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의 영유아 보육정책

        양옥승,오미경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995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2

        북한의 영유아 보육 정책은 정치 사회적 변동과 함께 국가의 최우선 제도의 하나로써 다섯 단계를 거쳐 전개되었다. 해방 직후인 제 1기에 이미 여성의 노동력 동원과 맑스·레닌 주의 사상에 입각해 공산주의적 인간 양성을 목적으로 영유아 보육 기관을 제도화하여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집단 교육 체제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1971년에 만 5세의 모든 유아에게 1년간의 유치원 교육을 의무화 했으며, 곧이어 1976년 「어린이보육교양법」과 1993년 동 세칙을 제정함으로써 사회주의 체제유지으 한 방편으로 영유아 보육 제도의 입지를 확고히 하였다. 정권 초기에는 맑스·레닌 주의 이념을 영유아 교육 이념으로 하였지만, 오늘날에는 공산당, 특히 김일성, 김정일 부자에게 충직한 주체형의 새 인간 양성을 이념으로 하고 있다. 북한의 영유아 보육 체제는 연령별로 교육위원회에서 관할하는 유치원(4세, 5세), 보건부에서 관할하는 탁아소(1개원~3세 이하) 등으로 이원화 되어있다. 이러한 현상은 교원 양성 정책을 통해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즉, 보육원이라 불리우는 탁아소 교사는 주로 고등 중학교를 졸업한 여성 중에서 단기 연수 과정을 거쳐 임명되고 있는 반면, 유치원 교사인 교양원은 교육 기간이 길어 3년제의 교원대학 출신 중에서 국가 시험을 통해 배출되고 있다. 영유아 보육 기관의 재정은 중앙 또는 지방의 부담으로 하고 있다. 국립은 중앙 예산으로 공립은 지방 예산으로 충당하고 있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 탁아소의 재정 형편이 다르다.

      • KCI등재

        한국영유아보육정책의 과제와 방향

        김영모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995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2

        우리나라에 있어서 영유아보육사업이 1980년이전에는 탁아사업으로 간주되었고, 1980년대에는 교육사업으로 인식되었으며, 1990년 이후에는 다시금 복지사업이 되었다. 이러한 복지사업은 교육서비스를 중요시하는 탁아사업 즉 educare의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정부는 영유아보육사업의 확충계획으로 향후 3년간 1조 3천억원을 투자하여 보육시설을 '94년 현재 6,088개소를 '97년까지 13,678개소로 확대하고 요보육대상아동의 수탁율을 '94년 30%에서 '97년 95%로 확충하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확충계획은 매우 의욕적이지만 과연 적절한 수요예측인지, 그리고 현재수준의 재정지원과 종사자의 인건비로 소기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의문이 간다. 첫째, 정부가 발표한 확충계획은 보육아동의 수탁율 56.4%에 근거하고 있는 것인데, 이것은 잘못된 것 같다. 전문가들의 의견은 20%이하라고 한다. 둘째, 현재 영유아보육사업이 사보육화 보육되어 있는 실정인데 (국공립보육시설은 전체 15.7%) 이러한 여건에서 정부의 확충계획의 실현이 거의 불가능하다. 셋째, 영유아보육사업이 교육서비스이냐 아니면 보호서비스이냐에 대한 전문가들의 논쟁이 심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영유아보육사업의 법적체계는 보호(복지) 서비스이나 아동부모의 68.3%가 보호와 보육을 동시에 요구하고 있다. 넷째, 영유아보육사업의 재원이 저소득층을 제외한 수익자의 자부담원칙인데 만약 확충계획대로 실시하려면 공보육화가 불가피하다. 즉 정부, 직장 및 수혜자가 부담하여야 한다.

      • KCI등재

        보육시설의 질과 아동의 기질에 따른 걸음마기 영유아의 또래 및 교사와의 상호작용

        이완정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99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8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소재 18개 보육시설 걸음마기 아동반의 영유아 33명을 대상으로 보육시설의 질과 영유아의 기질에 따라 영유아가 또래 및 보육교사와 맺는 상호작용이 다른지를 알아보았다. 영유아의 기질은 보육교사에게 설문지를 통하여 알아보았고, 보육시설의 질이나 영유아의 또래 및 교사와의 상호작용은 관찰법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기된 연구 문제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시설의 질에 따라 영유아의 또래 및 보육교사와의 상호작용은 차이가 있었다. 즉 보육시설의 질이 우수할수록 영유아는 혼자 놀기보다는 또래와 접촉하는 경우가 많았고, 또한 보육교사와 이야기를 나누거나 놀이를 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둘째, 보육시설의 영유아는 기질에 있어 성차를 나타내어, 남아의 경우 여아보다 활동수준이 더 높았다. 셋째, 영유아의 기질적 특성에 따라 또래 및 보육교사와의 상호작용은 차이가 있었다.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있어, 남아의 경우 반응표현이 격렬할수록, 여아의 경우에는 생리적인 주기가 불규칙할수록,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없는 ‘비몰입’ 행동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와의 상호작용에 있어서도, 남아의 경우 반응표현이 격렬할수록, 여아의 경우에는 신체움직임이 많거나 새로운 자극에 회피경향이 높을수록, 교사의 제재를 받거나 우는 등의 행동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걸음마 아동기(toddler)의 영유아를 관찰하여 보육시설의 질과 영유아의 기질에 따라 이들이 보육시설에서 또래 및 보육교사와 맺는 상호작용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밝혔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충북도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영유아 학대인식 및 실제행동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경진(Jeong, Kyung-Jin),정효정(Chung, Hyo-Ch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31

        본 연구는 충청북도 보육교직원의 영유아 학대예방을 위한 어린이집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살펴보고 학대에 대한 인식과 실제 행동과의 차이, 그리고 직무스트레스가 실제 학대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청북도 소재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직원 37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직원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보통수준 2.54(SD=.60)으로 확인되었으며, 업무과부하가 3.4점(SD=.86)으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학부모 관계 2.37(SD=.75), 원장지도력 2.25점(SD=.85), 동료관계 2.06(SD=.70)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영유아 학대에 대한 인식은 성학대가 가장 높았으나 실제 행동에 대한 자기평가와의 차이는 정서학대와 신체학대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영유아 학대인식과 실제행동에 대한 상관관계 결과 동료관계에서 오는 갈등이나 의사소통의 부재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으면 업무과부하와 원장의 지도력에 대한 직무스트레스가 가중되어 영유아의 실제 신체학대와 정서학대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식과 태도에 따른 어린이집 아동학대 발생 원인을 파악하고 예방을 위해 현실성 있는 교육과 대책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job stress pattern in day care centers of the day care center teachers in Chungbuk with regard to the prevention of the infant abu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wareness of abuse and the actual committing, and the effect of their job stress on the actual abuse.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with 374 day care center teachers in Chungbuk are described below. First, the overall job stress level of the day care center teachers was at a normal level (2.54 points, SD=.60). The job stress score was highest in the work overload (3.4 points, SD=.86), followed by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2.37 points, SD=.75), the leadership of the manager (2.25points, SD=.85) and the collegiality (2.06 points, SD=.70). Second, the infant abuse awareness of the day care center teachers was highest in sexual abuse. Third, the correlations among the job stress of the day care center teachers, the awareness of infant abuse, and their actual committing showed that when there is a high level of stress due to the conflicts in the collegiality or lack of communication, the job stress caused by the lack of the manger’s leadership is increased, giving a negative impact on the actual committing of the physical abuse and emotional abuse of the infant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may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to identify the causes of the child abuse at day care centers and prepare realistic educational programs and preventive measures.

      • KCI등재

        한ㆍ일 자녀양육지원 및 보육서비스의 니즈분석

        최영신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99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

        현재 일본에서는 보육시책이 보호자의 취업에 관련하여 자녀양육지원이 필요한 가정만이 아니라, 일반가정의 취업이외의 자녀양육지원니즈에도 대응하여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있는 가운데, 전통적인 보육제도의 개혁을 포함한 새로운 보육니즈에 대한 대응방안의 모색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모색방안중 구체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 특별보육사업의 추진이라고 할 수 있으며, 장래의 보육소의 역할로써 가장 기대받고 있는 사업이 특별보육사업중 지역자녀양육지원센타사업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최근 일본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다양한 보육제도의 모색방안에 대한 동향을 소개하면서, 양국에서 실시한 자녀양육상황 및 보육니즈조사 를 기초로, 양국에 있어서의 자녀양육상황, 특별보육서비스 및 이에 관련된 지역에서의 자녀양육지원서비스와 사회적 지원책에 대한 니즈를 검토하여 보았다. 본 조사의 분석에 따르면 한국, 일본 양나라 모두에 있어서 취학전의 전자녀가 하루동안의 생활을 집에서만 보내는 가정이 많은 상황속에서, 보호자들이 자녀양육상의 불안을 강하게 느끼고 있으며, 불안을 느낄수록 자녀양육지원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부터 금후 보육시설의 기능은 현재 보육소를 이용하고 있는 아동에 대한 보육서비스의 충실만이 아니라, 지역사회의 일반가정의 자녀양육을 지원하는 중심시설로써의 기능도 요구되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별서비스에 대한 니즈조사에서는 일본의 경우에는 래소형아동에 대한 기능강화서비스와 지역에 있어서 자녀양육지원서비스에 대한 두가지 기능에 대한 니즈가 모두가 높게 나타났다. 한국에서는 래소형아동에 대한 기능강화니즈는 비교적 낮으며, 지역에 있어서 자녀양육지원에 대한 니즈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한국의 보육정책의 경향이 서서히 래소형아동에 대한 서비스의 기능강화를 위한 특별보육사업에 대한 모색이 서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지역에 있어서 자녀양육지원의 방안에 대한 모색도 필요하다는 사실을 지적하여 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보육시설 모형에 관한 연구

        최경순,황연숙,정지영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99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7

        본 연구는 부산지역 보육시설의 문제를 파악하기 위하여 부산시내 소재 82곳의 시설을 대상으로 시설설비 및 보육프로그램 운영, 보육시설의 환경구성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보육시설의 운영면에서는 반수 이상이 개인이 운영하는 시설로서 융자, 부채 등으로 영세한 운영을 하고 있었으며, 아동활동을 위한 설비, 교구, 놀이감, 특히 시청각교재, 실외놀이를 위한 설비 및 공간이 부족하였다. 둘째, 영양ㆍ건강ㆍ안전 면에서는 영양관리를 위한 전문가나 영양사가 없는 시설이 많았으며, 식단작성, 식품선정을 교사나 시설장이 하는 경우가 많아 영양관리의 전문성이 결여된 곳이 많았다. 또한 아동의 안전을 위한 긴급대비훈련을 제대로 실시하고 있는 곳이 많지 않았다. 셋째, 보육공간 구성은 낮잠자는 공간과 놀이공간을 같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므로 기능 수행에 문제가 있었으며, 보육실에서 실외로 나가는 통로가 없어 현관을 이용하여 동선이 길었고, 화장실을 따로 두고 있어서 배변 조절능력이 부족한 아동들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곳이 많았다. 관리공간은 교사의 휴식공간이 부족하였고, 부모 대기실이나 참관실이 없어 퇴원시 혼잡한 시설이 많았다. 넷째, 보육시설의 색채는 너무 단순하게 사용되어 있었고, 각 실의 용도에 따른 색채사용이 적절히 되어있지 않았으며, 대부분 마감의 편의를 위하여 같은 색으로 채색되어 있어 색채 계획에 재고의 여지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보다 나은 보육시설 환경 개선을 위해 몇 가지 제언코자 한다. 1. 보육실은 영유아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이므로 자기집처럼 편안한 생활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야 하고 ‘학습영역’과 ‘흥미영역’으로 나누어 창의적인 놀이 및 수납공간을 갖추어야 한다. 영유아의 활동성을 고려하여 정적인 놀이 및 동적인 놀이를 구분하여 배치하고, 활동에 필요한 자료 즉 교구와 활동의 관련정도에 따라 인접배치 계획이 필요하며, 참여 아동의 수와 집단의 크기에 따라 공간을 구성하여야 하며, 영아의 경우에는 낮잠기능, 수유기능, 포복기능 등의 양육시설이, 유아를 위해서는 유희실, 강당 등의 교육시설이 더욱 확충되어야 한다. 2. 유희실은 바닥이나 벽체를 보육실과 유기적 관계를 갖도록 계획하여야 하며 아동인 1인당 2.64㎡이상의 면적을 확보하여야 하며, 면적이 허용되는 한 다른 실과 분리하여 설치하고 옥외놀이터와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전체 공간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해야 한다. 3. 낮잠실은 보육실 독립공간으로 설정하여야 하지만 현재의 보육시설의 경우 보육실과 혼용하여 사용하므로 되도록 시설내 외부와 차단된 조용하고 아늑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실내의 색채는 채도가 낮은 난색계통으로 안정된 이미지를 주고 자연채광을 조절할 수 있는 블라인드와 부드러운 간접조명이 필요하다. 4. 원장실은 교사실과 더불어 보육시설내 전반적인 움직임의 파악이 용이하고 행정 관리상 방문객의 접객이 쉽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현장조사결과 교사실의 전반적인 면적은 부족하지만, 실제 이용활용면에서 원장실에 부속된 회의공간 등은 교사실과 연계하여 공용으로 활용,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교사실은 교재준비실, 사무실, 원장실 등과의 기능분화가 이루어져서 교사들이 개인활동, 휴식활동, 작업활동에 방해를 받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교사 1인당 11.06㎡으로 설정하고 교사 3명까지는 1인 추가시 4.04㎡을 추가하도록 하여야 한다. 5. 보육시설 각 실의 실내마감재는 아동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 자연재료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다양한 질감이나 패턴을 사용하여 아동에게 변화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색채는 가구와 교구가 다양한 색을 지닐 수 있으므로 중간색이나 무채색계통을 사용하고 천정몰딩이나 걸레받이, 문틀이나 문은 다소 강조된 악센트색을 사용하여 전체분위기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강당, 유희실과 같은 큰 공간은 기능에 맞도록 난색계통이나 그래픽적 요소를 사용하여 즐겁고 동적인 분위기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며 웅장한 스케일감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아동의 개성과 다양성을 고려한 전인교육을 위해서는 교육시설 및 설비 확충이 충실히 이루어져야 하겠으며, 영유아의 발달을 고려한 교구나 놀이기구가 보다 풍부히 구비될 수 있는 물적 자원이 필요하고 실외영역의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시설 보충과 설비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보육시설의 질적인 환경을 갖추기 위하여 물리적인 시설확충 및 실내환경의 개선이 요구되어야 한다.

      • KCI등재

        보육바우처의 도입과 한국 보육정책의 딜레마

        김연명(Kim Yeon-Myung),김송이(Kim Song-Yi)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9

        보육바우처의 도입을 보육서비스의 시장화를 위한 초석으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찬ㆍ반 논의가 일고 있다. 하지만 영리보육법인의 도입, 보육료자율화, 보육서비스 지원구조의 변화, 완전한 정보의 제공 등 한국의 보육공급구조를 완전경쟁시장으로 전환하기 위한 조건들을 실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보육바우처에 대한 찬ㆍ반 논의를 막론하고 보육바우처의 도입을 보육서비스의 완전경쟁 시장화로 인식하는 시각은 상당부문 거친 가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때문에 보육바우처 도입으로 당분간은 한국의 보육공급구조는 사장화의 압력과 전통적인 공급자 지원방식 사이에서 방향을 잡지 못하는 딜레마적 상황에 빠질 것이라는 점이 이 글의 주장이다. The introduction of child care voucher which is generally recognized as the foundation of marketization child care service, is controversial. However, the conditions for perfect competition -such as liberalization of child care service fee, the permission of for-profit corporation to child care service, modification of subsidy system to child care expense and perfect information- are not easy to be realized in context of Korean child care service. Therefore these perspectives, either for or against child care voucher, that child care voucher can make perfect competition in child care service are not convincing. This study concludes that Korean child care service will be in the dilemmas as to whether it should make the transition into a perfectly competitive market or maintain the traditional supply-side subsidy system.

      • KCI등재

        한국의 표준보육과정의 현황과 개선과제

        정효정(Chung Hyo-Ch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0

        최근 보육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된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가수준 표준보육과정 개발의 이념적 기초와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표준보육과정의 법적근거 및 개발과정, 표준보육과정의 목적 및 목표, 표준보육과정의 성격, 영역 및 내용, 표준보육과정의 운영 등 표준보육과정 현황을 소개한 후 이에 따른 개선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표준보육과정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과제로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지제고를 위한 홍보 강화, 사회적 통합과 연대 및 공동체 의식 강조, 보육대상별 표준보육과정의 목표 재설정, 발달특성 중심에서 복지욕구, 지역 및 계층특성, 사회적 필요성을 추가, 보호 측면 강조, 연령의 세분화, 유치원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목표 이원화, 영유아 중심의 운영과 이를 위한 보육교사 교육 강화, 표준보육과정 실천을 위한 교수방법 및 활동방법 제시, 보육내용을 1, 2, 3수준을 0-5세로 구분, 표준보육과정 이행 여부 점검 및 평가 등이 구체적으로 논의되었다. Since quality of child-care has received greater attention, this study aims to presented to reform task for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After review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legal foundation, developmental process, goals and contents of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following issues were discussed: 1) promoting, 2) emphasizing social integration and community spirit, 3) resetting the child care goal according to subject of child care, 4) adding need for social welfar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or class, social need, 5) emphasizing dimension of care, 6) age-segmentation, 7) dualization of goals of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and those of National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8) child-oriented operation, 9) facilitating of child care teacher education, 10) guiding teaching method.

      • KCI등재

        보육 관련 학술지 논문의 연구경향 분석

        김미정(Kim Mi-Jeong),강인설(Kang In-Seol)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8

        본 연구는 한국영유아보육학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보육관련 연구경향을 탐색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보육관련 논문 230편을 연도별 발표경향, 연구대상, 연구방법 및 연구내용으로 나누어 연구경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대상으로는 교사와 민간 및 국공립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교사관련 연구내용으로는 교사의 교수행동에 관한 주제가 많았고 교사교육 관련 연구는 저조하였다. 또한 평가인증제 도입으로 인하여 평가인증 관련 연구물이 증가추세에 있으며 보육정책 관련 논문은 보육의 발전방안과 관련된 논문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보육관련 연구유형은 양적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보육 연구에 대한 전반적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This study reviewed 230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 Jou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Journal from 1994 to 2008 in order to ascertain the development of chid care and education research trends during that period. This study was analyzed by research subject, types and cont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Most research covered topics including teacher and child care center, especially teaching behavior compared to the low number of result of study regarding teacher education. The number of subjects showed an increase in the evaluative accreditation system. And on the issues of childcare policy, the most theme was developmental issues of childcare and education. Most of the studies used methods categorized as quantitative. These results develop into and ultimately to suggest new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Lastly, it showed the overall direction of child care study in terms of the research work.

      • KCI등재

        메타포 분석을 통한 예비 영유아교사의 영아보육에 대한 인식

        김주희(Kim, Ju-Hee),황희숙(Hwang, Hee-Soo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14

        본 연구는 예비 영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영아보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부산과 경남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 영유아교사 190명으로, 수집된 자료들은 메타포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영아보육의 필요성, 영아보육의 방법, 영아보육교사의 역할, 영유아교사교육에서의 영아보육, 영아보육에 대한 관점의 5개 대분류와, 미래를 위한 시작, 발달단계에 적합한 교육, 제2의 양육자, 인도자, 능력자, 유아교육의 기초 교육, 어려우면서도 매력적인 교육, 틀에 박힌 교육의 위험성이라는 8개 내용유형이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예비 영유아교사들이 영아보육의 전문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 교사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infant car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tudy participants were 19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tudying in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and Gyeongnam a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a metaphor analysis procedure.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five major categories, 1) the need for infant care, 2) the method for infant care, 3) the ro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4) infant care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and 5) the perception on infant care, and 8 categories within the contents, 1) a start for the future, 2) education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stage, 3) a second nurturer, 4) a guider, 5) a competent person, 6) the basic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7) difficult but attractive education, and 8) the danger of stereotypical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above, a discussion was made on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that could help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 the professionalism of infant c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