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지방소비자행정의 현황과 시사점

        김시월,이현진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8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4 No.1

        근간 본격적인 지역적 특성화 정책의 활성화 시점에서 국민생활에 중심이 되는 지방소비자정책 및 행정을 보다세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지자체 소비자보호조례가 제정되고, 2001년부터 전국 시도에 소비생활센터 설치를 추진하였으며, 2005년부터 ‘지방소비자행정 평가제도’를 도입하고, 2007년 ‘지방소비자행정협의체’, ‘소비자정책전문가협의체’를 구성 및 운영하고 있으나 그 성과는 어떠한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본을 중심으로 최근 소비자정책과 행정 관련 자료와 현황을 조사하여 우리의 소비자행정, 지방소비자행정의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일본의 지방소비자행정 성공 사례를 통하여, 그 속에서 시사점을 발견하여 우리에게 적용할 수 있는 지방소비자정책의 정책 아젠다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본의 최근 소비자정책 관련 현황을 조사하고, 일본의 소비자정책과 행정의 구조적 체계를 살펴보았으며, 일본의 지방소비자정책과 행정을 통한 소비자교육의 성공사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일본의 지방소비자정책의 현황을 통해서 우리의 지방소비자정책 및 행정의 지역소비자 중심적 서비스실현을 위해서는 첫째,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는 소비자문제를 중심으로 관계 부서 및 다양한 기관 간의 연계가필요하며, 둘째, 지방소비자정책 및 행정을 통해 대민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소비자교육 강화 방법 및 관련법이필요하다. 셋째, 지방소비자상담 창구 확대 및 지역 전문 인력의 활용 증가 및 강화가 필요하며, 넷째, 지방소비자행정의 실행계획, 실행 등에 대한 객관적 평가를 실시하여 보다 다양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onsumer policy and administration which is the center of the citizen’s life as a local consumer at the time of full-scale regional specialization. In particular, the local consumer protection ordinance has been enacted. In 2007, we introduced ‘Local Consumer Administration Evaluation System’. In 2007, ‘Local Consumer Administration Council’ and ‘Consumer Policy Specialist Council’ are organized and oper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present the implications and proposals of our consumer administration and local consumer administration by surveying consumer policy and administrative data and current status in Japan. Especially, through the success cases of local consumer administration in Japan, we sought implications and found out the policy agenda of local consumer policy for us.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recent data on consumer policy in Japan and its current status, examined the overall structure of Japan 's consumer policy and administration, and examined the success of consumer education and consumer education in Japan. Through this, we tried to draw some implications for our local consumer policy and the agenda of administration. As a result, through the current state of local consumer policy in Japan, in order to realize the local consumer-oriented service of our local consumer policy and administration, it is necessary to link the related departments and various institutions centering on the contents of consumer problems Seco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various consumer education methods for public service through local consumer policy and administr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ounseling service for local consumers and to increase and strengthen the local professional manpower. Four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re support through objective evaluation of implementation plan and execution of local consumer administration.

      • KCI등재

        통일 대비 소비자정책 수립을 위한 소고

        나종연,배순영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5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1 No.4

        광복 70주년, 대한민국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점검하면서 통일에 대한 논의도 다시 확산되고 있다. 통일이 언 제,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질지에 대해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그렇기 때문에 통 일을 위한 철저한 준비를 해 두어야 할 필요가 있다. 소비자정책에 있어서도 통일에 대한 대비가 이루어지지 못 할 경우 소비자안전, 거래, 교육, 정보, 피해구제 등 소비생활 전 영역에서 시장 및 사회적 불안정기간이 장기화 될 수 있고, 소비격차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은 사회 불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은 통일 대비 소비자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로, 통일 대비 소비자정책의 통합적 개념 틀 도출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그 결과 주요 내 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 대비 소비자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경제의 체제 및 규모, 시장의 발달단계 등 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남한과 북한 소비환경 및 소비자역량의 이질성을 고려해서 각각에게 맞는 소비자정책을 수 립하는 동시에, 남북한 소비자정책을 아우를 수 있는 포괄적 정책 방향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둘째, 통일에 대 한 대비는 통일 이전 남북한 변화단계, 통일을 추진하고 통일을 수행하는 단계, 통일 이후 하나의 사회적 공동체 가 되는 통일의 완성 단계로 구분하여 각각의 단계별로 정책 목표를 수립하고, 달성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셋 째, 통일 대비 소비자정책은 남한 소비자, 북한 소비자 및 북한 이탈주민은 물론 통일 한국의 소비자 등 다양한 수요자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각각의 수요자에 대한 정책 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달성할 수 있는 차별화된 접근이 요구된다. 넷째, 단계와 수요자를 고려하되 보다 상위 차원의 소비자정책 지향점에 호응하는 통일 대비 소비자정책의 수립이 요구된다. Unific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has been a long time desire for Korea as a nation. While it is difficult to predict when and how the unification between may take place, careful simulations and preparation for unification is absolutely necessary to minimize both economic and social cost of unification. Although the situation is not perfectly parallel, the case of German unification sheds some insight for Korea. Studies suggest that one of the most serious detriment of integration of two germanies was that people from East Germany were not prepared for their role as consumers, which implies that consumer policy is also a very important area that needs careful preparation for future unification. In this study, we suggest that there are several important points to consider when planning consumer policy for unification. First, because the level of development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is different, the policy approach should differ accordingly. Second, consumer policy should be planned in steps that incorporates before, during and after of unification. Third, policy makers need to be aware that stakeholders of policy are different groups: South Korean consumers, North Korean consumers, defectors from North Korea and eventually consumers from unified Korea. Their different contexts and needs need to be considered. A composite framework for consumer policy planning for unification was suggested based on these arguments.

      • 소비자정책의 현황과 연구방향

        이승신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05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 No.1

        The implication of consumer policy is vital as it directly links to enhancing public welfare through ensuring consumers’ rights and interests, and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an enterprise and nation. This paper has three primary goals: (1) To define the concept of consumer policy in terms of national policy (2) To explore the objective and scope of consumer policy (3) To classify the consumer policy by subject or by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is paper will consider the status of consumer policy centering o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the Korea Consumer Protection Board (KCPB). The status of consumer policy researches by the government, KCPB and the Korean Society of Consumer Studies will also be examined based on study reports, researches and individual papers. Chapter Ⅳ touches upon the proposal for consumer policy research through pinpointing key issues: (1) Proposing the need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2) Underlining the need for analysis and evaluation of consumer policy (3) Suggesting a role for consumer policy researcher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소비자관련법의 범위와 분류

        이혜연,여정성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1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7 No.3

        소비자문제의 광범위한 특수성 때문에 소비자관련 규제와 정책은 수많은 개별법에 산재하여 있으며, 소비자관련법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법률을 포함하는지 명확히 제시된 바가 없었다. 그러나 소비자정책이 다루어야 할 범위를 명확히 하고, 소비자관점이 필요한 법률의 범위를 밝히기 위하여 소비자관련법의 범위가 더욱 정확히 규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관련법의 범위를 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소비자관련법의 정의를 내리고, 개개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정책에 소비자관점의 개입이 필요한가 하는 소비자참여의 관점에 따라 소비자관련법 여부를 판단하여 소비자관련법의 범위를 획정하였다. 그 과정에서 기존에 소비자관련법으로 제시되었던 법률들을 참고하고 이와 비교하며 새로운 소비자관련법 목록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이의 타당성 검토를 위해 소비자 전문가들의 검증을 받았다. 그 결과 2010년 5월 25일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소비자관련법은 총 344개로서 당시의 전체 법률 중 약 29.3%를 차치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중 164개 법률은 기존에 소비자관련법으로 명명된 적이 있었던 법률이며 나머지 180개는 본 연구에 의하여 새로이 소비자관련법으로 확인된 것이다. 그리고 정책집행과 관련연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소비자관련법을 소비자정책 영역별, 소관부처별로 분류하였다. 소비자관련 법률을 정책 영역별로 중복 포함되도록 분류한 결과, 각 정책 영역별 해당 소비자관련 법률 개수는 안전정책 관련 법률이 208개로 제일 많고, 그 다음 소비자거래 관련 법률이 196개, 피해구제 관련 법률 117개, 정보 제공 관련 법률 93개, 기타 영역의 법률 80개, 소비자교육 관련 법률 36개 순이다. 소비자관련법의 소관부처는 모두 26개이며, 이는 전체 소관부처의 반 이상인 약 58%이다. 이 중 공정거래위원회를 포함하여 한 기관 당 10개 이상의 소비자관련법을 관장하고 있는 주요 13개 부처에서 308개 법률, 즉 전체 소비자관련 법률의 89.5%를 담당하고 있으며, 13개 부처 각각은 대체로 위의 5개 소비자정책 영역을 모두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소비자관련법과 정책의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소비자정책 연구의 대상도 확대시키고, 여러 정부 부처가 관련된 소비자정책의 추진체계가 효율적으로 정비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또한 정부 정책에 소비자 시각이 반영되고 소비자 참여가 이루어져야 할 영역이 지금보다 훨씬 많다는 것을 시사한다. Since consumer issues are closely related to every aspect of our lives, there are numerous laws dealing with the issues and yet there has not been a complete list of 'the consumer laws'. However, the consumer laws should be clearly defined and examined in order to determine the scope of current consumer policies and laws which need a consumer perspective.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give a concrete definition of the consumer laws and demarcate the boundary of the consumer laws based on its definition.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number of the consumer laws is 344 in total, which consists of 29.3 percent of all the current laws in Korea as of 25 May 2010. Among the 344 laws, 180 were newly identified by this study while the others, 164 have ever been introduced as the consumer law. In addition, we classified the consumer laws according to the spheres of consumer policies and their competent authorities for practical uses in a field and following studies.

      • KCI등재

        유럽의 지방소비자정책 추진체계 고찰: 독일과 영국을 중심으로

        김성숙,조유현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7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3 No.4

        As consumer policy paradigm shifted in 2006, the revision of the Consumer Basic Law was conducted and this has also affected local consumer policy and administration. In 2008, the general coordination authority of consumer policy was transferred from the Ministry of Finance and Economy to the Fair Trade Commission. In addition to the Consumer Center in each metropolitan city that played a central role in local consumer administration, the Fair Trade Commission Regional Office and the Korea Consumer Agency Regional Headquarters provide services to local consumers. However, the subject of local consumer policy is unclear. in the mix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t is doubtful whether functions such as establishment of systematic local consumer policy and enforcement of policies are operating systematically. In addition, it appears that the role and authority of each subject overlap in the consumer policy system. With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local consumer administration and consumer policy system in our country by finding out how the local consumer administration and policy system in Europe is conducted. This research analyzed the curr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local consumer policy by selecting Germany and UK, the leading European countries among European countr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two countries had a dual system of separating the law enactment and the law enforcement. And both countries have adopted a decentralized system for each sector of consumer policy. The Consumer Advice Center in Germany and the Citizens Advice Center in the UK are responsible for the most basic levels of consumer counseling such as providing relevant information. These centers were installed at the level of each local autonomous entity on a regional basis. Both countries were supporting consumers through non-governmental consumer organizations. These consumer organizations generally dealt with consumer issues in all areas and it is evaluated that these organizations are playing a role of a window of government's policy enforcement for consumers. 2006년 소비자정책 패러다임이 전환되면서 소비자기본법의 개정이 이루어졌고 이는 지방소비자정책 및 행정에도 영향을 주었다. 2008년에 소비자정책의 총괄 조정 권한이 재정경제부에서 공정거래위원회로 이관되고 지방소비자행정의 중심적 역할을 했던 각 광역시도의 소비생활센터 이외에 공정거래위원회 지방사무소, 한국 소비자원 지역본부 등이 지방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행정기구의 혼재 속에서 지방소비자정책의 주체는 불명확하고 지방소비자정책의 수립과 시책의 집행 등 제반 기능이 체계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또한 소비자정책 체계에서 각 주체들의 역할과 권한 등이 중복되는 측면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유럽의 지방소비자행정과 정책 체계가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우리나라의 지방소비자행정과 정책 체계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유럽국가 가운데 유럽의 대표적인 선진 국가인 독일과 영국을 선정하여 지방소비자정책의 현황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국가는 법률제정과 법률 집행을 분리하는 이원적 체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소비자정책의 각 분야별로 분산형 체계를 채택하고 있었다. 독일의 소비자어드바이스 센터(Consumer Advice Center)와 영국의 시민어드바이스 센터(Citizens Advice Center)는 정보제공과 같은 가장 기초적인 단계의 소비자상담을 담당하며, 각 기초자치단체 수준에서 지역단위별로 설치되어 있었다. 두 국가 모두 비정부기관인 소비자조직을 통해 소비자를 지원하고 있었다. 이들 소비자조직은 대체로 모든 분야의 소비자문제를 다루며 정부의 소비자를 위한 정책집행의 창구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평가되었다.

      • KCI등재후보

        식품분야 소비자정책의 평가와 과제

        이계임,조소현,장재봉,김성숙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2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식품분야에서 소비자정책의 운영현황을 검토하고, 소비자 조사결과를 참고하여 식품분야 소비자정책 의 추진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식품분야 소비자정책을 거래정책, 안전정책, 표시정책, 식품영양·식생활정책, 교육·홍보·정보정책, 피해구제정책 분야로 구분하였다. 소비자정책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 는 관련 법률간 연관관계가 분명하게 정리되어야 하며, 관련 조직의 역할이 조정되어야 한다. 즉, 식품종류별·유통단계별로 분산 운영되는 관련 제도를 통합하여 상호연계성을 제고시킬 필요가 있다. 식품의 안전문제는 생산 단계에서부터 소비자에게 전달되기 직전까지 전체 유통과정이 문제가 될 수 있고, 1차 생산물의 생산단계와 제 조·가공단계에서 위생과 품질은 유기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므로 일관된 안전관리가 중요하다. 따라서 개별법에 흩어져 있는 식품 표시·인증·소비자 정보 제공 등과 관련 조항 등을 추출하여 식품의 품질표시에 관한 통합운 영을 규정할 필요가 있다. 또 식품소비자정책은 소비트렌드의 빠른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해야 하며, 식품안전성 확보를 통해 소비자 신뢰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따라서 품목별 소관부처에서 운영하고 있는 정 보제공 시스템과 피해구제 통로를 통합운영하고, 관련 창구를 적극 교육·홍보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정보의 비대 칭성으로 인한 소비자 역선택을 해소하고 소비자의 건강한 식품 소비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에게 관련 정보 가 쉽게 전달되고, 소비자 불만 및 피해 발생 시 구제창구가 소비자에게 열려있어야 한다.

      • KCI등재

        소비자정책 성과평가체계(안)의 개발 및 운영 방안 연구

        사지연,구명진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3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9 No.1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nsumer policy evaluation and feedback function from an objective and long-term perspective, this study develops a consumer policy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We selected the ‘system theory’ as a ground theory of consumer policy evaluation system, and suggested the candidates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each stage of policy evaluation, that is input, output, outcome and impact. In detail, first, we suggested the current ‘Appraisal system of implementation plan for consumer policy’ be used for the input-output evaluation of consumer policy, but it should be utilized supplemently the budget as an input indicator, and the consumer law enforcement performance as an output indicator. Second, we suggested objective data such as CISS and 1372 data, as well as survey indicators such as ‘Consumption Life Indicators’ and ‘Consumer Markets Evaluation Indicators’, be used as outcome indicators directly brought into the market by input and output. Third, the ‘Consumer Life Satisfaction Indicator’ was presented as an impact indicator to evaluate the ahievement of the final goal of the policy, so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consumer policy could be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consumers. Lastly, in terms of system operation, we suggested it is necessary to secure causality between evaluation indicators through organizing evaluation units between inputㆍoutput-outcome-impact indicators, and also, the continuous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indicators within the evaluation system must be legislated. 2009년 제1차 소비자정책 기본계획 시행 이후 소비자정책은 다수의 중앙 부처와 지방자치단체들에 의해 다양한 내용과 형태로 수행되어왔으나, 그 성과에 대한 중장기적 평가는 아직까지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2018년 본격 시행된 소비자정책 종합시행계획 추진실적 평가제도가 소비자정책 평가제도로서 기능하기 시작했으나, 제도의 운영목적과 기능이 소비자정책 성과 평가 제도로 갈음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정책 성과를 보다 객관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평가할 수 있는 소비자정책 성과평가체계(안)을 개발하고, 평가체계를 구성하는 평가지표 후보군을 구성하는 한편, 평가체계의 실질적 운용을 위해 향후 추진되어야 할 정책적 과제들을 제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정책평가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체제이론(system theory)을 소비자정책 성과평가체계(안)의 근거 이론으로 선정하고, 투입(input), 산출(output), 결과(outcome), 영향(impact) 각각의 단계에 적합한 평가지표 후보군을 제시하였다. 첫째, 투입과 산출평가 시에는 현재 운용 중인 종합시행계획 추진실적 평가제도를 근간으로 하되, 투입지표로서 예산, 객관적 산출지표로서 소비자관련법 집행실적을 보완적으로 사용할 것을, 둘째, 투입․산출이 시장에 직접 가져온 결과지표로 위해정보감시시스템(CISS)과 1372 상담 데이터와 같은 객관적 데이터를 비롯하여 소비생활지표, 소비자시장평가지표와 같은 조사지표들을 활용할 것을, 셋째, 정책의 최종 목표 달성을 평가하기 위한 영향지표로서 소비자가 체감하는 소비생활의 질 향상을 목표로 소비생활만족도를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평가체계의 실질적 운용을 위해 평가지표 면에서는 투입․산출-결과-영향 지표 간 평가단위 연계체계 구축을 통해 지표 간 인과성을 확보할 것을, 제도운영 면에서는 평가체계 내 구성지표의 지속적인 생산과 관리를 법․제도적으로 명문화할 것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주의 역량비교 : 소비자역량과 국가 및 사업자의 활동평가

        오몽아,김기옥,황혜선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3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소비자주의 역량을 소비자주의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으로 나누어 비교하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사업자의 소비자 권리보장을 위한 활동을 평가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법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소비자주의의 지식과 태도, 실천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척도를 구성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소비자주의 지식에 대한 차이가 있었다. 한국소비자의 소비자주의 지식수준이 중국소비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소비자주의 지식의 하위 항목 중 하나인 소비자권리에 대한 지식수준은 중국소비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소비자주의의 중요성에 대한 태도를 비교한 결과, 중국소비자가 한국소비자에 비해 사업자의 책무 영역에서 사업자의 기본적인 의무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국의 소비자주의 실천 역시 차이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소비자책무와 소비자단체에 대한 실천의 영역에서 한국소비자들이 중국소비자에 비해 더 많은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양국 모두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사업자의 소비자주의 활동에 대한 평가는 모두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양국을 비교하면 한국이 중국에 비해 더 낮은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소비자교육 연구 동향 분석

        김미라,황혜선,이욱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0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소비자교육 분야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변화하는 시대적 요구에 부합 하는 소비자교육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 자료는 국내 최초의 소비자교육 연구가 시도된 1982년부 터 2019년까지 국내 소비자학 관련 학회지인 소비자학연구, 소비문화연구, 소비자정책교육학회지, 대한가정학회 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한국생활과학회지, 그리고 한국소비자원에서 발간하는 소비자문 제연구에 수록된 논문 총 355편이다. 분석방법은 텍스트 마이닝의 토픽모델링을 통한 양적 분석과 토픽별 관련 연구의 심층적 이해를 위한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픽모델링 분석결과 국내 소비자학연구의 연구영역(토픽)과 점유율은 학교교과분석(21.9%), 프로그램개발(17.1%), 아동․청소년 소비행동 변인(16.9%), 친환경소비(12.9%), 재무․금융(11.0%), 소비자문제․정책(10.5%) 그리고 소비자역량(9.9%) 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영역(토픽)별 핵심 키워드 12개와 기간별 점유율 변화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시기별 연 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1980년대는 소비자교육의 태동기로 소비자교육이 개념적 체계를 설정하였다. 1990년대 는 대내적으로는 소비자교육이 소비시장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이 강조되고, 대외적으로는 지속가능성장에 대한 관심이 모아진 시기였으며, 친환경소비와 아동․청소년의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 루었다. 2000년대는 학교에서의 소비자교육이 안착되며 학교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하거나, 현장에서 활용될 소비자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가 증가하였고, 국내외적 경제위기가 뒤따르며 재무․금융교육에 대한 수요 에 힘입어 해당 분야에 대한 다수의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마지막으로 2010년대에는 연구영역별 점유율의 차이 가 가장 낮아 다양한 분야의 균형적 연구가 이뤄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소비시장 환경의 변화속도가 가속화됨 에 따라 새로운 소비자역량 지표 개발에 대한 필요성 증대로 소비자의 역량체계수립을 위한 연구의 비중이 점차 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다. 향후 소비자역량 기반의 소비자교육, 변화된 소비자 개념을 반영한 소비자교육, 아동․청소년 소비자를 위한 학교 소비자교육의 강화, 기업이 주도하는 소비자교육의 촉진전략 변화, 교육 수요 자 중심의 소비자교육 프로그램 설계 등의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trends on consumer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onsumer education research that meets the needs of the times. Since the first study started in 1982 until 2019, 355 papers were included in Journal of consumer studies,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and Journal of consumer policy Studies published by the Korea Consumer Agency. The method of analysis was both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topical modeling of text mining and qualitative analysis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related research by topic.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topic modeling, the research area(topic) and market share of consumer studies in Korea were school curriculum analysis(21.9%), program development (17.1%), child and youth consumption behavior variables(16.9%), eco-friendly consumption (12.9%), finance(11.0%), consumer problems and policies(10.5%), and consumer competency (9.9%). Second,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12 key words for each research area (topic) and the change in market share over time and looked at research trends by time. In the 1980s, consumer education established a conceptual system as the beginning of consumer education. In the 1990s, the positive influence of consumer education on the consumer market was emphasized internally, and the focus was on sustainable growth externally, and research was focused on factors affecting eco-friendly consumption and the consumption behavior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2000s, consumer education in schools was settled, and research on analyzing the contents of school curricula or developing consumer education programs to be used in the field increased, and a number of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basis of demand for financial education following the economic crisis at home and abroad. Finally, in the 2010s, the difference in market share by research area was the lowest, indicating that balanced research in various fields was conducted. In addition, as the pace of change in the consumer market environment accelerates, the proportion of research to establish a competency system for consumers is gradually increasing due to the need to develop new consumer competency indicators. In the future, research on consumer competency-based consumer education, consumer education reflecting changed consumer concepts, strengthening school consumer education for child and youth consumer, changing the corporate-led strategy for promoting consumer education, and designing programs centered on education consumers should be continu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