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Корейские фамилии как объект антропоним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й

        데포냔 한국슬라브어학회 2012 슬라브어연구 Vol.17 No.2

        본 논문은 한국의 성씨를 연구한다. 한국어에는 고유의 인명체계가 있는데, 이는 러시아어의인명체계와 상당 부분 차이가 있다. 이는 두 언어가 서로 다른 문화에서 발전해 온 서로 다른 구조의언어이기 때문이다.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인명 형태에는 유형적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한국 학생들이러시아의 인명체계(이름-부칭-성)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에 어려움이 야기되며, 종종 이러한 차이가언어간 장벽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국인에게 러시아어를 가르칠 때, 언어간의 차이를 극복하고모국어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러시아어에 대한 사전 이해뿐 아니라 학생들의 모국어를 고려한특수한 교수법이 요구된다. 이 연구는 이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첫 번째 시도이다. 연구 대상은 한국어의인명체계이고, 그 구성요소 중 하나인 한국의 성씨를 중점적으로 고찰한다.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한국 성씨의 형성 역사를 추적하고, 성씨와 한국의 역사, 경제, 정치, 문화의 연관성을 밝힌다. 2. 성씨의 음성학적, 통계학적 분석을 실시한다. 3. 러시아어의 관점에서 한국의 성씨를 고찰한다. 인명학적 측면에서의 한국의 성씨 연구는 향후 러시아 원어민 교사들이 한국 인명 형태를 심도 있게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가 모국어인 학생에게 러시아어를 가르치는 과정에서 학생의 모국어를고려한 러시아어 교수법을 개발하는 데에 큰 기여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러시아어 음운학습의 특이성

        이희숙 한국슬라브어학회 2005 슬라브어연구 Vol.10 No.-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체계, 음절구조 등을 대조, 비교분석하여, 이들의 유사점과 상이점을 밝히고, 한국학생들이 러시아어의 음운을 학습하는데 장해물이 되는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음성구조는 아래와 같이 상이점을 지니고 있다: 한국어의 자음에서 유성음은 /l/과 비음 외에는 없다. 그러나 러시아어에는 거의 모든 자음이 유성과 무성의 쌍으로 존재한다. 국어에는 순치음(в, ф)이 없으나 러시아에는 있다. 국어에는 기음(ph, th, ch, kh)과 경음(p', t', c', k')이 음소로 존재하나, 러시아어에서는 그렇지 않다. 한국어에는 l/r이 한 음소의 서로 다른 변이음이지만, 러시아어에는 각각 다른 음소이며, 러시아의 l은 어두운 l이고 r은 떨림소리이다. 러시아의 자음엔 연자음과 경자음이 쌍을 이루며 음소로 존재하나, 한국어에는 없다. 겹친자음은 국어에는 없으나 러시아에는 onset과 coda에 모두 존재한다. 러시아에서는 강세가 음소인데, 한국어에서는 변이음이다. 한국어는 음절언어인데, 러시아어는 스트레스 언어이다. 즉 한국어는 한 음절, 한 음절 발음하는 반면, 러시아어는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발음한다. 경상지역에는 중세 국어의 잔재인 성조가 남아 있어서, 러시아의 단어 강세와 구절 강세 및 억양을 습득하는데 간섭현상이 심하게 관찰된다. 따라서 학생들은 러시아어의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강약, 고저, 장단 등의 운율을 익히는데 타 지역 학생들보다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모음과 자음조직 뿐만 아니라 강세, 억양 등 모국어의 특징이 러시아어를 습득하는데 장해물이 됨을 다시 인식했으며 한국인이 러시아어를 배우는데 필요한 러시아어 학습교재는 양국의 언어적 차이점을 기준으로 해서 모국어와 목표 언어의 상이점을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이러한 언어학적인 상이점과 유사점을 인식하고 있는 러시아어 교습자는 학생들이 러시아어 학습을 하는 데에 어려운 난관을 빨리 그리고 쉽게 극복할 수 있도록 강의방법 및 교재를 준비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속담의 러시아어 번역 기법연구

        전혜진 한국슬라브어학회 2013 슬라브어연구 Vol.18 No.2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속담의 러시아어 번역에서 발생하는 언어적, 문화적 문제를 연구하는 데 있다. 한국어 속담의 러시아어 번역을 위한 언어 간, 문화 간 변환과 더불어 그것의 축어적 번역의 장단점이 연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속담의 어휘-의미적, 통사적, 문체적, 화용적, 문화적 특성들을 고려하여 그것의 러시아어 번역을 위한 총체적인 방법론이 제시된다. 우선 한국어 속담의 특징과 이것의 번역과 관련된 문제점들이 검토되며, 이러한 검토 결과에 기반하여, “등가적 번역”, “축어역”, “변형 기법”, “설명적 번역” 등과 같은 한국어 속담의 러시아어 번역을 위한 여러 가지 방법론이 제시된다. 더 나아가서 한국어 속담의 러시아어 번역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의사소통적, 감정표현적 기능에 대한 전략이 제안된다.

      • KCI등재

        Исследование стратегий перевода корейских пословиц на русский язык исходя из типов текста --на примере газетных статей и литературно-худо

        전혜진 한국슬라브어학회 2015 슬라브어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on the Russian translation strategies of Korean proverbs based on text types. The tasks to achieve it are as follows: 1) Analyz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studies on Korean proverb translation. 2) Provide the Russian translation strategies based on text types and Textuality 3) Through comparison of the text types, such as Informative Text, Expressive Text, Vocative Text, Operative Text, list the Russian translation strategies of Korean proverbs based on text types. 4) Apply the translation strategies based on the text types and textuality to newspaper articles and literature 본 연구에서는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을 목표로 한국 속담의 내용적 특성과 표현적 특성 및 언어 외적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텍스트 유형에 따른 러시아어로의 번역 기법과 전략 연구를 목표로 설정한다. 본 논문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속담 번역 연구 문제점을 분석한다. 둘째, 정보적 텍스트(Informative Text), 표현적 텍스트(Expressive Text), 호소적 텍스트(Vocative Text), 또는 작용적 텍스트 (Operative Text) 등과 같은 텍스트 유형과 텍스트성에 따른 한국 속담의 러시아어 번역 전략을 연구한다. 셋째, 구체적으로 신문기사, 연설문, 문학작품 등 다양한 텍스트 유형별로 해당 번역 전략을 적용한다. 러시아어 번역분야에서 텍스트 차원의 한국 속담 번역에 대한 연구 부재로 인해 이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실용적인 측면에서도 비효율성이 양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한국 속담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와 실용적인 접근을 통하여 ’실제 번역에서 이론으로‘, ‘이론에서 실제 번역으로‘의 메커니즘을 제시할 수 있다. 연구 대상은 한국 속담의 중요도와 사용 빈도수를 기준으로 선정한 500개 이상의 속담과 신문기사, 연설문, 문학작품, 영상물 등에 인용된 한국 속담이다. 또한 한국 속담과의 대응 관계 연구를 위해 주제 별로 추출한 500개 이상의 러시아 속담도 연구 대상에 포함된다.

      • KCI등재

        한정성과 문법 기제 -불가리아어와 러시아어 텍스트 비교를 중심으로

        김원회 한국슬라브어학회 2009 슬라브어연구 Vol.14 No.2

        This paper aims to describe and to compare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Definiteness in Russian and Bulgarian Languages. For this purpose, the author, first of all, selects the text “Воскресение” in Russian as the main research data. After that, the author seeks the examples that possess the demonstrative pronouns, articles and other grammatical categories of definiteness in Russian “Воскресение” and it's translations in Bulgarian. In this paper, the author shows about 30 exampl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1. Unlike in Russian, in Bulgarian the definiteness mainly is expressed by definite article. ex.) в оконце глаз старухи (R.) → Окото на старата жена (Bg.). 2. The use of definite article in Bulgarian is extremely productive. ex.) глаза в форточках дверей(R.) → през шпионките на вратите (Bg.). 3. In Bulgarian, as the non-definite article can be used and found един, една. ex.) подал ей копейку (R.) → подаде една копейка (Bg.). 4. In addition to the definite article, in Bulgarian, can be used and found си. ex.)по камням отвыкшими от ходьбы(R.) → по камъните с отвикналите си (Bg.). 지금까지 본 발표문에서는 연구 주제와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 기존의 연구 개괄, 그리고 실제 텍스트를 이용한 연구 내용을 기술해 보았다. 본 논문은 저자의 연구 관심사와 연구 계획에 대한 사전 발표의 성격을 갖고 있는 pilot 논문이다. 본 연구의 내용을 흐름도 형식으로 결론을 대신하여 기술해 보면 다음과 같다. 연구 단계연구 내용기 준1 단계러시아어와 불가리아어의 모태언어인 공통슬라브어와 고대 교회슬라브어의 지시-한정체계 연구1차 기초자료와 기존 연구자료들 분석 2 단계“부활” 텍스트에 나오는 지시-한정 용례 수집러시아어 → 불가리아어 비교3 단계러시아어 지시-한정 표현과 불가리아어 지시-한정 표현 비교 연구슬라브어 역사/비교언어학적 측면의 연구4 단계슬라브어에서 지시-한정 표현 기제의 변화와 특징 분석 및 결과 기술주요 규칙과 양상 목록 작성 본 연구를 통해서 알 수 있었던 사실들을 나열해 보면 다음과 같다. · 러시아어의 명사 표현들은 대부분 한정성을 표시하는 불가리아어의 후치 정관사 포함 표현으로 대체되고 있다. · 불가리아어에서 후치 정관사를 갖고 있는 표현이 매우 생산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한정성을 표시하는 단계를 뛰어 넘어, 필요 이상으로 강조되고 반복되는 양상으로까지 보여지고 있다. · 러시아어와 불가리아어에 공히 없는 부정 관사 형태로서, 한정성을 나타내는 러시아어 표현이 불가리아어에서 един, една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표시되는 경우도 발견할 수 있었다. · 한정성 표현을 갖고 있는 불가리아어 구문에서 행위나 대상의 재귀를 나타내는 재귀소사 си가 추가적으로 표현되는 용례로 지속적으로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슬라브어 단일언어사전에서 공간 어휘의 의미기술 - “오른쪽”, “왼쪽”을 지시하는 슬라브어 어휘를 중심으로-

        정정원 한국슬라브어학회 2019 슬라브어연구 Vol.24 No.2

        The article examines the definitions of the Slavic words referring to “left” and “right” in Russian, Polish, Czech, BCS, and Bulgarian monolingual dictionaries. Many English and Korean monolingual dictionaries describe “Right” as “the side of your body that is to the east if you face the north” and “Left” as “the side of your body that is to the west if you face the north”. Those cannot be the best definitions because the explaining concepts “North”, “South”, “East”, “West” are more complicated and more abstract than the explained concepts “Left” and “Right”. Moreover, “North” and “South”, on their turn, are sometimes defined as “the right/left direction of your body, if you face the east” in many monolingual dictionaries, making a chain of circular definitions. On the other hand, Slavic and other European monolingual dictionaries share the similar definition of “Left”, describing it as “the side of the body where the heart is located”, which must have begun in Le Dictionnaire de l'Académie Françoise in the 18th century and expanded to other European language dictionaries because it is more intuitive and persuasive. As for “Right”, Russian dictionaries define it as “the side that is opposed to the left”, whereas many other Slavic and European monolingual dictionaries describe it as “the side of body where the heart is not located”. The latter description seems to be better and the “heart” also can function as a core concept in defining “Right”. Some Slavic dictionaries distinguish between “the absolute left/right side” with their own inner directions (e.g. the left/right hand, leg, eye, etc.) and “the relative left/right side” varying depending on the observant’s position (e.g. the left/right tree, street, person etc.), while others do not, though they differ in semantic and syntactic valency. The definitions of “the political left / right” are very similar in most Slavic monolingual dictionaries. The Slavic dictionaries written during the Cold War describe “the political right” with negative words, while using more neutral words in describing “the political left”. Some Russian monolingual dictionaries written or revised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continue to define “the political right” with non-neutral words, such as “hostile to the progress (враждебный прогрессу)” and “reactionary(реакционный)”, though now in Russia, “the political left”, such as the Russian Communist Party (КПРФ), oppose to new social and political changes and propose retrospective, reactionary policies. Historically, “Right” obtained positive connotations in Slavic language as well as in many other languages, while “Left” – negative connotations, because the overwhelming majority of people are right-handed. The Slavic dictionaries describe “Right”s derived positive meanings, such as “guiltless”, “correct”, “just”, “genuine”, “noble”, “legal”, etc. and “Left”s derived negative meanings, such as “secondary”, “illegal”, “clumsy”, etc. above all, with the help of their synonymous adjectives¸ but this kind of description is undesirable, because it can cause a circular definition. Though the fixed phrases, idiomatic expressions and derived forms are very important element in a dictionary that can help the users expand their vocabulary, they are added after the given word’s definition only in the Great Dictionaries such as the 17-volumed Russian dictionary БАС and the 15-volumed Bulgarian dictionary РБЕ, and 19-century Russian dictionary СД, and sometimes they even lack the proper definitions.

      • KCI등재

        고대교회슬라브어 문장부정어의 통사적 위치와 문법 경쟁

        정하경 한국슬라브어학회 2019 슬라브어연구 Vol.24 No.2

        This paper investigates the word order variation involving the negation marker ne, the be-auxilairy, and participles in Old Church Slavonic (a version of Old Bulgarian of the 9th-11th centuries) in the context of parametric variation and grammar competition. The Old Church Slavonic word orders are compared with the patterns observed in colloquial Old Russian and Modern South Slavic languages. Two word order patterns are identified to have derived from two distinct grammars: ‘Aux-Neg-Part’ from the AuxP-over-NegP structure (Old Russian) vs. ‘Neg-Aux-Part’ from the NegP-over-AuxP structure (Modern South Slavic). Both structures are operative in Old Church Slavonic, which I analyze as grammar competition. I suggest that the newer grammar with the NegP-over-AuxP structure arose in Old Church Slavonic along with the clitic system change in this language in the 9th and 10th centuries, while Old Russian, which already began its own developmental path separately from Old South Slavic before the 11th century, only maintained the older Common Slavic grammar with the AuxP-over-NegP structure. As a result of grammar competition in Old South Slavic (reflected in Old Church Slavonic), only the newer grammar was inherited to Modern South Slavic. .

      • KCI등재

        Орфографическая норма Геннадиевской Библии: особенности рецепции второго южнославянского влияния

        한지형 한국슬라브어학회 2011 슬라브어연구 Vol.16 No.2

        В исторических и лингвист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ях Геннадиевской Библией (далее ГБ) приято называть первый в славянском мире полный свод библейских книг, собранный в Новгороде в 1499 г., в последний год XV столетия, при Новгородском архиепископе Геннадий. ГБ является первым полным церковнославянским сводом библейских книг, который определили “дальнейшие судьбы церковно-славянского языка в славянском мире” (Алексеев1990: 72). Однако до настоящего времени лингвистические параметры самой ГБ установлены не были. Это может быть объяснено сложностью решения проблемы, обусловленной “библейским эклектизмом” (Евсеев 1916: 11), разнородностью данного библейского кодекса,объединившего библейские книги различного происхождения, как географического, так и хронологического. В ходе составления полного библейского кодекса в Новгороде были собраны и сведены воедино все доступные славянские библейские тексты.2 А.А.Алексеевым было установлено,что по своему происхождению библейские тексты, входящие в ГБ, составляют 8 групп источников (Алексеев 1988; Алексеев 1990: 51–54). Перед создателями рукописного Геннадиевского свода стояла прежде всего задача “простой фиксации наличного актуальноготекста Священного писания в церковнославянском переводе” (Иннокентий 1990: 43), а не его языковой нормализации. В силу этого нельзя говорить о “языке” ГБ (Фостер 2001: 31), язык каждой из ее книг требует отдельного изучения. Вышесказанное определяет актуальность настоящего исследования, посвященного одной из книг Геннадиевского кодекса – Четвероевангелию (лл. 686–771). Конкретные задачи состоит в выявлении особенностей орфографической нормы Четвероевангелия ГБ с точки зрения отражения признаков второго южнославянского влияния.

      • KCI등재후보

        한국어와의 비교를 통한 러시아 화자의 담화 상에서 보여지는 특징적인 강조 표현 연구

        한만춘,Р.А.Кулькова 한국슬라브어학회 2004 슬라브어연구 Vol.9 No.-

        본 고에서 다루어지는 ‘강조(акцентирование)’는 화자가 구체적인 발화 상황에서 말의 표현을 힘주어 말하거나 말의 어떠한 정서를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담화 상에서 나타나는, 어떤 단편적인 발화(“заметьте!”, “обратите внимание”, “именно это, а не то”)의 의미적 분화와 역설적인 강조는 논리적인 설득에 대립적인 입장을 취하는 청자에게 작용하는 화자의 어법상의 전략이기도 하다. 또한, 이것은 일종의 포괄적인 문법적 관념으로 화자가 화행에서 말의 어조를 다채롭게 하거나 논리적으로 자주 정서를 반영하면서 언어의 다양한 실현 방법적 층위(억양, 어휘, 어휘적 관용구, 화석화된 굳건한 표현들과 통사적 관용구)를 통해 상대방을 납득시키기 위한 일종의 독특한 압력이기도 하다.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강조 표현법의 대조는 유형학적으로 다른 여러 언어들에서 보여지듯이, 때론 공통적이거나, 때론 민족적인 고유한 특성을 지닌다. 첫째, 음운적 방법을 이용한 실현 방법을 들 수 있다. 러시아어는 억양의 방법으로서 강세를 허용한다. 그러나 한국어에서는 억양의 독특한 사용은 음운적 강세라든가, ‘-니까’ 라는 특정한 종결어미를 동반한다. 둘째, 어휘와 어휘적 관용구, 화석화된 표현들이 있다. 이는 무엇보다 다양한 의미를 지닌 부사 그룹의 확장성은 러시아어와 비교할 때 한국어의 독특한 민족적이며 고유한 언어적 특성이다. 그리고 어휘적 관용구의 경우 양 언어에서 부분적으로 유사한 관용구를 찾아 볼 수가 있다. (예, рус. "даю руку на отсечение"-кор. "хоть приставьте нож к горлу"). 또한 러시아어에는 화자의 발화 의도가 내재된 채 사용되는 함축적 의미를 지닌 표현들이 적지 않은데, 이는 간결하면서도 피상적인 화석화된 표현들이다. (Это важно, чтоб вы знали! Снимаю шляпу перед вами и др.) 셋째, 통사적 관용구를 지적할 수 있는데, 한국어와는 상관적인 개념을 갖지 않는 러시아어의 통사적 관용구는 형상적 토대를 가지지는 않지만, 통사구조 도식에 의해 민족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강조의 한정적인 방법이다. 결론적으로 강조표현의 모든 실현방법들은 보충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화자에 의해 사용되어지며, 이것은 정보전달의 ‘확장자’ 역할을 하는 언어 진화의 주요한 규범임을 알 수 있다. 양 언어에서 보여지는 강조법은 상대방의 발화나 언어외적 상황에 대한 화자의 감정적 반응을 표현하거나, 화자가 청자에게 어떤 특정 내용을 좀 더 명확하게 전달하려는 마음, 즉 화자의 언어내용에 대한 표현 의도의 실현으로 볼 수 있으며, 발화 가운데 강조되는 내용은 다른 것보다 더 중요한 요소로 기능하게 된다. 특히, 한국어에서뿐만 아니라 러시아 화자들이 자유로운 담화상에서 사용하는 강조의 기법은 다양한 정서적 감정의 자유로움 표출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으로 본 고에서 고찰해 본 강조를 나타내는 이러한 관용 표현들이 한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러시아어 교육에서 실제발화의 능동적 활용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라며 다른 많은 관용 표현들에 대한 고찰은 향후 연구 과제로 남겨 두기로 한다.

      • KCI등재

        한-노 동시통역 전략 연구 -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문법 차이 극복 방안

        전혜진 한국슬라브어학회 2011 슬라브어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문법 체계의 상이성으로 인한 한-노 동시통역의 문제점을 분석, 규명하고, 그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한-노 동시통역 전략과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 1 단계에서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문법체계의 상이성으로 인한 한-노 동시통역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추출하여, 그 문제점을 분석하고 규명하였다. 2 단계에서는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문법체계의 차이점으로 인한, 특히 구문과 어순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한-노 동시통역의 오류를 유형화하였다. 3 단계에서는 한-노 동시통역의 구체적인 사례를 연구하고, 한-노 동시통역의 모델링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출발어와 도착어의 특성과 동시통역의 방향성에 따라 노한 동시통역과 한노 동시통역의 전략과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한-노 동시통역 전략 연구 -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문법 차이 극복 방안 379본 연구를 통하여 수립한 한-노 동시통역 전략이 러시아어와 한국어 두 언어 간의 구문과 어순 차이를 극복하여, 어순의 차이를 조절하고 비문 형성의 오류를 감소시켜주며, 발화의 동시성과 표현의 경제성을 보장해준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가 동시통역 과정에서 발생하는 구문과 어순 등의 언어적 제약과 정보 처리적인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을 연구하였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회적인 성격이 강한 무형의 동시통역을 유형화시키고 체계화시킴으로써, 이론적인 측면에서 한-노 동시통역의 이론적인 틀을 마련하고, 그와 함께 한-노 동시통역 전략을 실제통역에 적용함으로써 한-노 동시통역의 질과 효율성을 제고하여 실용적인 측면에서 그 응용 가치가 높다고 본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동시통역 과정에서 발생하는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문법 차이로 인한 여러 가지 제약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동시통역 교육을 수행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