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인스워드의 매스미디어 보도를 통한 민족적 정체성과 다문화주의 담론분석

        이남미,이근모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07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races discourses that place the focus on national ideality and multi-culturalism as well as how the discourses was connected with social context in Korea society, although there were various discourses surrounding Hins ward who evoked 'vortextuality' phenomenon within the Korean media after being selected MVP in the Super Bowl XL which is a relatively unpopular sports in Korea. This study also helped to understand the celebrityhood of sport player who have a broad broader symbolic signification of socio-cultural intricacies. To make the analysis of such discourses possible, media resources related to Hins Ward from Feb. 2006. to Mar. 2006 were mainly consulted references. First, the symbolic value of Hines Ward related to Korea national ideality that elicited national pride from the public after being selected MVP in the America’s greatest sports gala, and he was able to gain fame in Korean society as well. His symbolic value of the proud of Korean, maternal devotion of his single mother and Ward’s filial piety and gratitude-filled mind followed Korean traditional confucianism, such discourses became the opportunity to maintain and remind the dominative characteristics in Korea where the traditional values are being diluted. Second, the celebrityhood of Hines Ward emerged concern about minority ethnos in Korea Society, generated new production of structural changes with the change of recognition in Korea society that tolerate multi-culturalism with the new point of view to members of a nation for globalization. Especially, he created an environment where the meaning of national identity was shaken up and changes are being made to the mono-cultural ethno-centristic behaviors in Korea; a task which none of the politicians or social activists could succeed. 본 연구는 스포츠 선수의 명사성이 가진 광범위한 사회문화의 상징적 의미를 이해하기 위하여 한국사회에서는 비교적 비인기 스포츠라 할 수 있는 아메리카 프로 풋볼(NFL)에서 MVP로 선정된 후 ‘소용돌이 텍스트성(vortextuality)' 현상을 불러일으킨 하인스 워드를 둘러싼 여러 담론 중 민족적 정체성과 다문화주의 담론의 생성 과정과 이들이 사회적 맥락에서 어떻게 접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2006년 2월부터 5월까지의 매스미디어 보도내용을 통한 담론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근거하여 하인스 워드에 관한 담론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 맥락의 접합(articulation)속에서 민족적 정체성과 다문화주의적 담론이 정당화되고 도구화되는 사회적 매커니즘을 밝히고자 하였다.첫째, 하인스 워드는 미국의 최고 인기 스포츠에서 MVP로 선정된 후, 그의 명사성이 한국인의 우수성과 매개되어 대중들에게 민족적 자긍심을 이끌어 내었으며, 한국사회에서 유명해 질 수 있는 판단기준이 되었다. 그리고 민족주의적 정체성과 관련된 하인스의 기호가치는 자랑스런 한국인, 자식을 위해 헌신하는 한국적 어머니상, 그리고 그 은혜에 보답하고자 하는 한국의 전통 유교 사상인 효과 겸손함이 미덕으로 응답되어 한국사회에 존재하고 있는 민족·젠더·가족주의의 지배적 양식들을 유지시키고 재각인, 강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둘째, 하인스 워드의 명사성은 한국사회에 소수민족에 대한 관심을 조명시키고, 인종주의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더불어 세계화에 따른 다문화주의의 수용이라는 한국사회에서 인식의 변화 와 함께 새롭게 생성된 구조적 변화를 일으켰다. 특히 인종적, 민족적 정체성의 담론과 관련하여 워드가 한국사회에 현시한 전환점은 한국사회의 그 어떤 정치인도 사회운동가도 해 내지 못했던 단일문화론, 인종주의적 불평등과 차별행위들에 대하여 민족주의적 정체성의 의미를 동요시키고 변화하는 상황으로 이끌어 내었다.이상과 같이, 하인스 워드는 미국인으로 미국의 전통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는 미식축구에서 정상의 자리를 차지한 유명 스포츠 선수이지만, 한국계 혼혈이라는 그의 외형적 이유로 민족의 정체성을 더욱 강화시키는 동시에 한국사회에 주변문화로 소외되었던 소수민족을 포용할 수 있는 다문화주의적 인식과 사회의 구조적 변화를 가져왔다.일반적으로 전지구화, 세계화와 민족주의는 서로 모순되는 현상으로 인식된다. 세계화가 진행될수록 민족주의는 약화되거나 혹은 세계화에 대한 반발로 문화적 정체성을 강조하는 민족주의가 지속, 강화되면서 세계주의와 국제주의가 갈등하는 상황에 처할 것으로 파악하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워드가 한국사회에 주는 문화적 의미는 이들 두 가지를 동시에 끌어낸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높을 것이다. 그는 여타의 스포츠 스타들과 마찬가지로 스포츠를 통해 민족주의 혹은 국가적 정체성이 더욱 강화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지만, 하인즈 워드는 문화적 다양성과 포용성으로 표현될 수 있는 혼혈의 장점과 국경을 초월한 스포츠라는 강력한 메신저를 통하여 한국사회에 단일민족으로 존재하고 신봉해 왔던 민족적 정체성의 의미를 변화하는 상황으로 이끌어 내었다는 점에서 지구화의 ‘변화론’으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민족적인 ‘특수적인 문화’로부터 글로벌적인 ‘보편적 문화’ ...

      • KCI등재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한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 규명: 22년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분석

        김경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5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nvestigate the network evolution process to understand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sociology of sports studies and (2) to examine the degree to which keywords, keyword cluster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intellectual structure within the sociology of sports studies. Toward this goal, we performed social network analysis on a total of sixty volumes of the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sports, which were published between 1993 and 2014. The total number of papers included in the current study were 678 with 2,880 keywords. The NetMiner v4.2 was employed to conduct the social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ppeared significant change i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sociology of sports studies. There was notable paradigm shift in sociology of sports. Second, only a few top keyword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intellectual structure within the sociology of sports studies for the past 22 years. Those keywords with high degree centrality included: (a) sports participation, (b) juvenile, (c) leisure activities, (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 life satisfaction, (f) leisure satisfaction, (g) sports for all, (h) job satisfaction, (i) participation in sports for all, (j) the aged, (k) ideology, (l) the type of leisure activities, (m) participation motivation, (n) grounded theory, (o) social network, (p) sports media. Keywords with betweenness centrality were: (a) juvenile, (b) sports participation, (c) leisure activities, (d) sport for all, (e)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keyword network demonstrated a scale-free network, in which a small number of hub keywords appeared in the articles with majority keywords. That is, 20% keywords possessed 69% links from the total. Keywords network were related with quantitative research and was consisted of 3 clusters. 1 and 2 cluster were related with quantitative, qualitative research, 3 cluster was related with review and discourse research. 한국스포츠사회학회가 창립되고 22년이 흐른 현 시점에서 스포츠사회학의 과거와 현재를 성찰하고 미래를 논하는 것은 스포츠사회학의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한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1993년 창간호부터 2014년까지(22년) 발간된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를 3시기로 구분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NetMiner 4.2를 활용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한 한국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목할만한 변화를 보였다. 즉, 1기(1993년∼2003년)와 2기(2004년∼2009년)를 거쳐 3기(2010년∼2014년)에서 상위권 주제어들의 중앙성 순위가 크게 변동하였다. 1기의 상위권 주제어들이 2기에서도 상당 부분 유지되었으며, 2기를 지나서 3기에는 1기와 상이한 상위권 주제어들로 나타났다. 둘째, 22년간 소수의 주제어가 한국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 형성과 관련되어 있다. 활동중앙성이 높은 소수의 주제어는 스포츠참가, 청소년, 여가활동, 사회인구학적 특성, 생활만족, 여가만족, 생활체육, 직무만족, 생활체육참가, 노인, 이데올로기, 여가활동유형, 참여동기, 근거이론, 사회연결망, 스포츠미디어 등이며, 매개중앙성이 높은 소수의 주제어는 청소년, 스포츠참가, 여가활동, 생활체육, 생활만족 등이다. 주제어 연결망은 다수의 주제어가 소수의 주제어에 선호적 연결에 의해 링크가 집중되는 멱함수 법칙을 따랐다. 상위권 주제어는 양적 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질적연구, 문헌고찰/담론 연구, 통합적 연구 순으로 사용되었으며,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 형성에 기여한주제어는 총 3개의 군집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 연구는 기존에 수행된 스포츠사회학의 공동연구 연결망, 저자 동시 인용 연결망 연구와 함께 스포츠사회학의 변동 과정과 지적 구조를 탐색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앞으로 학회에서는 스포츠사회학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발전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들을 전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적용한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의 연구주제 분석

        장익영,이원미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9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32 No.2

        This research aims 1) to examine research topics in the Korean Journal of the sociology of sports and 2) to analyze how the trends of research topics have been changed over tim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777 articles in the Korean Journal of the Sociology of Sports from vol. 1(1) in 1993 to vol. 31(4) in 2018 were collected and those titles analyzed by topic modeling (LDA algorithm: Latent Dirichlet Allocation). In the first stage, nouns were extracted by Tokenization, unnecessary worlds were excluded by Stopwords in the second stage. In the third stage, different words with the same meanings were converted to the same words and in the final stage, main key themes were extracted by LDA Algorithm of topic modeling. Python 2.7 and SPSS 23.0 were used to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 topics over time. Findings are as followed; 1) topics such as sports, participation and socialization appeared the most frequently and 9 topics were extracted from the Journal, and 2) while in the Journal, research on socialization has been frequently studied, research on female and media has been increased during the past 10 years. At the same time, research on theory exploration and application in the sociology of sport and studies on reviewing and improving sports phenomenon have been increased, while research on sports clubs has been decreased. Sports sociologists in Korea have been continuously interested in topics related to body, gender, Taekwondo, policy, network and reproduction. 이 연구는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의 연구주제의 동향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구주제 의 동향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93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스포츠사회학회 에서 발행된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의 777편의 논문 제목을 대상으로 토픽모델링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단어 단위로 제목을 분리하는 Tokenization을 실시하여 명사단어만을 추출한 후, 불필요한 단어를 제외하는 Stopwords 등의 Text 전처리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공통단어 변환을 실시하였다. 토픽모델링의 LDA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각 토픽별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연도를 구간단위로 나누어 토픽을 산출하였으며, 각 토픽별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분석을 위해 Python 2.7 Package와 SPSS 23.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에서 스포츠, 참가, 사회화 등이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연구 주제는 9개의 토픽으로 산출되었다. 둘째,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에서 사회화와 관련된 연구 주제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으며, 여성, 미디어에 관련된 연구 주제가 최근 10년 동안 상승하고 있다. 스포츠사회학의 이론 탐색, 이론 적용, 스포츠현상에 대한 방안, 고찰에 관련된 연구는 2005년 이후 상승하는 연구 주제이다. 반면, 스포츠 동호회와 관련된 연구주제는 하향하는 연구주제이다. 신체, 젠더, 태권도, 정책, 연결망, 재생산 등은 연도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는 연구주제이 다.

      • KCI등재

        한국 성인의 스포츠 참여를 통한 사회적 자본 형성 가능성

        정규수,류동수,강현민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2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는 한국 성인들의 스포츠 참여를 통한 사회적 자본의 형성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편의적으로 모집된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반 구조적 질문들과 탐색 질문들을 활용하여 온라인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결과로는 첫째, 스포츠 참여를 통하여 형성되는 사회적 연결망은 스포츠 프로그램의 종류 및 함께 참여하는 동반인에 따라 그 형태가 결정되었다. 둘째, 연결망 내 신뢰는 참여자간 서로 다른 스포츠 기술과 경험의 차이에 따른 의존성과 지역 공동체 의식 함양을 통해서 형성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스포츠를 통한 사회적 연결망 내에서 상호 호혜의 이행을 확인하지는 못했으며 이는 한국의 집단주의 문화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자원은 스포츠 동호회 내 정보 교환 및 공공 스포츠 시설을 통한 편익을 개인의 사회․경제적 자원으로의 체화를 통해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스포츠 참여를 통한 사회적 자본의 형성을 목표로 하는 공공 정책은 집권 정부의 정책 철학 및 가치를 함께 고려해서 수행되어야 함과 더불어 스포츠를 통한 사회적 자본 형성에 관한 연구는 스포츠 참여가 나타나는 환경에 대한 사회․문화적 이해를 통해서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developing social capital in Korean adults’ sport participation. To meet this aim, the study performed online focus group interview with purposively selected South Korean adults, using semi-structured and probing questions. The study found the co-participants and sport programs would determine the type of social network in sport. In the networks, trust was observed at exchanging community issues while at participating in sport. However, no reciprocity was identified at the networks, due in part to cultural values and social norms in South Korea. Finally, resource was presented at exchanging information at the networks. Aspect unique to South Korean adults was that they perceived public sport facilities as individual socio-economic resource available. This study suggested that sport policy which aims at developing social capital should be implemented in conjunction with political values and goals of government. Also it suggested the studies which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capital and sport participation should take contextual and cultural factors into consideration.

      • KCI등재

        스포츠사회학 학술지와 관련 분야 학술지의 Impact Factor 비교

        한준영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08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1 No.3

        Centered around many biophysical science fields, diverse academic disciplines have verified their institutionalized scholarly standings. However, little attempts have been made in the field of sport sociology. This study adopted the impact factor of the SCI/SCIE/SSCI lists, and compared different peer-reviewed journals of sport sociology to those of the related fields including sport/exercise studies, sociology, and sociology-related social sciences. The present study employed a secondary data-analysis utilizing the existing data sources from the Thompson Scientific. Then, descriptive analyses were comput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the SSJ and the JSSI, considered the two prominent sport sociology journals, carried impact factors of .7 and .8, respectively. Those impact factors were lower than the aggregate impact factor of the sport/exercise science category (1.17) as well as sociology/sociology-related social sciences (.8). Only two sport sociology journals were found from the SCIE and SSCI lists. This might provide valuable lessons to scholars in the field of sport sociology. Further, given the fact that neither Korean sport/exercise science journal nor Korean sport sociology journal was included in the SCI/SCIE/SSCI lists, the Korean scholars should take that as constructive feedback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not be interpreted from the arithmetic standpoint; it, however, should be interpreted in terms of how journals of sport sociology can be more valuable and competitive under its unique circumstance.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as to an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the impact factor with all the concerns and considerations taken into account. 자연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들이 학술적 위치에 관한 계량적 측정을 시도해오고 있지만, 스포츠사회학에서는 그에 관한 시도가 없었다. SCI/SCIE와 SSCI의 Impact factor는 학술지가 어떠한 학술적 위치를 지니는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포츠사회학 학술지들의 수준은 어떠한지, 또한 체육학, 사회학, 그리고 사회학 관련 학술지들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Impact factor의 비교를 통해 간접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Thompson Scientific에서 산정하는 Impact factor에 관한 보고를 2차자료수집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기술적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스포츠사회학 학술지인 SSJ와 JSSI의 Impact factor는 .7-.8 수준으로 체육학 전체의 평균(1.17)에 미치지 못했으며, 또한, 사회학/사회학 관련 학술지들의 평균(.8)보다 낮은 수준을 보여준다. 단 2종의 스포츠사회학 학술지(SSJ & JSSI)와 한국 발행 체육학 학술지가 없다는 것은 스포츠사회학과 한국의 스포츠사회학이 앞으로 노력을 해야 할 하나의 방향으로서 제시된다. 본 연구는 Impact factor의 비교를 통한 스포츠사회학의 산술적인 평가에 보다는, Impact factor의 문제를 충분히 고려해서, 스포츠사회학 학술지의 발전적 방향을 제언한다.

      • KCI등재

        스포츠사회학계 내 사회적 지지 연구의 비판적 분석

        남상우(Nam, Sang-Woo),김준회(Kim, Jun-Hoe),김대희(Kim, Dae-Hee)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22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35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스포츠계가 한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필요한 사회적 지지 체계를 국가 차원, 지역 차원, 나아가 조직 차원에서 잘 구축했는가를 고민하고자 지금까지 스포츠사회학계에서 이루어져 왔던 사회적 지지 연구를 몇몇 분석 범주 중심으로 정리한 후, 향후 우리 분야에서 이 개념을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건설적일지를 제안하는 방식으로 문제화했다. 이를 위하여 1998년부터 최근까지의 20년 기간 동안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와 한국체육학회지의 스포츠사회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36편의 사회적 지지 연구를 대상으로,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 개념 정의 유무, 사회적 지지 개념의 하위 구성요소 구분, 설정된 관계 종류(지지 제공자와 수혜자), 연구 방법, 목적, 연구 결과 등의 여섯 가지 분석 범주 중심으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포츠사회학계 사회적 지지 연구는 ‘사회적 맥락이 소거된 개념 적용 연구’로 이루어지면서 개념의 다양화와 정밀화에 따른 이론적 확장을 도모하지 못한 방향으로 그 지형이 구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자들은 향후 학계가 다섯 가지의 연구 아젠다 - (1) 스포츠계 사회적 지지 개념 정의 지향, (2) 사회적 지지의 다면성 도출, (3) 사회적 지지 제공자의 확대, (4) 사회적 지지에서의 관계 설정 확장, (5) 사회적 지지 연구의 ‘과정 패러다임’ 고민 - 을 지향해보자는 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mote scalability of the concept of social support used in the field of sports sociology. To this end, an in-depth content analysis of social support research was conducted on a total of 73 studies dealing with the concept of sports and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a confirmation bias was revealed, assuming that everyone would know without conceptual definition. Second, as it was used as a variable-centered statistical variable, a limitation in which the content and context of the study were not revealed was found. Third, although relational settings such as providers and benefits are very important factors for social suppo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ttings themselves are not subdivided. Fourth,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the types that can be directly applied in relation to the sports area were not closely described, so conceptual utilization tended to be proposed. Based on this, the concept of ‘social’ support to be used in sports sociology goes beyond the level of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individuals and seeks the possibility of interaction with society (organization, policy, demographic structure).

      • KCI등재

        다문화사회 상호문화적응과 스포츠: 이론의 재구성

        강재원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4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7 No.1

        Acculturation explains the process of cultural transition from culture of origin to host society that results following meeting at multiple levels in both interacting cultures. As sport is a microcosm of society, it has gained significant attention as a multicultural adjustment policy of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interactive acculturation theories and the application of theories of development which challenges inter-ethnic issues in contemporary research on sport among immigrant and host group members. The study also purported to provide a theoretical reformulation of acculturation and sports related with establishing the feasible research hypotheses by further study. For accomplishing this purpose of the study, the theory-based view focused on the concepts of interactive-acculturation and interpreted the understanding their relationships between acculturation strategies and sport participation patterns and constraints. Based on the reformulation of the theory-based view, cross-cultural sport researchers are allowed to construct theories by applying concepts in identifying ①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of individual/social levels and interactive acculturation strategies and processes; ②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interactive acculturation strategies and levels of sport participation on the inter-ethnic relations; ③the influence of sport participation constraints on interactive acculturation strategies and levels of sport participation. 다문화사회 이주민들의 고유문화에서 주류사회 문화에로의 이동은 새로운 사회에 적응이라는 환경적 변화과정을 경험하게 되면서 개인 또는 집단 간 즉각적 또는 오랜 기간에 거쳐 일어나는 다양한 결과를 문화적응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오늘날 소(小)세계적 척도(Microcosm)로 외부사회 전체를 반영하는데 무리가 없어 보이는 스포츠를 통한 다문화사회 적응정책이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본고에서는 이주민 집단과 주류사회 집단 간 상호문화적응 분야의 이론적 발전과정과 최근의 연구현황을 살펴보고, 스포츠를 통한 다문화사회 적응 문제를 규명함으로써 상호문화적응과 스포츠와 관련한 예측 가능한 연구가설 확립을 위한 이론적 모형을 재구성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문화적응 관련 개념을 파악하고, 이론적 발달과정과 문화적응 단계에 미치는 개인과 사회적 수준으로 요인들을 심도 있게 고찰 하였다. 또한 상호문화적응과 스포츠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주민 집단 구성원의 스포츠 참여 제약요인을 파악한 후 후속연구에 적용 가능한 상호문화적응과 스포츠의 이론적 모형을 재구성하여 예측 가능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후속연구에서는 ①스포츠에 참가하는 이주민과 주류사회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상호문화적응과 이주민과 주류사회 구성원들의 개인적ㆍ사회적 수준의 요인의 연관성 및 문화적응 과정에 따른 문화적응 유형의 정도, ②상호문화적응 유형의 정도와 스포츠 참여율에 대한 상호작용과 이러한 연관성이 상호문화 집단 간 관계유지에 미치는 중재역할, ③스포츠 참여 제약요인에 따른 상호문화적응 유형의 정도와 스포츠 참여 정도에 대한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사회, 스포츠, 스포츠사회학

        남상우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20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33 No.4

        The study purported to portray the sports world that will be transformed by the COVID-19 pandemic. For this, the author analyzed what changes COVID-19 pandemic has caused in the sports world, summarizing from its impact on society to what sports sociology should pay attention to in the future. As a result, COVID-19 showed us the aftermath of social mobility, filtered out what we had done unnecessary and customary in our everyday life, and uncovered social vulnerabilities that we knew so far but did not clearly see. This pandemic will also change personal perception on health, pattern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terests on world crisis by climate change, and reorganization of the global order. With these dramatic changes in the sport world, sociology of sports will need to examine 1) the re-emergence of health concerns; 2) how to organize sporting activities in non-face-to-face environment; 3) the role of sport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4) the differences in sports activities by generation; 5) the financial problems of sports; 6) climate change; 7) the safety net of the sports world; and 8) the role of sports in the changing world order. In the future, individuals, groups and countries should consider how to recover by sporting activities and how to make sports sustainable in the social disaster. After all, the “sustainability” of sports activities will be the most crucial issue in the post COVID-19 society we will face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코로나19 전염병으로 인해 변화할 스포츠계의 모습을 그리고자 기획되었다. 즉,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사회에 끼친 영향에서부터 스포츠계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그에 따라 스포츠사회학이 향후 주목해야 할 내용은 무엇인지를 정리한 연구인 것이다. 코로나19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보여주었다. 사회적 비이동성의 여파, 사회적 여과 효과, 지금까지 비가시적이던 사회적 병폐 및 취약점을 들춰낸 것읻. 이는 향후 개개인의 건강에 대한 인식에서부터 대인관계의 지형 변화, 기후 변화에 대한 관심 촉구, 나아가 세계질서 재편이라는, 지금껏 그 어떤 권력과 자본도 해내지 못한 일을 해낼 것이라 예측되었다. 이와 관련, 스포츠사회학은 향후 스포츠계에 닥칠 위기와 기회를 발판으로 1) 건강 관심사 재조명, 2) 비대면에서의 스포츠 활동 조직화, 3) 대인관계에서의 스포츠 역할, 4) 세대별 스포츠 활동 차이, 5) 스포츠 재정 문제, 6) 기후 변화, 7) 스포츠계의 안전망, 8) 변화할 세계질서 속 스포츠 역할 등을 점검해야 할 것이다. 덧붙여, 앞으로의 상황에서 개개인이나 집단, 국가가 스포츠를 통해 어떻게 회복력을 지닐지, 스포츠계가 재난 상황에서도 어떻게 지속 가능성을 담보할지에 대한 시스템 고민도 해야 할 상황이다. 결국 앞으로 우리가 맞이할 포스트 코로나 사회에서는 다름 아닌 스포츠 활동의 ‘지속가능성’이 가장 첨예한 이슈가 될 것이고, 스포츠사회학은 그 이슈를 어떻게 다룰지를 고민해야 함이 결론으로 제시되었다.

      • KCI등재

        사회계층에 따른 스포츠 참여의 변화:참여정도와 참여형태를 중심으로

        장인철,한준영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4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7 No.3

        사회가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과거의 사회계층에 따른 스포츠 참여와 최근의 참여는 무척 다를 것으로 판단되지만, 최근에는 그와 연관된 경험적 연구는 제시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최근 한국 사회에서의 계층에 따른 스포츠 참여의 새로운 경향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그를 위해, 주관적 사회계층과 객관적 사회계층을 구분하고, 스포츠 참여에 관한 형태와 정도를 구분하여 계층 집단별로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특정 광역자치지역과 그 인근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43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407부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응답은 상관관계분석, 교차분석, 일원다변량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주관적 사회계층과 객관적 사회계층은 약하지만 충분히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객관적 사회계층과 주관적 사회계층에 있어 계층 간 스포츠 참여형태가 다르지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찬가지로 스포츠 참여정도도 객관적 사회계층 간, 주관적 사회계층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 사회에서 계층에 따른 스포츠 참여가 일정 수준에서 불평등함을 벗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find out the degree and the form of sport participation in accordance with social-stratifica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a criteria of subjective social-stratifications, a formula to divide objective social-stratifications and items for the degree and the form of sport participation.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people who live the A metropolitan city area and over 20 years old. The number of returned questionnaires is 407 out of 430. Collected responses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chi-square analysis, one-way MANOVA.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social-stratifications and subjective social-stratifications was minor positive. The results of cross tabulation analyses indicate that the degree of sport participation in accordance with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stratifications was no difference. Also, the results of one-way MANOVAs indicate that the form of sport participation in accordance with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stratifications was no difference.

      • KCI등재

        공공스포츠사회학의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고찰

        조욱연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3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6 No.3

        본 논문의 목적은 부라보이가 제시한 공공사회학의 개념을 시발점으로 삼아 현재 한국스포츠사회학이 처한 상황을 바탕으로 공공스포츠사회학의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스포츠사회학의 위기 징후들을 살펴보고 공공스포츠사회학의 학문적 범주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현재 스포츠사회학의 목표에 대한 대표적인 논쟁인 대중과의 소통을 강조하는 주장과 학문의 정체성을 강화하자는 두 가지 상반된 주장을 살펴보고, 이러한 분석과 공공사회학의 한계를 바탕으로 공공스포츠사회학의 학문적 전망에 대해서 논의한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향후 한국 스포츠사회학이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한 학문적 논의를 공공스포츠사회학의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Public Sport Sociology, based on the current crisis of Sport Sociology in Korea, by using the concept of Burawoy’s Public Sociology. To fulfill this purpose, this article analyzed the current crisis of Sport Sociology and classified the academic category of Public Sport Sociology. Furthermore, this article explored the contentions relating to the objective of Sport Sociology between ‘communication of the public’ and ‘intensification of academic identity’,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of Public Sport Sociology based on the analysis and the limitation of Public Sociology. In conclusion, it will provide starting point to discuss the future of Sport Soci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