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쇼스타코비치의 초기 영화음악 연구 - 《새로운 바빌론》을 중심으로

        우혜언 한국서양음악학회 2018 서양음악학 Vol.21 No.1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musical features of Shostakovich’s New Babylon and to examine him as a film composer. New Babylon is his first film score for the silent film directed by Grigori Kozintsev and Leonid Trauberg and shows a new model for Russian film music. He started his career as a film composer based on his experience in movie theater. The composer did not overlook th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film and music and yet stressed the independent role of music in film at the same time. Shostakovich displayed various musical techniques such as the musical continuity, principle of contrast, musical montage and quotation and grotesque orchestration, and in these ways, he tried to avoid illustrating music. This film score especially focuses on the musical and dramatic features that appear in his early orchestral genres. 본 논문은 쇼스타코비치의 《새로운 바빌론》에 나타난 그의 음악 특징들을 연구하고 영화음악 작곡가로서의 쇼스타코비치를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바빌론》은 그의 첫영화음악 작품이자 20세기 초 러시아 무성영화음악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모델이 되었다. 그는 젊은 시절 영화관에서 쌓은 피아노 연주 경험을 바탕으로 영화음악 작곡에 본격적인 행보를 보였다. 쇼스타코비치는 영화와 음악의 관계를 간과하지 않으면서도 음악이 영화에서 독자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와 기술을 채용한다. 음악의 지속성, 대조의 원칙, 음악적 몽타주와 인용 기법, 그로테스크한 오케스트라의 연출 등 다양한 기법을 통해 단순히삽입되거나 반주되는 영화음악에서 벗어났다. 특히 이 작품에는 그가 다른 장르에서 보여준춤곡의 사용, 패러디 및 풍자, 오케스트라 음악의 내러티브 성격 등 초기 음악 특징들이 고스란히 담겨있어서 쇼스타코비치 영화음악의 탁월한 극적 연출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쉔커식 분석이론을 둘러싼 북미 음악이론계의 ‘백인종 프레임’(White Racial Frame) 논란

        신동진 ( Dong Jin Shin ) 한국서양음악이론학회(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음악이론포럼 Vol.28 No.1

        본 연구는 북미 음악이론계에 역사적인 사건으로 남을 2020년 쉔커식 이론과 인종주의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논란과 그로 인한 미국 음악계의 움직임에 대해 소개한다. 2019년 11월 미국 음악이론학회(Society of Music Theory)의 총회 모임에서 흑인 이론가 필립 유엘은 “미국 음악 이론계의 백인종 프레임”(Music Theory’s White Racial Frame)이라는 연구 발표를 통해 미국 학계에 뿌리 깊게 박힌 백인 중심주의를 고발하였다. 사회학적 개념을 바탕으로 유엘은 북미의 쉔케리안 이론가들이 인종주의자인 쉔커의 이론을 ‘화이트워싱’(whitewashing)해왔음을 주장하였고, 음악이론과 인종의 관계를 부정하는 백인 학자들의 태도를 ‘컬러블라인드 인종주의’(color-blind racism)로 규정하였다. 같은 해 말 북텍사스 대학교(University of North Texas)에서 발간된 『쉔커연구저널』(Journal of Schenkerian Studies)의 12호에는 유엘의 발표에 응답하는 15명의 쉔커 이론가들의 지면 토론이 게재되었는데, 토론에 참여한 백인 학자들은 2020년 확산된 흑인 시민운동 “흑인의 생명도 소중하다”(Black Lives Matter)의 분위기 속에 인종차별주의자라는 비난을 받게 된다. 조직적 인종차별(systemic racism)을 근절하기 위한 젊은 이론가들은 온라인 매체를 통해 쉔케리안 이론가들을 비판하였고, 북텍사스 대학교의 대학원생들은 저널의 폐간과 함께 책임자인 티모시 잭슨(Timothy Jackson) 교수를 해임할 것을 학장에게 요구하였다. 음악이론학회는 『쉔커연구저널』 12호의 반(反)흑인적 진술과 유엘을 향한 개인적인 인신공격을 규탄하였으나, 유럽의 이론가들은 미국 음악 이론계의 이러한 대처에 회의적인 시각을 보이며 쉔커식 이론의 앞날을 위한 세계적인 토론의 기회를 촉구하였다. 한편 2021년 2월 유엘의 트위터에는 흑인 역사의 달을 기념하기 위한 흑인 음악가들의 연구가 연재되었고, “피부색 지우기 삭제하기”(Erasing Colorasure)라는 개인프로젝트는 RILM을 통해 온라인으로 발행되었다. 지난 2년 북미에서 큰 위기를 겪은 쉔커식 이론과 인종주의에 대한 논란의 영향을 국내에서 감지하기는 힘들다. 그럼에도 국내에서 연주 전공자들에게 조성음악을 쉽게 이해시키기 위한 실용적인 방법론으로 자리매김한 쉔커식 이론이 미국사회에서 오늘날 어떠한 상황에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미국 교육의 모델을 따르고 있는 우리나라 음악 대학들의 나아갈 방향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작업임을 제안한다. This study introduces the controversy between the Schenkerian theory and racism in United States today, which will be historically significant in music scholarship. In November 2019, African-American theorist Philip Ewell presented his paper “Music Theory’s White Racial Frame” at the meeting of the Society of Music Theory (SMT) and pointed out ‘White Racial Frame’ embedded in American music theory. Ewell argued that Schenkerian theorists have ‘whitewashed’ Schenker’s theory and denied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theory and race, which he claimed to be ‘color-blind racism.’ At the end of the same year, the Journal of Schenkerian Studies, published by the University of North Texas (UNT), issued the journal volume 12 that featured fifteen Schenkerian theorists’ responses to Ewell’s presentation. With the movement of ‘Black Lives Matter’ in 2020, the fifteen white writers of the volume were denounced as racists, and young music theorists criticized the senior theorists through social media for the sake of eradicating systemic racism in American academia. Some graduate students at UNT demanded to dissolve the journal and even fire professor Timothy Jackson, who was in charge of its publication. SMT condemned anti-black statements in the journal and their personal attacks against Ewell, but European theorists were skeptical about SMT’s reaction and called for a global discussion on the future of Schenkerian theory. Meanwhile, to commemorate Black History Month in February 2021, Ewell conducted a personal project “Erasing Colorasure,” posting about black musicians on Twitter, and publicized the series of his writings through the RILM blog. In South Korea, Schenkerian analysis has been a useful methodology that helps music performers to see musical structures more clearly. Although it is hard to detect the negative impact of North America’s Schenker-racism controversy in South Korea, I claim that we should channel our attention to the current situation of Schenkerian theory in the United States as we follow the American education system.

      • KCI등재

        쇤베르크와 전통: 음악적 아이디어와 기초 악상을 중심으로

        김경화 한국서양음악학회 2011 서양음악학 Vol.14 No.3

        In the early 20th century, Arnold Schoenberg pioneered radically new musical languages: atonality and twelve-tone music. Although he developed progressive musical language, Schoenberg believed that he was never conflicted with the German tradition but continued and extended it. The paradoxical insistence of Schoenberg is concerned with his art view. In this view, art is an expression of idea and the work of art is its realization. For Schoenberg the philosophy of the organic nature of an artwork and the conception of the Grundgestalt as concrete presentation of musical idea should not be changed in any type of music. It is the traditional paradigm that he learned from German masters. This paper will examine elements or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Grundgestalt, which function as an essence for the organic unity in a work. The idea of the wholeness produced by coherence and contrast or tension and relaxation is a very traditional view above all. In the analysis, Op. 6, No. 8 "Lockung" was chosen for the tonal music, Op. 15, No. 6 "Jedem Werke bin ich fürder tot" for the atonal music, and Op. 25 "Präludium" of the for the twelve-tone work. 20세기 초반 쇤베르크는 무조성과 12음 음악이라는 새로운 음악 어법을 시도하였다. 과거의 어법에서 벗어나 혁신적인 창작 기법을 발전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쇤베르크는 자신이 독일 음악 전통을 버린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을 확장하여 지속하고 있다고 믿었다. 쇤베르크의 이러한 역설적 주장은 그의 예술관과 깊이 관련된다. 그는 예술이 ‘아이디어’의 표현이며, 예술 작품은 그 ‘아이디어’가 구현된 유기적 통일체로 보았다. 예술 작품의 유기체적 본질에 관한 쇤베르크의 철학과 아이디어를 음악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요소인 ‘기초 악상’ 개념은 그의 창작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는 작품의 아이디어를 드러내기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기초 악상’을 제시하고, 음악적 요소들과의 다양한 관계 안에서 변화와 통일성, 긴장과 이완, 구심력과 원심력의 대비 등의 역동적 과정을 만들어내며 유기적 전체를 형성한다. 이는 쇤베르크의 음악 스타일과 어법의 변화를 초월하여 일관성 있게 존속되는 창작의 본질이며, 과거 대가들로부터 계승한 전통적 패러다임이다. 본 논문은 쇤베르크의 창작 과정에서 본질적으로 작용하는 음악적 아이디어와 기초 악상에 대해서 살펴보고, 그것이 후기 조성 음악, 무조 음악, 12음 음악에서 일관성 있게 나타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18-19세기 공공 음악회의 발전 과정

        이경희(Kyunghee Lee) 한국서양음악학회 2005 서양음악학 Vol.8 No.1

        17세기 말 이전에는 음악 연주를 주 목적으로 하는 독립적이고 공식적인 무대가 사실상 존재하지 않았다. 음악 활동들은 많은 다른 제도와 사교 장소- 궁정, 선술집, 교회, 시장, 가정 -에 일시적으로 첨가된 것이었다. 그러나 오페라, 공공 음악회, 음악 협회와 같은 제도의 발생은 음악 생활의 사회적 구조를 근본적으로 재구성하였다. 음악계는 그 자신만의 목적, 예절, 사회적 조직을 갖춘 세계로 발전되었다. 오페라가 가장 빠르게 발전하였다. 18세기 초에 이르면 이미 유럽 전역에 큰 규모의 공식적인 단체들이 존재했다. 반면에 공공 음악회는 산발적으로 자라났다. 17세기 말 런던과 18세기 초 파리에서 소수로 시작되었다. 1750년 이후 까지 그 숫자는 미미했다. 음악회 제도와 관습이 안정적으로 확립되는 것은 19세기에 들어와서이다. 그러나 전용 음악회장이 아닌 장소에서 음악회가 빈번히 열렸기에 다른 사회 활동과의 연관은 여전히 지속되었다. 청중들도 이들 장소에서 발생하는 사교와 오락 차원의 매너로 행동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베버(William Weber)는 음악회의 발전시기를 다섯 단계로 나누고 있다. 첫째 시기 1680-1750년대는 음악회가 드물게 출현하던 시기, 둘째 시기 1750-1790년대는 런던, 파리, 비엔나에서 성장하는 시기, 셋째 시기는 1790-1813년대 휴지기, 넷째 시기 1813-1848년은 빈도와 중요성에서 급격한 폭발을 보이던 시기, 다섯째 시기 1848-1870년은 음악회가 현대식으로 공고화된 시기이다. 본고에서는 둘째와 넷째 시기를 중심으로 공공 음악회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려고 한다. 특히 공공 음악회 제도가 완전히 정착하게 되는 넷째 시기 동안 대중 음악회와 고전 음악회로 나뉘어서 서로 다른 체제와 청중이 생겨나게 된 과정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겠다. The history of concerts in London, Paris and Vienna falls into five periods: 1) 1680-1750, the scattered appearance of concerts; 2) 1750-1790, the growth of frequent events in all three cities; 3)1790-1813, a hiatus in presentations; 4) 1813-1848, the rapid explosion in their number and significance; and 5)1848-1870, the consolidation of the concert world in its modern form. The author makes a focus on the second and fourth periods. During 1830s and 1840s, the public concerts were exploded and finally divided into two different worlds. The popular and classical concert worlds have their own system and publics. But after mid-19th century, they were merged again. The upper-middle class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development of public concerts. The history of public concert shows how much the specific social bases of different kinds of concert molded their character. For example, the distinctive tastes and life-style of the Viennese bureaucrats defined the nature of the classical music world even more than the members of the liberal professions did in London or Paris. In contrast, the economic profession had influence on the popular music world more than liberal professions and bureaucrats. The development of classical-music concerts in three cities also showed how important public musical occasions were in the growing social leadership of the upper-middle class. Even in a city like Vienna where private interaction between the elites was so limited, events in public halls provided a means by which the class could oblige the aristocracy to accept a measure of social equality with it.

      • KCI등재

        개념을 적용하는 대상과 범위에 관한 논의

        이내선(Naesun Lee) 한국서양음악학회 2005 서양음악학 Vol.8 No.1

        한 시대 안에는 주류를 이루는 언어와 개념의 전환이나 발달로 인해서 만들어지는 새로운 언어가 공존한다. 이전부터 이어져 오던 관습의 언어와 미래지향적인 언어가 공존한 다는 것은 예술에 있어서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16세기에, 김미옥의 주장대로, 조성적인 현상이 나타난 것은 분명하지만 그 성격들은 조성의 성격을 결정짓는 그 많은 요소들 중에 부분적인 것으로, 이 시대의 다성음악 안에서 이 새로운 요소들은 당연히 선법적인 내용과 함께 공존한다. 또한 이러한 조성적 내용은 17세기에도 끊임없이 추가되면서 18세기에 이르고, 조성의 성격이 결정적으로 분명해지는 시점에서는 오히려 확립된 조성을 와해하려는 새로운 움직임이 병행한다. 결국 음악에 있어서 선법의 언어든지, 조성의 언어든지 간에 한 순간도 그 언어의 내용이 정체되어 있던 적은 없으며, 그것은 지속적으로 움직인다. 역사는 이런 변화를 발달이라고 기록하기도 한다. 논의에 앞서 생각해야 할 또 다른 하나는 한 시대를 평가하는 시각의 다양성이다. 이 “시각의 다양성”이라는 것은 하나의 음악적 현상을 해석하는 방법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간단하게 장단조혼용(modes mixture)이라는 것을 그 예로 삼을 수 있겠다. 16세기에 선법의 여러 음계로부터 장조와 단조가 양분화되는 작업을 거쳐 조성음악에서 사용할 장단조체계의 초석을 마련했지만, 이 체계를 당연한 보편적인 체계로 받아들이기 시작한 다음에는 또 다시 의도적으로 장조와 단조를 섞어서 사용하는 이른바 “장단조의 혼용”이 등장한다. 분명 장단조 혼용의 효과는 장조와 단조의 성격이 분명하게 구별된 후라야 생각할 수 있는 기법이다. 이 현상을 조성의 측면에서 보자면, 이 용법이 사용되고 있는 이유란 조성음악에서 화성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딸림화음에 도달하는 과정의 긴장을 이 용법이 적절하게 유도한다는 판단 때문이며, 이것을 조성음악의 반음계적 현상으로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정 반대의 측면에서 보자면, 이 용법은 조성이라는 한계가 균열되고 있는 현상 중에 하나로도 해석할 수 있는데, 이는 조성음악에서 기본적인 요소가 되고 있는 장조와 단조의 구분을 의도적으로 혼합해서 사용했기 때문이다. 이런 것들을 살펴볼 때에, 하나의 용법이 한 가지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다는 판단의 진위여부를 가리기보다는 그 목적이 어떤 이유와 방법으로 성취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더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 다룰 내용은 2004년 서양음악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본인의 논문 “6도음정의 선법적, 조성적 기능 (2): 6음음계로부터 7음음계로 발전하는 과도기의 현상”에서 논의한 것에 반론을 붙인 김미옥의 논문에 대한 일종의 답변서이다. 이를 준비하는 과정이 본인에게는 새로운 주제로 논문을 쓰는 것보다도 훨씬 더 까다로운 시간이었는데, 그 이유 중에 하나는 그의 반론이 본인의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 전체에 대한 것이었고, 이에 따라 본인은 그 하나하나의 반론이 어떤 개념에서 출발하고 있는지 그 저변을 일일이 확인해야 했기 때문이었다. 기본적으로 서로 다른 시각을 갖고 있기 때문에 다른 의견을 갖게 되는 부분에 관해서는 고유한 의견을 존중하는 뜻에서 본인의 의견을 재차 달지 않았다. 그러나 제3자의 입장에서 볼 때에 서로 상반된 주장을 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 내용이 원 논문의 내용을 왜곡한 것에서 출발한 것이라고 한다면 답을 해야 할 이유가 있었고, 서로 다른 의견일지라도 그것들의 내용이 상충되는 것이 아니라면 지면을 할애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각자의 의견이 옳고 그름을 따지기보다는 이견이 어디에서부터 출발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노력했는데, 필요상 원 논문의 내용이 반복적으로 언급되기도 했다. 논의의 중심에는 문제가 되고 있는 개념을 어느 대상에 어떻게 적용했는지에 관한 방법론이 관련되어 있고, 이에 관해서는 우리가 모두 한 번쯤은 재고해 볼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The argument of a concept cannot be correctly understood if this concept is not placed within its historical-theoretical context. In the case of inverted seventh chord, samely, even though the notion of invertibility was discussed during the seventeenth -century, this notion is limited within the triadic inversion. Concerning the seventh chords, they had to wait for recognizing that the seventh note of chord has the same root as the other notes of the chord. Many ways of thinking about tonal music have seemed exposed in 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two opposing poles, the modal theory and harmonic tonality. The rule of the Sixth, used in the thorough-bass practice of seventeenth century, is an object of discussion to figure out one of them. Some other components of tonal harmonic thinking arose continually during the seventeenth century. However, when we examine the seven-note scale used in the seventeenth-century, we need to distinguish two contexts whether such the scale is manipulated by hexachordal system or not. The emergence of the Rule of the Octave called Règle de l’octave is significant in the eighteenth-century theory, since musicians learned not only the common scale-step placements of harmonies within a key but also their interaction with one another. This is one of very concrete facts of this transitional period evolving hexachordal system into heptachordal system. In fact, the harmonic tonality is never definitely determined; however the notion of tonal coherence becomes more shaped accumulating many facts of tonal organization and the conception of tonal space in both the theory and practice.

      • KCI등재

        브람스 피아노음악의 시적 요소는 음악적 프로그램인가?

        김용환 한국서양음악학회 2015 서양음악학 Vol.18 No.1

        The paper has investigated ‘poetic idea’ as a subject besides music itself some Brahms’ pianomusic which has been an inspiration to composition and been reflective of his works. In addition,there is a consecutive inquiries of aesthetic and social background in Brahms music concluding‘the stereotype of absolute music.’ Hanslick, ‘the representative of aesthetics in absolute music’ inthe late 19th century, has been considered how Brahms was relevant and also described criticallysome discrepancies in his acceptance of Brahms music. In this process, this article requirescorrection about existing evaluation of Brahms music, ‘the stereotype of absolute music,’ in termsof music history. Lastly, the research is suggested if this poetic idea in Brahms music can beregarded as a musical program as a follow-up project. 본 논문에서는 브람스의 몇몇 피아노 작품의 창작에 자극을 주고 작품에 반영되어 있는음악외적 대상으로서의 ‘시적(poetic) 요소’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브람스가 ‘절대음악의 전형’으로 귀결되는 일련의 음악사회적·미학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19세기 후반의 ‘절대음악 미학의 대표자’로 손꼽히는 한슬릭(Eduard Hanslick)과 브람스(JohannesBrahms)의 관계가 조망되고, 브람스 음악에 대한 한슬릭의 수용에서 드러난 모순점을 비판적 시각으로 서술하면서 브람스 음악을 ‘절대음악의 전형’으로 자리매김하는 기존 음악사의평가에 대한 수정을 요구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시적 요소’가 음악적 프로그램으로 간주될수 있는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과제를 제기하였다.

      • KCI등재

        이상근의 미국 피바디사범대학 연수와 탱글우드음악제 수학(1959.9.7-1960.8.28)

        손금숙 한국서양음악학회 2012 서양음악학 Vol.15 No.1

        Although Sang Keun Lee's (1922-2000) one-year residency at the Peabody College for Teachers,Nashville, Tennessee, had significant impact on his musical career as a Korean composer and music educator, his musical activities during this period has remained unknown. As a participant in the Peabody Project, sponsored by the US government, Lee was recognized a burgeoning Korean composer and three of his compositions, Andante on a Korean Theme(1955), the 4th movement of Symphony No. 2(1958), and Music for Piano, Violin and Violoncello(1960) were performed. This article also uncovers the history of the premiere of Music for Piano, Violin and Violoncello at the end of the Tanglewood Summer Music Festival, 1960 where he studied with Aaron Copland. 이상근(1922-2000)이 ‘도전과 실험정신’의 작곡가이자 시대를 앞선 음악교육가로 자리매김하게된 것은 1959년 9월부터 1960년 8월까지 1년간에 걸친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시의 피바디 사범대학에서의 연수와 1960년 여름에 참가한 탱글우드음악제를 통해서였다. 하지만 ‘피바디 프로젝트’에선발된 이상근의 미국에서의 음악활동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피바디사범대학 체제기간 중 이상근의 <교향곡 2번> 4악장, ‘한국선율에 의한 서완조,’ <피아노 3중주곡 2번> 등 세 작품이 연주되었다. 특히 탱글우드음악제 기간 아론 코플랜드에게 수학하면서 작곡한 <피아노 3중주곡 2번>의 초연을 비롯하여 이상근의 작품들이 미국에서 연주된 배경과 그 의미를 조명하고자 한다. 또한 피바디연수를 통해 구체화된 음악교육관이 귀국 후 저술한 그의 음악교과서에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알아본다.

      • KCI등재

        영화 ≪그린 북≫, ≪기생충≫, ≪두 교황≫에 나타나는 해석적 단초로서의 대립

        안수환 한국서양음악학회 2021 서양음악학 Vol.24 No.1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plore film music’s efficient role in the recent selective films in which multiple levels of binary opposition serve as a crucial function. The films Green Book and Parasite take the opposition between the black and white and between the poor and rich as a structural element whereas The Two Popes deals with subtle conflict between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in Catholics. I tried to elucidate how music reinforces meaning by mapping the opposite elements with each other from a humanistic point of view, particularly hermeneutics and narrative theory. An opposition between the black and white in Green Book maps into the opposition between Don Shirley’s popular music and the white’s classic music. Debussy’s Arabesque diegetically used in a dialogue scene leads to a quasi mickey-mousing like synchronization, helps one get indulged in the film, and then accomplishes high-degree tranvaluation of meaning. The Belt of Faith as nondiegetic music in Parasite obviously arouses the Baroque style and mood, but finally leads to a chaos of identity by allowing for pseudo Baroque elements. The Two Popes portrays the opposition between the two Popes, symbolizing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by contrasting the medieval Gregorian chant and contemporary popular music. 본 논문은 영화에 나타나는 대립적 요소들에 대한 음악의 효과적인 역할을 살펴보는 데에 그목적이 있다. 세 영화 ≪그린 북≫, ≪기생충≫, 그리고 ≪두 교황≫ 각각 흑백의 갈등, 빈부의갈등 그리고 신구의 갈등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필자는 해석학적 음악분석을 바탕으로 음악이영화에 나타나는 대립적 요소들과 어떻게 조응하여 의미를 강화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그린 북≫에서 다루고 있는 흑백의 갈등은 백인들의 클래식 음악 문화에 대한 독점으로 확장되며, 그 독점에 도전하는 흑인 연주가 돈 셜리로 인하여 흑백 갈등은 고조되어간다. 본 논문에서 활용된 ≪아라베스크≫와 해당 장면은 영화에서 조성과 선법성의 대립을 활용하여 흑인, 클래식 음악 문화 그리고 돈 셜리만의 음악과 미키마우징 수준의 일치성을 완성하며 관객의 몰입을 돕는다. ≪기생충≫의 배경음악인 ‘믿음의 벨트’는 바로크풍의 음악이지만 비(非) 바로크적요소가 음악 곳곳에 난입함으로써 정체성의 미묘한 혼란을 유도한다. 이 미묘하고 유사품 같은정체성은 영화의 인물들이 만들어낸 가짜 정체성과 효과적으로 조응한다. 마지막으로 신구의 대립을 다루고 있는 ≪두 교황≫은 그레고리 성가와 현대의 대중음악의 충돌을 활용하여 보수와진보를 상징하는 두 교황의 대립을 그려내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리스트가 본 슈만의 음악적 포에지

        김용환 한국서양음악학회 2019 서양음악학 Vol.22 No.1

        This essay deals with what Liszt Schumann called the "pioneer of poetic music and program music" and considered one of the seers who want to achieve the integration of music and literature. Thus, in this discussion, the findings and the background were discussed in detail, which claims Liszt in his pioneering writings about Schumann and his works. 본 논문은 리스트가 어떠한 근거로 (현행 음악사에서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음악의 반대자’로 종종 언급되고 있는) 슈만을 오히려 “시적 음악 및 프로그램음악의 선구자”로 칭하고있으며, 아울러서 음악과 문학의 통합을 자신의 음악적 이상으로 여긴 리스트가 슈만의 작품에서 그 선구적 자취를 인식한 근거와 배경을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