歷史綱要 , The Outline of Chinese and Foreign History) is planned to be used as the only history textbook in general high schools across China from 2022.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history education among the causes of the historic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and considered the background, influence, and problems of the appearance of Gang Yao. The fact that Gang Yao appeared in a situation where the U.S.-China hegemony competition accelerated and became more isolated internationally suggests many points. In order to overcome this situation, China has put a lot of effort into strengthening patriotism education, and through this, it is promoting internal unity. In this situation, the Gang Yao that appeared includes such political intentions in China. China's political intentions are strongly projected, and Gang Yao has several problems such as a narrative method based on materialistic views, a lecture on the theory of a unified multi-ethnic state, and a historical narrative centered on the country. Considering that all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cross the country will be educated through this in the future, our position should be actively expressed. It is necessary to observe and analyze the contents related to us in more detail in China's history textbooks, and to continuously present opinions and coordinate the contents through active exchange and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2017년 중국은 역사교과서의 국정화를 확정하였고, 역사교육과정을 필수·선택적 필수·선택 과목의 3단계로 구분하였다. 국정 역사교과서 중외역사강요 는 2022년 이후부터 중국 전역의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유일한 역사 교재로서 활용될 계획이다. 본고는 한중 간 역사갈등의 원인 중 역사교육에 대하여 주목하며, 강요 의 출현 배경과 영향, 문제 등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강요가 미중패권경쟁의 가속화와 함께 국제적으로 더욱 고립되어가는 상황에서 등장했다는 점은 많은 점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중국은 애국심 강화 교육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이를 통해 내부의 일치단결을 도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등장한 강요 는 이와 같은 중국의 정치적 의도를 포함하고 있다. 중국의 정치적 의도가 강하게 투영된 강요는 지나치게 유물사관에 입각한 서술방식, 통일다민족국가론의 강변, 자국중심의 역사서술 등의 여러 문제를 지니고 있다. 향후 전국의 모든 일반계 고등학생이 이를 통해 교육을 받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의 입장을 적극 표현해야 한다다. 중국의 역사교과서 속 우리와 관련된 내용을 보다 세밀하게 관찰·분석하며, 한중 민관학계의 적극적인 교류와 소통을 통해 지속적으로 의견을 제시하고 그 내용을 조율해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경산시 문화자원 활용을 위한 교육콘텐츠 구축 방안

        한동현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18 역사문화연구 Vol.65 No.-

        Recently, since digital information is highly variable and transferable, many digital information can be produced, communicated, and enjoyed.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generation that enjoys virtual networks represented by the Internet as an important aspect of life. In recent years, the population born in the mid-1990s is called the Z-generation. Unlike Generation X and Generation Y who have experienced both analog and digital way of life, they are also called Digital Native, a generation that experienced digital life from birth. The Z generation is familiar with social media, multitasking and high-speed Interne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ways of understanding of local culture and then strengthening local identity through the production of digital cultural resources and the educational program for these new generations. As a representative cultural infrastructure based on the region, the local cultural center has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as the need for securing the cultural identity of the region has been increased. However, the position of it has been falling due to lack of budget and manpower, and diversification of similar cultural institutions. In this situation, in order for the local cultural center to become the hub of creating and supplying variable local culture, it is urgent to disseminate substantial contents that can affect the local people, especially young digital generation. Therefore, I try to suggest ways to develop local cultural center by building the Wikipedia on local culture and the electronic culture map utilizing local cultural resources. Gyeongsan city in Gyeongsangbuk-do was selected as the study area. It is known as the birthplace of the three saints of Wonhyo, Seolchong and Ilyeon. It has many cultural resources such as 17 national cultural properties and 25 provincial cultural assets. However, there is a great lack of data and information on the culture of Gyeongsan City, and they need to be linked to and provided through a variety of media. Therefore, it is suggested here to create an electronic cultural mapping platform for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with diverse cultural resources of Gyeongsan City, and to utilize and enrich local culture by the participation of youth and local people in educational programs. 최근 디지털 정보의 가변성과 전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많은 디지털 정보가 생산되고 소통하면서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가상 네트워크를 삶의 중요한 한 측면으로 누리는 세대가 생겨나게 되었다. 최근에는 1990년대 중반에 태어난 인구를 Z세대라고 부르고 있는데, 이들은 아날로그와 디지털을 모두 경험한 X세대, Y세대와는 달리 태어날 때부터 디지털을 경험한 세대로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이라고도 불린다. Z세대는 소셜미디어에 친숙하며 멀티태스킹에 능하고 고속인터넷에 익숙한 것이 특징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지방문화원을 중심으로 이러한 새로운 세대들에게 디지털 지역문화자원 생산과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지역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지역정체성을 함양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는데 있다. 지방문화원은 지역을 거점으로 한 대표적 문화기반시설로서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 확보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함에 따라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예산 및 인력 부족, 유사문화기관들의 다양화로 그 위상이 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방문화원이 지역문화생산과 보급의 중심이 되기 위해서는 지역민, 특히 디지털 세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콘텐츠 보급이 절실하다. 따라서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지역문화 위키백과와 전자문화지도 구축을 통하여 지방문화원이 발전해 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지역으로는 경상북도 경산시를 선정하였다. 경상북도 경산시는 3성현이라 하여 원효, 설총, 일연이 태어난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가지정문화재 17개, 도지정문화재 25개 등 많은 문화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경산시 문화에 대한 자료가 부족한 편이고, 지역문화자료에 대한 다양한 미디어와의 연결도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경산시가 갖고 있는 다양한 문화자원을 활용해, 지역민이 참여할 수 있는 전자문화지도 플랫폼을 만들고,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청소년들과 지역민의 참여를 통하여 지역문화를 풍성하게 하고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계몽주의 시대의 엘리트 문화와 민중문화- 인간은 기본적으로 문화적인 존재이다 -

        김복래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07 역사문화연구 Vol.28 No.-

        Elite culture and popular culture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Kim, Bok-rae The aim of this paper entitled “Elite culture and popular culture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is to examine firstly the aspects of Elite/popular cultures from the standpoint of cultural hegemony. Secondly, it is to understand the basic religious beliefs of mass people. Thirdly, it is also to understand the reasons why elite and popular cultures became separate into the 18th century. Elites was culturally defined by literacy, the acceptance of counter reformation religious practices, going to secondary school, attendance at university, access to the classical texts and the humanities, the possession of a library, and the frequenting of specialist groups. An essential element is the humanist culture from the renaissance, with its revival of the classics, popularisation of them, and their wide dissemination by the printing press. Popular culture is often defined in its opposition or contrast to elite culture. Elite culture is literate, popular culture is illiterate, learned/unlearned, written/oral, even rational/magic.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there was a separation between elite and popular cultures. From the distinction of two heterogenous cultures to their plausible fusion in the name of mass culture, it is useful to analyze the dominant/dominated cultures through the case study of elite/popular culture in the 18th century. 계몽주의 시대의 엘리트 문화와 민중문화 - 인간은 기본적으로 문화적인 존재이다 - 김 복 래 본고의 목적은 첫째, 계몽주의시대의 엘리트문화와 민중문화의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 대중들의 기본적인 종교 신앙을 이해한다. 셋째, 왜 18세기에 엘리트와 민중문화가 분리되었는지 그 이유를 분석한다. 18세기 엘리트문화의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①문자 교육(literacy)과 교양, ②반종교개혁의 종교관행에 대한 승인, ③중등학교에 다니기, ④대학출석, ⑤고전텍스트와 인문학, ⑥서재소유, ⑦특별한 집단들과의 교제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르네상스 시대로부터 물려받은 고전문학․인문학의 재생과 대중화, 특히 인쇄술발달에 따른 인문주의의 광범위한 보급을 들 수 있다. 18세기 엘리트문화의 또 다른 양상으로 사법사회(judicial society)의 등장, 궁정문화에 의해 촉진된 문명화과정, 언어문화의 변화, 빈자들에 대한 상류층의 커다란 문화공포와 기피현상을 지적할 수 있다. 민중문화는 엘리트문화의 반대 내지 대립현상으로 곧잘 정의된다. 엘리트문화는 글을 쓰고 읽을 줄 아는 교양 있는 학술문화이며, 민중문화는 문맹 또는 무학의 교양 없는 문화로 정의된다. 간단히 요약하면 엘리트 대(對) 민중문화는 ①교육/무교육, ②기술(written)/구두(oral)문화, ③합리적(rational)/마술(magic)문화로 구분된다. 18세기는 이러한 문화의 구분 짓기가 가속화되어, 상류층과 하층문화가 분리되었던 시기이다. 사실상 엘리트 대 민중문화의 이분법은 자의적이다. 민중문화는 단순히 일원론적 하부구조만을 반영하지는 않는다. 실제로 우리는 민중문화의 기원을 종종 학술문화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므로 엘리트 계층에게 전혀 오염되지 않은 순수한 ‘민중의, 민중에 의한, 민중을 위한’ 문화가 ‘따로(à part)’ 존재한다는 발상은 역사적 현실이 아니다. 그것은 오히려 민주문화에 따뜻한 연민을 품은 현대 역사가의 상상력의 소산이다. 문화의 구별 짓기의 놀이에서 경계 허물기, 즉 엘리트주의적 문화개념의 폐기에 이르기까지 18세기의 엘리트 대 민중문화의 대립구도는 문화연구자에게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리라 본다.

      • KCI등재

        ‘중화제국질서’를 둘러싼 논의의 확산과 수렴 - 조공체제론과 다중체제설을 중심으로

        최희재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18 역사문화연구 Vol.65 No.-

        It has been rather widely accepted among scholars that traditional China maintained the investiture-tribute relations for a long time with neighboring nations in which China claiming cultural superiority enjoyed prestige, while the tributary states gained practical benefits for political and economic purposes. In recent years, however, there arose renewed concern about the tributary system, resulting in the divergence of views on its historical roles and realities. Encouraged by the spotlight shed on Confucian culture and traditional system in the age of China’s economic rise, a growing number of philosophers and scholars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s are paying attention to the world order of the pre-modern China. Some of them began to actively advocate that the tribute system based on the Confucianism contributed to the peace and stability of East Asia since it tended to esteem Confucian culture and rituals in international relations. On the other hand, from decades ago many other scholars had disputed the tribute system theory’s overstated Sino-centrism and culturalism. According to them, tributary states’ views of the ‘tribute system’ were considerably different from those of China. In recent years, as the general interest in the hyperbolic discourse on the system’s affirmative functions increased considerably, critics of the theory apparently began concerted efforts to pinpoint its deficiencies and problems. Among others, it came to be stressed that traditional China was never ‘benevolent’ empire. Not a few scholars claimed that premodern China was not different from other Western empires, referring to its frequent resorts to military forces to consolidate its rule and to expand its territory. After all, a growing number of critical researchers, at least in the field of historical studies, seemingly came to share the view that the tribute system theory has serious deficiencies in explaining the traditional East Asian international order. So alternative paradigms such as multi-system theory have been proposed by some, while some others are advocating for the discard of the treaty system theory. 중화제국의 세계질서에 대해서는 특히 조공체제와 관련해서 이미 많은 연구가 이뤄졌으며 그 과정에서 논란도 적지 않았지만, 오랫동안 널리 받아들여졌던 ‘중화제국질서’상이 존재했던 것도 사실이다. 책봉과 조공을 매개로 문화적 우월감을 가진 중국과 실익을 추구하는 동아시아 주변국들 간의 형식상 위계적인 관계망이 형성되어 19세기 중후반까지 유지되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근년 들어 새삼스럽게 그 문제를 보는 시각 차이가 커지며 논쟁이 확대되고 있다. 무엇보다 중국굴기에 따른 새로운 세계질서의 탐색과 관련하여 전통적인 문화와 제도에 대한 우호적인 관심이 증대되고, 이를 배경으로 철학자, 정치학자들의 참여도 늘어나며 전근대 중국의 국제질서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조공질서가 조화를 중시하는 유교적 이념에 근거하여 제도화 된 것으로 동아시아의 안정과 평화에 기여했다는 등 과도하게 단순화된 주장이 제기되고, 이런 이해를 바탕으로 신조공질서, 신천하주의, 천하체계 등을 둘러싼 다양한 담론이 이뤄지고 있다. 다른 한편에서는 조선, 베트남을 비롯한 주변국들의 입장에서 조공관계의 실상을 해명하려는 연구가 꾸준히 이어지면서 책봉-조공과는 무관한 다양한 형태의 동아시아국제관계가 존재했으며, 조공국의 경우도 조공체제에 대한 이해가 중국의 입장과는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는 점 등이 지적되어 왔었다. 그런데 새로운 제국질서의 탐색과 관련하여, 과거의 조공질서를 과도하게 단순화, 이상화 시키며 긍정적으로 이해하는 담론이 부각되게 됨에 따라 조공체제론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가 폭넓게 확대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먼저 ‘관용과 평화’의 제국의 이상과는 달리 과거의 중화제국이 주변국에게 정치 군사적인 압박을 가하고, 무력정복을 통해 ‘식민주의’적 영토 확장을 추진했다는 점 등이 강조되게 된 것이다. 나아가 조공질서 외에 회맹질서, 호시제도 등 다양한 방식이 전근대 국제관계 기제로서 사용되었다는 점이 중시되며 동아시아 국제질서를 다중체제, 혹은 다원적 질서로 파악해야 된다는 주장이 강화되었다. 한편으로는 그 개념이 유발한 여러 혼란과 관련하여 조공체제론이 신화, 환상이 되었다며 그것을 넘어서야 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대안적 틀의 모색 필요성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비판적 주장에 대해 적어도 역사학자들 사이에서는 상당한 공감이 나타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근년에 특히 새롭게 활성화된 조공체제를 둘러싼 논의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본고에서는 그 흐름을 위와 같이 정리해 보았다. 그러면 앞으로의 과제는 무엇인가? 조공질서 개념은 여전히 부분적이나마 유용성을 갖는가 아니면 완전히 폐기되는 것이 나은가? 다중체제론의 문제는 무엇인가 하는 등의 의문이 남는데, 이에 대해서는 추후 심도 있는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다윈주의 이론의 역사연구 적용에 대한 시론: 그레고리 클라크와 프랭크 설로웨이의 연구를 중심으로

        민홍기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22 역사문화연구 Vol.82 No.-

        Research with an application of evolutionary theory is under active progress these days in various discipline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However, in the circle of historical studies, combination with the Darwinism is still at a fledgling stage. For the study of history to effectively make use of the Darwinism and evolutionary theory, it is necessary to remove risk factors that can get in the way of research in advance by reviewing the existing studies and research approache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examined studies by economic historian Gregory Clark and science historian Frank J. Sulloway. Clark and Sulloway proposed new approaches to contemplate on the history through natural selection, a conventional principle of evolutionary theory, and modern evolutionary biology theory named birth order theory, respectively. At the same time, their studies exposed a number of potential problems that can occur when combining the Darwinism and historical studies. The flaws found out in their studies provide guideline for applying the Darwinian Theory in future historical studies. 최근 인문사회과학의 각 분과에서는 현대 다윈주의 이론을 적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역사학계의 경우 다윈주의 이론과의 결합은 아직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다. 역사학이 다윈주의 이론을 분석의 도구로 사용하려면 우선 기존의 연구사례와 접근방식을 검토함으로써 연구에 끼어들 수 있는 위험요소를 사전에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경제사학자 그레고리 클라크와 과학사학자 프랭크 설로웨이가 수행한 연구를 살펴보았다. 클라크의 경우 ‘자연선택’이라는 다윈주의 이론의 고전적 원리를 통해서, 설로웨이는 ‘출생순서’라는 현대 진화생물학 이론을 통해 역사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시도한 바 있다. 동시에 클라크와 설로웨이의 연구는 다윈주의와 역사연구의 결합이 가질 수 있는 문제점 또한 적지 않게 노출했다. 이들의 연구에서 나타나는 결함은 향후 역사학 연구에서 다윈주의 이론을 어떤 식으로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지침을 제시해주고 있다.

      • KCI등재

        令狐德棻의 史學과 『周書』 - 唐代 관찬사학의 典範

        김상범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11 역사문화연구 Vol.38 No.-

        令狐德棻은 당대 초기의 가장 영향력 있는 역사학자이다. 당고조 이연이 입관하던 시기부터 龍朔2년(682) 80세의 고령으로 모든 관직에서 물러날 때까지 무려 40여 년간 국가의 출판사업을 주도하며, 이 시기 中國史學의 전개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다. 前代史書의 찬수와 當代사료의 정리 작업을 진두지휘했으며, 禮와 律 그리고 氏族志의 찬수에 참여하여 당조의 기틀을 확립하는데 기여하였다. 당대초기는 중국사학사의 ‘전환점’가운데 하나로 지목될 정도로 적지 않은 변화가 발생하는데, 官纂史學의 위상이 날로 공고해진다는 점이 특히 주목된다. 국가의 사서편찬사업을 주도해 온 만큼 그의 史觀 속에는 개인의 학문적 인식뿐 아니라, 이 시기 관찬사학이 지향했던 사학사상도 포함되어 있다. 그는 修史의 목적이 징악권선(懲惡勸善)과 이감장래(貽鑒將來)에 있다고 보고, 역사지식이 현실정치에서 도덕적 표준이자 정치적 준거로 작용하는 실천사학을 강조하였다. 수당제국 성립이후 사학사의 전반적인 추세가 불간섭의 철저한 독립성을 주장하던 ‘神聖主義’에서 當代에 기능하는 실천성을 강조하는 ‘現實主義’로 전환되는 점을 고려할 때, 官方史學을 대표하는 학자인 만큼 후자의 學統을 계승하고 발전시켰다고 평가할 수 있다. 正統論에 관한 입장 역시 관방사학자로서의 특성을 반영하듯 현실정치에 적극 호응하는 경향을 보인다. 초기에는 자신을 포함하여 서위 ․ 북주 ․ 수 ․ 당으로 이어지던 關隴集團의 역사적 계승과 황실조상들의 功業을 강조하기 위해서, 西魏-北周로 이어지는 북조 편향적 정통론을 강조해왔다. 하지만 통일제국의 장기존속을 위하여 통치자들이 개방적 통치이념을 모색하면서, 일단 南北의 정통성을 공인하고 그 가운데 확대된 제국적 가치를 지향하는 전환을 보인다. 唐代의 위대한 史家인 李延壽는 16년간에 걸친 『南史』와 『北史』의 집필을 마치고 쓴 「序傳」에서, “『南史』를 먼저 완성한 후에, 監修國史이자 國子祭酒인 令狐德棻에게 올리자 처음부터 끝가지 통독하고 잘못된 점들을 개정한 뒤 上奏를 허락했다. 다음에 『北史』를 쓰고 자문을 구했을 때에도 상세하게 바로잡아 주었다”는 기록을 남겼다. 영호덕분의 史學에 대한 조예와 학술계에 있어서 위상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다. 하지만, 역사편찬이 정부에 의해 주도되어 왔을 뿐 아니라 감수국사를 포함하는 관료체계에 의해 철저히 통제되었고, 완성 후에는 황제를 포함하는 통치층에 보고되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일정한 격식과 감독체계 하에서 다양성과 창의성을 포함하는 학문적 생명력은 당연히 위축될 수밖에 없는 것인데, 이는 영호덕분 사학의 또 다른 면모를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역사가 정치행위의 준거로서 현실정치와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며 국가 주도하에 지속적으로 양산되어 온 점을 中國史學의 특징 가운데 하나로 지적할 수 있다면, 당대초기 태동기의 사서편찬사업을 주도하고, 정치의 귀감으로서 史學의 실천성을 강조해 온 영호덕분은 ‘관찬사학의 典範’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韓國詩話中的題壁——以《詩話叢林》為例

        劉金柱,周杰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12 역사문화연구 Vol.41 No.-

        이 논문은 벽에 시를 써서 감상하던 士人의 문화적 행위인 題壁이 조선사회 어떻게 이식되었고, 조선의 제벽문화는 중국과 어떤 차이를 보였는지를 검토해보았다. 이글에서는 한국의 詩話總集인 《詩話叢林》속에 기재된 題壁작품과 중국문헌 속에서 상응하는 작품을 선별하여 면밀하게 비교해 보았다. 이러한 과정 중에 제벽이 단순히 문인들의 창작수준에만 머문 것이 아니라, 妓館의 ‘題壁唱和’와 같이 문화적 행위로 소비되고 있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명청시기에는 제벽의 보호와 수장에도 상당한 노력을 기울일 정도로 하나의 문인문화로 정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제벽이 조선문인 사회에 이식된 뒤, “詩板”이라는 새로운 문학적 특징이 형성되었는데, 이는 조선에 있어서는 제벽이 조선 문인사회의 독자적인 특성을 반영하며 발전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The Wall inscription,being one kind of special literary style form under Chinese linguistic environment, had continuously been regarded as the fashionable creation behavior in the ancient times. The record of the wall inscription in the South Korean Poetry Anthology—Notes Jungle on poets and poetry,could be found the corresponding parts in the Chinese literature. Such as “the Poem Boards”, was seen very special shape in the South Korean, however, it was commomly used to protect and collect the wall inscription in China; Another example, the wall inscription on writinging and replying in the prostitute hotel was like so, writers' literature creation and the living conditions were all same, while the South Korea's writers seemed more directly and opener than china’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