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드 코로나 시대에서 유아교육 현장의 원격교육 제한사항과 이에 따른 유아 원격교육 솔루션 개발 제안

        이흔연 ( Li Xin Ran ),홍필태 ( Hong Pil Tae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1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3 No.2

        유아교육은 지식의 전달보다는 지도자에 의하여 유아의 감각을 키우는 과정이라는 특징으로 인하여, 위드 코로나 시대에서도 유아 원격교육은 일대일 비대면 교육 보다는, 유아교육 꾸러미 등 배포된 자료나 TV등의 매체를 통하여 학부모가 직접 돌보는 방식으로 원격교육이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선행연구 고찰 및 학부모 집중 인터뷰를 통하여, 교육 콘텐츠의 확대 및 접근성확대, 유아 원격교육의 기본지식 이해, 실시간 원격교육을 통한 유아의 사회성 증대 필요 등의 원격교육 요구사항을 파악하였고, 현재 제공중인 원격교육 관련 솔루션이 유아교육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다양성, 용이성, 실시간 소통, 통합이라는 유아 원격교육 솔루션의 기본방향(VERI)을 제시하고, 유아, 학부모, 교사가 함께 콘텐츠를 공유하고, 실시간 및 비실시간 소통을 할 수 있는 Web/App 솔루션 개발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원격교육 솔루션은 단지 가이드라인과 자료만 제시하고 있는 현재 상황을 유아-학부모-교사가 함께 소통하고, 콘텐츠를 공유하게 되어, 위드 코로나 시대의 유아 원격교육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것으로 기대한다. Due to the characteristic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a process of nurturing children’s senses by a leader rather than the transfer of knowledge, even in the era of with Corona, early childhood distance education is not one-to-one non-face-to-face education, but rather through distributed materials such as early childhood education packages or media such as TV. Distance education was conducted in a self-care method. Through a review of prior research and intensive parent interviews, the researcher identified the requirements for distance education, such as the expansion and accessibility of educational contents, understanding of basic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distance education, and the need to increase children’s social skills through real-time distance education. It was identified that the current distance education-related solutions are not suitabl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ccordingly, the researcher presents the basic direction (VERI) of the early childhood distance education solution of diversity, ease, real-time communication, and integration, and provides a Web/App platform that allows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to share content and communicate in real time and in non-real time. The development of a solution was proposed. This distance education solution is expected to effectively support early childhood distance education in the era of With Corona as infants, parents, and teachers communicate and share the current situation, which is only presenting guidelines and materials.

      • KCI등재

        산학 연계 교육 : IPP 제도의 성공적 도입 및 운영을 위한 성과평가 모델에 관한 연구

        이문수 ( Moon Su Lee ),오창헌 ( Chang Heon Oh ),김남호 ( Nam Ho Kim ),하준홍 ( Joon Hong Ha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12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4 No.1

        한국기술교육대학교가 공학교육의 새로운 혁신모델로 도입예정인 산/학/관 연계 장기현장실습(IPP) 제도가 성공적으로 정착, 운영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성과평가와 이를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의 운영 및 업그레이드가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해 장기적인 성과평가 논리모델 및 핵심성과지표는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IPP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성과평가 체계(모델)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평가를 위한 핵심성공요인(CSF) 및 핵심성과지표(KPI)를 제시하고자한다. 또한 IPP 프로그램 참여 학생들의 성과평가 프로세스를 포함한 운영성과 프로세스에 대해서도 기본적인 운영안을 제시하고 한국형 Co-op 모델인 IPP 제도가 장기적인 관점에서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성과관리시스템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산업체인사 대상 FGI, 한기대 재학생 및 기업체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IPP program which is a unique Korean Co-op education program designed and implemented by Korea Tech, it is very crucial to have both a reasonabl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nd a systematic feedback and upgrading system for the program. In this paper, we will provide the logic model for long-term performance evaluation of Korea Tech`s IPP program. Since the critical success factors(CSF) and Key Performance Index(KPI) are very important for the IPP program implementation, they are also provided and discussed in detail. In addition, we will discuss and analyze about the student and the industry survey results for IPP program`s sucess factors.

      • KCI등재

        산학 연계 교육 : 한국형 듀얼 시스템(K-Dual 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이문수 ( Moon Su Lee ),이우영 ( Woo Young Lee ),오창헌 ( Chang Heon Oh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13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5 No.2

        본 논문에서는 한국기술교육대학교가 새롭게 제시하는 한국형 듀얼 시스템인 K-Dual 시스템의 개념과 세부모델들에 대해 제안하고 주요사항에 대해 논의한다. K-Dual 시스템은 기존의 우리나라에서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어 오고 있는 일학습 병행관련 제도들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이들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 운영하기위해 한국의 실정에 맞게 대한민국 교육시스템에 적합하게 설계한 한국형 일학습 병행 모델로 크게 Academic 트랙과 Vocational 트랙의 2가지 트랙에 IPP, W3 및 기업대학형의 3가지 유형으로 정의된다. Academic 트랙의 경우에는 선진학 후취업 모델로 대학에 진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장실습교육을 강화함으로써 향후 취업 시 현장 적응력을 극대화시키고 취업과 연계하여 취업률 및 취업의 질/업무 만족도를 향상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반면 Vocational 트랙의 경우 기업체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일정기간의 경력을 취득한 후 연계된 대학 또는 전문대학의 정규교과과정과 함께 일정한 산업체 현장실무/실습 교육(예, 기업체 멘토의 지도하에 진행되는 프로젝트 수행 등) 학점을 이수하면 대졸 또는 전문대졸 학위를 취득하는 형태(선취업 후진학 모형)로 교과과정은 대학과 기업체가 공동으로 설계 및 운영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K-Dual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정착되어 운영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기업의 대학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와 열린 마음가짐이 필요하며, 대학은 체계적인 학사시스템 설계 및 온/오프라인 교육센터 등 인프라 구축이 선행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정부도 참여기업 및 대학을 위한 제도적 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ew Korean Dual system, K-Dual System, and discussed the concepts and details about three submodels of the system, IPP, W3 and corporate university models. Propose K-Dual system is a new and unique educational model that combines academic study and industrial work in order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of existing work-study parallel educational systems in Korea. K-Dual System has two tracks, Academic and Vocational tracks. Academic track has a long-term field experience training program, IPP program. On the other hands, Vocational track can be divided into two sub-models and those are W3 and corporate university. Finally, we summarized several key points for the successful setup and operation of K-Dual system.

      • KCI등재

        직업교육훈련기관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교양교과목 설계에 관한 연구 - 한국폴리텍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신수림 ( Soo-rim Shin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1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폴리텍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직업기초능력향상을 위한 교양교과목 설계 제안을 하는데 있다. 한국폴리텍대학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직업교육훈련기관으로 직업교육을 선도하고 있지만 교양교육에 대한 개선이 요구됨에 따라 시대적 변화를 반영한 교양교육의 목표와 방향에 적합한 표준화된 교과목 설계를 통해 전국 캠퍼스의 다양한 교육여건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교양교과목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직업교육훈련기관의 교양교육은 산업체의 요구와 국가의 인재양성 방향을 토대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제시하는 직업기초능력 기반 하에 맞춤형 인성교육이 되도록 설계하였다. 이 연구에서 총 23강좌로 구성된 교양교육의 교육과정과 학생활동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직업교육훈련기관 교양교육의 체계화 및 표준화 교과목 운영에 기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esign of liberal arts courses for the improvement of vocational basic ability, focusing on the case of KOPO(Korea Polytechnics). As Korea’s representativ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 KOPO is leading vocational education, but as improvement in liberal arts education is required, the standardized course design suitable for the goal and directions of liberal arts education reflects the changes of the times to meet the various educational conditions of campusesnation wide. It is a situation that requires the development of liberal arts courses that can be flexibly applied. Therefore, the liberalarts educ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was designed to be customized personality education based on the vocational basic ability suggested by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based on the needs of the industry and the direction of the national talent cultivation. So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systematization and standardiz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by presenting concrete examples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curriculum consisting of 23 lectures and student activities.

      • KCI등재

        교육훈련과 조직성과 간의 영향관계 문헌분석: 인적자본기업패널(HCCP) 활용 논문을 중심으로

        문동철 ( Dongchul Moon ),한지영 ( Jiyoung Han ),박지원 ( Jiwon Park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2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4 No.2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실시하고 있는HCCP(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자료는HR연구에 실증적 연구결과를 제공해 주었고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나 교육훈련과 조직성과에 대해 전체적인 관점에서 수행된 연구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HCCP 연구에 기반하여 교육훈련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HCCP 자료를 활용해 교육훈련과 조직성과를 연구한 29편의 논문을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훈련은 조직몰입, 직무만족 등 비재무성과 및 매출액, 영업이익과 같은 재무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둘째, 교육훈련이 조직성과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직무만족, 조직문화, 교육전이 등이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셋째, 효과적인 교육훈련 전이를 위해서는 교육훈련 후, 현업에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며, 마지막으로 교육훈련이 재무성과에 기여한 정도를 보다 면밀히 측정하여 교육훈련의 실질적 효과성을 밝히는 연구가 수행될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f education and training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based on HCCP research through the systematic review of previous studies. For this, 29 papers used HCCP data were selected and analyzed,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education and trai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financial performance such as sales and operating profit. Second, in order for education and training to affect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education transfer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Third, for effective transfer of education and training,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the field after education and training, finally, it suggested the need for research to be conducted to reveal the practical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training by measuring the degree to which education and training contributed to financial performance more closely.

      • KCI등재

        정규 공학교육과 평생교육의 통합교육과정에 따른 효과 분석

        장규영 ( Kou Young Jang ),권오영 ( Oh Young Kwon ),임경화 ( Kyung Hwa Rim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11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3 No.2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은 성인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고 대학의 교육적 기능을 사회에 환원한다는 취지하에 전국각 대학에서 활성화 되고 있으나, 평생교육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은 대학의 인프라를 활용한 교육과 질적 수준을 공유하지 못하고 있어 정규교육으로 인정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평생교육원의 문제점을 탈피하여 대학의 질 높은 교육의 공유를 통한 재직자 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대학생들이 방학 중에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최신기술교육 프로그램에 재직교원과 같이 참여하는 교육과정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교육에 참가한 대학생 설문조사를 통하여 제안된 교육 형태의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였고, 향후 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과 접목된 미래 공학교육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Continuing Education institutions of the university will be activated to increase opportunities for adult education and to give educational functions of the university back to society, bu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conducted by institutions does not recognize as a formal education because those programs do not share the quality of education using the university`s infrastructure. In this paper, by breaking away from the issues of Continuing Education, we develop the incumben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through the sharing of high-quality education programs of university, and analysis the effectiveness of those programs in which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 during their school vacation. The proposed programs was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 through survey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posed training. Graf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onto future engineering education of university would like to be introduced.

      • KCI등재

        직업능력개발훈련 교·강사의 자격연계형 마이크로 크리덴셜 적용 방안

        양미석 ( Miseok Yang ),권오영 ( Ohyoung Kwon ),김우철 ( Woocheol Kim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3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5 No.1

        본 연구는 직업능력개발훈련 교·강사의 보수교육과정을 살펴보고, 마이크로 크리덴셜을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K대학교 능력교육개발원의 직업능력개발훈련 교·강사의 보수교육과정 현황, 마이크로 크리덴셜의 특징, 보수교육과정과 마이크로 크리덴셜의 연계가능성을 살펴보고, 스타훈련교사의 인터뷰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인증서에 대한 인식은 훈련과정 이수시 디지털 인증서인 디지털 크레딧, 디지털 뱃지 발급과 보수교육의 공인된 자격과정에 대한 인식은 대부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보수교육의 마이크로 크리덴셜 적용방안으로 다양한 사례로 보수교육보다 혜택을 주는 방안, 보수교육의 체계화, 자격과정의 체계화 및 등급화, 자격과정의 학점화 등을 제안하였다. 둘째, 마이크로 크리덴셜을 적용한 보수교육 활용성 제고를 위한 제도적 보완장치로 NCS기반 전공 보수교육 확대 필요성, 효율적인 학습콘텐츠와 학습방법 제공, 최소 이수시간 설정 등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직업능력개발훈련 교·강사의 이해도 제고방안으로 가장 많이 응답한 내용은 마이크로 크리덴셜 홍보방안이었다. 셋째, 보수교육기관과 직업능력개발훈련 교·강사의 역할에서 보수교육기관은 교육품질 유지에 대해 가장 많이 언급하고 있으며, 직업능력개발훈련 교·강사의 역할로 가장 많이 응답한 내용은 적극적 참여였다. 본 연구로 직업능력개발훈련 교·강사의 보수교육과정과 마이크로 크리덴셜 간의 자격연계로 전문성 제고와 실무역량 이력 포트폴리오를 실질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직업훈련 환경구축을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muneration curriculum of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training teachers and instructors and to examine ways to apply micro credentials. To this end, the current status of the remuneration curriculum of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training instructors and instructors at K University’s Competency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the characteristics of micro credentials, and the possibility of linking the remuneration curriculum to micro credential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recognition of digital certificates was positive for digital certificates such as digital credit, digital badge issuance, and recognition of the recognized qualification process of maintenance education when completing the training course. In addition, as a method of applying micro credentials to conservative education, various cases were proposed to benefit from conservative education, systematization and grading of the qualification process, and credit of the qualification process. Second, as an institutional supplement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conservative education using micro credentials, the need to expand NCS-based major conservative education, provide efficient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methods, and set minimum completion time. In addition, the most common response as a way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eachers and instructors in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training was the micro credential promotion plan. Third, in the role of conservative education institutions and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training instructors and instructors, conservative education institutions mention maintaining educational quality the most, and active participation was the role of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training instructor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establish a vocational training environment that can enhance expertise and provide a practical portfolio of practical competency history by linking the remuneration curriculum of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instructors and micro credentials.

      • KCI등재

        실천공학 교육 방법론 : STEM교육을 기반으로 한 미분방정식의 교육

        하준홍 ( Jun Hong Ha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15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미국에서 시발된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교육과 이를 벤치마킹하여 만든 한국의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교육의 실태를 조사하여 대학용 STEM교육을 주관적으로 정의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현재의 STEM교육은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조만간 그 여파가 대학에까지 미칠 것이 예측되므로 STEM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수학교육 방안을 제안한다. 대학 4학년 때에 수행하는 졸업설계작품을 통한 기술(T)과 공학(E)에 대한 탐구활동과 hands-on 활동을 2학년 때에 배우는 수학교과목 중 하나인 미분방정식의 학습도구로 취급하는 새로운 교육 및 학습방안을 제안한다. STEM교육의 중요성을 교훈하기 위해서 실제 사회의 문제가 즉시 전달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 통로가 설치된 뫼비우스 띠를 STEM교육의 심벌로 도입 및 설정한다. STEM Education in the US and Korean STEAM are reviewed. The present STEM education focuses on K-12 and it does not concern STEM education in university. In this paper, we define a STEM education that can be made available in university and we establish a way of teaching and learning differential equations based on the STEM education. The class provides students with a chance to explore the capstone design projects that are developed by seniors and do hands-on activities. We introduce and set a Mobius strip with an instant delivery pathway to solve real problems as a symbol of STEM education.

      • KCI등재

        대학에서의 스틸 하우스(Steel House) 교육과 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방안 -한국기술교육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기주 ( Ki Joo Kim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11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3 No.2

        건축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아름답고 안전한 건축물을 기능적으로 잘 설계하고 시공하는 것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건축교육에 있어서 설계와 시공은 비록 서로 다른 영역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그것은 단계적 구분에 불과하다. 따라서 건축을 교육하는 대학에서도 이러한 두 영역을 접목하는 교과과정을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야 필요가 있으며, 스틸하우스 교육은 그러한 목적에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건축공학부에서는 이러한 측면에서 지난 10년 전부터 스틸하우스 교육을 시행하였고, 건축학과 건축공학 전공이 분리된 이후에도 두 전공의 공통 교과목으로 운영하였다. 일반적으로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스틸하우스 교육과정이 단순작업을 위주로 편성되어 있는 것에 반하여 대학에서의 교육 프로그램은 이론과 설계 교육 프로그램을 추가하여 졸업이후 단순작업자가 아닌 중간관리자(실천기술공학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대학교에서 스틸하우스 교육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지침이 될 수 있도록 교과편성과 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에 관한 내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ultimate goal of architecture is to construct a building through design and supervision. According to this circumstance, architectural education divided into two part ; design and construction. However, these two processes have to be one program for better education. In this aspect, steel housing program could be a desirable one because of its structural(bearing wall) system and relative short construction schedule. In KUT architectural program, steel housing has been one of the most effective and important for about ten years. In this research, the contents(s/w) and running process of this program and practice lab(h/w) will be introduced with detail. And this study could be a good guideline for a better combination program with theory and practice in architectural engineering field.

      • KCI등재

        일학습병행 PBL 확대에 따른 학위연계형 고숙련마이스터 과정의과제와 개선방향 제안

        이승준,김승희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2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4 No.1

        After the work-study combination PBL method was first introduced into the P-Tech type in 2018, it was introduced into the degree-linked high-skilled professional course in operation as a pilot project in 2020, and ever since each department has reorganizedthe standard completion system to meet the PBL operation regulations and developed and operated PBL-based learning and trainingcourses accordingly. With the expansion of the work-study combination PBL in 2021, the operating regulations were revised moreelaborately.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tudy combination PBL, the PBL operation regulations for each degree-linked high-skilled professional course, and the most recently implemented PBL operation regulations in detail throughliterature research. Based on this research, it introduced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result of the PBL-based standard completion system by the IT Convergence SW Engineering Department of KOREATECH and the result of the survey conducted to verifythe suitability of the standard completion system after an operation and presented the challenges and improvements required forthe degree-linked high-skilled professional course in relation to the changing operation regulations for the work-study combinationPBL.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universities with a reference to the development of training courses to smoothly apply thework-study combination PBL. It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and steady expansion of a unique PBL system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work-study combination by presenting discourses on how the work-study combination PBL shoulddevelop, including high-skilled professional courses. 2018년 일학습병행에 PBL(Project Based Learning) 방식이 P-Tech 유형에 처음 도입된 이후 2020년 시범사업으로 운영되고 있는 학위연계형 고숙련마이스터 과정에도 도입되면서 각 학과에서는 PBL 운영 규정에 맞게 표준이수체계를 개편하며, 그에 맞게PBL 기반의학습및훈련과정을개발하여운영하고있다. 2021년일학습병행PBL의확대시행에따라그운영규정은더욱정교하게개정되었다.본논문에서는문헌연구를통해일학습병행PBL의특성,학위연계형고숙련마이스터과정의운영절차별PBL 운영규정과가장최근시행된PBL 운영규정의변경내용을상세히고찰하였다.이러한사전연구를기반으로한국기술교육대학교IT융합SW공학과의 PBL 기반 표준이수체계 도출 과정 및 개발 결과, 운영 이후 표준이수체계의 적합성 검증을 위해 수행한 설문조사결과사례를소개하고,변경되고있는일학습병행PBL 운영규정과관련한학위연계형고숙련마이스터과정의도전과제와바람직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 일학습병행 PBL을 원활하게 적용하기 위한 훈련과정개발의 참조를 제공할수있다.또한고숙련마이스터과정을포함하여일학습병행의PBL이어떻게발전해나아가야하는지에대한담론을제시함으로써일학습병행의특성이잘반영된고유의PBL 제도정착및안정적확산에기여할것으로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